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980B1 - 면광원장치 및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면광원장치 및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980B1
KR100853980B1 KR1020010043378A KR20010043378A KR100853980B1 KR 100853980 B1 KR100853980 B1 KR 100853980B1 KR 1020010043378 A KR1020010043378 A KR 1020010043378A KR 20010043378 A KR20010043378 A KR 20010043378A KR 100853980 B1 KR100853980 B1 KR 100853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light source
frame
light
ligh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8079A (ko
Inventor
요시다마모루
시오야다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Publication of KR20020008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 G02B6/0046Tapered light guide, e.g. wedge-shaped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분해ㆍ조립이 용이하고, 고품질의 면조명이 가능한 면광원장치를 제공한다. 면광원장치 (1) 의 도광판 (10) 의 출사면측에 광제어부재 (2 ∼ 5) 가 적층 배치된다. 이들 광제어부재 (2 ∼ 5) 에 형성한 설편 (16 ∼ 19) 을 프레임 (6) 의 설편지지부 (20) 로 지지하고, 탄성변형 가능한 선형상부재로 형성한 설편고정기구 (24) 를, 여러 부재를 수용ㆍ유지하는 프레임 (6) 의 설편고정기구 계합부 (23) 에 계합시킨다. 설편 (16 ∼ 19) 의 움직임은 이 설편고정기구 (24) 로 제한된다. 설편고정기구 (24) 를 탄성변형 가능한 것으로 함으로써, 설편고정기구 (24) 를 설편고정기구 계합부 (23) 에 대한 장착, 및 분리의 작업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면광원장치 (1) 의 분해ㆍ조립이 용이해진다.

Description

면광원장치 및 화상표시장치{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면광원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는, 면광원장치의 설편지지부 근방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 에 있어서 C 방향에서 본 도면에 상당한다.
도 3 은, 면광원장치의 설편지지부 근방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2 에 있어서 B 방향에서 본 도면에 상당한다.
도 4 는, 설편고정기구를 분리한 상태의 설편지지부 근방의 평면도이며, 도 5 에서의 E 방향에서 본 도면에 상당한다.
도 5 는, 설편고정기구를 분리한 상태의 설편지지부 근방의 측면도이며, 도 4 에서의 D 방향에서 본 도면에 상당한다.
도 6(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되고 있는 설편고정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6(b) 는 이 설편고정기구를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 은, 설편고정기구를 설편고정기구 계합부에 계합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 에 있어서 G 방향에서 본 도면에 상당한다.
도 8 은, 설편고정기구를 설편고정기구 계합부에 계합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7 에 있어서 F 방향에서 본 도면에 상당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면광원장치의 설편지지부 근방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면광원장치의 설편지지부 근방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1 에 있어서 K 방향에서 본 도면에 상당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면광원장치의 설편지지부 근방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0 에 있어서 J 방향에서 본 도면에 상당한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면광원장치의 설편지지부 근방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3 에 있어서 M 방향에서 본 도면에 상당한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면광원장치의 설편지지부 근방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2 에 있어서 L 방향에서 본 도면에 상당한다.
도 14(a)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서 사용되고 있는 설편고정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4(b) 는 동 설편고정기구를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면광원장치의 설편지지부 근방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6 에 있어서 O 방향에서 본 도면에 상당한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면광원장치의 설편지지부 근방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5 에 있어서 N 방향에서 본 도면에 상당한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설편고정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면광원장치의 설편지지부 근방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9 에서의 Q 방향에서 본 도면에 상당한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면광원장치의 설편지지부 근방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8 에 있어서 P 방향에서 본 도면에 상당한다.
도 20 은, 도 2 중의 라인 A-A 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1 은, 도 9 중의 라인 H-H 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2(a), (b) 는, 모두 도 10 (제 3 실시형태) 중의 라인 I-I 에 따른 단면구조의 예를 나타내고 있고, (a) 는 그 제 1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b) 는 그 제 2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면광원장치의 설편지지부 근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4(a), (b) 는, 모두 다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광제어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a) 에는 그 제 1 예, (b) 에는 그 제 2 예, (c) 에는 그 제 3 예가 그려져 있다.
도 25(a) 는, 설편고정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25(b) 는 동 설편고정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26 은, 종래의 면광원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7 은, 종래예에 관한 면광원장치의 일부분을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8 은, 다른 종래예에 관한 면광원장치의 일부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면광원장치 2 ∼ 5 : 광제어부재
6 : 프레임 8 : 도광판
11 : 형광램프 (1 차 광원) 14 : 화상표시패널
16 ∼ 19 : 설편 20 : 설편지지부
21a ∼ 21d : 장공 (관통공) 22 : 계합돌출부
23 : 설편고정기구 계합부 24, 48 : 설편고정기구
36 : 출사면 45 : 화상표시장치
56 : 고무바퀴 (설편고정기구)
본 발명은, 휴대형 PC, 카 네비게이션 장치 또는 액정형 TV, 각종 모니터 등에 사용되는 액정표시패널 등의 화상표시부를 면형상으로 조명하는 면광원장치, 및 동 면광원장치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화상표시장치로서 알려진 액정표시장치는, 휴대형 PC 등의 화상표시에 사용되고 있다. 그 경우, 면광원장치에서 출사되는 면형상 조명광이 액정표시패널 (화상표시부) 에 공급되고, 동 액정표시패널의 표시 스크린상에 화상이 표시된다. 도 26 은 여기에서 사용되는 면광원장치 (100) 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면광원장치 (100) 는 플라스틱제의 프레임 (101) 과, 그 내부에 적층하여 수용되는 반사 시트 (102), 도광판 (103), 복수장의 광제어부재 (104 ∼ 107)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 (101) 내에는 도광판 (103) 의 일측면 (입사면) (108) 근처에 1 차 광원으로서 형광램프 (110) 가 더 수용된다. 형광램프 (110) 에는 리플렉터 (111) 가 부설되고, 나사 (112) 로 고정된다.
