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641B1 -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641B1
KR100857641B1 KR1020060112879A KR20060112879A KR100857641B1 KR 100857641 B1 KR100857641 B1 KR 100857641B1 KR 1020060112879 A KR1020060112879 A KR 1020060112879A KR 20060112879 A KR20060112879 A KR 20060112879A KR 100857641 B1 KR100857641 B1 KR 100857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clamp
holder
rubber
tube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4062A (ko
Inventor
이동초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2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641B1/ko
Publication of KR20080044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F16L55/035Noise absorbers in the form of specially adapted hangers o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튜브와 브레이크 튜브의 고정 및 절연을 위한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료 튜브의 맥동음과 브레이크 튜브의 ABS 작동음을 절연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 튜브와 브레이크 튜브가 장착되는 러버홀더와 이를 감싸는 스틸클램프에 의해 1차 절연이 이루어지고, 스틸클램프의 삽입홀에 삽입된 러버 인슐레이터와 고정기에 의해 2차 절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의 제공으로 달성된다.
튜브, 인슐레이터, 클램프, 홀더, 브레이크, 연료

Description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tube fixing device for vehicle}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홀더식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
도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러버홀더식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를 포함한 라인 구조도,
도 4는 도 3의 A구역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B 라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연료튜브 310 : 브레이크 튜브
320 : 러버홀더 330 : 스틸클램프
340 : 러버 인슐레이터 350 : 고정기
400 : 제1장착공 410 : 제2장착공
본 발명은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러버홀더에 러버(rubber) 인슐레이터(insulator)를 삽입후 고정하여 연료 맥동음 및 ABS(Anti-lock Brake System) 작동음을 절연시키는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호스, 파이프 등 다양한 튜브류의 부품이 사용되고 있고, 이중 연료탱크로부터 엔진까지 연결되어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라인과 마스터실린더로부터 휠실린더까지 연결되어 유압을 전달하는 브레이크라인도 모두 튜브류 제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연료 및 브레이크 라인을 구성하는 튜브들은 그 길이가 길기 때문에 설치 및 정비성 재고를 위하여 라인상의 소정 튜브를 차체에 안정적으로 고정해 주어야만 한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홀더식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이고, 첨부한 도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러버홀더식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및 브레이크 튜브(100)들을 플라스틱 홀더(110)의 걸림턱들 사이에 형성된 안착홈에 끼우고, 이 플라스틱 홀더(110)를 스틸클램프(120)에 그로밋 체결방식으로 결합한 뒤, 마지막으로 스틸클램프(120)의 절곡된 일측 단부를 볼트(130)에 의해 차체에 볼팅하였다.
그러나, 이 형태는 튜브(100)들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튜브(100)가 안착되는 홀더(110)가 플라스틱 재질이므로 연료튜브의 맥동에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버홀더(200)에 장착공(210)을 형성하여 여기에 튜브들을 끼우고, 상기 러버홀더(200)를 스틸클램프(220)로 감싼 뒤, 스틸클램프(220)의 일측 단부를 차체에 볼팅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는 연료 맥동음 및 ABS 작동음이 연료와 브레이크 튜브를 경유하여 러버홀더(200)에서 1차 감쇄되지만, 그 감쇄효과가 작아서 상기 소음이 스틸클램프(220)를 거쳐 차체를 타고 실내에 전달되어 NVH가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연료 및 브레이크 튜브의 소음 및 진동이 튜브가 장착된 러버홀더에 전달되어 완충역할을 하는 러버홀더의 고무재질 특성상 그 소음 및 진동이 1차 절연되고, 러버홀더에서 감쇄되지 못한 소음과 진동은 러버홀더를 감싸고 있는 스틸클램프에 전달되어 스틸클램프의 삽입홀에 삽입된 러버 인슐레이터에 의해 2차 절연됨으로써, 2중 절연에 의해 NVH가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동차용 소음과 진동을 감쇄하는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에 있어서,
연료 튜브가 삽입되는 제1장착공과 브레이크 튜브가 장착되는 제2장착공이 형성된 러버홀더와;
