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951B1 - 여과기 및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 - Google Patents

여과기 및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8951B1
KR100858951B1 KR1020070022054A KR20070022054A KR100858951B1 KR 100858951 B1 KR100858951 B1 KR 100858951B1 KR 1020070022054 A KR1020070022054 A KR 1020070022054A KR 20070022054 A KR20070022054 A KR 20070022054A KR 100858951 B1 KR100858951 B1 KR 100858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body
liquid
backwashing
backwashing liquid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2129A (ko
Inventor
도모노리 다카하시
사토시 사카시타
Original Assignee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2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6Tubular membrane modules
    • B01D63/066Tubular membrane modules with a porous block having membrane coated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62Honeycomb-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0Specific suppl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4Backflus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세척시에 여과기(다공질체) 전체를 균일하게 세정할 수 있는 여과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유통로(2)가 축 방향으로 병행하게 형성된 기둥 형상의 다공질체(1)를 구비하며, 다공질체(1)에, 병렬하는 1군의 유통로(2a)와 다공질체(1)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집액 슬릿(3)이 형성되는 동시에, 집액 슬릿(3)에 연통하는 1군의 유통로(2a)의 양단부가 밀봉되어 있는 여과기(100)로서, 집액 슬릿(3) 중에서 역세척액이 유입될 수 있는 집액 슬릿(역세척액 유입 슬릿)(3a)은 그 축 방향 길이의 75% 이상이 다공질체(1)의 역세척액 유출 단부로부터 다공질체(1)의 축 방향 길이의 60%의 위치보다 다공질체(1)의 역세척액 비유출 단부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 여과기(100)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여과기 및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FILTER AND METHOD FOR BACKWASHING OF THE FILTER}
도 1은 본 발명의 여과기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여과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f)은 실시예의 여과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g) 및 도 3(h)은 비교예의 여과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실시예의 여과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모노리스형 필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공질체
2, 32 : 유통로
2a : 양단이 밀봉된 유통로
3 : 집액 슬릿
3a : 역세척액 유입 슬릿
4 : 한쪽 단부
5 : 다른 쪽 단부
6, 23 : 60%의 위치
7 : 측면 부분
11 : 케이싱
12, 21 : 원액 공급구
13, 22 : 여과액 송출구
14 : 시일 링
15 : 공간
16, 24 : 유동 스토퍼
17 : 역세척액 유출 단부
18 : 역세척액 비유출 단부
19, 25 : 역세척액 공급구
20, 26 : 역세척액 송출구
31 : 모노리스형 필터
100, 200 : 여과기
본 발명은 여과기 및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역세척시에 여과기 전체를 균일하게 세정할 수 있는 여과기 및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수 프로세스 등의 고액(固液) 분리용 필터로서 사용되는 모노리스형 필터 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유통로(32)가 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기둥 형상의 다공질체(모노리스형 필터)(31)이다. 이 구조에 있어서는, 피처리 액체(원액)를 다공질체의 한쪽 단부측에서부터 유통로(32)에 공급하면, 피처리 액체가 다공질체의 세공을 투과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이 때, 다공질체의 벽에 있어서 현탁 물질이나 병원성 미생물 등의 유해 물질이 제거되고, 다공질체의 외부로 유출된 액체를 정화된 여과액으로서 회수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모노리스형 필터를 구비한 여과기의 여과 처리 능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대형화가 도모되고 있다. 그런데, 유통로에 공급한 피처리 액체를 여과하고, 여과액이 다공질체의 세공을 투과하여 외부 공간으로 유출되는 필터의 구조에 기인하여, 대형화하여도 기대한 만큼 여과 처리 능력이 향상되지는 않았다. 이 원인은 모노리스형 필터에 있어서는 다공체 중심부 근방의 유통로에서 여과된 여과액이 다공체 외부로 유출될 때에 큰 유동 저항을 받아, 유동 저항이 작은 다공체 외주부 근방 유통로만이 여과에 사용되기 때문에, 실제로 형성되어 있는 여과막의 면적만큼 실질적인 여과 면적이 커지는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다공질체에 그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집액 유통로와 슬릿형의 공극부(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집액 슬릿」이라고도 함)를 형성함으로써, 다공질체의 중심부 근방의 유통로로부터의 액투과량을 증가시킨 필터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 필터에 있어서는, 다공질체의 중심부 근방의 유통로에서 여과된 여과액이 집액 슬릿을 통해 직접 외부 공간으로 유출되기 때문에, 여과액이 다공질체 내부를 투과하는 거리가 단축되어 유동 저항이 작아진다. 따라서, 액 투과량은 대폭 증가하고, 여과 처리 능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처리 능력이 향상된 여과기라도, 계속적으로 여과를 행하면, 다공질체의 유통로를 형성하는 벽 표면에 여과 분별된 현탁 물질 등이 서서히 퇴적되기 때문에, 액투과량은 점차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정기적 내지는 부정기적으로, 다공질체에 대하여 여과 조작의 경우와는 역방향으로 청징수(淸澄水)나 세정용 약액 등(이하, 단순히 「역세척액」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가압 유통시키는 「역세척」이라고 불리는 세정 조작을 행하고 있다. 이 역세척에 의해 다공질체의 유통로를 형성하는 벽 표면에 퇴적된 현탁 물질 등을 박리시켜 제거할 수 있어, 액투과량을 당초에 가까운 레벨까지 회복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이러한 역세척을 행할 때에 다공질체 전체가 균일하게 역세척되지 않아, 역세척 후의 여과 조작에 있어서, 주로 역세척이 충분히 행해진 다공질체의 일부에 있어서만 여과 처리가 행해지게 되어, 여과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고 평성 제6-16819호 공보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역세척시에 여과기 전체를 균일하게 세정할 수 있는 여과기 및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해 이하의 여과기 및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이 제공된다.
