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128B1 -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128B1
KR100845128B1 KR1020070049915A KR20070049915A KR100845128B1 KR 100845128 B1 KR100845128 B1 KR 100845128B1 KR 1020070049915 A KR1020070049915 A KR 1020070049915A KR 20070049915 A KR20070049915 A KR 20070049915A KR 100845128 B1 KR100845128 B1 KR 100845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turning angle
signal
collision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철규
Original Assignee
오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철규 filed Critical 오철규
Priority to KR1020070049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 B66C15/045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8Automatic control of crane drives for producing a single or repeated working cycle; Programm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B66C15/065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2Control of the secondary movements, e.g. travelling, slewing, luffing of the jib, changing of the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부하 및 충돌방지시스템과 풍속의 설정값에 대한 컷오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 안전장치로 과부하에 의한 전복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선회각도 및 후크 높이를 제어하여 크레인 투 크레인, 크레인 투 빌딩 등의 충돌을 방지하며 전동력 설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된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과부하에 의한 전복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선회각도 및 후크 높이를 제어하여 크레인 투 크레인, 크레인 투 빌딩 등의 충돌을 방지하고 초과풍속을 제한하는 크레인 안전장치에 있어서, 트롤리에 있는 구간 디텍터의 거리센서, 톱 머스트에 있는 윈드스피드 센서, 슬루잉기어의 선회각도 센서 및 도르래의 로드셀이 각각 설치되고, 운전실에 설치되는 콘트롤러 및 모니터에는 현재의 선회각도, 풍속, 트롤리 거리구간, 제한하중, 후크높이 및 중량을 숫자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049915
크레인, 과부하 방지, 충돌방지, 크레인 안전장치, 전동력 설비, 모니터 표시, 도르래, 초과 풍속제한, 컷오프시스템, 안전장치시스템

Description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SAFETY DEVICE SYSTEM OF CRANE}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을 도시해 놓은 설치도,
도 2 는 본 발명의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콘트롤러 및 모니터를 도시해 놓은 상태도,
도 4 는 모니터에서 정상동작, 경보구간 및 충돌구간, 풍속구간을 각기 디스플레이시켜 놓은 상태표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니터의 표시순서도,
도 6 은 도 2 에 도시된 릴레이 보우드와 시퀀스판넬에서 초과 풍속제한을 나타낸 시퀀스회로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윈드스피드 센서
2 : 선회각도 센서
3 : 콘트롤러 및 모니터
4 : 로드 셀 5 : 거리 센서
본 발명은 크레인(CRANE)의 과부하 및 충돌방지시스템과 풍속의 설정값에 대한 컷오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장치로 과부하에 의한 전복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선회각도 및 후크 높이를 제어하여 크레인 투 크레인(CRANE TO CRANE), 크레인 투 빌딩(CRANE TO BUILDING) 등의 충돌을 방지하며 초과풍속에 따른 전동력 설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어지는 개선된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하중의 인양물을 들어올리는 장치로서 크레인이 사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크레인에는 부움(Boom)이 고정된 고정식과, 부움이 다단으로 신축될 수 있는 텔레스코프식의 직진식 및 하나 이상의 부움을 접을 수 있는 굴절식이 있다.
상기 크레인들 중 직진식 크레인은 다단의 부움이 텔레스코프식으로 결합된 텔레실린더와, 이 텔레실린더를 지지하는 데릭을 구비하고 있으며, 인양되는 인양물을 들어 올리기 위한 윈치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원활하고 편리한 작업을 위해 산업 현장에서는 수많은 종류의 크레인이 배치되어 물건의 하역 및 무거운 중량물의 이동을 담당한다.
이와 같이 편리한 크레인이 규정 하중을 버터내지 못하고 전복된다면 엄청난 재난이 발생될 것이다.
상기 재난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에 하나로서 크레인 과부하장치는 크레인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장치로써 설치되고 있다.
상기 크레인 안전장치는 모든 크레인에 쉽게 설치 및 시운전되어 동작되어야 하는 데, 종래의 크레인 과부하장치로서 장착되어 있는 대부분의 과부하방지장치를 위한 센서가 크레인에 각기 장착되고 있다.
