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880B1 -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880B1
KR101927880B1 KR1020180087385A KR20180087385A KR101927880B1 KR 101927880 B1 KR101927880 B1 KR 101927880B1 KR 1020180087385 A KR1020180087385 A KR 1020180087385A KR 20180087385 A KR20180087385 A KR 20180087385A KR 101927880 B1 KR101927880 B1 KR 101927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safety
information
safety information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수
Original Assignee
김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수 filed Critical 김강수
Priority to KR1020180087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8Remote control of electric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원은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크레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크레인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 상기 제1 크레인 안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2 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하는 안전 정보 결정부, 상기 제 2 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제2 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2크레인으로 송신하는 제어 정보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CRANE SAFE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본원은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이 고층건물을 짓는 건설현장에서는 건설공사에 필요한 철근, H빔 등의 다양한 물품을 상하, 좌우, 전후로 이동시켜 목표지점을 향해 원활한 운반을 도모하기 위하여 타워크레인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타워크레인이 무거운 짐을 운반하다가 전복되거나, 이동 중인 짐이 떨어져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소식을 자주 접하게 된다.
그러나, 타워크레인의 조종석이 실제 짐을 운반하는 곳과 멀리 떨어져 있어, 타워크레인의 조종사가 안전 상황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하기 어렵기 때문에 아무리 조심해서 운전을 한다고 해도 사고의 위험은 언제든지 존재하게 된다.
더불어, 건설현장에서는 하나의 타워크레인이 아닌 복수 개의 타워크레인을 설치하는 경우가 다수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타워크레인의 조종사가 직접 눈으로 다른 타워크레인의 작업 상황을 확인하기가 매우 어려워 타워크레인끼리 부딪혀 발생하는 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매우 높아, 안전 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46918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크레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크레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크레인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 상기 제1 크레인 안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2 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하는 안전 정보 결정부, 상기 제 2 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제2 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2크레인으로 송신하는 제어 정보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는 상기 제1크레인과 상기 제2크레인의 거리값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 정보 결정부는, 상기 거리값을 기설정된 안전 거리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2 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제2 크레인의 안전 정보는 상기 제2 크레인의 이동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는, 상기 제2 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크레인의 이동 각도를 제한하는 제2크레인의 각도 제한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정보 결정부는, 상기 거리값이 상기 기설정된 안전 거리값보다 같거나 작으면 상기 제2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는 상기 제1크레인의 후크와 지면과의 높이값인 제1높이값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 정보 결정부는, 상기 제1높이값을 기설정된 안전 높이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2 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제2크레인의 안전 정보는 상기 제2크레인의 후크와 지면과의 높이값인 제2높이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는, 상기 제2 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높이값을 제한하는 제2크레인의 높이 제한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정보 결정부는, 상기 제1 높이값과 상기 제2 높이값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안전 높이값보다 같거나 작으면 상기 제2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는 상기 제2크레인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하되, 상기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는 풍속값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 정보 결정부는 상기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풍속값을 기설정된 안전 풍속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제1크레인의 안전 정보는 상기 제1 크레인의 동작 정지 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정보 생성부는 상기 제1 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제1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크레인의 운용을 지속하거나 정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정보 결정부는, 상기 풍속값이 상기 기설정된 안전 풍속값보다 같거나 크면 상기 제1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는 상기 제2크레인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하되, 상기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는 상기 제2크레인의 운용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 정보 결정부는 상기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제2크레인의 운용시간을 입력으로 하는 지도 학습 기반의 위험 탐지 모형을 구축함으로써 상기 제1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정보 생성부는 상기 제1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제1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는, 상기 제1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크레인의 안전 운용 예상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크레인 및 상기 제2크레인은 타워크레인인 것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크레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크레인에 포함된 센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서버에 송신하는 안전 파라미터 송신부,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기초로 생성된 제1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제1크레인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크레인에 포함된 