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827B1 -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 - Google Patents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827B1
KR100857827B1 KR1020060124096A KR20060124096A KR100857827B1 KR 100857827 B1 KR100857827 B1 KR 100857827B1 KR 1020060124096 A KR1020060124096 A KR 1020060124096A KR 20060124096 A KR20060124096 A KR 20060124096A KR 100857827 B1 KR100857827 B1 KR 100857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anel
airbag
insertion groove
kne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2073A (ko
Inventor
박준모
정언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4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827B1/ko
Priority to US11/938,046 priority patent/US7575247B2/en
Publication of KR20080052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60R21/2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in the lower part of dashboards, e.g. for protecting the 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는 경우 로워 판넬의 하단부의 파손을 용이하게 하여 파손된 로워 판넬의 비산을 막는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은, 상기 로워 판넬에 형성된 에어백 삽입홈; 상기 에어백 삽입홈에 설치되며 하단에 후크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에어백 하우징; 그리고 상기 로워 판넬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후크 삽입홈에 끼워져 상기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로워 판넬을 연결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로워 판넬, 후크, 파단부

Description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LOWER PANEL PROVIDED WITH KNEE AIR BA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에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에서 에어백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로워 판넬 110: 에어백 삽입홈
120: 에어백 하우징 140: 후크
150: 파단부 160: 브라켓
170: 무릎 에어백 180: 후크 삽입홈
본 발명은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는 경우 로워 판넬의 하단부의 파손을 용이하게 하여 파손된 로워 판넬의 비산을 막는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 장치는 사고시 운전자나 승객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안전 장치이다.
최근에는 운전자용 에어백 설치가 의무화되는 추세이며, 에어백 장치의 사용이 날로 증가되고 있다.
종래에는 운전석의 정면과 측면에만 에어백이 장착되어 있었다. 요즈음에는 머리를 보호하는 헤드 에어백, 다리를 보호하는 무릎 에어백, 운전자의 전방에서 작동하는 머리 받침 등 다양한 에어백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무릎 에어백은 로워 판넬에 장착되어 있었다. 차량 충돌시 에어백 하우징이 테어 라인을 따라 찢어지며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어 운전자의 무릎이 운전석 전방에 설치된 단단한 기계에 부딪히는 것을 막아 줌으로써 무릎 에어백은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한다.
종래의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에 따르면 에어백 쿠션 전개시 에어백 하우징이 로워 판넬의 치게 되고, 이에 따라 로워 판넬의 하단부가 파손되었다. 또한, 상기 로워 판넬은 여러 조각으로 파손되어 운전자에게 비산되었으며 이에 따라 운전자가 부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에어백 쿠 션 전개시 로워 판넬의 하단부에 에어백 하우징을 잡아주는 브라켓을 결합하여 에어백 하우징이 로워 판넬을 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로워 판넬이 여러 조각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로워 판넬의 하단부에 별도의 파단부를 형성하여 상기 파단부를 따라 로워 판넬이 파단되도록 함으로써 로워 판넬이 여러 조각으로 파손되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은, 상기 로워 판넬에 형성된 에어백 삽입홈; 상기 에어백 삽입홈에 설치되며 하단에 후크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에어백 하우징; 그리고 상기 로워 판넬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후크 삽입홈에 끼워져 상기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로워 판넬을 연결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워 판넬의 하단 양 측부에는 파단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로워 판넬보다 연성이 좋을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로워 판넬에 볼트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100)은 에어백 삽입홈(110), 에어백 하우징(120), 그리고 브라켓(160)을 포함한다.
에어백 삽입홈(110)은 상기 로워 판넬(100)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워 판넬(100)의 하단 양 측부로부터 에어백 삽입홈(110)까지 파단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는 경우에는 상기 로워 판넬(100)은 파단부(150)에서 파손이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로워 판넬(100)의 비산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파단부(150)는 로워 판넬(100)의 파손을 유도함으로써 비산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파단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파단부(150)의 두께는 로워 판넬(100)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파단을 유도하기 위한 파단 라인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파단부(150)에 균열을 미리 형성시킬 수도 있다.
에어백 하우징(120)은 상기 에어백 삽입홈(110)에 삽치된다.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 하우징(120)에는 무릎 에어백(170)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무릎 에어백(170)에 대응하는 위치에 'H'형상의 테오 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무릎 에어백(170)은 통상의 에어백과 마찬가지로 에어백 쿠션(도시하지 않음)을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에어백 쿠션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플레이터는 폭발하며 상기 에어백 쿠션에 가스를 급속도로 공급하게 되고, 에어백 쿠션은 전개된다. 이 경우, 상기 에어백 하우징(120)은 테오 라인을 따라 찢어지며, 상기 에어백 쿠션은 에어백 하우징(120) 외부로 전개되어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백 하우징(120)의 하단부에는 후크 삽입홈(180)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에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브라켓(1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워 판넬(100)의 하단부에 볼트 결합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160)에는 상기 후크 삽입홈(180)에 삽입되는 후크(1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140)는 상기 후크 삽입홈(180)에 탈착 가능하다.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는 경우에, 파단부(150)를 제외한 로워 판넬(100)이 파손되지 않으며 에어백 하우징(120)을 잡아주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160)은 상기 로워 판넬(100)보다 연성이 좋은 물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이 충돌하여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는 경우에, 에어백 쿠션의 전개력에 대한 반작용이 로워 판넬(100)과 에어백 하우징(120)에 가해진다. 이 경우, 상기 로워 판넬(100)은 파단부(150)에서 파손이 일어나게 되고, 에어백 하우징(120)은 브라켓(160)에 의하여 잡혀 있게 된다. 따라서, 에어백 하우징(120)이 로워 판넬(100)을 쳐서 로워 판넬(100)을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로워 판넬(100)에서 파손이 일어나는 부위를 제작자가 선정함으로써 로워 판넬(100)이 여러 조각으로 파손되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라켓이 에어백 하우징을 잡아주므로 에어백 하우징이 로워 판넬을 치는 것을 방지하여 로워 판넬이 여러 조각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는 경우 파단부에서만 파손이 일어나도록 하여 비산을 방지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에 있어서,
    상기 로워 판넬에 형성된 에어백 삽입홈;
    상기 에어백 삽입홈에 설치되며 하단에 후크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에어백 하우징; 그리고
    상기 로워 판넬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후크 삽입홈에 끼워져 상기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로워 판넬을 연결하는 브라켓;
    을 포함하되,
    상기 로워 판넬의 하단 양 측부에는 파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로워 판넬보다 연성이 좋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로워 판넬에 볼트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
KR1020060124096A 2006-12-07 2006-12-07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 KR100857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096A KR100857827B1 (ko) 2006-12-07 2006-12-07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
US11/938,046 US7575247B2 (en) 2006-12-07 2007-11-09 Lower panel provided with knee air b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096A KR100857827B1 (ko) 2006-12-07 2006-12-07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073A KR20080052073A (ko) 2008-06-11
KR100857827B1 true KR100857827B1 (ko) 2008-09-10

