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846B1 - 펩타이드-비타민c 유도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펩타이드-비타민c 유도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846B1
KR100857846B1 KR1020080009066A KR20080009066A KR100857846B1 KR 100857846 B1 KR100857846 B1 KR 100857846B1 KR 1020080009066 A KR1020080009066 A KR 1020080009066A KR 20080009066 A KR20080009066 A KR 20080009066A KR 100857846 B1 KR100857846 B1 KR 100857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lysine
group
formula
histid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0907A (ko
Inventor
박종일
박기돈
임채진
김흥재
송상용
박경용
강종필
권선덕
최혜연
최호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펩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펩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펩트론
Publication of KR20080080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8Tripeptides
    • C07K5/0802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0804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 C07K5/0806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the side chain containing 0 or 1 carbon atoms, i.e. Gly, A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9/00Hybrid peptides, i.e. peptides covalently bound to nucleic acids, or non-covalently bound protein-protein complex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펩타이드-비타민C 유도체 및 이의 용도{PEPTIDE-STABILIZED VITAMIN C DERIVATIVE,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일반적으로 3 성장주기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성장기 (anagen), 정체기 (catagen), 쇠퇴기 (telogen)이다. 성장기는 모발이 왕성하게 자라는 시기로 모발 성장주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정체기는 아폽토시스가 일어나며 모발이 빠질 준비가 되는 시기이며, 쇠퇴기는 모발이 모낭에서 빠져나간 상태의 시기를 말한다.
탈모(Alopecia 또는 hair loss)는 모발이 성장기-정체기-쇠퇴기가 반복되는 과정에서 모근이 왜소해지면서 모발의 굵기가 얇아지며 궁극적으로는 솜털과 같이 변하면서 유발된다. 특히 탈모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남성형 탈모의 경우에는 모발 밀도의 감소는 없지만 모발의 굵기가 극단적으로 감소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탈모를 유발하는 원인에는 유전적인 요소, 성호르몬인 테 스토스테론(testosterone)의 과다 분비, 모낭의 혈류량 저하, 피지의 과다 분비, 스트레스, 불균형적인 식생활, 대기 오염, 과다한 자외선 노출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이런 탈모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탈모 방지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다양한 유효 성분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에서 목적으로 하는 주된 효과로서, 모발의 굵기를 유지하거나 굵게 하는 효과, 모발의 성장기가 빨리 도래하거나 오래 유지되는 효과, 모발의 쇠태기의 도래를 늦추거나 짧게 유지시키는 효과, 5α-리덕테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 모낭으로의 혈행을 촉진시키는 효과, 보습 효과, 항산화 효과, 비듬 방지 효과, 살균 효과, ECM (Extra-Celluar matrix) 발현 촉진 효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현재 의약품으로 등록되어 사용되고 있는 물질에는 미녹시딜과 피나스테라이드가 있다.
미녹시딜은 원래 평활근 혈관 확장 작용을 하는 고혈압 치료제로 만들어졌으나, 부작용으로 전신에 털이 자라는 현상이 발견된 후 발모제로 개발되었다 (미국특허등록 제 4,596,812호: 제 4,139,619호). 이의 과학적인 자세한 작용 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모낭에의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등의 복합적인 작용을 통해 모발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효과를 바탕으로 FDA에서 일반의약품으로 승인을 받았지만, 피부자극, 가려움, 홍조, 원하지 않는 부위에서의 발모, 탈모의 악화 등의 부작용이 보고가 되고 있으며, 약효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피나스테라이드는 직접적인 탈모 물질로 알려져 있는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을 생성하는 5α-리덕테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약물(미국특허등록 제5,547,957)로 미국 FDA에서 전문의약품으로 승인을 받고 판매되고 있다. 이 약물의 경우 경구 투여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발모 효과가 나타나는데 오랜 시간이 필요하고 투여를 중단할 경우 곧바로 재탈모가 진행되며, 임산부에게는 태아의 기형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장기간 투여 시 성욕감퇴, 발기부전, 사정장애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대표적인 의약품들을 사용할 경우, 일시적으로는 탈모가 중단되고 신생 발모가 일어나는 것처럼 보이나, 장기간 사용 시 재탈모가 일어나는 등의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그 이유는 본 의약품들이 모근으로의 혈행을 촉진시키거나, 5α-리덕테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는 있으나, 궁극적으로 모발의 두께를 굵게 하는 효과는 미미하거나 없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모발이 굵어지기 위해서는 모낭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모유두 세포의 성장 및 이의 분열을 촉진시켜야 하지만 그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항산화제 효과, ECM발현 증진 효과 등과 같은 부수적으로 따라와야 할 효과도 전혀 기대할 수 없기에, 이러한 약물 이외의 처치 등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사람 모유두 세포의 성장 및 분열을 촉진시키고, 항산화 효과 및 ECM 발현 촉진 효과 등을 부여해 줌으로 모발 성장을 촉진하고, 모발을 굵어지게 만들 수 있는 발모 촉진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피부는 보호 기능, 장벽 기능, 온도 조절 기능, 배설 기능, 호흡 기능 등을 하는 기관으로, 표피, 진피, 피하지방으로 이루어진다. 표피는 가장 얇은 층으로 각질 형성 세포와 멜라닌 세포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진피는 피부의 약 95%를 차지하며 피부의 보습 및 보호를 담당하는 층으로, 피부탄력(주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단백질인 콜라겐, 엘라스틴이 그물처럼 짜여져 있고, 혈관과 신경이 존재하며,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하는 비만세포, 및 Na-PCA 또는 히아루론산 등의 천연 보습 인자도 함유하고 있다. 피하 지방은 표피 및 진피로의 영양 공급, 체형 결정, 체온 유지, 외부적인 충격흡수 및 피하지방하 세포 보호 등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부는 나이가 들면서 내인성 또는 외인성 원인으로 인해 피부기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노화를 겪게 된다. 노화가 진행되면서 피부의 구성 성분인 표피, 진피, 및 피하 지방의 두께가 얇아지고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가늘어지고 느슨해져 탄력이 떨어지고 주름 등이 생긴다. 또한, 피부장벽의 기능을 맡고 있는 지질 장벽(Lipid barrier)의 지질 조성과 함량이 변화하면서 피부의 수분함량이 떨어지고 피부가 건조해지는 등의 생리적 변화를 겪게 된다. 또한, 기미, 주근깨, 색소 침착과 그 외 다양한 피부 병변이 유발된다.
이런 피부노화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피부개선 효과를 가지는 다양한 유효 성분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우선, 피부노화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는 성분으로는 비타민 C, 비타민 E, 베타카로틴 등 항산화 비타민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 비타민 C는 자외선(UV) 차단 효과, 항산화 효과, 콜라겐 형성 촉진을 통한 피부 주름 개선, 기미/ 주근깨/검버섯 등의 색소 침착개선 효과, 면역체계 강화 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는 비타민 C는 C6H8O6의 화학식을 갖는 수용성의 물질이다. 비타민 C는 분자의 2, 3, 5, 6번 탄소에 위치하는 수산화기 때문에 친수성(hydrophilicity)을 나타낸다. 물과 같은 중성의 pH에서는 이들 수산화기, 특히 2번과 3번 탄소가 음의 전하를 가지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수용액에 신속하게 완전히 녹게 되지만, 수용액이 아닌 피부와 같은 유기적인 환경에서는 용해도에 제한이 있다. 또한, 비타민 C는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기용매, 예를 들어,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다양한 지방(fat) 등에 잘 녹지 않아서, 비타민 C를 피부로 운반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비타민 C가 이온화되지 않았을 때, 피부장벽을 쉽게 통과하여 흡수 시 비이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pH가 4.2 이하여야만 한다는 제한점이 있다.
비타민 C의 피부 축적양은 경구 투여보다 외용제로 사용하였을 때 20배 내지 40배 정도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자외선 차단 효과, 항산화 효과, 콜라겐 형성 촉진을 통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 기미/주근깨/검버섯 등의 색소 침착 개선 효과, 면역체계 강화 효과 등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피부외용제의 경우에는 유효 물질이 피부의 각질층을 통과하여 표피에 있는 세포까지 도달할 것을 필요로 하므로, 유효 물질의 경피 흡수율이 높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어떤 물질의 피부 침투율은 그 물질의 친유성(lipophilicity)과 관계가 있다. 피부의 친유성과 유사한 물질인 경우 피부로의 분배 계수가 커져 경피 흡수가 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는데, 비타민 C의 경우는 친수성이 높아 피부로의 분배가 낮아져서 경피 흡수가 어렵다.
한편, 콜라겐은 피부, 혈관, 내장, 뼈 등에서 매우 많이 발견되며, 피부를 구성하고 있는 진피의 70%는 콜라겐으로 이루어져 있고 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근막 또한 콜라겐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체 단백질 총 중량의 30%를 차지하는 콜라겐은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 접착의 지탱, 유기체의 성장 또는 상처 치유 시 세포 분할과 분화를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콜라겐은 섬유아세포에서 생합성되는데, 자연노화 및 광노화에 의해서 그 양이 감소하며, 20세에서 80세에 이르는 동안 65%의 감소가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Shuster S., 1975, British journal of determatology, 93(6): 639-643). 두피의 경우에도 나이가 들수록 콜라겐의 양이 감소하며 탄력성을 잃으면서 모발 생성이 어려워지는 양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콜라겐 합성을 증진시키고, 항산화 효과를 지니며, 피부 개선 효과를 보일 수 있는 안전성 및 안정성이 개선되고 피부 침투력이 우수한 피부 개선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사람 모유두 세포의 성장 및 분열을 촉진시키고, 항산화 효과 및 ECM 발현 촉진 효과 등을 부여해 줌으로 모발 성장을 촉진하고, 모발을 굵어지게 만들 수 있는 발모 촉진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해 ECM 발현을 촉진시키는 펩타이드에 항산화 효과가 있는 비타민 C의 유도체를 결합시킨 후 이를 금속 복합체로 만들어, 탁월한 모유두 세포 성장 촉진능, 항산화능, ECM 발현 촉진능을 보이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증진 및/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비타민 C에 인산 유도체 또는 글루코오스와 펩타이드, 특히 콜라겐 생성 펩타이드를 도입시켜 안전성 및 안정성이 증진된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안정성이 증진된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안정성이 증진된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 민 C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가 우수한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펩타이드를 금속 복합체로 만들어 의학적 효과를 보려는 노력은 이전부터 있어왔다. 그 예로 프로사이트사에 의해 개발된 펩타이드-구리 킬레이트가 있는데, 이는 디펩타이드 또는 트리펩타이드에 구리를 1:1 또는 1:2로 킬레이션시킨 것으로, 이러한 펩타이드-구리 킬레이트 중에서 Gly-His-Lys 펩타이드에 구리를 킬레이션시킨 물질의 경우 궤양 및 상처 치료 효과가 있음을 밝힌 바가 있으며(미국특허등록 제4,767,753 및 제4,810,693), 그 이후에 Ala-His-Lys 등에 구리를 킬레이션시킨 경우 모발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미국특허등록 제 5,177,061및 제5,538,945). 그렇지만 위와 같은 특허들에서 사용된 펩타이드들은 구리를 킬레이션시킬 수는 있지만 구리의 효과 이외의 부가적인 효과를 많이 보여주지 못하며, 구리와 킬레이트를 형성하여 세포내로 전달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할 뿐이며, 사람 모유두 세포의 성장도 촉진하지 못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유효 성분에 항산화 효과를 보충하기위해 사용하는 성분으로는 비타민 C가 적절하다. 그 이유는, 비타민 C는 강력한 자외선(UV) 차단 효과, 항산화 효과, 면역체계 강화 등을 갖지만, 그 안정성 및 피부 투과율이 현저 히 떨어져, 효과에 제한이 있는데 한국 특허 제0459679호 및 한국 특허 제0691540을 통해 피부투과율 및 안정성이 개선된 비타민 C의 펩타이드 유도체가 개시되어있다.
우선, 본 발명은 비타민 C의 2번 위치에 인산기 유도체가 도입되고 5번 또는 6번 위치에 펩타이드,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생성 펩타이드가 결합되고, 금속 이온이 결합되어 있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07459625-pat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상이하고, -OH 또는
Figure 112008007459625-pat00002
이며, R1과 R2가 동시에 -OH 또는
Figure 112008007459625-pat00003
이 아니고,
X는 -OC(O)(CH2)mC(O)- 또는 -O(CH2)m'C(O)-이며,
Figure 112008007459625-pat00004
는 천연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아미노산 잔기가 아미드 결합된 펩타이드이고,
R은 상기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이며,
n은 3 내지 10의 정수이고,
m은 2 내지 5의 정수이며,
m'는 1 내지 20의 정수이고,
W는
Figure 112008007459625-pat00005
, 또는 글루코오스이며,
R3는 -N(CH3)2, -N(CH2CH3)2, -NHCH2CH2CH3, -NHCH2C6H5, 및 -OH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M은 금속 이온이다.
상기 금속 이온 M은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C 유도체와 복합체 형성이 가능한 모든 금속 이온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Zn2 + 또는 Cu2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Cu2 +이다. 상기 금속 이온은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의 어느 부위와도 결합하여 존재할 수 있으며, 펩타이드와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결합체에 존재하는 아민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포스페이트기 등과 결합하여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여러 가지 금속 성분과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금속 성분이 체내에서 다양한 생리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구리는 피부를 비롯한 여러 기관에서 다양한 생리 활성 작용을 보여주며, 특히 콜라겐, 엘라스틴,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등의 생성을 촉진한다고 보고 되어 있다 (Wegrowski, Y., 1992, Life Science, 51: 1049-1056, Maguart, F.X., 1993,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92: 2368-2376). 그러나 구리염 단독으로는 이러한 생리 활성 효과가 없거나 억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펩타이드나 기타 물질과 복합체를 형성해야만 생리 활성 효과를 보여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의 펩타이드와 결합된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에 다양한 금속을 결합시켰을 때, 그 자체의 피부 개선 효과와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과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a, 1b, 1c 또는 1d의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112008007459625-pat00006
[화학식 1b]
Figure 112008007459625-pat00007
[화학식 1c]
Figure 112008007459625-pat00008
[화학식 1d]
Figure 112008007459625-pat00009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중의
Figure 112008007459625-pat00010
는 알라닌, 글리신, 라이신, 히스티딘, 세린,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트레오닌, 아르기닌, 글루타민, 메티오닌 및 글루탐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동일하거 나 상이한 아미노산 잔기가 아미드 결합된 펩타이드이고,
상기 R은 상기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이며,
n은 3 내지 7의 정수이다.
보다 바람직한 예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
Figure 112008007459625-pat00011
는 n이 3 내지 6의 정수인 트리 내지 헥사펩타이드일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 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 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 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 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 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 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 및 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펩타이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X는 -OC(O)(CH2)mC(O)- 또는 -O(CH2)m'C(O)- 이며,
상기 m은 2 내지 4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일 수 있고, m'는 1 내지 20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X는 m이 2인 숙시닐기 또는 m'이 1인 아세틸기일 수 있다.
상기 M은 금속 이온이다.
상기 금속 이온 M은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C 유도체와 복합체 형성이 가 능한 모든 금속 이온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Zn2 + 또는 Cu2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Cu2 +이다. 상기 금속 이온은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의 어느 부위와도 결합하여 존재할 수 있으며, 펩타이드와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결합체에 존재하는 아민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포스페이트기 등과 결합하여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1a, 화학식 1b, 화학식 1c 및 화학식 1d에서, 상기 금속 이온 M은 Cu2 +이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07459625-pat00012
상기식에서,
R4 및 R5는 각각 상이하고, -OC(O)(CH2)pCH3, 또는
Figure 112008007459625-pat00013
이며, R4과 R5가 동시에 -OC(O)(CH2)pCH3 또는
Figure 112008007459625-pat00014
는 아니고,
X는 -O(CH2)mC(O)- 또는 -OC(O)(CH2)mC(O)-이며,
Figure 112008007459625-pat00015
는 천연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중에서 선택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아미노산 잔기가 아미드 결합된 펩타이드이고,
R은 상기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이며,
n은 3 내지 10의 정수이고,
m은 2 내지 5의 정수이며,
m'는 1 내지 20의 정수이고,
p는 10 내지 20의 정수이며,
W는
Figure 112008007459625-pat00016
, 또는 글루코오스이고,
R3는 -N(CH3)2, -N(CH2CH3)2, -NHCH2CH2CH3, -NHCH2C6H5, 및 -OH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이며,
M은 금속 이온이다.
