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783B1 - 이동보도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이동보도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8783B1
KR100858783B1 KR1020020048306A KR20020048306A KR100858783B1 KR 100858783 B1 KR100858783 B1 KR 100858783B1 KR 1020020048306 A KR1020020048306 A KR 1020020048306A KR 20020048306 A KR20020048306 A KR 20020048306A KR 100858783 B1 KR100858783 B1 KR 100858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plate
sensor plate
comb pla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094A (ko
Inventor
이진구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20048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783B1/ko
Publication of KR20040016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2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responsive to, or preventing, jamming by foreign objects
    • B66B29/06Combpl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과 스텝사이에 끼인 이물질에 의한 외력이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더라도 외력의 세기가 그대로 콤플레이트에 작용하고, 콤플레이트의 미소한 움직임만으로도 사고발생을 감지할 수 있는 이동보도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콤플레이트, 콤플레이트의 전단에 결합되는 콤을 포함하는 이동보도에 있어서, 스텝과 콤사이에 끼인 이물질 등에 의한 콤의 변위에 따라 변형을 일으키는 센서 플레이트가 콤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센서 플레이트에는 센서 플레이트의 변형량을 감지하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된다. 증폭부가 스트레인 게이지와 연결되어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 입력된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고, 이와 연결된 스위치를 작동시켜 이동보도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Figure R1020020048306
이동보도, 콤플레이트, 안전장치, 스트레인 게이지, 증폭부

Description

이동보도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Combplate Safety Device for Passenger Conveyor}
도 1은 종래의 에스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콤플레이트 조립체와 콤플레이트 안전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콤플레이트 조립체와 콤플레이트 안전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콤플레이트 조립체와 콤플레이트 안전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도 5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도 5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의 센서 플레이트와 스트레인 게이지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콤플레이트 조립체와 콤플레이트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콤플레이트 조립체와 콤플레이트 안전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콤플레이트
106: 캡볼트
110: 프레임
120,130: 수직 탄성가압수단
140: 수평 탄성가압수단
150: 센서 플레이트
152: 협박부
154: 스트레인 게이지
156: 증폭부
본 발명은 이동보도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텝과 콤사이에 이물질 등이 끼여 콤플레이트에 규정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자동적으로 전원을 차단하고 이동보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이동보도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보도는 계단형태의 스텝과 핸드레일이 자동으로 구동되는 에스컬레이터와, 평판형태의 팔레트(pallet)와 핸드레일이 자동으로 구동되는 무빙워크(moving walkway)로 구분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의 콤플레이트 조립체와 콤플레이트 안전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10)의 고정 베이스(12)는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구동체인(14)과, 체인(14)에 의해 결합되어 구동되는 다수의 스텝(16)과,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순환 핸드레일(18)을 가진다.
구동체인(14)은 관용의 벨트구동기구(20)에 의해 구동되고, 스텝(16)을 상부 승강판(22)과 하부 승강판(24)사이의 폐루프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시킨다. 제 2벨트구동기구(26)는 스텝(16)과 동일한 속도로 핸드레일(18)을 폐루프경로를 따라 구동한다. 핸드레일(18) 및 구동체인(14)이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승객은 하부 승강판(24)으로부터 스텝(16)에 올라서서 상부 승강판(22)을 향해서 이송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승강판(22)과 하부 승강판(24)에는 승강이동하는 스텝(16)과 맞물리는 콤(32, comb)이 그 선단에 결합된 콤플레이트(30, combplate)가 설치된다.
콤플레이트(30)는 프레임(40)의 양측 아암(42)에 고정되고 베이스 플레이트(44)의 양측에 결합된 오버라이드 스프링(override spring) 조립체(50)에 의해 프레임(40)에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오버라이드 스프링 조립체(50)는 프레임(40)의 아암(42)에 고정된 L-플랜지(52)와, 플랜지(52)와 소정거리 이격된 압압판(54)과, 플랜지(52)와 압압판(54)사이에 양단이 지지되어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56)을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56)은 콤플레이트(30)를 프레임(4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 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스프링(56)의 강성(stiffness)은 콤플레이트(30)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구속한다.
스텝(16)이 콤(32)측으로 진입할 때, 스텝(16)위의 이물질 등이 콤(32)과 스텝(16)사이에 끼여 스텝(16)의 정상적인 진행이 방해를 받을 경우, 끼인 물체가 콤플레이트(30)밑으로 빨려 들어감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물질 등에 의해 스텝(16)의 정상적인 진행이 방해를 받을 경우, 에스컬레이터(10)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안전장치가 구비된다.
