KR20060016374A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6374A
KR20060016374A KR1020040064786A KR20040064786A KR20060016374A KR 20060016374 A KR20060016374 A KR 20060016374A KR 1020040064786 A KR1020040064786 A KR 1020040064786A KR 20040064786 A KR20040064786 A KR 20040064786A KR 20060016374 A KR20060016374 A KR 20060016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noise
noise amplifier
signal
antenna
digital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9491B1 (ko
Inventor
김홍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64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491B1/ko
Publication of KR20060016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23Satellite systems for providing broadcast service to terrestrial stations, i.e. broadcast satellite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20/06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among broadcast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systems
    • H04H20/22Arrangements for broadcast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4Wireless systems of satellite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9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low noise amplifier [L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Abstract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가 제공된다. 위성에서 송출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안테나와, 갭 필러(Gap-filler)에서 송출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안테나와, 수신환경에 따라 상기 제1안테나와 제2안테나 사이를 스위칭하는 RF스위치와, 상기 RF스위치를 통해 나온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제1저잡음증폭기와, 상기 제1저잡음증폭기를 통해 나온 신호 중에서 원하는 신호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1RF필터와, 상기 제1RF필터를 통해 나온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1신호처리부와, 갭 필러에서 송출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이동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3안테나와, 상기 제3안테나에 수신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와 이동통신 신호를 각각 분리하여 출력하기 위한 다이플렉서와, 상기 다이플렉서를 통해 나온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제2저잡음증폭기와, 상기 제2저잡음증폭기를 통해 나온 신호 중에서 원하는 신호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2RF필터와, 상기 제2RF필터를 통해 나온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2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갭, 필러, LNA, 안테나, 단말기.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제1안테나 120: 제2안테나
130: 제3안테나 140: RF스위치
150: 제1저잡음증폭기 160: 제1RF필터
170: 제1신호처리부 180: 다이플렉서
190: 제2저잡음증폭기 200: 제2RF필터
210: 제2신호처리부 230: 능동형 RF스위치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선 원 편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갭 필러(Gap-filler)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갭 필러에서 송출되는 신호와 이동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듀얼모드 안테나를 구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한다.) 서비스는 2002년 4월부터 2003년 2월까지 산, 학, 연, 방송사로 구성된 '위성 DMB 표준화 추진위원회'에서 ITU 국제표준방식인 시스템 A, B, D, E 방식에 대하여 전문가회의와 공청회 등을 통한 표준화 작업을 거쳐 시스템 E 방식을 채택하고, 정보통신부에서 2003년 4월 8일 시스템 E 방식의 국내 단일 표준으로 확정하였으며, 2004년 상반기에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위성 DMB란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해 이동 중에도 수십 개 채널의 고화질 TV와 음악 등을 시청할 수 있는 단방향 방송으로, 위성에서만 전파를 발사하는 스카이라이프와 달리 지상 곳곳에 중계기를 설치, 시속 150Km 로 고속 주행 시에도 끊김 없이 시청할 수 있다. 이는 개인 이동 위성 서비스(PMSB: Personal Mobile Satellite Broadcasting)라고도 하며, 초기에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의 개념으로 출발하였으나 현재는 정지 화상 및 동영상 방송을 지원하는 기술로 발전하였 다.
DMB 위성은 지상의 DMB 센터로부터 약 13GHz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면, Gap filler(지상 중계국)를 위한 약 12GHz의 신호와, 단말기가 직접 수신하기 위한 약 2.6GHz 의 신호를 송출한다. Gap filler는 위성신호가 도달하지 못하는 지역에 단말기를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시스템으로써, 주로 다중 경로 페이딩 현상이 나타나는 도심지역에 설치되며,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약 12GHz의 신호를 변조하여 약 2.6GHz의 신호로 송출한다.
