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625B1 -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625B1
KR101064625B1 KR1020080128223A KR20080128223A KR101064625B1 KR 101064625 B1 KR101064625 B1 KR 101064625B1 KR 1020080128223 A KR1020080128223 A KR 1020080128223A KR 20080128223 A KR20080128223 A KR 20080128223A KR 101064625 B1 KR101064625 B1 KR 101064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lifting
tower crane
efficiency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9722A (ko
Inventor
정삼룡
안홍락
오철규
Original Assignee
오철규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철규,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철규
Priority to KR1020080128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625B1/ko
Publication of KR20100069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은, 컨트롤러의 입력단에, 붐 측면에 있는 붐 길이 센서, 트롤리에 있는 트롤리 거리 감지 센서, 톱 머스트에 있는 윈드 스피드 센서, 크레인의 회전부에 설치된 선회 각도 센서, 톱 머스트에 있는 윈드 스피드 센서 및 호이스트에서 인양 양중물을 감지하기 위한 후크 와이어 장력을 감지하는 로드셀을 각각 연결하며, 컨트롤러의 내부에 붐 길이, 현재의 트롤리 거리구간, 풍속, 선회각도, 후크높이, 현재하중에 관한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유닛을 포함하고, 컨트롤러의 출력단과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를 연결하고, 또한 릴레이보드를 통한 시퀀스 판넬을 연결하는 초고층 빌딩 건설현장의 양중 관리 합리화를 위한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이고, 메인 관리서버가 컨트롤러와의 로컬 네트워크를 통하여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전송받아,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타워 크레인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일정 주기별로 타워 크레인의 양중 효율을 분석한다.
타워 크레인, 트롤리, 디텍터, 톱 머스트, 호이스트

Description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CRANE WEIGHT ANALYSIS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하중의 인양물을 들어올리는 장치로서 크레인이 사용되고 있는바, 이러한 크레인에는 부움(Boom)이 고정된 고정식과, 부움이 다단으로 신축될 수 있는 텔레스코프식의 직진식 및 하나 이상의 부움을 접을 수 있는 굴절식이 있다.
상기 크레인들 중 직진식 크레인은 다단의 부움이 텔레스코프식으로 결합된 텔레 실린더와, 이 텔레 실린더를 지지하는 데릭을 구비하고 있으며, 인양되는 인양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윈치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원활하고 편리한 작업을 위해 산업 현장에서는 수많은 종류의 크레인이 배치되어 물건의 하역 및 무거운 중량물의 이동을 담당한다.
이와 같이 편리한 크레인이 규정하중을 버터내지 못하고 전복된다면 엄청난 재난이 발생될 것이다. 상기 재난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에 하나로서 크레인과 부하장치는 크레인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장치로써 설치되고 있다. 상기 크레인 안전장치는 모든 크레인에 쉽게 설치 및 시운전되어 동작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크레인과 부하장치로서 장착되어있는 대부분의 과부하 방지장치를 위한 센서가 크레인에 각기 장착되고 있다.
대다수 중소형 크레인에도 가격 문제 등으로 인하여 전기식 과부하 방지장치가 장착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크레인 및 작업자의 안전에 막대한 위험이 따를 수도 있다.
또한, 양중물을 들어 올려 이송하는 장치인 크레인은 적은 용량을 이송 할 수 있는 소형의 크레인부터 대 용량을 이송 할 수 있는 대형 크레인으로 분류 되며 건설 현장에서의 장비의 소형 및 대형 여부에 따라 차이가 많은 임대 비용을 지불하게 되며, 또한 가동 시간 및 대기 시간에 따라 장비의 가동 효율성을 파악치 못하면 차기 현장에서 한 곳에 불필요한 크레인의 중복 설치 및 용량 초과의 크레인 설치로 인하여 인적 물적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현장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운전실내에 과부하 방지 기능이 내장된 하중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하여 매 1초당 크레인의 인양 하중, 작업 반경, 붐의 각도, 제한 하중, 풍속, 선회 각도와 같은 이동에 관한 움직임을 컨트롤러 자체 내에 내장된 SD카드 또는 USB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여 타워 크레인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일별, 월별, 년별 크레인별로 가동 효율을 파악하여 타워 크레인 장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중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이송 하중의 무게 및 작업 시간 및 대기(정지) 시간 등을 파악하여 동종의 차기 건설 현장에서 적재 적소에 알맞은 용량의 크레인을 선정하여 운영함으로서 크레인의 운용 시간 낭비 및 크레인의 중복 운영을 피하여 불필요한 인적 및 물적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은, 컨트롤러의 입력단에, 붐 측면에 있는 붐 길이 센서, 트롤리에 있는 트롤리 거리 감지 센서, 톱 머스트에 있는 윈드 스피드 센서, 크레인의 회전부에 설치된 선회 각도 센서, 톱 머스트에 있는 윈드 스피드 센서 및 호이스트에서 인양 양중물을 감지하기 위한 후크 와이어 장력을 감지하는 로드셀을 각각 연결하며, 상기 컨트롤러의 내부에, 붐 길이, 현재의 트롤리 거리구간, 풍속, 선회각도, 후크높이, 현재하중에 관한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탈착가능한 SD 카드 모듈 또는 USB메모리 모듈을 통하여 저장하는 정보저장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의 출력단과 상기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를 연결하고, 또한 릴레이보드를 통한 시퀀스 판넬을 연결하는 초고층 빌딩 건설현장의 양중 관리 합리화를 위한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이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로드셀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크레인의 인양 하중에 의한 전압차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L/C증폭기 및 제1 아날로그 필터와, 상기 트롤리 거리 감지 센서 또는 붐 길이 센서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프리 