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585B1 -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585B1
KR101350585B1 KR1020130013266A KR20130013266A KR101350585B1 KR 101350585 B1 KR101350585 B1 KR 101350585B1 KR 1020130013266 A KR1020130013266 A KR 1020130013266A KR 20130013266 A KR20130013266 A KR 20130013266A KR 101350585 B1 KR101350585 B1 KR 101350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orous
driving
water treatment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기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Priority to KR1020130013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translationally moving filtering elements, e.g.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9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Abstract

수처리 장치는 유체가 유출입되면서 여과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 상기 여과 공간의 일 측에 고정되며 다수의 제1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1 다공체, 상기 여과 공간의 타 측에 상기 제1 다공체와 마주보도록 고정되며 다수의 제2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1 다공체, 상기 여과 공간 내부에 상기 제1 및 제2 다공체들 사이에 개재되며 구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제3 관통홀들이 형성된 구동체 및 상기 제1 다공체 및 상기 구동체 사이 또는 상기 제2 다공체 및 상기 구동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체의 운동에 따라 상기 유체를 여과하거나 상기 유체를 이용하여 역세척될 수 있도록 구비된 여과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처리 장치{APPARATUS FOR TREATING WATER}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유체 내에 잔류하는 오염물질을 여과 공정을 통하여 제거하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 및 폐수 등의 처리과정에 있어서는 여과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여과 장치로는 종래 샌드 필터, 카트리지 필터, 앤스러사이트 (Anthracite)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샌드 필터, 카트리지 필터, 앤스러사이트 등의 여과장치는 여과된 여과수의 수질, 역세척 효율 및 여재의 재이용 등에서 하나 이상의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케이크 현상으로 인하여 여과제의 교체 주기가 짧고, 시설비가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섬유사를 여과재로 사용한 심층여과방식의 여과장치가 제안되어 상기 종래의 여러 여과장치에 비하여 여과된 여과수의 수질도 향상되고, 좁은 공간에서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고 시설비를 낮추었다.
그러나, 상기 여과재층에 오염원이 누적되어 여과재층의 여과 효율이 악화됨으로써 폐수가 정화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여과 공정에서 흐르는 폐수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역세척수를 여과재층으로 역방향으로 흐르는 역세척수를 이용하여 역세척하는 공정이 요구된다. 이 경우 기존의 여과 공정을 중단시키고 별도의 펌프를 이용하여 역세척수를 역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상기 역세척함으로써 장치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여과되는 유체의 흐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흐르는 역세척수를 이용하여 여과재를 역세척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여과 효율의 개선 및 장치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유체가 유출입되면서 여과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 상기 여과 공간의 일측에 고정되며 다수의 제1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1 다공체, 상기 여과 공간의 타측에 상기 제1 다공체와 마주보도록 고정되며 다수의 제2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2 다공체, 상기 여과 공간 내부에 상기 제1 및 제2 다공체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및 제2 다공체들 중 하나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제1 및 제2 다공체 중 하나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동되며 제3 관통홀들이 형성된 구동체 및 상기 제1 다공체 및 상기 구동체 사이 또는 상기 제2 다공체 및 상기 구동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구동체의 운동에 따라 상기 유체를 여과하거나 상기 유체를 이용하여 역세척될 수 있도록 구비된 여과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여과재는 활성탄, 모래 및 섬유사 중 적어도 하나가 내부에 존재하는 망사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재는 상호 연결된 복수의 망사 구조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다공체들 및 상기 구동체 중 적어도 하나에 그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재는 상기 제1 및 제2 다공체들 및 상기 구동체에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여과재는 상기 제1 다공체 및 상기 구동체에 양 단부들이 연결된 제1 여과 부재 및 상기 제2 다공체 및 상기 구동체에 양 단부들이 연결된 제2 여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다공체들 및 상기 구동체의 표면은 엠보싱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 연통되며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라인, 상기 몸체의 하부에 연통되며 상기 여과된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배출 라인 및 상기 유체 