대다수 중소형 크레인에도 가격 문제 등으로 인하여 전기식 과부하방지장치가 장착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크레인 및 작업자의 안전에 막대한 위험이 따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운전실의 콘트롤러와 모니터를 간편히 조작하여 모니터링하게 됨으로 과부하에 의한 전복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며, 또한 선회각도 및 후크 높이를 제어하여 크레인 투 크레인, 크레인 투 빌딩 등의 충돌을 방지하고 초과 풍속에 대하여 크레인의 운전을 제한하며 전동력 설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된 크레인의 과부하 및 충돌방지와 초과 풍속제한을 도모할 수 있는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과부하에 의한 전복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선회각도 및 후크 높이를 제어하여 크레인 투 크레인, 크레인 투 빌딩 등의 충돌을 방지하고 초과 풍속을 제한하는 크레인 안전장치에 있어서, 트롤리에 있는 구간 디텍터의 거리센서, 톱 머스트에 있는 윈드스피드 센서, 슬루잉기어의 선회각도 센서 및 도르래의 로드셀이 각각 설치되고, 운전실에 설치되는 콘트롤러 및 모니터를 이용하여 선회각도, 풍속, 트롤리 거리구간, 제한하중. 후크높이 및 중량을 숫자로 각기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콘트롤러 및 모니터에서는 충돌영역에 근접한 상태나 충돌영역을 지날 때 디스플레이화면이 경보화면이나 충돌화면으로 바뀌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과부하, 충돌영역 및 과풍속시에는 콘트롤러내의 부저가 울려 운전자에게 주의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특징은, 과부하에 의한 전복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선회각도 및 후크 높이를 제어하여 크레인 투 크레인, 크레인 투 빌딩 등의 충돌을 방지하고 초과풍속을 제한하는 크레인 안전장치에 있어서, 콘트롤러 및 모니터는 멀티 A/D 컨버터의 입력단에 로드셀의 L/C 증폭기, 거리센서인 구간디텍터의 A/D 증폭기, 풍속계 엔코더의 프리증폭기및 선회각도 센서의 A/D 증폭기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멀티 A/D 컨버터에 연결된 마이크로 컴퓨터에는 키보우드와 모니터가 각각 연결되면서 릴레이보우드를 통한 시퀀스판넬이 연결한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콘트롤러 및 모니터의 전면판은 그래픽 디스플레이, 스톱램프, 경보램프, 신호1 램프 - 신호4 램프, 방향키, 하중제로키, 캔슬키 및 엔터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회각도 센서를 사용한 선회각도 설정은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선회각도 시그널이 선회각도를 제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릴레이 보우드와 시퀀스판넬을 제어 및 통제하고,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크레인의 전원을 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을 도시해 놓은 설치도이다. 본 발명의 과부하 및 충돌방지, 초과풍속제한의 안전장치 시스템은 콘트롤러 및 모니터(3 : 도 4 참조)를 이용하여 크레인(CRANE) 안전장치로 과부하에 의한 전복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선회각도 및 후크 높이를 제어하여 크레인 투 크레인(CRANE TO CRANE), 크레인 투 빌딩(CRANE TO BUILDING) 등의 충돌을 방지하며 초과 풍속제한으로 전동력 설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된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인 것이다.
크레인의 운전실에 설치되는 콘트롤러 및 모니터(3)에서 모니터는 전원전압이 DC 5V이고, 사용주위온도가 -10℃ ~ +50℃이며, 보존온도는 -20℃ ~ +60℃ 이 고, 습도는 95%RH 이하이며, 디스플레이는 320 x 240 GRAPHIC LCD WITH BACK LIGHTING이다.
상기 모니터의 표시 램프(LAMP)는 하중용 스톱램프, 하중용 알람램프, 하중용 신호1 램프, 하중용 신호2, 하중용 신호3 램프, 풍속용 신호4 램프이다.
그리고, 콘트롤러(인디게이터)는 전원 전압이 AC 220V/110V 절체 가능하고 소비 전력이 대략 20W이며, 사용주위온도는 -20℃ ~ +60℃이고, 보존 온도는 -30℃ ~ +80℃이며, 습도는 95%RH 이하이고, 디스플레이는 320*240 그래픽(GRAPHIC) LCD인 것이다.