상기 금속 이온 M은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C 유도체와 복합체 형성이 가능한 모든 금속 이온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Zn2 + 또는 Cu2 +이고, 더욱 바람직하 게는 Cu2 +이다. 상기 금속 이온은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의 어느 부위와도 결합하여 존재할 수 있으며, 펩타이드와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결합체에 존재하는 아민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포스페이트기 등과 결합하여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있어서,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a, 2b, 2c 또는 2d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a]
Figure 112008007459625-pat00017
[화학식 2b]
Figure 112008007459625-pat00018
[화학식 2c]
Figure 112008007459625-pat00019
[화학식 2d]
Figure 112008007459625-pat0002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 중의
Figure 112008007459625-pat00021
는 알라닌, 글리신, 라이신, 히스티딘, 세린,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트레오닌, 아르기닌, 글루타민, 메티오닌 및 글루탐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아미노산 잔기가 아미드 결합된 펩타이드이고,
R은 상기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이며,
n은 3 내지 7의 정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펩타이드
Figure 112008007459625-pat00022
는 n이 3 내지 6의 정수인 트리 내지 헵타 펩타이드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 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 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 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 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 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 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 및 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2 중의 X는 -OC(O)(CH2)mC(O)- 또는 -O(CH2)m'C(O)-이며,
m은 2 내지 5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의 정수일 수 있고,
m'은 1 내지 20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X는 m이 2인 숙시닐기 또는 m'이 1인 아세틸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OC(O)(CH2)pCH3는 p가 10 내지 20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6의 정수인 지방산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p가 14인 팔미테이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M은 금속 이온이다.
상기 금속 이온 M은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C 유도체와 복합체 형성이 가능한 모든 금속 이온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Zn2 + 또는 Cu2 +이고, 더욱 바람직하 게는 Cu2 +이다. 상기 금속 이온은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의 어느 부위와도 결합하여 존재할 수 있으며, 펩타이드와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결합체에 존재하는 아민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포스페이트기 등과 결합하여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 및 화학식 2d에서, 상기 금속 이온 M은 Cu2 +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금속 이온과 결합하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는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아스코르브산, 2-포스포-6-(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포스포-6-(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숙시닐-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리 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6-(숙시닐-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숙시닐-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포스포-6-(숙시닐-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숙시닐-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6-(숙시닐-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숙시닐-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6-(숙시닐-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숙시닐-라이신-아리기닌-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6-(숙시닐-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숙시닐-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아스코르부산, 2-포스포-6-(숙시닐-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아 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아스코르부산, 2-포스포-6-(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실-세린)-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알라닌- 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닐-아르기닌-아르기닌)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루탐산-글루 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닐)-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아스코르브산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금속 이온과 결합하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는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리실-프 롤릴-히드록시프롤린)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아스코르브산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본 명세서에 있어서, "천연 아미노산"은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메티오닌, 글리신,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타이로신,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라이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 탐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α-아미노산을 의미한다. 또한, "비-천연 아미노산" 은 핵산 코돈에 의해 암호화되지 않는 아미노산으로, 이의 예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천연 α-아미노산의 D-이성체; Aib(아미노부티르산), bAib(3-아미노이소부티르산), Nva(노르발린), β-Ala, Aad(2-아미노아디프산), bAad(3-아미노아디프산), Abu(2-아미노부티르산), Gaba(γ-아미노부티르산), Acp(6-아미노카프로산), Dbu(2,4-디아미노부티르산), α-아미노피멜산, TMSA(트리메틸실릴-Ala), alle(알로-이소류신), Nle(노르류신), 3급-Leu, Cit(시트룰린), Orn, Dpm(2,2'-디아미노피멜산), Dpr(2,3-디아미노프로피온산), α- 또는 β-Nal, Cha(사이클로헥실-Ala), 하이드록시프롤린, Sar(사코신) 등; 사이클릭 아미노산; N α-알킬화 아미노산, 예를 들어 MeGly(Nα-메틸글리신), EtGly(N α-에틸글리신) 및 EtAsn(Nα-에틸아스파라긴); 및 α-탄소가 2개의 측쇄 치환체를 갖는 아미노산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펩타이드"란 아미드 결합(또는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10 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진 폴리머를 의미한다. 상기 펩타이드는 생체내의 단백질을 추출하고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하여 저분자량화 시킨 것이거나, 유전자 재조합과 단백질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여 합성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펩타이드 합성기 등을 통하여 시험관내에서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펩타이드는 목적하는 바에 따라서 특정 원자 또는 원자단이 하이드록시기 등으로 치환된 유도체일 수 있다. 이하, 펩타이드의 COOH 말단을 C-말단, NH2 말단을 N-말단이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특히 콜라겐 생성 펩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콜라겐 펩타이드"란 콜라겐 단백질의 단편으로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거나 콜라겐 단백질의 구성요소로 사용될 수 있는 펩타이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사용 가능한 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 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 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 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 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 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 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실-세린 및 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트리 내지 헵타 펩타이드는 진피 내부에 다량 존재하는 콜라겐과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합성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특히, 펜타 펩타이드인 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Lysine-Threonine-Threonine-Lysine-Serine)는 피부결합조직과 주름형성 및 보습과 관련하여 중요한 콜라겐 타입 I의 C 말단 단편(fragment)으로써, 콜라겐을 생합성하는 세포인 섬유아세포의 세포배양에서 콜라겐 타입 I과 III 및 세포와 세포의 접착과 관련하여 세포 간 정보전달이 원활하게 되도록 도와주는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의 합성을 촉진하며(Kou Katayama et al., 1991, Biochemistry 30: 7097-7104), 콜라겐 유전자의 프로모터에 결합하여 이의 전사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Kou Katayama et al., 1993,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8(14): 9941-9944).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산, 유기산, 또는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을 포함한다. 적합한 산의 예 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과염소산, 푸마르산, 말레산, 인산, 글리콜산, 락트산, 살리실산, 숙신산, 톨루엔-p-설폰산, 타르타르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메탄설폰산, 포름산, 벤조산, 말론산, 나프탈렌-2-설폰산, 벤젠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적합한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 및 암모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아스코르브산'은 '비타민 C'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는, 기존의 비타민 C가 항산화 활성 등의 피부 상태 개선 활성이 우수하지만 안정성이 낮다는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비타민 C의 2번 탄소 위치에 인산 유도체 또는 글루코오스가 도입됨으로써 안정성이 개선된 것이며, 더욱이, 5번 또는 6번 탄소 위치에 소정의 펩타이드를 도입시켜 안정성이 더욱 개선되었으며, 특히, 상기 펩타이드가 콜라겐 생성 펩타이드인 경우에는 콜라겐에 의한 부가적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더불어,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에 구리, 아연 등의 금속 이온이 추가로 결합되면 다양한 생체 내 활성을 나타내어,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가 갖고 있던 고유의 효과에 금속 이온이 갖는 효과가 더해져서 발모 촉진 및/또는 탈모 방지 활성을 갖는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비타민 C의 2번 탄소 위치에 인산 유도체, 또는 글루코오스를 도입하고, 5번 탄소 또는 6번 탄소 위치 중 어느 하나에 -OH, 또는 탄소수 12 내지 22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다른 하나에 아미노산 잔기 3 내지 10개를 갖는 펩타이드를 도입시키며, 금속 이온과 복합체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이온은 복합체 형성이 가능한 모든 금속이온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Zn2 + 또는 Cu2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Cu2 +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 방법은
비타민 C의 2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글루코오스, 인산기 또는 하기의 화학식 8의 구조를 갖는 인산 유도체를 도입하는 단계 (이 때, 임의로, 3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벤질기 등의 보호기를 도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C의 5번 또는 6번 탄소 위치의 중 어느 하나에 하이드록시기를 생성시키고, 다른 하나에는 Y'(CH2)m'COOH(m'은 1 내지 20의 정수) 또는 HOOC(CH2)mCOOH (m은 2 내지 5의 정수)을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결합시킨 후 아미노산 잔기 3 내지 10개의 펩타이드와 아미드 결합시키는 단계; 및
금속 이온을 첨가하여 복합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의 제조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의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의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5,6-이소프로필리디엔-아스코르브산을 다음의 화학식 4의 구조를 갖는 벤질할라이드와 반응시켜 상기 5,6-이소프로필리디엔-아스코르브산의 3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벤질기를 도입시켜 다음의 화학식 5의 구조를 갖는 벤질기가 도입된 5,6-이소프로필리디엔-아스코르브산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에서 제조된 화학식 5의 구조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하기의 화학식 6의 구조를 갖는 포스포로디아미딕 할라이드와 반응시켜 2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포스포로디아미드를 도입시켜, 하기의 화학식 7의 구조를 갖는 벤질기와 포스포로디아마이드가 도입된 5,6-이소프로필리디엔-아스코르브산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에서 제조된 화학식 7의 구조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개환시킨 후, 5번 탄소 또는 6번 탄소 위치 중 어느 하나에 하이드록시기를 생성시키고, 나머지 하나에 다음의 화학식 8의 구조를 갖는 링커를 도입시켜, 다음의 화학식 9의 구조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에서 제조된 화학식 9의 구조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다음의 화학식 10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와 아미드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의 벤질기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에서 제조된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에 화학식 11의 구조를 갖는 금속 화합물과 반응하여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화학식 3]
Figure 112008007459625-pat00023
[화학식 4]
Figure 112008007459625-pat00024
[화학식 5]
Figure 112008007459625-pat00025
[화학식 6]
Figure 112008007459625-pat00026
[화학식 7]
Figure 112008007459625-pat00027
[화학식 8]
HOOC(CH2)mCOOH 또는 Y'(CH2)m'COOH
[화학식 9]
Figure 112008007459625-pat00028
[화학식 10]
Figure 112008007459625-pat00029
[화학식 11]
MZ
상기 식에서,
m은 2 내지 5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20의 정수이며,
Bn은 벤질이고,
Y와 Y'는 염소, 브롬, 불소 또는 요오드이고,
R3'는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프로필아민, 또는 벤질아민이고,
R1'과 R2'는 각각 상이하고, -OH 또는 -OC(O)(CH2)mC(O)OH 또는 -O(CH2)m'C(O)OH이며, R1'과 R2'가 동시에 -OH 또는 -OC(O)(CH2)mC(O)OH 또는 -O(CH2)m'C(O)OH가 아니며,
R은 보호되거나 보호되지 않은 천연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이고,
n은 3 내지 10의 정수이며,
M은 킬레이팅 가능한 금속 이온, 예컨대, 알칼리금속, 알칼리토금속 및 전이금속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 바람직하게는 Zn2 + 또는 Cu2 +이고,
Z는 옥사이드기, 황산기, 초산기, 또는 염소기일 수 있다.
상기 금속 이온 M은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의 어느 부위와도 결합하여 존재할 수 있으며, 펩타이드와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결합체에 존재하는 아민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포스페이트기 등과 선택적 또는 비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존재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우선, 상기 화학식3의 5,6-이소프로필리디엔-아스코르브산에 화학식 4의 벤질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벤질클로라이드(Y=염소)를 첨가하여, 3 내지 5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4 시간 동안, 4 내지 50℃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에서 반응시켜,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의 2번 탄소의 하이드록시기에 벤질기를 도입시킨다. 또한, 이와 같이 얻어진 3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벤질기가 도입된 화학식 5의 생성물에 화학식 6의 포스포로디아미딕 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N,N,N',N'-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여 5 내지 7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6 시간 동안 4 내지 70℃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에서 반응시켜, 아스코르브산의 3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벤질기가, 2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N,N,N',N'-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드가 도입된 화학식 7의 생성물을 얻는다.
상기 생성물에 산,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을 첨가하여 3 내지 5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4 시간 동안 반응시켜 5,6-이소프로필리디엔 환을 개환시키고, 화학식 8의 링커, 바람직하게는 숙신산 또는 1-브로모아세틱산을 첨가하여 15 내지 17 시간, 바람직하게는 16시간 동안, 4 내지 70℃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에서 아스코르브산과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결합시켜서, 화학식 9의 화합물을 합성한다. 그리고 나서, 수지상에서 통상적인 고상 합성법에 의하여, 보호된 펩타이드 N-말단의 NH2를 상기 디카복실산에 아미드 결합시킨 후, 보호기를 제거한다.
아와 같이 얻어진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에 화학식 11의 금속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산화구리, 황화구리, 염화구리, 초산구리, 산화아연, 황화아연, 염화아연, 또는 초산아연을 반응시켜 화학식 1의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를 제조한다.