센서를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크레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크레인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2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2크레인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크레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크레인에 포함된 센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기초로 생성된 제1크레인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크레인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크레인에 포함된 센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크레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크레인의 안전 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에에 따른 크레인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버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의 크레인 제어부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하거나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레인의 동작을 서버(100)를 통해 상호간에 제어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과 크레인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으로, 서버(100), 제1크레인 제어부(200a), 제2크레인 제어부(200b) 및 사용자 단말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100)는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100), 안전 정보 결정부(120), 제어 정보 생성부(130) 및 제어 정보 송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은 크레인의 안전 정보, 예를 들어 크레인과 크레인 사이의 거리, 크레인의 후쿠와 지면과의 높이, 풍속 등을 포함하는 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호간의 동작을 서버(100)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크레인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크레인은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기중기 형식의 타워크레인(Tower Crane)일 수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높게 설치되는 타워 마스크와, 타워 마스크 위에서 타워 마스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금속 격자인 지브(3)와, 타워 마스크의 상부에 위치하여 운전자가 크레인을 조종할 수 있는 운전실과, 지브(3)를 오가며 작업을 위한 선회 반경을 결정하는 횡행장치인 트롤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롤리의 하단에 물품을 걸어 매달 수 있도록 갈고리 형상을 갖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타워크레인은 상세 구성이나 동작에 관하여는 이미 공지된 사항에 해당되므로, 본원 명세서 내에서는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레인이 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상호간에 통신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레인으로 본원을 설명함이 마땅하나, 이하에서는 편의상 두 개의 크레인, 즉 제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을 중심으로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은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100), 안전 정보 결정부(120), 제어 정보 생성부(130) 및 제어 정보 송신부(140)를 포함하는 서버(100), 제1크레인 제어부(200a), 제2크레인 제어부(200b) 및 사용자 단말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크레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110)는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110)는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 및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110)를 통해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에로부터 수신한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2크레인(2)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또한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110)를 통해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수신한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파라미터란, 크레인의 작동 시 요구되는 각종 안전 요소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의 거리값, 제1크레인의 후크(4)와 지면과의 높이값, 제2크레인의 후크(미도시)와 지면과의 높이값, 풍속값, 제1크레인(1)의 운용시간 및 제2크레인(2)의 운용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전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제1크레인(1) 및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는, 안전 파마리터가 제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의 거리값을 지칭할 경우, 제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의 거리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제1크레인(1)의 지브(3)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거나, 제2크레인(2)의 지브(미도시)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복수 개의 크레인의 지브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술이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따를 수 있다.
또한, 제1크레인(1)및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는 서버(100)와 직접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아래에 설명된 제1크레인 제어부(200a) 및 제2크레인 제어부(200b)를 통해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110)는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 또는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제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의 거리값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이하 본원 명세서에서는 안전 파라미터의 일 실시예로 제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의 거리값, 제1크레인의 후크(4)와 지면과의 높이값, 풍속값, 제2크레인(2)의 운용시간 순으로 설명이 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만은 아니며, 또한, 서버(100)가 수신하는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는 제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의 거리값, 제1크레인의 후크(4)와 지면과의 높이값, 풍속값 및 제1크레인(1)의 운용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서버(100)가 수신하는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는 제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의 거리값, 제2크레인의 후크(미도시)와 지면과의 높이값, 풍속값 및 제2크레인(2)의 운용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제2크레인(2)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또한,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110)는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고, 안전 정보 결정부(120)에서는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2크레인(2)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110)가 제1크레인(1)의 센서로부터 제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의 거리값을 수신한 경우, 안전 정보 결정부(120)는 제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의 거리값을 기설정된 안전 거리값과 비교함으로써, 제2크레인(2)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거리값이란, 제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이 