배출 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유체 공급 라인으로 연통되며, 역세척수를 상기 몸체로부터 배출하는 역세척수 배출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역세척수 배출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역세척수의 흐름을 온/오프 시키는 역세척수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상기 구동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유체가 유출입되면서 여과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 상기 여과 공간의 일 측에 고정되며 다수의 제1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1 다공체, 상기 여과 공간의 타 측에 상기 제1 다공체와 마주보도록 고정되며 다수의 제2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2 다공체, 상기 여과 공간 내부에 상기 제1 및 제2 다공체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및 제2 다공체들 중 하나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제1 및 제2 다공체 중 하나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동되며 제3 관통홀들이 형성된 구동체, 상기 제1 다공체 및 상기 구동체의 상부 표면에 양 단부들이 연결된 제1 여과 부재 및 상기 제2 다공체 및 상기 구동체의 하부 표면에 양 단부들이 연결된 제2 여과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 연통되며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라인, 상기 몸체의 하부에 연통되며 상기 여과된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배출 라인 및 상기 유체 배출 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유체 공급 라인으로 연통되며, 역세척수를 상기 몸체로부터 배출하는 역세척수 배출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세척수 배출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역세척수의 흐름을 온/오프 시키는 역세척수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상기 역세척시 상기 몸체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상기 여과 공간 내부에 수처리용 첨가제를 공급하는 첨가제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1회의 상승 또는 하강으로 순방향으로 흐르는 유체에 대한 여과 공정 및 여과재에 대한 역세척 공정이 모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역방향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펌프가 생략될 수 있다. 나아가 구동체의 상부 표면에 양 단부들이 연결된 제1 여과 부재 및 상기 제2 다공체 및 상기 구동체의 하부 표면에 양 단부들이 연결된 제2 여과 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1회의 구동체의 하강 운동 중에 2회의 여과 공정들 및 1회의 역세척 공정이 각각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처리 여과 장치가 오폐수 처리 설비에 적용될 경우, 상기 수처리 여과 장치가 기존의 침전조, 폭기조, 집수조, 방류조를 대체할 수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설치 및 오폐수 처리에 필요에 비용 및 공간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다공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다공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수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또는 층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 또는 층들이 이들 사이에 게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하기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인 사전들에서 한정되는 것들과 같은 상기 용어들은 관련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외형적인 직감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의 개략적인 도해들인 단면 도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해들의 형상들로부터의 변화들, 예를 들면, 제조 방법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변화들은 예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해로서 설명된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에 한정된 바대로 설명되는 것은 아니라 형상들에서의 편차들을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들에 설명된 영역들은 전적으로 개략적인 것이며 이들의 형상들은 영역의 정확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다공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다공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100)는 몸체(110), 제1 다공체(120), 제2 다공체(130), 구동체(140) 및 여과재(151)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유체가 그 내부로 유출입되면서 여과될 수 있는 여과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몸체(110)는 예를 들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공은 상기 여과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 다공체(120)는 상기 몸체(11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다공체(120)는 상기 여과 공간의 일측, 예를 들면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1 다공체(12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다공체(120)에는 다수의 제1 관통홀들(125)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10) 상부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1 관통홀(125)을 통하여 하방으로 흐를 수 있다. 