상기 반응은 무수 조건하, 예를 들어 무수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수 유기 용매로는 통상적인 무수 유기 용매가 모두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N-메틸피롤리디논, 디클로로메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에 있어서, 축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축합제로서 DCC (N,N'-dicyclohexylcarbodiimide), HOBT (N-hydroxybenzotriazole), EDC [N-(3-dimethylaminopropyl)-N'-ethyl-carbodiimide], PyBOP (benzo -triazole-1-yl-oxy-tris-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HBTU [2-(1H-benzotriazole-1-yl)-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 phosph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의 제조 방법은,
비타민 C의 2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글루코오스, 인산기 또는 하기의 화학식 6의 구조를 갖는 인산 유도체를 도입하는 단계 (이 때, 임의로, 3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벤질기 등의 보호기를 도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C의 5번 또는 6번 탄소 위치의 중 어느 하나의 하이드록시기에 탄소수 12 내지 22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결합시키고, 다른 하나의 하이드록시기에는 Y'(CH2)m'COOH(m'는 1 내지 20의 정수) 또는 HOOC(CH2)mCOOH (m은 2 내지 5의 정수)을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결합시킨 후 아미노산 잔기 3 내지 10개의 펩타이드와 아미드 결합시키는 단계; 및
금속 이온을 첨가하여 복합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의 구리 복합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5,6-이소프로필리디엔-아스코르브산을 화학식 4의 구조를 갖는 벤질할라이드와 반응시켜, 상기 5,6-이소프로필리디엔-아스코르브산의 3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벤질기를 도입시켜, 다음의 화학식 5의 구조를 갖는 5,6-이소프로필리디엔-아스코르브산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에서 제조된 화학식 5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하기의 화학식 6의 포스포로디아미딕 할라이드와 반응시켜 2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포스포로디아미드를 도입시켜, 하기의 화학식 7의 구조를 갖는 벤질기와 포스포로디아마이드가 도입된 5,6-이소프로필리디엔-아스코르브산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에서 제조된 화학식 7의 구조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개환시킨 후, 5번 탄소 또는 6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는 하기의 화학식 12의 구조를 갖는 지방산을 반응시키고, 다른 하나는 하기의 화학식 8의 구조를 갖는 링커와 반응시켜, 하기의 화학식 13의 구조를 갖는 지방산과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결합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에서 제조된 화학식 13의 구조를 갖는 에 상기의 화학식 10의 펩타이드를 반응시켜, 상기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카르복실산과 아미드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벤질기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에서 제조된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에 화학식 11의 구조를 갖는 금속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화학식 3]
Figure 112008007459625-pat00030
[화학식 4]
Figure 112008007459625-pat00031
[화학식 5]
Figure 112008007459625-pat00032
[화학식 6]
Figure 112008007459625-pat00033
[화학식 7]
Figure 112008007459625-pat00034
[화학식 8]
HOOC(CH2)mCOOH 또는 Y'(CH2)m'COOH
[화학식 10]
Figure 112008007459625-pat00035
[화학식 11]
MZ
[화학식 12]
CH3(CH2)pCOOH
[화학식 13]
Figure 112008007459625-pat00036
상기 식에서,
m은 2 내지 5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Bn은 벤질이며,
Y와 Y'은 염소, 브롬, 불소 또는 요오드이고,
R3'는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프로필아민, 또는 벤질아민이고,
R4'와 R5'는 각각 상이하고, -OC(O)(CH2)pCH3 또는 -OC(O)(CH2)mC(O)OH 또는 -O(CH2)m'C(O)OH이며, R4'와 R5'가 동시에 -OC(O)(CH2)pCH3 또는 -OC(O)(CH2)mC(O)OH 또는 -O(CH2)m'C(O)OH는 아니며,
R은 보호되거나 보호되지 않은 천연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이고,
n은 3 내지 10의 정수이며,
p는 10 내지 20의 정수이며,
M은 킬레이팅 가능한 금속 이온, 예컨대, 알칼리금속, 알칼리토금속 및 전이금속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 바람직하게는 Zn2+ 또는 Cu2+이고,
Z는 옥사이드기, 황산기, 초산기, 또는 염소기 일 수 있으며,
상기 금속 이온 M은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의 어느 부위와도 결합하여 존재할 수 있으며, 펩타이드와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결합체에 존재하는 아민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포스페이트기 등과 선택적 또는 비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존재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우선, 상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에 화학식 4의 벤질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벤질클로라이드 (Y=염소)를 첨가하여 3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4시간 동안, 4 내지 70℃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에서 반응시켜, 아스코르브산의 3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벤질기가 도입된 화학식 5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에 포스포로디아미딕 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N,N,N',N'-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여 5 내지 7시간, 바람직하게는 6 시간 동안, 4 내지 70℃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에서 반응시켜, 아스코르브산의 3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벤질기가 도입되고, 2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N,N,N',N'-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드가 도입된 화학식 7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에 산,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을 첨가하여 3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4시간 동안 반응시켜, 5,6-이소프로필리디엔 환을 개환시킨다. 여기에, 화학식 12의 지방산, 바람직하게는 팔미트산을 첨가하여 15 내지 17시간, 바람직하게는 16시간 동안, 4 내지 70℃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에서 반응시켜, 상기 개환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5번 또는 6번 탄소의 하이드록시기과 에스테르 결합시킨다. 여기에, 화학식 8의 링커, 바람직하게는 숙신산 또는 1-브로모아테틱산 을 첨가하여 15 내지 17시간, 바람직하게는 16시간 동안, 4 내지 70℃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에서 반응시켜, 상기 개환된 아스코르브산의 5번 또는 6번 탄소의 하이드록시기 중 상기 지방산이 결합되지 않은 하이드록시기와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결합시켜서, 화학식 13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수지상에서 통상적인 고상 합성법에 의해 보호된 펩타이드의 N-말단의 NH2를 상기 디카복실산과 아미드 결합시킨 후, 탈보호화시킨다.
이와 같이 얻어진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의 결합체에 화학식 11의 금속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산화구리, 황화구리, 염화구리, 초산구리, 산화아연, 황화아연, 염화아연, 또는 초산아연을 반응시켜 화학식 2의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의 구리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반응은 무수 조건하, 예를 들어 무수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수 유기 용매로는 통상적인 무수 유기 용매가 모두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N-메틸피롤리디논, 디클로로메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에 있어서, 축합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축합제로서 DCC (N,N'-dicyclohexylcarbodiimide), HOBT (N-hydroxybenzotriazole), EDC [N-(3-dimethylaminopropyl)-N'-ethyl- carbodiimide], PyBOP (benzo -triazole-1-yl-oxy-tris-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HBTU [2-(1H-benzotriazole-1-yl)-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 phosph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축합제, 촉매, 및 용매 등은 반응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화학식 1 및 2의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는 통상의 분리, 정제 방법, 예를 들어 재결정 또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사용하여 정제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또는 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하이드록시기가 벤질기로 보호된 아스코르브산과 결합되는 펩타이드는 고상 합성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아스코르브산의 하이드록시기를 보호한 후, 보호되지 않은 하이드록시기에 선택적으 로 숙시닐기 또는 아세틸기를 도입하고, 수지상에서 전형적인 고상 합성법에 의해 합성된 펩타이드의 N-말단에 숙시닐기 또는 아세틸기가 도입된 아스코르브산을 반응시킨 후, 아스코르브산과 펩타이드의 보호기를 제거한 후, 금속 이온과 복합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 또는 2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의 금속 착화합물을 고상 또는 용액상 합성법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하기 위하여, 이를 도식화하여 하기 반응식 1 및 2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1은 특히 화학식 3a와 화학식 3c의 화합물의 금속이온 복합체 제조 과정을 나타내며, 반응식 2는 특히 화학식 3b와 화학식 3d의 화합물의 금속이온 복합체 제조 과정을 나타내며, 반응식 3은 특히 화학식 4b와 화학식 4d의 화합물의 금속이온 복합체 제조 과정을 나타내며, 반응식 4는 특히 화학식 4a와 화학식 4c의 화합물의 금속이온 복합체 제조 과정을 나타낸다.
[반응식 1]
Figure 112008007459625-pat00037
a. BnCl, K2CO3, DMF, 25℃, 4hr
b. P(O)N(CH3)2Cl, DMAP, DCM, 25℃, 6hr
c. TFA, DCM, 25℃, 4hr
d. TrtCl, TEA, DCM, 25℃, 24hr
e. 숙신산 무수물, DMAP, DCM, 25℃, 16hr
f. 고상 합성
g. TFA, 25℃, 3hr
h. 10%Pd/C, MeOH , H2, 25℃, 1hr
i. Dowex 50w-8x, H2O, 25℃, 24hr
j. Cu(II)O, H2O, 25℃, 24hr
(BnCl: 벤질클로라이드; K2CO3 : 탄산칼륨; DMF: 디메틸포름아미드; P(O)N(CH3)2Cl: 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클로라이드; DMAP:디메틸아미노피리딘; TrtCl:트리페닐메틸클로라이드; TFA: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 DCM: 디클로로메탄 ; TEA: 트리에틸아민; MeOH: 메탄올; Dowex 50w-8x:양이온 교환 수지)
[반응식 2]
Figure 112008007459625-pat00038
a. (t-Boc)2O, TEA, DCM, 25℃, 12hr
b. Dowex 50w-8x, MeOH, 60℃, 24hr
c. 숙신산 무수물, DMAP, DCM, 25℃, 16hr
d. 고상 합성
e. TFA, 실온, 3hr
f. 10%Pd/C, MeOH , H2, 25℃, 1hr
g. Dowex 50w-8x, H2O, 25℃, 24hr
h. Cu(II)O, H2O, 25℃, 24hr
((t-Boc)2O : 디tert부틸디카바메이트; TFA: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 DCM: 디클로로메탄 ; TEA: 트리에틸아민; MeOH: 메탄올; Dowex 50w-8x:양이온 교환 수지)
[반응식 3]
Figure 112008007459625-pat00039
a. CH3(CH2)14C(O)Cl, TEA, 25℃, 16hr
b. Dowex 50w-8x, MeOH, 60℃, 24hr
c. 숙신산 무수물, DMAP, DCM, 25℃, 16hr
d. 고상 합성
e. TFA, 실온, 3hr
f. 10%Pd/C, MeOH , H2, 25℃, 1hr
g. Dowex 50w-8x, H2O, 25℃, 24hr
h. Cu(II)O, H2O, 25℃, 24hr
(CH3(CH2)14C(O)Cl : 팔미토일클로라이드; TFA :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 DCM : 디클로로메탄; TEA : 트리에틸아민; MeOH : 메탄올; Dowex 50w-8x :양이온 교환 수지)
[반응식 4]
Figure 112008007459625-pat00040
a. (t-Boc)2O, TEA, DCM, 25℃, 12hr
b. Dowex 50w-8x, MeOH, 60℃, 24hr
c. CH3(CH2)14C(O)Cl, TEA, 25℃, 16hr
d. Dowex 50w-8x, MeOH, 60℃, 48hr
e. 숙신산 무수물, DMAP, DCM, 25℃, 16hr
f. 고상 합성
g. TFA, 실온, 3hr
h. 10%Pd/C, MeOH , H2, 25℃, 1hr
i. Dowex 50w-8x, H2O, 25℃, 24hr
j. Cu(II)O, H2O, 25℃, 24hr
((t-Boc)2O : 디tert부틸디카바메이트; CH3(CH2)14C(O)Cl : 팔미토일클로라이드; TFA :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 DCM : 디클로로메탄; TEA : 트리에틸아민; MeOH : 메탄올; Dowex 50w-8x :양이온 교환 수지)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자들은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가 피부 개선 효과와,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 억제 효과가 탁월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우선, 본 발명은 비타민 C의 2번 위치에 인산기 유도체가 도입되고 5번 또는 6번 위치에 펩타이드,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생성 펩타이드가 결합되고, 금속 이온이 결합되어 있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07459625-pat0004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상이하고, -OH 또는
Figure 112008007459625-pat00042
이며, R1과 R2가 동시에 -OH 또는
Figure 112008007459625-pat00043
이 아니고,
X는 -OC(O)(CH2)mC(O)- 또는 -O(CH2)m'C(O)-이며,
Figure 112008007459625-pat00044
는 천연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아미노산 잔기가 아미드 결합된 펩타이드이고,
R은 상기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이며,
n은 3 내지 10의 정수이고,
m은 2 내지 5의 정수이며,
m'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W는
Figure 112008007459625-pat00045
또는 글루코오스이고,
R3는 -N(CH3)2, -N(CH2CH3)2, -NHCH2CH2CH3, -NHCH2C6H5, 및 -OH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a', 1b', 1c' 또는 1d'의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112008007459625-pat00046
[화학식 1b']
Figure 112008007459625-pat00047
[화학식 1c']
Figure 112008007459625-pat00048
[화학식 1d']
Figure 112008007459625-pat00049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a' 내지 1b' 중의
Figure 112008007459625-pat00050
는 알라닌, 글리신, 라이신, 히스티딘, 세린,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트레오닌, 아르기닌, 글루타민, 메티오닌 및 글루탐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아미노산 잔기가 아미드 결합된 펩타이드이고,
상기 R은 상기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이며,
n은 3 내지 7의 정수이다.
보다 바람직한 예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 는 n이 3 내지 6의 정수인 트리 내지 헵타 펩타이드일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 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 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 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 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 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 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 및 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펩타이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X는 -OC(O)(CH2)mC(O)- 또는 -O(CH2)m'C(O)-이며,
상기 m은 2 내지 5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일 수 있고, m'은 1 내지 20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X는 m이 2인 숙시닐기 또는 m'이 1인 아세틸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1a' 내지 1b'의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는 X가 -O(CH2)m'C(O)-인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1).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상기 화학식 1'의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는 X가 -OC(O)(CH2)mC(O)-이고,
Figure 112008007459625-pat00051
는 알라닌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3-1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펩타이드인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2).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상기 화학식 1'의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는 X가 -OC(O)(CH2)mC(O)-이고,
Figure 112008007459625-pat00052
는 글리신, 라이신, 히스티딘, 세린,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트레오닌, 글루탐산, 메티오니느, 글루타민 및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동일하거나 상이한 3 내지 10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펩타이드인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3).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07459625-pat00053
상기식에서,
R4 및 R5는 각각 상이하고, -OC(O)(CH2)pCH3, 또는
Figure 112008007459625-pat00054
이며, R4과 R5가 동시에 -OC(O)(CH2)pCH3, 또는
Figure 112008007459625-pat00055
는 아니고,
X는 -OC(O)(CH2)mC(O)- 또는 -O(CH2)m'C(O)-이며,
Figure 112008007459625-pat00056
는 천연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중에서 선택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아미노산 잔기가 아미드 결합된 펩타이드이고,
R은 상기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이며,
n은 3 내지 10의 정수이고,
m은 2 내지 5의 정수이며,
m'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p는 10 내지 20의 정수이고,
W는
Figure 112008007459625-pat00057
또는 글루코오스이며,
R3는 -N(CH3)2, -N(CH2CH3)2, -NHCH2CH2CH3, -NHCH2C6H5, 및 -OH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있어서,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a, 2b, 2c 또는 2d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a']
Figure 112008007459625-pat00058
[화학식 2b']
Figure 112008007459625-pat00059
[화학식 2c']
Figure 112008007459625-pat00060
[화학식 2d']
Figure 112008007459625-pat0006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a' 내지 2d'중의
Figure 112008007459625-pat00062
는 알라닌, 글리신, 라이신, 히스티딘, 세린,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트레오닌, 아르기닌, 글루타민, 메티오닌 및 글루탐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아미노산 잔기가 아미드 결합된 펩타이드이고,
R은 상기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이며,
n은 3 내지 7의 정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펩타이드
Figure 112008007459625-pat00063
는 n이 3 내지 6의 정수인 트리 내지 헵타 펩타이드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 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 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 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 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 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 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 및 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화학식 2a' 내지 2d' 중의 X는 -OC(O)(CH2)mC(O)- 또는 -O(CH2)m'C(O)-이며,
m은 2 내지 5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의 정수일 수 있고,
m'은 1 내지 20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X는 m이 2인 숙시닐기 또는 m'이 1인 아세틸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OC(O)(CH2)pCH3는 p가 10 내지 20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6의 정수인 지방산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p가 14인 팔미테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2'의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는 X가 -O(CH2)m'C(O)-인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1).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상기 화학식 2'의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는 X가 -OC(O)(CH2)mC(O)-이고,
Figure 112008007459625-pat00064
는 알라닌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3-1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펩타이드인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2).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상기 화학식 2'의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는 X가 -OC(O)(CH2)mC(O)-이고,
Figure 112008007459625-pat00065
는 글리신, 라이신, 히스티딘, 세린,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트레오닌, 글루탐산, 메티오니느, 글루타민 및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동일하거나 상이한 3 내지 10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펩타이드인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3).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는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는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 라이신-세린)아스코르브산, 2-포스포-6-(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포스포-6-(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숙시닐-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6-(숙시닐-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숙시닐-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포스포-6-(숙시닐-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숙시닐-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6-(숙시닐-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숙시닐-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6-(숙시닐-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숙시 닐-라이신-아리기닌-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6-(숙시닐-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숙시닐-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아스코르부산, 2-포스포-6-(숙시닐-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아스코르부산, 2-포스포-6-(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실-세린)-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 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리신-프롤린-히드록 시프롤린)-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닐-아르기닌-아르기닌)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닐)-6-팔미틸 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아스코르브산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는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알라닌-라이 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리실-프롤릴-히드록시프롤린)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글리신-프롤린-히 드록시프롤린)아스코르브산, 2-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팔미틸-6-(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아스코르브산, 2-포스포-5-팔미틸-6-(숙시닐-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아스코르브산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본 명세서에 있어서, 천연 아미노산, 비-천연 아미노산, 펩타이드, 콜라겐 펩타이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아스코르브산의 정의는 상기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또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는, 기존의 비타민 C가 항산화 활성 및 피부 미백, 피부 재생, 주름 개선 등의 피부 상태 개선 활성이 우수하지만 안정성이 낮다는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비타민 C의 2번 탄소 위치에 인산 유도체 또는 글루코오스가 도입됨으로써 안정성이 개선된 것이며, 더욱이, 5번 또는 6번 탄소 위치에 소정의 펩타이드를 도입시켜 안정성이 더욱 개선되었으며, 특히, 상기 펩타이드가 콜라겐 생성 펩타이드인 경우에는 콜라겐에 의한 주름 개선, 탄력 부여 등의 부가적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비타민 C의 2번 탄소 위치에 인산 유도체, 또는 글루코오스를 도입하고, 5번 탄소 또는 6번 탄소 위치 중 어느 하나에 -OH, 또는 탄소수 12 내지 22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다른 하나에 아미노산 잔기 3 내지 10개를 갖는 펩타이드를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의 제조 방법은
비타민 C의 2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글루코오스, 인산기 또는 하기의 화학식 8'의 구조를 갖는 인산 유도체를 도입하는 단계 (이 때, 임의로, 3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벤질기 등의 보호기를 도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및
비타민 C의 5번 또는 6번 탄소 위치의 중 어느 하나에 하이드록시기를 생성시키고, 다른 하나에는 Y'(CH2)m'COOH(m'은 1 내지 20의 정수) 또는 HOOC(CH2)mCOOH (m은 2 내지 5의 정수)을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결합시킨 후 아미노산 잔기 3 내지 10개의 펩타이드와 아미드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의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의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5,6-이소프로필리디엔-아스코르브산을 다음의 화학식 4'의 구조를 갖는 벤질할라이드와 반응시켜 상기 5,6-이소프로필리디엔-아스코르브산의 3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벤질기를 도입시켜 다음의 화학식 5'의 구조를 갖는 벤질기가 도입된 5,6-이소프로필리디엔-아스코르브산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에서 제조된 화학식 5'의 구조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하기의 화학식 6의 구조를 갖는 포스포로디아미딕 할라이드와 반응시켜 2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포스포로디아미드를 도입시켜, 하기의 화학식 7'의 구조를 갖는 벤질기와 포스포로디아마이드가 도입된 5,6-이소프로필리디엔-아스코르브산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에서 제조된 화학식 7'의 구조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개환시킨 후, 5번 탄소 또는 6번 탄소 위치 중 어느 하나에 하이드록시기를 생성시키고, 나머지 하나에 다음의 화학식 8'의 구조를 갖는 링커를 도입시켜, 다음의 화학식 9'의 구조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에서 제조된 화학식 9'의 구조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다음의 화학식 10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와 아미드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의 벤질기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화학식 3']
Figure 112008007459625-pat00066
[화학식 4']
Figure 112008007459625-pat00067
[화학식 5']
Figure 112008007459625-pat00068
[화학식 6']
Figure 112008007459625-pat00069
[화학식 7']
Figure 112008007459625-pat00070
[화학식 8']
HOOC(CH2)mCOOH 또는 Y'(CH2)m'COOH
[화학식 9']
Figure 112008007459625-pat00071
[화학식 10']
Figure 112008007459625-pat00072
상기 식에서,
m은 2 내지 5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20의 정수이며,
Bn은 벤질이고,
Y와 Y'는 염소, 브롬, 불소 또는 요오드이고,
R3'는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프로필아민, 또는 벤질아민이고,
R1′과 R2′는 각각 상이하고, -OH 또는 -OC(O)(CH2)mC(O)OH 또는 -O(CH2)m'C(O)OH이며, R1′과 R2′가 동시에 -OH 또는 -OC(O)(CH2)mC(O)OH 또는 -O(CH2)m'C(O)OH가 아니며,
R은 보호되거나 보호되지 않은 천연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이고,
n은 3 내지 10의 정수이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우선, 상기 화학식 3'의 5,6-이소프로필리디엔-아스코르브산에 화학식 4'의 벤질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벤질클로라이드(Y=염소)를 첨가하여, 3 내지 5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4 시간 동안, 4 내지 50℃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에서 반응시켜,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의 2번 탄소의 하이드록시기에 벤질기를 도입시킨다. 또한, 이와 같이 얻어진 3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벤질기가 도입된 화학식 5'의 생성물에 화학식 6'의 포스포로디아미딕 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N,N,N',N'-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여 5 내지 7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6 시간 동안 4 내지 70℃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에서 반응시켜, 아스코르브산의 3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벤질기가, 2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N,N,N',N'-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드가 도입된 화학식 7'의 생성물을 얻는다.