상기 콘트롤러의 신호 출력은 5개의 릴레이출력으로 알람(ALARM)은 1a, 1b (DRY CONTACT 1b 250V 3A) 조정가능 (80~105%), 오버로드(OVER)는 1a, 1b (DRY CONTACT 1b 250V 3A) 조정가능 (80~105%), 신호1(SIG 1)는 1a, 1b (DRY CONTACT 1b 250V 3A) 조정가능, 신호2(SIG 2)는 1a, 1b (DRY CONTACT 1b 250V 3A) 조정가능, 신호3(SIG 3)는 1a, 1b (DRY CONTACT 1b 250V 3A) 조정가능, 풍속신호4(SIG 4)는 1a, 1b (DRY CONTACT 1b 250V 3A) 조정가능, 선회각도 신호1(SIG 1)는 1a, 1b (DRY CONTACT 1b 250V 3A) 조정가능, 선회각도 신호2(SIG 2)는 1a, 1b (DRY CONTACT 1b 250V 3A) 조정가능 등이다.
그리고, 시스템(SYSTEM) 정도는 ±1% 이하이고, 과부하검출시간은 1Sec 이내이며, 오동작방지와 더불어 크레인작동시의 순간부하 및 순간 모멘트(MOMENT)로부터의 흔들림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트롤리(TROLLY)에 있는 구간(Length) 디텍터의 거리센서(5)는 인가 전원이 콘트롤러로부터 DC 5V 이고, 사용 주위 온도는 -20℃~+85℃이며, 보존 온도는 -40℃~+85℃이고, 습도는 95% RH 이하이다.
센서는 포텐티오-메터(POTENTIO-METER) 1KΩ 이고, 기어 및 커플링형(GEAR & COUPLING TYPE)이며, 재질(MATERIAL)이 캐스트아이론(CAST IRON)인 것이다.
톱 머스트(TOP MUST)에 있는 윈드스피드 센서(1)는 전원 전압이 DC +12V ~ +24V이고, 사용주위온도는 -20℃ ~ +60℃이며, 보존 온도는 -20℃ ~ +70℃이고, 습도는 95%RH 이하이다.
디스플레이는 3-DIGIT SPEED (m/S)이고, 표시범위는 0 ~ 60m/s이며, 회전속도는 1000rpm 미만인 것이다.
슬루잉기어의 선회각도 센서(2)는 리솔루션(RESOLUTION) 8 비트이고, 출력코드가 글레이 바이너리이며, 오퍼레이팅 온도는 -10℃ ~ 60℃ 이고, 저장 온도(STORAGE TEMP.)는 -30℃ ~ 80℃이다.
엔크로져(ENCLOSURE)는 IP64이고, 슬루 스피드(SLEW SPEED)는 1,000 RPM 이다.
도르래의 로드셀(4)은 레이티드 용량(RATED CAPACITY)는 25Ton/로프이고, 레이티드 출력은 1.5mV/V이며, 비선형(NON-LINEARITY)은 0.2 % R.O이고, 제로배런스(ZERO BALANCE)는 ±1% R.O이며, 온도범위 보상(COMPENSATED)은 -10℃ ~ +70℃이고, 온도범위 세이프(SAFE)는 -20℃ ~ +80℃이다.
터미날 저항(TERMINAL RESISTANCE)은 350Ω±5% (+EXC ~ -EXC)와 350Ω±5% (+SIG ~ -SIG)이고, 절연저항(INSULATION RESISTANCE)은 1000MΩ 이상이며, 여기 리코멘디드(EXCITATION RECOMMENDED)는 DC ±5V(10V)이며, 최대공급전압은 20V이다.
세이프 오버로드(SAFE OVER LOAD)는 150% R.C이고, 최대 오버로드는 300% R.C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본 발명의 과부하 및 충돌방지, 초과풍속제한의 안전장치 시스템은 도르래의 로드셀(LOAD CELL : 4) 및 반경디텍터(RADIUS DETECTOR) 및 선회각도 센서(SLEWING SENSOR : 2)로부터 하중과 작업반경, 슬루잉신호(SLEWING SIGNAL)를 받아서 멀티 A/D 컨버터(15)를 통해 디지털신호(DIGITAL SIGNAL)로 변환시킨다.
