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5037B1 -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037B1
KR100495037B1 KR1019970032369A KR19970032369A KR100495037B1 KR 100495037 B1 KR100495037 B1 KR 100495037B1 KR 1019970032369 A KR1019970032369 A KR 1019970032369A KR 19970032369 A KR19970032369 A KR 19970032369A KR 100495037 B1 KR100495037 B1 KR 100495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ness
seat
vehicle
airbag
airba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870A (ko
Inventor
겐지 사타니
요시유키 이와모토
가즈히로 마츠하시
Original Assignee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80008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06Mounting of electrical components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유닛(21)을 시트(1)내의 상기 시트(1)와 가까운 사이드 도어쪽의 측부에 배설하는 경우에, 시트(1)의 그 사이드 도어쪽 측부가 자동차의 좌우방향 중앙쪽으로 변형하는 측면충돌이 발생했다고 해도, 그 에어백 유닛(21)에 접속된 제1하니스(51)에 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제1하니스(51)의 보호성을 더한층 향상시킨 것이다.
에어백 유닛(21)을 시트백(3)내에 배설하고, 제1하니스(51)를 시트백(3)내에 있어서 에어백 유닛(21)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한 후, 시트백(3) 하부를 자동차의 좌우방향 중앙쪽으로 연장되도록 배선(配索)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륵히 에어백 유닛에 전개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하니스를 보호하는 기술분야에 속하는 것이다.
종래, 에어백 유닛을 조타핸들에 배설하여 차량의 정면충돌시에 탑승자의 안전을 도로하는 것은 많이 알려져 있다. 한편, 최근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6-64491호 공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트내의 측부에 에어백 유닛을 배설하여, 차량 측부에의 충돌시 탑승자의 측방에서 에어백을 전개시키고, 그 전개된 에어백으로 측면충돌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백 유닛은 통상 시트내의 상기 시트에 가까운 사이드 도어쪽 측부에 배설된다. 즉, 에어백을 탑승자와 그 탑승자와 가까운 사이드 도어 사이로 전개시킴으로써 탑승자가 사이드 도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에어백 유닛을 시트와 가까운 사이드 도어쪽 측부에 배설하는 경우, 그 에어백 유닛에 기폭제어장치로부터의 전개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하니스를 그 에어백 유닛과 같은 사이드 도어쪽에 배선(配索)하는 것이 간단한다. 그러나, 이 경우 시트의 그 사이드 도어쪽 측부가 차량의 좌우방향 중앙쪽으로 변형하는 것과 같은 측면 충돌이 일어났을 때, 그 시트의 변형에 따라 하니스가 팽팽해질 우려가 있는데, 이와 같은 측면충돌에 대한 하니스의 보호성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다는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에어백 유닛을 시트내의 상기 시트에 가까운 사이드 도어쪽의 측부에 배설하는 경우에, 하니스의 배선방법을 개량함으로써, 시트의 그 사이드 도어쪽 측부가 차량의 좌우방향 중앙쪽으로 변형하는 측면충돌이 발생하더라도, 하니스에 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하니스의 보호성을 더한층 향상시키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니스를 에어백 유닛으로부터 시트내에 있어서 차량의 좌우방향 중앙쪽에 배선하도록 했다.
구체적으로는, 청구항1의 발명에서는 시트내의 상기 시트에 가까운 사이드 도어쪽 측부 근방부에 소정 방향쪽으로 배설된 에어백 유닛과, 상기 에어백 유닛에 기폭제어장치로부터의 전개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배선되는 하니스를 구비한 사이드 에어백장치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니스는 시트내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유닛으로부터 차량의 좌우방향 중앙쪽으로 연장하도록 배선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시트의 상기 시트와 가까운 사이드 도어쪽의 측부가 차량의 좌우방향 중앙쪽으로 변형하는 측면충돌이 발생한 경우에도 시트의 변형에 따라 하니스는 느슨하게 변형되므로, 하니스에 장력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니스의 보호성을 더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2의 발명에서는,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에어백 유닛은 시트백내에 배설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시트백의 측부는 탑승자를 좌우방향에서 서포트하기 위한 전방으로 부풀어오른 사이드 서포트부이므로, 비교적 커다란 공간에 에어백유닛을 배설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의 승차감을 저해하지 않고 에어백 유닛을 시트내에 수용할 수 있다.