[1] 복수의 유통로가 축 방향으로 병행하게 형성된 기둥 형상의 다공질체를 구비하며, 상기 다공질체에, 병렬하는 1군의 상기 유통로와 상기 다공질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집액 슬릿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집액 슬릿에 연통하는 상기 1군의 유통로의 양단부가 밀봉되고, 여과시에는 상기 다공질체의 한쪽 단부측으로부터 유통로에 공급된 피처리 액체가 상기 다공질체의 세공을 투과하여 외부로 유출되며, 역세척시에는 적어도 일부의 상기 집액 슬릿으로부터 유입된 역세척액이 상기 다공질체의 세공을 투과하여 상기 다공질체의 한쪽 단부로부터 유출되도록 구성된 여과기로서,
상기 집액 슬릿 중에서 역세척액이 유입될 수 있는 집액 슬릿(역세척액 유입 슬릿)은 그 축 방향 길이의 75% 이상이 상기 다공질체의 역세척액을 유출시키는 단부(역세척액 유출 단부)로부터 상기 다공질체의 축 방향 길이의 60%의 위치보다 역세척액이 유출되지 않는 단부(역세척액 비유출 단부)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 여과기.
[2] 상기 다공질체를 내장할 수 있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다공질체에 피처리 액체(원액)를 공급할 수 있는 원액 공급구와, 상기 다공질체로부터 유출된 여과액을 외부로 송출할 수 있는 여과액 송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여과액 송출구와 공통이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다공질체에 역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는 역세척액 공급구와, 상기 원액 공급구 와 공통이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다공질체로부터 유출된 역세척액을 외부로 송출할 수 있는 역세척액 송출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과 상기 다공질체의 간극에서 상기 역세척액 유입 슬릿의 위치보다 역세척액 유출구측의 위치에 유동 스토퍼가 설치되어, 역세척액 공급구로부터 유입된 역세척액이 상기 케이싱과 상기 다공질체 사이의 간극을 통해 역세척액 송출구측까지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인 [1]에 기재한 여과기.
[3] 상기 다공질체는 세라믹 다공질체인 것인 [1]에 기재한 여과기.
[4] 상기 다공질체는 세라믹 다공질체인 것인 [2]에 기재한 여과기.
[5] 여과기를 역세척하는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으로서,
상기 여과기는 복수의 유통로가 축 방향으로 병행하게 형성된 기둥 형상의 다공질체를 구비하며, 상기 다공질체에, 병렬하는 1군의 상기 유통로와 상기 다공질체의 외부를 연통하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집액 슬릿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집액 슬릿에 연통하는 상기 1군의 유통로의 양단부가 밀봉되고, 여과시에는 상기 다공질체의 한쪽 단부측으로부터 유통로에 공급된 피처리 액체가 상기 다공질체의 세공을 투과하여 외부로 유출되며, 역세척시에는 적어도 일부의 상기 집액 슬릿으로부터 유입된 역세척액이 상기 다공질체의 세공을 투과하여 상기 다공질체의 한쪽 단부로부터 유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집액 슬릿 중에서 역세척액이 유입될 수 있는 집액 슬릿(역세척액 유입 슬릿)은 그 축 방향 길이의 75% 이상이 상기 다공질체의 역세척액을 유출시키는 단부(역세척액 유출 단부)로부터 상기 다공질체의 축 방향 길이의 60%의 위치보다 역세척액이 유출되지 않는 단부(역세척액 비유출 단부) 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은,
적어도 상기 역세척액 유입 슬릿이 형성된 한쪽 단부측에서 여과기 내에 역세척액을 유입시키고, 그 역세척액을 상기 다공질체의 다른 쪽 단부로부터 유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
[6] 상기 여과기는 상기 다공질체를 내장할 수 있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다공질체에 피처리 액체(원액)를 공급할 수 있는 원액 공급구와, 상기 다공질체로부터 유출된 여과액을 외부로 송출할 수 있는 여과액 송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여과액 송출구와 공통이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다공질체에 역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는 역세척액 공급구와, 상기 원액 공급구와 공통이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다공질체로부터 유출된 역세척액을 외부로 송출할 수 있는 역세척액 송출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과 상기 다공질체의 간극에서 상기 역세척액 유입 슬릿의 위치보다 역세척액 유출구측의 위치에 유동 스토퍼가 설치되어, 역세척액 공급구로부터 유입시킨 역세척액이 상기 케이싱과 상기 다공질체 사이의 간극을 통해 역세척액 송출구측까지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인 [5]에 기재한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
[7] 상기 다공질체는 세라믹 다공질체인 것인 [5]에 기재한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
[8] 상기 다공질체는 세라믹 다공질체인 것인 [6]에 기재한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설계의 변경, 개량 등이 가해지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1) 여과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여과기(100)는 복수의 유통로(2)가 축 방향으로 병행하게 형성된 기둥 형상의 다공질체(1)를 구비하며, 다공질체(1)에, 병렬하는 1군의 유통로(2)와 다공질체(1)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집액 슬릿(3)이 형성되는 동시에, 집액 슬릿(3)에 연통하는 1군의 유통로(양단이 밀봉된 유통로)(2a)의 양단부가 밀봉된 것이다. 그리고, 여과시에는 다공질체(1)의 한쪽 단부(4)측으로부터 유통로(2)에 공급된 피처리 액체가 다공질체(1)의 세공을 투과하여 외부로 유출되고, 역세척시에는 적어도 일부의 집액 슬릿(3)으로부터 유입된 역세척액이 다공질체(1)의 세공을 투과하여 다공질체(1)의 한쪽 단부(4)[역세척액 유출 단부(17)]로부터 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여과기(100)는, 집액 슬릿(3) 중에서 역세척액이 유입될 수 있는 집액 슬릿(역세척액 유입 슬릿)(3a)이, 그 축 방향 길이의 75% 이상이 다공질체(1)의 역세척액 유출 단부(17)로부터 다공질체(1)의 축 방향 길이의 60%의 위치(6)보다 다공질체(1)의 다른 쪽 단부(5)[역세척액 비유출 단부(18)]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집액 슬릿(3)[역세척액 유입 슬릿(3a)]의 100%가 60%의 위치(6)보다 역세척액 비유출 단부(18)측에 위치하고 있다. 