상기 제1 다공체(120)는 디스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다공체(130)는 상기 몸체(11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2 다공체(130)는 상기 여과 공간의 타 측, 예를 들면 하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2 다공체(130)는 상기 제1 다공체(12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 다공체(130)에는 다수의 제2 관통홀들(135)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10) 상부로부터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2 관통홀(135)을 통하여 하방으로 흐를 수 있다. 상기 제2 다공체(130)은 디스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체(140)은 상기 몸체(11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체(140)은 상기 제1 다공체(120) 및 상기 제2 다공체(13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구동체(140)은 상기 제1 다공체(120) 및 제2 다공체(130) 중 하나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제1 다공체(120) 및 제2 다공체(130) 중 하나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체(140)은 상하로 구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체(140)에는 제3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유체가 하방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체(140)는 디스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체(140)에는 상기 여과제(151)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여과재(151)는 상기 제1 다공체(120) 및 상기 구동체(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여과재(151)는 상기 제2 다공체(130) 및 상기 구동체(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재(151)는 상기 제1 및 제2 다공체들(130, 140) 및 상기 구동체(140) 중 적어도 하나에 일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재(151)는 상기 제1 다공체(120) 및 상기 구동체(140) 각각에 그 단부들이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여과재(151)는 상기 제2 다공체(130) 및 상기 구동체(140) 각각에 그 단부들이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여과재(130)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다공체(120) 및 제2 다공체(130) 중 하나에 연결되며, 타 단부는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여과재(151)의 예로는 활성탄, 모래 및 섬유사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재(151)는 활성탄, 모래 및 섬유사 중 적어도 하나가 그 내부에 고정된 망사 구조체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여과재는 망사 및 상기 망사 내부에 모래 및 섬유사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여과재(151)는 상호 연결된 복수의 망사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망사 구조체는 상기 제1 및 제2 다공체들(120, 130) 및 상기 구동체(140) 중 적어도 하나에 그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여과재(151)는 상기 제1 다공체(120) 및 상기 구동체(140) 각각에 그 단부들이 연결된 경우, 상기 구동체(140)가 상승하여 상기 여과재(151) 내부의 공극들이 조밀해진다. 이때 상기 몸체(110) 내부의 여과 공간에 유입된 유체가 상기 여과재(151)를 통과하면서 상기 유체 내부의 불순물이 상기 여과재(151)에 부착하여 상기 유체로부터 상기 불순물을 제거하는 여과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여과 공정이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여과재(151)에 불순물이 부착되어 여과 효율이 악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체(140)가 하강하여 상기 구동체(140) 및 상기 제1 다공체(120) 사이의 이격 거리가 길어지면서 상기 여과재(151) 내부의 공극이 소해진다. 이때 상기 몸체(110)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여과재(151)를 통과하면서 상기 여과재(151)에 부착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역세척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체(140)가 승강하면서 상기 구동체(140)에 고정된 여과재(151)를 이용하여 상기 여과 공정 및 역세척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유체가 흐르는 방향으로 여과 공정 및 역세척 공정이 각각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부에서 상부, 즉 역방향으로 세수가 공급되어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세수를 역방향으로 상기 몸체(110) 내부에 공급하여야 할 펌프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다공체들(120, 130) 및 상기 구동체(140)의 표면은 엠보싱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체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여과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유체 공급 라인(160), 유체 배출 라인(170) 및 역세척수 배출 라인(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공급 라인(160)은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연통된다. 상기 유체 공급 라인(160)은 유체 저장조(10)로부터 상기 유체를 상기 몸체(110)에 공급한다. 상기 유체 공급 라인(160)에는 제1 밸브(165)가 장착되어 상기 제1 밸브(165)가 구동함에 따라 상기 몸체(110) 내로 상기 유체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유체 배출 라인(170)은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연통된다. 상기 유체 배출 라인(170)은 상기 여과된 유체를 배출한다. 상기 유체 배출 라인(170)에는 제2 밸브(175)가 장착된다. 