상기 생성물에 산,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을 첨가하여 3 내지 5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4 시간 동안 반응시켜 5,6-이소프로필리디엔 환을 개환시키고, 화학식 8'의 링커, 바람직하게는 숙신산을 첨가하여 15 내지 17 시간, 바람직하게는 16시간 동안, 4 내지 70℃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에서 아스코르브산과 에스테르 결합시켜서, 화학식 9'의 화합물을 합성한다. 그리고 나서, 수지상에서 통상적인 고상 합성법에 의하여, 보호된 펩타 이드 N-말단의 NH2를 상기 디카복실산에 아미드 결합시킨 후, 보호기를 제거한다.
상기 반응은 무수 조건하, 예를 들어 무수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수 유기 용매로는 통상적인 무수 유기 용매가 모두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N-메틸피롤리디논, 디클로로메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에 있어서, 축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축합제로서 DCC (N,N'-dicyclohexylcarbodiimide), HOBT (N-hydroxybenzotriazole), EDC [N-(3-dimethylaminopropyl)-N'-ethyl- carbodiimide], PyBOP (benzo -triazole-1-yl-oxy-tris-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HBTU [2-(1H-benzotriazole-1-yl)-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 phosph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의 제조 방법은,
비타민 C의 2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글루코오스, 인산기 또는 하기의 화학식 6'의 구조를 갖는 인산 유도체를 도입하는 단계 (이 때, 임의로, 3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벤질기 등의 보호기를 도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C의 5번 또는 6번 탄소 위치의 중 어느 하나의 하이드록시기에 탄소수 12 내지 22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결합시키고, 다른 하나의 하이드록시기에는 Y'(CH2)m'COOH(m'는 1 내지 20의 정수) 또는 HOOC(CH2)mCOOH (m은 2 내지 5의 정수)을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결합시킨 후 아미노산 잔기 3 내지 10개의 펩타이드와 아미드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5,6-이소프로필리디엔-아스코르브산을 화학식 4'의 구조를 갖는 벤질할라이드와 반응시켜, 상기 5,6-이소프로필리디엔-아스코르브산의 3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벤질기를 도입시켜, 다음의 화학식 5'의 구조를 갖는 5,6-이소프로필리디엔-아스코르브산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에서 제조된 화학식 5'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하기의 화학식 6'의 포스포로디아미딕 할라이드와 반응시켜 2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포스포로디아미드를 도입시켜, 하기의 화학식 7'의 구조를 갖는 벤질기와 포스포로디아마이드가 도입된 5,6-이소프로필리디엔-아스코르브산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에서 제조된 화학식 7'의 구조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개환시킨 후, 5번 탄소 또는 6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는 하기의 화학식 11'의 구조를 갖는 지방산을 반응시키고, 다른 하나는 하기의 화학식 8'의 구조를 갖는 링커와 반응시켜, 하기의 화학식 12'의 구조를 갖는 지방산과 디카복실산이 에스테르 결합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에서 제조된 화학식 12'의 구조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에 상기의 화학식 10'의 펩타이드를 반응시켜, 상기 디카르복실산과 아미드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벤질기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화학식 3']
Figure 112008007459625-pat00073
[화학식 4']
Figure 112008007459625-pat00074
[화학식 5']
Figure 112008007459625-pat00075
[화학식 6']
Figure 112008007459625-pat00076
[화학식 7']
Figure 112008007459625-pat00077
[화학식 8']
HOOC(CH2)mCOOH 또는 Y'(CH2)m'COOH
[화학식 10']
Figure 112008007459625-pat00078
[화학식 11']
CH3(CH2)pCOOH
[화학식 12']
Figure 112008007459625-pat00079
상기 식에서,
m은 2 내지 5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Bn은 벤질이며,
Y와 Y'은 염소, 브롬, 불소 또는 요오드이고,
R3'는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프로필아민, 또는 벤질아민이고,
R4′와 R5′는 각각 상이하고, -OC(O)(CH2)pCH3 또는 -OC(O)(CH2)mC(O)OH 또는 -O(CH2)m'C(O)OH이며, R4′와 R5′가 동시에 -OC(O)(CH2)pCH3 또는 -OC(O)(CH2)mC(O)OH 또는 -O(CH2)m'C(O)OH는 아니며,
R은 보호되거나 보호되지 않은 천연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이고,
n은 3 내지 10의 정수이며,
p는 10 내지 20의 정수이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우선, 상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에 화학식 4'의 벤질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벤질클로라이드 (Y=염소)를 첨가하여 3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4시간 동안, 4 내지 70℃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에서 반응시켜, 아스코르브산의 3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벤질기가 도입된 화학식 5'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에 포스포로디아미딕 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N,N,N',N'-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여 5 내지 7시간, 바람직하게는 6 시간 동안, 4 내지 70℃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에서 반응시켜, 아스코르브산의 3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벤질기가 도입되고, 2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N,N,N',N'-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드가 도입된 화학식 7'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에 산,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을 첨가하여 3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4시간 동안 반응시켜, 5,6-이소프로필리디엔 환을 개환시킨다. 여기에, 화학식 12'의 지방산, 바람직하게는 팔미트산을 첨가하여 15 내지 17시간, 바람직하게는 16시간 동안, 4 내지 70℃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에서 반응시켜, 상기 개환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5번 또는 6번 탄소의 하이드록시기과 에스테르 결합시킨다. 여기에, 화학식 8'의 링커, 바람직하게는 숙신산을 첨가하여 15 내지 17시간, 바람직하게는 16시간 동안, 4 내지 70℃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에서 반응시켜, 상기 개환된 아스코르브산의 5번 또는 6번 탄소의 하이드록시기 중 상기 지방산이 결합되지 않은 하이드록시기와 에스테르 결합시켜서, 화학식 13'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수지상에서 통상적인 고상 합성법에 의해 보호된 펩타이드의 N-말단의 NH2를 상기 디카복실산과 아미드 결합시킨 후, 탈보호화시킨다.
상기 반응은 무수 조건하, 예를 들어 무수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수 유기 용매로는 통상적인 무수 유기 용매가 모두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N-메틸피롤리디논, 디클로로메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에 있어서, 축합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축합제로서 DCC (N,N'-dicyclohexylcarbodiimide), HOBT (N-hydroxybenzotriazole), EDC [N-(3-dimethylaminopropyl)-N'-ethyl- carbodiimide], PyBOP (benzo -triazole-1-yl-oxy-tris-pyrrolid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HBTU [2-(1H-benzotriazole-1-yl)-1,3,3-tetramethyluronium hexafluoro- phosph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축합제, 촉매, 및 용매 등은 반응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화학식 1' 및 2'의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는 통상의 분리, 정제 방법, 예를 들어 재결정 또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사용하여 정제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또는 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하이드록시기가 벤질기로 보호된 아스코르브산과 결합되는 펩타이드는 고상 합성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아 스코르브산의 하이드록시기를 보호한 후, 보호되지 않은 하이드록시기에 선택적으로 숙시닐기를 도입하고, 수지상에서 전형적인 고상 합성법에 의해 합성된 펩타이드의 N-말단에 숙시닐기가 도입된 아스코르브산을 반응시킨 후, 아스코르브산과 펩타이드의 보호기를 제거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와 우수한 발모 증진 및 탈모 방지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피부 자극, 감작성, 및 광독성 등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본원 발명의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의 금속 복합체, 및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는 친수성의 아스코르브산이 피부와 유사한 친유성을 갖도록 콜라겐 생성 펩타이드 등을 결합시켜 유도체화 되어 있으므로, 피부 침투력도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 피부 주름 방지용 조성물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비타민 C에 의한 피부 개선 효과에 펩타이드에 의한 콜라겐 생성 효과가 더해져서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안정성에서 문제가 되었던 비타민 C가 안정한 유도체 형태로 존재하여 그 효과가 더욱 증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경피 투여를 위하여 피부 외용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효성분의 우수한 경피 흡수성과 안정성으로 인하여, 피부 노화 방지, 주름 개선, 피부 거칠음 개선, 미백, 보습 등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우수한 피부 상태 개선 및 피부 상태 악화 억제 효과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이란 용어는 피부에 직접 적용하여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상태를 개선하거나 피부 상태의 악화를 억제하기 위해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화장료, 의약품, 특히, 연고 등의 외용 의약품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피부 화장료 또는 두발 화장료 형태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화장료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발모 증진 및/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모발 성장 촉진 또는 모발 손실 예방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다양한 탈모증 및 모발 손상의 증후가 있는 환자에게 적용하여 치료할 수 있으며, 더불어 상해, 화학 및 방사선 치료 등과 같이 탈모가 유발될 상황에 놓이기 전에 탈모 예방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사람 모유두 세포의 성장 및 분열 촉진 효과가 우수하여 (시험예 2 참조) 더욱 우수한 발모촉진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모낭에 직접 작용할 수 있도록 피부 외용 제형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 하며, 이 경우 경피내 주사용 제제 및 경피 도포용 제제로의 적용이 모두 가능하다. 본 유효 성분의 경우 우수한 경피 흡수성과 안정성으로 인하여, 발모 증진 및 탈모 개선 등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우수한 발모 상태 개선 효과와 더불어 탈모 현상의 완화 및 개선에 효과를 갖는다.
상기 발모 증진 및/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의 적용 가능한 제제의 형태는 두발 화장료, 의약품, 특히, 연고 등의 피부 의약품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의 유효성분으로서의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물질의 함량은 조성물의 적용 용도, 형태 및 목적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피부 개선용 조성물의 경우, 상기 유효 성분의 조성물 내 함량이 0.001% 미만인 경우에는 실질적인 피부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상기 범위 이상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을 0.001 내지 50%(ww),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w/w),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w/w)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모 증진 및/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의 경우, 상기 유효 성분의 조성물 내 함량이 0.00001% 미만인 경우에는 실질적인 발모 증진 및 탈모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상기 범위 이상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발모 증진 및 탈모 방지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을 0.00001 내지 50%(ww),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5%(w/w),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2 내지 1%(w/w)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발모 증진 및/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은 적용되는 형태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용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에탄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1,2,4-부탄트리올, 솔비톨에스테르, 1,2,6-헥산트리올, 벤질알코올, 이소프로판올, 부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디메틸이소소르비드, N-메틸-2-피롤리돈, 프로필렌카보네이트, 글리세레스-26, 메틸글루세스-20, 이소세틸미리스테이트,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 및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레이트 등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매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용매의 혼합비에 따라 용매에 대한 화합물의 용해도가 조금씩 다르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제품의 특성에 따라 용매의 종류 및 사용량을 알맞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적용되는 형태에 따라서 적절한 향료, 색소, 방부제, 부형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 가능한 첨가제의 종류 및 함량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내용이다.
본 발명의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외용 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품화될 수 있다. 예컨대, 피 부외용 연고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의 유효 성분 이외에 바셀린 50.0 내지 97.0중량%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0.1 내지 5.0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유연화장수로 적용되는 경우,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알콜류 1.0 내지 10.0중량% 및 폴리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등의 계면활성제 0.05 내지 2.0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영양화장수 또는 영양크림으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스쿠알렌, 바셀린, 옥틸도데칸올과 같은 오일류 5.0 내지 20.0중량% 및 에탄올, 스테아릴알콜, 밀납 등의 왁스성분 3.0 내지 15.0중량%을 함유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에센스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 다가알콜류 5.0 내지 30.0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마사지크림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유동 파라핀, 바셀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오일을 30.0 내지 70.0중량% 함유하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팩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폴리비닐알콜을 5.0 내지 20.0중량% 함유하는 필오프 팩 또는 일반 유화형 화장료에 카올린, 탈크,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의 안료가 5.0 내지 30.0 중량% 함유된 워시오프 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일반 화장료에 배합되는 통상적인 성분,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필요한 만큼 적용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발모 증진 및/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은 경피 투과를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우로켑람 유도체 및 올레인산, 모노올레이트 유도체의 에스테르 유도체, 아다팔렌, 트리티노인, 레틴알데하이드, 타자로틴, 살리실산, 아질라익산, 글라이콜산, 에톡시다이글라이콜,트윈80, 레시틴 올가노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모 증진 및 탈모 방지 조성물은 탈모 환자 및 탈모 예측 환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부가적인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모 증진 및 탈모 방지 조성물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 비듬 방지제, 각질 연화제, 혈행 촉진제, 세포 활성제, 청량제, 보습제, 항산화제, pH 조절제, 정제수 등의 보조 성분들을 첨가할 수 있으며, 적용되는 형태에 따라서 적절한 향료, 색소, 방부제, 부형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 증진 및 탈모 방지 조성물은 샴푸, 린스, 토닉, 외용 연고, 패치 등 통상 두피에 적용시킬 수 있는 모든 제형의 형태를 포함하며 이들 제형의 에어로졸 타입도 포함한다.
