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093B1 - 타이어 가류금형용 스프링 미니벤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류금형용 스프링 미니벤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093B1
KR100845093B1 KR1020070044903A KR20070044903A KR100845093B1 KR 100845093 B1 KR100845093 B1 KR 100845093B1 KR 1020070044903 A KR1020070044903 A KR 1020070044903A KR 20070044903 A KR20070044903 A KR 20070044903A KR 100845093 B1 KR100845093 B1 KR 100845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nut
casing
insertion groov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길
Original Assignee
서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길 filed Critical 서영길
Priority to KR1020070044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2Solid tyres ; 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7Venting devices, e.g. vent plugs or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가류금형용 스프링 미니벤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미니벤트의 조립 제작이 자동화 공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 미니벤트 조립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회동판(1)의 외측을 따라 중앙에 삽입홈(11)이 형성되어져 있는 다수의 벤트 장착구(10)가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회동판(1)의 주변을 따라 벤트 장착구(10)의 유동 경로상에는 미니벤트를 구성할 부품을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조립되어지도록 위한 공급부재가 구성되되, 상기 공급부재는 벤트 장착구(10)의 삽입홈(11)에 너트(140)를 공급하여 삽입되어지도록 하기 위한 너트 공급부(20)와, 하부에 너트(140)가 삽입되어져 있는 삽입홈(11)에 케이싱(110)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싱 공급부(30)와, 케이싱(110) 내부에 벨브체(120)의 삽입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벤트 장착구(10)의 벤트홈 하부에 삽입되어져 있는 너트(140)를 양측에서 가압하여 압착시키기 위한 너트 압착부(40)와, 삽입홈(11) 내의 조립 완성된 벤트를 고압 공기 분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회수하기 위한 벤트 회수부(5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벤트, 타이어, 금형, 제조, 제작, 연속

Description

타이어 가류금형용 스프링 미니벤트 제조장치{A SPRING MINI VENT MANUFACTURE MACHINE}
도 1은 가류금형에 장착되어져 있는 상태의 스프링 미니벤트 단면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 전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너트 공급부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케이싱 공급부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벤트장착구 내에 부품이 삽입되어진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의 너트 압착부에서 너트 압착을 위한 집게부 전진동작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장치의 벤트 회수부에서의 공압을 이용한 벤트 회수상태 동작도.
도 8은 본 발명 제조장치에 의해 완성된 미니벤트 단면 구조도.
도 9은 본 발명 제조장치에 의해 완성된 미니벤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동판 2 : 구동축
3 : 통공 4 : 구동모터
10 : 벤트 장착구 11 : 삽입홈
12 : 압착구 13 : 공기 유동홀
20 : 너트 공급부 21 : 너트 보관통
22 : 너트 공급관 23 : 전,후 구동 실린더
24 : 슬라이딩 유동구 24a: 유동공
25 : 고정구 25a: 가이드 통공
26 : 공기 분사구 30 : 케이싱 공급부
31 : 케이싱 보관통 32 : 케이싱 공급관
33 : 전,후 구동 실린더 34 : 슬라이딩 유동구
34a: 유동공 35 : 고정구
35a: 가이드 통공 36 : 승강핀
40 : 너트 압착부 41 : 가압 집게
42 : 집게 구동 실린더 43 : 가압로드
44 : 함체 45 : 승강실린더
46 : 승강 조절구 47 : 스토퍼
50 : 벤트 회수부 51 : 공기 분사관
52 : 배출 안내부 60 : 센서핀
110 : 케이싱 111 : 통공
120 : 밸브체 130 : 스프링
140 : 너트
본 발명은 스프링 미니벤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벤트장치의 연속 제조가 가능한 제조장치를 제공함으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가류 시 금형 내의 공기를 금형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스프링 미니벤트를 설치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프링 미니벤트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류금형(100)의 벤트홀(101)에 삽입 설치되는 케이싱(110)과, 케이싱(110)의 통공(111) 내에 삽입 설치되는 밸브체(120)와, 밸브체(120)에 설치되는 스프링(130)과, 밸브체(120)의 이탈 방지를 위해 하부에 체결되는 너트(140)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이루는 미니벤트는 금형 내의 공기가 케이싱(110)과 밸브체(120)의 공간 사이로 빠져나간 후 타이어의 고무가 금형의 표면에 접하게 되고, 이때 타이어의 고무가 밸브체(120)의 헤드부분을 눌러줌으로써 밸브체(120)가 후퇴하게 된다. 후퇴한 밸브체(120)는 측면이 케이싱(110) 내주면에 접하게 되어 공기가 빠져나갔던 공간을 차단하여 고무가 금형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미니벤트 장치는 각각의 부품이 소형이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 다.