상기 제2 밸브(175)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몸체(110)로부터 여과된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역세척수 배출 라인(180)은 상기 유체 배출 라인(170)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유체 공급 라인(160)으로 연통된다. 상기 역세척수 배출 라인(180)은 상기 여과재(151)를 세척한 역세척수를 상기 몸체(110)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역세척수 배출 라인(180)에는 상기 역세척수의 흐름을 온/오프 시키는 역세척수 밸브(18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165) 및 제2 밸브(175)가 개방되고, 상기 역세척수 밸브(185)가 폐쇄될 경우, 상기 구동체(140)는 상승하여 상기 제1 다공체(120)에 접근함으로써 상기 몸체(110) 내부에 공급된 유체에 대한 여과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1 밸브(165) 및 상기 역세척수 밸브(185)가 개방되고, 상기 제2 밸브(175)가 폐쇄될 경우 상기 구동체(140)는 하강하여 상기 제1 다공체(120)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유체가 상기 하방으로 흐르면서 상기 여과재(151)에 대하여 역세척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구동부(145)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145)는 상기 구동체(140)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구동체(1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145)는 예를 들면,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리니어 모터, 볼 스크류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수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100)는 몸체(110), 제1 다공체(120), 제2 다공체(130), 구동체(140), 제1 여과 부재(151) 및 제2 여과 부재(156)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 제1 다공체(120), 제2 다공체(130) 및 구동체(140)은 도 1 내지 도3으로 전술한 수처리 장치의 몸체, 제1 다공체, 제2 다공체 및 구동체는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여과 부재(151)는 상기 제1 다공체(120) 및 상기 구동체(140)의 상부 표면에 양 단부들이 연결된다. 상기 제2 여과 부재(156)는 상기 제2 다공체 (130) 및 상기 구동체(140)의 하부 표면에 양 단부들이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여과 부재들(151, 156)의 예로는 활성탄, 모래 및 섬유사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여과 부재(151)는 상기 제1 다공체(120) 및 상기 구동체(140) 각각에 그 단부들이 연결되며, 상기 제2 여과 부재(156)는 상기 제2 다공체(130) 및 상기 구동체(140) 각각에 그 단부들이 연결된다. 상기 구동체(140)가 상승하여 상기 제1 여과 부재(151) 내부의 공극이 조밀해진다. 이때 상기 몸체(110) 내부의 여과 공간에 유입된 유체가 상기 제1 여과 부재(151)를 통과하면서 상기 유체 내부의 불순물이 상기 제1 여과 부재(151)에 부착하여 상기 유체로부터 상기 불순물을 제거하는 여과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여과 공정이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1 여과 부재(151)에 불순물이 부착되어 여과 효율이 악화될 수 있다.
이후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체(140)이 하강하여 상기 구동체(140) 및 상기 제1 다공체(120) 사이의 이격 거리가 길어지면서 상기 제1 여과 부재(151) 내부의 공극이 소해진다. 이때 상기 몸체(110)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제1 여과 부재(151)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 여과 부재(151)에 부착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역세척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체(140)가 추가적으로 하강하여 상기 구동체(140) 및 제2 다공체(130)가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제2 여과 부재(156) 내부의 공극이 조밀해진다. 이때 상기 몸체(110) 내부의 여과 공간에 유입된 유체가 상기 제2 여과 부재(156)를 통과하면서 상기 유체 내부의 불순물이 상기 제2 여과 부재(156)에 부착하여 상기 유체로부터 상기 불순물을 제거하는 여과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구동체(140)가 최고점에서 최저점으로 이동시키는 한 번의 이동 과정 중에 상기 제1 여과 부재(151)의 여과 공정, 역세척 공정, 제2 여과 부재(156)의 여과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유체가 흐르는 순방향에서 여과 공정 및 역세척 공정이 각각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부에서 상부, 즉 역방향으로 세수가 공급되어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세수를 역방향으로 상기 몸체 내부에 공급하여야 할 펌프가 생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100)는 몸체(110), 제1 다공체(120), 제2 다공체(130), 구동체(140), 제1 여과 부재(151), 제2 여과 부재(156), 공기 주입부(190) 및 첨가제 공급부(195)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 제1 다공체, 제2 다공체, 구동체, 제1 여과 부재 및 제2 여과 부재는 도 4 내지 도6으로 전술한 수처리 장치의 몸체, 제1 다공체, 제2 다공체, 구동체, 제1 여과 부재 및 제2 여과 부재는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공기 주입부(190)는 상기 몸체(110)의 하부와 연통된다. 상기 공기 주입부(190)는 상기 몸체(110) 내부에 형성된 여과 공간에 에어를 유입시켜 상기 유체 및 상기 에어를 혼합시켜 상기 제1 여과 부재(151) 및 제2 여과 부재(156)에 대한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첨가제 공급부(195)는 상기 몸체(110) 내부에 첨가제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첨가제는 인(P) 제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 염 또는 철염과 같은 인 제거 물질을 상기 몸체 내부에 유입된 유체에 공급함으로써 불용성 인산염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인을 유체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인은 하천의 녹조 현상을 발생하는 성분으로서 상기 첨가제 공급부(195)는 유체의 녹조 현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수처리 여과 장치는 공기 유출입부(1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출입부(196)는 상기 몸체(110)와 연통된다. 