상기 멀티 A/D 컨버터(15)의 입력단에는 로드셀(4)의 L/C 증폭기(11), 가변저항의 포텐티오 메터(전위차계)로 거리센서(5)의 A/D 증폭기(12), 풍속계(ANEMOMETER)엔코더(6)의 프리증폭기(13) 및 선회각도 센서(2)의 A/D 증폭기(14)가 각각 연결되어져 있다.
상기 멀티 A/D 컨버터(15)에 연결된 마이크로 컴퓨터(16)에는 키보우드(18)와 모니터(17)가 연결되는 한편, 모니터(17)가 출력되면서 릴레이보우드(19)를 통한 시퀀스판넬(20)이 연결되고 있다.
따라서, 이 멀티 A/D 컨버터(15)의 디지털 신호데이터를 마이크로 컴퓨터(MICRO COMPUTER : 16)에 입력시켜 프로그램에 의하여 모니터(17)상에 현재의 중량, 제한하중, 작업반경, 선회각도, 후크 높이 및 현재 풍속을 숫자표시기로 나타내고 알람(ALARM) 및 리미터(LIMITER) 신호를 출력시킨다.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콘트롤러 및 모니터(3)를 도시해 놓은 상태도이다. 모니터(17)의 전면판에서 그래픽 디스플레이(GRAPHIC DISPLAY : 31)는 LMI의 모든 정보 및 셋팅(SETTING)시 표시되는 320*240 그래픽(GRAPHIC) LCD 이고, 스톱램프(32)는 현재의 하중이 오버(OVER) 하중이상일 때 점등하는 LED이다.
경보램프(33)는 현재의 하중이 알람(ALARM) 하중이상일 때 점등하는 LED이고, 신호1(SIG1)램프(34)는 크레인(CRANE) 용량의 신호1(SIG1) 설정 초과시 점등되는 LED이다.
신호2(SIG2)램프(35)는 크레인 용량의 신호2(SIG2) 설정 초과시 점등되는 LED이고, 신호3(SIG3)램프(36)는 크레인 용량의 신호3(SIG3) 설정 초과시 점등되는 LED이다.
신호4(SIG4)램프(37)는 크레인 용량의 신호4(SIG4) 설정 초과시 점등되는 LED이다.
방향키(38)는 크레인의 설정치를 정하기 위한 버튼이고, 하중 제로(WEIGHT ZERO)키(39)는 현재 하중을 영점화시키는 버튼이며, 캔슬(CANCEL)키(40)는 해제 버튼이고, 엔터키(41)는 입력완료 버튼이다.
기능 설정용 및 방향키(38)를 사용함에 있어, 모우드 조정에서 수치 입력은 방향키(38)를 사용하며 아래와 같은 순으로 충분히 숙지 후 조작하고 있다.
사용하고자 하는 크레인의 특성을 확인 후 설정치를, 방향키(38)의 상하키를 사용하여 선택하여 주고 있다.
현재의 설정을 무시하고자 할 경우는 캔슬키(40)를 사용하고, 현재의 설정을 등록하고자 할 경우는 엔터키(41)를 사용하며, 숫자는 점멸하고 있는 행에서 입력 되며, 하위행으로 이동하고자하면 방향키(38)의 우측키를 누르고, 상위행으로 이동하려면 좌측키를 누르고, 숫자를 증가하고자 하면 상위키를 누르고, 감소하고자하면 하위키를 누른다.
도 4 는 모니터에서 정상동작, 경보구간 및 충돌구간, 풍속구간을 각기 디스플레이시켜 놓은 상태표시도이다.