Family

ID=39497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096A KR100857827B1 (ko) 2006-12-07 2006-12-07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75247B2 (ko)
KR (1) KR1008578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288B1 (ko) * 2018-06-20 2023-05-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무릎 에어백 장치의 장착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0922U (ko) * 1995-03-11 1996-10-22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커버구조
JP2003205814A (ja) * 2002-01-11 2003-07-22 Toyoda Gosei Co Ltd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4338585A (ja) 2003-05-16 2004-12-02 Toyoda Gosei Co Ltd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20050052010A1 (en) 2003-09-05 2005-03-10 Best Michael James Structural knee bols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3497B1 (en) * 1998-08-07 2001-04-10 Delphi Technologies, Inc. Inflatable knee bolster
DE60314189T2 (de) * 2002-01-11 2008-02-07 Toyoda Gosei Co., Ltd. Knieschutzairbagvorrichtung
JP3900033B2 (ja) * 2002-07-18 2007-04-04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7261318B2 (en) * 2003-12-01 2007-08-28 Autoliv Asp, Inc. Knee airbag and glove box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0922U (ko) * 1995-03-11 1996-10-22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커버구조
JP2003205814A (ja) * 2002-01-11 2003-07-22 Toyoda Gosei Co Ltd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4338585A (ja) 2003-05-16 2004-12-02 Toyoda Gosei Co Ltd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20050052010A1 (en) 2003-09-05 2005-03-10 Best Michael James Structural knee bol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073A (ko) 2008-06-11
US7575247B2 (en) 2009-08-18
US20080136147A1 (en)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7781B2 (ja) インビジブルエアーバック装置
KR20210059986A (ko) 에어백 시스템
KR102095565B1 (ko) 운전석 에어백
KR20090063497A (ko)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쿠션 구조
KR100857827B1 (ko) 무릎 에어백이 장착된 로워 판넬
KR100844560B1 (ko) 에어백 장치
JP3916030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100026791A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0633138B1 (ko) 차량용 에어백 도어
JP2007008471A (ja) 乗員脚部保護装置
KR101430194B1 (ko)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 모듈
JP4409212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778589B1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KR100949907B1 (ko) 커튼 에어백 장착용 브래킷
KR100820406B1 (ko) 크러시패드 로어패널의 비산 방지장치
KR20080017718A (ko) 에어백 장치
JP2008149930A (ja) 車両用脚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KR101709183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571841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200398232Y1 (ko) 차량용 헤드 레스트의 에어백 장치
JP3633330B2 (ja) 自動車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515712B1 (ko) 조수석 에어백의 하우징 커버
KR100783932B1 (ko) 조수석 에어백모듈
KR20240044805A (ko) 차량용 안전장치
KR100564357B1 (ko) 조수석 에어백의 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