종래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44)의 양측면에서 일체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쐐기부(46, wedge)를 포함한다. 그리고, 한 쌍의 전기스위치(60, 도 2에는 1개만이 개시됨)가 프레임(4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각 전기스위치(60)는 콤플레이트(30)의 지지블록(34)에 대응하며 돌출형성된 전후이동가능한 플런저(62)를 가진다.
프레임(40)에는 쐐기부(46)와 접촉되는 한 쌍의 하압부(48, 下押部)가 고정설치된다. 하압부(48)는 코일 스프링(56)과 함께 작용하여 콤플레이트(30)의 후방수평이동은 제한하지 않고, 수직방향의 변위를 방지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10)에 있어서, 콤(32)과 스텝(16)사이에 이물질, 예를 들어 여성탑승객의 구두 뒷굽 또는 옷자락 등이 끼게 되면, 콤플레이트(30)가 코일 스프링(56)의 구속력을 극복하면서 후방으로 소정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이후, 콤플레이트(30)의 지지블록(34) 이 전기스위치(60)의 플런저(62)에 접촉함으로써 전기스위치(60)를 작동시키고, 이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도 3과 도 4는 각각 종래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콤플레이트(70)의 앙측면에는 한 쌍의 전기스위치(82, 84)가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고, 브라켓(86)에 의해 콤플레이트(70)와 스위치(82, 84)가 상호 연결된다.
콤플레이트(70)의 후단은 베이스 플레이트(90)에 힌지부재(7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콤(72)과 스텝(16)사이에 이물질이 끼게 되면, 콤플레이트(70)가 힌지부재(74)를 축으로 수직상승이동하게 되고, 콤플레이트(70)에 결합된 브라켓(86)을 통해 스위치(82, 84)를 작동시켜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콤플레이트의 이동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한정되어 있는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에 있어서, 콤과 스텝사이에 끼인 이물질에 의해 발생된 외력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만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력이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발생된 경우 외력의 세기가 수평 또는 수직방향의 성분으로 분산되어 감소된 상태로 콤플레이트에 작용하므로, 스위치를 작동시키기에 필요한 거리만큼 콤플레이트를 이동시키지 못해 사고발생을 막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더욱이, 수평 및 수직방향이동을 모두 감지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을 정지 시키기 위해서는 각 방향이동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전부 구비하여야 하므로, 에스컬레이터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콤과 스텝사이에 끼인 이물질에 의한 외력이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더라도 외력의 세기가 그대로 콤플레이트에 전달되며, 콤플레이트의 미소한 움직임만으로도 사고발생을 감지하여 위험감지능력 및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보도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보도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는 프레임과,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콤플레이트와, 콤플레이트의 전단에 결합되는 콤을 포함하는 이동보도에 있어서, 콤의 변위에 따라 변형을 일으키는 센서 플레이트; 센서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센서 플레이트의 변형량을 감지하는 변형감지부재; 변형감지부재로부터 입력된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 그리고 증폭부로부터 입력된 증폭신호가 소정크기보다 크면, 이동보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콤플레이트는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센서 플레이트는 그 양단이 프레임과 콤플레이트에 각각 연결된다.
센서 플레이트는 그 중간부에 다른 부분보다 폭이 좁고 두께가 얇은 협박부가 형성되며, 협박부상에 변형감지부재가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변형감지부재는 스트레인 게이지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콤플레이트 조립체와 콤플레이트 안전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제 1 및 제 2브라켓(112, 114)이 고정되고, 브라켓(112, 114)의 상부에 콤플레이트(100)가 설치되어 있다. 콤플레이트(100)는 콤플레이트(100)의 양측에 결합된 제 1 및 제 2 수직 탄성가압수단(120, 130)과 수평 탄성가압수단(140) 에 의해 프레임(110)에 탄성적으로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수직 탄성가압수단(120, 130)은 각각 콤플레이트(100)와 제 1 및 제 2 브라켓(112, 114)을 수직관통하는 볼트(122, 132)와, 볼트(122, 132)의 나사부(123, 133)를 둘러싸고 볼트(122, 132)의 헤드부와 콤플레이트(100)의 상면사이에서 양단이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124, 134)과, 볼트(122, 132)의 나사부(123, 133)에 체결되어 제 1 및 제 2 브라켓(112, 114)의 하면에 접촉하는 너트(126, 136)를 포함한다. 수직 탄성가압수단(120, 130)의 코일 스프링(124, 134)은 콤플레이트(100)를 프레임(110)에 대해 상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너트(126, 136)의 조임정도에 따른 코일 스프링(124, 134)의 강성(stiffness)에 의해 콤플레이트(100)의 상측이동에 대한 저항력이 설정된다.