특히, 케이싱(110) 내부에 밸브체(120)와 함께 스프링(130)을 삽입한 상태에서 케이싱(110) 하부로 돌출된 밸브체(120)의 하단부에 너트(140)를 눌러서 압입체결하게 되는데, 이때의 너트(140) 체결 높이가 조금씩 상이하기 때문에 벨브체(120) 상단의 헤드부 이격 간격이 차이가 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미니벤트 장치의 제조과정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미니벤트의 연속 생산이 가능한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생산을 통하여 미니벤트를 이루는 부품의 체결부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중앙의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판의 외측을 따라 다수의 벤트 장착구가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어져 있으며, 상기 회동판의 주변을 따라 벤트 장착구의 유동 경로상에 벤트를 구성할 개별부품을 공급하여 일체화 하기 위한 공급부재가 구성되되, 상기 공급부재는 벤트 장착구의 벤트홈에 너트를 삽입하기 위한 너트 공급부와, 하부에 너트가 삽입되어져 있는 벤트홈에 케이싱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싱 공급부와, 케이싱 내부에 벨브체의 삽입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벤트 장착구의 벤트홈 하부에 삽입되어져 있는 너트를 양측에서 가압하여 압착시키기 위한 너트 압착부와, 삽입홈 내에 구비되어져 있는 벤트를 외부로 배출 시켜 회수하기 위한 벤트 회수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금형용 스프링 미니벤트 제조장치를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니벤트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2를 통해 살펴보면, 외곽을 따라 일정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벤트 장착구(10)가 고정 설치되어져 있는 원판형태의 회동판(1)은 중심의 구동축(2)을 축으로 구동모터(4)로 부터 회동력을 전달받아 스텝방식의 회동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회동판(1)의 주위에는 벤트 장착구(10)의 이동 경로를 따라 너트(140)를 공급하기 위한 너트 공급부(20)와, 케이싱(110)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싱 공급부(30), 그리고 너트 압착부(40), 조립이 완성된 벤트를 벤트 장착구(10)로 부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벤트 회수부(50)가 순차적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너트 공급부(20)는 다수개의 너트(140)가 보관되어지는 가운데 내부 진동자(미도시)에 의해 진동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일정 경사형태를 이루고 있는 너트 공급관(22)을 통해 연속적으로 너트(140)를 공급하는 너트 보관통(21)이 구성되어져 있으며, 도 3에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 공급관(22)을 통해 일렬로 공급되는 다수의 너트(140)가 1개씩 벤트 장착구(10)의 삽입홈(11)에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유동공(24a)이 전,후 구동실린더(23)에 의해 직선 운동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유동구(24) 선단에 형성되어져 있고, 슬라이딩 유동구(24)의 유동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고정구(25)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고정구(25)에는 유동공(24a)을 통해 전진 이송이 이루어진 단품의 너트(140)를 하부의 삽입홈(11)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통공(25a)이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가이드 통공(25a) 상부에는 너트(140)가 삽입홈(11)으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고압의 순간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공기 분사구(26)가 하향 설치되어져 있다.
그리고, 케이싱 공급부(30) 역시 케이싱 보관통(31)이 일측에 구성되어져 있어 케이싱(110)을 케이싱 공급관(32)을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도 4에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공급관(32)을 통해 일렬로 공급되는 다수의 케이싱(110)이 1개씩 벤트 장착구(10)의 삽입홈(11)에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유동공(34a)이 전,후 구동실린더(33)에 의해 직선 운동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유동구(34) 선단에 형성되어져 있고, 슬라이딩 유동구(24)의 유동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고정구(35)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고정구(35)에는 유동공(34a)을 통해 전진 이송이 이루어진 단품의 케이싱(110)을 하부의 삽입홈(11)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통공(35a)이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가이드 통공(25a) 상부에는 삽입홈(11)에 삽입된 케이싱(110)을 한번 더 눌러주기 위한 승강핀(36)이 실린더(37)에 의해 승강 구동 가능하도록 수직형태로 구비되어져 있다.