청구항3의 발명에서는, 청구항2의 발명에 있어서 하니스는 시트백내에 있어서 에어백 유닛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한 후, 시트백내 하부를 차량의 좌우방향 중앙쪽으로 연장하도록 배선되는 있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하니스는 시트백내를 차량의 좌우방향 중앙쪽으로 연장하도록 배선되어 있으므로, 시트에 있어서의 시트백의 상기 시트에 가까운 사이드 도어쪽 측부가 차량의 좌우방향 중앙쪽으로 변형하는 측면충돌이 발생한 경우에도, 시트백의 변형에 따라 하니스는 확실하게 느슨해져서 팽팽해지는 인장되는 일은 없다. 또, 하니스는 시트백내 하부를 차량의 좌우방향 중앙쪽으로 연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탑승자가 시트백에 기대더라도 그 하중이 하니스에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통상 사용시 하니스의 보호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4의 발명에서는 청구항3의 발명에 있어서 시트백내 하부에 있어서 하니스는 시트백 프레임을 따라 배선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하니스의 배선지지 혹은 보호가 시트백 프레임에 의해 간단, 용이, 그리고 확실하게 행해진다.
청구항5의 발명에서는 제4항의 발명에 있어서 시트백 프레임의 하부에는 그의 좌우방향에 시트백 프레임을 따라 연장되는 하니스 취부부재가 장착되고, 하니스는 이 하니스 장착부재를 따라 배선됨과 동시에, 이 하니스 장착부재에 장착되는 것으로 한다.
이에따라 하니스의 배선지지, 혹은 보호가 하니스 장착부재에 의해 간단, 용이, 그리고 확실하게 행해진다.
청구항6의 발명에서는 제1항의 발명에 있어서 에어백 유닛은 시트 쿠션내에 배설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시트 쿠션의 측부는 탑승자를 좌우방향에서부터 서포트하기 위한 상측으로 부풀어오른 사이드 서포트부이므로, 그 내부의 비교적 커다란 스퓨즈에 에어백 유닛을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2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7의 발명에서는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6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시트 쿠션의 하부면 프론트부에 에어백 유닛측으로부터 연장된 하니스와 기폭제어장치로부터 연장된 하니스를 접속하기 위한 커플러가 배설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하니스는 시트와 떨어진 장소에 배치되어 있는 기폭제어장치와 접속되지만, 그 도중에 커플러가 배설되어 있으므로, 미리 시트에 부착된 에어백 유닛쪽으로부터 연장된 하니스와 커플러를 접속한 상태에서 그 커플러를 시트에 장착해 두고, 시트의 차량에 대한 부착시 기폭제어장치쪽으로부터 연장된 시트밖의 하니스를 그 커플러에 접속하면 된다. 그리고, 그 커플러는 시트 쿠션의 하부면 프론트부에 배설되어 있으므로, 기폭제어장치로부터 연장된 하니스를 쉽게 커플러에 접속할 수 있다. 게다가, 그 시트의 바로 뒤쪽의 시트에 앉아 있는 탑승자가 발을 뻗었을 때 그 발이 커플러에 닿지 않는다. 따라서, 통상 사용시에 있어서 하니스 및 커플러의 보호성을 향상시키면서 시트나 하니스의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8의 발명에서는 제7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커플러는 좌우의 슬라이더사이에 배설되는 것으로 한다.
이에따라 커플러는 좌우의 슬라이더사이에 배설되도록 되므로, 외부로 부터의 보호가 확실하게 행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관한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장치에 있어서의 에어백 유닛(21)이 배설된 자동차의 앞좌석 좌측 시트(1)를 나타내며(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자동차의 전후좌우를 간단히 전후좌우라 한다), 이 시트(1)는 시트 쿠션(2), 시트백(3) 및 헤드 레스트(4)를 가진다. 상기 시트 쿠션(2)의 좌우 양단부의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더(7)(7)가 각각 배설되며, 이 각 슬라이더(7)는 전후부에서 레일장착부재(10)(10)를 통해 플로어에 고정한 좌우의 각 안내레일(8)에 계합되어 시트(1)의 전후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있다. 또, 시트 쿠션(2)의 후부에는 너클부재(9)가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가능하게 배설되며, 이 너클부재(9)를 통해 시트백(3)이 시트 쿠션(2)에 대해 상기 회전축(11) 주변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시트백(3)의 각도조정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헤드 레스트(4)는 대체로
Figure pat00012
자형상으로 된 프레임(5)을 가지며, 그 프레임의 양단부는 헤드 레스트(4)의 하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이 헤드 레스트(4)는 그 프레임(5)의 양단부가 상기 시트백(3)의 상단면에 형성한 2개의 구멍에 각각 끼워져 시트백(3)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시트백(3)내의 후부 외주부에는 스틸제 파이프재로 이루어진 프레임형상의 시트백 프레임(13)이 설치되고, 시트백 프레임(13)의 상부에는 상기 헤드 레스트(4)의 하단면으로부터 돌출된 프레임(5) 양단부와 각각 감합되어 헤드 레스트(4) 상하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2개의 헤드 레스트 조절부재(14)(14)가 폴 가이드 서포트 프레임에 장착고정되어 있다.