역세척액 유출 단부(17)는 다공질체(1)의 양단부 중, 역세척시에 역세척액이 유출되는 쪽의 단부이고, 역세척액 비유출 단부(18)는 역세척시에 역세척액이 유출되지 않는 쪽의 단부이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여과기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는 케이싱을 통해, 내장된 다공질체를 볼 수 있도록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여과기에 따르면, 다공질체에 형성된 역세척액 유입 슬릿은 그 축 방향 길이의 75% 이상이 다공질체의 한쪽 단부로부터 다공질체의 축 방향 길이의 60%의 위치보다 역세척액 비유출 단부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역세척시에 역세척액의 대부분이 역세척액 유입 슬릿으로부터 다공질체내로 유입되어, 역세척액 유입 슬릿으로부터 역세척액 비유출 단부까지 다공질체 길이 방향 전체를 균일하게 역세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집액 슬릿은 상기 범위로부터 다공질체의 역세척액 유출 단부측으로 시프트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역세척액 유입 슬릿으로부터 역세척액 비유출 단부측의 역세척액의 양이 적어져, 다공질체의 역세척액 비유출 단부측에 퇴적된 현탁 물질 등을 충분히 박리시킬 수 없게 되어, 다공질체 전체를 균일하게 세정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여과기는 역세척액 유입 슬릿이 그 축 방향 길이의 75% 이상이 다공질체의 역세척액 유출 단부로부터 다공질체의 축 방향 길이의 60%의 위치보다 다공질체의 역세척액 비유출 단부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능한 한 역세척액 비유출 단부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역세척액 유입 슬릿의 축 방향의 길이 및 면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과시·역세척시의 압력 손실이 지나치 게 크지 않으며, 또한 다공질체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역세척액 유입 슬릿의 축 방향 길이는 예컨대 슬릿의 깊이 방향(축 방향으로 수직으로 다공질체 내부로 잘라내는 방향)의 길이의 50% 정도가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과기(100)는 다공질체(1)를 내장할 수 있는 케이싱(11)을 더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싱(11)은 다공질체(1)에 피처리 액체(원액)를 공급할 수 있는 원액 공급구(12)와, 다공질체(1)로부터 유출된 여과액을 외부로 송출할 수 있는 여과액 송출구(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다공질체(1)에 역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는 역세척액 공급구(19)와, 다공질체(1)로부터 유출된 역세척액을 외부로 송출할 수 있는 역세척액 송출구(2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싱(11)은 역세척액 공급구(19)와 여과액 송출구(13)가 공통되고, 역세척액 송출구(20)와 원액 공급구(12)가 공통되고 있지만, 이러한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역세척액 공급구(19)는 여과액 송출구(13)와 공통이어도 좋고, 원액 공급구(12)와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역세척액 송출구(20)도 원액 공급구(12)와 공통이어도 좋고, 원액 공급구(12)와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1에 있어서는, 다공질체(1)의 한쪽 단부(4)와 다른 쪽 단부(5)의 각각에 시일 링(14)이 설치되고, 시일 링(14)에 의해 다공질체(1)와 케이싱 사이가 시일되어 있다. 즉, 다공질체(1)의 한쪽 단부(4)측의 단부면 및 다른 쪽 단부(5)측의 단부면이 시일 링(14)에 의해 다공질체(1)의 측면(외주) 부분(7)과 격리된 상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여과기(100)를 이와 같 이 구성함으로써, 여과 처리를 행할 때에는 피처리 액체를 원액 공급구(12)를 통해 다공질체(1)의 한쪽 단부(4)측으로부터 유통로(2)에 공급하고, 다공질체(1)의 세공으로 여과된 여과액이 다공질체(1)의 측면 부분(7) 및 집액 슬릿(3)으로부터 다공질체(1)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된 여과액은 다공질체(1)의 측면 부분(7), 케이싱(11) 및 시일 링(14)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15) 내로 들어가고, 여과액 송출구(13)로부터 여과기(100) 외부로 송출된다.
또한, 역세척을 행할 때에는 역세척액 공급구(19)로부터 여과기(100) 내로 역세척액을 유입시켜, 역세척액의 대부분을 집액 슬릿(3)[역세척액 유입 슬릿(3a)]으로부터 도입하고, 양단이 밀봉된 유통로(2a) 내로 유입시켜, 다공질체(1)의 세공을 통해 유통로(2) 내로 들어가며, 다공질체(1)의 한쪽 단부(4)[역세척액 유출 단부(17)]측으로부터 역세척액 송출구(20)를 통해 여과기(100)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여과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있어서도 도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케이싱(11)으로부터 다공질체(1)가 들여다보이도록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여과기(200)는, 케이싱(11)과 다공질체(1)의 간극[공간(15)]에 있어서 역세척액 유입 슬릿(3a)의 위치보다 역세척액 송출구(20)측의 위치에 유동 스토퍼(16)가 설치되어, 역세척액 공급구(19)로부터 유입시킨 역세척액이 케이싱(11)과 다공질체(1) 사이의 간극[공간(15)]을 통해 역세척액 송출구(20)측까지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역세척액이 원액 공급구(12)[역세척액 송출구(20)] 부근에서 다공질체(1)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보다 많은 역세척액을 역세척액 유입 슬릿(3a)으로부터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다공질체(1) 전체를 보다 균일하게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기(200)에 유동 스토퍼(16)를 설치한 경우에는, 다공질체(1)의 유동 스토퍼(16)가 설치되는 위치보다 더욱 역세척액 송출구(20)측의 위치에, 추가로 집액 슬릿(3)[역세척액 비유입 슬릿(3b)]이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역세척액은 유동 스토퍼(19)에 의해 역세척액 송출구(20)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해되기 때문에, 역세척액 송출구(20)측의 위치에 마련된 역세척액 비유입 슬릿(3b)으로부터는 역세척액은 유입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역세척액 비유입 슬릿(3b)은 역세척액 유입 슬릿(3a)에는 포함되지 않는 것이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여과기(200)에 있어서, 유동 스토퍼(16)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역세척액 비유입 슬릿(3b)으로부터도 역세척액이 유입되게 되기 때문에, 「역세척액 유입 슬릿의 축 방향 길이」라 할 때에는 도 2에 있어서의 역세척액 유입 슬릿(3a)의 축 방향 길이와 역세척액 비유입 슬릿(3b)의 축 방향 길이와의 합계를 의미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여과기는 정수장이나 공장 등의 대규모 여과 설비로서 사용하고, 대량의 원액을 처리하는 것이 요청되는 경우에는, 다수의 본 발명의 여과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각 여과기의 원액 공급구는 원액을 각 여과기에 공급하기 위한 원액 공급 헤더관에 플랜지를 통해 접속되고, 역세척액 송출구는 여과액을 통합하여 회수하기 위한 여과액 회수 헤더관에 플랜지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1) 다공질체:
본 발명의 여과기는 모노리스형 필터인 다공질체를 구비하는 것이다. 다공질체는 세라믹 다공질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질체를 구성하는 세라믹으로는 예컨대 알루미나(Al2O3), 티타니아(TiO2), 멀라이트(Al2O3·SiO2), 지르코니아(ZrO2) 등이 이용된다. 그 중에서도 입자 직경이 제어된 원료를 입수하기 쉽고, 안정된 슬러리를 형성할 수 있으면서 내식성이 높은 알루미나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세라믹은 기계적 강도나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고, 내식성이 높기 때문에 산이나 알칼리 등에 의한 약액 세정시에 열화가 적으며, 나아가서는, 여과 능력을 결정하는 평균 세공 직경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다고 하는 다양한 이점을 갖고 있다.