동시에 운용될 경우, 제1크레인(1)의 지브와 제2크레인(2)의 지브가 서로 부딪히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거리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거리값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부(300)를 통해 미리 설정할 수 있고, 서버(100)에서 자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 정보 결정부(120)는 제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의 거리값을 안전 거리값과 비교함으로써, 제2크레인(2)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안전 정보 결정부(120)는 제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의 거리값이 기설정된 안전 거리값보다 같거나 작을 경우, 제2크레인(2)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제2크레인(2)의 안전 정보는 제2크레인(2)의 이동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제1크레인(1)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의 거리값에 따라 제2크레인의 지브(미도시)의 이동 각도를 일정 제한함으로써, 제1크레인의 지브(3)와 제2크레인의 지브(미도시)가 부딪히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제2크레인의 지브(미도시)의 이동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안전 정보 결정부(120)는 제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의 거리값이 기설정된 안전 거리값보다 같거나 작을 경우, 제2크레인(2)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제2크레인(2)의 안전 정보는 제2크레인의 지브(미도시)와 제1크레인의 지브(3)가 부딪히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제2크레인의 지브(미도시)의 이동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정보 생성부(130)는 제2크레인(2)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2크레인(2)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크레인(2)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란, 제2크레인(2)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2크레인(2)의 이동 각도를 제한하는 제2크레인(2)의 각도 제한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정보 결정부(120)로부터 결정된 제2크레인(2)의 안전 정보가 제2크레인(2)의 이동 각도이면, 제어 정보 생성부(130)는 제2크레인(2)의 이동 각도에 기초하여 제2크레인(2)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제2크레인(2)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는 제2크레인(2)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2크레인(2)의 이동 각도를 제한하는 제2크레인(2)의 각도 제한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안전 정보 결정부(120)에서 제2크레인의 지브(미도시)와 제1크레인의 지브(3)가 부딪히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제2크레인의 지브(미도시)의 이동 각도를 결정한다면, 제어 정보 생성부(130)는 안전 정보 결정부(120)에서 결정한 제2크레인의 지브(미도시)의 이동 각도에 따라, 제2크레인의 지브(미도시)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는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정보 송신부(140)는 제2크레인(2)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제2크레인(2)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 생성부(130)로부터 제2크레인의 지브(미도시)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는 제어 정보가 생성된 경우, 제어 정보 송신부(140)는 제2크레인의 지브(미도시)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는 제어 정보를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로 송신함으로써, 제2크레인(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크레인의 지브(미도시)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는 제2크레인 제어부(200b)에 포함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제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의 거리값을 서버(100)가 수신하고 처리함으로써, 제2크레인(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의 거리값은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뿐만 아니라,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로부터도 수신될 수 있으며,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의 거리값을 기초로, 제1크레인(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해, 제2크레인(2)이 제1크레인(1)과 부딪히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거나, 제1크레인(1)이 제2크레인(2)과 부딪히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복수 개의 크레인이 동시 작업하더라도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제1크레인(1) 및 제2크레인(2)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제1크레인(1)의 운전석에 출력함으로써 제1크레인(1)을 운용하는 운전자가 더 안전하게 크레인을 운용할 수 있고,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제2크레인(2)의 운전석에 출력함으로써, 제2크레인(2)을 운용하는 운전자가 더 안전하게 크레인을 운용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은, 서버(100)에 포함된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110)는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는 제1크레인의 후크(4)와 지면과의 높이값인 제1높이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전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제1크레인(1) 및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는, 안전 파마리터가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크레인의 후크(4)와 지면과의 높이값인 제1높이값을 지칭할 경우, 제1크레인(1)과 지면과의 높이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제1크레인의 후크(4)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크레인의 지브와 지면과의 높이를 측정하는 기술이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따를 수 있다.
즉,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110)는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제1크레인의 후크(4)와 지면과의 높이값인 제1높이값을 수신할 수 있다.
안전 정보 결정부(120)는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2크레인(2)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안전 정보 결정부(120)는, 제1높이값을 기설정된 안전 높이값과 비교함으로써, 제2크레인(2)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크레인의 특성상 타워 마스크를 통해 크레인의 후크와 지면과의 높이값을 조절함에 따라, 복수 개의 크레인이 동시에 작업할 경우, 크레인의 수직 움직임에 의해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안전 높이값은, 복수 개의 크레인의 지브가 서로 부딪히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높이값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안전 높이값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부(300)를 통하여 미리 설정할 수 있고, 서버(100)에서 자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 정보 결정부(120)는 제1크레인의 후크(4)와 지면과의 높이값인 제1높이값을 안전 높이값과 비교함으로써, 제2크레인(2)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크레인(2)의 안전 정보는 제2크레인의 후크(미도시)와 지면과의 높이값인 제2높이값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안전 정보 결정부(120)는 제1높이값을 안전 높이값과 비교함으로써, 제2크레인의 후크(미도시)와 지면과의 높이값인 