상기 시트백프레임(13)의 좌우 양측부 사이에는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백프레임(13)보다 가는 직경의 와이어재로 이루어진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5개의 와이어 프레임(18, 18…)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각 와이어 프레임(18)은 그 양단부가 시트백프레임(13)의 좌우 양측부 앞쪽에 각각 용접에 의해 장착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각 와이어 프레임(18)보다 앞쪽에는 패드(15)가 배설되고, 이 패트(15)는 탑승자가 시트백(3)에 기댔을 때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각 와이어 프레임(1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 이 패드(15)는 그 단부가 시트백프레임(13)의 외측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아들어가게 되어 그 시트백프레임(13)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패드(15)는 발포우레탄층(17)과 그 발포우레탄층(17)의 시트 외측 표면쪽의 발포우레탄층(17)보다 부드러운 우레탄층(16)으로 이루어진다. 이 패드(15)에 있어서 우레탄층(16)의 시트 외측 표면은 얇은 천으로 이루어진 표피재(19)로 덮여져 있다. 또, 와이어 프레임(18)의 후방에는 시트백 프레임(13) 근방을 제외하고 패드(15)는 없으며, 시트백(3)의 후부는 표피재(19)로 덮여져 있을 뿐이다.
상기 시트 쿠션(2)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측으로 부풀어오른 사이드서포트부(2a)(2a)가, 또 시트백(3)의 좌우 양단부에는 전방으로 부풀어오른 사이드 서포트부(3a)(3a)가 각각 배설되어, 탑승자가 좌우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서포트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상기 시트백(3)에 있어서 그 시트(1)에 가까운 사이드 도어쪽의 측부 즉 좌측의 사이드서포트부(3a)내에 에어백 유닛(21)이 배설되어 있다. 에어백 유닛(21)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U자형상의 리어쿠션캔(22)을 가지며, 이 리어쿠션캔(22)내에는 안쪽에 점화부와 폭약을 내장한 원통 캔 형상의 인플레이터(23)와, 또 개구쪽으로 접혀진 에어백(24)이 각각 수용되어 있다. 상기 리어쿠션캔(22)의 개구는 에어백의 전개에 의해 쉽게 찢어지는 종이(25)로 막혀져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23)의 점화부에는 제1하니스(51)가 접속되고, 그 제1하니스(5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폭제어장치로서의 좌측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61)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 좌측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61)는 가속도 센서(도시생략)와 접속되어 있으며, 그 가속도 센서가 자동차의 좌측부에 대한 측면충돌을 검지하면 제어장치(61)는 점화신호를 상기 인플레이터(23)에 공급하게 되어 있고, 그 점화신호에 의해 점화부가 점화되어 폭약이 고속연소하는데, 그 때 발생하는 다량의 가스에 의해 에어백(24)이 팽창전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 유닛(21)은 그 리어쿠션캔(22)의 개구방향이 전방에 대해 좌측으로 기울어지고 또 그 길이방향이 시트백(3)의 상하방향과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시트백(3)내에 있어서의 에어백 유닛(21)보다 외측에는 시트백(3)의 측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브래킷 프레임부재(30)가 배설되고, 이 브래킷 프레임부재(30)는 그 후부가 상기 시트백 프레임(13)에 장착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유닛(21)은 그 리어쿠션캔(22)의 측면에 배설한 장착부재(26)를 통해 상하 2쌍의 볼트(27)(27) 및 너트(28)(28)로 상기 브래킷 프레임부재(30)에 체결되어 있다. 또, 상기 브래킷 프레임부재(30)는 그 하부에서 상기 시트쿠션(2)에 설치된 너클부재(9)에 2쌍의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어 있다.
상기 패드(15)의 시트내측 표면부에 있어서의 에어백 유닛(21)에 대응하는 부위 즉 에어택 유닛(21)에 있어서의 리어쿠션캔(22) 개구의 대략 전방부위에는 에어백(24)의 전개압을 받아서 상기 패드(15)가 확개 파단하기 시작하는 기점부가 되는 절단홈부(33)가 배설되고, 이 절단홈부(33)가 다른 부분보다 취약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 절단홈부(33)는 에어백 유닛(21)의 리어쿠션캔(22)과 시트백(3)의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체로 같은 높이의 위치에 또 대체로 같은 길이에 걸쳐서 배설되어 있다.