도 4(a)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동작은, 모니터의 그래픽 디스플레이(31)상에 충돌영역이 없는 안전한 구간의 모니터 표시상태인 것이고, 선회각도, 풍속, 트롤리 거리구간, 제한(LIMIT)하중, 후크높이 및 중량의 값들이 각각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것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보구간은, 충돌영역에 근접한 상태로 모니터의 그래픽 디스플레이(31) 화면이 자동으로 경보화면으로 바뀌며, 도시되지 않는 부저를 울려 운전자가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는 충돌경보구간의 모니터의 표시상태인 것이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구간은, 충돌영역을 지날 때 모니터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화면이 자동으로 충돌화면으로 바뀌며, 부저를 울려 부움(BOOM)각도 및 후크(HOOK) 높이 등을 조정하여 충돌을 막을 수 있는 충돌구간의 모니터 표시상태인 것이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속구간은 현재 풍속을 표시해주고, 풍속이 20 m/s 이상시 컷오프시스템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과부하, 충돌영역 및 과풍속시에는 콘트롤러내의 부저가 울려 운전 자에게 주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과부하 및 충돌방지, 초과풍속제한의 안전장치 시스템에서 콘트롤러 및 모니터의 동작을 도 5를 근거로 설명하고, 모우드 조정에서 수치 입력은 도 3 에 도시된 방향키(38)를 사용하고 있다.
예컨데 16개 모우드의 기능설정중 끝달림 및 필터, 그리고 히스터리시스(HYSTERESIS)에 있어, 모우드1 의 설정 기능은 상기 끝달림이 현재하중의 마지막 단위 변화치를 설정하는 키이다.
상기 필터는 표시치의 안정화를 위한 것으로, 하중의 흔들림에 대해 표시치의 지시 정도를 결정하며 수치가 높을수록 표시 정도가 둔감해지고 낮을수록 표시정도가 민감해진다.
상기 히스터리시스는 크레인 하중을 작업의 컷오프 시스템(CUT-OFF SYSTEM)이 동작된 지점에서 제한하중의 히스터리시스(%) 만큼 확보된 상태에서 컷오프 시스템이 해제되어 안정적인 작업을 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는 순차적으로 엔터키 - 모우드1 - 엔터키 - 끝달림의 수치 설정 - 엔터키 - 필터의 수치설정 - 엔터키 - 히스터리시스의 수치설정 - 엔터키 순으로 설정하게 된다(도 5 참조).
그 이외의 모우드의 상세 표시는 도 5 에 도시된 화면들을 이용한 것으로, 상세 화면을 생략한다.
엔터키 - 모우드2 - 엔터키 - 부움길이의 선택 - 엔터키 순으로 이루어지는 모우드2의 부움 길이선택이고, 모우드3의 더불/싱글 셀렉터이다.
모우드4의 자동 제로는 무부하 상태를 영점화하는 키로써, 조정 전 반드시 실시하여야 하며, 설정을 하게 되면 화면의 하중값 표시부분에는 현재 하중이 영점으로 표시된다.
모우드5의 이니셜(INITIAL)은 하중의 영점화 작업 이전의 상태로 초기화시키는 키이고, 모우드6의 알람 및 오버신호는 알람이 하중물 작업의 경보기점을 설정하는 키로써 설정치 도달 시 전기적 접점이 동작하게 하고, 오버가 하중물 작업의 컷오버 시스템이 동작하는 키로써 설정치 도달 시 전기적 접점이 동작한다(현재 하중의 제한하중에 대한 백분율 입력 값).
모우드7의 신호1 시그널 내지 모우드9의 신호3 시그널은 하중물 작업의 신호(SIG)1 - 3 를 설정하는 키로써 설정치 도달 시 전기적 접점이 동작하게 된다.
모우드10의 풍속의 작업가중 신호4로 설정치 도달시 전기적 접점이 동작하게 된다.
모우드 11의 선회각도 시그널은 선회각도를 제어함으로써 크레인 투 크레인(CRANE TO CRANE), 크레인 투 빌딩(CRANE TO BUILDING) 간 충돌을 예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기능이다.
모우드12의 선회각도는 선회각도를 조정하고, 모우드13의 하중조정은 실 하중 값을 입력하는 키로써 일반적으로 정격하중의 ½이상의 표준분동을 이용하여 조정한다.
모우드14의 구간조정은 크레인 지브의 작업반경을 조정하고, 모우드16의 높이조정은 후크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장치 시스템은 미소한 신호를 처리하므로, 장치의 임의변경 및 조작을 하지 않으며 각 터미널의 접촉부분을 정기적으로 점검한다.
