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8534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8534A
KR20000038534A KR1019980053557A KR19980053557A KR20000038534A KR 20000038534 A KR20000038534 A KR 20000038534A KR 1019980053557 A KR1019980053557 A KR 1019980053557A KR 19980053557 A KR19980053557 A KR 19980053557A KR 20000038534 A KR20000038534 A KR 20000038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pressing member
lc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9201B1 (ko
Inventor
곽희준
박진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3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9201B1/ko
Publication of KR20000038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시디 모듈의 양측면에 돌출부를 설치하고, 케이스내의 소정 영역에 돌출부를 고정하는 돌출부 결합홈을 갖는 고정부재를 설치한 다음, 일방향에서 돌출부를 돌출부 결합홈에 결합시켜 엘시디 모듈과 케이스간의 체결 영역을 줄임으로써 케이스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엘시디 모듈과 케이스를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시킴으로써 발생되던 작업의 불편함이 제거됨으로써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시디 모듈과 케이스와의 결합을 달리하여 케이스의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박형화할 수 있도록 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사회가 정보 사회화되어감에 따라 정보표시장치의 하나인 액정표시장치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CRT(cathode ray tube)는 성능이나 가격적인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갖고 있지만 소형화 또는 휴대성 측면에서 많은 단점을 갖고 있다. 반면에 액정표시장치는 가격측면에서 다소 비싸지만 소형화, 경량화, 박형화 및 저전력소비화 등의 장점을 갖고 있어 CRT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수단으로 주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의 경박단소화의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부재들 예컨대, 백라이트, 커넥터, 인쇄회로기판(PCB) 또는 결합구조 등에 있어 계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액정표시장치에 있어 큰 부피를 차지하는 엘시디(LCD) 모듈의 소형화, 슬림화는 더욱 중요시되고 있으며, 특히 엘시디 모듈과 케이스와의 결합을 위한 실장 구조에 있어서 공간축소가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엘시디 모듈을 케이스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탑 실장 방식이 사용되어 왔는데, 이를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체결홀이 형성된 마운팅부(2)가 엘시디 모듈(4)의 탑 샤시(6)의 네 모서리에 돌출 형성되고, 마운팅부(2)의 나사체결홀을 통한 나사가 케이스(8)에 체결됨으로써 엘시디 모듈(4)이 케이스(8)에 장착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탑 실장 방식에서는 엘시디 모듈의 탑 샤시의 네 모서리에 마운팅부가 돌출 형성되고, 케이스와의 나사 결합을 위해 마운팅부에는 나사 체결구조가 적용되기 때문에 마운팅부의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따르며, 이로 인해 마운팅부가 돌출된 길이만큼 케이스의 크기가 커지며,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나사 체결에 따른 불편으로 인해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시디 모듈과 케이스의 결합을 달리하여 케이스의 크기를 최소화하며, 액정표시장치의 조립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상부케이스가 제거된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을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도.
도 5는 돌출부와 브라켓과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결합순서도.
도 6은 돌출부를 조이는 나사조임툴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Ⅷ을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9는 도 8의 Ⅸ-Ⅸ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ⅩⅠ을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결합측면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일례로 엘시디 모듈의 측면에 가압부재가 일측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용 돌출부가 형성되고, 케이스의 내부에 돌출부와 대향되는 상부면에 일방향에서 삽입되는 돌출부를 결합 고정하는 돌출부 결합홈이 형성된 브라켓이 설치되어 돌출부와 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브라켓은 케이스의 내부에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브라켓의 하부면과 케이스내의 일정 영역 사이에 탄성부재가 개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탄성부재는 브라켓의 돌출부 결합홈에 대향되는 영역에 위치한다.
엘시디 모듈의 측면과 가압부재의 간격은 브라켓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으며, 가압부재는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제 1 가압부재와 제 2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며 제 1 가압부재와 제 2 가압부재 사이의 돌출부 영역이 돌출부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압부재와 제 2 가압부재의 간격은 브라켓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압부재와 상기 제 2 가압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외주면의 일측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돌출부 결합홈은 평면의 중심으로부터 대향되는 돌출부의 외주면의 중심까지의 길이와 대응되는 돌출부 인입구를 갖을 수 있다.