한편, 상기 표피재(19)에 있어서의 상기 절단홈부(33)의 대체로 연장선상의 개소에는 파단하기 쉬운 솔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백(24)이 전개할 때 그 전개압에 의해 패드(15)가 그 절단홈부(33)로부터 파단하기 시작하고, 그 절단홈부(33)와 표피재(19)의 솔기부를 잇는 선을 따라 패드(15) 및 표피재(19)가 파단 확개되고, 그 부분으로부터 에어백(24)이 시트백(3)의 외부로 전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24)은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개되었을 때 상하방향으로 긴 대체로 구형상을 이루며, 탑승자와 좌측 사이드 도어(40) 사이에서 탑승자의 복부로부터 두부에 걸쳐서 전개하도록 되어 있다.
또, 패드(15)의 시트 내측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절단홈부(33)로부터 에어백 유닛(21) 측방에는 펠트부재(38)가 패드(15)의 발포우레탄층(17)과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에어백(24)이 전개하여 패드(15)가 확개파단되었을 때 그 패드(15)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에어백 유닛(21)에 있어서의 리어쿠션캔(22)이 진동 등으로 인해 패드(15)의 발포우레탄층(17)과 스침으로써 이음(異音)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상기 시트백 프레임(13) 하부의 상측 근방에는 좌우방향 중앙부(50a)가 그 시트백프레임(13) 하부와 대체로 평행하게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하니스장착부재(50)가 배설되고, 이 하니스 장착부재(50)는 그 좌우 양단 근방부에 각각 좌우방향쪽으로 경사지고 상측으로 연장된 경사부(50b)(50b)를 가지며, 상기 에어백 유닛(21)의 하측 근방위치에 상당하는 높이의 부분에서, 상기 각 와이어 프레임(18)과 같이 시트백프레임(13)의 좌우부 앞쪽에 장착고정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 유닛(21)에 있어서의 인플레이터(23)에 접속되어 있는 제1하니스(51)는 그 인플레이터(23)의 하부로부터 상기 하니스 장착부재(50)의 좌측단부(도4에서는 우측단부) 근방의 경사부(50b)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 후, 시트백(3)내 하부를 하니스 장착부재(50)의 중앙부(50a)를 따라 자동차의 좌우방향 중앙쪽 측부(우측 측부)까지 연장하도록 배선되어 있다. 즉, 상기 제1하니스(51)는 시트(1)의 시트백(3)내에 있어서 에어백 유닛(21)으로부터 차량의 좌우방향 중앙쪽으로 연장하도록 배선되어 있다. 또, 상기 제1하니스(51)는 하니스 장착부재(50)의 중앙부(50a)와 경사부(50b)에 수지제 밴드(55)(55)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하니스(51)는 시트백(3)의 우측 측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그 시트백(3)으로부터 시트쿠션(2)내에 들어가고,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시트쿠션(2)내의 우측 측부를 상기 우측 슬라이더(7)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선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하니스(51)는 시트쿠션(2) 하부면의 프론트부에서 좌측으로 구부러져서 시트쿠션(2)의 하부면 프론트부에 있어서의 좌우방향 대략 중앙부에 장착 고정한 커플러(53)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플러(53)는 상기 좌측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61)쪽으로부터 연장된 제2하니스(52)와 상기 제1하니스(51)를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대체로 구형 박스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 상기 제1하니스(51)는 시트쿠션의 측부에 있어서의 우측 슬라이더(7)와 하부면에 수지제의 클립(55)(55)을 끼워넣음으로써 시트쿠션(2)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하니스(52)는 그 일단부가 상기 커플러(53)의 제1하니스(51)가 접속되어 있는 측면과 반대쪽 측면에 접속되어 시트쿠션(2) 하측의 플로어내로 연장되며, 타단부가 상기 좌측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61)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제2하니스(52)에 있어서의 커플러(53)와 플로어 사이의 부분은 시트(1)의 전후 위치가 앞쪽이 되었을 때라도 제2하니스(52)에 장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트(1)의 전후위치가 뒷쪽일 때 원호형상으로 느슨해지도록 되어 있다.