또한, 기계적인 충격이나 전기적인 충격을 주지 않으며, 장치주위의 열이 잘 방출되도록 하고 기판을 장치로부터 빼내거나 그 밖의 결선시 전원스위치를 오프시킨다.
도 6 은 도 2 에 도시된 릴레이 보우드와 시퀀스판넬에서 초과 풍속제한을 나타낸 시퀀스회로도들이고, 도 2 에 도시된 마이크로 컴퓨터(16)로부터 상기 릴레이 보우드(19)와 시퀀스판넬(20)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릴레이들은 마그네트(S2HK20A, S2HK15A, S2HK22B, S2HK24B ----)와 스위치접점, 그리고 이들을 연결해주는 선로 숫자들이 도시되어져 있다.
업(UP)/다운(DOWN) 스위치, 인사이드(INSIDE)/아웃사이드 스위치 및 기타 스위치 들이 설치되어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릴레이 보우드와 시퀀스판넬을 제어 및 통제하게 되는 바, 이는 운전실에 설치되는 콘트롤러 및 모니터를 이용하여 선회각도, 풍속, 트롤리 거리구간, 제한하중, 후크 높이 및 중량의 값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예컨데, 선회각도 센서를 사용한 선회각도 설정방식의 충돌방지시스템은 선회각도 시그널이 선회각도를 제어함으로써 크레인 투 크레인, 크레인 투 빌딩 간 충돌을 예방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도 5 와 같이 유사하게 엔터키를 선택함에 따라, 즉 모우드 11 번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하고, 구간1 시그널1을 입력하며 구간1 시그널2을 입력하고, 구간2 시그널1을 입력하고 구간2 시그널2을 입력하여 전체 설정이 완료된다.
후크높이 센서를 사용한 후크높이 설정방식의 충돌방지시스템에서 후크 조정은 다음과 같이 후크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 와 같이 유사하게 엔터키를 선택함에 따라, 즉 모우드 16 번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하고, 현재 높이의 설정이 중요하게 되므로 임의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패스워드를 입력하여야만 다음 단계로 이동한다.
그리고, 현재의 최소 후크높이를 입력하고, 현재 최대 후크높이를 입력하여 전체 설정을 완료한다.
도 6(d)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릴레이 보우드와 시퀀스판넬을 제어 및 통제하게 되는 바, 이는 풍속계를 사용하고 크레인의 사용가능한 풍속설정 방식으로 컷오프 시스템이고, 마그네트(S1AK1A)를 이용하여 타워 크레인(TOWER CRANE)의 전원을 끊어주게 된다.
본 발명의 크레인의 과부하 및 충돌방지, 초과풍속제한의 안전장치 시스템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실의 콘트롤러와 모니터를 간편히 조작하여 모니터링하게 됨으로 과부하에 의한 크레인의 전복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또한 선회각도 및 후크 높이를 제어하여 크레인 투 크레인, 크레인 투 빌딩 등의 충돌을 방지하고 초과풍속에 대하여 운전을 제한하며 전동력 설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된 크레인의 과부하 및 충돌방지와 초과풍속을 제한하는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과부하에 의한 전복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선회각도 및 후크높이를 제어하여 크레인 투 크레인, 크레인 투 빌딩 등의 충돌을 방지하고 초과풍속을 제한하는 크레인 안전장치에 있어서, 콘트롤러 및 모니터에 있는 멀티 A/D컨버터(15)의 입력단은 로드쉘(4)의 L/C증폭기(11), 거리센서(5)로서 구간디텍터의 A/D증폭기(12), 풍속계 엔코더(6)의 프리증폭기(13) 및 선회각도 센서(3)의 A/D증폭기(14)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 멀티 A/D컨버터(15)에 연결된 마이크로 컴퓨터(16)에는 공지의 키보우드(18)와 모니터(17)를 연결하는 한편, 릴레이보우드(19)를 통한 시퀀스판넬(20)을 연결하며;
    상기 콘트롤러 및 모니터의 전면판은 그래픽 디스플레이, 스톱램프, 경보램프, 신호1램프 - 신호4램프, 방향키, 하중 제로키, 캔슬키 및 엔터키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회각도 센서를 사용한 선회각도 설정은 마이크로 컴퓨터(16)에 의해 선회각도 시그널이 선회각도를 제어하여 크레인 투 크레인, 크레인 투 빌딩 간 충돌을 예방할 수 있도록 설정하며;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6)에 의해 릴레이 보우드(19)와 시퀀스판넬(20)을 제어 및 통제하고,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크레인의 전원을 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70049915A 2007-05-22 2007-05-22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 KR100845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915A KR100845128B1 (ko) 2007-05-22 2007-05-22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915A KR100845128B1 (ko) 2007-05-22 2007-05-22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5128B1 true KR100845128B1 (ko) 2008-07-10