종래 이러한 DMB 신호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9490호에서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 중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건물 외부에 설치되어 위성 또는 지상 중계국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 상기 수신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를 받아 소요 대역만 필터링하고 증폭하여 출력하는 여파증폭부, 상기 여파증폭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상기 출력 신호를 가정이나 사무실 등과 같은 건물 내부의 소규모 음영 지역에 내보내기 위한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DMB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시간 지연이 다른 다중경로 신호를 동기 수신하는 방법인 Rake 구조를 사용하였으나, 여러 안테나를 이용하여 공간 다이버시티를 구성하는 방법은 아직 제안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우선 원 편파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갭 필러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갭 필러에서 송출되는 신호와 이동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듀얼모드 안테나를 구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성에서 송출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안테나와, 갭 필러(Gap-filler)에서 송출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안테나와, 수신환경에 따라 상기 제1안테나와 제2안테나 사이를 스위칭하는 RF스위치와, 상기 RF스위치를 통해 나온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제1저잡음증폭기와, 상기 제1저잡음증폭기를 통해 나온 신호 중에서 원하는 신호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1RF필터와, 상기 제1RF필터를 통해 나온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1신호처리부와, 갭 필러에서 송출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이동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3안테나와, 상기 제3안테나에 수신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와 이동통신 신호를 각각 분리하여 출력하기 위한 다이플렉서와, 상기 다이플렉서를 통해 나온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제2저잡음증폭기와, 상기 제2저잡음증폭기를 통해 나온 신호 중에서 원하는 신호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2RF필터와, 상기 제2RF필터를 통해 나온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2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상기 RF 스위치와 상기 제1저잡음증폭기 사이에 RF필터가 추가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이플렉서와 상기 제2저잡음증폭기 사이에 RF필터가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안테나는 외장형 안테나일 수 있고,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안테나 또는 제3안테나는 단말기에 내장되는 인테나(Intenna)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RF 스위치는 능동형 RF 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1저잡음증폭기를 통과하는 경로와 그렇지 않은 경로를 스위칭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저잡음증폭기의 양단에 능동형 RF 스위치가 각각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잡음증폭기와 제2저잡음증폭기의 이득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잡음증폭기와 제2저잡음증폭기의 이득이 제어되는 기준은 수신품질을 만족하는 최소 수신전력에 일정한 마진을 더한 것으로서, 각각의 저잡음증폭기의 이득이 로우(Low)모드일 때 수신되는 신호가 이 기준에 미달되면 저잡음증폭기의 이득이 하이(High)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신호처리부의 이득이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신호처리부가 제어되는 기준은 제2저잡음증폭기의 이득이 하이상태일 때 수신품질을 만족하는 최소 수신전력에 일정한 마진을 더한 것으로서, 상기 제2신호처리부가 오프상태일 때 수신되는 신호가 이 기준에 미달되면 제2신호처리부가 온상태가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잡음증폭기와 제2저잡음증폭기의 전원이 온/오프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는 제1안테나(110), 제2안테나(120), 제3안테나(130), RF스위치(140), 제1저잡음증폭기(150), 제1RF필터(160), 제1신호처리부(170), 다이플렉서(180), 제2저잡음증폭기(190), 제2RF필터(200), 제2신호처리부(210), 기저대역부(220) 등으로 구성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는 크게 두가지 경로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공간 다이버시티를 구현하게 되는데, 제1경로는 제1안테나(110), 제2안테나(120), RF스위치(140), 제1저잡음증폭기(150), 제1RF필터(160), 제1신호처리부(170)등을 거치는 경로이고, 제2경로는 제3안테나(130), 다이플렉서(180), 제2저잡음증폭기(190), 제2RF필터(200), 제2신호처리부(210) 등을 거치는 경로이다.
제1안테나(110)는 위성에서 송출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위성에서 송출되는 신호중에서 특히 우선 원 편파(Right-handed Circular Polarization)신호를 수신하게 되는데, 이는 일본은 좌선 원 편파 신호를 수신하고 우리나라는 우선 원 편파 신호를 수신하도록 규정되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안테나(110)는 외장형 안테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안테나(110)는 외장형 안테나로서 단말기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안테나(120)는 갭 필러(Gap-filler)에서 송출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안테나(120)는 단말기에 내장되는 인테나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RF스위치(140)는 수신환경에 따라 제1안테나(110)와 제2안테나(120) 사이를 스위칭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RF스위치(140)는 능동형 RF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가 도2에 도시되어 있다.
제1저잡음증폭기(150)는 RF스위치(140)를 통해 나온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저잡음증폭기(150)를 통과하는 경로와 그렇지 않은 경로를 스위칭할 수 있도록, 제1저잡음증폭기(150)의 양단에 능동형 RF스위치가 각각 추가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가 도3에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제1경로를 통해 들어오는 신호가 제1저잡음증폭기(150)를 통과하여 증폭될 수도 있고, 증폭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제1저잡음증폭기(150)를 거치지 않는 경로를 통해 지나갈 수 있다.