한편, 너트 압착부(40) 구성을 살펴보면, 도 2의 장치 전체 사시도 중 케이싱 공급부(30)와 반대되는 위치에서 벤트장착구(10)의 삽입홈(11)에 케이싱(110)이 밸브체(120)와 함께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면 벨브체(120) 머리부를 가압한 상태에서 하부에 끼워진 너트(140)를 압착시키기 위한 구성을 이루고 있다.
즉, 도 2를 통해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승강실린더(45) 구동에 의해 승강 구동되어지는 함체(44)가 상부에 구성되어지며, 함체(44)에는 일체로 승강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도 5에서와 같이 삽입홈(11)에 장착된 밸브체(120) 머리부를 눌러주기 위한 가압로드(43)가 하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어져 있고, 너트 압착부(40) 하부에는 선단에 삼각형태의 홈부(41a)를 형성하고 있는 가압집게(41)가 집게 구동 실린더(42)에 의해 도 6에서와 같이 수평으로 전진 이동되어짐으로 삽입홈(11) 하부에 삽입되어져 있는 너트(14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었다.
즉, 본 발명의 벤트 장착구(10)는 중앙의 삽입홈(11) 하부에는 양측으로 유동 가능한 압착구(12)가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이루는 가운데 쌍을 이루어 구비되어져 있으며, 압착구(12) 선단에는 경사면(12A)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 가압집게(41)의 전진시 홈부(41a)의 가압 작용에 의해 양측 압착구(12)가 상호간에 밀착되어지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가압로드(43)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기 위해 함체(44)의 저부에는 승강조절구(46)가 일체로 승강 구동되어질 수 있도록 하향 돌출 구비되었으며, 지지포스트(48) 중단에는 승강조절구(46)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47)가 구성됨으로 가압로드(43)의 하강시 벤트 장착구(10) 상면과 소정 간격(l)이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벤트 회수부(50)는 회동판(1) 저면과 밀착 구비되는 공기 분사관(51)과, 상기 공기 분사관(51)으로 부터 고압 분사되어진 공기 압력에 의해 삽입홈(11)에 삽입되어져 있는 벤트 조립체가 이탈되어지면 이를 안내하기 위한 배출 안내부(52)가 상부에 구비되어져 있다.
한편, 벤트 회수부(50)와 너트 공급부(20) 사이에는 벤트 장착구(10)로 부터 벤트가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핀(60)이 소정 높이에 고정 구비되어져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은 회동판(1)에 형성된 통공(3)이고, 4는 회동판(1)에 회전 동력을 공급하기 위해 하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이며, 13은 벤트 장착구(10)의 삽입홈(11) 하부에 형성된 공기 유동홀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발명 제조장치를 이용한 미니벤트 제조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회동판(1)이 스텝방식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벤트 장착구(10)가 너트 공급부(20)에 위치하게 되면, 너트 보관통(21)으로 부터 공급되는 너트(140)가 벤트 장착구(10)에 형성된 삽입홈(11)에 삽입되어지게 된다.
즉, 이때에는 너트 보관통(21)의 진동력에 의해 내부에 보관되어지는 너트(140)가 너트 공급관(22)을 통해 이동되어지게 되고, 이동된 너트(140)는 슬라이딩 유동구(24) 선단에 형성된 유동공(24a)에 낫개 단위로 삽입되어지면, 슬라이딩 유동구(24)가 전,후 구동 실린더(23) 동작에 의해 전진되어진 후 유동공(24a)이 가이드 통공(25a)과 일치되는 지점에서 너트(140)는 낙하되어 벤트 장착구(10)의 삽입홈(11)에 삽입되어진 상태를 이루게 된 후, 슬라이딩 유동구(24)는 원위치 되어지게 된다. 이때, 공기 분사구(26)를 통해 순간적인 고압 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짐으로 너트(140)가 삽입홈(11) 하부에 완전히 안착되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계속하여 회동판(1)이 회동하게 되면 너트(140)가 내부에 삽입되어져 있는 벤트 장착구(10)는 케이싱 공급부(30)에 위치하게 되고, 케이싱 보관통(31)으로 부터 케이싱 공급관(32)을 통해 케이싱(110)이 공급되면, 역시 슬라이딩 유동구(34) 동작에 의해 케이싱(110)은 낫개 단위로 벤트 장착구(10)의 삽입홈(11)에 삽입되어지게 되어, 먼저 삽입된 너트(14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실린더(37) 동작에 의해 승강핀(36)이 하강함으로 케이싱(110)이 눌려져서 삽입홈(11)에 완전히 안착되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너트(140)와 케이싱(110)이 높이를 달리하여 삽입홈(11) 내에 적층 구비되어진 상태에서, 회동판(1)의 계속적인 회동이 이루어지면 다음 과정에서는 아직 조립이 이루어지지 않은 밸브체(120)와 스프링(130)을 삽입홈(11)에 삽입하여 벤트 구조물의 가조립이 이루어진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즉, 이때에는 도 2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120)에 스프링(130)이 끼워져 있는 상태로 준비된 가운데, 작업자가 이동하는 벤트 장착구(10)의 삽입홈(11)에 삽입시키게 되며, 삽입된 밸브체(120)는 미리 삽입 구비되어져 있던 케이싱(110) 및 너트(140)의 중앙 통공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4개 부품의 가 조립이 이루어진 벤트 장착구(10)는 회동판(1)의 계속적인 회동에 의해 너트 압착부(40)에 위치하게 된다.