또한, 다른례로 본 발명은 엘시디 모듈의 측면에 결합용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에 대향되는 케이스내의 소정 영역에 고정부재가 설치되어 일방향에서 수납되는 돌출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돌출부는 원통형상이고, 고정부재는 돌출부와 대향되는 표면에 돌출부의 직경보다 작은 돌출부 인입구를 갖는 돌출부 결합홈을 구비하며 자체 탄성력을 갖는다.
물론, 돌출부 자체에 탄성력을 구비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에 돌출부 인입구를 커버하는 커버가 결합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는 크게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엘시디 모듈(10)과 데이터 디스플레이 영역 이외의 엘시디 모듈(10)을 감싸는 케이스(12)로 이루어지며, 엘시디 모듈(10)의 측부, 예를 들어, 대향되는 양측면에 각각 돌출부들(14)이 상호 소정 간격 이격 형성되고, 돌출부들(14)과 대향되는 케이스(12)내의 소정 영역에 돌출부들(14)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예를 들어, 브라켓(16)이 설치된다.
엘시디 모듈(10)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엘시디 패널(18), 엘시디 패널(18)의 배면에 위치하여 광을 발생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들을 수용하는 몰드 프레임 및 엘시디 패널(18)의 상면 가장자리와 몰드 프레임의 측면을 감싸면서 몰드 프레임에 고정되는 탑샤시(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12)는 엘시디 모듈(10)의 하부를 감싸는 하부케이스(22), 데이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엘시디 모듈(10)의 상부를 감싸며 하부케이스(22)와 결합하는 상부케이스(24)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시디 모듈(10)의 양측면에 태핑(tapping) 공정에 의해 형성된 나사홈에 원통형상의 돌출부들(14)이 나사결합되어 설치되고, 돌출부(14)의 일측단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부(14)의 축과 직교되어 외주면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브라켓의 측면을 각각 가압하는 제 1 가압부재(24)와 제 2 가압부재(26)가 형성된다.
이때, 제 1 가압부재(24)와 제 2 가압부재(26)는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이며, 제 1 가압부재(24)와 제 2 가압부재(26) 사이로 브라켓(16)이 끼워져 제 1 가압부재(24)와 제 2 가압부재(26)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제 1 가압부재(24)와 제 2 가압부재(26)의 간격은 브라켓(16)의 두께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1 가압부재(24)와 제 2 가압부재(26)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14)의 외주면의 일측은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28)으로 이루어진다.
하부케이스(22)내에는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적용을 위해 돌출부(14)를 고정하는 소정 길이를 갖는 브라켓(16)이 일측단부가 하부케이스내(22)의 하부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하부케이스(22)의 세로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는 내측면을 따라 각각 설치되고, 돌출부들(14)과 대향되는 브라켓(16)의 상부에는 제 1 가압부재(24)와 제 2 가압부재(26) 사이의 돌출부(14)의 직경, 즉, 평면(28)의 중심으로부터 대향되는 돌출부(14)의 외주면 중심까지의 길이와 대응되는 돌출부 인입구(30)를 갖는 돌출부 결합홈(32)이 형성된다.
물론, 하부케이스(22)에 대한 브라켓(16)의 설치는 힌지 결합 이외에 여러 형태로 변형 가능하며, 하부케이스(22) 이외에 상부케이스(24)에 브라켓(16)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돌출부(14)의 일측단에는 나사체결용 일자홈이 형성되며, 브라켓(16)과 하부케이스(22) 사이에 고무와 같은 탄성부개(34)가 개재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 결합홈(32)과 대향되는 하부케이스(22)내의 일정 영역에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34)가 소정 높이 돌출 부착되어 탄성부재(34)와 대향되는 브라켓(16)의 하부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진다.
이러한 탄성부재(34)는 진동 또는 흔들림을 차단하여 진동 또는 흔들림으로 인해 발생되는 돌출부(14)의 회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돌출부(14)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돌출부(14)와 대향되는 하부케이스(22)의 측벽의 상단부는 나사체결용 일자홈 보다 낮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체결용 일자홈의 형상은 십자홈 내지 육각홈 등으로 변형가능하다.