면광원장치 (100) 의 상방에는 액정표시패널 (도시 생략) 이 배치되고, 면광원장치 (100) 와 함께 예를 들어 휴대형 PC 의 케이스내에 수용ㆍ고정된다.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것은, 면광원장치 (100) 는 액정표시패널이 설치되기까지는 면광원장치 단체(單體)로 반송되기 때문에, 수송중에 도광판 (103) 이나 광제어부재 (104 ∼ 107) 등이 반송시의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하여 프레임 (101) 에서 이탈되어 분산될 위험성이 있다는 점이다.
만약 이러한 일이 일어나면, 도광판 (103) 또는 광제어부재 (104 ∼ 107) 등이 손상되거나, 광제어부재 (104 ∼ 107) 간 또는 도광판 (103) 과 광제어부재 (104) 간에 먼지가 침입하는 등의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2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상부에 위치하는 광제어부재 (107) 의 양 주변을 테이프 (113) 로 프레임 (101) 에 부착하고, 광제어부재 (104 ∼ 107) 또는 도광판 (103) 등이 프레임 (101) 에서 이탈되어 분산되지 않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형광램프 (110) 를 점등하면 그 열에 의하여 도광판 (103) 또는 광제어부재 (104 ∼ 107) 등이 열팽창하므로, 테이프 (113) 에 의한 고정을 확실하게 하면, 최상부의 광제어부재 (107) 가 다른 광제어부재 (106) 로부터 부상하는 것처 럼 변형되거나 주름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변형 내지 주름은, 당연히 균일한 양질의 조명을 곤란하게 한다.
이러한 종래예의 결점을 해소하는 기술로서, 도 27 또는 도 28 에 나타낸 면광원장치 (100) 가 개발되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11-281966 호 참조). 도 27 에 나타낸 면광원장치 (100) 에서는, 한쌍의 핀 (115a, 115b) 을 구비한 포지셔너 (114) 와 광제어부재 (116) 에 형성한 장공 (117) 과 프레임 (101) 에 형성한 구멍 (118) 이 광제어부재 (116) 의 고정에 사용되고 있다.
즉, 일방의 핀 (115b) 은 장공 (117) 에 약간의 간격 (여유) 을 두고 계합 (係合) 하고, 그 일방의 핀 (115b) 과 타방의 핀 (115a) 의 양방이 프레임 (101) 에 형성한 구멍 (118, 118) 에 압입된다. 이로써 포지셔너 (114) 를 프레임 (101) 에 고정하면서, 광제어부재 (116) 의 열팽창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광제어부재 (116) 의 유동량은 포지셔너 (114) 의 헤드 (120) 및 핀 (115b) 으로 제한된다.
한편, 도 28 에 나타낸 면광원장치 (100) 에서는, 프레임 (101) 에 형성한 핀 (121) 에, 광제어부재 (116) 의 장공 (117) 이 적당한 간격 (여유) 을 두고 계합함과 동시에, 프레임 (101) 에 형성한 설편 (舌片) 지지부 (122) 에 광제어부재 (116) 의 설편 (123) 을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단면 コ 자 형상의 접지클립 (124) 은, 상편부 (125) 의 슬릿 (126) 이 프레임 (101) 의 핀 (121) 에 계합하는 형태로, 프레임 (101) 의 접지클립 계합단부 (127) 에 계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이 면광원장치 (100) 는, 프레임 (101) 의 핀 (121) 과 접지클립 (124) 으로 광제어부재 (116) 의 유동량을 제한하면서, 광제어부재 (116) 의 열팽창을 허용한다.
그러나, 도 27 에 나타낸 종래예에서는, 포지셔너 (114) 의 핀 (115a, 115b) 을 프레임 (101) 의 구멍 (118, 118) 에 압입하는 구성이므로, 면광원장치 (100) 의 분해시에 포지셔너 (114) 를 프레임 (101) 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조립시에는 당연히 상기 압입공정이 작업을 불편하게 한다.
한편, 도 28 에 나타낸 종래예에서는, 접지클립 (124) 이 판형상이므로, 접지클립 (124) 을 프레임 (101) 에 계합할 때, 접지클립 (124) 의 주변에서 광제어부재 (116) 를 손상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또한, 광제어부재 (116) 에서 깎여져 나간 미세한 먼지가, 광제어부재 (116) 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광제어부재 (116) 와 도광판 (103) 사이에 침입하여 (도 26 참조), 조명품질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예의 결점을 없애고, 조립, 분해시의 취급이 용이하며, 여러 부재의 손상이나 여러 부재간으로 먼지가 끼어들어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사용시의 열팽창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면광원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먼저, 프레임, 상기 프레임내에 수용된 1 차 광원, 도광판 및 광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1 차 광원의 광을 상기 도광판의 내부로 도입하고, 상기 도광판의 출사면으로부터의 면형상의 출사광을 상기 광제어부재를 통하여 출력하는 면광원장치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제어부재의 적어도 한 주변부에는 설편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설편을 지지하는 설편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편지지부로 지지된 상기 설편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선형상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설편고정기구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설편고정기구 계합부에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착탈된다.
여기에서,「설편의 움직임을 제한한다」란, 광제어부재의 온도변화 또는 습도변화에 의한 팽창ㆍ수축량에 상당하는 정도의 설편의 움직임은 허용하지만, 광제어부재가 프레임내로부터 빗나가는 움직임을 저지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설편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에 간격을 두고 계합하는 계합돌출부가 상기 설편지지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편고정기구의 단면형상은, 예를 들어 대략 원형 또는 대략 타원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편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설편의 최상면과 동일하거나 약간 높은 높이의 지지돌출부를 상기 설편의 양측에 형성하는 한편, 상기 설편고정기구를 고무바퀴로 형성하고, 상기 고무바퀴가 상기 설편고정기구 계합부 및 상기 지지돌출부에 계합되도록 해도 된다.
다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광제어부재의 적어도 한 주변부에는 설편 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설편을 지지하는 설편지지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편지지부로 지지된 상기 설편의 양측 및 상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구비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설편고정기구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설편고정기구 계합부에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착탈된다.