상기 러버홀더의 외주면을 감싸는 홀더부와,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상결합부 및 하결합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결합부 및 하결합부에 러버 인슐레이터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스틸클램프와;
상기 스틸클램프에 있는 상결합부 및 하결합부의 삽입홀에 삽입되는 조립부와, 상기 스틸클램프의 상결합부 및 하결합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조립부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로 구성되고, 고정기가 삽입되도록 이 조립부와 지지부에 관통의 조립홀이 형성된 러버 인슐레이터와;
상기 러버 인슐레이터가 스틸클램프에 고정되도록 상기 러버 인슐레이터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고정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러버홀더는 외주면에 돌출형상의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스틸클램프의 홀더부에는 중공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러버홀더가 스틸클램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스틸클램프의 하결합부는 상결합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이 하결합부에 상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스틸클램프는 측면에 상결합부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경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고정기는 상기 러버 인슐레이터의 삽입홀에 삽입되는 원통형 돌출부와;
상기 러버 인슐레이터가 스틸클램프에 고정되도록 상기 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된 원판의 작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를 포함한 라인 구조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을 전달하는 브레이크 튜브(310)와 연료를 전달하는 연료 튜브(300)는 프로텍터(280)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튜브는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290)에 삽입 고정되어 연료 튜브(300)에서 발생하는 연료 맥동음 및 브레이크 튜브(310)에서 발생하는 ABS 작동음이 절연된다.
여기서, 종래에는 절연장치의 스틸클램프를 볼팅하여 차체에 고정하였으나, 이는 무게중심에서 벗어난 스틸클램프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어 차체 진동에 취약한 구조로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해주지 못하였다.
이에, 튜브의 라인 하부에서 프로텍터(280)에 의해 튜브는 차체에 견고히 고정되고, 튜브 고정장치(290)는 차체에 고정됨 없이 러버 인슐레이터(340)의 부착에 의해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도 3의 A구역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 라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5,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 튜브(300)와 브레이크 튜브(310)는 러버홀더(320)의 장착공(400, 410)에 삽입되고, 러버홀더(320)는 스틸클램프(330)에 의해 감싸져 상기 튜브들은 고정 및 1차절연되고, 스틸클램프의 삽입홀(500)에 러버 인슐레이터(340)가 고정기(350)에 의해 삽입 고정됨으로써, 튜브의 소음과 진동이 2차절연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러버홀더(320)는 연료 튜브(300)가 삽입되는 2개의 제1장착공(400)과 브레이크 튜브(310)가 삽입되는 2개의 제2장착공(4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러버홀더(3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틸클탬프(330)의 체결홀(600)에 삽입되는 체결부(650)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연료전달 목적의 연료 튜브가 삽입되는 제1장착공(400)은 그 특성상 유압전달 목적의 브레이크 튜브가 삽입되는 제2장착공(410)에 비해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650)는 고무로 형성되어 탄력에 의해 스틸클램프(330)의 체결홀(600)에 삽입되어 러버홀더(320)를 스틸클램프(330)에 고정시킨다.
이에, 연료 튜브와 브레이크 튜브를 통해 전달되는 맥동음 및 ABS 작동음은 튜브가 삽입된 러버홀더에 의해 1차 절연된다.
이는 러버홀더의 경우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용 고무의 특성상 절연 효과가 이루어진다.
상기 스틸클램프(330)는 상기 러버홀더(320)를 감싸는 홀더부(510)와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상결합부(520) 및 하결합부(530)로 구성되고, 상기 상결합부(520) 및 하결합부(530)에는 러버 인슐레이터(340)가 삽입되도록 삽입홀(50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틸클램프(330)의 하결합부(530)는 상결합부(520)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610)가 형성된다.
또한, 스틸클램프(330)의 홀더부(510)에는 중공의 체결홀(600)이 형성되어 러버홀더(320)의 체결부(650)가 삽입 고정된다.
또한, 스틸클램프(330)의 측단에 경첩부(700)가 형성되어 상결합부(520)의 회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스틸클램프(330)의 홀더부(510)에 장착된 러버홀더(320)를 감싸준다.
여기서, 홀더부(510)는 고무재질의 러버홀더(320)가 탄성 압축되도록 감싸주고, 이 홀더부(510)에 의해 압축된 러버홀더(320)가 고정되도록 하결합부(530)의 절곡부(610)에 상결합부(520)가 회동하여 끼워진다.