제1RF필터(160)는 제1저잡음증폭기(150)를 통해 나온 신호 중에서 원하는 신호 대역만을 통과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수신성능개선을 위하여 RF스위치(140)와 제1저잡음증폭기(150)사이에 RF필터(145)를 추가할 수 있다.
제1신호처리부(170)는 제1RF필터(160)를 통해 나온 신호를 처리하여 기저대역부(220)로 보낸다.
제3안테나(130)는 갭 필러에서 송출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이동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듀얼 모드 안테나이다.
다이플렉서(180)는 제3안테나(130)에서 수신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와 이동통신 신호를 각각 분리하여 출력한다.
제2저잡음증폭기(190)는 다이플렉서(180)를 통해 나온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RF필터(200)는 제2저잡음증폭기(190)를 통해 나온 신호 중에서 원하는 신호 대역만을 통과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수신성능개선을 위하여 다이플렉서(180)와 제2저잡음증폭기(190)사이에 RF필터(185)를 추가할 수 있다.
제2신호처리부(210)는 제2RF필터(200)를 통해 나온 신호를 처리하여 기저대역부(220)로 보낸다.
이러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환경은 크게 세가지 경로로 구분할 수 있다. 위성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직접 수신하는 경우와, 갭 필러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와, 위성과 갭 필러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동시 에 수신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갭 필러가 있는 지역은 주로 도심 지역으로서, 갭 필러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갭 필러가 위성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2.6 GHz대의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면 이를 단말기가 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는 갭 필러를 이용하기 때문에 갭 필러가 없는 지역에 비해 수신 환경이 좋다고 할 수 있다.
위성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직접 수신하는 경우는 갭 필러가 없는 지역에서 수신하는 경우로서, 주로 개활지와 같은 개방지역에서 수신하게 되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는 이러한 수신 환경의 간섭, 잡음, 경로 손실 등으로 인한 수신감도를 확보하고 잡음 지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이버시티 사용여부, 저잡음증폭기의 사용여부 등을 적절히 제어하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제1경로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에 있어 메인 경로로서, 위성 직접 수신 지역에서는 제1안테나(110)가 사용되고, 갭 필러 수신 지역에서는 제2안테나(120)가 사용된다. 만약, 위성 직접 수신과 갭 필러 수신이 겹치는 지역에서는 수신품질에따라 제1안테나의 사용 유무를 평가한 후 수신하게 된다.
제2경로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에 있어서는 보조 경로로서 다이버시티를 구성하는 역할을 하고, CDMA측면에서는 메인경로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제3안테나(130)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와 이동통신 신호를 모두 수신 하는 듀얼 모드 안테나로 구성되고, 이렇게 입력된 신호를 분리하는 다이플렉서(18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저잡음증폭기와 다이버시티를 제어하게 되는데, 먼저 저잡음증폭기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경로와 제2경로의 각 경로는 저잡음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저잡음증폭기는 간섭신호 및 강전계 신호에 의한 Saturation을 피하도록 충분한 선형성과 NF(잡음지수)가 2.5dB를 만족하는 저잡음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갭 필러 수신 지역에서 갭 필러와 가까운 곳에서 수신하는 경우 강전계 신호에 의한 비선형 왜곡을 피하도록 이득 제어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수신전력이 큰 지역에서 저잡음증폭기를 오프(OFF)상태로 제어하여 전류소모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사용시간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저잡음증폭기의 실제부품의 예로서, 부품번호 MGA-71543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구분 Gain[dB] NF[dB] Icc[mA]
High Gain Mode 14 1.3 10
Low Gain Mode -6 -6 0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우 게인과 하이 게인 사이에서 약 20dB정도의 이득차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저잡음증폭기의 이득을 2단계로 제어하는 기준은 수신품질(BER: 2*10E-4)을 근거로 한다. 위성 직접 수신지역은 링크 버짓을 통해 위성신호 수신전 력을 설계한 것으로서 채널환경의 변화, 즉 기후 및 대기권 전파 산란 등의 영향에 대한 마진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저잡음증폭기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갭 필러 수신지역은 갭 필러로부터의 거리, 수신기 주변의 환경, 간섭원의 유무 등 다양한 채널 환경을 갖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저잡음증폭기(150)와 제2저잡음증폭기(190)의 이득이 제어될 수 있다. 제1저잡음증폭기(150)와 제2저잡음증폭기(190)의 이득이 제어되는 기준은 수신품질을 만족하는 최소 수신전력에 일정한 마진을 더한 것이다. 여기서, 마진을 더하는 이유는 단말기마다 하드웨어적인 성능의 차이가 있고, 수신전력의 변화가 심하기 때문이다. 이 기준으로 저잡음증폭기가 제어되는 구체적인 예를 들면, 각각의 저잡음증폭기의 이득이 로우(Low)모드일 때 수신되는 신호가 이 기준에 미달되면 저잡음증폭기의 이득이 하이(High)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저잡음증폭기(150)와 제2저잡음증폭기(190)의 전원이 온/오프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이버시티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다이버시티를 위한 경로는 제2경로이다. 그래서, 제2경로의 제2신호처리부(210)의 이득을 제어함으로써 다이버시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다이버시티의 제어는 수신품질(BER=2*10E-4)을 근거로 한다. 이에 더하여 수신 채널 환경에 따라 저잡음증폭기 및 안테나 상태와 동시에 평가하여 제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공간 다이버시티를 사용하게 되면 최대 3dB의 수신감도 이득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신호처리부(210)가 온(On)/오프(Off)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2신호처리부(210)가 제어되는 기준은 제2저잡음증폭기(190)의 이득이 하이상태일 때 수신품질을 만족하는 최소 수신전력에 일정한 마진을 더한 것이다. 여기서, 마진을 더하는 이유는 저잡음증폭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기마다 하드웨어적인 성능의 차이가 있고, 수신전력의 변화가 심하기 때문이다. 이 기준으로 제2신호처리부(210)가 제어되는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2신호처리부(210)가 오프상태일 때 수신되는 신호가 이 기준에 미달되면 제2신호처리부(210)가 온상태가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음은 위에서 언급한 세가지 수신 환경에 따른 실제 다이버시티 제어를 설명하기로 한다.