증폭기 및 제2 아날로그 필터와, 상기 윈드 스피드 센서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풍속을 광센서에 의한 펄스를 이용하여 회전속도에 의한 플러스값을 전류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프리 증폭기 및 제3 아날로그 필터와, 상기 선회각도 센서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타워 크레인의 선회 위치를 엔코더를 이용하여 검출하여 전송하는 포토 커플러 및 디코더와, 상기 제1 내지 제3 아날로그 필터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아날로그 멀티 셀렉터 및 A/D컨버터와, 상기 아날로그 멀티 셀렉터 및 A/D 컨버터와 상기 디코더에 각각 연결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A/D 컨버터로부터 디지털 신호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신호처리하여 상기 모니터로 전송하고, 메인 관리서버가 상기 컨트롤러와의 로컬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타워 크레인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일정 주기별로 상기 타워 크레인의 양중 효율을 분석하되, 상기 타워 크레인의 양중 작업의 시작점과 끝점을 1회로 설정하여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워 크레인의 최대 작업 반경 효율을 아래 식
최대 작업 반경 효율(%) = (최대 작업 반경/크레인의 작업 반경) X 100
에 의하여 계산하고,
또한, 상기 타워 크레인의 평균 인양 하중의 효율을 아래 식
평균 인양 하중의 효율(%) = (평균 인양 하중/크레인 용량) X 100
에 의하여 계산하며,
또한, 상기 타워 크레인의 최대 인양 하중의 효율을 아래 식
최대 인양 하중의 효율(%) = (최대 인양 하중/크레인 용량) X 100
에 의하여 계산하고,
또한,상기 타워 크레인의 가동시간의 효율을 아래 식
가동 시간의 효율(%) = (전원투입시간/작업시간) X 100
에 의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이고, 컨트롤러로부터 붐 길이, 현재의 트롤리 거리구간, 풍속, 선회각도, 후크높이, 현재하중에 관한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메인 관리 서버에 입력하는 제1 단계, 메인 관리 서버의 타워 크레인의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타워 크레인의 양중 효율을 분석하는 제2 단계, 계산된 타워 크레인의 양중 효율을 소정의 기간별로 자동 저장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이고, 상기 저장된 타워 크레인의 양중 효율에 근거하여 현재 측정된 양중 효율의 적법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판단결과 현재 측정된 양중 효율이 부적한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를 통하여 시각적 또는 음향적 경보를 발생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타워 크레인의 양중 작업의 시작점과 끝점을 1회로 설정하여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워 크레인의 최대 작업 반경 효율을 아래 식
최대 작업 반경 효율(%) = (최대 작업 반경/크레인의 작업 반경) X 100
에 의하여 계산하고,
또한, 상기 타워 크레인의 평균 인양 하중의 효율을 아래 식
평균 인양 하중의 효율(%) = (평균 인양 하중/크레인 용량) X 100
에 의하여 계산하며,
또한, 상기 타워 크레인의 최대 인양 하중의 효율을 아래 식
최대 인양 하중의 효율(%) = (최대 인양 하중/크레인 용량) X 100
에 의하여 계산하고,
또한,상기 타워 크레인의 가동시간의 효율을 아래 식
가동 시간의 효율(%) = (전원투입시간/작업시간) X 100
에 의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의하면, 운전 실내에 하중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하여 매 1초당 크레인의 인양 하중, 작업 반경, 붐의 각도, 제한 하중, 풍속, 선회 각도와 같은 이동에 관한 움직임을 컨트롤러 자체 내에 내장된 SD카드 또는 USB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여 타워 크레인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일별, 월별, 년별 크레인별로 가동 효율을 파악하여 타워 크레인 장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의 하면, 양중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이송 하중의 무게 및 작업 시간 및 대기(정지) 시간 등을 파악하여 동종의 차기 건설 현장에서 적재 적소에 알맞은 용량의 크레인을 선정하여 운영함으로서 크레인의 운용 시간 낭비 및 크레인의 중복 운영을 피하여 불필요한 인적 및 물적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어 기계화 시공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 외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은 T형 타워 크레인 및 러핑 타워 크레인의 양중 운영 모니터링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이고, 이하 T형 타워 크레인 및 러핑 타워 크레인을 타워 크레인이라 명명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치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의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은, 크레인에 컨트롤러 및 모니터(3), 붐 길이 센서(미도시), 거리 감지 센서(5), 윈드 스피드 센서(1), 선회 각도 센서(2), 후크 높이센서(6), 로드셀(4)이 설치된 구조이다.
컨트롤러(CONTROLLER)(3)는, 각 센서로부터의 신호 수집 및 모니터(3)로의 표시 데이터 전송 착탈식의 플래쉬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사용 전압은 AC 110V/220V 60Hz 1Ph(전원 절체 가능)이고, 소비 전력은 APPROX. 20W이며, 사용 주위 온도는 -20℃ ~ +60℃이고, 보존 온도는 -30℃ ~ +70℃이고, 사용 습도는 95%RH 이하이며, 신호 입력은 로드셀 1 (STRAIN GAGE TYPE), 붐길이 센서 1 (POTENTIOMETER VOLTAGE), 회전 각도 센서 1 (ENCODER), 회전 각도 보상 입력 2 (DRY CONTACT), 후크 높이 센서 1 (POTENTIOMETER VOLTAGE), 윈드 스피드 센서 1 (4~20mA)이고, 신호 출력은 릴레이 출력(AC250V 3A)이며, 공통 알람(ALARM)은 1a, 1b 조정 가능하고, 오버 로드(OVER LOAD)는 1a, 1b 조정 가능하며, 신호 1(SIG 1)는 1a, 1b 조정가능이고, 신호 2(SIG 2)는 1a, 1b 조정 가능하고, 신호 3(SIG 3)은1a, 1b 조정 가능하고, 신호 4(SIG 4)는 1a, 1b 조정가능하며, 좌 선회 정지 신호는1a, 1b 조정 가능하고, 우 선회 정지 신호는 1a, 1b 조정 가능하며, 데이터 저 장 방법은 SD카드를 이용한 착탈식 메모리 모듈이고, 데이터 저장량은 하루 8시간 기준 1초 단위 약 2달간 저장 가능하며, 데이터 저장은 월, 일, 시, 분, 초,  현재하중, 작업반경, 선회각도, 후크높이, 풍속, 오버로드(OVERLOAD), 충돌경보이고, 시스템 정도는 ±1%이며, 과부하 검출 시간은 1초 이내이고, 오동작 방지는 크레인(CRAN)의 작동시의 순간 충격 하중 및 순간 모멘트로부터의 흔들림으로 인한  오동작 방지 기능과 내부 와치독(WATCHDOG) 기능이 있으며, 차단 하중에서의 히스테리시스 복귀 기능이 있다.