다공질체의 형상으로서는 축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원형, 타원형, 장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특히 원형인 원기둥(통)체가 압출 성형을 하기 쉽고, 소성(燒成) 변형이 적으며, 케이싱과의 시일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적합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축 방향이라고 말할 때에는 기둥(또는 통)의 중심축 방향을 말한다.
다공질체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공질체가 원통체이고 유통로가 복수열인 경우에는, 집액 유통로(집액 슬릿에 연통하는 유통로)와 집액 슬릿을 마련하는 것이 유효하지만, 이 경우, 역세척의 불균일성의 문제가 현저히 발생하는 것이다. 소형의 필터라도 집액 유통로와 집액 슬릿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문제가 있다.
다공질체에 형성된 유통로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막 표면에 부착된 고형물(현탁 물질) 등을 역세척에 의해 박리 제거하기 쉽다는 점에서는 원형이 바람직하지만, 다공질체의 단위 체적당 여과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사각형 또는 육각형이 바람직하다. 유통로의 단면 형상의 구멍 직경에 대해서는 단위 체적당 여과 면적의 확보, 역세척시에 있어서의 부착 고형물 등의 박리 용이성, 여과액의 다공질체 내에서의 투수 저항의 저감 등의 관점에서 피처리 액체의 성상(性狀)(고형분 등의 농도, 고형분의 크기, 점도 등)에 맞는 구멍 직경을 선택하면 좋다. 예컨대 상수의 여과에 사용하는 경우라면 1∼5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모든 셀의 공극 용적이 기재 체적의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질체의 유통로의 벽면(내주면)에는 다공질체의 세공에 비하여 더욱 세공 직경이 작은 여과막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통로에 공급된 피처리 액체는 우선 여과막에 의해 여과되고, 또 다공질체의 세공을 투과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이러한 다공질체는 평판형이나 튜브형의 여과막에 비하여 단위 체적당 여과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여과 처리 능력이 높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여과막은 다공질체와 마찬가지로 세라믹에 의해 구성되고, 평균 세공 직경이 수10 ㎛ 이하의 박막인 것이 바람직하며, 0.01∼1.0 수 ㎛의 박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여과막은 유통로의 벽면(내주면)에 세라믹 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성막하고, 소성함으 로써 다공질체에 고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여과막의 세공 직경은 세라믹 입자의 입자 직경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세라믹 입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알루미나(Al2O3), 티타니아(TiO2), 멀라이트(Al2O3·SiO2), 지르코니아(ZrO2), 실리카(SiO2), 스피넬(MgO-Al2O3)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입자 직경이 제어된 원료를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고, 안정된 슬러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내식성이 높은 재질(예컨대 알루미나 등)을 선택하여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라믹 입자는 예컨대 물 등의 분산매 속에 분산되고, 필요에 따라 유기바인더, pH 조정제, 계면활성제 등을 첨가함으로써 막 제조용 슬러리로 하여, 종래 공지의 방법, 예컨대 딥(dip) 막 제조법 등을 이용하여 다공질체 내주면(유통로 벽면)에 성막하여 건조시키고, 또한 얻어진 막 제조체를 소성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여과막으로 될 수 있다.