Family

ID=39824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915A KR100845128B1 (ko) 2007-05-22 2007-05-22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12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625B1 (ko) * 2008-12-17 2011-09-15 오철규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KR101070228B1 (ko) * 2008-07-16 2011-10-11 주식회사 디에스케이툴링시스템 운반기구의 안전장치
KR101927880B1 (ko) * 2018-07-26 2018-12-11 김강수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CN110127525A (zh) * 2019-05-30 2019-08-16 大连迈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光电绝对值编码器的塔机吊钩可视化设备
KR102174519B1 (ko) * 2020-04-09 2020-11-04 고재필 턴테이블 볼트 손상 감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277A (ko) * 1997-06-30 1999-01-25 토니 헬샴 크레인의 안전 제어방법
KR100625092B1 (ko) * 2005-02-28 2006-09-20 주식회사 한우티엔씨 고가사다리 자동차 안전운전범위 자동지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277A (ko) * 1997-06-30 1999-01-25 토니 헬샴 크레인의 안전 제어방법
KR100625092B1 (ko) * 2005-02-28 2006-09-20 주식회사 한우티엔씨 고가사다리 자동차 안전운전범위 자동지정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228B1 (ko) * 2008-07-16 2011-10-11 주식회사 디에스케이툴링시스템 운반기구의 안전장치
KR101064625B1 (ko) * 2008-12-17 2011-09-15 오철규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KR101927880B1 (ko) * 2018-07-26 2018-12-11 김강수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CN110127525A (zh) * 2019-05-30 2019-08-16 大连迈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光电绝对值编码器的塔机吊钩可视化设备
KR102174519B1 (ko) * 2020-04-09 2020-11-04 고재필 턴테이블 볼트 손상 감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128B1 (ko)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
KR101064625B1 (ko)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US6843383B2 (en) Jib load limiting device
WO1980000076A1 (en) Crane operating aid with operator interaction
CN102390788A (zh) 防倾翻控制方法、装置与系统及工程机械
CN110997551A (zh) 过载保护装置
JP2798355B2 (ja) クレーンの過負荷防止装置
US10850953B2 (en) Lifting device, in particular a mobile crane or a cable-operated excavator, having a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raising and lowering procedures of a boom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KR100860624B1 (ko) 크레인 후크장착용 무선 과부하방지장치
JPH01256496A (ja) ブームを有するクレーンの吊荷地切時荷振防止装置
CN201890732U (zh) 臂架型起重力矩限制器
JPH038698A (ja) 移動式クレーンのアウトリガ反力制限信号発生装置
US3987906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tilting of telescopic jib cranes
JP2007204266A (ja) クレーンの過負荷防止装置
CN211224967U (zh) 一种吊装式垃圾车安全作业的保护系统
KR100880931B1 (ko) 하중별 속도제어가 가능한 리프트 속도제어장치
JPH0348119B2 (ko)
JPH08268685A (ja) クレーンの模擬運転装置
CN212953963U (zh) 起重机起吊报警装置
KR100257660B1 (ko) 붐 및 사다리소방차용 원격제어장치
JPH01285594A (ja) クレーン等における操作装置
CN207483161U (zh) 一种带称重和报警的起吊架
JPH0289799A (ja) 建設用タワークレーンの旋回速度制御装置
JPH038699A (ja) 移動式クレーンのアウトリガ反力表示装置
JPH04303385A (ja) 過負荷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