수평 탄성가압수단(140)은 제 2브라켓(114)에 결합된 제 3브라켓(146)에 고 정되는 볼트(142)와, 볼트(142)의 나사부를 둘러싸고 볼트(142)의 헤드부와 콤플레이트(100)의 후단사이에서 양단이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144)을 포함한다. 수평 탄성가압수단(140)의 코일 스프링(144)은 콤플레이트(100)를 프레임(11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고, 코일 스프링(144)의 강성에 의해 콤플레이트(100)의 후방이동(도 6에서 볼 때 우측)에 대한 저항력이 설정된다.
미설명부호 108은 콤플레이트(100)의 수평방향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슬롯이다.
스텝(16)과 콤(102)사이에 끼인 이물질 등에 의해 스텝(16)의 정상적인 진행이 방해를 받을 경우,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표면에 스트레인 게이지 등과 같은 변형감지부재(154)가 부착된 센서 플레이트(150)와, 스트레인 게이지(1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트레인 게이지(154)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56)와, 증폭부(15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증폭부(156)로부터 입력된 증폭신호가 소정크기보다 크면,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전기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센서 플레이트(150)는 일단이 고정브라켓(158)에 의해 프레임(110)의 상부에 고정되고, 소정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타단이 콤플레이트(100)의 상부에 결합된 지지부재(106), 예를 들어 캡볼트의 상단에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센서 플레이트(150)는 그 중간부에 다른 부분보다 폭이 좁고 두 께가 얇아 변형을 일으키기 쉽도록 된 협박부(152, 狹薄部)가 형성되며, 이 협박부(152)상에 스트레인 게이지(154)가 부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콤플레이트 안전장치의 작용효과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승이동하는 스텝(16)과 콤(102)사이에 이물질, 예를 들어 여성탑승객의 구두 뒷굽 또는 옷자락 등이 끼게 되면, 콤(102)의 선단에는 수평방향 외력(Fh), 수직방향 외력(Fv) 또는 이들의 조합된 방향의 외력이 작용한다. 이 외력의 크기가 콤플레이트(100)를 수직, 수평으로 구속하고 있는 코일 스프링(124, 134, 144)의 저항력과 콤플레이트(100)의 하중을 초과하면, 콤플레이트(100)는 도 7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수직 또는 조합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콤플레이트(100)의 움직임은 콤플레이트(100)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져 설치된 센서 플레이트(150)에 전달된다.
콤플레이트(100)의 움직임이 미소하더라도, 센서 플레이트(150)의 협박부(152)가 벤딩되고, 협박부(152)의 벤딩량은 스트레인 게이지(154)의 저항값 변화를 유발한다. 이 변화된 저항값은 증폭부(156)에 의해 증폭되어 출력된다. 이 저항값 변화는 외부로부터 콤(102)에 작용된 외력과 일정한 함수관계가 성립되기 때문에, 법규에서 정하는 기준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콤(102)에 작용하면, 그에 상응하는 저항값의 변화가 발생되고, 증폭부(156)는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켜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콤플레이트(100)는 탄성가압수단(120, 130, 140)들에 의한 저항 력에 의해 아주 미소한 움직임만이 가능하도록 기계적인 구속을 받고 있지만, 콤플레이트(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안전장치는 센서 플레이트(150)의 협박부(152)에 의한 기계적인 증폭과 증폭부(156)에 의한 전기적인 증폭을 통하여 위급상황을 빠르고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
이물질이 제거되면, 에스컬레이터는 리셋키(도시되지 않음, reset key)의 작동에 의해 초기상태로 전환되는데, 콤플레이트(100)는 코일 스프링(124, 134, 14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도 9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콤플레이트 조립체와 콤플레이트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0)의 상부에는 제 1 및 제 2브라켓(212, 214)이 고정되고, 브라켓(212, 214)의 상부에 콤플레이트(200)가 볼트 등의 체결수단(204)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있다.