도9는 이 자동차에 탑재되어 있는 에어백장치의 전체 배치 및 접속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면의 상측이 자동차의 앞쪽이다. 상기 사이드 에어백장치가 앞좌석 좌측시트(1)와 마찬가지로 우측시트에도 배설되어 있으며, 이 우측의 사이드에어백장치는 우측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61)에 의해 제어된다. 이들 좌우 양측의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61)(61)는 각각 앞좌석 좌우의 시트 근방에 배설되어 있다. 62는 자동차의 앞쪽 충돌시에 좌우 양측의 시트에 앉아 있는 탑승자의 전방에서 에어백을 전개시키도록 제어하는 프론트 에어백 제어장치로서, 자동차 프론트부의 좌우방향 대략 중앙부에 배설되어 있다. 이들 각 제어장치(61)(62)는 각각 우측 맨앞에 배치한 배터리(63)와 좌측 프론트부에 배치한 퓨즈박스(64)를 통해 각 전원라인(65)으로 접속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퓨즈박스(64)와 좌우 양측의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61)(61)를 접속하는 전원라인(65)은 상기 퓨즈박스(64)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된 후, 자동차의 좌우방향 중앙부를 후방으로 퍼지며, 좌우로 나뉘어서 각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61)에 접속되어 있다. 또, 좌우 양측의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61)(61)무리 및 좌측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61)와 프론트 에어백 제어장치(62)가 서로 통신라인(66)(66)으로 접속되어, 좌우 양측의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61)(61)의 고장진단결과가 이 각 통신라인(66)에 의해 프론트 에어백 제어장치(62)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제어장치(61)(62)에서 고장이라 진단되었을 때, 프론트 에어백 제어장치(62)는 워닝램프(67)를 점등시켜서 그 뜻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측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61)와 프론트 에어백 제어장치(62)를 접속하는 통신라인(66)도 상기 전원라인(65)과 같이 자동차의 좌우방향 중앙부에 배선되며, 그 중앙부에서 전원라인(65)과 통신라인(66)이 서로 묶여져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측면충돌에 의해 에어백(24)이 전개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자동차의 좌측부에 대한 측면충돌을 가속도 센서가 검지하면, 좌측의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61)가 점화신호를 제2하니스(52), 커플러(53) 및 제1하니스(51)의 순으로 인플레이터(23)의 점화부에 공급하여 점화부가 점화된다. 이로써 인플레이터(23)내의 폭약이 고속연소하여 에어백(24)에 다량의 가스가 공급되면서, 에어백(24)이 팽창전개하려고 한다. 그리고, 이 에어백(24)은 그 전개압에 의해 리어쿠션캔(22) 개구부를 막고 있는 종이(25)를 찢으며 패드(15)를 시트 외측으로 민다. 이 때문에, 패드(15)는 그 취약한 부분 즉 절단홈부(33)로부터 확개파단되기 시작하고, 절단홈부(33)와 표피재(19)의 솔기부를 잇는 선을 따라 패드(15) 및 표피재(19)가 확개파단되고, 그 곳으로부터 에어백(24)이 시트백(3) 외부의 탑승자와 사이드 도어(40) 사이로 전개된다.
이 때 제1하니스(51)는 시트백(2)내에 있어서 에어백 유닛(21)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후, 시트백(3)내 하부를 우측으로 연장하도록 배선되어 있으므로, 시트백(3)의 좌측 측부에 있어서의 하부나 시트쿠션(2)의 좌측 측부가 우측으로 변형하는 측면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제1하니스(51)는 시트(1)의 변형에 따라 느슨해지도록 변형되므로, 제1하니스(51)에 장력이 걸리지 않는다. 또한, 제1하니스(51)는 시트백(3) 하부에 배선되어 있으므로, 탑승자가 시트백(3)에 기대더라도 그 하중이 그 제1하니스(51)에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통상의 사용시 제1하니스(51)의 보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측면충돌시 제1하니스(51)의 보호성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퓨즈박스(64)와 좌우 양측의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61)(61)를 접속하는 전원라인(65) 및 좌측의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61)와 프론트 에어백 제어장치(62)를 접속하는 통신라인(66)이 자동차의 좌우방향 대략 중앙부에 배선되어 있으므로, 이들 전원라인(65) 및 통신라인(66)의 단선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또 이들 전원라인(65) 및 통신라인(66)은 서로 묶여져 있으므로, 배선을 삭감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에어백 유닛(21)이 시트백(3)내 그 시트(1)에 가까운 사이드 도어쪽 즉 좌측의 사이드 서포트부(3a)에 배설되며, 제1하니스(51)가 에어백 유닛(21)으로부터 시트백(3)내에 있어서 우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배선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의 좌측부에 대한 측면충돌에 의해 시트(1)의 좌측부가 우측으로 변형되는 경우에도 제1하니스(51)에 장력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측면충돌시 제1하니스(51)의 보호성을 더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에어백 유닛(21)이 시트백(3)의 사이드 서포트부(3a)내에 배설되고, 그 사이드 서포트부(3a)내에는 비교적 커다란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에어백 유닛(21)을 쉽게 시트(1)내에 배설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의 승차감을 희생하지 않고 에어백 유닛(21)을 시트(1)내에 수용할 수 있다.