예컨대, 샴푸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의 유효 성분 이외에 계면활성제, 기포증진제, 유화제, 점증제, 향수제, pH 조절제, 살균제, 비듬방지제 및 일반적인 샴푸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향료, 색소, 방부제, 부형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린스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의 유효 성분 이외에 일반적인 린스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향료, 색소, 방부제, 부형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토닉으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의 유효 성분 이외 에 일반적인 토닉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향료, 색소, 방부제, 부형제 등이 포함된 용액상태 그대로 도포하는 제형 및 이를 에어로졸 형태로 제제화하여 스프레이 형태로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추진제를 위의 용액 조성물에 첨가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 때, 추진제의 예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플루오르화, 염소화 또는 클로로-플루오르화 저분자량의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피부외용 연고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의 유효 성분 이외에 바셀린 50.0 내지 97.0중량%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0.1 내지 5.0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피부외용 연고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항염증제, 살균제, 향료, 색소, 방부제, 부형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는 피부 자극 등의 독성이 없이, 콜라겐 생합성능 증가, 사람 모유두 세포의 성장 촉진 등의 효과를 부여해 주어, 탈모 상태의 개선 및 악화 억제에 매우 효과적이기 때문에, 피부 개선, 발모 촉진 및/또는 탈모 방지용 외용 의약품, 화장품 제조 등의 산업 분야에 유용한 물질이다. 또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는 피부 자극 등의 독성이 없이, 안정성, 안전성, 피부 침투력 등이 향상되어, 피부 개선, 특히 미백, 주름개선 및 피부노화방지에 매우 효과적일 뿐 아니라, 발모 촉진 및 탈 모 방지 효과도 우수하기 때문에, 피부 개선용 외용 의약품, 화장품 제조 등의 산업 분야에 유용한 물질이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3- O -벤질-2- O -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 O -트리페닐메틸-5- O -숙시닐-아스코르브산 합성
하기의 반응식에 나타난 바에 따라서, 3-O-벤질-2-O-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O-트리페닐메틸-5-O-숙시닐-아스코르브산을 제조하였다. 이하, 기재된 단계는 하기의 반응식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Figure 112008007459625-pat00080
(a) 벤질기에 의한 보호화 단계
5,6-이소프로필리디엔-L-아스코르브산(290g, 1.34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2L에 용 해시킨 후, 고체 탄산칼륨(92.7g, 0.67mol)을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에 벤질클로라이드(115g, 0.67mmol)를 가한 후, 25℃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상기 용액 중의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제거하였다. 상기 얻어진 농축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 2L에 용해시킨 후, 물 2L를 가한 후, 분액여두를 이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물에 녹는 불순물들을 제거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에 무수 황산나트륨 500g을 가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3 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가 벤질기로 보호화된 5,6-이소프로필리디엔-L-아스코르브산 300g을 얻었다.
(b) 인산 유도체의 도입 단계
상기 생성된 화합물 300g과 디메틸아미노피리딘 120g을 디클로로메탄 2L에 녹인 후, 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클로라이드 180g을 가하고, 25℃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상기 용액 중의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하였다. 상기 얻어진 농축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 2L로 녹이고, 5% 황산수소나트륨 용액 2L를 가한 후, 분액여두를 이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에 무수 황산나트륨 500g을 가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2번 탄소 위치에 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드기가 도입된 5,6-이소프로필리디엔-L-아스코르브산 300g을 얻었다.
(c) 산 첨가에 의한 개환 단계
상기 생성된 화합물 300g을 디클로로메탄 800ml에 녹인 후, 20%(v/v)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 (TFA) 200ml를 첨가하고, 25℃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서 상기 용액 중의 디클로로메탄과 TFA를 제거한 후, 재결정화하여 옅은 노란색의 반고체 형태의 개환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250g을 얻었다.
(d) 6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의 보호화 단계
상기 생성된 화합물 250g과 트리에틸아민 64g을 디클로로메탄 1L에 녹인 후, 트리페닐메틸클로라이드 180g을 가하고, 25℃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상기 용액 중의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하였다. 상기 얻어진 농축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2L로 녹이고, 5% 황산수소나트륨 용액 2L를 가한 후, 분액여두를 이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에 무수 황산나트륨 500g을 가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6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가 트리페닐메틸클로라이드로 보호화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240g을 얻었다.
(e) 5번 탄소 위치에 숙신산이 결합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합성 단계
상기 수득된 화합물 240g을 디클로로메탄 2L에 용해시키고, 디메틸아미노피리딘(1.1eq.)과 숙신산(1.2eq.)을 가한 후 16시간 동안 25℃에서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상기 용액 중의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한 후, 농축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2L로 녹이고, 5% 황산수소나트륨 용액 2L를 가한 후, 분액여두를 이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에 무수 황산나트륨 500g을 가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된 용액을 실리카 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옅은 노란색의 반 고체형태의 화합물 270g을 얻었다 (전체수율: 27.1%). 상기 얻어진 화합물을 NMR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으며, 이를 통하여, 얻어진 화합물이 3-O-벤질-2-O-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O-트리페닐 메틸-5-O-숙시닐-아스코르브산임을 확인하였다.
표제 화합물의 1HNMR (CDCl3) : 2.63(tt, 4H, CH 2CH 2COOH), 2.7(m, 12H, P(O)(N(CH 3)2)2), 3.33(tt, 2H, C-6-H 2), 4.98(s, 1H, C-5-H), 5.43(t, H, C-4-H 2), 5.53(dd, 2H, O-CH 2-Ph), 7.33(m, 20H, Ar-H)
실시예 2: 3- O -벤질-2- O -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 O -tert-부틸록시카르보닐-6- O -숙시닐-아스코르브산 합성
하기의 반응식에 나타난 바에 따라서, 3-O-벤질-2-O-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O-tert-부틸록시카르보닐-6-O-숙시닐-아스코르브산을 제조하였다. 3-O-벤질-2-O-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O-트리페닐메틸-아스코르브산의 합성 과정은 실시예 1에 따랐다. 이하, 기재된 단계는 하기의 반응식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Figure 112008007459625-pat00081
(a) 5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의 보호화 단계
3-O-벤질-2-O-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O-트리페닐메틸-아스코르브산(100g, 0.1556mol)과 트리에틸아민(18g)을 디클로로메탄 1L에 용해시킨 후, 상기 용액에 디tert부틸디카바메이트(37g)를 가한 후, 25℃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상기 용액 중의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하였다. 상기 얻어진 농축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 1L에 용해시킨 후, 5% 황산수소나트륨 용액 1L를 가한 후, 분액여두를 이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물에 녹는 불순물들을 제거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에 무수 황산나트륨 300g을 가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5 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가 tert-부틸록시카르보닐기로 보호화된 3-O-벤질-2-O-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O-tert-부틸록시카르보닐-6-O-트리페닐메틸-아스코르브산 104g을 얻었다.
(b) 6번 탄소 위치의 탈보호화 단계
상기 생성된 화합물 104g을 메틸알코올 1L에 녹인 후, 양이온 교환수지 Dowex50w-8x을 첨가하고 6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물을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메틸알코올을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농축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 1L에 녹이고,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1L를 가하고, 분액여두를 이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에 무수 황산나트륨 300g을 가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6번 탄소 위치가 탈보호화되어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63g을 얻었다.
(c) 6번 탄소 위치에 숙신산이 결합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합성 단계
상기 수득된 화합물 63g을 디클로로메탄 1L에 용해시키고, 디메틸아미노피리딘(1.1eq.)과 숙신산(1.2eq.)을 가한 후 16시간 동안 25℃에서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상기 용액 중의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한 후, 농축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1L로 녹이고, 5% 황산수소나트륨 용액 1L를 가한 후, 분액여두를 이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에 무수 황산나트륨 300g을 가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된 용액을 실리카 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옅은 노란색의 반 고체형태의 화합물 68g을 얻었다 (전체수율: 25%). 상기 얻어진 화합물을 NMR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으며, 이를 통하여, 얻어진 화합물이 3-O-벤질-2-O-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O-tert-부틸록시카르보닐-6-O-숙시닐-아스코르브산임을 확인하였다.
표제 화합물의 1HNMR (CDCl3) : 1.42(s, 9H, OC(CH 3 )3), 2.63(tt, 4H, CH 2CH 2COOH), 2.7(m, 12H, P(O)(N(CH 3)2)2), 3.33(tt, 2H, C-6-H 2), 4.98(s, 1H, C-5-H), 5.43(t, H, C-4-H 2), 5.53(dd, 2H, O-CH 2-Ph), 7.33(m, 5H, Ar-H)
실시예 3: 3- O -벤질-2- O - 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 -5- O - 팔미토일 -6- O - 숙시닐 -아스코르브산 합성
하기의 반응식에 나타난 바에 따라서, 3-O-벤질-2-O-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O-팔미토일-6-O-숙시닐-아스코르브산을 제조하였다. 3-O-벤질-2-O-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O-트리페닐메틸-아스코르브산의 합성 과정은 실시예 1에 따 랐다. 이하, 기재된 단계는 하기의 반응식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Figure 112008007459625-pat00082
(a) 5번 탄소 위치에 팔미토일기 도입 단계
3-O-벤질-2-O-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O-트리페닐메틸-아스코르브산 10g과 트리에틸아민 2g을 디클로로메탄 100ml에 녹인 후, 팔미토일클로라이드 5g를 가하고, 25℃에서 16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상기 용액 중의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하였다. 농축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 100ml에 녹이고, 5% 황산수소나트륨 용액 100ml을 가한 후, 분액여두를 이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에 무수 황산나트륨 30g을 가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5번 탄소 위치에 팔미토일기가 도입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10g을 얻었다.
(b) 6번 탄소 위치의 탈보호화 단계
상기 생성된 화합물 10g을 메틸알코올 100ml에 녹인 후, 양이온 교환수지 Dowex50w-8x을 첨가하고 6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물을 여과하 고, 감압하에서 메틸알코올을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농축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 100ml에 녹이고,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100ml을 가하고, 분액여두를 이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에 무수 황산나트륨 30g을 가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6번 탄소 위치가 탈보호화되어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5g을 얻었다.
(c) 6번 탄소 위치에 숙신산 도입 단계
상기 수득된 화합물 5g을 디클로로메탄 50ml에 용해시키고, 디메틸아미노피리딘(1.1eq.)과 숙신산(1.2eq.)을 가한 후 16시간 동안 25℃에서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상기 용액 중의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한 후, 농축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 50ml에 녹이고, 5% 황산수소나트륨 용액 50ml를 가한 후, 분액여두를 이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에 무수 황산나트륨 10g을 가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된 용액을 실리카 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옅은 노란색의 반 고체형태의 화합물 5g을 얻었다 (전체수율:13.3%). 상기 얻어진 화합물을 NMR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으며, 이를 통하여, 얻어진 화합물이 3-O-벤질-2-O-테트라메틸포스포러디아미딕-5-O-팔미토일-6-O-숙시닐-아스코르브산임을 확인하였다.
표제 화합물의 1HNMR (CDCl3) : 0.88(t, 3H, C(O)CH2(CH2)13CH 3), 1.28(m, 26H, C(O)CH2(CH 2)13CH3), 2.53(t, 2H, C(O)CH 2(CH2)13CH3), 2.59(tt, 4H, CH 2CH 2COOH), 2.7(m, 12H, P(O)(N(CH 3)2)2), 3.33(tt, 2H, C-6-H 2), 4.98(s, 1H, C-5-H), 5.43(t, H, C-4-H 2), 5.53(dd, 2H, O-CH 2-Ph), 7.33(m, 5H, Ar-H)
실시예 4: 3- O -벤질-2- O - 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 -6- O - 팔미토일 -5- O - 숙시닐 -아스코르브산 합성
하기의 반응식에 나타난 바에 따라서, 3-O-벤질-2-O-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O-팔미토일-5-O-숙시닐-아스코르브산을 제조하였다. 3-O-벤질-2-O-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O-트리페닐메틸-아스코르브산의 합성 과정은 실시예 1에 따름. 이하, 기재된 단계는 하기의 반응식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Figure 112008007459625-pat00083
(a) 5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의 보호화 단계
3-O-벤질-2-O-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O-트리페닐메틸-아스코르브산(10g, 15,56mmol)과 트리에틸아민(1.8g)을 디클로로메탄 100ml에 용해시킨 후, 상기 용액에 디tert부틸디카바메이트(3.7g)를 가한 후, 25℃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상기 용액 중의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하였다. 상기 얻어진 농축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 100ml에 용해시킨 후, 5% 황산수소나트륨 용액 100ml를 가한 후, 분액여두를 이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물에 녹는 불순물들을 제거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에 무수 황산나트륨 30g을 가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5 번 탄소 위치의 하이드록시기가 tert-부틸록시카르보닐기로 보호화된 3-O-벤질-2-O-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5-O-tert-부틸록시카르보닐-6-O-트리페닐메틸-아스코르브산 10g을 얻었다.
(b) 6번 탄소 위치의 탈보호화 단계
상기 생성된 화합물 10g을 메틸알코올 100ml에 녹인 후, 양이온 교환수지 Dowex50w-8x을 첨가하고 6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물을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메틸알코올을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농축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 100ml에 녹이고,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100ml를 가하고, 분액여두를 이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에 무수 황산나트륨 30g을 가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6번 탄소 위치가 탈보호화되어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6.3g을 얻었다.
(c) 6번 탄소 위치에 팔미토일기 도입 단계
상기 생성된 화합물 6.3g과 트리에틸아민 2g을 디클로로메탄 100ml에 녹인 후, 팔미토일클로라이드 5g를 가하고, 25℃에서 16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상기 용액 중의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하였다. 농축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 100ml에 녹이고, 5% 황산수소나트륨 용액 100ml을 가한 후, 분액여두를 이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에 무수 황산나트륨 30g을 가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6번 탄소 위치에 팔미토일기가 도입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10g을 얻었다.
(b) 5번 탄소 위치의 탈보호화 단계
상기 생성된 화합물 10g을 메틸알코올 100ml에 녹인 후, 양이온 교환수지 Dowex50w-8x을 첨가하고 60℃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물을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메틸알코올을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농축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 100ml에 녹이고,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100ml을 가하고, 분액여두를 이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에 무수 황산나트륨 30g을 가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5번 탄소 위치가 탈보호화되어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5g을 얻었다.
(e) 5번 탄소 위치에 숙신산 도입 단계
상기 수득된 화합물 5g을 디클로로메탄 50ml에 용해시키고, 디메틸아미노피리딘(1.1eq.)과 숙신산(1.2eq.)을 가한 후 16시간 동안 25℃에서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상기 용액 중의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한 후, 농축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 50ml에 녹이고, 5% 황산수소나트륨 용액 50ml를 가한 후, 분액여두를 이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에 무수 황산나트륨 10g을 가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된 용액을 실리카 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옅은 노란색의 반 고체형태의 화합물 4.8g을 얻었다 (전체수율:12%). 상기 얻어진 화합물을 NMR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으며, 이를 통하여, 얻어진 화합물이 3-O-벤질-2-O-테트라메틸포스포로디아미딕-6-O-팔미토일-5-O-숙시닐-아스코르브산임을 확인하였다.