콤플레이트(200)의 선단에는 콤플레이트(200)의 폭방향(도 9에서 볼 때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센서 플레이트(220)가 결합되고, 이 센서 플레이트(220)의 중앙일부 상면에 콤(202)이 결합된다.
센서 플레이트(220)의 양측에는 스트레인 게이지(222)와 수직 탄성가압수단(230)이 결합된다.
수직 탄성가압수단(230)은 센서 플레이트(220)와 콤플레이트(200)를 수직관통하는 볼트(232)와, 볼트(232)의 나사부를 감싸고 볼트(232)의 헤드부와 센서 플레이트(220)의 상면사이에서 양단이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234)과, 볼트(232)에 체 결되어 콤플레이트(200)의 하면에 접촉하는 너트(236)를 포함한다. 수직 탄성가압수단(230)의 코일 스프링(234)은 센서 플레이트(220)를 콤플레이트(200)에 대해 상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너트(236)의 조임정도에 따른 코일 스프링(234)의 강성에 의해 센서 플레이트(220)의 상측이동에 대한 저항력이 설정된다.
또한, 콤플레이트(200)의 소정위치에는 스트레인 게이지(2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트레인 게이지(222)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증폭하고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도록 전기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키는 증폭부(224)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콤플레이트 안전장치의 작용효과를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승이동하는 스텝(16, 도 6참조)과 콤(202)사이에 승객의 구두 뒷굽 또는 옷자락 등과 같은 이물질이 끼게 되면, 콤(202)의 선단에는 수평방향, 수직방향 또는 이들의 조합된 방향의 외력이 작용한다. 이 외력의 크기가 센서 플레이트(220)를 양측에서 수직으로 구속하고 있는 코일 스프링(234)의 저항력과 센서 플레이트(220) 및 콤(202)의 하중을 초과하면, 센서 플레이트(220)는 비틀리거나 또는 벤딩된다. 이러한 센서 플레이트(220)의 변형량은 스트레인 게이지(222)의 저항값 변화를 유발한다. 이 변화된 저항값은 증폭부(224)에서 증폭하여 출력한 후, 전기스위치를 작동시켜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물질이 제거되면, 에스컬레이터는 리셋키의 작동에 의해 초기상태로 전환되는데, 센서 플레이트(220) 및 이에 결합된 콤(202)은 코일 스프링(234)의 탄성복 원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제 2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는 긴급상황시 콤플레이트를 밟고 있는 승객들의 체중에 의해 콤플레이트가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 종래의 안전장치는 작동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콤플레이트 안전장치는 에스컬레이터 뿐만 아니라 무빙워크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콤플레이트가 수평, 수직 또는 조합된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콤과 스텝사이에 끼인 이물질에 의한 외력이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더라도 외력의 세기가 그대로 콤플레이트에 전달되어 콤플레이트를 이동시켜 사고발생이 정확히 감지될 수 있고, 최소한의 스위치로 에스컬레이트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이물질에 의한 콤플레이트의 움직임이 미소하게 발생하더라도, 센서 플레이트의 협박부에 의한 기계적인 증폭과 증폭부에 의한 전기적인 증폭으로 안전장치의 위험감지능력 및 정밀도를 현저히 향상시키고, 사고감지 반응시간도 현격히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르면, 스트레인 게이지를 콤과 직접 연동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긴급상황시 콤플레이트를 밟고 있는 승객들의 체중에 의해 콤플레이트가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라도, 본 발명의 안전장치는 위험을 감지하여 이동보도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콤플레이트와, 상기 콤플레이트의 전단에 결합되는 콤을 포함하는 이동보도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콤의 변위에 따라 변형을 일으키는 센서 플레이트;
    상기 센서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상기 센서 플레이트의 변형량을 감지하는 변형감지부재;
    상기 변형감지부재로부터 입력된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 그리고
    상기 증폭부로부터 입력된 증폭신호가 소정크기보다 크면, 상기 이동보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보도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콤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센서 플레이트는 그 양단이 상기 프레임과 상기 콤플레이트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보도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플레이트는 그 중간부에 다른 부분보다 폭이 좁고 두께가 얇은 협박부가 형성되며,
    상기 협박부상에 상기 변형감지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보 도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콤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센서 플레이트는 상기 콤플레이트의 전단상면에 상기 콤플레이트의 폭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콤은 상기 센서 플레이트의 일부에 고정되며,
    상기 센서 플레이트와 상기 콤플레이트에는 상기 센서 플레이트를 상기 콤플레이트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보도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수단은 상기 센서 플레이트와 상기 콤플레이트를 수직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나사부를 둘러싸고 상기 볼트의 헤드부와 상기 센서 플레이트의 상면사이에서 양단이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콤플레이트의 하면에 접촉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보도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감지부재는 스트레인 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보도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