너트 압착부(40)에서는 승강실린더(45) 구동에 의해 함체(44)가 지지포스트(48)를 따라 하강되어지면서 함체(44)의 선단 저부에 장착되어져 있는 가압로드(43)가 도 5에서와 같이 벤트 장착구(10) 삽입홈(11)의 상부로 돌출 되어져 있는 밸브체(120) 헤드부를 소정 돌출 높이(l)로 유지시키면서 눌러줌과 함께 집게 구동실린더(42) 동작에 의해 가압집게(41)가 도 6에서와 같이 전진 구동하면서 선단에 형성된 홈부(41a)가 경사면(12A)을 가압시킴으로서 쌍을 이루며 이격되어져 있는 압착구(12)가 순간적으로 상호 밀착되어지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압착구(12)의 가압유동에 따라 내부에 삽입되어져 있는 너트(140)가 눌려지면서 밸브체(120) 하단과 압착에 의한 결합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특히, 가압로드(43)의 하강 과정에서 함께 하강되어지는 승강 조절구(46)는 설정된 높이로 하강되었을 때 스토퍼(47)에 걸려지게 됨으로, 밸브체(120)와 케이 싱(110)간 돌출 높이(l)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벤트 장착구(10) 내에서 벤트 구조물의 조립 및 체결이 완료되면, 벤트 회수부(50)에서의 외부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에는, 도 7에서와 같이 회동판(1) 저부에 설치된 공기 분사관(51)이 회동판(1)의 통공(3)과 일치되는 위치를 이루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공기 분사관(51)을 통해 고압의 공기 분사가 이루어지면, 분사된 고압 공기는 통공(3)과 공기 유동홀(13)을 통해 삽입홈(11) 내부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삽입홈(11) 내에 안착되어져 있던 벤트 구조물은 외부로 배출된 후 배출 안내부(52)에 의해 안내되어 별도의 보관함(미도시)에 보관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배출 과정을 통해 벤트의 회수가 이루어지면, 내부가 비어진 상태의 벤트 장착구(10)는 회동판(1)의 계속적인 회동에 의해 다시 너트 공급부(20)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벤트 장착구(10)가 센서핀(60) 설치구간을 지나면서 벤트가 완전히 배출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되어지게 된다.
만일, 벤트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벤트 장착구(10)의 삽입홈(11)에서 밸브체(120)의 헤드부가 상부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센서핀(60)과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에는 센서핀(60)의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4)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상기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 의해 조립 제작이 완성된 스프링 미니벤트 조립체를 도시한 것으로서, 밸브체(120)를 하부에서 잡아주는 너트(140)의 체결 부위가 항상 동일한 부위에 이루어지게 됨으로 벨브체(120)의 헤드부와 케 이싱(110)간 이격된 간격이 제작되는 제품마다 항상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벤트의 제조 품질이 향상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미니벤트 제조장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벤트 장착구(10)가 너트 압착부(40) 공정 후에 바로 벤트 회수부(50)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너트 압착부(40)를 지난 후 다시 한번 조립되어진 벤트 구조물을 상부에서 가압구로 눌러주어 가압하거나, 측면에서 너트를 압착하여 조여주는 구성을 설치하여 마무리 작업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스프링 미니벤트의 조립 제작이 자동화 공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미니벤트 구조물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른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너트 압착부에서의 압착과정에서 가압로드가 밸브체를 일정 높이로 누른 상태에서 압착작업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밸브체와 케이싱간 이격공간이 항상 균일하게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되어 제품의 불량발생을 최소화 하는 이점을 나타낼 수 있다.