표제 화합물의 1HNMR (CDCl3) : 0.88(t, 3H, C(O)CH2(CH2)13CH 3), 1.28(m, 26H, C(O)CH2(CH 2)13CH3), 2.53(t, 2H, C(O)CH 2(CH2)13CH3), 2.59(tt, 4H, CH 2CH 2COOH), 2.7(m, 12H, P(O)(N(CH 3)2)2), 3.33(tt, 2H, C-6-H 2), 4.98(s, 1H, C-5-H), 5.43(t, H, C-4-H 2), 5.53(dd, 2H, O-CH 2-Ph), 7.33(m, 5H, Ar-H)
실시예 5: 펩타이드 합성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펩타이드의 합성은 Fmoc(9-fluorenylmethoxycarbonyl)을 Nα-아미노산의 보호기로 사용하는 고상법에 의해 합성하였으며, HOBt-DCC (N-hydroxybenzotriazole-dicyclohexylcarodiimide) 방법에 따라 펩타이드를 연장하였다 (Wang C. Chan, Perter D. white, "Fmoc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Oxford). 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 (GHK), 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GKH), 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GPO), 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AKH), 알 라닌-히스티딘-라이신(AHK), 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KHK), 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KRK), 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KTTKS), 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EEMQRR) 펩타이드를 합성하였다.
실시예 6: 펩타이드가 결합된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의 합성
6-1: 화학식 3a의 화합물의 합성
N 말단의 아미노산까지 커플링된 상기 실시예 5에서 합성된 펩타이드(1mmol)에 20% 피페리딘/N-메틸피롤리돈(Piperidine/N-methylpyrrolidone) 용액 50ml을 가하여 Fmoc기를 제거하였다. 그리고나서, N-메틸피롤리돈과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으로 세척한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된 비타민 C 유도체를 커플링시켰다. 커플링이 끝난 후 N-메틸피롤리돈과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nane)으로 여러 번 세척한 다음, 질소 가스로 건조시켰다. 여기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 50ml를 첨가하고 25℃에서 3시간 반응시켜, 펩타이드 보호기와 비타민 C의 6번 탄소에 결합된 알코올기를 보호하고 있는 트리페닐메틸기를 제거하고, 레진으로부터 펩타이드가 결합된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를 분리시킨 다음, 디에틸에테르로 펩타이드를 침전시켰다.
비타민 C의 3번 탄소에 결합된 알코올기를 보호하고 있는 벤질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10% Pd/C 0.1g을 메탄올 50ml에 첨가하고, 수소 분위기 하에서 약 1시간 동안 25℃에서 교반한 후, 셀라이트를 사용하여 Pd/C를 제거하고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이와 같이 얻은 비타민 C 유도체는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이 포 함된 아세토나이트릴을 구배로 하여 정제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컬럼(purified reverse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lumn, Zobax, C8 300Å, 21.1mm X 25cm)을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상기 화학식 3a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가 결합된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0.5g을 합성하였다 (하기 표 1의 화합물 번호 3a-1 내지 3a-8의 화합물).
6-2: 화학식 3b의 화합물의 합성
N 말단의 아미노산까지 커플링된 상기 실시예 5에서 합성된 펩타이드(1mmol)에 20% 피페리딘/N-메틸피롤리돈(Piperidine/N-methylpyrrolidone) 용액 50ml을 가하여 Fmoc기를 제거하였다. 그리고 나서, N-메틸피롤리돈과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으로 세척한 후, 상기 실시예 2에서 합성된 비타민 C 유도체를 커플링시켰다. 커플링이 끝난 후 N-메틸피롤리돈과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nane)으로 여러 번 세척한 다음, 질소 가스로 건조시켰다. 여기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 50ml를 첨가하고 25℃에서 3시간 반응시켜, 펩타이드 보호기와 비타민 C의 5번 탄소에 결합된 알코올기를 보호하고 있는 tert부틸록시카르보닐기를 제거하고, 레진으로부터 펩타이드가 결합된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를 분리시킨 다음, 디에틸에테르로 펩타이드를 침전시켰다.
비타민 C의 3번 탄소에 결합된 알코올기를 보호하고 있는 벤질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10% Pd/C 0.1g을 메탄올 50ml에 첨가하고, 수소 분위기 하에서 약 1시간 동안 25℃에서 교반한 후, 셀라이트를 사용하여 Pd/C를 제거하고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이와 같이 얻은 비타민 C 유도체는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이 포 함된 아세토나이트릴을 구배로 하여 정제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컬럼(purified reverse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lumn, Zobax, C8 300Å, 21.1mm X 25cm)을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상기 화학식 3b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가 결합된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0.5g을 합성하였다 (하기 표 1의 화합물 번호 3b-1 내지 3b-8의 화합물).
6-3: 화학식 3c의 화합물의 합성
상기 실시예 6-1에서 합성한 화학식 1a의 화합물 0.5g을 3차 정제수 50ml에 녹이고 양이온 교환수지 Dowex50w-8x 0.5g을 첨가하고 2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여과하고 여액에 에탄올 500ml을 첨가하여 고체를 생성시키고, 여과하여 진공 건조함으로써, 상기의 화학식 3c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가 결합된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0.4g을 합성하였다 (하기 표 1의 화합물 번호 3c-1 내지 3c-8의 화합물).
6-4: 화학식 3d의 화합물의 합성
상기 실시예 6-2에서 합성한 화학식 1b의 화합물 0.5g을 3차 정제수 50ml에 녹이고 양이온 교환수지 Dowex50w-8x 0.5g을 첨가하고 2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여과하고 여액에 에탄올 500ml을 첨가하여 고체를 생성시키고, 여과하여 진공 건조함으로써, 상기의 화학식 3d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가 결합된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0.4g을 합성하였다 (하기 표 1의 화합물 번호 3d-1 내지 3d-8의 화합물).
6-5: 화학식 4a의 화합물의 합성
N 말단의 아미노산까지 커플링된 상기 실시예 5에서 합성된 펩타이드(1mmol)에 20% 피페리딘/N-메틸피롤리돈(Piperidine/N-methylpyrrolidone) 용액 50ml을 가하여 Fmoc기를 제거하였다. 그리고 나서, N-메틸피롤리돈과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으로 세척한 후, 상기 실시예 3에서 합성된 비타민 C 유도체를 커플링시켰다. 커플링이 끝난 후 N-메틸피롤리돈과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nane)으로 여러 번 세척한 다음, 질소 가스로 건조시켰다. 여기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 50ml를 첨가하고 25℃에서 3시간 반응시켜, 펩타이드 보호기를 제거하고, 레진으로부터 펩타이드가 결합된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를 분리시킨 다음, 디에틸에테르로 펩타이드를 침전시켰다.
비타민 C의 3번 탄소에 결합된 알코올기를 보호하고 있는 벤질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10% Pd/C 0.1g을 메탄올 50ml에 첨가하고, 수소 분위기 하에서 약 1시간 동안 25℃에서 교반한 후, 셀라이트를 사용하여 Pd/C를 제거하고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이와 같이 얻은 비타민 C 유도체는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이 포함된 아세토나이트릴을 구배로 하여 정제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컬럼(purified reverse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lumn, Zobax, C8 300Å, 21.1mm X 25cm)을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상기 화학식 4a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가 결합된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0.6g을 합성하였다 (하기 표 1의 화합물 번호 4a-1 내지 4a-8의 화합물).
6-6: 화학식 4b의 화합물의 합성
N 말단의 아미노산까지 커플링된 상기 실시예 5에서 합성된 펩타이드(1mmol) 에 20% 피페리딘/N-메틸피롤리돈(Piperidine/N-methylpyrrolidone) 용액 50ml을 가하여 Fmoc기를 제거하였다. 그리고 나서, N-메틸피롤리돈과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으로 세척한 후, 상기 실시예 4에서 합성된 비타민 C 유도체를 커플링시켰다. 커플링이 끝난 후 N-메틸피롤리돈과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nane)으로 여러 번 세척한 다음, 질소 가스로 건조시켰다. 여기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 50ml를 첨가하고 25℃에서 3시간 반응시켜, 펩타이드 보호기를 제거하고, 레진으로부터 펩타이드가 결합된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를 분리시킨 다음, 디에틸에테르로 펩타이드를 침전시켰다.
비타민 C의 3번 탄소에 결합된 알코올기를 보호하고 있는 벤질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10% Pd/C 0.1g을 메탄올 50ml에 첨가하고, 수소 분위기 하에서 약 1시간 동안 25℃에서 교반한 후, 셀라이트를 사용하여 Pd/C를 제거하고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이와 같이 얻은 비타민 C 유도체는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이 포함된 아세토나이트릴을 구배로 하여 정제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컬럼(purified reverse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lumn, Zobax, C8 300Å, 21.1mm X 25cm)을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상기 화학식 4b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가 결합된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0.6g을 합성하였다 (하기 표 1의 화합물 번호 4b-1 내지 4b-8의 화합물).
6-7: 화학식 4c의 화합물의 합성
상기 실시예 6-5에서 합성한 화학식 2a의 화합물 0.5g을 3차 정제수 50ml에 녹이고 양이온 교환수지 Dowex50w-8x 0.5g을 첨가하고 2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여과하고 여액에 에탄올 500ml을 첨가하여 고체를 생성시키고, 여과하여 진공 건조함으로써, 상기의 화학식 4c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가 결합된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0.5g을 합성하였다 (하기 표 1의 화합물 번호 4c-1 내지 4c-8의 화합물).
6-8: 화학식 4d의 화합물의 합성
상기 실시예 6-2에서 합성한 화학식 1b의 화합물 0.5g을 3차 정제수 50ml에 녹이고 양이온 교환수지 Dowex50w-8x 0.5g을 첨가하고 2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여과하고 여액에 에탄올 500ml을 첨가하여 고체를 생성시키고, 여과하여 진공 건조함으로써, 상기의 화학식 4d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가 결합된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0.5g을 합성하였다 (하기 표 1의 화합물 번호 4d-1 내지 4d-8의 화합물).
[표 1]
Figure 112008007459625-pat00084
Figure 112008007459625-pat00085
화합물 3a-1에 대한 1H NMR (D2O) : 0.95(m, peptide-H), 1.22(m, peptide- H), 1.55(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70(m, 12H, P(O)(N(CH 3)2)2), 3.33(tt, 2H, C-6-H 2), 4.21(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a-2에 대한 1H NMR (D2O) :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70(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a-3에 대한 1H NMR (D2O) :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70(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a-4에 대한 1H NMR (D2O) : 2.01(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70(m, 12H, P(O)(N(CH 3)2)2), 3.33(tt, 2H, C-6-H 2), 3.51(m, peptide-H), 4.09(s, 2H, peptide-H), 4.40(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a-5에 대한 1H NMR (D2O) : 0.91(m, peptide-H), 1.25(m, peptide-H), 1.70(m, peptide-H), 2.51(m, 4H, CH 2CH 2CONH), 2.70(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9(s, 2H, peptide-H), 4.56(m, peptide-H), 4.88(s, 1H, C-5-H), 5.23(t, H, C-4-H 2)
화합물 3a-6에 대한 1H NMR (D2O) : 0.90(m, peptide-H), 1.35(m, peptide-H), 1.60(m, peptide-H), 2.51(m, 4H, CH 2CH 2CONH), 2.70(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9(s, 2H, peptide-H), 4.56(m, peptide-H), 4.88(s, 1H, C-5-H), 5.23(t, H, C-4-H 2)
화합물 3a-7에 대한 1H NMR (D2O) : 0.91(m, peptide-H), 1.25(m, peptide-H), 1.70(m, peptide-H), 2.51(m, 4H, CH 2CH 2CONH), 2.70(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9(s, 2H, peptide-H), 4.56(m, peptide-H), 4.88(s, 1H, C-5-H), 5.23(t, H, C-4-H 2)
화합물 3a-8에 대한 1H NMR (D2O) : 0.91(m, peptide-H), 1.55(m, peptide-H), 2.13(m, peptide-H), 2.42(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61(m, peptide-H), 2.70(m, 12H, P(O)(N(CH 3)2)2), 3.33(tt, 2H, C-6-H 2), 4.53(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b-1에 대한 1H NMR (D2O) : 0.95(m, peptide-H), 1.22(m, peptide-H), 1.55(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70(m, 12H, P(O)(N(CH 3)2)2), 3.33(tt, 2H, C-6-H 2), 4.21(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a-9에 대한 1H NMR (D2O) : 2.01(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70(m, 12H, P(O)(N(CH 3)2)2), 3.33(tt, 2H, C-6-H 2), 3.51(m, peptide-H), 4.09(s, 2H, peptide-H), 4.40(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b-2에 대한 1H NMR (D2O) : 0.91(m, peptide-H), 1.25(m, peptide-H), 1.70(m, peptide-H), 2.51(m, 4H, CH 2CH 2CONH), 2.70(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9(s, 2H, peptide-H), 4.56(m, peptide-H), 4.88(s, 1H, C-5-H), 5.23(t, H, C-4-H 2)
화합물 3b-3에 대한 1H NMR (D2O) :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70(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b-4에 대한 1H NMR (D2O) : 2.01(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70(m, 12H, P(O)(N(CH 3)2)2), 3.33(tt, 2H, C-6-H 2), 3.51(m, peptide-H), 4.09(s, 2H, peptide-H), 4.40(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b-5에 대한 1H NMR (D2O) : 0.92(m, peptide-H), 1.35(m, peptide-H), 1.70(m, peptide-H), 2.51(m, 4H, CH 2CH 2CONH), 2.70(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9(s, 2H, peptide-H), 4.56(m, peptide-H), 4.88(s, 1H, C-5-H), 5.23(t, H, C-4-H 2)
화합물 3b-6에 대한 1H NMR (D2O) : 0.90(m, peptide-H), 1.25(m, peptide-H), 1.70(m, peptide-H), 2.51(m, 4H, CH 2CH 2CONH), 2.70(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9(s, 2H, peptide-H), 4.56(m, peptide-H), 4.88(s, 1H, C-5-H), 5.23(t, H, C-4-H 2)
화합물 3b-7에 대한 1H NMR (D2O) : 0.89(m, peptide-H), 1.25(m, peptide-H), 1.60(m, peptide-H), 2.51(m, 4H, CH 2CH 2CONH), 2.70(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9(s, 2H, peptide-H), 4.56(m, peptide-H), 4.88(s, 1H, C-5-H), 5.23(t, H, C-4-H 2)
화합물 3b-8에 대한 1H NMR (D2O) : 0.91(m, peptide-H), 1.55(m, peptide-H), 2.13(m, peptide-H), 2.42(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61(m, peptide-H), 2.70(m, 12H, P(O)(N(CH 3)2)2), 3.33(tt, 2H, C-6-H 2), 4.53(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b-9에 대한 1H NMR (D2O) : 0.92(m, peptide-H), 1.35(m, peptide-H), 1.70(m, peptide-H), 2.51(m, 4H, CH 2CH 2CONH), 2.70(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9(s, 2H, peptide-H), 4.56(m, peptide-H), 4.88(s, 1H, C-5-H), 5.23(t, H, C-4-H 2)
화합물 3c-1에 대한 1H NMR (D2O) : 0.95(m, peptide-H), 1.22(m, peptide-H), 1.55(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3.33(tt, 2H, C-6-H 2), 4.21(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c-2에 대한 1H NMR (D2O) :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c-3에 대한 1H NMR (D2O) :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c-4에 대한 1H NMR (D2O) : 2.01(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3.33(tt, 2H, C-6-H 2), 3.51(m, peptide-H), 4.09(s, 2H, peptide-H), 4.40(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c-5에 대한 1H NMR (D2O) :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66(m, peptide-H), 2.62(m, 4H, CH 2CH 2CONH), 3.17(m, peptide-H), 3.43(tt, 2H, C-6-H 2), 4.1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4(t, H, C-4-H 2)
화합물 3c-6에 대한 1H NMR (D2O) :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76(m, peptide-H), 2.62(m, 4H, CH 2CH 2CONH),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0(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c-7에 대한 1H NMR (D2O) :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56(m, peptide-H), 2.42(m, 4H, CH 2CH 2CONH), 3.17(m, peptide-H), 3.25(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6(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c-8에 대한 1H NMR (D2O) : 0.91(m, peptide-H), 1.55(m, peptide-H), 2.13(m, peptide-H), 2.42(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61(m, peptide-H), 3.33(tt, 2H, C-6-H 2), 4.53(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c-9에 대한 1H NMR (D2O) : 0.95(m, peptide-H), 1.22(m, peptide-H), 1.55(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3.33(tt, 2H, C-6-H 2), 4.21(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d-1에 대한 1H NMR (D2O) : 0.95(m, peptide-H), 1.22(m, peptide-H), 1.55(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3.33(tt, 2H, C-6-H 2), 4.21(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d-2에 대한 1H NMR (D2O) :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d-3에 대한 1H NMR (D2O) :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d-4에 대한 1H NMR (D2O) : 2.01(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3.33(tt, 2H, C-6-H 2), 3.51(m, peptide-H), 4.09(s, 2H, peptide-H), 4.40(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d-5에 대한 1H NMR (D2O) : 0.95(m, peptide-H), 1.22(m, peptide-H),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3.17(m, peptide-H), 3.4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8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d-6에 대한 1H NMR (D2O) :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76(m, peptide-H), 2.55(m, 4H, CH 2CH 2CONH),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75(m, peptide-H), 4.90(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d-7에 대한 1H NMR (D2O) : 0.90(m, peptide-H), 1.32(m, peptide-H), 1.57(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12(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d-8에 대한 1H NMR (D2O) : 0.91(m, peptide-H), 1.55(m, peptide-H), 2.13(m, peptide-H), 2.42(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61(m, peptide-H), 3.33(tt, 2H, C-6-H 2), 4.53(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3d-9에 대한 1H NMR (D2O) :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a-1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0.95(m, peptide-H), 1.22(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55(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2.70(m, 12H, P(O)(N(CH3)2)2), 3.33(tt, 2H, C-6-H 2), 4.21(m, peptide-H), 4.98(s, 1H, C- 5-H), 5.43(t, H, C-4-H 2)