첫번째로 위성 직접 수신지역에서는 제1안테나를 적용하게 되고, 이 경우 저잡음증폭기는 항상 ON 상태를 유지하며, 채널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이버시티를 ON/OFF 하여 최대 3dB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두번째로 갭 필러 수신 지역에서 수신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저잡음증폭기 제어 기준 레벨보다 수신레벨이 크면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저잡음증폭기와 다이버시티를 OFF 한다. 반면, 저잡음증폭기 제어 기준 레벨보다 수신레벨이 작으면, 저잡음증폭기는 ON을 유지하고, 수신환경에 따라 다이버시티를 ON/OFF 되도록 제어한다.
마지막으로 위성과 갭 필러에서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이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 경로인 제1경로의 수신전력 레벨에 따라 저잡음증폭기의 이득과 다이버시티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우선, 갭 필러 수신의 경우를 모두 검증한 상태에서 수신 품질이 적합하지 않으면 제1안테나를 적용하여 수신성능을 평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세개의 안테나와 저잡음증폭기 및 다이버시티 제어를 적용하여 위성에서 송출되는 신호와 갭 필러 신호가 공존하는 다양한 수신환경에서 각 수신환경에 적합한 수신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신호를 포함하여 수신하는 듀얼모드 안테나를 적용함으로써, 멀티미디어 기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요구되는 전류소모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위성에서 송출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안테나;
    갭 필러(Gap-filler)에서 송출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안테나;
    수신환경에 따라 상기 제1안테나와 제2안테나 사이를 스위칭하는 RF스위치;
    상기 RF스위치를 통해 나온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제1저잡음증폭기;
    상기 제1저잡음증폭기를 통해 나온 신호 중에서 원하는 신호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1RF필터;
    상기 제1RF필터를 통해 나온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1신호처리부;
    갭 필러에서 송출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이동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3안테나;
    상기 제3안테나에 수신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와 이동통신 신호를 각각 분리하여 출력하기 위한 다이플렉서;
    상기 다이플렉서를 통해 나온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제2저잡음증폭기;
    상기 제2저잡음증폭기를 통해 나온 신호 중에서 원하는 신호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2RF필터;
    상기 제2RF필터를 통해 나온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2신호처리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스위치와 상기 제1저잡음증폭기 사이에 RF필터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플렉서와 상기 제2저잡음증폭기 사이에 RF필터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테나는 외장형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테나는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 송 수신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테나는 단말기에 내장되는 인테나(Intenn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안테나는 단말기에 내장되는 인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F 스위치는 능동형 RF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잡음증폭기를 통과하는 경로와 그렇지 않은 경로를 스위칭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저잡음증폭기의 양단에 능동형 RF 스위치가 각각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잡음증폭기와 제2저잡음증폭기의 이득이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잡음증폭기와 제2저잡음증폭기의 이득이 제어되는 기준은 수신품질을 만족하는 최소 수신전력에 일정한 마진을 더한 것으로서, 각각의 저잡음증폭기의 이득이 로우(Low)모드일 때 수신되는 신호가 이 기준에 미달되면 저잡음증폭기의 이득이 하이(High)모드로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처리부가 온/오프되도록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처리부가 제어되는 기준은 제2저잡음증폭기의 이득이 하이상태일 때 수신품질을 만족하는 최소 수신전력에 일정한 마진을 더한 것으로서, 상기 제2신호처리부가 오프상태일 때 수신되는 신호가 이 기준에 미달되면 제2신호처리부가 온상태가 되도록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잡음증폭기와 제2저잡음증폭기의 전원이 온/오프 되도록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KR1020040064786A 2004-08-17 2004-08-17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KR100639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786A KR100639491B1 (ko) 2004-08-17 2004-08-17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786A KR100639491B1 (ko) 2004-08-17 2004-08-17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374A true KR20060016374A (ko) 2006-02-22
KR100639491B1 KR100639491B1 (ko) 2006-10-26