상기 러버 인슐레이터(340)는 스틸클램프(330)의 상결합부(520) 및 하결합부(530)에 있는 삽입홀(500)에 삽입되는 조립부(560)와, 상기 스틸클램프(330)의 상결합부(520) 및 하결합부(530)에 지지되도록 상기 조립부(560)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550)로 구성된다.
또한, 고정기(350)가 삽입되도록 이 조립부(560)와 지지부(550)에 관통의 조립홀(590)이 형성된다.
여기서, 조립부(560)는 스틸클램프(330)에 있는 상결합부(520) 및 하결합부(530)의 삽입홀(500)에 삽입되고, 지지부(550)는 삽입된 조립부(560)를 지지한다.
이에, 러버홀더(320)에서 절연되지 않은 연료 튜브와 브레이크 튜브를 통해 전달되는 맥동음 및 ABS 작동음은 스틸클램프(330)를 경유하여 스틸클램프(330)과 결합된 러버 인슐레이터(340)에 의해 2차 절연된다.
상기 고정기(350)는 원통형상의 돌출부(570)와 원판형상의 작동부(580)가 일 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돌출부(570)는 러버 인슐레이터(340)의 중앙홀(590)에 삽입되고, 작동부(580)는 돌출부(570)가 완전히 삽입된후 고정기(350)와 러버 인슐레이터(340)를 밀착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작동부(580)의 중앙은 고정기의 돌출부 삽입이 용이하도록 완만한 굴곡의 홈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결합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용 조립과정에서 차체 밑으로 배설되는 각종 브레이크 튜브(310) 및 연료 튜브(300)는 러버홀더에 형성된 장착공(400, 410)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스틸클램프(330)의 홀더부(510)에 러버홀더(320)를 끼워 고정한다.
여기서, 러버홀더(320) 일면의 상하단에 스틸클램프(330)의 홀더부(510)가 끼워질 정도의 홈이 형성되어 러버홀더(320)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스틸클램프(330)의 상결합부(520)를 하결합부(530) 방향으로 회동하고, 러버홀더(320)의 체결부(650)를 스틸클램프(330)의 홀더부(510)에 있는 체결홀(600)에 삽입하여, 스틸클램프(330)가 러버홀더(320)를 감싸도록 한다.
다음으로, 스틸클램프(330)의 상결합부(520) 및 하결합부(530)에 형성된 삽입홀(500)에 러버 인슐레이터(340)의 조립부(560)를 삽입하여 스틸클램프(330)와 러버 인슐레이터(340)를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러버 인슐레이터(340)에 형성된 중앙홀(590)에 고정기(350)의 돌출부(570)를 삽입하여, 작동부(580)의 중앙을 누르면 이 고정기(350)에 의해 러버 인슐레이터(340)는 스틸클램프(330)에 고정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종래 플라스틱 홀더와 달리 러버 홀더를 사용하여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는 고무의 특성상 튜브의 절연이 이루어지고,
둘째, 스틸클램프에 러버 인슐레이터와 고정기를 결합하여 러버홀더에서 절연하지 못한 진동 및 소음의 2차 절연이 이루어지고,
세째, 연료 튜브의 맥동음과 브레이크 튜브의 작동음이 2중으로 절연되어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하시킴으로써, 차량의 NVH를 향상시키고,
네째, 종래 스틸 클램프를 차체에 고정하는 볼팅작업없이 튜브를 러버홀더로 고정함으로써, 볼팅부로부터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자동차용 소음과 진동을 감쇄하는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에 있어서,
    연료 튜브(300)가 삽입되는 제1장착공(400)과 브레이크 튜브(310)가 장착되는 제2장착공(410)이 형성된 러버홀더(320)와;
    상기 러버홀더(320)의 외주면을 감싸는 홀더부(510)와,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상결합부(520) 및 하결합부(530)로 구성되고, 상기 상결합부(520) 및 하결합부(530)에 러버 인슐레이터(340)가 삽입되는 삽입홀(500)이 형성된 스틸클램프(330)와;
    상기 스틸클램프(330)의 상결합부(520) 및 하결합부(530)에 있는 삽입홀(500)에 삽입되는 조립부(560)와, 상기 스틸클램프(330)의 상결합부(520) 및 하결합부(530)에 지지되도록 상기 조립부(560)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550)로 구성되고, 고정기(350)가 삽입되도록 이 조립부(560)와 지지부(550)에 관통의 조립홀(590)이 형성된 러버 인슐레이터(340)와;
    상기 러버 인슐레이터(340)가 스틸클램프(330)에 고정되도록 상기 러버 인슐레이터(340)의 중앙홀(590)에 삽입되는 고정기(3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러버홀더(320)는 외주면에 돌출형상의 체결부(650)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650)가 삽입되도록 상기 스틸클램프(330)의 홀더부(510)에는 중공의 체결홀(6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틸클램프(330)의 하결합부(530)는 상결합부(520)보다 길게 형성되어, 이 하결합부(530)에 상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6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틸클램프(330)는 측면에 상결합부(52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경첩부(7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350)는 상기 러버 인슐레이터(340)의 삽입홀(590)에 삽입되는 원통형 돌출부(570)와;