KR1020020048306A 2002-08-16 2002-08-16 이동보도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 KR100858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306A KR100858783B1 (ko) 2002-08-16 2002-08-16 이동보도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306A KR100858783B1 (ko) 2002-08-16 2002-08-16 이동보도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094A KR20040016094A (ko) 2004-02-21
KR100858783B1 true KR100858783B1 (ko) 2008-09-17

Family

ID=37322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306A KR100858783B1 (ko) 2002-08-16 2002-08-16 이동보도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87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9732B2 (en) 2015-08-26 2019-03-26 Otis Elevator Company Conveyor device with moving comb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S10282847B2 (en) 2016-07-29 2019-05-07 Otis Elevator Company Monitoring system of a passenger conveyor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88346A1 (en) 2015-04-27 2016-11-02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A. Safety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s in the combplate area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225A (ko) * 1991-07-18 1993-02-22 존 엠.브릴 빗살형 플레이트 안전장치
KR930006693A (ko) * 1991-09-20 1993-04-21 오가 노리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장치
KR960037553A (ko) * 1995-04-24 1996-11-19 한스 블뢰힐레 · 레네 츠빈덴 승객 이송 설비용 안전 장치
JPH08324949A (ja) * 1995-05-29 1996-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イコンベアの乗降口安全装置
JPH11171457A (ja) * 1997-12-15 1999-06-29 Hitachi Ltd マンコンベアの乗降口安全装置
JP2002029682A (ja) * 2000-07-12 2002-01-29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ヤーの乗降口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225A (ko) * 1991-07-18 1993-02-22 존 엠.브릴 빗살형 플레이트 안전장치
KR930006693A (ko) * 1991-09-20 1993-04-21 오가 노리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장치
KR960037553A (ko) * 1995-04-24 1996-11-19 한스 블뢰힐레 · 레네 츠빈덴 승객 이송 설비용 안전 장치
US5611417A (en) * 1995-04-24 1997-03-18 Inventio Ag Apparatus for stopping a passenger conveyor
JPH08324949A (ja) * 1995-05-29 1996-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イコンベアの乗降口安全装置
JPH11171457A (ja) * 1997-12-15 1999-06-29 Hitachi Ltd マンコンベアの乗降口安全装置
JP2002029682A (ja) * 2000-07-12 2002-01-29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ヤーの乗降口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9732B2 (en) 2015-08-26 2019-03-26 Otis Elevator Company Conveyor device with moving comb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S10282847B2 (en) 2016-07-29 2019-05-07 Otis Elevator Company Monitoring system of a passenger conveyor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094A (ko) 200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3578B2 (en) Elevator apparatus
KR102612914B1 (ko) 엘리베이터 안전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2333716B (zh) 电梯安全装置
US9399563B2 (en) People mover
JP2010247948A (ja) 乗客コンベアのインレット安全装置
EP3456674B1 (en) Elevator tension member slac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of performing an emergency stop operation of an elevator system
US6966419B2 (en) Safety device for a passenger conveyor
JP5257867B2 (ja) 乗客コンベア
KR100858783B1 (ko) 이동보도의 콤플레이트 안전장치
US5307918A (en) Escalator combplate stop switch assembly
JP6723472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JP2003104679A (ja) 踏段異常検出装置
AU2020272919B2 (en) Side monitoring device for a passenger transport system
JP2003321186A (ja) 乗客コンベヤーの運転管理装置
CN112919295A (zh) 具有安全系统的自动扶梯
KR200437138Y1 (ko)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장치
JP3489266B2 (ja) マンコンベアの乗降口安全装置
EP3473579A1 (en) Comb plate and people conveyor
JP4871826B2 (ja) 乗客コンベアの踏段鎖破断検出装置
JP2725968B2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6896169B2 (ja) 乗客コンベアのコムプレート移動検出装置
JP6454289B2 (ja) 乗客コンベア
CN113646250B (zh) 人员运送设施的侧部监测装置
CN115315405A (zh) 乘客输送机及其围裙板开关装置
JP2008247547A (ja) 乗客コンベア装置の踏み部材変位規制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