또, 시트쿠션(2)의 하부면 프론트부에 에어백 유닛(21)쪽으로부터 연장된 제1하니스(51)와 좌측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61)쪽으로부터 연장된 제2하니스(52)를 접속하기 위한 커플러(53)가 배설되어 있으므로, 미리 시트(1)에 부착된 에어백 유닛(21)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하니스(51)와 커플러(53)를 접속한 상태에서 그 커플러(53)를 시트(1)에 장착해 두고, 시트(1)의 자동차에 대한 부착시, 제어장치(61)쪽으로부터 연장된 제2하니스(52)를 그 커플러(53)에 접속하면 된다. 그리고, 그 커플러(53)는 시트쿠션(2)의 하부면 프론트부에 배설되어 있으므로, 제2하니스(52)를 단단히 커플러(53)에 접속할 수 있다. 또, 그 시트(1) 바로 뒷쪽의 시트에 앉아 있는 탑승자가 발을 뻗었을 때 그 발이 커플러(53)에 닿지 않는다. 따라서, 통상 사용시에 제1하니스(51), 제2하니스(52) 및 커플러(53)의 보호성을 향상시키면서 시트(1)나 제1 및 제2하니스(51)(52)의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에어백 유닛(21)을 앞좌석 좌측시트(1)에 있어서 시트백(3)의 좌측사이드 서포트부(3a)내에 배설했으나, 그 시트(1)에 있어서 시트쿠션(2)의 좌측사이드 서포트부(2a)내에 에어백 유닛(21)을 그 리어쿠션캔(22)의 개구가 대체로 상측을 향하도록 배설한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데, 제1하니스(51)를 에어백 유닛(21)으로부터 시트쿠션(2)내에 있어서의 우측에 배선하여 커플러(53)와 접속하면 된다.
도10 및 도11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쿠션의 요부의 일부 파단평면도 및 그의 요부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쿠션(41)은 시트쿠션 프레임(42)과, 사이드거니션(43)과, 안내레일(44)상을 슬라이딩할 수 있는 슬라이더(45)와, 패드재(46)와, 표피재(47)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쿠션(41)의 우측 근방부에는 상측으로 부플어오른 팽출부(41a)가 형성되고, 이 팽출부(41a)의 내부에 에어백유닛(50)이 소정의 전개방향인 상측에 대해 약 45도 우측으로 기운 특정방향을 향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 에어백유닛(50)은 상기 에어백유닛(21)과 마찬가지로 인플레이터(51)와 접은 에어백과 케이스(53)를 가지며, 에어백유닛(50)의 케이스(53)가 장착부재(54)에 의해 시트쿠션 프레임(42)에 고정되어 있다. 또, 충돌시에 에어백이 전개될 때 에어백이 상측 및 약간 후방을 향해 전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재로서의 얇은 강판제의 편향판(55)이 거의 연직방향으로 배설되고, 이 편향판(55)의 하단부는 장착부재(54)와 케이스(53)에 고정되어 있다.
또, 에어백이 후방쪽으로 전개되기 쉽게 수용부(56)는 후방으로 테이퍼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표피재(47)에는 에어백의 전개시에 용이하게 파단하는 솔기부(57)가 형성되고, 수용부(56)의 정상부에는 능선형상으로 오목한 파단개시부(58)가 형성되며, 에어백의 전개시에는 파선(59)을 따라 패드재(46)가 파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에어백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충돌시에 충돌검지용 가속도센서로부터 인플레이터(51)의 점화부에 점화신호가 공급되어 점화부가 점화하면, 인플레이터(51)내의 폭약이 고속 연소하여 다량의 가스를 발생시켜 에어백에 공급하므로, 에어백이 팽창하여 파선(59)을 따라 패드재(47)가 파단되고, 에어백이 시트쿠션(41)의 외부로 급속히 팽창한다. 이 팽창시에 편향판(55)의 안내작용으로 에어백이 탑승자와 사이드도어 사이에서 상측으로 안내되어 상측이나 후방으로 전개되므로, 탑승자의 두부와 흉부의 우측면이 전개된 에어백으로 보호받게 된다.