화합물 4a-2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2.70(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a-3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2.70(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a-4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1.28(m, 26H, C(O)CH2(CH 2)13CH3), 2.01(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2.70(m, 12H, P(O)(N(CH 3)2)2), 3.33(tt, 2H, C-6-H 2), 3.51(m, peptide-H), 4.09(s, 2H, peptide-H), 4.40(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a-5에 대한 1H NMR (D2O) : 0.78(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25(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66(m, peptide-H), 2.6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2.51(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6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a-6에 대한 1H NMR (D2O) : 0.91(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25(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72(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2.70(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15(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a-7에 대한 1H NMR (D2O) : 0.74(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21(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7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43(t, 2H, C(O)CH 2(CH2)13CH3), 2.70(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6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a-8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0.91(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55(m, peptide-H), 2.13(m, peptide-H), 2.42(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2.61(m, peptide-H), 2.70(m, 12H, P(O)(N(CH 3)2)2), 3.33(tt, 2H, C-6-H 2), 4.53(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a-9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2.70(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b-1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0.95(m, peptide-H), 1.22(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55(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2.70(m, 12H, P(O)(N(CH 3)2)2), 3.33(tt, 2H, C-6-H 2), 4.21(m, peptide-H), 4.98(s, 1H, C- 5-H), 5.43(t, H, C-4-H 2)
화합물 4b-2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2.70(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b-3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2.70(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b-4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1.28(m, 26H, C(O)CH2(CH 2)13CH3), 2.01(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2.70(m, 12H, P(O)(N(CH 3)2)2), 3.33(tt, 2H, C-6-H 2), 3.51(m, peptide-H), 4.09(s, 2H, peptide-H), 4.40(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b-5에 대한 1H NMR (D2O) : 0.89(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44(m, peptide-H), 1.53(m, 26H, C(O)CH2(CH 2)13CH3),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2.61(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b-6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2.70(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21(tt, 2H, C-6-H 2), 4.12(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53(t, H, C-4-H 2)
화합물 4b-7에 대한 1H NMR (D2O) : 0.91(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66(m, peptide-H), 2.64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2.70(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40(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46(m, peptide-H), 4.8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b-8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0.91(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55(m, peptide-H), 2.13(m, peptide-H), 2.42(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2.61(m, peptide-H), 2.70(m, 12H, P(O)(N(CH 3)2)2), 3.33(tt, 2H, C-6-H 2), 4.53(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b-9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2.70(m, 12H, P(O)(N(CH 3)2)2),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c-1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0.95(m, peptide-H), 1.22(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55(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3.33(tt, 2H, C-6-H 2), 4.21(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c-2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c-3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c-4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1.28(m, 26H, C(O)CH2(CH 2)13CH3), 2.01(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3.33(tt, 2H, C-6-H 2), 3.51(m, peptide-H), 4.09(s, 2H, peptide-H), 4.40(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c-5에 대한 1H NMR (D2O) : 0.82(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12(m, peptide-H), 1.23(m, 26H, C(O)CH2(CH 2)13CH3), 1.66(m, peptide-H), 2.50(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3.17(m, peptide-H), 3.27(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33(t, H, C-4-H 2)
화합물 4c-6에 대한 1H NMR (D2O) : 0.81(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66(m, peptide-H), 2.53(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3.27(m, peptide-H), 3.39(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c-7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3.17(m, peptide-H), 3.4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6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c-8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0.91(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55(m, peptide-H), 2.13(m, peptide-H), 2.42(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2.61(m, peptide-H), 3.33(tt, 2H, C-6-H 2), 4.53(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c-9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d-1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0.95(m, peptide-H), 1.22(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55(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3.33(tt, 2H, C-6-H 2), 4.21(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d-2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d-3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d-4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1.28(m, 26H, C(O)CH2(CH 2)13CH3), 2.01(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3.33(tt, 2H, C-6-H 2), 3.51(m, peptide-H), 4.09(s, 2H, peptide-H), 4.40(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d-5에 대한 1H NMR (D2O) : 0.78(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d-6에 대한 1H NMR (D2O) : 0.82(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66(m, peptide-H), 2.4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d-7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27(m, 26H, C(O)CH2(CH 2)13CH3), 1.66(m, peptide-H), 2.53(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d-8에 대한 1H NMR (D2O) : 0.88(t, 3H, C(O)CH2(CH2)13CH 3), 0.91(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55(m, peptide-H), 2.13(m, peptide-H), 2.42(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2.61(m, peptide-H), 3.33(tt, 2H, C-6-H 2), 4.53(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화합물 4d-9에 대한 1H NMR (D2O) : 0.78(t, 3H, C(O)CH2(CH2)13CH 3), 0.93(m, peptide-H), 1.22(m, peptide-H), 1.28(m, 26H, C(O)CH2(CH 2)13CH3), 1.66(m, peptide-H), 2.52(m, 4H, CH 2CH 2CONH), 2.53(t, 2H, C(O)CH 2(CH2)13CH3), 3.17(m, peptide-H), 3.33(tt, 2H, C-6-H 2), 4.08(s, 2H, peptide-H), 4.55(m, peptide-H), 4.98(s, 1H, C-5-H), 5.43(t, H, C-4-H 2)
실시예 7: 펩타이드가 결합된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와 구리 이온의 복합체 제조
상기 화합물 3a-1부터 4d-1까지의 펩타이드를 각각 0.5g 씩 3차 정제수 20ml에 녹이고 Cu(II)O 0.5g을 첨가하고 2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에탄올 500ml에 첨가하여 고체를 형성시키고, 여과하여 진공 건조함으로써 상기의 화학식 1a에서 2d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의 구리 복합체 0.2내지 0.3g을 합성하였다.
시험예 1: 콜라겐 생합성능 (1)
사람의 피부 섬유아세포에 본 발명의 유효 활성 물질을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시험하였다.
생합성된 콜라겐의 측정은 ELISA assay 방법을 이용하여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100%로 하여 상대적인 콜라겐 생성능을 계산하였다. 상세한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Cambrex)는 세포 배양용 96 웰 플레이트에 3,000개의 세포수로 일정하게 분주하여 0.1% FBS(Fetal bovine serum)가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a, Gibco BRL)에서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으로 인큐베이터에서 배양되었다. 시험 물질을 각 각 10μM의 농도로 0.1% FBS가 함유된 DMEM에 녹여서, 각 각 200μl를 세포에 처리한 후 72 시간동안 배양하고, 배양 종료 후 상층액을 type 1 콜라겐 항체가 코팅되어 있는 96 웰 플레이트에 처리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0.05% tween 20이 포함된 PBS(PBST)를 이용하여 세척해 주었고, 바이오틴이 결합된 2차 항체를 96 웰 플레이트에 처리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나면 이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남아 있는 상층액을 제거하고 PBST를 이용하여 세척해 주었으며, 결합된 콜라겐을 측정하기 위하여 SA-HRP(Streptavidin-Horseradish peroxidase, Sigma)를 결합시켰다. 발색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기질로 TMB(3,3'-5,5' tetramethylbenzidine, Sigma)를 처리하여 빛이 차단된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1N 황산으로 반응을 정지시키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 (3c-1)-Cu 및 (3c-5)-Cu는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AHK),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구리 착화합물(AHK-Cu)보다 뛰어난 콜라겐 생합성능을 나타내며, 이들의 전구체인 3c-1, 3c-5과 비교했을 때에는 동등한 콜라겐 생합성능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2: 사람 모유두 세포의 성장 및 분열 촉진 효과
사람의 모유두 세포(Human Follicle dermal papilla cell:HFDPC)는 성형 수술의 부산물로 생긴 사람 두피로부터 분리, 배양된 모유두 세포를 사용하며, 주로 passage 3~4에서 존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람 모유두 세포는 10% FBS(Gibco BRL)이 포함된 DMEM(Cambrex)을 배지로 하여, 37℃, 5% CO2의 조건에서 인큐베이터에서 배양되었다.
실험 물질을 처리하기 위해, Passage 3~4로 계대 배양한 사람 모유두 세포를 세포 배양용 96 웰 플레이트에 3,000개의 세포수로 일정하게 분주하여 0.1% FBS가 함유된 DMEM 배지에서 5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으로 인큐베이터에서 배양되었 다. 실험 물질을 혈청 무첨가 DMEM에 100mM 농도로 녹여 stock을 제조하고, 이를 1μCi [3H]Thymidine, 0.1% FBS가 함유된 DMEM 배지에 희석하여 100uM 내지 1uM까지 처리한 후 3~5일 동안 37℃, 5% CO2 조건으로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이 후 PBS 및 5% cold TCA로 세포들을 세척한 후 0.1N NaOH, 1% SDS 용액으로 세포를 파쇄하고, liquid scintillation counter(Beckman)을 이용하여 세포 파쇄 용액에 포함된 방사능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 (3c-5)-Cu는 10uM 농도로 처리했을 때에도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음성대조군 대비 140% 가량의 모유두 세포 성장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구리 착화합물(AHK-Cu) 및 구리복합체가 아닌 (3c-5) 자체에서 볼 수 없었던 사람 모유두 세포의 성장 촉진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발모 효과-피내 주사
C57BL/6 쥐의 경우 성장기와 쇠퇴기가 생후 6-7주 후에 비교적 동일하게 발생되므로 발모 실험에 효과적인 모델이다.
생후 6주령 된 암컷 C57BL/6 쥐를 (주)샘타코로 부터 구입한 후, 1주일간 사육 환경에 적응시켰다 (12시간 낮/12시간 밤, 온도 24 , 습도40~50% , 먹이와 물은 자유 섭취). 7주령이 되었을 때 제모기를 이용하여 쥐 등 부위를 고르게 제모하였다. 다음 날부터 5일에 걸쳐 blank,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구리 착화합물(AHK-Cu),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구리 착화합물(AHK-Cu) + 마그네슘 아스 코빌포스페이트(MAP), 본 발명의 화합물 (3d-5)-Cu를 각각 100ug씩 피내 주사를 실시하였다. 이 후 약 10일간 관찰한 후 발모 양상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 (3c-5)-Cu 처리 시에는 모든 개체(n=5)에서 발모가 일어났으나 기존에 발모제로 사용되는 AHK-Cu 및 AHK -Cu와 안정화된 형태의 비타민 C인 MAP(magnesium ascorbyl phosphate)을 같이 처리한 경우에는 일부 개체(n=5, 발모개체=1)에서만 발모가 일어났으므로 이들 물질에 비해 현저히 증가된 발모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시험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는,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구리 착화합물(AHK-Cu), 비타민 C (VitC) 그리고 금속 복합체를 이루지 않은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와 비교할 때, 이들보다 더욱 우수한 발모 증진 효과를 가지므로, 두피에 적용 시 탈모 환자 및 탈모 가능성이 있는 환자들에게 개선된 발모 증진 및 탈모 방지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시험예 4: 콜라겐 생합성능 (2)
본 발명의 유효 활성 물질의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 중 3c-1, 3c-2, 3c-3, 3c-4, 3d-1, 4a-1 및 4c-1의 사람의 피부 섬유아세포에 처리하여 콜라겐 합성의 증진 여부를 비타민 C(Vitamin C), AHK(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 KTTKS(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와 비교하 였다.
생합성된 콜라겐의 측정은 ELISA assay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100%로 하여 상대적인 콜라겐 생성능을 계산하였다. 상세한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Dermal fibroblast neonatal, Cambrex)는 세포 배양용 96 웰 플레이트에 3,000개의 세포수로 일정하게 분주하여 0.1% FBS(Fetal bovine serum)가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a, Gibco BRL)에서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으로 인큐베이터에서 배양되었다. 시험 물질을 각 각 10μM의 농도로 0.1% FBS가 함유된 DMEM에 녹여서, 각 각 200μl를 세포에 처리한 후 72 시간동안 배양하고, 배양 종료 후 상층액을 type 1 콜라겐 항체가 코팅되어 있는 96 웰 플레이트에 처리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0.05% tween 20이 포함된 PBS(PBST)를 이용하여 세척해 주었고, 바이오틴이 결합된 2차 항체를 96 웰 플레이트에 처리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나면 이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남아 있는 상층액을 제거하고 PBST를 이용하여 세척해 주었으며, 결합된 콜라겐을 측정하기 위하여 SA-HRP(Streptavidin-Horseradish peroxidase, Sigma)를 결합시켰다. 발색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기질로 TMB(3,3'-5,5' tetramethylbenzidine, Sigma)를 처리하여 빛이 차단된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1N 황산으로 반응을 정지시키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 이, 본 발명의 화합물 3c-1, 3c-2, 3c-3, 3d-1은 비타민 C(VitC), AHK(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 및 KTTKS(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 보다 훨씬 뛰어난 콜라겐 생합성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화합물 3c-1, 3c-2, 3c-3, 3d-1은 우수한 콜라겐 생합성능을 부여해 줌으로 주름개선의 효과를 갖는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다.