다공질체에는 슬릿이 마련되고, 유통로의 일부를 파단하게 되기 때문에, 여과액에 피처리 액체가 혼입되어 오염되지 않도록 슬릿과 연통하는 유통로는 양단부(다공질체 가장자리단의 개구부)가 기밀하게 밀봉된다. 유통로의 밀봉은 예컨대 다공질체와 동일 재료로 이루어진 클로깅 부재를 유통로의 양단부에 충전한 후, 다공질체의 양단면을 유리상 물질로 피복·소성하여 밀봉하는 방법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클로깅 부재와 밀봉을 위한 부재는 동일 재질(예컨대 유리상 물질 등)이어도 좋다. 또한, 다공질체의 양단면을 유리상 물질로 피복하는 것은, 다공질체의 평균 세공 직경이 크고 다공질체의 양단면에 여과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는, 다공질체의 단부면으로부터 다공질체 내부로 침입한 원액이 이미 여과막을 투과하여 다공질체 내부를 유통하고 있는 여과액에 혼입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것을 방지하여 여과액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공질체의 슬릿은 기둥형체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마련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복수의 슬릿이 평행하게 되도록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질체 내의 각 유통로에서부터 외부까지의 거리가 거의 같아지고, 모든 유통로의 투액량이 거의 같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공질체 내의 모든 유통로를 유효하게 활용하면서 균일하게 여과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2) 케이싱:
본 명세서에 있어서 「케이싱」이라고 말할 때에는 다공질체를 내장할 수 있는 용기를 의미한다. 즉, 케이싱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 공간에 다공질체를 내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공질체로서는, 기둥 형상인 것이 범용되기 때문에, 케이싱은 이들 기둥 형상체를 내장할 수 있는 통 형상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원주형의 다공질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원통형의 케이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에는 액체를 수직 방향으로 유통시키도록 다공질체(1)가 내장되어 여과기(100)가 구성된다. 예컨대, 다공질체(1)로서 원기둥형의 모노리스형 필터를 이용하는 경우라면, 그 모노리스형 필터는 유통로(2)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다공질체(1)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서 개구되도록 세로 배치식으로 내장되게 된다. 이러한 여과기(100)에 있어서는, 예컨대, 피처리 액체를 다공질체(1)의 하단측[다공질체(1)의 한쪽 단부(4)측]으로부터 공급하고, 상단측[다공질체(1)의 다른 쪽 단부(5)측]을 향해 유통시킬 때에 여과가 행해진다(소위 상향류 여과). 공급한 피처리 액체는 전부 여과되어도(소위 데드 앤드 여과; dead-end filtration) 좋고, 일부가 여과되고 나머지는 상단면으로부터 배출(소위 크로스 플로 여과; cross-flow filtration)되어도 좋다. 그리고, 피처리 액체를 여과한 후에 역세척에 의해 유통로(2)의 벽면에 퇴적된 고형물(현탁 물질 등)은 다공질체(1)의 한쪽 단부(4)측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피처리 액체를 다공질체(1)의 상단측[다공질체(1)의 한쪽 단부(5)측]으로부터 공급하고, 하단측[다공질체(1)의 다른 쪽 단부(4)측]을 향해 유통시켜 여과하여도 좋으며, 가로 배치로 하여도 좋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에 형성되는 역세척액 공급구(19)는 역세척액 유입 슬릿(3a) 근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세척액 유입 슬릿(3a) 근처에 위치함으로써, 역세척시에 역세척액 공급구(19)로부터 공급되는 역세척액의보다 많은 양을 역세척액 유입 슬릿(3a)에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케이싱은 불투수성이면서 내식성이 높은 재질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라믹제의 다공질체인 경우에는 스테인레스제 케이싱 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II)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
본 발명의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여과기를 역세척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역세척액 유입 슬릿으로부터 역세척액을 유입시키고, 그 역세 척액을 다공질체의 한쪽 단부로부터 유출시켜 여과기를 역세척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여과기를 역세척하는 것이기 때문에, 역세척시에 역세척액의 대부분이 역세척액 유입 슬릿으로부터 다공질체 내로 유입되어 다공질체 전체를 균일하게 역세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역세척액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여과수, 여과액, 여과수에 산이나 알칼리, 산화제 등을 첨가한 약액, 별도로 조정한 산, 알칼리, 산화제 등의 약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역세척액을 흐르게 하는 유속, 시간 및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막의 오염 상태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의 도 3(a) 내지 도 3(h)에 도시된 여과기(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를 제작하였다. 다공질체는 알루미나를 주원료로 하고, 압출 성형에 의해 제작한 세라믹 다공질체이다. 다공질체의 유통로에는 여과막을 형성하였다. 여과막은 유통로의 벽면(내주면)에 세라믹 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성막하고, 소성함으로써 다공질체에 고착시켜 형성하였다. 여과기의 길이는 1500 ㎜이다. 또한, 케이싱은 스테인레스제의 케이싱으로서, 역세척액 송출구(26)와 공통인 원액 공급구(21)와, 역세척액 공급구(25)와 공통인 여과액 송출구(22)를 갖는 것이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h)에 있어서, 각 케이싱은 스테 인레스제이지만, 편의상, 안의 다공질체가 들여다보이도록 투명하게 도시하고 있다. 또한, 표 1에 각 여과기의 슬릿 위치 및 여과액 송출구(22)의 위치를 각각 나타내었다. 표 1에 있어서, 예컨대, 「슬릿 위치」가 「1350-1450」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경우는 슬릿의 축 방향(수직 방향) 하단부의 위치가 다공질체의 수직 방향 하단부로부터 1350 ㎜의 높이에 위치하고, 슬릿의 수직 방향 상단부의 위치가 다공질체의 수직 방향 하단부로부터 1450 ㎜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나태낸다. 2개의 범위가 기재되어 있는 것은 다공질체의 2지점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있어서, 예컨대, 「여과액 송출구의 위치」가 「1400-1500」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경우는, 여과액 송출구의 축 방향(수직 방향) 하단부의 위치가 다공질체의 수직 방향 하단부로부터 1400 ㎜의 높이에 위치하고, 여과액 송출구의 수직 방향 상단부의 위치가 다공질체의 수직 방향 하단부로부터 1500 ㎜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여과액 송출구(22)는 그 단면을 원형으로 형성하였다.
(여과기: 공통 구성)
1. 모듈(여과기) 기본 설계: 세로 배치, 1엘리먼트(다공질체) 모듈, 케이싱 내경 210 ㎜Φ
2. 다공질체 기본 사양: 평균 세공 직경 0.1 ㎛, 사이즈 180 ㎜Φ×1500 ㎜(축 방향 길이), 여과막 면적 24 ㎡, 5개의 여과 채널마다 1개의 집액 셀을 형성
평균 세공 직경은 ASTM F316-85에 의해 측정하였다.
(여과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의 각각의 구성)
실시예 1[도 3(a)]: 다공질체의 역세척액 송출구(26)측 단부로부터 다공질체의 축 방향 길이의 60%의 위치(23)(이하, 단순히 「60% 위치」라고 함)보다 다공질체의 역세척액 송출구(26)가 아닌 쪽의 단부측으로서 역세척액 유입구(25) 부근에 슬릿 전체를 형성하였다. 원액 공급구(21) 및 역세척액 송출구(26)는 공통이면서 수직 방향 하측으로 하였다. 여과액 송출구(22) 및 역세척액 유입구(25)는 공통이다.
실시예 2[도 3(b)]: 다공질체의 60% 위치(23)보다 다공질체의 역세척액 송출구(26)가 아닌 쪽의 단부측에 슬릿의 축 방향 길이의 75%가 위치하도록 슬릿을 형성하였다. 원액 공급구(21) 및 역세척액 송출구(26)는 공통이면서 수직 방향 하측으로 하였다. 여과액 송출구(22) 및 역세척액 유입구(25)는 공통이면서 다공질체의 역세척액 송출구(26)가 아닌 쪽의 단부 부근에 형성하였다.