여기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유닛(50)을 소정의 전개방향(상측)과는 다른 특정방향을 향해 배치했으므로, 팽출부(41a)와 그 부근의 부분에 있어서 어의 패드재(46)의 두께를 확보하여, 시트쿠션(41)의 쿠션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편향판(55)을 배설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개된 에어백을 사이드도어의 도어트림내면에서 안내하게 되기 때문에 도어트림의 설정 자유도가 제약당하게 되지만, 안내부재인 편향판(55)을 배설하여 전개하는 에어백을 안내하도록 구성했으므로, 도어트림의 설계의 자유도가 제약당하는 일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1의 발명에 의하면 시트내의 상기 시트에 가까운 사이드 도어쪽 측부 근방부에 소정의 방향쪽으로 배설된 에어백 유닛과, 이 에어백 유닛에 기폭제어장치로부터의 전개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배선되는 하니스를 구비한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장치에 대해 상기 하니스를 시트내에 있어서 에어백 유닛으로부터 차량의 좌우방향 중앙쪽으로 연장되도록 배선함으로써, 하니스의 보호성을 더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2의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유닛을 시트백내에 배설함으로써 탑승자의 승차감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에어백 유닛을 시트내에 수용할 수 있다.
청구항3의 발명에 의하면, 하니스가 시트백내에 있어서 에어백유닛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후, 시트백내 하부를 차량의 좌우방향 중앙쪽으로 연장하도록 배선함으로써, 통상 사용시의 하니스의 보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4의 발명에 의하면, 시트백내 하부에서 하니스를 시트백 프레임을 따라 배선함으로써, 하니스는 시트백 프레임에 의해 간단, 용이, 확실하게 배선지지 또는 보호될 수 있다.
청구항5의 발명에 의하면, 시트백 프레임의 하부에는 그의 좌우방향에 시트백 프레임을 따라 연장되는 하니스 장착부재가 장착되고 하니스 장착부재를 따라 하니스를 배선 및 장착함으로써, 하니스의 배선지지 또는 보호가 하니스 장착부재에 의해 간단, 용이 및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다.
청구항6의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유닛을 시트쿠션내에 배설함으로써 청구항2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7의 발명에 의하면, 시트쿠션의 하부면 프론트부에 에어백유닛측으로부터 연장된 하니스와 기폭제어장치쪽으로부터 뻗은 하니스를 접속하기 위한 커플러를 배설함으로써, 통상의 사용시 하니스 및 커플러의 보호성을 향상시키면서 시트나 하니스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8의 발명에 의하면, 커플러를 좌우의 슬라이더 사이에 배설함으로써, 외부로 부터의 보호가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의 사이드에어백장치에 있어서의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시트의 좌측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3은 시트백의 요부를 도시한 일부파단정면도,
도4는 도2의 Ⅳ-Ⅳ선단면도,
도5는 시트 쿠션을 도시한 상부면도,
도6은 에어백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7은 에어백의 전개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8은 에어백의 전개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9는 자동차에 탑재되어 있는 에어백장치의 전체 배치 및 접속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쿠션의 요부를 도시한 일부파단평면도.
도11은 도10의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시트 2:시트 쿠션
3:시트 백 13:시트백 프레임
15:패드 21:에어백 유닛
24:에어백 30:브래킷 프레임부재
33:절단홈부 50:하니스 장착부재
51:제1하니스 52:제2하니스
53:커플러 61: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기폭제어장치)

Claims (5)

  1. 시트내의 상기 시트에 가까운 사이드 도어쪽의 측부 근방부에 소정 방향쪽으로 배설된 에어백 유닛과, 상기 에어백 유닛에 기폭제어장치로부터의 전개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배선되는 하니스를 구비한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니스는 시트백 내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유닛으로부터 차량의 좌우방향 반대단부를 향하여 연장하여 배선된 후, 시트쿠션의 차량의 좌우방향 반대단부를 따라서 전방으로 연장하고, 그 후 시트쿠션 전방부에서 시트쿠션 중앙부를 향하여 기폭 제어장치로부터 연장하는 하니스와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차량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에어백 유닛으로부터 연장하는 하니스가, 시트쿠션 하방으로 기폭제어장치측으로부터 연장하는 하니스와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기폭제어장치측으로부터 연장하는 하니스의 플로어로부터의 출구가, 시트 전후위치가 뒤쪽측으로 될 때에도 시트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니스는 상기 에어백 유닛으로부터 시트 쿠션 후부의 차량의 좌우방향 중앙측 단부를 향하여 배선되고, 상기 하니스가 시트 쿠션의 하단부의 차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장착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장착부재의 상측에 배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니스는 시트 내에서 상기 에어백유닛으로부터 차량의 좌우방향중앙측을 향하여 시트쿠션 하면에 장착되어 있는 커플러까지 연장하도록 배선되어 있고, 상기 커플러에 의해 기폭장치측으로부터 연장하는 하니스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니스는 에어백유닛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한 후, 시트백 내의 하부를 차량중앙측의 측부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장치.
