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805A - 차량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805A
KR20240044805A KR1020220124270A KR20220124270A KR20240044805A KR 20240044805 A KR20240044805 A KR 20240044805A KR 1020220124270 A KR1020220124270 A KR 1020220124270A KR 20220124270 A KR20220124270 A KR 20220124270A KR 20240044805 A KR20240044805 A KR 20240044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frame
vehicle
unit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1020220124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805A/ko
Publication of KR20240044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8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83Adjustable supports, e.g. the mounting or the characteristics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7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to safety arrangements or their actuating means, e.g. to pyrotechnic fuses or electro-mechan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13Means for detecting collision, impending collision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73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automatically movable to an operative position, e.g. in case of collision or impending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엔진과 결합되는 마운팅부와, 마운팅부와 프레임부를 결합하는 고정부와, 차량의 정면충돌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프레임부와 마운팅부 사이에 배치되고 감지부의 작동신호가 감지되면 마운팅부를 하방으로 밀어내는 이탈부를 포함하여, 엔진에 의한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방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엔진의 하향 이동을 유도하여 엔진에 의한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하는 차량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은 운전석 전방에 배치되는 엔진룸 내부에 설치된다. 즉, 엔진은 크로스멤버 상에서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지지(4점지지,3점지지 또는 토크롤축 지지방식)되어 있다. 이러한 엔진은 연료가 연소되면서 동력을 제공하여 엔진축을 회전시킨다.
그러나, 차량의 전방 충돌시 엔진룸 내의 높은 위치에 설치된 엔진이 그대로 운전석으로 밀려들어와 운전자 및 승객에게 치명적인 상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059487호(1998.10.07. 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의 엔진 마운팅 구조)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전방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엔진의 하향 이동을 유도하여 엔진에 의한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하는 차량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엔진과 결합되는 마운팅부; 상기 마운팅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결합하는 고정부; 차량의 정면충돌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마운팅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의 작동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마운팅부를 하방으로 밀어내는 이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전방프레임부; 상기 전방프레임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프레임부; 및 상기 전방프레임부와 상기 후방프레임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팅부는 상기 엔진과 결합되는 마운팅결합부; 상기 마운팅결합부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마운팅연장부; 및 상기 마운틴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마운팅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는 프레임부에 장착되어 충돌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는 운전석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마운팅부 사이에 배치되는 이탈케이스부; 및 상기 이탈케이스부에 내장되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마운팅부를 밀어내는 이탈전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전개부는 상기 이탈케이스부에 포개어져 보관되는 전개쿠션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개쿠션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전개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는 엔진이 장착되는 마운팅부가 고정부에 의해 프레임부의 하방에 고정되고, 프레임부와 마운팅부 사이에 배치되는 이탈부가 마운팅부를 낙하시켜 엔진에 의한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가 마운팅부와 프레임부를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감지부가 프레임부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감지부가 운전석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감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부에 의해 마운팅부가 프레임부에서 이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가 마운팅부와 프레임부를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1)는 프레임부(10)와, 마운팅부(20)와, 고정부(30)와, 감지부(40)와, 이탈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0)는 차체에 장착되고, 마운팅부(20)는 프레임부(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엔진(100)과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엔진(100)은 프레임부(10) 사이에 배치되고, 엔진부(100)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마운팅부(20)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프레임부(1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고정부(30)는 마운팅부(20)와 프레임부(10)를 결합할 수 있다. 일예로, 고정부(30)는 프레임부(10)에 나사 결합되고 마운팅부(20)를 고정하는 볼트가 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볼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가 프레임부(10)의 상측에 거치될 수 있다.