Family

ID=37124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786A KR100639491B1 (ko) 2004-08-17 2004-08-17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49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585B1 (ko) * 2005-06-24 200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화 품질향상 방법
KR100746432B1 (ko) * 2006-02-09 2007-08-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Dmb 수신 성능을 개선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819881B1 (ko) * 2006-08-16 2008-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밴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KR100824606B1 (ko) * 2006-08-14 2008-04-23 알에프컨트롤스 주식회사 디엠비신호 수신장치
KR100860177B1 (ko) * 2007-06-11 2008-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수신기
US8543106B2 (en) 2006-09-21 2013-09-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ignal transmission mechanism with diversity gain in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US9037660B2 (en) 2003-05-09 2015-05-19 Google Inc. Managing electronic messag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11350B (zh) * 2015-12-22 2019-06-25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7660B2 (en) 2003-05-09 2015-05-19 Google Inc. Managing electronic messages
KR100720585B1 (ko) * 2005-06-24 200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화 품질향상 방법
KR100746432B1 (ko) * 2006-02-09 2007-08-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Dmb 수신 성능을 개선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824606B1 (ko) * 2006-08-14 2008-04-23 알에프컨트롤스 주식회사 디엠비신호 수신장치
KR100819881B1 (ko) * 2006-08-16 2008-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밴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US7541891B2 (en) 2006-08-16 2009-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ual ban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US8543106B2 (en) 2006-09-21 2013-09-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ignal transmission mechanism with diversity gain in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KR100860177B1 (ko) * 2007-06-11 2008-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9491B1 (ko) 200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1335B2 (en) Digital satellite receiver and method for switching among multiple receiver antennas using diversity circuitry
KR100639491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US20100158138A1 (en) Satellite broadcasting system and signal receiving method thereof
KR100681912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신호 수신 경로 설정방법 및 이를 위한 dmb 단말
KR100957326B1 (ko) 이동단말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및방법
US20090170424A1 (en) Low power mode for sdars receiver
KR20130055537A (ko)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의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통신 단말기
GB2433179A (en) Deciding a transmission path for the terminal of a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KR100649636B1 (ko) 위성 dmb 수신기
KR20050073914A (ko) 외장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26952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US20060002321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creasing dissipation of power in receiver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KR20050087491A (ko) 차량용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보조 장치
KR100664256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수신 감도 개선을 위한 장치
KR101930054B1 (ko) T-dmb 하이브리드 중계 장치
US74509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cross modulation noise in a wireless transceiver
KR200360431Y1 (ko) 통합형 무선중계기
JP2009135687A (ja) 地上デ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これを搭載する携帯端末装置
KR20050119224A (ko) 통합형 무선중계기 및 그를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
KR100788801B1 (ko) 지상파 멀티미디어방송 수신용 안테나
KR20060013930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단말기에서 저잡음 증폭기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30453B1 (ko) 차량용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부스터
KR100743091B1 (ko)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 안테나 시스템
KR20060132117A (ko) 통신/방송 신호 수신용 내장형 안테나
KR20050086135A (ko) 휴대폰의 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성능 개선을위한 휴대형 알에프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