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743B1 -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콩기름 추출방법 및 그 부산물을이용한 저지방 두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콩기름 추출방법 및 그 부산물을이용한 저지방 두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43743B1 KR100843743B1 KR1020070032108A KR20070032108A KR100843743B1 KR 100843743 B1 KR100843743 B1 KR 100843743B1 KR 1020070032108 A KR1020070032108 A KR 1020070032108A KR 20070032108 A KR20070032108 A KR 20070032108A KR 100843743 B1 KR100843743 B1 KR 1008437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actor
- carbon dioxide
- supercritical fluid
- fat
- tofu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5000012424 soybean oil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3549 soybean oi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3
- 235000004213 low-fat Nutritio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8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150000003904 phospholipi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CJWQYWQDLBZGPD-UHFFFAOYSA-N isoflavone Natural products C1=C(OC)C(OC)=CC(OC)=C1C1=COC2=C(C=CC(C)(C)O3)C3=C(OC)C=C2C1=O CJWQYWQDLBZGPD-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08696 isoflavon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150000002515 isoflavone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13322 soy milk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701 coagul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2374 sebum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IIZPXYDJLKNOIY-JXPKJXOSSA-N 1-palmitoyl-2-arachidonoyl-sn-glycero-3-phosphochol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H](COP([O-])(=O)OCC[N+](C)(C)C)OC(=O)CCC\C=C/C\C=C/C\C=C/C\C=C/CCCCC IIZPXYDJLKNOIY-JXPKJXOS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GOMNOOKGLZYEJT-UHFFFAOYSA-N isoflavone Chemical compound C=1OC2=CC=CC=C2C(=O)C=1C1=CC=CC=C1 GOMNOOKGLZYEJT-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787 lecithi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40067606 lecithin Drug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0445 lecithin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9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8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8
- 239000013543 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6184 co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784 crude 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750 Crude pro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GQPLMRYTRLFLPF-UHFFFAOYSA-N Nitrous Oxide Chemical compound [O-][N+]#N GQPLMRYTRLFLP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TUOYWHBWRKTHZ-UHFFFAOYSA-N Propane Chemical compound CCC ATUOYWHBWRK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4000000231 Sesamum ind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ZQSIJRDFPHDXIC-UHFFFAOYSA-N daidzein Chemical compound C1=CC(O)=CC=C1C1=COC2=CC(O)=CC=C2C1=O ZQSIJRDFPHDXI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94 supercritical-fluid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820 Lipoxygen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128 Lipoxygen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710138657 Neurotox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64 Soybean Me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240 daidz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38 degrea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81 neuro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8 neurotoxi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72 nitrous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04 per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94 prop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3 skimmed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55 soybean me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42 wellbe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OR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or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or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OR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or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or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23D9/013—Other fatty acid esters, e.g. phosphat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콩기름 추출방법 및 그 부산물을 