실시예 3[도 3(c)]: 슬릿을 다공질체의 역세척액 송출구(26)가 아닌 쪽의 단부 부근과, 역세척액 송출구(26)측 단부 부근의 2지점에 형성하였다. 역세척액 송출구(26)가 아닌 쪽의 단부 부근 슬릿의 축 방향 길이를 슬릿의 각각의 길이 합계의 75%로 하였다. 그리고, 75% 길이의 슬릿을 다공질체의 60% 위치(23)보다 역세척액 송출구(26)가 아닌 쪽의 단부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역세척액 송출구(26)의 단부 부근의 슬릿을 다공질체의 60% 위치(23)보다 역세척액 송출구(26)측의 단부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였다. 원액 공급구(21) 및 역세척액 송출구(26)는 공통이면서 수직 방향 하측으로 하였다. 여과액 송출구(22) 및 역세척액 유입구(25)는 공통이면서 다공질체의 역세척액 송출구(26)가 아닌 쪽의 단부 부근 에 형성하였다.
실시예 4[도 3(d)]: 다공질체의 60% 위치(23)보다 다공질체의 역세척액 송출구(26)가 아닌 쪽의 단부측에 슬릿 전체를 형성하였다. 원액 공급구(21) 및 역세척액 송출구(26)는 공통이면서 수직 방향 하측으로 하였다. 여과액 송출구(22) 및 역세척액 유입구(25)는 공통이면서 다공질체의 중앙 부근에 형성하였다.
실시예 5[도 3(e)]: 다공질체의 60% 위치(23)보다 다공질체의 역세척액 송출구(26)가 아닌 쪽의 단부측에 슬릿 전체를 형성하였다. 원액 공급구(21)는 수직 방향 하측, 역세척액 송출구(26)는 수직 방향 상측으로 하였다. 여과액 송출구(22) 및 역세척액 유입구(25)는 공통이면서 다공질체의 중앙 부근에 형성하였다.
실시예 6[도 3(f)]: 다공질체의 60% 위치(23)보다 다공질체의 역세척액 송출구(26)가 아닌 쪽의 단부측에 슬릿 전체를 형성하였다. 원액 공급구(21) 및 역세척액 송출구(26)는 공통이면서 수직 방향 상측으로 하였다. 여과액 송출구(22) 및 역세척액 유입구(25)는 공통이면서 다공질체의 수직 방향 하측에 형성하였다.
비교예 1[도 3(g)]: 슬릿을 다공질체의 역세척액 송출구(26)가 아닌 쪽의 단부 부근과, 역세척액 송출구(26)측 단부 부근의 2지점에 형성하였다. 양쪽 슬릿의 길이는 동일하다. 역세척액 송출구(26)가 아닌 쪽의 단부 부근의 슬릿은 다공질체의 60% 위치(23)보다 역세척액 송출구(26)가 아닌 쪽의 단부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역세척액 송출구(26)의 단부 부근의 슬릿을 다공질체의 60% 위치(23)보다 역세척액 송출구(26)측 단부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였다. 원액 공급구(21) 및 역세척액 송출구(26)는 공통이면서 수직 방향 하측으로 하였다. 여과액 송출구(22) 및 역세척액 유입구(25)는 공통이면서 다공질체의 역세척액 송출구(26)가 아닌 쪽의 단부 부근에 형성하였다.
비교예 2[도 3(h)]: 다공질체의 60% 위치(23)보다 다공질체의 역세척액 송출구(26)가 아닌 쪽의 단부측에 슬릿의 축 방향 길이의 50%가 위치하도록 슬릿을 형성하였다. 원액 공급구(21) 및 역세척액 송출구(26)는 공통이면서 수직 방향 하측으로 하였다. 여과액 송출구(22) 및 역세척액 유입구(25)는 공통이면서 다공질체의 역세척액 송출구(26)가 아닌 쪽의 단부 부근에 형성하였다.
슬릿 위치(㎜) 여과액 송출구의 위치(㎜)
실시예 1 1350-1450 1400-1500
실시예 2 850-1050 1400-1500
실시예 3 50-100, 1350-1450 1400-1500
실시예 4 1350-1450 700-800
실시예 5 50-150 700-800
실시예 6 50-150 0-100
비교예 1 50-150, 1350-1450 1400-1500
비교예 2 800-1000 1400-1500
(여과, 역세척 조작)
여과 조작에 사용한 원액(피처리 액체)은 하천수로 하고, PAC(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에 의해 응집 처리한 것을 사용하였다. 여과 조작은 운전 플럭스 5 m/1일의 처리 속도로 1개월간 행하여 차압 상승을 측정하였다. 역세척 조작은 4시간에 1번, 역세척 압력 0.5 MPa로 2 ℓ/㎡의 여과수를 이용하여 행하였다. 차압의 측정은 막의 여과수 공급측 압력과 여과수 출구측 압력 차에 의해 구하였다. 얻어진 30일 후의 보정 막 차압의 상승을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 있어서, 보정 막 차압(kPa)이란 상기 차압을 물의 점성에 관하여 측정 온도를 25℃의 경우의 차압으로 환산한 것을 말한다. 역세척이 유효하면 30일 후의 보정 막 차압의 상승은 작다.
(실시예 7)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 7의 여과기는 여과액 송출구(22)의 하단부 부근에 유동 스토퍼(24)를 설치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여과, 역세척 조작을 행하여 차압 상승을 측정하였다. 스토퍼(24)의 재질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하였다. 차압 상승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 8의 여과기는 여과액 송출구(22)의 하단부 부근에 유동 스토퍼(24)를 설치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고, 비교예 1과 동일한 여과, 역세척 조작을 행하여 차압 상승을 측정하였다. 스토퍼(24)의 재질은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였다. 차압 상승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의 여과기에 있어서는, 유동 스토퍼(24)에 의해 역세척액이 수직 방향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다공질체의 한쪽 단부(수직 방향 상측 단부)측의 슬릿만이 「역세척액 유입 슬릿」이 되고, 다공질체의 다른 쪽 단부(수직 방향 하측 쪽단부)측의 슬릿은 역세척액이 유입되지 않는 슬릿이 된다.