모니터(MONITOR)(3)는 컨트롤러(3)로부터의 데이터를 시리얼로 수신받아 화면에 표시 및 경보 및 이상 상황을 표시하여준다. 사용 전압은 DC 5V 1.5A이고, 소비 전력은 APPROX. 7.5W이며, 사용 주위 온도는 -10℃ ~ +50℃ 이고, 보존 온도는 -30℃ ~ +70℃ 이며, 사용 습도는 95%RH 이하이고, 표시 방식은 640 X 480 GRAPHIC TFT COLOR LCD with BACK LIGHT이며, 화면 표시는 현재 하중 (XX.X TON), 제한 하중 (XX.X TON), 작업 반경 (XX.X m), 선회 각도 (XXX.X deg), 후크 높이 (XXX.X m), 풍속 (XX.X m/sec), 현재 시간 (년, 월, 일, 시, 분) 이고, 신호 표시는, 공통 알람(ALARM), 오버로드(OVER LOAD), 신호1(SIG 1), 신호 2(SIG 2), 신호 3(SIG 3), 신호 4(SIG 4), 충돌 경보 1, 충돌 경보 2가 있다.
붐 길이 센서(LENGTH DATECTOR)(미도시)는 타워 크레인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함이고, 트롤리의 위치를 고정도 포텐티오미터(POTENTIOMETER)를 이용 검출 전위차를 컨트롤러(3)에 전송한다. 사용 전압은 DC 5V 5mA이고, 사용 주위 온도는 -20℃ ~ +50℃이며, 보존 온도는 -30℃ ~ +70℃이고, 사용 습도는 95%RH 이하이며, 검 출 방식은 포텐티오미터(POTENTIOMETER)에 의한 트롤리 드럼 축 연결에 의한 가변 저항값에 따른    전위차 검출 방식이고, 센서는 포텐티오미터(POTENTIOMETER) 1Kohm 10turn이고, 기어 비율은 크레인에 따라 다르며, 재질은 알루미늄 합금이고, 설치 방식은 트롤리 드럼축에 커플링을 이용 직접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후크 높이 센서(HEIGHT DETECTOR)(6)는, 후크의 높이를 고정도 포텐티오미터(POTENTIOMETER)를 이용 검출 전위차를 컨트롤러에 전송한다. 사용 전압은 DC 5V 5mA이고, 사용 주위 온도는 -20℃ ~ +50℃이며, 보존 온도는 -30℃ ~ +70℃이고, 사용 습도는 95%RH 이하이며, 검출 방식은 포텐티오미터(POTENTIOMETER)에 의한 호이스트(HOIST) 드럼 축 연결에 의한 가변 저항값에 따른    전위차 검출 방식이고, 센서는 포텐티오미터(POTENTIOMETER) 1Kohm 10turn이며, 기어 비율은 크레인에 따라 다르고, 재질은 알루미늄 합금이며, 설치 방식은 호이스트(HOIST) 드럼축에 커플링을 이용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다.
선회 각도 센서(SWING SENSOR)(2)는, 크레인의 선회 위치를 엔코더를 이용 검출 플러스(PULSE) 값을 컨트롤러에 전송한다. 사용 전압은 DC 12V 20mA이고, 사용 주위 온도는 -20℃ ~ +50℃이며, 보존 온도는 -30℃ ~ +70℃이고, 사용 습도는 95%RH 이하이며, 검출 방식은 엔코더에 의한 선회축 기어에 연결 플러스(PULSE)값에 의한 검출 방식이고, 센서는 인크리멘탈 엔코더 100 플러스(pulse) A, B이며, 기어 비율은 크레인에 따라 다르다. 재질은 알루미늄 합금이고, 설치 방식은 선회 기어축에 기어를 이용 직접 연결하며, 보상 방법은 고정점에 근접 스위치 또는 리미트 스위치를 장착 영정 보상하는 방식이다.
윈드 스피드 센서(WIND SPEED SENSOR)(1)는, 현재의 풍속을 광센서를 이용한 펄스를 검출 전류로 변환 컨트롤러에 전송한다. 사용 전압은 DC 12 ~ 24V 40mA이고, 사용 주위 온도는 -20℃ ~ +50℃이며, 보존 온도는 -30℃ ~ +70℃ 이고, 사용 습도는 95%RH 이하이며, 검출 방식은 회전컵에 의한 자체 광센서를 이용 회전속에 의한 플러스(PULSE)값을 전류로 변환하여 검출하는 방식이다.