감지부(40)는 차량의 정면충돌을 감지할 수 있다. 일예로, 감지부(40)는 엔진(100)의 전방에 배치되고,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차량 충돌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감지부(40)는 이탈부(50)에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탈부(50)는 프레임부(10)와 마운팅부(20) 사이에 배치되고, 감지부(40)의 작동신호가 감지되면 마운팅부(20)를 하방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일예로, 이탈부(50)는 유압이나 공압에 의해 자체 부피가 팽창될 수 있으며, 자체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이탈부(50)에 의해 마운팅부(2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마운팅부(20)가 결합된 엔진(100)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엔진(100)에 의한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10)는 전방프레임부(11)와, 후방프레임부(12)와, 연결프레임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10)는 차체의 엔진룸에 고정 설치되어 운전석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전방프레임부(11)와 후방프레임부(12)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전방프레임부(11)의 후방에 후방프레임부(12)가 배치되며, 후방프레임부(12)의 후방에 운전석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부(13)는 전방프레임부(11)와 후방프레임부(12)를 연결할 수 있다. 일예로, 연결프레임부(13)는 전방프레임부(11)의 좌우 양단부와 후방프레임부(12)의 좌우 양단부를 각각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부(20)는 마운팅결합부(21)와, 마운팅연장부(22)와, 마운팅체결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팅결합부(21)는 엔진(100)과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4개의 마운팅결합부(21)는 엔진(100)의 가장자리 측면 또는 저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마운팅연장부(22)는 마운팅결합부(21)에서 프레임부(10)의 하방으로 연장된다. 일예로, 4개의 마운팅연장부(22) 중에서 일부는 전방프레임부(11)의 상부에 안착되고, 나머지는 후방프레임부(1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 외, 4개의 마운팅연장부(22) 중 일부는 전방프레임부(11)의 하부에 배치되고, 나머지는 후방프레임부(1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마운팅체결부(23)는 마운틴연장부(22)의 단부에 형성되고, 고정부(30)에 의해 프레임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마운팅체결부(23)는 원통 형상을 하여 고정부(30)의 몸통을 통과시킬 수 있다. 고정부(30)의 머리는 마운팅체결부(23)에 걸려 마운팅체결부(23)를 지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감지부가 프레임부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감지부(40)는 프레임부(10)에 장착되어 충돌을 감지할 수 있다. 일예로, 감지부(40)는 전방프레임부(11)에 장착되고, 전방프레임부(11)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가압을 감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감지부가 운전석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감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감지부(40)는 운전석 에어백(200)의 전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40)는 차량 충돌을 감지하여 운전석 에어백(200)에 작동신호를 제공하는 에어백센서부(210)와 연계되거나, 에어백센서부(210)로 대체될 수 있다그 외, 감지부(40)는 운전석 에어백(200)에서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부(220)의 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부에 의해 마운팅부가 프레임부에서 이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부(50)는 이탈케이스부(51)와 이탈전개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케이스부(51)는 프레임부(10)와 마운팅부(20) 사이에 배치된다. 일예로, 이탈케이스부(51)는 하부케이스부(511)와, 하부케이스부(511)를 커버하는 상부케이스부(512)와, 하부케이스부(511)를 마운팅부(20)에 고정하거나, 상부케이스부(512)를 프레임부(10)에 고정하는 케이스고정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케이스부(51)의 중앙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고정부(30)가 통과할 수 있다.
이탈전개부(52)는 이탈케이스부(51)에 내장되고, 감지부(4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마운팅부(20)를 밀어낸다. 일예로, 이탈전개부(52)는 이탈케이스부(51)에 내장되어 평상시 외부 환경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전개부(52)는 자체 길이가 변경되거나 부피가 늘어나 고정부(30)가 프레임부(10)에서 이탈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전개부(52)는 전개쿠션부(521)와 전개공급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전개쿠션부(521)는 이탈케이스부(51)에 포개어져 보관되고, 전개쿠션부(521)에 가스를 공급하는 전개공급부(522)는 감지부(30)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전개공급부(522)는 이탈케이스부(51)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의 조립 및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100)에 마운팅부(20)를 장착하고, 마운팅부(20)를 프레임부(10)의 하부에 위치시킨 다음, 고정부(30)를 이용하여 프레임부(10)와 마운팅부(20)를 결합한다. 이때, 프레임부(10)와 마운팅부(20) 사이에 이탈부(50)를 배치시키고, 이탈부(50)와 감지부(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신호가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감지부(40)가 차량의 전면 충돌 여부를 감지하면, 감지부(40)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이탈부(50)가 팽창된다. 이로 인해 고정부(30)와 프레임부(10)간의 결합이 해제되므로, 마운팅부(20) 및 마운팅부(20)와 결합된 엔진(100)이 하강한다.