제2높이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안전 정보 결정부(120)는 제1높이값과 제2높이값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안전 높이값보다 같거나 작으면, 제2크레인(2)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제1크레인(1)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1크레인의 후크(4)와 지면과의 높이값에 따라 제2크레인의 후크(미도시)와 지면과의 높이값을 일정 제한함으로써 제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이 부딪히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 정보 생성부(130)는 제2크레인(2)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2크레인(2)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크레인(2)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란, 제2크레인(2)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2크레인의 후크(미도시)와 지면과의 높이값인 제2높이값을 제한하는 제2크레인(2)의 높이 제한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안전 정보 결정부(120)에서 제2크레인(2)과 제1크레인(1)이 부딪히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제2높이값을 결정한다면, 제어 정보 생성부(130)는 안전 정보 결정부(120)에서 결정한 제2높이값에 따라 제2크레인(2)의 높이 제한 범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정보 송신부(140)는 제2크레인(2)의 높이 제한 범위를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2크레인(2)의 높이 제한 범위를 제2크레인(2)으로 송신함으로써, 제2크레인(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시스템은,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제1높이값을 서버(100)가 수신하고 처리함으로써, 제2크레인(2)의 높이에 관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시스템은,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제2 높이값을 서버(100)가 수신할 수 있으며, 제2높이값을 기초로 제1크레인(1)의 높이에 관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시스템은, 제1크레인의 후크(4) 및 제2크레인의 후크(미도시) 각각에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제1 높이값과 제2높이값의 차이값의 절대값과 기설정된 안전 높이값을 비교할 때, 제1높이값과 제2높이값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작아질수록, 상기 스피커에서 안전 경보음이 발생할 수 있다. 안전 경보음의 크기는 상기 절대값이 작아질수록 반비례하게 더 커지도록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안전 경보음은 제1크레인(1) 및 제2크레인(2)의 운전석과 더불어, 후술하는 사용자 단말(300)에도 동일하게 출력될 수 있다.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은, 서버(100)에 포함된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110)는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는 풍속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전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제1크레인(1) 및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는, 안전 파라미터가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풍속값을 지칭할 경우, 풍속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제1크레인(1) 및 제2크레인(2)의 일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풍속값을 측정하는 센서가 구비된 크레인 기술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따를 수 있다.
즉,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110)는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풍속값을 수신할 수 있다.
안전 정보 결정부(120)는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크레인(1)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안전 정보 결정부(120)는, 풍속값을 기설정된 안전 풍속값과 비교함으로써, 제1크레인(1)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크레인 작업의 경우,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려서 운반하는 크레인의 특성으로 인해 풍속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안전 풍속값이란, 크레인 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풍속의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풍속값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고, 서버(100)에서 자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 정보 결정부(120)는 풍속값을 안전 풍속값과 비교함으로써, 제1크레인(1)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크레인(1)의 안전 정보는 제1크레인(1)의 동작 정지 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전 정보 결정부(120)는 제2크레인(2)으로부터 수신된 풍속값이 기설정된 안전 풍속값보다 같거나 크면, 제1크레인(1)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제2크레인(2)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풍속값에 따라 제1크레인(1)의 동작을 제한함으로써, 제1크레인(1)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 정보 생성부(130)는 제2크레인(1)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는, 제1크레인(1)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1크레인(1)의 운용을 지속하거나, 정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안전 정보 결정부(120)에서 풍속값에 따라 제1크레인(1)의 동작 정지 유무를 판단한다면, 제어 정보 생성부(130)는 안전 정보 결정부(120)에서 결정한 제1크레인(1)의 동작 정지 유무에 따라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더 자세히는, 제어 정보 생성부(130)는 제2크레인(2)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풍속값이 안전 풍속값보다 같거나 크면, 제1크레인(1)의 동작을 정지하는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풍속값이 안전 풍속값보다 작으면, 제1크레인(1)의 동작을 지속하는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정보 송신부(140)는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제어 정보 송신부(140)는 제1크레인(1)의 동작 정지 유무를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로 송신함으로써, 제1크레인(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시스템은,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풍속값을 서버(100)가 수신하고 처리함으로써, 제1크레인(1)의 동작 정지 유무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시스템은,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풍속값을 서버(100)가 수신할 수 있으며, 풍속값을 기초로 제2크레인(2)의 동작 정지 유무를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은, 서버(100)에 포함된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110)는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는 제2크레인(2)의 운용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전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제1크레인(1) 및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는, 안전 파라미터가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크레인(1) 및 제2크레인(2)의 운용시간을 지칭할 경우, 운용시간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제1크레인(1) 및 제2크레인(2)의 엔진 등의 일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크레인의 운용시간을 측정하는 크레인 기술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따를 수 있다.