로드셀(LOADCELL)(4)은 크레인의 인양 하중을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로드셀(4)로 스트레스에 의한 전압차를 검출 컨트롤러에 전송한다. 사용 전압은 DC 10V 28mA이고, 사용 주위 온도는 -20℃ ~ +50℃이며, 보존 온도는 -30℃ ~ +70℃이고, 사용 습도는 95%RH 이하이며, 검출 방식은 훅 와이어(HOOK WIRE)가 지나가는 각이 변화하지 않는 곳에 설치 압축력에 의한 전압차 검출 방식이고, 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이며, 용량은 크레인에 따라 다르고, 설치 방식은 쉬브(SHEAVE) 축 대용 설치하는 방식이며, 종류는 핀 타입(PIN TYPE)이고, 레이티드 출력(RATED OUTPUT)은 1.5mV/V이고, 비선형(NON-LINEARITY)은 0.2% R.O이며, 제로 밸런스(ZERO BALANCE)는 ±1% R.O이고, 온도범위보상(TEMP. RANGE COMPENSATED)은 -10℃ ~ +70℃이고, 온도 범위 세이프(TEMP. RANGE SAFE)는 -20℃ ~ +80℃ 이며, 터미널 저항(TERMINAL RESISTANCE)은 350Ω ± 5% (INPUT), 350Ω ±5% (OUTPUT)이고, 절연저항(INSULATION RESISTANCE)은 1000MΩ 이상이며, 여기 레코멘디드(EXCITATION RECOMMENDED)는 10V이고, 여기 최대전압(EXCITATION MAX)은 20V이며, 세이프오버로드(SAFE OVER LOAD)는 150% R.C이고, 최대 오버로드(MAXIMUM OVER LOAD)는 300% R.C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은, 컨트롤러(20)의 입력단에, 붐 측면에 있는 붐 길이 센서 및 트롤리에 있는 트롤리 거리 감지 센서(5), 톱 머스트에 있는 윈드 스피드 센서(1), 크레인의 회전부에 설치된 선회 각도 센서(2), 호이스트에서 인양 양중물을 감지하기 위한 후크 와이어 장력을 감지하는 로드셀(4)을 각각 연결하며, 컨트롤러(20)의 내부에 붐 길이, 현재의 트롤리 거리구간, 풍속, 선회각도, 후크높이, 현재하중에 관한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유닛(18)을 포함하고, 컨트롤러(20)의 출력단과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30)를 연결하고, 또한 릴레이보드(19)를 통한 시퀀스 판넬(40)을 연결한 구조이다.
여기서, 정보 저장 유닛(18)은 탈착가능한 SD 카드 모듈 또는 USB 메모리 모듈을 사용한다. 정보저장유닛(18)에 저장된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전송받는 메인 관리 서버(미도시)는, 건설 현장의 개인용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기이고, 그 내부에 지그 보드를 포함하여 컨트롤러로부터 지그 보드로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전송받는다.
또한, 모니터(30) 내부에 시각적 또는 음향적 경보장치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현재 측정된 양중 효율이 부적한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를 통하여 시각적 또는 음향적 경보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은, 초고층 빌딩 건설현장의 양중 관리 합리화를 위한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이고, 메인 관리서버가 상기 컨트롤러와의 로컬 네트워크를 통하여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전송받아,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타워 크레인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타워 크레인의 양중 효율을 계산하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의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워 크레인의 양중 운영 시스템의 컨트롤러는, 우선 호이스트에서 인양 양중물을 감지하기 위한 후크 와이어 장력을 감지하는 로드셀(4), 붐 측면에 있는 붐 길이 센서 또는 트롤리에 있는 트롤리 거리 감지 센서(5), 톱 머스트에 있는 윈드 스피드 센서(1)로부터 현재 하중, 붐 길이, 트롤리 거리구간, 풍속에 관련된 데이터를 받아서 A/D 컨버터(16)를 통해 디지털신호(DIGITAL SIGNAL)로 변환시켜 마이크로 프로세서(17)로 전달한다. 또한, 선회각도 센서(2)로부터 선회각도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토커플러(14) 및 디코더(14a)를 통하여 디코딩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7)로 전달한다.
상기 A/D 컨버터(16)의 입력단에는 로드셀(4)의 L/C 증폭기(11) 및 제1 아날로그 필터(11a), 붐 길이 센서 또는 거리 센서(5), 풍속계(ANEMOMETER)의 프리증폭기(12, 13) 및 제2 및 제3 아날로그 필터(12a, 13a)와, 이를 입력으로 하는 아날로그 멀티 셀렉터(15)가 순서대로 각각 연결되어져 있다.
상기 A/D 컨버터(16)에 연결된 마이크로 프로세서(17)에는 키보우드(미도시) 와 모니터(30)가 연결되는 한편, 모니터(30)가 출력되면서 릴레이보드(19)를 통한 시퀀스 판넬(40)이 연결되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7)에는 붐 길이, 현재의 트롤리 거리구간, 풍속, 선회각도, 후크높이, 현재하중에 관한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유닛(18)이 연결된다.
따라서, 이 A/D 컨버터(16) 의 디지털신호 데이터를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 17) 에 입력시켜 프로그램에 의하여 모니터(30)상에 현재의 중량, 제한하중, 작업반경, 선회각도, 후크높이 및 현재 풍속을 숫자표시기로 나타내고 알람(ALARM) 및 리미터(LIMITER) 신호를 출력시킨다.
한편, 컨트롤러(20)는 파워 써플라이(10)를 포함하여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의 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은,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메인 관리 서버에 입력하는 제1 단계(S100), 타워 크레인의 양중 효율을 분석하는 제2 단계(S200), 타워 크레인의 양중 효율을 소정의 기간별로 자동 저장하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한다.