상기 여러 형태의 특징을 가지는 면광원장치를, 상기 도광판의 출사면으로부터의 면형상 출사광을 상기 광제어부재를 통하여 화상표시패널에 공급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특징을 가지는 화상표시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 도 3 을 참조하면,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면광원장치 (1) 가 나타나 있다. 도 1 은 면광원장치 (1) 의 개략 구조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 는 면광원장치 (1) 에서 사용되고 있는 광제어부재 (2 ∼ 5) 를 프레임 (6) 에 장착하는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 은 도 2 에서의 B 방향에서 본 화살표도이다. 또한, 도 2 는 도 3 에서의 C 방향에서 본 화살표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광원장치 (1) 는 여러 부품을 수용 또는 고정하는 프레임 (6) 을 구비하고 있다. 여러 부품에는, 동 프레임 (6) 내에 순서대로 겹쳐서 수용되는 반사 시트 (7), 도광판 (8) 및 복수장의 광제어부재 (2 ∼ 5) 와, 도광판 (8) 의 일측면 (입사면) (10) 을 따르도록 프레임 (6) 내에 수용되는 형광램프 (1 차 광원) (11) 와, 형광램프 (11) 의 광을 입사면 (10) 으로 유도하는 리플렉터 (12) 가 포함된다.
(프레임)
프레임 (6) 은, PC (폴리카보네이트) 나 PMMA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백색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체로 이루어지고,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프레임 (6) 에는 반사 시트 (7), 도광판 (8) 및 광제어부재 (2 ∼ 5) 를 수용지지함과 동시에 형광램프 (11) 를 수용한 리플렉터 (12) 를 장착하는 제 1 수용부 (13) 와, 액정표시패널 등의 화상표시패널 (14) 을 최상부의 광제어부재 (5) 의 표면에 대해 약간의 간격을 두고 수용지지하는 제 2 수용부 (15) 가 형성된다.
프레임 (6) 에는, 광제어부재 (2 ∼ 5) 의 적어도 한 주변부에 형성된 설편 (16 ∼ 19) 을 지지하는 설편지지부 (20) 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설편지지부 (20) 에는, 설편 (16 ∼ 19) 의 장공 (관통공) (21a ∼ 21d) 에 계합하는 대략 원주형상의 계합돌출부 (22) 가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 (6) 에는 설편지지부 (20) 의 형성위치에 맞춰 설편고정기구 계합부 (23) 가 형성된다.
프레임 (6) 의 설편지지부 (20) 근방이 상세하게 도 2 ∼ 도 5 에 나타나 있다. 또, 설편고정기구 (24) 는 상세하게 도 6 에 나타나 있다. 여기서 도 4 는 도 2 에서 설편고정기구 (24) 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5 는 도 3 에서 설편고정기구 (24) 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편지지부 (20) 는 프레임 (6) 의 일부를 노칭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설편지지부 (20) 에 형성된 계합돌출부 (22) 가 설편 (16 ∼ 19) 의 장공 (21a ∼ 21d) 에 간격을 가지고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계합돌출부 (22) 는 그 높이 치수는 광제어부재 (2 ∼ 5) 의 두께 치수의 합보다도 커지도록 설계되고, 설편고정기구 (24) 가 설편고정기구 계합부 (23) 에 계합된 상태에서, 설편 (16 ∼ 19) 이 계합돌출부 (22) 에서 분리되지 않는 치수로 형성된다.
또, 도 2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편고정기구 계합부 (23) 는, 설편 (16 ∼ 19) 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세로홈 (25a, 25b) 과, 이들 세로홈 (25a, 25b) 의 하부에 직교하도록 형성된 가로홈 (26) 으로 되어 있다. 이 중, 설편고정기구 계합부 (23) 의 세로홈 (25a, 25b) 은, 도 2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합돌출부 (22) 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 형상으로 형성되고, 설편고정기구 (24) 를 수용하는 오목부 (27a, 27b) 를 구비한 대략 후크형 (hook) 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오목부 (27a, 27b) 는 세로홈 (25a, 25b) 의 외측벽면 (28a, 28b) 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세로홈 (25a, 25b) 의 외측벽면 (28a, 28b) 이 프레임 (6) 의 측면 외측을 향해 열리도록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어, 세로홈 (25a, 25b) 의 오목부 (27a, 27b) 에 설편고정기구 (24) 를 계합하기 쉽게 하고 있다.
또, 설편고정기구 (24) 가 맞닿는 세로홈 (25a, 25b) 의 하단 주변 (30a, 30b) 의 모서리를 깎아, 설편고정기구 (24) 의 절곡코너부 (31a, 31b) 가 세로홈 (25a, 25b) 의 하단 주변 (30a, 30b) 에 간섭하지 않도록 고안된다 (도 6 참조).
그리고, 도 2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홈 (25a, 25b) 및 가로홈 (26) 의 프레임 (6) 의 측면으로부터의 노칭깊이를 대략 동일한 치수 (W) 로 형성하여, 설편고정기구 (24) 가 설편고정기구 계합부 (23) 에 확실히 계합되도록 고안된다. 또, 세로홈 (25a, 25b) 의 외측벽면 (28a, 28b) 은, 도 2 및 도 4 에 나타내는 직선적인 모서리깎기 (chamfering) 로 한정되지 않고, R 모서리깎기라도 된다.
(설편고정기구)
설편고정기구 (24) 는, 도 6 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원형인 탄성을 갖는 금속제 선형상부재가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다. 설편고정기구 (24) 에는, 설편 (16 ∼ 19) 이 설편지지부 (20) 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제한하는 설편누름부 (32) 와, 이 설편누름부 (32) 의 양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는 세로홈 계합부 (33a, 33b) 와, 이 세로홈 계합부 (33a, 33b) 의 하단을 외측으로 열리도록 절곡하여 형성된 가로홈 계합부 (34a, 34b) 가 형성된다 (도 6(a) 참조).
그리고, 이 설편고정기구 (24) 는,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편누름부 (32), 세로홈 계합부 (33b (33a)) 및 가로홈 계합부 (34b (34a)) 가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설편고정기구 (24) 는, 예컨대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편고정기구 계합부 (23) 에 계합된다. 즉, 설편고정기구 (24) 는, 먼저 일방 (도 7 및 도 8 의 좌측) 의 세로홈 계합부 (33a) 를 일방의 세로홈 (25a) 의 오목부 (27a) 에 계합함과 동시에, 일방의 가로홈 계합부 (34a) 를 가로 홈 (26) 에 계합한다.