상기 공기 유출입부(196)는 역세척시 상기 공기 주입부(195)가 상기 몸체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경우, 상기 공기를 배출할 수 있으며, 역세척 공정 종료후 상기 몸체(110) 내부에 형성된 여과 공간에 공기를 유입시켜 불순물이 잔류하는 유체를 상기 여과 공간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체는 상기 여과 공간 내부로 그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출입부(196)를 및 몸체(110)를 상호 연통시키는 연결 라인(미도시) 및 상기 연결 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 주입을 온/오프 시키는 밸브(미도시)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수처리 장치는 하천, 개울, 하수처리장 또는 해수 담수화 설비 등에 설치되어 유체를 정화시키는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5)

  1. 유체가 유출입되면서 여과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
    상기 여과 공간의 일측에 고정되며 다수의 제1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1 다공체;
    상기 여과 공간의 타측에 상기 제1 다공체와 마주보도록 고정되며 다수의 제2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2 다공체;
    상기 여과 공간 내부에 상기 제1 및 제2 다공체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및 제2 다공체들 중 하나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제1 및 제2 다공체 중 하나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동되며 제3 관통홀들이 형성된 구동체;
    상기 제1 다공체 및 상기 구동체 사이 또는 상기 제2 다공체 및 상기 구동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체의 구동에 따라 상기 유체를 여과하거나 상기 유체를 이용하여 역세척될 수 있도록 구비된 여과재; 및
    상기 구동체를 승강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는 활성탄, 모래 및 섬유사 중 적어도 하나가 내부에 존재하는 망사 구조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는 상호 연결된 복수의 망사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다공체들 및 상기 구동체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는 상기 제1 및 제2 다공체들 및 상기 구동체에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는 상기 제1 다공체 및 상기 구동체에 양 단부들이 연결된 제1 여과 부재 및 상기 제2 다공체 및 상기 구동체에 양 단부들이 연결된 제2 여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다공체들 및 상기 구동체의 표면은 엠보싱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 측과 연통되며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라인;
    상기 몸체의 타 측과 연통되며 상기 여과된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배출 라인; 및
    상기 유체 배출 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유체 공급 라인으로 연통되며, 역세척수를 상기 몸체로부터 배출하는 역세척수 배출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척수 배출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역세척수의 흐름을 온/오프 시키는 역세척수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9. 삭제
  10. 유체가 유출입되면서 여과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
    상기 여과 공간의 일 측에 고정되며 다수의 제1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1 다공체;
    상기 여과 공간의 타 측에 상기 제1 다공체와 마주보도록 고정되며 다수의 제2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2 다공체;
    상기 여과 공간 내부에 상기 제1 및 제2 다공체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및 제2 다공체들 중 하나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제1 및 제2 다공체 중 하나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동되며 제3 관통홀들이 형성된 구동체;
    상기 제1 다공체 및 상기 구동체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양 단부들이 연결된 제1 여과 부재;
    상기 제2 다공체 및 상기 구동체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양 단부들이 연결된 제2 여과 부재; 및
    상기 구동체를 승강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 측과 연통되며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라인;
    상기 몸체의 타 측과 연통되며 상기 여과된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배출 라인; 및
    상기 유체 배출 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유체 공급 라인으로 연통되며, 역세척수를 상기 몸체로부터 배출하는 역세척수 배출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척수 배출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역세척수의 흐름을 온/오프 시키는 역세척수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공간 내부에 수처리용 첨가제를 공급하는 첨가제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역세척시 상기 몸체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연통되며, 역세척 중 상기 공기 주입부가 상기 몸체 내부로 공급된 공기를 배출하며, 역세척 후 상기 몸체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유출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장치.