이러한 엘시디 모듈의 돌출부와 하부케이스의 브라켓과의 결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엘시디 모듈(10)의 돌출부(14)를 하부케이스(22)의 브라켓(16)의 돌출부 인입구(30)에 얼라인시킨 다음 제 1 가압부재(24)와 제 2 가압부재(26)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14)의 영역을 돌출부 인입구(30)에 수납한다.
이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압부재(24)와 제 2 가압부재(26)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14)의 영역은 평면(28)이 돌출부 인입구(30)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에서 돌출부 인입구(30)에 삽입되어 돌출부 결합홈(32)에 결합된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압부재(24)와 제 2 가압부재(26)는 브라켓(16)의 양측면과 접촉한 상태가 되어 돌출부(14)와 브라켓(16)과의 고정이 보다 견고해진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 형상의 나사조임 툴(tool ; 36)을 돌출부(14)의 일측단에 형성된 일자홈에 끼워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돌출부(14)의 라운딩된 외주면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 인입구(30)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돌출부(14)의 라운딩 외주면이 돌출부 인입구(30)에 대향되어 위치됨으로써 돌출부(14)가 돌출부 인입구(30)를 통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종래에는 나사체결 특성상 엘시디 모듈의 측면에 형성된 마운팅부는 적어도 7~10mm 정도의 평면적의 길이를 갖기 때문에 마운팅부의 평면적 길이에 대응하여 케이스의 크기 또한 증가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엘시디 모듈(10)의 측면에 설치된 돌출부(14)의 길이를 약 3mm 정도로 한 상태에서 하부케이스(22)에 설치된 브라켓(16)과 엘시디 모듈(10)의 돌출부(14)의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만큼 케이스의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여기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엘시디 모듈의 돌출부와 케이스의 브라켓과의 결합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실시예에서 언급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엘시디 모듈(38)의 측부, 예를 들어, 대향되는 양측면에 소정 길이 돌출되는 원통형상의 돌출부들(40)이 나사결합되어 설치되며, 이때, 돌출부(40)의 일측단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부(40)의 축과 직교되어 외주면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가압부재(42)가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40)의 길이는 상기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략 3mm 정도이며, 돌출부(40)의 길이는 단축가능하다.
하부케이스(44)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0)를 고정하는 브라켓(46)이 일측단부가 하부케이스(44)내의 하부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하부케이스(44)의 세로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는 내측면을 따라 각각 설치되고, 돌출부들(40)과 대향되는 브라켓(46)의 상부에는 돌출부(40)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의 폭을 갖는 돌출부 인입구(48)를 갖는 돌출부 결합홈(50)이 형성된다. 물론, 돌출부 결합홈(50)이 형성된 브라켓(46)의 일정 부분에서는 자체 탄성력을 갖는다.
이때, 엘시디 모듈(38)의 측면과 가압부재(42) 사이로 브라켓(46)이 끼워질 수 있도록 엘시디 모듈(38)의 측면과 가압부재(42)의 간격은 브라켓(46)의 두께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러한 돌출부를 갖는 엘시디 모듈과 브라켓을 갖는 하부케이스의 결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엘시디 모듈(38)의 돌출부(40)를 브라켓(46)의 돌출부 인입구(48)에 얼라인시킨다.
이어서, 엘시디 모듈(38)의 돌출부(40)를 돌출부 인입구(48)에 삽입한다. 그러면, 브라켓(46)의 자체탄성력에 의해 돌출부 인입구(48)가 확장되면서 돌출부(40)가 돌출부 결합홈(50)에 결합된다.
이때, 브라켓(46)이 엘시디 모듈(38)의 측면과 가압부재(42) 사이에 끼워져 브라켓(46)의 양측면이 가압부재(42)와 엘시디 모듈(38)과 접촉되므로써 엘시디 모듈(38)과 하부케이스(44)의 고정력이 보다 향상된다.
종래에는 엘시디 모듈을 하부케이스에 수납한 다음 엘시디 모듈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마운팅부를 통해 하부케이스에 나사체결하여 엘시디 모듈을 하부케이스에 고정함으로써, 나사체결에 따른 작업 불편으로 인해 작업능률이 저하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엘시디 모듈(38)의 돌출부(40)를 브라켓(46)의 돌출부 결합홈(50)에 결합시켜 엘시디 모듈(38)을 하부케이스(44)에 결합시킴으로써 종래의 나사체결에 의한 결합보다 작업이 간편하게 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물론, 상기 실시예에서 언급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여기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엘시디 모듈과 케이스와의 결합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실시예에서 언급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돌출부(52)의 한쌍이 엘시디 모듈(53)의 탑샤시(54)의 양측면에 소정 길이 돌출 고정되고, 이때, 돌출부(52)의 형상은 원통형상이다. 물론, 돌출부(52)의 형상은 원통형상 이외에 여러 형상으로 변형가능하다.