이어서, 설편고정기구 (24) 의 설편누름부 (32) 나 타방 (도 7 및 도 8 의 우측) 의 세로홈 계합부 (33b) 를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타방의 세로홈 (25b) 의 오목부 (27b) 에 계합함과 동시에, 타방의 가로홈 계합부 (34b) 를 가로홈 (26) 에 계합한다. 이로써 설편고정기구 (34) 는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편고정기구 계합부 (23) 에 확실히 장착되어 프레임 (6) 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설편고정기구 (24) 를 프레임 (6) 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순서를 취한다. 먼저, 설편고정기구 (24) 를 탄성변형시키고, 설편고정기구 (24) 의 타방의 세로홈 계합부 (33b) 를 타방의 세로홈 (25b) 의 오목부 (27b) 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설편고정기구 (24) 의 일방의 세로홈 계합부 (33a) 를 일방의 세로홈 (25a) 의 오목부 (27a) 에서 분리한다. 이로써 가로홈 계합부 (34a, 34b) 와 가로홈 (26) 의 계합상태도 해제되어, 설편고정기구 (24) 를 프레임 (6) 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설편고정기구 (24) 에는, 도 3 및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편누름부 (32) 가 형성되고, 가로홈 계합부 (34a, 34b) 가 가로홈 (26) 의 상부벽면 (35) 에 맞닿은 상태에서, 설편 (16 ∼ 19) 이 설편지지부 (20) 상을 원활하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설편고정기구 (24) 는, 도 3 에 나타내는 프레임 (6) 의 설편고정기구 계합부 (23) 에 계합된 상태에서, 설편누름부 (32) 가 설편 (16 ∼ 19) 에 접하거나 또는 설편 (16 ∼ 19) 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이 생기는 치수로 형성된다.
이로써, 설편고정기구 (24) 는, 설편 (16 ∼ 19) 의 설편지지부 (20) 로부터의 부상을 제한하면서, 광제어부재 (2 ∼ 5) 의 온도변화나 습도변화로 인한 팽창 또는 수축을 허용한다.
(광제어부재)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광판 (8) 의 출사면 (36) 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광확산 시트 (제 1 광제어부재) (2) 와, 이 광확산 시트 (2) 의 상면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프리즘 시트 (제 2 및 제 3 광제어부재) (3,4) 와, 이들 프리즘 시트 (3,4) 의 상면측에 배치되는 광확산성을 구비한 보호 시트 (제 4 광제어부재) (5) 가 광제어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 제 1 ∼ 제 4 광제어부재 (2 ∼ 5) 는, 광투과성이 우수한 수지재료로 형성된다. 또, 출사면 (36) 에 대응하는 대략 직사각형이며 형광램프 (11) 와 평행한 방향의 길이가 형광램프 (11) 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광제어부재 (2 ∼ 5) 각각은, 형광램프 (11) 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의 한쌍의 변 중의 일방으로 대략 직사각형의 설편 (16 ∼ 19) 을 가지고 있다. 설편 (16 ∼ 19) 에는, 장공 (21a ∼ 21d) 이 각각 형성된다.
이들 장공 (21a ∼ 21d) 은 설편지지부 (20) 의 계합돌출부 (22) 에 간격을 두고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치수는 제 1 ∼ 제 4 광제어부재 (2 ∼ 5) 의 온도변화나 습도변화로 인한 팽창량 또는 수축량과 프레임 (6) 의 팽창량 또는 수축량의 차이를 흡수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이 계합돌출부 (22) 와의 사이에 발생하도록 설계된다.
또, 광제어부재 (2 ∼ 5) 중에서 최상부에 위치하는 광제어부재 (5) 는, 상기 설편 (19) 이 형성된 일방의 변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타방의 변이, 테이프 (37) 에 의해 프레임 (6) 의 테이프 고정부 (38) 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광제어부재 (2 ∼ 5) 는, 설편 (16 ∼ 19) 의 장공 (21a ∼ 21d) 이 계합돌출부 (22) 에 계합된 상태에서 설편지지부 (20) 에 놓여진다. 그리고, 설편고정기구 (24) 가 프레임 (6) 의 설편고정기구 계합부 (23) 에 계합됨과 동시에, 광제어부재 (5) 가 테이프 (37) 로 프레임 (6) 의 테이프 고정부 (38) 에 고정된다. 이로써 반사 시트 (7) 및 도광판 (8) 과 함께 프레임 (6) 으로부터의 부상이 제한되어, 프레임 (6) 의 제 1 수용부 (13) 내에서의 위치어긋남이 제한된다.
(도광판)
도광판 (8) 은 PC, PMMA,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등의 광투과성이 우수한 수지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형광램프 (11) 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단면은, 형광램프 (11) 에서 멀어짐에 따라 얇아지는 쐐기형상을 가지고 있다. 출사면 (상면) (36) 의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이다.
형광램프 (11) 에서 공급된 광은 입사면 (10) 을 통하여 도광판 (8) 내로 도입되어 그 내부를 전파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 전파 과정에 있어서 출사 면 (36) 으로부터의 출사가 서서히 일어난다. 그리고, 충분한 출사광량을 얻기 위해 출사면 (36) 으로부터의 출사를 촉진하는 각종 수단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 수단이 적절히 채용될 수 있다.