시험예 2: 세포 독성 실험
화장품에 사용되는 원료로서의 1차 안전성을 검증하고자 본 발명의 화합물 3c-1, 3c-2, 3c-3, 3c-4, 3d-1, 4a-1 및 4c-1와 안정화된 비타민 C인 마그네슘 아스코빌 포스페이트(MAP), 그리고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Palmitoyl-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다. 세포 독성 확인 실험을 실시하기 위하여 3,000개의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 3,000개를 세포배양용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0.1% FBS가 함유된 DMEM(Gibco BRL)으로 37℃, 5% CO2 조건에서 배양시켰다. 측정하고자하는 시험물질을 각각 농도별로 처리하여 48시간 후 MTT assay(Mossman T., 1983,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65, 55-63)방법에 따라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3c-1, 3c-2, 3c-3, 3c-4, 3d-1, 4a-1 및 마그네슘 아스코빌 포스페이트는 1 mM 농도에서도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화합물 4c-1 및 00uM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나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에 비해서는 그 세포 독성이 약한 편이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해 팔미토일기가 첨가되지 아니한 모든 화합물의 우수한 안전성을 입증할 수 있다.
상기 시험예 4과 5에서 얻어진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펩타이드-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는, 비타민 C(VitC), AHK(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 및 KTTKS(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와 비교할 때, 이들보다 더욱 우수한 콜라겐 생합성능을 보이며, 더불어 세포 독성도 전혀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안전한 물질이므로 피부 적용 시 비타민 C 및 펩타이드의 효과에 더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기인한 추가적인 효과로 말미암아 주름개선 등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하여 피부 개선에 극대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콜라겐 생합성능 실험 결과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사람 모유두 세포증식 촉진 효과에 대한 실험 결과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마우스에서의 발모 효과에 대한 실험 결과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3c-1, 3c-2, 3c-3, 3c-4, 3d-1, 4a-1 및 4c-1와 비교 물질 비타민 C, AHK(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 및 KTTKS(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 간의 콜라겐 생합성능을 비교검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3c-1, 3c-2, 3c-3, 3c-4, 3d-1, 4a-1 및 4c-1와 비교 물질 마그네슘 아스코빌 포스페이트(MAP) 및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Palmitoyl-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 간의 세포 독성 차이를 비교검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Claims (26)

  1. 하기 화학식 1-1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
    [화학식 1-1]
    Figure 112008007531974-pat0013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상이하며, -OH 또는
    Figure 112008007531974-pat00132
    이고,
    X는 -O(CH2)m'C(O)-이고,
    Figure 112008007531974-pat00133
    는 알라닌, 글리신, 라이신, 히스티딘, 세린,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트레오닌, 글루탐산, 메티오닌, 글루타민 및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아미노산 잔기가 아미드 결합된 펩타이드이며,
    R은 상기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이고,
    n은 3 내지 10의 정수이며,
    m'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W는
    Figure 112008007531974-pat00134
    또는 글루코오스이며,
    R3는 -N(CH3)2, -N(CH2CH3)2, -NHCH2CH2CH3, -NHCH2C6H5, 및 -OH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112008007531974-pat00135
    가 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 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 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 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 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 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 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 및 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펩타이드인,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
  3. 하기 화학식 2-1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
    [화학식 2-1]
    Figure 112008007531974-pat00136
    상기식에서,
    R4 및 R5는 각각 상이하며, -OC(O)(CH2)pCH3, 또는
    Figure 112008007531974-pat00137
    이고,
    X는 -O(CH2)m'C(O)-이며,
    Figure 112008007531974-pat00138
    는 알라닌, 글리신, 라이신, 히스티딘, 세린,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트레오닌, 글루탐산, 메티오닌, 글루타민 및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아미노산 잔기가 아미드 결합된 펩타이드이며,
    R은 상기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이고,
    n은 3 내지 10의 정수이며,
    m'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p는 10 내지 20의 정수이며,
    W는
    Figure 112008007531974-pat00139
    또는 글루코오스이고,
    R3는 -N(CH3)2, -N(CH2CH3)2, -NHCH2CH2CH3, -NHCH2C6H5, 및 -OH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112008007531974-pat00140
    는 글리신-히스티딘-라이신, 글리신-라이신-히스티딘,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 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 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 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 글리신-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 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 및 글루탐산-글루탐산-메티오닌-글루타민-아르기닌-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펩타이드인,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
  5. 하기 화학식 1-2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
    [화학식 1-2]
    Figure 112008007531974-pat0014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상이하며, -OH 또는
    Figure 112008007531974-pat00142
    이고,
    X는 -OC(O)(CH2)mC(O)-이고,
    Figure 112008007531974-pat00143
    는 알라닌과, 글리신, 라이신, 히스티딘, 세린,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트레오닌, 글루탐산, 메티오닌, 글루타민 및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동일하거나 상이한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아미드 결합된 펩타이드이며,
    R은 상기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이고,
    n은 3 내지 10의 정수이며,
    m은 2 내지 5의 정수이고,
    W는
    Figure 112008007531974-pat00144
    또는 글루코오스이며,
    R3는 -N(CH3)2, -N(CH2CH3)2, -NHCH2CH2CH3, -NHCH2C6H5, 및 -OH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112008007531974-pat00145
    가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 또는 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인,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
  7. 하기 화학식 2-2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
    [화학식 2-2]
    Figure 112008007531974-pat00146
    상기 식에서,
    R4 및 R5는 각각 상이하며, -OC(O)(CH2)pCH3, 또는
    Figure 112008007531974-pat00147
    이고,
    X는 -OC(O)(CH2)mC(O)-이며,
    Figure 112008007531974-pat00148
    는 알라닌과, 글리신, 라이신, 히스티딘, 세린,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트레오닌, 글루탐산, 메티오닌, 글루타민 및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아미드 결합된 펩타이드이며,
    R은 상기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이고,
    n은 3 내지 10의 정수이며,
    m은 2 내지 5의 정수이고,
    p는 10 내지 20의 정수이며,
    W는
    Figure 112008007531974-pat00149
    또는 글루코오스이고,
    R3는 -N(CH3)2, -N(CH2CH3)2, -NHCH2CH2CH3, -NHCH2C6H5, 및 -OH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112008007531974-pat00150
    는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 또는 알라닌-라이신-히스티딘인,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12.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57495844-pat00151
    : M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상이하며, -OH 또는
    Figure 112008057495844-pat00152
    이고,
    X는 -OC(O)(CH2)mC(O)- 또는 -O(CH2)m'C(O)-이고,
    Figure 112008057495844-pat00153
    는 알라닌, 글리신, 라이신, 히스티딘, 세린,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트레오닌, 글루탐산, 메티오닌, 글루타민 및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아미노산 잔기가 아미드 결합된 펩타이드이며,
    R은 상기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이고,
    n은 3 내지 10의 정수이며,
    m은 2 내지 5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W는
    Figure 112008057495844-pat00154
    또는 글루코오스이며,
    R3는 -N(CH3)2, -N(CH2CH3)2, -NHCH2CH2CH3, -NHCH2C6H5, 및 -OH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상기 M은 Cu이고, 상기 M은 이 화합물에 존재하는 아민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또는 포스페이트기에 결합하고 있음.
  13.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57495844-pat00155
    : M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상이하며, -OH 또는
    Figure 112008057495844-pat00156
    이고,
    X는 -OC(O)(CH2)mC(O)- 또는 -O(CH2)m'C(O)-이고,
    Figure 112008057495844-pat00157
    는 알라닌, 글리신, 라이신, 히스티딘, 세린,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트레오닌, 글루탐산, 메티오닌, 글루타민 및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아미노산 잔기가 아미드 결합된 펩타이드이며,
    R은 상기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이고,
    n은 3 내지 10의 정수이며,
    m은 2 내지 5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W는
    Figure 112008057495844-pat00158
    또는 글루코오스이며,
    R3는 -N(CH3)2, -N(CH2CH3)2, -NHCH2CH2CH3, -NHCH2C6H5, 및 -OH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상기 M은 Cu이고, 상기 M은 이 화합물에 존재하는 아민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또는 포스페이트기에 결합하고 있음.
  14.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57495844-pat00159
    : M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상이하며, -OH 또는
    Figure 112008057495844-pat00160
    이고,
    X는 -OC(O)(CH2)mC(O)- 또는 -O(CH2)m'C(O)-이고,
    Figure 112008057495844-pat00161
    는 알라닌, 글리신, 라이신, 히스티딘, 세린,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트레오닌, 글루탐산, 메티오닌, 글루타민 및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아미노산 잔기가 아미드 결합된 펩타이드이며,
    R은 상기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이고,
    n은 3 내지 10의 정수이며,
    m은 2 내지 5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W는
    Figure 112008057495844-pat00162
    또는 글루코오스이며,
    R3는 -N(CH3)2, -N(CH2CH3)2, -NHCH2CH2CH3, -NHCH2C6H5, 및 -OH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상기 M은 Cu이고, 상기 M은 이 화합물에 존재하는 아민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또는 포스페이트기에 결합하고 있음.
  15.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08057495844-pat00163
    : M
    상기식에서,
    R4 및 R5는 각각 상이하며, -OC(O)(CH2)pCH3, 또는
    Figure 112008057495844-pat00164
    이고,
    X는 -OC(O)(CH2)mC(O)- 또는 -O(CH2)m'C(O)-이며,
    Figure 112008057495844-pat00165
    는 알라닌, 글리신, 라이신, 히스티딘, 세린,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트레오닌, 글루탐산, 메티오닌, 글루타민 및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아미노산 잔기가 아미드 결합된 펩타이드이며,
    R은 상기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이고,
    n은 3 내지 10의 정수이며,
    m은 2 내지 5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p는 10 내지 20의 정수이며,
    W는
    Figure 112008057495844-pat00166
    또는 글루코오스이고,
    R3는 -N(CH3)2, -N(CH2CH3)2, -NHCH2CH2CH3, -NHCH2C6H5, 및 -OH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상기 M은 Cu이고, 상기 M은 이 화합물에 존재하는 아민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또는 포스페이트기에 결합하고 있음.
  16.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용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08057495844-pat00167
    : M
    상기식에서,
    R4 및 R5는 각각 상이하며, -OC(O)(CH2)pCH3, 또는
    Figure 112008057495844-pat00168
    이고,
    X는 -OC(O)(CH2)mC(O)- 또는 -O(CH2)m'C(O)-이며,
    Figure 112008057495844-pat00169
    는 알라닌, 글리신, 라이신, 히스티딘, 세린,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트레오닌, 글루탐산, 메티오닌, 글루타민 및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아미노산 잔기가 아미드 결합된 펩타이드이며,
    R은 상기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이고,
    n은 3 내지 10의 정수이며,
    m은 2 내지 5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p는 10 내지 20의 정수이며,
    W는
    Figure 112008057495844-pat00170
    또는 글루코오스이고,
    R3는 -N(CH3)2, -N(CH2CH3)2, -NHCH2CH2CH3, -NHCH2C6H5, 및 -OH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상기 M은 Cu이고, 상기 M은 이 화합물에 존재하는 아민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또는 포스페이트기에 결합하고 있음.
  17.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금속 복합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08057495844-pat00171
    : M
    상기식에서,
    R4 및 R5는 각각 상이하며, -OC(O)(CH2)pCH3, 또는
    Figure 112008057495844-pat00172
    이고,
    X는 -OC(O)(CH2)mC(O)- 또는 -O(CH2)m'C(O)-이며,
    Figure 112008057495844-pat00173
    는 알라닌, 글리신, 라이신, 히스티딘, 세린,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트레오닌, 글루탐산, 메티오닌, 글루타민 및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아미노산 잔기가 아미드 결합된 펩타이드이며,
    R은 상기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이고,
    n은 3 내지 10의 정수이며,
    m은 2 내지 5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p는 10 내지 20의 정수이며,
    W는
    Figure 112008057495844-pat00174
    또는 글루코오스이고,
    R3는 -N(CH3)2, -N(CH2CH3)2, -NHCH2CH2CH3, -NHCH2C6H5, 및 -OH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상기 M은 Cu이고, 상기 M은 이 화합물에 존재하는 아민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또는 포스페이트기에 결합하고 있음.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080009066A 2007-03-02 2008-01-29 펩타이드-비타민c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100857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130 2007-03-02
KR20070021130 2007-03-0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108A Division KR100844515B1 (ko) 2007-03-02 2008-01-29 발모 증진용 펩타이드 유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907A KR20080080907A (ko) 2008-09-05
KR100857846B1 true KR100857846B1 (ko) 2008-09-10

Family

ID=398239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066A KR100857846B1 (ko) 2007-03-02 2008-01-29 펩타이드-비타민c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1020080009108A KR100844515B1 (ko) 2007-03-02 2008-01-29 발모 증진용 펩타이드 유도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108A KR100844515B1 (ko) 2007-03-02 2008-01-29 발모 증진용 펩타이드 유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8578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285B1 (ko) 2011-11-18 2012-07-23 에이앤펩주식회사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나이아신-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KR101579964B1 (ko) * 2014-06-23 2016-01-04 김병욱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안정화되고 피부자극이 없는 화장료 조성물
WO2019054822A1 (ko) * 2017-09-18 2019-03-21 애니젠 주식회사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0701B1 (ko) * 2018-09-27 2020-07-06 주식회사 차메디텍 비타민 c가 결합된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10882173B (zh) * 2019-12-05 2022-06-17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靶向毛囊干细胞防治脱发的外用型日化品配方
KR102576447B1 (ko) * 2022-11-14 2023-09-08 주식회사 차메디텍 열 안정성이 증대된 비타민 c-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콜라겐 형성용, 미백용 및/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4302A (ko) * 2003-04-30 2004-11-09 주식회사 펩트론 펩타이드가 결합된 비타민 씨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2006321762A (ja) * 2005-05-19 2006-11-30 Ito:Kk 化粧用組成物および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32687A1 (en) * 2004-04-26 2007-10-04 Eiko Kato Agent for Skin External Use Containing Tocopherol Derivative, Ascorbic Acid Derivative and Surface Active Agent Having Lipopeptide Structure
KR100691540B1 (ko) 2006-06-22 2007-03-12 주식회사 펩트론 펩타이드가 결합된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4302A (ko) * 2003-04-30 2004-11-09 주식회사 펩트론 펩타이드가 결합된 비타민 씨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2006321762A (ja) * 2005-05-19 2006-11-30 Ito:Kk 化粧用組成物および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907A (ko) 2008-09-05
KR100844515B1 (ko) 2008-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5152B1 (en) Stimulation of hair growth by peptide-copper complexes
ES2550145T3 (es) Péptido TGFP-CAP y sus usos
KR100857846B1 (ko) 펩타이드-비타민c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100691540B1 (ko) 펩타이드가 결합된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US10239902B2 (en) Stable peptide-conjugated ascorbic acid derivative,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PT85904B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derivados de peptidos
JPH05503939A (ja) 抗―酸化及び抗―炎症性金属:ペプチド複合体及びその使用
KR101578901B1 (ko) 발모 촉진 펩타이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405910B1 (ko) 피부 보습 펩타이드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JPS58116443A (ja) 新規ペプチドおよびその製法
KR100459679B1 (ko) 펩타이드가 결합된 비타민 씨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7183430B2 (en) Compounds which can block the response to chemical substances or thermal stimuli or mediators of inflammation of nociceptors,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CA3053321C (en) Conjugate of salicylic acid and peptide
KR102007079B1 (ko) 펩타이드를 활용한 피부의 노화 억제용 조성물 및 세포노화 억제와 주름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WO2000064926A1 (fr) Inhibiteur hormonal stimulant les melanocytes
US20070093425A1 (en) Vitamin c derivatives with peptid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CA2085603A1 (en) Derivatives of pituitary posterior lobe hormones
EA041180B1 (ru) Конъюгат салициловой кислоты и пептида
OA19296A (en) Conjugate of salicylic acid and peptide.
KR19980023897A (ko) 3-아미노프로판인산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0825999A1 (en) Amines exhibiting analgesic action, their preparation and use
HU196226B (en) Process for producing new tripeptide derivatives of antiamnesic activity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s active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