Claims (6)

  1. 구동모터(4)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판(1)의 외측을 따라 중앙에 삽입홈(11)이 형성되어져 있는 다수의 벤트 장착구(10)가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회동판(1)의 주변을 따라 벤트 장착구(10)의 유동 경로상에는 벤트를 구성할 부품을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조립되어지도록 위한 공급부재가 구성되되, 상기 공급부재는 벤트 장착구(10)의 삽입홈(11)에 너트(140)를 공급하여 삽입되어지도록 하기 위한 너트 공급부(20)와, 하부에 너트(140)가 삽입되어져 있는 삽입홈(11)에 케이싱(110)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싱 공급부(30)와, 케이싱(110) 내부에 벨브체(120)의 삽입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벤트 장착구(10)의 벤트홈 하부에 삽입되어져 있는 너트(140)를 양측에서 가압하여 압착시키기 위한 너트 압착부(40)와, 삽입홈(11) 내의 조립 완성된 벤트를 고압 공기 분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회수하기 위한 벤트 회수부(5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금형용 스프링 미니벤트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트 공급부(20)는, 너트 보관통(21)으로 부터 너트(140) 부품이 자중에 의해 공급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너트 공급관(22)과, 상기 너트 공급관(22)을 통해 안내되어진 너트(140)가 벤트 장착구(10)의 삽입홈(11)으로 삽입되어질 수 있 도록 가이드 하기 위해 고정구(25) 선단에 관통 형성되어진 가이드 통공(25a)과, 상기 가이드 통공(25a)을 통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기 위해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하향 설치된 공기 분사구(2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금형용 스프링 미니벤트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공급부(30)는, 케이싱 보관통(31)으로 부터 케이싱(110) 부품이 자중에 의해 공급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케이싱 공급관(32)과, 상기 케이싱 공급관(32)을 통해 안내되어진 케이싱(110)이 벤트 장착구(10)의 삽입홈(11)으로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 하기 위해 고정구(35) 선단에 관통 형성되어진 가이드 통공(35a)과, 상기 가이드 통공(35a) 상부에서 실린더(37) 동작에 의해 승하강 구동이 이루어지는 승강핀(3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금형용 스프링 미니벤트 제조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구(25,35) 상부에는 전,후 구동 실린더(23,33)의 구동에 의해 전,후 슬라이딩 유동 되어지는 슬라이딩 유동구(24,34)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유동구(24,34)에는 각각의 공급관(22,32)를 통해 공급된 부품이 한개 단위로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 통공(35a)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유동공(24a,3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금형용 스프링 미니벤트 제 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트 압착부(40)는, 구동 실린더(42) 구동에 의해 전,후 직선운동 되어지면서 벤트 장착구(10)에 유동가능하게 쌍을 이루며 구비된 압착구(12) 선단을 상호 대향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 집게(41)와, 승강실린더(45) 구동에 의해 지지포스트(48)를 따라 지지되는 가운데 상,하로 승강 구동되어지면서 벤트 장착구(10)의 삽입홈(11)에 삽입되어져 있는 벨브체(120)의 헤드부를 눌러주기 위한 가압로드(43)와, 상기 가압로드(43)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승강조절구(46) 및 스토퍼(47)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금형용 스프링 미니벤트 제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벤트 회수부(50)는 회동판(1) 저면과 밀착 구비되는 공기 분사관(51)과, 상기 공기 분사관(51)으로 부터 고압 분사되어진 공기 압력에 의해 삽입홈(11)에 삽입되어져 있는 벤트 조립체가 이탈되어지면 이를 안내하기 위한 배출 안내부(52)로 구성되며,
    상기 공기 분사관(51)의 분사 공기가 삽입홈(11)으로 공급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벤트 장착구(10)의 삽입홈(11) 하부 및 이와 대응되는 회동판(1)에는 통공(13,3)이 연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금형용 스프링 미니벤트 제조장치.