엔진(100)이 하강하면, 전면 충돌 사고로 인해 엔진(100)에 의한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1)는 엔진(100)이 장착되는 마운팅부(20)가 고정부(30)에 의해 프레임부(10)의 하방에 고정되고, 프레임부(10)와 마운팅부(20) 사이에 배치되는 이탈부(50)가 마운팅부(20)를 낙하시켜 엔진(100)에 의한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프레임부 11 : 전방프레임부
12 : 후방프레임부 13 : 연결프레임부
20 : 마운팅부 21 : 마운팅결합부
22 : 마운팅연장부 23 : 마운팅체결부
30 : 고정부 40 : 감지부
50 : 이탈부 51 : 이탈케이스부
52 : 이탈전개부

Claims (7)

  1.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엔진과 결합되는 마운팅부;
    상기 마운팅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결합하는 고정부;
    차량의 정면충돌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마운팅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의 작동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마운팅부를 하방으로 밀어내는 이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전방프레임부;
    상기 전방프레임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프레임부; 및
    상기 전방프레임부와 상기 후방프레임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는
    상기 엔진과 결합되는 마운팅결합부;
    상기 마운팅결합부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마운팅연장부; 및
    상기 마운틴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마운팅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프레임부에 장착되어 충돌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운전석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마운팅부 사이에 배치되는 이탈케이스부; 및
    상기 이탈케이스부에 내장되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마운팅부를 밀어내는 이탈전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전개부는
    상기 이탈케이스부에 포개어져 보관되는 전개쿠션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개쿠션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전개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
KR1020220124270A 2022-09-29 2022-09-29 차량용 안전장치 KR202400448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270A KR20240044805A (ko) 2022-09-29 2022-09-29 차량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270A KR20240044805A (ko) 2022-09-29 2022-09-29 차량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805A true KR20240044805A (ko) 2024-04-05

Family

ID=9071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270A KR20240044805A (ko) 2022-09-29 2022-09-29 차량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48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9734B1 (en) A Safety Arrangement
EP2143962B1 (en) Connecting device arranged in a motor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547173B1 (ko) 에어백 장치의 쿠션
US20100230935A1 (en) Vehicle airbag module
CN114929528B (zh) 叉状远侧安全气囊组件
US5054810A (en) Vehicle with a safety system
US20070057498A1 (en) Airbag device
EP1481857B1 (en) Occupant knee part protective device for vehicle
KR100495037B1 (ko)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2007076613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構造
KR20240044805A (ko) 차량용 안전장치
KR20030096520A (ko) 도어 부착용 외부부착구가 없는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KR100698682B1 (ko) 에어백장치
US20050023859A1 (en) Impact load transfer element
KR100745636B1 (ko) 자동차 사이드에어백 홀더
KR101637206B1 (ko) 에어백 장치
KR100510361B1 (ko) 측면 에어백용 하우징
KR0151632B1 (ko) 충돌시 뒷좌석 탑승객 보호장치
KR100622119B1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0452846B1 (ko) 차량용 에어백 하우징
JPH0752739A (ja) 車両の衝突検知センサ−の取付構造
KR100599835B1 (ko) 차량의 시트백프레임 분리구조
KR100504285B1 (ko) 헤드레스트 에어백
KR20220167991A (ko) 에어백모듈
JPH04300776A (ja) 自動車の運転乗員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