보정 막 차압의 상승(kPa)
실시예 1 2
실시예 2 5
실시예 3 10
실시예 4 3
실시예 5 4
실시예 6 3
실시예 7 1
실시예 8 1
비교예 1 50
비교예 2 27
표 2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의 여과기는 보정 막 차압 상승이 1개월 동안에 10 kPa 이하로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비교예 1, 비교예 2의 여과기는 보정 막 차압의 값이 크게 상승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의 여과기의 보정 막 차압은 1개월에 50 kPa에 도달하고 있는 것에 반하여, 비교예 2의 여과기의 보정 막 차압은 1개월에는 50 kPa에 도달하지 않는 것은 비교예 1의 여과기가 다공질체의 역세척액 송출구(26)측의 단부(수직 방향 하측 단부)측에 큰 역세척액 유입 슬릿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역세척액이 역세척액 송출구(26)측으로 많이 흘러 역세척이 다공질체 전체에 균일하게 행해지지 않은 것에 따른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여과기는 정수 프로세스 등의 고액 분리용 필터로서 적합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역세척시에 균일하게 다공질체를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은 그 여과기를 균일하게 역세척하고, 여과 운전에 따른 차압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여과기에 따르면, 다공질체에 형성된 역세척액 유입 슬릿은 그 축 방향 길이의 75% 이상이 다공질체의 역세척액을 유출하는 단부로부터 다공질체의 축 방향 길이의 60%의 위치보다 역세척액이 유출되지 않는 단부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역세척시에 역세척액의 대부분이 역세척액 유입 슬릿으로부터 다공질체 내에 유입되어 다공질체 전체를 균일하게 역세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8)

  1. 복수의 유통로가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기둥 형상의 다공질체를 구비하며, 상기 다공질체에, 상기 유통로 중에서 평행하게 형성된 1군의 유통로와 상기 다공질체의 외부를 연통하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집액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집액 슬릿에 연통하는 상기 1군의 유통로의 양단부가 밀봉되고, 여과시에는 상기 다공질체의 한쪽 단부측으로부터 유통로에 공급된 피처리 액체가 상기 다공질체의 세공을 투과하여 외부로 유출되며, 역세척시에는 적어도 일부의 상기 집액 슬릿으로부터 유입된 역세척액이 상기 다공질체의 세공을 투과하여 상기 다공질체의 한쪽 단부로부터 유출되도록 구성된 여과기로서,
    상기 집액 슬릿 중에서 역세척액이 유입될 수 있는 집액 슬릿(역세척액 유입 슬릿)은 그 축 방향 길이의 75% 이상이 상기 다공질체의 역세척액을 유출시키는 단부(역세척액 유출 단부)로부터 상기 다공질체의 축 방향 길이의 60%의 위치보다 역세척액이 유출되지 않는 단부(역세척액 비유출 단부)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것인 여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체를 내장할 수 있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다공질체에 피처리 액체(원액)를 공급할 수 있는 원액 공급구와, 상기 다공질체로부터 유출된 여과액을 외부로 송출할 수 있는 여과액 송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여과액 송출구와 공통이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다공질체에 역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는 역세척액 공급구와, 상기 원액 공급구와 공통이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다공질체로부터 유출된 역세척액을 외부로 송출할 수 있는 역세척액 송출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과 상기 다공질체의 간극에서 상기 역세척액 유입 슬릿의 위치보다 역세척액 유출구측의 위치에 유동 스토퍼가 설치되어, 역세척액 공급구로부터 유입시킨 역세척액이 상기 케이싱과 상기 다공질체 사이의 간극을 통해 역세척액 송출구측까지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인 여과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체는 세라믹 다공질체인 것인 여과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체는 세라믹 다공질체인 것인 여과기.
  5. 복수의 유통로가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기둥 형상의 다공질체를 구비하며, 상기 다공질체에, 상기 유통로 중에서 평행하게 형성된 1군의 유통로와 상기 다공질체의 외부를 연통하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집액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집액 슬릿에 연통하는 상기 1군의 유통로의 양단부가 밀봉되고, 여과시에는 상기 다공질체의 한쪽 단부측으로부터 유통로에 공급된 피처리 액체가 상기 다공질체의 세공을 투과하여 외부로 유출되며, 역세척시에는 적어도 일부의 상기 집액 슬릿으로부터 유입된 역세척액이 상기 다공질체의 세공을 투과하여 상기 다공질체의 한쪽 단부로부터 유출되도록 구성된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으로서,
    상기 집액 슬릿 중에서 역세척액이 유입될 수 있는 집액 슬릿(역세척액 유입 슬릿)을 그 축 방향 길이의 75% 이상이 상기 다공질체의 역세척액을 유출시키는 단부(역세척액 유출 단부)로부터 상기 다공질체의 축 방향 길이의 60%의 위치보다 역세척액이 유출되지 않는 단부(역세척액 비유출 단부)측에 위치하도록 마련하고,
    적어도 상기 역세척액 유입 슬릿이 형성된 한쪽 단부측에서 여과기 내에 역세척액을 유입시키고, 그 역세척액을 상기 다공질체의 다른 쪽 단부로부터 유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는 상기 다공질체를 내장할 수 있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다공질체에 피처리 액체(원액)를 공급할 수 있는 원액 공급구와, 상기 다공질체로부터 유출된 여과액을 외부로 송출할 수 있는 여과액 송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여과액 송출구와 공통이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다공질체에 역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는 역세척액 공급구와, 상기 원액 공급구와 공통이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다공질체로부터 유출된 역세척액을 외부로 송출할 수 있는 역세척액 송출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과 상기 다공질체의 간극에서 상기 역세척액 유입 슬릿의 위치보다 역세척액 유출구측의 위치에 유동 스토퍼가 설치되어, 역세척액 공급구로부터 유입시킨 역세척액이 상기 케이싱과 상기 다공질체 사이의 간극을 통해 역세척액 송출구측까지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인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체는 세라믹 다공질체인 것인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체는 세라믹 다공질체인 것인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
KR1020070022054A 2006-03-07 2007-03-06 여과기 및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 KR100858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61477A JP2007237053A (ja) 2006-03-07 2006-03-07 濾過器及び濾過器の逆洗方法
JPJP-P-2006-00061477 2006-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129A KR20070092129A (ko) 2007-09-12
KR100858951B1 true KR100858951B1 (ko) 2008-09-18

Family

ID=3822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054A KR100858951B1 (ko) 2006-03-07 2007-03-06 여과기 및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210016A1 (ko)