제1 단계(S100)는, 컨트롤러로부터 붐 길이, 현재의 트롤리 거리구간, 풍속, 선회각도, 후크높이, 현재하중에 관한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메인 관리 서버에 입력한다.
제2 단계(S200)는, 메인 관리 서버의 타워 크레인의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타워 크레인의 양중 효율을 분석한다. 이때, 타워 크레인의 양중 작업의 시작점과 끝점을 1회로 설정하여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타워 크레인의 최대 인용 거리의 효율, 평균 인양 하중의 효율, 최대 인양 하중의 효율 및 가동시간의 효율을 각각 계산한다.
제3 단계(S300)는, 계산된 타워 크레인의 양중 효율을 소정의 기간별로 자동 저장한다. 소정의 기간은 타워 크레인 관리 프로그램에 의하여 일별, 월별, 년별 등으로 설정된다.
또한, 저장된 타워 크레인의 양중 효율에 근거하여 현재 측정된 양중 효율의 적법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판단결과 현재 측정된 양중 효율이 부적한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를 통하여 시각적 또는 음향적 경보를 발생하여준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인 현장에서의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타워 크레인에 붐 측면에 있는 붐 길이 센서, 트롤리에 있는 트롤리 거리 감지 센서, 톱 머스트에 있는 윈드 스피드 센서, 크레인의 회전부에 설치된 선회 각도 센서, 톱 머스트에 있는 윈드 스피드 센서 및 호이스트에서 인양 양중물을 감지하기 위한 후크 와이어 장력을 감지하는 로드셀을 부착하여 크레인의 붐 길이, 현재의 트롤리 거리구간, 풍속, 선회각도, 후크높이, 현재하중에 관한 타워 크 레인의 운행정보를 검출하여 아래와 같은 사항들의 분석 결과를 얻는다.
이때, 수집된 데이터는 탈착 가능한 메모리 스틱(SD카드모듈)에 저장된다. 그리고, PC와 연결(별도의 지그 보드 필요)하여 데이터를 PC로 다운로드 받아 PC 프로그램, 즉 타워 크레인의 관리 프로그램에 의거 데이터를 분석 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의 저장량은 하루 8시간 기준, 1초 단위로 저장을 하였을 경우 약    2달간의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다. 그리고, 2달 도달시 이전의 데이터는 밀어내기 식으로 자동 삭제한다.
그런 다음, PC로 다운로드 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 툴(즉, 타워 크레인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크레인의 양중 효율을 계산한다.
즉, 양중 작업 시 시작과 끝의 기준 설정 및 양중 횟수의 산정하는데, 양중물 인양 작업의 시작과 끝점은 소정의 기준에 의거하여 한 번의 인양 작업으로 한다.
현재 하중이 0.0ton에서 0.2ton이상 변화하였을 시를 한 번의 인양물 작업으로 초기 인지하고, 현재 하중이 다시 0.0ton이 되었을 경우를 한 번의 인양 하중 작업으로 판단한다. 단, 재차 작업을 위해 하중을 내렸다 다시 올린 경우는 작업 반경 및 선회 각도가 일정 범위 이내일 경우는 똑같은 양중물로 판단하고. 단, 하중물이 이전 하중을 20%이상 초과한 경우는 다른 양중물로 판단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를 정리하여 아래 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아래 <표 1>은 1ton의 양중물로 한 번에 작업할 경우 분석 방법이고, <표 2>는 1ton의 양중물로 작업 중 재차 인양 할 경우 분석 방법을 나타낸다.
<표 1> 1회 양중 횟수 산정 참조
시간 00:01 00:02 00:03 00:04 00:05 ~ 00:01 01:00 01:01
하중 0.0 0.3 0.5 1.0 1.0 이동중 데이터 저장 1.0 0.8 0.0
반경 12.0 12.0 12.1 12.1 13.5 2.5 2.5 2.5
높이 0.0 0.3 0.6 0.7 1.0 1.0 0.5 0.0
선회 30.5 30.5 30.5 30.5 30.5 1.5 1.5 1.5
풍속 2.5 2.6 2.7 3.0 2.3   2.2 2.5 2.1
형태 준비 인양 인양 인양 인양 이동 하강 하강 하강
횟수                 1회
즉, 영점 복귀를 기준으로 하여 양중 횟수 1회로 산정한다.
<표 2> 제 인양 시 양중 횟수 산정 참조
시간 00:01 00:02 00:03 00:04 00:05 ~ 00:01 01:00 01:01 01:02
하중 0.0 0.3 0.5 1.0 1.0 이동중 데이터 저장 1.0 0.8 0.0 0.3
반경 12.0 12.0 12.0 12.0 12.2 25.3 25.3 25.3 25.2
높이 0.0 0.3 0.6 0.7 1.0 1.0 0.5 0.0 0.2
선회 35.0 35.2 35.1 35.1 35.0 15.0 15.0 15.1 15.2
풍속 2.5 2.6 2.7 3.0 2.3   2.2 2.5 2.1 2.4
형태 준비 인양 인양 인양 인양 이동 하강 하강 하강 재인양
횟수                    
시간 01:03 01:04 01:05 01:06 01:07          
하중 0.3 0.4 0.2 0.1 0.0          
반경 25.2 25.3 25.4 25.5 25.5 설정 작업 반경 이내
높이 0.2 0.1 0.1 0.1 0.0 무관
선회 15.3 15.4 15.4 15.4 15.4 설정 선회각도 이내
풍속 2.4 2.4 2.4 2.4 2.4          
형태 준비 인양 인양 인양 인양          
횟수         1회          
즉, 재 인양시 설정 범위내의 작업 반경 및 선회 범위 내일 때를 1회로 산정한다. 단, 설정 작업 반경을 초과하여 재 적재하거나, 일정 선회 각도를 초과하여 재 적재할 경우에는, 인양물을 시간 단위로 분석하여 똑같은 인양물이 일정 시간 내에 이동되었을 때는 똑같은 인양물로 인지하고 최종 도착지를 인양 작업 1회로 산정한다.