즉,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110)는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제2크레인(2)의 운용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안전 정보 결정부(120)는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크레인(1)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안전 정보 결정부(120)는, 제2크레인(2)의 운용시간을 입력으로 하는 지도 학습 기반의 위험 탐지 모형을 구축함으로써 제1크레인(1)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지도 학습이란, 미리 구축된 학습용 데이터(training data)를 활용하여 모델을 학습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안전 정보 결정부(120)는 분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위험 탐지 모형을 구축할 수 있고, 분류 알고리즘은 의사결정 알고리즘을 포함하며, 의사결정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Decision Tree 알고리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전 정보 결정부(120)는 제2크레인(2)의 운용시간을 입력으로 하는 의사결정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위험 탐지 모형을 학습함으로써, 위험 탐지 모형을 구축할 수 있고, 제2크레인(2)이 활발하게 운용되는 시간을 예측함으로써, 제1크레인(1)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정보 생성부(130)는 제1크레인(1)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는, 제1크레인(1)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1크레인(1)의 안전 운용 예상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안전 정보 결정부(120)에서 제2크레인(2)이 활발하게 운용되는 시간을 예측할 수 있고, 제어 정보 생성부(130)는 안전 정보 결정부(120)에서 예측한 제1크레인(1)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1크레인(1)의 안전 운용 예상 시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히는,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정보 생성부(130)는 제2크레인(2)이 활발하게 운용되는 시간대에는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위험'수준으로 판별할 수 있고, 제2크레인(2)이 운용되지 않는 시간대에는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안전'수준으로 판별할 수 있으나,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수준별 단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치상으로 표현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판별할 수 있다.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정보 송신부(140)는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제어 정보 송신부(140)는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수준별 단계를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수준별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시스템은,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제2크레인(2)의 운용시간을 서버(100)가 수신하고 처리함으로써, 제1크레인(1)의 안전 운용 예상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제1크레인(1)의 운용시간을 서버(100)가 수신할 수 있으며, 제1크레인(1)의 운용시간을 기초로 제2크레인(2)의 안전 운용 예상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앞에서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크레인과 크레인 사이의 거리값, 크레인의 후크와 지면과이 높이값, 풍속값 및 크레인의 운용시간을 포함하는 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기초로 다른 크레인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는 기술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부(300)를 통해 크레인 안전 파라미터 및 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 받아 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앞에서 언급된 안전 거리값, 안전 높이값, 안전 풍속값을 포함하는 기설정된 안전값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부(30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부(300)는 서버(100)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제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의 거리값, 안전 거리값, 제1크레인의 후크(4)와 지면과의 높이값, 제2크레인의 후크(미도시)와 지면과의 높이값, 안전 높이값, 풍속값, 안전 풍속값, 제1크레인(1)의 안전 운용 예상 시간 및 제2크레인(2)의 안전 운용 예상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은 크레인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 제어부(200)는 크레인의 운전실(미도시) 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크레인을 조종하는 센서에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제어부(200)는 안전 파라미터 송신부(210), 제어 정보 수신부(220) 및 동작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파라미터 송신부(210)는 크레인에 포함된 센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서버(100)에 송신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1크레인(1)에 구비되는 제1크레인 제어부(200a)의 안전 파라미터 송신부(210)는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서버(100)에 송신할 수 있고, 제2크레인(2)에 구비되는 제2크레인 제어부(200b)의 안전 파라미터 송신부(210)는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서버(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안전 파라미터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의 거리값, 제1크레인의 후크(4)와 지면과의 높이값, 제2크레인의 후크(미도시)와 지면과의 높이값, 풍속값, 제1크레인(1)의 운용시간 및 제2크레인(2)의 운용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정보 수신부(220)는 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기초로 생성된 크레인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1크레인 제어부(200a)의 제어 정보 수신부(220)는 서버(100)에서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기초로 생성된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제2크레인(2)에 구비되는 제2크레인 제어부(200b)의 제어 정보 수신부(220)는 서버(100)에서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기초로 생성된 제2크레인(2)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230)는 크레인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기초로 크레인에 포함된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1크레인 제어부(200a)의 동작 제어부(23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를 제어할 수 있고, 제2크레인 제어부(200b)의 동작 제어부(23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제2크레인(2)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3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에서 작동되는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에 도시된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방법은 앞선 도1 내지 도2를 통해 설명된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1내지 도2를 통해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4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110)는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S110). 이때,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110)은 제1크레인(1)으로부터 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의 거리값, 제1크레인의 후크(4)와 지면과의 높이값, 풍속값, 제1크레인(1)의 운용시간 등을 포함하는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고, 제2크레인(2)으로부터 1크레인(1)과 제2크레인(2)의 거리값, 제2크레인의 후크(미도시)와 지면과의 높이값, 풍속값 및 제2크레인(2)의 운용시간 등을 포함하는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