EP (1) EP1832327A3 (ko)
JP (1) JP2007237053A (ko)
KR (1) KR1008589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585B1 (ko) * 2013-02-06 2014-01-14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수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01879B (zh) * 2011-04-25 2016-12-07 日本碍子株式会社 陶瓷过滤器的清洗方法
JP7310810B2 (ja) * 2018-06-12 2023-07-19 株式会社プロテリアル 水処理用セラミックフィルタユニット
JP7174577B2 (ja) * 2018-09-18 2022-11-17 メタウォーター株式会社 重力式濾過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909U (ja) * 1993-02-23 1995-06-27 康夫 藤野 水槽用ろ過器
KR20040081035A (ko) * 2003-03-10 2004-09-20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여과 방법
JP2004275907A (ja) 2003-03-17 2004-10-07 Ngk Insulators Ltd セラミックフィルタ
JP2005270811A (ja) 2004-03-25 2005-10-06 Ngk Insulators Ltd 濾過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9157A (en) * 1975-11-20 1978-01-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Ultrafiltration device
US4416676A (en) * 1982-02-22 1983-11-22 Corning Glass Works Honeycomb filter and method of making it
US4420316A (en) * 1982-02-22 1983-12-13 Corning Glass Works Filter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it
US4781831A (en) * 1986-12-19 1988-11-01 Goldsmith Robert L Cross-flow filtration device with filtrate flow conduits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5009781A (en) * 1987-04-02 1991-04-23 Ceramem Corporation Cross-flow filtration device with filtrate network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5108601A (en) * 1987-04-02 1992-04-28 Ceramem Corporation Cross-flow filtration device with filtrate chambers and internal filtrate collection volume
US5149475A (en) * 1988-07-28 1992-09-22 Ngk Insulators, Ltd. Method of producing a honeycomb structure
DE4134223C1 (ko) * 1991-10-16 1992-11-12 Stora Feldmuehle Ag, 4000 Duesseldorf, De
DE4324347A1 (de) * 1992-07-23 1994-01-27 Noritake Co Ltd Monolithischer Keramikfilter
US5961918A (en) * 1996-05-20 1999-10-05 Corning Incorporated Triangular cell metal filters
US5964991A (en) * 1996-09-26 1999-10-12 Ngk Insulators, Ltd. Sintered laminated structures, electrochemical cells and process for producing such sintered laminated structures
US6077436A (en) * 1997-01-06 2000-06-20 Corning Incorporated Device for altering a feed stock and method for using same
US6126833A (en) * 1999-02-22 2000-10-03 Ceramem Corporation Cross-flow filtration device with filtrate conduit network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298116B2 (ja) * 2000-02-23 2009-07-15 日本碍子株式会社 スリット付き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DE10024038A1 (de) * 2000-05-13 2001-11-22 Dmc2 Degussa Metals Catalysts Wabenkörper aus einem keramischen Material mit verbesserter radialer Druckfestigkeit
US6695967B2 (en) * 2002-03-13 2004-02-24 Ceramem Corporation Reaction bonded alumina filter and membrane support
JP4373067B2 (ja) * 2002-10-10 2009-11-25 日本碍子株式会社 ハニカム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当該ハニカム構造体を用いた排ガス浄化システム
JP2006006998A (ja) * 2004-06-22 2006-01-12 Ngk Insulators Ltd セラミックフィル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909U (ja) * 1993-02-23 1995-06-27 康夫 藤野 水槽用ろ過器
KR20040081035A (ko) * 2003-03-10 2004-09-20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여과 방법
JP2004275907A (ja) 2003-03-17 2004-10-07 Ngk Insulators Ltd セラミックフィルタ
EP1604718A1 (en) * 2003-03-17 2005-12-14 Ngk Insulators, Ltd. Ceramic filter
JP2005270811A (ja) 2004-03-25 2005-10-06 Ngk Insulators Ltd 濾過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585B1 (ko) * 2013-02-06 2014-01-14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수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2327A3 (en) 2008-02-27
JP2007237053A (ja) 2007-09-20
EP1832327A2 (en) 2007-09-12
KR20070092129A (ko) 2007-09-12
US20070210016A1 (en) 200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461B1 (ko) 여과 장치
KR101117647B1 (ko) 실리콘카바이드 재질의 분리막을 이용한 정수, 해수, 하수처리수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US7449110B2 (en) Filter and filter module
KR100858951B1 (ko) 여과기 및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
EP1453593B1 (en) Filter element and filter apparatus for cross-flow filtration processes
EP1457243B1 (en) Filtering method
JP2000354746A (ja) セラミック多孔体を用いた濾過器
JP2005511282A5 (ko)
JP2000153117A (ja) セラミックフィルタ
KR100671867B1 (ko) 세라믹 필터
JP2006006998A (ja) セラミックフィルタ
JP4264017B2 (ja) 濾過器
KR100671380B1 (ko) 세라믹 필터
WO2007004263A1 (ja) 濾過器
JP2005270810A (ja) 濾過装置
WO2007004261A1 (ja) 濾過器
CN110234419B (zh) 中空纤维膜组件
JP2005270811A (ja) 濾過器
JP4519376B2 (ja) 多孔質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JP2005270832A (ja) 濾過器、濾過器用ケーシング及び濾過器の組み立て方法
JP4271066B2 (ja) 濾過装置及び濾過装置用ヘッダ
JPH07185206A (ja) 油水分離方法および油水分離装置
WO2007004264A1 (ja) 濾過装置及び濾過装置用ヘッダ
JPH0751548A (ja) セラミック膜の逆洗方法
WO2007004265A1 (ja) 濾過器、濾過器用ケーシング及び濾過器の組み立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