    상기 러버 인슐레이터(340)가 스틸클램프(330)에 고정되도록 상기 돌출부(570)와 일체로 형성된 원판의 작동부(5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
KR1020060112879A 2006-11-15 2006-11-15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 KR100857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879A KR100857641B1 (ko) 2006-11-15 2006-11-15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879A KR100857641B1 (ko) 2006-11-15 2006-11-15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062A KR20080044062A (ko) 2008-05-20
KR100857641B1 true KR100857641B1 (ko) 2008-09-08

Family

ID=3966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879A KR100857641B1 (ko) 2006-11-15 2006-11-15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6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0821A1 (de) 2008-05-13 2009-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won Halbleitersolarzellen mit Frontelektrod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KR102551673B1 (ko) * 2018-06-18 2023-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튜브 홀더
CN112503258B (zh) * 2020-11-09 2022-08-26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沈阳飞机设计研究所 一种高压液压管路安装结构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563U (ja) * 1993-03-10 1994-09-30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パイプの取付け構造
KR20010100398A (ko) * 2000-05-02 2001-11-14 이계안 튜브 장착용 클램프
KR100633954B1 (ko) * 2004-06-28 2006-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 및 브레이크 튜브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563U (ja) * 1993-03-10 1994-09-30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パイプの取付け構造
KR20010100398A (ko) * 2000-05-02 2001-11-14 이계안 튜브 장착용 클램프
KR100633954B1 (ko) * 2004-06-28 2006-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 및 브레이크 튜브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062A (ko) 200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6894B2 (ja) 流体移送用チューブのブラケット
KR101698733B1 (ko) 배기 아이솔레이터
US20050284989A1 (en) Heat-resistant clamp device for pipes or similar objects
US9482369B2 (en) Wrap bracket damper assembly
MXPA03001369A (es) Sistema aislador de escape.
EP1847755B1 (en) Piping fixing structure
JPH07310866A (ja) 共振防止パイプクリップ
KR100857641B1 (ko)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
CN107387417B (zh) 双层压缩机及其安装方法
CA1323023C (en) Two piece male-female grommet
MX2013005559A (es) Aislador que tiene montaje de enchufe.
JP2011038631A (ja) 変速ケーブルのノイズ低減装置
KR100783514B1 (ko) 진동 절연 장치
KR20030039832A (ko) 자동변속 차량용 트랜스미션 기어 시프트케이블
KR101643544B1 (ko) 주차 브레이크의 케이블 보호 장치
CN217672599U (zh) 制动硬管连接结构及汽车
JP2007137298A (ja) マフラーの弾性振動低減構造
KR20090022489A (ko) 차량용 파이프 고정구조
CN216519967U (zh) 一种汽车管路夹持部件
CN101603449A (zh) 一种车用排气系统隔振装置及其制造方法
CN205745676U (zh) 一种带减振结构的管夹
CN209026074U (zh) 汽车弹簧减震器
CN109162788B (zh) 一种尿素泵隔振支架
KR20160076495A (ko) 행거 아이솔레이터
KR0170613B1 (ko) 자동차 배기장치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