(반사 시트)
반사 시트 (7) 는, 광반사성이 우수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고, 출사면 (36) 과 반대측의 면 (하면) 에 대응하는 직사각형을 가지고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반사 시트 (7) 는 도광판 (8) 의 하면에서 출사된 광을 반사하여 도광판 (8) 내부로 복귀시키도록 기능한다. 반사 시트 (7) 는 프레임 (6) 의 제 1 수용부 (13) 및 리플렉터 (12) 의 하면부 (42) 에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리플렉터)
리플렉터 (12) 는 박판상의 금속을 절곡함으로써, 형광램프 (11) 를 배면으로부터 에워싸듯이 단면이 대략 コ 자 형으로 형성된다. 리플렉터 (12) 는 형광램프 (11) 의 광을 반사하여 도광판 (8) 의 입사면 (10) 측으로 유도한다. 리플렉터 (12) 의 상승벽면부 (40) 및 상면부 (41) 는 프레임 (6) 내에 수용되고, 이 하면부 (42) 는, 나사 (43) 로 프레임 (6) 의 리플렉터 고정부 (44) 에 고정되고, 반사 시트 (7), 도광판 (8) 및 광제어부재 (2 ∼ 5) 의 형광램프 (11) 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면광원장치 (1) 는, 설편고정기구 (24) 가 선형상의 탄성부재로 형성되고, 설편고정기구 (24) 를 설편고정기구 계합부 (23) 에 탄성변형시킨 상태로 계합·이탈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설편고정기구 (24) 의 장착·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면광원장치 (1) 의 분해·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편고정기구 (24) 가 단면이 대략 원형인 선형상부재를 절곡하여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설편고정기구 (24) 가 광제어부재 (2 ∼ 5) 에 접촉해도, 설편고정기구 (24) 로 인한 손상이 광제어부재 (2 ∼ 5) 에 잘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설편고정기구 (24) 와 광제어부재 (2 ∼ 5) 의 접촉에 기인하는 미세한 먼지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 미세한 먼지의 광제어부재 (2 ∼ 5) 나 도광판 (8) 으로의 부착에 기인하는 조명품질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다.
만약, 종래의 접지클립을 본 실시형태에서의 설편고정기구 (24) 대신에 사용한 경우 접지클립의 단부에서 광제어부재 (2 ∼ 5) 를 깎아내게 되기 쉽다. 그리고, 그 때 발생하는 미세한 먼지는 광제어부재 (2 ∼ 5) 나 도광판 (8) 에 부착되어, 발광상태에 혼란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제어부재 (2 ∼ 5) 의 설편 (16 ∼ 19) 의 움직임을 설편고정기구 (24) 로 제한하고, 최상부의 광제어부재 (5) 의 설편 (19) 과 반대측 변을 테이프 (37) 로 프레임 (6) 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광제어부재 (2 ∼ 5) 의 온도변화나 습도변화에 기인하는 팽창·수축을 흡수하면서, 광제어부재 (2 ∼ 5) 의 위치어긋남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광제어부재 (2 ∼ 5) 에 응력을 발생시켜 주름모양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없다. 이로 인해, 광제어부재 (2 ∼ 5) 에 발생하는 응력이나 변형에 기인하는 조명품질의 저하가 방지되고 고품질의 면조명이 유지된다.
또, 본실시형태에 관한 면광원장치 (1) 에 액정표시패널 등의 화상표시패널 (14) 를 설치하여 액정표시장치 등의 화상표시장치 (45) 를 구성하는 경우, 분해조립이 용이해지고, 안정된 화상표시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광제어부재의 양태의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 제 4 광제어부재 (2 ∼ 5) 를 사용하고, 제 1 광제어부재 (2) 로 출사면 (36) 으로부터의 출사광을 확산시켜 휘도의 균일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제 2 및 제 3 광제어부재 (3, 4) 로 출사면 (36) 의 법선방향으로 광의 진행방향을 바꾸어, 조명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광의 비율을 증대시키고 있다. 여기서, 광제어부재 (3, 4) 는 이른바 프리즘 시트이며, 모두 단면이 대략 삼각형인 다수의 프리즘 커트를 구비한 프리즘면을 가지고 있다. 각 광제어부재 (3, 4) 의 프리즘 커트군의 연재방향은, 거의 직교하고 있다. 즉, 광제어부재 (3) 의 프리즘 커트군은 입사면 (10) 과 거의 평행하게 연재하고, 광제어부재 (4) 의 프리즘 커트군은 입사면 (10) 과 거의 수직으로 연재하고 있다.
제 4 광제어부재 (5) 는, 상기 프리즘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시트이지만, 조명광을 한층 더 균일하게 하기 위해 확산 시트로서의 기능이 필요에 따라 부여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태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허용된다. 예컨대 제 1 광제어부재 (2) 를 생략해도 된다. 또, 도광판 (8) 의 하면에 제 2 광제어부재 (3) 의 프리즘면과 동일한 프리즘면을 형성하 고, 제 1 광제어부재 (2) 및 제 2 광제어부재 (3) 를 생략하도록 해도 된다.
즉, 본 발명은 도광판 (8) 의 출사면 (36) 측에 적어도 한장의 광제어부재를 배치하는 구성을 전제로 하고 있고, 이 전제가 있으면 적용도 무방한다. 즉, 도광판이나 광제어부재의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면광원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래 구성이 적절히 선택되고 채용되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9 및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면광원장치 (1) 의 설편지지부 (20) 근방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것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계합돌출부 (22) 의 정부(頂部) (46) 를 노칭하여 단부 (47) 를 형성하고, 그 단부 (47) 에 액정표시패널 등의 화상표시패널 (14) 을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와 상기 제 1 실시형태를 비교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계합돌출부 (22) 의 단부 (47) 에 화상표시패널 (14) 을 계합하도록 되는데 비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화상표시패널 (14) 의 외주변보다도 계합돌출부 (22) 가 외측에 위치하도록 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계합돌출부 (22) 의 단부 (47) 를 화상표시패널 (14) 에 계합시키는 분만큼 설편 (16 ∼ 19) 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설편 (16 ∼ 19) 을 작게 할 수 있는 분만큼 프레임 (6) 을 소형화·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면광원장치 (1) 및 동 장치 (1) 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45) 의 소형화·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계합돌출부 (22) 가 광제어부재 (2 ∼ 5) 의 두께 치수의 합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되고, 계합돌출부 (22) 와 설편고정기구 (24) 의 설편누름부 (32) 가 높이방향으로 중첩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설편고정기구 (24) 를 프레임 (6) 에서 분리하지 않는 한, 설면 (16 ∼ 19) 의 장공 (21a ∼ 21d) 과 계합돌출부 (22) 의 계합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또한, 계합돌출부 (22) 의 상기 치수조건과 중첩조건에 의해, 설편고정기구 (24) 가 쓰러져, 설편고정기구 (24) 의 설편누름부 (32) 가 계합돌출부 (22) 의 정부 (46) 와 화상표시패널 (14) 사이에 끼이는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도 방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 (6) 의 제 2 수용부 (15) 에 화상표시패널 (14) 을 안정된 상태로 수용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0, 도 11 및 도 22(a) 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면광원장치 (1) 에서 채택되는 설편지지부 (20) 근방을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편고정기구 (24) 의 굵기를 가늘게 함과 동시에, 계합돌출부 (22) 의 높이를 낮추고 있다. 이로 인해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계합돌출부 (22) 의 정부 (46) 에 단부 (47) 를 형성하지 않고, 계합돌출부 (22) 와 화상표시패널 (14) 을 중첩시켜, 이 중첩 분만큼 설편 (16 ∼ 19) 을 작게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설편 (16 ∼ 19) 을 작게 할 수 있는 분만큼 프레임 (6) 을 소형화·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면광원장치 (1) 및 동 장치 (1) 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45) 의 소형화·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편고정기구 (24) 의 굵기를 가늘게 하는 양태를 예시하였지만, 도 22(b) 에 나타내는 변형도 가능하다. 즉, 설편고정기구 (24) 의 단면형상을 각이 없는 매끄러운 곡면의 타원형상으로 하고, 설편고정기구 (24) 의 두께를 얇게 하여, 계합돌출부 (22) 의 높이를 낮추고, 계합돌출부 (22) 와 화상표시패널 (14) 을 중첩시키도록 해도 된다.