또한, 크레인의 일별, 월별, 년별 양중 효율은 크레인의 용량 및 붐의 길이를 비교하여 분석한다. 예를 들어, 최대 용량 12ton, 최대 작업 반경 60M인 타워 크레인 기준 하루 인양 작업이 6회 일 경우 일일 최대 인양 하중 및 최소 인양 하중등을 감안하여 예시하였을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양중 효율을 산정한다. 그러나, 향후 현장 조건에 따라 효율 산정 방법은 다를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일일 크레인 가동 효율을 산정하는 방식으로는 <표 3>과 같이 수행할 수 있다.
<표 3> 일일 크레인의 가동 효율 양식
일시 : 07.8.31 CRANE NO.:  02 CRANE MODEL : 290HC
구분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이동거리(M) 2.5~26.4 21.5~27.4 14.5~32.1 17.8~32.3 32.4~45.2 2.5~32.6
인양 중(TON) 2.5 1.3 4.5 2.8 6.7 4.8
작업 시간(min) 15 25 37 13 23 42
 
  효율(%) 비 고
최대 작업 반경(M) 45.2 75.3  
평균 인양 하중(TON) 3.76 31.3
최대 인양 하중(TON) 6.7 55.8
가동시간(min) 155 32.2
즉, <표 3>에서 최대 이동 거리의 효율은 크레인의 최대 작업 반경에 따른 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아래 식 [1]과 같다.
식 [1]
최대 작업 반경 효율(%) = (최대 작업 반경/크레인의 작업 반경) X 100
평균 인양 하중의 효율은 크레인 최대 용량에 대한 대한 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아래 식 [2]와 같다.
식 [2]
평균 인양 하중의 효율(%) = (평균 인양 하중/크레인 용량) X 100
최대 인양 하중의 효율은 크레인 최대 용량에 대한 대한 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아래 식 [3]과 같다.
식[3]
최대 인양 하중의 효율(%) = (최대 인양 하중/크레인 용량) X 100
가동시간의 효율은 하루 8시간 기준 또는 전원 투입후부터 차단까지에 대한 사용 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아래 식 [4]와 같다.
식 [4]
가동 시간의 효율(%) = (8시간(전원투입시간)/작업시간) X 100
여기서, 크레인의 월별, 년별 양중 효율은 일별 양중 효율을 취합하여 일일 크레인의 양중 효율과 같은 식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양중시 크레인의 작업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우선, 크레인의 작업 상황을 저장하여, 크레인의 양중 작업시 탈착식 메모리카드에 1초단위로 연속 기록한다. 이때, 하루 8시간 기준 약 2달분의 데이터 저장 가능하고, 2달분 데이터 초과시 밀어내기 식으로 연속 저장하게 된다. 아래 <표 4>는 이런 식으로 저장된 내역을 나타낸다.
<표 4>데이터 저장 내역
저장 내용 단위 비고
현재 하중 0.1 TON  
작업 반경 0.1 meter  
후크의 높이 0.1 meter  
선회 각도 0.1 deg  
풍속 0.1 m/sec  
OVERLOAD NONE/ALARM/OVER  
충돌 NONE/ALARM1/ALARM2  
여기서, 컨트롤러의 저장 유닛인 플래쉬 메모리는 탈착식으로 분리해서 별도의 지그 보드를 이용하여 PC로 다운로드 가능하며 PC를 직접 컨트롤러와 연결해서도 저장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이때, 저장하는 포맷으로 EXCEL을 예로 하여 1회 작업 데이터 저장 양식 및 일별 작업 데이터 저장 양식 및 월별 작업 데이터 저장 양식 및 년별 작업 데이터 저장 양식을 나타내면 아래 <표5> 내지 <표 8>과 같다. 여기서, <표 6>의 주)가동률은 하루 8시간 기준 장비의 가동시간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아래 식 [5]와 같다.
식 [5]
가동률(%) = 총 작업시간 / 8시간
또한, <표 7>의 주)가동률은 하루 8시간 기준 30일로 장비의 가동시간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아래 식 [6]과 같다.
식 [6]
가동률(%) = 총 작업시간 / (8시간 X 30일)
또한, <표 8>의 주)가동률은 하루 8시간 기준 30일 X 12로 장비의 가동시간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아래 식 [7]과 같다.