안전 정보 결정부(120)는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2크레인(2)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S120). 안전 정보 결정부(120)는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2크레인(2)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크레인(1)의 안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정보 생성부(130)는 제2크레인(2)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2크레인(2)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30). 제어 정보 생성부(130)는 제2크레인(2)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2크레인(2)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제1크레인(1)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정보 송신부(140)는 제2크레인(2)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제2크레인(2)으로 송신할 수 있다(S140). 제어 정보 송신부(140)는 제2크레인(2)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제2크레인(2)으로 송신할 수 있고,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제1크레인(1)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제어부(200)에서 작동되는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5에 도시된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방법은 앞선 도3을 통해 설명된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3을 통해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5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안전 파라미터 송신부(210)는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크레인 파라미터를 서버(100)에 송신할 수 있다(S210). 제1크레인(1)에 구비되는 제1크레인 제어부(200a)의 안전 파라미터 송신부(210)는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서버(100)에 송신할 수 있고, 제2크레인(2)에 구비되는 제2크레인 제어부(200b)의 안전 파라미터 송신부(210)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서버(100)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 정보 수신부(220)는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기초로 생성된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20). 이때, 제1크레인 제어부(200a)의 제어 정보 수신부(220)는 서버(100)에서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기초로 생성된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제2크레인 제어부(200b)의 제어 정보 수신부(220)는 서버(100)에서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기초로 생성된 제2크레인(2)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230)는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S230). 이때, 제1크레인 제어부(200a)의 동작 제어부(23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제1크레인(1)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제1크레인(1)에 포함된 센서를 제어할 수 있고, 제2크레인 제어부(200b)의 동작 제어부(23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제2크레인(2)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제2크레인(2)에 포함된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 내지 S140 및 단계 S210 내지 S230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원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원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서버
110: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
120: 안전 정보 결정부
130: 제어 정보 생성부
140: 제어 정보 송신부
200: 크레인 제어부
210: 안전 파라미터 송신부
220: 제어 정보 수신부
230: 동작 제어부
300: 사용자 단말부

Claims (17)

  1. 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크레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크레인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
    상기 제1 크레인 안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2 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하는 안전 정보 결정부;
    상기 제 2 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제2 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2크레인으로 송신하는 제어 정보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는 상기 제2크레인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하되,
    상기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는 상기 제2크레인의 운용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 정보 결정부는 상기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제2크레인의 운용시간을 입력으로 하는 지도 학습 기반의 위험 탐지 모형을 구축함으로써 상기 제1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하는 것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는 상기 제1크레인과 상기 제2크레인의 거리값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 정보 결정부는,
    상기 거리값을 기설정된 안전 거리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2 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제2 크레인의 안전 정보는 상기 제2 크레인의 이동 각도를 포함하는 것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는, 상기 제2 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크레인의 이동 각도를 제한하는 제2크레인의 각도 제한 범위를 포함하는 것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정보 결정부는,
    상기 거리값이 상기 기설정된 안전 거리값보다 같거나 작으면 상기 제2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하는 것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는 상기 제1크레인의 후크와 지면과의 높이값인 제1높이값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 정보 결정부는,
    상기 제1높이값을 기설정된 안전 높이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2 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제2크레인의 안전 정보는 상기 제2크레인의 후크와 지면과의 높이값인 제2높이값을 포함하는 것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는, 상기 제2 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높이값을 제한하는 제2크레인의 높이 제한 범위를 포함하는 것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정보 결정부는,
    상기 제1 높이값과 상기 제2 높이값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안전 높이값보다 같거나 작으면 상기 제2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하는 것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파라미터 수신부는 상기 제2크레인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하되,
    상기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는 풍속값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 정보 결정부는 상기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풍속값을 기설정된 안전 풍속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제1크레인의 안전 정보는 상기 제1 크레인의 동작 정지 유무를 포함하는 것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생성부는 상기 제1 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제1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크레인의 운용을 지속하거나 정지하는 것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정보 결정부는,
    상기 풍속값이 상기 기설정된 안전 풍속값보다 같거나 크면 상기 제1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하는 것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생성부는 상기 제1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제1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는, 상기 제1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크레인의 안전 운용 예상 시간을 포함하는 것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크레인 및 상기 제2크레인은 타워크레인인 것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14. 삭제
  15.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크레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크레인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크레인 안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2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크레인의 안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크레인의 동작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2크레인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크레인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것이되,
    상기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는 상기 제2크레인의 운용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크레인 안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되,
    상기 제2크레인의 운용시간을 입력으로 하는 지도 학습 기반의 위험 탐지 모형을 구축함으로써 상기 제1크레인의 안전 정보를 결정하는 것인,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방법.