[제 4 실시형태]
도 12 ∼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면광원장치 (1) 에서 채택되는 설편지지부 (20) 근방 및 설편고정기구 (48) 를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로홈 (25a, 25b) 의 내측벽면 (50a, 50b) 측에 오목부 (27a, 27b) 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세로홈 (25a, 25b) 의 내측벽면 (50a, 50b) 이 프레임 (6) 의 측면외측을 향해 열리도록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어, 세로홈 (25a, 25b) 의 오목부 (27a, 27b) 에 설편고정기구 (48) 를 계합하기 쉽게 하고 있다.
또, 세로홈 (25a, 25b) 하단이 가로홈 (26) 에 개구되고, 세로홈 (25a, 25b) 의 내측벽면 (50a, 50b) 의 하단 주변 (51) 의 모서리가 깎여, 설편고정기구 (48) 의 절곡코너부 (52) 와 세로홈 (25a, 25b) 하단 주변 (51) 이 간섭하지 않도록 고안된다.
설편고정기구 (48) 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탄성을 갖는 금속제 선형상부재를 절곡하여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설편고정기구 (48) 는, 설편 (16 ∼ 19) 이 설편지지부 (20) 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제한하는 설편누름부 (53) 와, 이 설편누름부 (53) 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는 세로홈 계합부 (54a, 54b) 와, 이 세로홈 계합부 (54a, 54b) 의 하단을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하여 형성된 가로홈 계합부 (55a, 55b) 를 가지고 있다 (도 14(a) 참조).
또한, 이 설편고정기구 (48) 는, 도 1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편누름부 (53), 세로홈 계합부 (54a, 54b) 및 가로홈 계합부 (55a, 55b) 가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설편고정기구 (48) 는, 가로홈 계합부 (55a, 55b) 사이의 간격이 확대되도록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세로홈 계합부 (54a, 54b) 가 세로홈 (25a, 25b) 의 오목부 (27a, 27b) 에 계합되고, 또 가로홈 계합부 (55a, 55b) 가 가로홈 (26) 의 상부벽면 (35) 에 맞닿도록 계합된다.
이에 의해, 설편고정기구 (48) 는, 프레임 (6) 의 설편고정기구 계합부 (23) 에 확실하게 계합되어, 설편 (16 ∼ 19) 이 설편지지부 (20) 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제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15 ∼ 도 16 은,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면광원장치 (1) 에서 채택되는 설편지지부 (20) 근방을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7 은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설편고정기구 (56) 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및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기 제 1 및 제 4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편 (16 ∼ 19) 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설편 (19) 의 최상면과 동일한 높이 또는 설편 (19) 의 최상면보다도 약간 상방으로 돌출된 한쌍의 지지돌출부 (57, 57) 가 설편지지부 (20) 에 형성된다.
한편, 세로홈 (25a, 25b) 의 오목부 (27a, 27b) 및 가로홈 (26) 에는, 설편고정기구 (56) 로서의 선형상 고무바퀴가 계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설편고정기구 (56) 가 고무바퀴라도, 한쌍의 지지돌출부 (57, 57) 로 설편고정기구 (56) 와 설편 (16 ∼ 19) 의 위치관계가 적정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설편고정기구 (56) 가 설편 (16 ∼ 19) 을 강한 힘으로 설편지지부 (20) 에 누르지 않기 때문에, 광제어부재 (2 ∼ 5) 의 온도변화나 습도변화에 기인하는 팽창ㆍ수축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설편고정기구 (56) 가 고무바퀴이므로, 그것이 설편 (16 ∼ 19) 에 접촉해도 손상사고에 이르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편고정기구 (56) 의 단면형상은 대략 원형이 아니어도 된다. 예컨대, 설 편고정기구 (56) 의 단면형상이 사각형이어도 된다.