KR1020070044903A 2007-05-09 2007-05-09 타이어 가류금형용 스프링 미니벤트 제조장치 KR100845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903A KR100845093B1 (ko) 2007-05-09 2007-05-09 타이어 가류금형용 스프링 미니벤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903A KR100845093B1 (ko) 2007-05-09 2007-05-09 타이어 가류금형용 스프링 미니벤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5093B1 true KR100845093B1 (ko) 2008-07-09

Family

ID=3982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903A KR100845093B1 (ko) 2007-05-09 2007-05-09 타이어 가류금형용 스프링 미니벤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0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2960A1 (fr) 2022-07-13 2024-01-18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Systeme et procede d'acquisition et de determination des axes des soupapes dans des moules de vulcanisation de pneumatiques
WO2024089157A1 (fr) 2022-10-27 2024-05-02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Systeme et procede d'acquisition et de determination des axes des soupapes dans des moules de vulcanisation de pneumatiqu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383U (ko) * 1997-07-02 1999-02-05 홍건희 논트리밍 가류금형의 공기배출구조
KR20040003883A (ko) * 2002-07-04 2004-01-1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가류금형용 벤트장치
KR20040092560A (ko) * 2003-04-24 2004-11-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KR20050097707A (ko) * 2004-04-02 2005-10-1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KR100708014B1 (ko) 2005-11-29 2007-04-16 조광현 타이어 성형용 금형의 공기 배출라인 가공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383U (ko) * 1997-07-02 1999-02-05 홍건희 논트리밍 가류금형의 공기배출구조
KR20040003883A (ko) * 2002-07-04 2004-01-1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가류금형용 벤트장치
KR20040092560A (ko) * 2003-04-24 2004-11-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KR20050097707A (ko) * 2004-04-02 2005-10-1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KR100708014B1 (ko) 2005-11-29 2007-04-16 조광현 타이어 성형용 금형의 공기 배출라인 가공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2960A1 (fr) 2022-07-13 2024-01-18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Systeme et procede d'acquisition et de determination des axes des soupapes dans des moules de vulcanisation de pneumatiques
FR3137867A1 (fr) 2022-07-13 2024-01-19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Système et Procédé d’Acquisition et de Détermination des Axes des Soupapes dans des Moules de Vulcanisation de Pneumatiques
WO2024089157A1 (fr) 2022-10-27 2024-05-02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Systeme et procede d'acquisition et de determination des axes des soupapes dans des moules de vulcanisation de pneumatiques
FR3141369A1 (fr) 2022-10-27 2024-05-03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Système et Procédé d’Acquisition et de Détermination des Axes des Soupapes dans des Moules de Vulcanisation de Pneumatiqu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30572B2 (ja) プラスチック物品を圧縮成形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2022618B1 (en) Injection stretching blow molding machine
KR20130119736A (ko) 리니어 베어링 자동 볼 조립장치
CA2573808A1 (en) Food portioning system
CN209830845U (zh) 电机全自动加工生产线
KR100845093B1 (ko) 타이어 가류금형용 스프링 미니벤트 제조장치
KR20020022702A (ko) 주물사의 압축 방법 및 그 장치
CN208867457U (zh) 一种料带式注塑模具
CN110125680B (zh) 单态开关插脚自动装配机以及其装配方法
CN205324488U (zh) 一种转子泵组装铆合成型模具
CN112192505A (zh) 一种圆弧脚垫装配机
KR100881262B1 (ko) 전기 가류기
CN208164332U (zh) 用于组装连接器五金件与注塑件的工装
CN207171428U (zh) 接线平台的弹簧组装机构
CN109047481A (zh) 一种汽车发电机爪极用整形模具
KR100419958B1 (ko) 자동 부싱 스웨징기
CN210476551U (zh) 一种用于电机定子铁芯内孔珩磨加工的夹具
CN209920573U (zh) 一种刚性型芯及轮胎模具
CN209913670U (zh) 一种汽车电机组装装置
CN219495577U (zh) 一种具有减震效果的检漏装置
CN115307493B (zh) 一种新型小口径炮弹用卧式紧口方法及应用
CN104289897A (zh) 一种用于组合卡侬头的快速压合装置
KR200436694Y1 (ko) 스웨징장치
CN110899853A (zh) 一种机械配件生产用刻纹装置
CN220314086U (zh) 注塑模具下料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