식 [7]
가동률(%) = 총 작업시간 / (8시간 X 30일 X 12개월)
<표 5> 1회 양중 데이터 저장 양식
횟수 일시
(년,월,일,시,분,초)
하중
(TON)
높이
(M)
각도
(Deg)
반경
(Deg)
풍속
(m/s)
소요시간
1 07.08.31. 11:30:20
~
07.08.31. 12:00:20
7 10.0
~
25.3
10.2
~
140.0
30.0
~
45.0
12.0
~
18.0
00:30:00
2 07.08.31. 12:40:10
~
07.08.31. 13:00:10
6 2.5
~
12.5
37.5
~
140.3
20.2
~
32.4
11.0
~
14.5
00:20:00
3 07.08.31. 13:30:20
~
07.08.31. 14:00:20
8 12.3
~
22.3
17.5
~
270.0
12.5
~
34.1
0.7
~
11.2
00:30:00
<표 6> 일별 양중 데이터 저장 양식
횟수 일시
(년,월,일)
평균하중
(TON)
이벤트 평균풍속
(m/s)
총작업시간 가동률(%)
과하중 충돌경보
25 07.08.31 7.4 4 2 11.0 07:30:00 93
12 07.09.01 6.3 5 1 5.7 04:30:00 56
23 07.09.02 8.8 6 3 11.4 06:30:00 81
<표 7> 월별 양중 데이터 저장 양식
횟수 일시
(년,월)
평균하중
(TON)
이벤트 평균풍속
(m/s)
총작업시간
(hr)
가동률(%)
과하중 충돌경보
235 07.08 7.4 24 5 15.0 125 52
142 07.09 6.3 15 3 15.7 142 59
253 07.10 8.8 26 7 12.4 152 63
<표 8> 년별 양중 데이터 저장 양식
횟수 일시
(년,월)
평균하중
(TON)
이벤트 평균풍속
(m/s)
총작업시간
(hr)
가동률(%)
과하중 충돌경보
2225 07 7.4 74 15 15.0 1250 43
2212 07 6.3 85 13 15.7 1420 49
2123 07 8.8 96 17 12.4 1520 52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의하면, 양중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타워 크레인 장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이송 하중의 무게 및 작업 시간 및 대기(정지) 시간 등을 파악하여 동종의 차기 건설 현장에서 적재 적소에 알맞은 용량의 크레인을 선정하여 운영함으로서 크레인의 운용 시간 낭비 및 크레인의 중복 운영을 피하여 불필요한 인적 및 물적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어 기계화 시공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치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의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의 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윈드 스피드 센서 2: 선회 각도 센서
3, 20, 30: 컨트롤러 및 모니터 4: 로드 셀
5: 거리 감지 센서 6: 후크 높이 센서
10: 파워써플라이 11: L/C 증폭기
11a, 12a, 13a: 아날로그 필터 12, 13: 프리증폭기
14: 포토커플러 14a: 디코더
15: 아날로그 멀티 셀렉터 16: A/D 컨버터
17: 마이크로 프로세서 18: 정보 저장유닛
19: 릴레이보드 40: 시퀀스 판넬

Claims (6)

  1. 컨트롤러의 입력단에, 붐 측면에 있는 붐 길이 센서, 트롤리에 있는 트롤리 거리 감지 센서, 톱 머스트에 있는 윈드 스피드 센서, 크레인의 회전부에 설치된 선회 각도 센서, 톱 머스트에 있는 윈드 스피드 센서 및 호이스트에서 인양 양중물을 감지하기 위한 후크 와이어 장력을 감지하는 로드셀을 각각 연결하며,
    상기 컨트롤러의 내부에, 붐 길이, 현재의 트롤리 거리구간, 풍속, 선회각도, 후크높이, 현재하중에 관한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탈착가능한 SD 카드 모듈 또는 USB메모리 모듈을 통하여 저장하는 정보저장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의 출력단과 상기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를 연결하고, 또한 릴레이보드를 통한 시퀀스 판넬을 연결하는 초고층 빌딩 건설현장의 양중 관리 합리화를 위한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이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로드셀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크레인의 인양 하중에 의한 전압차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L/C증폭기 및 제1 아날로그 필터와, 상기 트롤리 거리 감지 센서 또는 붐 길이 센서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프리 증폭기 및 제2 아날로그 필터와, 상기 윈드 스피드 센서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풍속을 광센서에 의한 펄스를 이용하여 회전속도에 의한 플러스값을 전류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프리 증폭기 및 제3 아날로그 필터와, 상기 선회각도 센서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타워 크레인의 선회 위치를 엔코더를 이용하여 검출하여 전송하는 포토 커플러 및 디코더와, 상기 제1 내지 제3 아날로그 필터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아날로그 멀티 셀렉터 및 A/D컨버터와, 상기 아날로그 멀티 셀렉터 및 A/D 컨버터와 상기 디코더에 각각 연결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A/D 컨버터로부터 디지털 신호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신호처리하여 상기 모니터로 전송하고,
    메인 관리서버가 상기 컨트롤러와의 로컬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타워 크레인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일정 주기별로 상기 타워 크레인의 양중 효율을 분석하되,
    상기 타워 크레인의 양중 작업의 시작점과 끝점을 1회로 설정하여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워 크레인의 최대 작업 반경 효율을 아래 식
    최대 작업 반경 효율(%) = (최대 작업 반경/크레인의 작업 반경) X 100
    에 의하여 계산하고,
    또한, 상기 타워 크레인의 평균 인양 하중의 효율을 아래 식
    평균 인양 하중의 효율(%) = (평균 인양 하중/크레인 용량) X 100
    에 의하여 계산하며,
    또한, 상기 타워 크레인의 최대 인양 하중의 효율을 아래 식
    최대 인양 하중의 효율(%) = (최대 인양 하중/크레인 용량) X 100
    에 의하여 계산하고,
    또한,상기 타워 크레인의 가동시간의 효율을 아래 식
    가동 시간의 효율(%) = (전원투입시간/작업시간) X 100
    에 의하여 계산하는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의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이고,
    컨트롤러로부터 붐 길이, 현재의 트롤리 거리구간, 풍속, 선회각도, 후크높이, 현재하중에 관한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메인 관리 서버에 입력하는 제1 단계;
    상기 메인 관리 서버의 타워 크레인의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타워 크레인의 양중 효율을 분석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타워 크레인의 양중 효율을 소정의 기간별로 자동 저장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이고,
    상기 저장된 타워 크레인의 양중 효율에 근거하여 현재 측정된 양중 효율의 적법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판단결과 현재 측정된 양중 효율이 부적한 것으로 판단되면, 모니터를 통하여 시각적 또는 음향적 경보를 발생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타워 크레인의 양중 작업의 시작점과 끝점을 1회로 설정하여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타워 크레인의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워 크레인의 최대 작업 반경 효율을 아래 식