[제 6 실시형태]
도 18 및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면광원장치 (1) 에서 채택되는 설편지지부 (20) 근방을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편지지부 (20) 에 계합돌출부 (22) 를 형성하지 않고, 또 설편 (16 ∼ 19) 에 장공 (21a ∼ 21d) 을 형성하지도 않는다. 즉, 설편고정기구 (24) 의 설편누름부 (32) 및 한쌍의 세로홈 계합부 (33a, 33b) 에 의해 설편 (16 ∼ 19) 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본 실시형태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도 23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면광원장치 (1) 의 설편지지부 (20) 근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0 ∼ 도 22 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3 에서, 도 20 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20 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도 20 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 제 3 광제어부재 (2 ∼ 4) 에 설편 (16 ∼ 18) 을 형성하지 않는다 (도 1 참조). 그리고, 제 4 광제어부재 (5) 에만 설편 (19) 을 형성하고, 그 설편 (19) 의 근본부분을 제 1 ∼ 제 3 광제어부재 (2 ∼ 4) 의 두께에 대응하는 치수만큼 절곡하여, 설편 (19) 에 형성한 장공 (21d) 에 계합돌출부 (22) 를 계합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편 (19) 의 절곡부위에 접은 자국을 남겨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설편 (19) 의 근본부분을 절곡함으로써 제 4 광제어부재 (5) 의 설편 (19) 의 근방이 부상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여 면광원장치 (1) 의 발광면 품위의 저하를 회피하는데 있어서 보다 유리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면광원장치 (1) 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4 광제어부재 (5) 에만 설편 (19) 을 형성하고, 다른 1 ∼ 3 의 광제어부재 (2 ∼ 4) 에 설편 (16 ∼ 18) 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 1 ∼ 제 3 광제어부재 (2 ∼ 4) 에 종래의 광제어부재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 실시형태에 비교하여, 면광원장치 (1) 의 저가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편 (19) 이 1 장뿐이므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계합돌출부 (22) 의 높이 치수를 낮게 할 수 있어, 화상표시패널 (14) 과 계합돌출부 (22) 를 중첩시켜도, 화상표시패널 (14) 과 계합돌출부 (22) 가 간섭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프레임 (6) 을 소형화ㆍ경량화할 수 있고, 면광원장치 (1) 전체의 경량화ㆍ소형화가 용이해진다.
[제 8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4 실시형태에서 채택한 설편고정기구 (48) 및 상기 제 5 실시형태에서 채택한 설편고정기구 (56) 대신, 설편고정기구 (58) 를 사용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채택되는 설편고정기구 (58) 는, 도 25(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설편고정기구 (58) 는 설편누름부 (60) 와 가로홈 계합부 (61) 가 거의 평행해짐과 동시에, 한쌍의 세로홈 계합부 (62a, 62b) 가 내측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설편고정기구 (58) 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금속 또는 수지로 구성되며, 도 25(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설편고정기구 (58) 를 채택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로홈 계합부 (62a, 62b) 가 탄성변형되므로, 도 12 및 도 15 에 나타낸 설편고정기구 계합부 (23) 에 용이하고 확실하게 장착ㆍ분리할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
이상 설명한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며, 예컨대 하기와 같은 변형이 허용된다.
(1)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 1 ∼ 제 4 광제어부재 (2 ∼ 5) 의 일방의 주변부의 한곳에 설편 (16 ∼ 19) 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것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 4 광제어부재 (5) 에 도 24 의 (a) 내지 (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편 (19) 을 복수 형성해도 된다.
도 24(a) 의 예에서는, 테이프 (37) 로 고정되는 변에 대하여 반대측 변에 복수의 설편 (19, 19) 이 형성된다. 또, 도 24(b) 에 나타낸 예에서는, 도 24(a) 의 테이프 (37) 대신 설편 (19) 을 형성하고, 각 설편 (19, 19, 19) 으로 삼각형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광제어부재 (5) 를 프레임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도 24(c) 의 예에서는, 도 24(a) 의 테이프 (37) 대신 설편 (19) 을 두곳 형성하고, 광제어부재 (5) 를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24(d) 의 예에서는, 도 1 의 테이프 (37) 대신, 설편 (19) 을 한곳 형성하는 양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설편 (19) 의 형성위치 및 갯수는, 도광판 (8) 출사면 (36) 의 크기나 그 외의 설계조건 등으로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2)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설편고정기구가 선형상의 탄성부재로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실시형태의 설편고정기구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한, 플라스틱이나 금속의 박판상 탄성부재로 설편고정기구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1) 본 발명은, 광제어부재에 형성한 설편을 프레임의 설편지지부로 지지하고, 탄성변형 가능한 선형상부재로 형성한 설편고정기구를 프레임의 설편고정기구 계합부에 계합하고, 이 설편고정기구로 설편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설편고정기구를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설편고정기구를 설편고정기구 계합부에 용이하게 장착ㆍ분리할 수 있으므로, 면광원장치의 분해ㆍ조립이 용이해진다.
(2) 본 발명에는, 선형상부재로 형성된 설편고정기구의 단면형상을 대략 원형으로 하는 양태도 포함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설편고정기구가 광제어부재에 접촉해도, 설편고정기구에 의한 광제어부재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설편고정기구와 광제어부재의 접촉에 기인하여 미세 먼지가 발생하는 현상이 억제된다. 또, 그에 따라 광제어부재나 도광판에 미세 먼지가 부착하여 발광분포에 혼란을 발생시키는 경우도 없어진다. 그 결과, 면조명의 품질을 안정된 것으로 할 수 있다.
(3) 본 발명에 의하면, 설편고정기구가 설편의 움직임을 제한하면서 광제어부재의 온도변화나 습도변화에 기인하는 팽창ㆍ수축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광제어부재에 주름모양의 변형이나 과도한 응력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그에 따라, 그와 같은 변형이나 과도한 응력에 의한 조명품질의 저하가 일어나지 않는다.