돌출부(52)는 탑샤시(54)에 일체로 고정되거나 나사결합될 수 있고, 나사결합을 할 경우 탑샤시(54)를 관통하여 몰드프레임에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탑샤시(54)의 측면에 결합구를 형성한 다음 돌출부(52)를 억지끼워 넣을 수도 있다.
돌출부들(52)과 각각 대향되는 하부케이스(56)내에는 돌출부들(52)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재들(58)이 설치된다.
돌출부들(52)과 대향되는 고정부재들(58)의 상면에는 돌출부(52)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의 폭을 갖는 돌출부 인입구(60)를 갖는 돌출부 결합홈(62)이 형성되며, 이때, 고정부재(58)는 자체 탄성력을 갖는다. 물론, 돌출부(52) 자체에서 탄성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52)가 고정부재(58)에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부(52)와 고정부재(58)와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4)가 고정부재(58)의 돌출부 인입구(60)를 커버하여 고정부재(58)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고정부재(58)의 상부의 상호 대향되는 양측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걸림턱(66)이 각각 형성되고, 걸림턱(66)에 대향되는 커버(64)의 양측에는 걸림턱(66)에 걸리는 다른 걸림턱(68)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돌출부와 고정부재의 결합을 살펴보면, 엘시디 모듈(53)의 돌출부(52)를 고정부재(58)의 돌출부 인입구(60)에 얼라인시킨다.
이어서, 엘시디 모듈(53)의 돌출부(52)를 돌출부 인입구(60)에 삽입한다. 그러면, 고정부재(58)의 자체탄성력에 의해 돌출부 인입구(60)가 확장되면서 돌출부(52)가 돌출부 결합홈(62)에 결합된다.
이후, 커버(64)를 고정부재(58)에 결합시킨다.
종래에는 엘시디 모듈을 하부케이스에 수납한 다음 엘시디 모듈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마운팅부를 통해 하부케이스에 나사체결하여 엘시디 모듈을 하부케이스에 고정함으로써, 나사체결에 따른 작업 불편으로 인해 작업능률이 저하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엘시디 모듈(53)의 돌출부(52)를 고정부재(58)의 돌출부 결합홈(62)에 결합시켜 엘시디 모듈(53)을 하부케이스(56)에 결합시킴으로써 종래의 나사체결에 의한 결합보다 작업이 간편하게 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종래에는 나사체결 특성상 엘시디 모듈의 측면에 형성된 마운팅부는 적어도 7~10mm 정도의 평면적의 길이를 갖기 때문에 마운팅부의 평면적 길이에 대응하여 케이스의 크기 또한 증가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엘시디 모듈(53)의 측면에 설치된 돌출부(52)의 길이를 약 3mm 정도로 한 상태에서 하부케이스(56)에 형성된 고정부재(58)와 엘시디 모듈(53)의 돌출부(52)의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만큼 케이스의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서는 하부케이스에 대한 엘시디 모듈의 결합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고정부재를 상부케이스에 설치하여 엘시디 모듈을 상부케이스에 결합시킬 수도 있으며, 돌출부 인입구를 커버하는 커버를 브라켓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 예컨대, 노트북형 컴퓨터, 데스크탑형 컴퓨터, TV, 전자 계산기, 디지털 카메라 등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시디 모듈의 양측면에 돌출부를 설치하고, 케이스내의 소정 영역에 돌출부를 고정하는 돌출부 결합홈을 갖는 고정부재를 설치한 다음, 일방향에서 돌출부를 돌출부 결합홈에 결합시켜 엘시디 모듈과 케이스간의 체결 영역을 줄임으로써 케이스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 엘시디 모듈과 케이스를 나사체결을 통해 결합시킴으로써 발생되던 작업의 불편함이 제거됨으로써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엘시디 패널,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들을 수용하는 몰드 프레임 및 탑샤시를 구비한 엘시디 모듈;
    상기 엘시디 모듈을 상부 및 하부로부터 각각 커버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엘시디 모듈은 측면에 가압부재가 일측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돌출부와 대향되는 상부면에 일방향에서 삽입되는 상기 돌출부를 결합 고정하는 돌출부 결합홈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소정 길이를 갖는 브라켓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탄성부재가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브라켓의 상기 돌출부 결합홈에 대향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시디 모듈의 측면과 상기 가압부재의 간격은 상기 브라켓의 두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제 1 가압부재와 제 2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가압부재와 상기 제 2 가압부재 사이의 돌출부 영역이 상기 돌출부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부재와 상기 제 2 가압부재의 간격은 상기 브라켓의 두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부재와 상기 제 2 가압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의 일측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 결합홈은 상기 평면의 중심으로부터 대향되는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의 중심까지의 길이와 대응되는 돌출부 인입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엘시디 패널,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들을 수용하는 몰드 프레임 및 탑샤시를 구비한 엘시디 모듈;