    최대 작업 반경 효율(%) = (최대 작업 반경/크레인의 작업 반경) X 100
    에 의하여 계산하고,
    또한, 상기 타워 크레인의 평균 인양 하중의 효율을 아래 식
    평균 인양 하중의 효율(%) = (평균 인양 하중/크레인 용량) X 100
    에 의하여 계산하며,
    또한, 상기 타워 크레인의 최대 인양 하중의 효율을 아래 식
    최대 인양 하중의 효율(%) = (최대 인양 하중/크레인 용량) X 100
    에 의하여 계산하고,
    또한,상기 타워 크레인의 가동시간의 효율을 아래 식
    가동 시간의 효율(%) = (전원투입시간/작업시간) X 100
    에 의하여 계산하는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6. 삭제
KR1020080128223A 2008-12-17 2008-12-17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KR101064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223A KR101064625B1 (ko) 2008-12-17 2008-12-17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223A KR101064625B1 (ko) 2008-12-17 2008-12-17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722A KR20100069722A (ko) 2010-06-25
KR101064625B1 true KR101064625B1 (ko) 2011-09-15

Family

ID=4236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223A KR101064625B1 (ko) 2008-12-17 2008-12-17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6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30177A (zh) * 2014-05-15 2014-09-10 重庆能工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高速工业数据总线的塔机工作参数远端数字采样装置
KR101456413B1 (ko) 2014-03-17 2014-10-31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지능형 곤돌라 행거
CN104555753A (zh) * 2014-12-26 2015-04-29 江苏振东港口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多功能固定式起重机
CN106006418A (zh) * 2016-08-12 2016-10-12 安徽中杰信息科技有限公司 塔式起重机结构风致疲劳安全防护系统
CN106384477A (zh) * 2016-11-29 2017-02-08 长沙海川自动化设备有限公司 塔机防台风监测系统及监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196A (ko) 2015-04-10 2016-10-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용 크레인 장치
KR102263890B1 (ko) * 2019-03-18 2021-06-10 이정현 타워크레인의 통합 관리 운영 시스템
CN111498702A (zh) * 2020-05-19 2020-08-07 广东职业技术学院 一种塔吊安全记录装置及记录方法
CN112461288B (zh) * 2020-10-26 2022-08-05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建设分公司 抱杆工作状态监测装置及其监测方法
KR102498960B1 (ko) * 2021-05-25 2023-02-10 오철규 지능형 크레인 가동 분석 시스템
CN113135515A (zh) * 2021-05-27 2021-07-20 上海庞源机械租赁有限公司 一种塔吊安全监控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277A (ko) * 1997-06-30 1999-01-25 토니 헬샴 크레인의 안전 제어방법
KR20000001001A (ko) * 1998-06-05 2000-01-15 조덕규 타워크레인의 반자동 조종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80018229A (ko) * 2008-01-15 2008-02-2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크레인용 기상/하중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0845128B1 (ko) * 2007-05-22 2008-07-10 오철규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277A (ko) * 1997-06-30 1999-01-25 토니 헬샴 크레인의 안전 제어방법
KR20000001001A (ko) * 1998-06-05 2000-01-15 조덕규 타워크레인의 반자동 조종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845128B1 (ko) * 2007-05-22 2008-07-10 오철규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
KR20080018229A (ko) * 2008-01-15 2008-02-2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크레인용 기상/하중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413B1 (ko) 2014-03-17 2014-10-31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지능형 곤돌라 행거
CN104030177A (zh) * 2014-05-15 2014-09-10 重庆能工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高速工业数据总线的塔机工作参数远端数字采样装置
CN104555753A (zh) * 2014-12-26 2015-04-29 江苏振东港口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多功能固定式起重机
CN106006418A (zh) * 2016-08-12 2016-10-12 安徽中杰信息科技有限公司 塔式起重机结构风致疲劳安全防护系统
CN106384477A (zh) * 2016-11-29 2017-02-08 长沙海川自动化设备有限公司 塔机防台风监测系统及监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722A (ko) 201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625B1 (ko) 크레인 양중 운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CN201217613Y (zh) 塔式起重机安全监控管理系统
US9120653B2 (en) Method of monitoring crane safety during the setup procedure, as well as crane and crane control
CN101780926B (zh) 履带起重机力矩限制系统
CN202400737U (zh) 起重机械在线安全监控记录仪
CN105967066B (zh) 一种用于海洋平台起重机的预警控制系统
CN101852009A (zh) 导轨式附着升降脚手架监控系统
CN201694705U (zh) 施工升降机防超载及称重保护器
CN201082846Y (zh) 一种起重设备实时安全监管系统
CN103395727A (zh) 高处作业吊篮安全载荷控制方法与称量装置
CN201614243U (zh) 履带起重机力矩限制系统
CN219326519U (zh) 一种架桥机的监控系统
CN201161883Y (zh) 集成于起重机控制系统plc为主控制器的力矩限制器
CN210885196U (zh) 高空作业平台控制系统
CN102842155A (zh) 大型起重机械安全监控系统
KR100845128B1 (ko) 크레인의 안전장치 시스템
CN202808204U (zh) 大型起重机械安全监控系统
CN104444812A (zh) 新型起重机监控系统
KR200230363Y1 (ko) 크레인 및 대차에 적용되는 하중 및 전류 검출 장치
CN2308671Y (zh) 可分段监控荷载的整体电动升降脚手架
CN211647241U (zh) 一种附着式升降脚手架预警控制系统
CN101628689A (zh) 一种塔机综合显示仪
CN115402934A (zh) 一种架梁起重机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204162333U (zh) 基于stm32的塔机监控装置
CN102530674B (zh) 升降机超载保护装置的标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