(4) 본 발명에는, 설편고정기구가 광제어부재보다도 부드러운 선형상부재로 형성하는 양태가 포함된다. 이 양태에서는 설편고정기구가 광제어부재에 접촉해도 설편고정기구에 의한 손상이 광제어부재에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설편고정기구가 광제어부재를 깎아내어 미세 먼지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5) 본 발명에 관한 화상표시장치에는, 당연히 본 발명에 따른 면광원장치의 상기 이점이 반영된다. 즉, 분해ㆍ조립이 용이해지고, 고품질이며 안정된 화상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12)

  1. 프레임, 상기 프레임내에 수용된 1 차 광원, 도광판 및 광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1 차 광원의 광을 상기 도광판의 내부로 도입하고, 상기 도광판의 출사면으로부터의 면형상 출사광을 상기 광제어부재를 통하여 출력하는 면광원장치로서,
    상기 광제어부재의 적어도 한 주변부에는 설편 (舌片) 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설편을 지지하는 설편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설편지지부로 지지된 상기 설편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선형상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설편고정기구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설편고정기구 계합부에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편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간격을 두고 계합 (係合) 하는 계합돌출부가 상기 설편지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편고정기구의 단면형상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편고정기구의 단면형상이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편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설편의 최상면과 동일하거나 높은 높이의 지지돌출부가 상기 설편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설편고정기구가 고무바퀴로 형성되며,
    상기 고무바퀴가 상기 설편고정기구 계합부 및 상기 지지돌출부에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6. 프레임, 상기 프레임내에 수용된 1 차 광원, 도광판 및 광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1 차 광원의 광을 상기 도광판의 내부로 도입하고, 상기 도광판의 출사면으로부터의 면형상 출사광을 상기 광제어부재를 통하여 출력하는 면광원장치로서,
    상기 광제어부재의 적어도 한 주변부에는 설편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설편을 지지하는 설편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설편지지부로 지지된 상기 설편의 양측 및 상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구비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설편고정기구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설편고정기구 계합부에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7. 면광원장치 및 화상표시패널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면광원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내에 수용된 1 차 광원, 도광판 및 광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1 차 광원의 광을 상기 도광판의 내부로 도입하고, 상기 도광판의 출사면으로부터의 면형상 출사광을 상기 광제어부재를 통하여 상기 화상표시패널에 공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광제어부재의 적어도 한 주변부에는 설편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설편을 지지하는 설편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편지지부로 지지된 상기 설편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선형상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설편고정기구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설편고정기구 계합부에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설편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간격을 두고 계합하는 계합돌출부가 상기 설편지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설편고정기구의 단면형상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설편고정기구의 단면형상이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설편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설편의 최상면과 동일하거나 높은 높이의 지지돌출부가 상기 설편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설편고정기구가 고무바퀴로 형성되며,
    상기 고무바퀴가 상기 설편고정기구 계합부 및 상기 지지돌출부에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2. 면광원장치 및 화상표시패널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면광원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내에 수용된 1 차 광원, 도광판 및 광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1 차 광원의 광을 상기 도광판의 내부로 도입하고, 상기 도광판의 출사면으로부터의 면형상 출사광을 상기 광제어부재를 통하여 상기 화상표시패널에 공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광제어부재의 적어도 한 주변부에는 설편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설편을 지지하는 설편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편지지부로 지지된 상기 설편의 양측 및 상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구비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설편고정기구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설편고정기구 계합부에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상표시장치.
KR1020010043378A 2000-07-19 2001-07-19 면광원장치 및 화상표시장치 KR100853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19503A JP2002040959A (ja) 2000-07-19 2000-07-19 面光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JP-P-2000-00219503 2000-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079A KR20020008079A (ko) 2002-01-29
KR100853980B1 true KR100853980B1 (ko) 2008-08-25

Family

ID=18714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378A KR100853980B1 (ko) 2000-07-19 2001-07-19 면광원장치 및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040959A (ko)
KR (1) KR100853980B1 (ko)
TW (1) TWI2347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6312A (ja) * 2000-12-25 2002-07-12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20030020526A (ko) * 2001-08-29 2003-03-10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KR100852167B1 (ko) 2002-03-08 2008-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KR100460058B1 (ko) * 2002-03-08 2004-12-04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니트
KR100840715B1 (ko) * 2002-05-28 2008-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878206B1 (ko) * 2002-08-13 2009-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시트,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
KR100914392B1 (ko) * 2002-12-31 2009-08-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JP2005158707A (ja) * 2003-11-07 2005-06-16 Sharp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4197498B2 (ja) * 2004-01-22 2008-12-1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690105B1 (ko) * 2005-04-04 2007-03-19 우 옵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역광모듈용 하우징 구조 및 그를 사용한 역광모듈
KR101232045B1 (ko) * 2005-08-24 2013-0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0805537B1 (ko) * 2005-12-02 2008-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KR100754382B1 (ko) * 2006-01-20 2007-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KR101867044B1 (ko) * 2011-11-02 2018-07-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WO2015037404A1 (ja) * 2013-09-10 2015-03-19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表示装置
JP6917557B2 (ja) * 2017-03-31 2021-08-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8602A (ja) * 1992-11-12 1994-05-27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H09185056A (ja) * 1995-12-28 1997-07-15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バックライト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H10148819A (ja) * 1996-11-18 1998-06-02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00010588A (ko) * 1996-04-23 2000-02-15 이.아이,듀우판드네모아앤드캄파니 결합된 폴리올레핀 시트
KR20000010588U (ko) * 1998-11-24 2000-06-15 김순택 액정표시장치
KR20000038534A (ko) * 1998-12-04 2000-07-0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8602A (ja) * 1992-11-12 1994-05-27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H09185056A (ja) * 1995-12-28 1997-07-15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バックライト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20000010588A (ko) * 1996-04-23 2000-02-15 이.아이,듀우판드네모아앤드캄파니 결합된 폴리올레핀 시트
JPH10148819A (ja) * 1996-11-18 1998-06-02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00010588U (ko) * 1998-11-24 2000-06-15 김순택 액정표시장치
KR20000038534A (ko) * 1998-12-04 2000-07-0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34750B (en) 2005-06-21
JP2002040959A (ja) 2002-02-08
KR20020008079A (ko) 2002-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980B1 (ko) 면광원장치 및 화상표시장치
KR100847719B1 (ko) 면광원장치, 화상표시장치 및 광제어부재
EP2006729B1 (en) Liquid crystal module
US20080316769A1 (en) Spread illuminating apparatus
US20070223253A1 (en) Lighting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is
US9739932B2 (en) Light source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JP6441488B2 (ja) 表示装置
JP3792498B2 (ja) 面光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KR100734196B1 (ko) 면광원장치 및 화상표시장치
KR20010114160A (ko) 도광판, 면광원장치 및 화상표시장치
JP4388042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フレーム
JP4626621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
JP4605401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
JP2009031480A (ja) パネルガイドおよび液晶モジュール
JP2003215585A (ja) 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JP2000098379A (ja)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7965346B2 (en) Liquid crystal module having a pair of lamp frames
JP3998173B2 (ja) 面光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5029413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
WO2020070921A1 (ja) 面状照明装置
JP2009282435A (ja) 表示装置
JP4650447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
TWI421593B (zh) 平面顯示器及其背光模組
JP4626622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
JP2005050821A (ja) 面光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