  16. 삭제
  17. 제15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80087385A 2018-07-26 2018-07-26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927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385A KR101927880B1 (ko) 2018-07-26 2018-07-26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385A KR101927880B1 (ko) 2018-07-26 2018-07-26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880B1 true KR101927880B1 (ko) 2018-12-11

Family

ID=6467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385A KR101927880B1 (ko) 2018-07-26 2018-07-26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8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635A (ko) * 2019-11-14 2021-05-2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타워크레인의 원격 조종을 위한 정보 제공 시스템
CN113825975A (zh) * 2019-05-06 2021-12-21 卡特彼勒公司 具有防起升功能的地理围栏主体高度限制
CN115092838A (zh) * 2022-06-21 2022-09-23 张家港市申联建设机械有限公司 一种塔机运行参数控制方法和系统、装置及存储介质
KR102667698B1 (ko) * 2021-10-08 2024-05-22 한국기계연구원 다중 크레인 협업을 통한 구조물 이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이송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128B1 (ko) * 2007-05-22 2008-07-10 오철규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128B1 (ko) * 2007-05-22 2008-07-10 오철규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5975A (zh) * 2019-05-06 2021-12-21 卡特彼勒公司 具有防起升功能的地理围栏主体高度限制
KR20210058635A (ko) * 2019-11-14 2021-05-2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타워크레인의 원격 조종을 위한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430256B1 (ko) * 2019-11-14 2022-08-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타워크레인의 원격 조종을 위한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667698B1 (ko) * 2021-10-08 2024-05-22 한국기계연구원 다중 크레인 협업을 통한 구조물 이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이송 방법
CN115092838A (zh) * 2022-06-21 2022-09-23 张家港市申联建设机械有限公司 一种塔机运行参数控制方法和系统、装置及存储介质
CN115092838B (zh) * 2022-06-21 2023-09-15 张家港市申联建设机械有限公司 一种塔机运行参数控制方法和系统、装置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880B1 (ko) 크레인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JP7207848B2 (ja) リフトクレーンのための光学検出システム
US9878885B2 (en) Crane controller
CN103998367A (zh) 起重机控制
WO2019092937A1 (ja) クレーンシステム、および、クレーンの制御方法
US9718651B2 (en) Determining movement distance of lifting device
KR101864948B1 (ko) 이동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하차 제어 방법
RU2676210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раскачиванием груза, подвешенного на подъемном устройстве
CN109573836A (zh) 用于控制提升装置的方法以及提升装置
US11208097B2 (en) Geofence body height limit with hoist prevention
KR100964004B1 (ko) 대형 구조물 양중을 위한 통합 자동화 시스템
US116032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crane, and crane
CN103663188B (zh) 动臂塔式起重机及其运行的控制方法、装置和系统
US20210270013A1 (en) Shovel, controller for shovel, and method of managing worksite
KR20190078984A (ko) 인양물의 크레인 충돌방지를 위한 감시 시스템
CN105253775A (zh) 一种塔机顶升配平控制系统、方法、装置及塔式起重机
JP2003118981A (ja) クレーン接近警報装置
US20220204319A1 (en) Method for moving a load with a crane in a collision-free manner
CN110980562A (zh) 基于互联网络的多塔机联动控制方法及设备
KR20230103002A (ko) 산업 현장의 안전 관리 시스템
AU2014409929B2 (en)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and a vehicle operating system
CN103274298B (zh) 控制塔式起重机小车驱动力的方法、装置和系统
CN113396123B (zh) 无碰撞地路径引导悬挂在绳索处的负载
KR20230087783A (ko) 디지털 트윈 기반 안전 교육 시스템
Red’kin et al. Comprehensive mobile crane control and safet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