KR1020130013266A 2013-02-06 2013-02-06 수처리 장치 KR101350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266A KR101350585B1 (ko) 2013-02-06 2013-02-06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266A KR101350585B1 (ko) 2013-02-06 2013-02-06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0585B1 true KR101350585B1 (ko) 2014-01-14

Family

ID=5014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266A KR101350585B1 (ko) 2013-02-06 2013-02-06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959A (ko) * 2015-04-30 2016-11-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연형 필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380B1 (ko) * 2003-03-17 2007-01-22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세라믹 필터
KR100858951B1 (ko) * 2006-03-07 2008-09-18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여과기 및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
KR100978071B1 (ko) * 2010-06-18 2010-08-26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초고속 여과기능 및 역세기능을 구비한 여과장치
JP2011500306A (ja) * 2007-10-10 2011-01-06 ポリマーズ シーアールシー リミテッド 抗菌性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380B1 (ko) * 2003-03-17 2007-01-22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세라믹 필터
KR100858951B1 (ko) * 2006-03-07 2008-09-18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여과기 및 여과기의 역세척 방법
JP2011500306A (ja) * 2007-10-10 2011-01-06 ポリマーズ シーアールシー リミテッド 抗菌性膜
KR100978071B1 (ko) * 2010-06-18 2010-08-26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초고속 여과기능 및 역세기능을 구비한 여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959A (ko) * 2015-04-30 2016-11-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연형 필터장치
KR101678648B1 (ko) * 2015-04-30 2016-12-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연형 필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734994U (zh) 多层过滤分离清洗的污水过滤装置
KR100540059B1 (ko) 중력식 섬유여과기
CN101259339B (zh) 一种圆形沉淀池微滤布表面过滤出水方法
KR101446273B1 (ko) 수두차를 이용한 상향류 모래 여과장치의 운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350585B1 (ko) 수처리 장치
KR100949058B1 (ko) 여과장치
KR100756820B1 (ko) 물과 공기에 의해 역세척이 가능한 하부집수장치
JP2017177042A (ja) 逆流洗浄装置移動型ろ過装置、逆流洗浄装置、逆流洗浄方法
KR101350537B1 (ko) 멀티 화이버층을 이용한 여과장치 및 그 역세방법
KR101594197B1 (ko) 세정기능을 갖는 일체형 여과장치
KR101271089B1 (ko) 자동 역세 사여과기의 다공성 플레이트 장치
CN107235522A (zh) 一种工业废水处理装置
KR200381733Y1 (ko) 고도처리장치용 여과기
CN103265134B (zh) 一种全自动高效节能曝气滤机
KR101151908B1 (ko) 초기우수와 오염하천수를 동시에 처리 가능한 시설 및 그 처리방법
KR200420112Y1 (ko) 수처리용 침지형 여과장치
CN202942728U (zh) 一种升流式连续过滤器
KR200373573Y1 (ko) 반복재생이 가능한 정밀여과장치
EP3488910A2 (en)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a fluid by means of a filter bed
KR100718791B1 (ko) 수처리용 침지형 여과장치
KR102538378B1 (ko) 여과재 유출방지 구조를 구비한 자동역세 사여과기
KR200238938Y1 (ko) 여과수두를 이용한 여과 및 역세척장치
KR102641918B1 (ko) 분뇨 및 가축분뇨 처리시설 탈리여액 여과장치
CN202028244U (zh) 海洋污水精细过滤器
US20230053228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prevent downward flow of liquid during a gas only washing 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