KR1019970032369A 1996-07-12 1997-07-11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0495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83312 1996-07-12
JP18331296A JP3669059B2 (ja) 1996-07-12 1996-07-12 車両の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870A KR980008870A (ko) 1998-04-30
KR100495037B1 true KR100495037B1 (ko) 2005-10-19

Family

ID=16133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369A KR100495037B1 (ko) 1996-07-12 1997-07-11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51024A (ko)
EP (1) EP0818363B1 (ko)
JP (1) JP3669059B2 (ko)
KR (1) KR100495037B1 (ko)
DE (1) DE69730911T8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2912A (ja) * 1998-08-12 2000-02-22 Fuji Heavy Ind Ltd エアバッグ内蔵シート
US6450528B1 (en) 1998-10-01 2002-09-1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seat housing an airbag device
FR2830810B1 (fr) * 2001-10-11 2004-01-3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securite a sac gonflable relie a un faisceau electrique de commande et d'alimentation
US20060232118A1 (en) * 2005-04-14 2006-10-19 Nmhg Oregon, Llc Operator seat for an industrial vehicle
FR2884464B1 (fr) * 2005-04-19 2007-07-13 Faurecia Sieges Automobile Element de siege, systeme et vehicule comprenant un tel element de siege, vehicule comprenant un tel systeme, et procede de protection d'un occupant d'un tel element de siege
DE102005049573B4 (de) * 2005-10-17 2010-07-29 Lear Corp., Southfield Mehrfachplatten-Polsterschutz in einem Seitensitzteil eines Fahrzeugs zur Aufbewahrung und Entfaltung eines Seitenairbags
EP2025563B1 (en) * 2007-08-07 2009-12-30 Dalphi Metal Espana, S.A. Airbag module for automotive vehicles with a foldable container
JP5402954B2 (ja) * 2011-01-26 2014-01-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457751B1 (en) * 2015-03-31 2016-10-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support in a vehicle seat
DE102017115254B4 (de) * 2016-07-18 2023-10-26 Hyundai Dymos Incorporated Fahrzeugsitz mit Seitenairbag
CN111497777A (zh) * 2020-04-26 2020-08-07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新型展开式的安全气囊总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682B2 (ja) * 1988-01-28 1995-01-30 マツダ株式会社 電気接続装置
GB2232936B (en) * 1989-06-13 1993-07-28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rrangement for protecting an occupant of a vehicle
GB9012060D0 (en) * 1990-05-30 1990-07-18 Amp Great Britai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s
SE470096B (sv) * 1992-04-10 1993-11-08 Volvo Ab Luftkuddesystem för sidokollisioner
EP0593845A1 (en) * 1992-10-23 1994-04-27 Tandberg Data A/S Air bag for an automobile head cushion activatable upon a rear-end impact
US5568939A (en) * 1994-04-04 1996-10-2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system
DE4440258C2 (de) * 1994-11-11 2000-07-20 Volkswagen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n Insassen eines Fahrzeugs
JPH0958400A (ja) * 1995-08-16 1997-03-04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69059B2 (ja) 2005-07-06
DE69730911T2 (de) 2006-02-23
DE69730911T8 (de) 2006-08-24
EP0818363B1 (en) 2004-09-29
EP0818363A3 (en) 2000-08-02
KR980008870A (ko) 1998-04-30
DE69730911D1 (de) 2004-11-04
EP0818363A2 (en) 1998-01-14
US5851024A (en) 1998-12-22
JPH1024797A (ja) 1998-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8180B1 (ko) 차량용 에어백
JP4805914B2 (ja) 重なり合うチャンバを備えた膨張可能なエアバッグ
CN110293929B (zh) 安全气囊装置
JP5024248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210088543A (ko) 승차인 구속 장치
US10131313B2 (en) Inflatable curtain restrictor
KR100495037B1 (ko)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0502549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5330758B2 (ja) シートバック構造
KR100538509B1 (ko) 자동차의 분리형 커튼에어백
JP4186997B2 (ja) 車両側部のエネルギ吸収装置
JPH0986327A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CN210882010U (zh) B柱总成和具有它的车辆
JP3722562B2 (ja) 車両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KR102545852B1 (ko) 루프탑 에어백 장치
JP3712081B2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JP4254789B2 (ja) 車両側部のエネルギ吸収装置
JP3722563B2 (ja) 車両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JP3671546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KR101360340B1 (ko) 차량의 커튼에어백
JP3744075B2 (ja) 車両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CN111016840B (zh) 座椅气囊控制系统、控制方法及汽车
JP3700262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KR100512860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KR20040025166A (ko) 헤드레스트의 에어백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