    상기 엘시디 모듈을 상부 및 하부로부터 각각 커버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엘시디 모듈은 적어도 일측면에 소정 형상을 갖는 결합용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돌출부에 대향되는 상기 케이스내의 소정 영역에 설치되어 일방향에서 삽입되는 상기 돌출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통형상이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돌출부와 대향되는 표면에 상기 돌출부의 직경보다 작은 돌출부 인입구를 갖는 돌출부 결합홈을 구비하며 자체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자체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돌출부 인입구를 커버하는 커버가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9980053557A 1998-12-04 1998-12-04 액정표시장치 KR100319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557A KR100319201B1 (ko) 1998-12-04 1998-12-04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557A KR100319201B1 (ko) 1998-12-04 1998-12-04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534A true KR20000038534A (ko) 2000-07-05
KR100319201B1 KR100319201B1 (ko) 2002-10-25

Family

ID=19561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557A KR100319201B1 (ko) 1998-12-04 1998-12-04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920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925B1 (ko) * 2000-08-04 2005-07-0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액정 표시 장치
KR100840418B1 (ko) * 2002-08-01 2008-06-20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엘시디 모듈
KR100853980B1 (ko) * 2000-07-19 2008-08-25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면광원장치 및 화상표시장치
KR100897743B1 (ko) * 2002-03-20 200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KR20150086618A (ko) * 2014-01-20 201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3433B2 (ja) * 1997-01-22 2004-11-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この修理方法
KR100269943B1 (ko) * 1997-03-03 2000-10-16 윤종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모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980B1 (ko) * 2000-07-19 2008-08-25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면광원장치 및 화상표시장치
KR100497925B1 (ko) * 2000-08-04 2005-07-0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액정 표시 장치
KR100897743B1 (ko) * 2002-03-20 200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KR100840418B1 (ko) * 2002-08-01 2008-06-20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엘시디 모듈
KR20150086618A (ko) * 2014-01-20 201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9201B1 (ko) 200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7435B1 (ko) 마운팅 프레임 결합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JP2885693B2 (ja) 小型電子機器のlcd保持構造
US7663871B2 (en) Portable computer and method for mounting a flat panel display device module
US792436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508655B2 (en) Display device
EP1069459B1 (en) Mounting structure for liquid crystal modules
KR10092848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418932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시스템
US6618240B1 (en) Computer having a flat panel display
KR100319201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31920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319204B1 (ko) 엘시디모듈및이를이용한액정표시장치
KR100319203B1 (ko) 엘씨디모니터장치
JP3385309B2 (ja) 液晶表示素子の取付構造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0524486B1 (ko) 엘시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278615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00040703A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보처리장치
KR100286975B1 (ko) 액정표시장치 컴퓨터
KR100463853B1 (ko) 엘씨디모듈의장착구조
KR20000034179A (ko) 액정표시장치
KR100469518B1 (ko) 액정표시장치의 조립구조
KR100541201B1 (ko) 액정표시모듈을 사용한 정보처리장치 및 액정표시모듈 실장방법
KR100462806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JP3486531B2 (ja) 液晶装置
KR100570081B1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보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