이용한 저지방 두부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지방 두부의 제조방법은 두유에 응고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유의 제조는 (a) 35∼80℃의 온도로 설정된 반응기에 분쇄된 건조 콩을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반응기를 밀폐시키고 상기 반응기에 연결되어 있는 도관을 통해 이산화탄소 기체를 투입한 후 상기 반응기의 압력을 80∼300bar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기체를 초임계유체로 만드는 단계; (c) 6∼9시간 동안 상기 반응기의 온도 및 압력을 유지시켜 지방을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반응기의 밸브를 개폐하여 초임계유체를 제거하고 지방이 제거된 콩을 회수하여 물을 첨가하고 가열하는 단계; 및 (e) 상기 결과물을 압착하여 두유와 비지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두부 중량 대비 2중량% 이하의 지방을 함유하면서도 유효활성물질의 함량을 최대한 유지하고 있는 저지방 두부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근래의 웰빙 트랜드에 부합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저지방 두부 및 대조구에 대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콩기름 추출방법 및 그 부산물을 이용한 저지방 두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콩으로 콩기름을 추출한 후 그 부산물을 이용하여 저지방 두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콩으로부터 유지를 추출하는 탈지기술은 기계적 처리(압착) 및 헥산(hexane)을 이용한 용매 추출을 통하여 유지 함량이 중량 대비 4∼8% 정도 잔존할 때까지 탈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추출용매인 헥산은 인체에 유해한 신경독소로서 증류과정을 통해서도 완전히 유지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1% 이상 남아 있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위험성이 잔존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유지 추출 후 부산물로 양산되는 탈지박은 다량의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는 유용성 있는 부산물이기는 하지만,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유기용매 가 잔존한다든지, 압착된 상태라는 이유로 인해 두부 또는 기타 용도에 사용되지 못하고 주로 사료로 이용되고 있어 그 잠재적 가치에 비해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현재 제조되고 있는 두부는 전체 건조중량의 30% 정도가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어 저지방, 저칼로리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증가하는 현재의 트렌드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저지방 두부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탈지된 콩 또는 탈지 대두박으로 두부를 제조하는 것은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없으며, 두부 제조용 콩으로부터 과도하고 단순하게 지방을 저감화하는 것은 두부의 경도 증가, 수분보습력 저화, 식감 저하 등의 물리적, 관능적 특성변화를 야기하여 저지방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성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방을 저감하면서도 두부의 식감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미국특허등록공보 제4,493,854호에는 초임계유체를 사용하여 대두로부터 지방 및 기타 지용성 성분을 제거하여 비린내 및 쓴 맛이 감소된 콩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레시틴(lecithin)과 같이 고부가가치의 지질을 포함하는 인지질의 추출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항산화, 항암 효과가 잇는 것으로 알려진 제네틴(genetein), 다이제인(daidzein)과 같은 콩의 이소플라본(isoflavone)의 추출효과는 미약하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상기 콩제품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용해도, 비린내 및 리폭시제나제의 활성만을 측정했을 뿐, 존재하는 지방의 함량, 및 유효활성물질의 함량을 조절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 번째 기술적 과제는 유기용매의 잔존염려가 없으면서도, 레시틴, 이소플라본 등의 유효활성물질을 최대한 추출해낼 수 있는 콩기름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 번째 기술적 과제는 지방을 저감하면서도 유효활성물질을 최대한 보전함과 동시에 두부의 식감 등 소비자의 기호성에 맞는 저지방 두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a) 35∼80℃의 온도로 설정된 반응기에 분쇄된 콩을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반응기를 밀폐시키고 상기 반응기에 연결되어 있는 도관을 통해 이산화탄소 기체를 투입한 후 상기 반응기의 압력을 80∼300bar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기체를 초임계유체로 만드는 단계;
(c) 6∼9시간 동안 상기 반응기의 온도 및 압력을 유지시켜 지방을 제1차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반응기의 밸브를 개폐하여 초임계유체를 제거하고, 제2차 추출에 사용되는 초임계유체 대비 5∼15몰분율에 해당하는 에탄올을 투입하여 상기 지방이 추출된 콩을 침지시키는 단계; 및
(a) 35∼80℃의 온도로 설정된 반응기에 분쇄된 콩을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반응기를 밀폐시키고 상기 반응기에 연결되어 있는 도관을 통해 이산화탄소 기체를 투입한 후 상기 반응기의 압력을 80∼300bar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기체를 초임계유체로 만드는 단계;
(c) 6∼9시간 동안 상기 반응기의 온도 및 압력을 유지시켜 지방을 제1차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반응기의 밸브를 개폐하여 초임계유체를 제거하고, 제2차 추출에 사용되는 초임계유체 대비 5∼15몰분율에 해당하는 에탄올을 투입하여 상기 지방이 추출된 콩을 침지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반응기를 밀폐시키고 상기 반응기에 연결되어 있는 도관을 통해 이산화탄소 기체를 투입한 후, 반응기의 온도를 35∼80℃로 조절하고 상기 반응기의 압력을 80∼300bar로 가압하여 형성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인지질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콩기름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산화탄소 기체를 투입하는 단계는 이산화탄소 기체를 액화시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두유에 응고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유의 제조는
(a) 35∼80℃의 온도로 설정된 반응기에 분쇄된 건조 콩을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반응기를 밀폐시키고 상기 반응기에 연결되어 있는 도관을 통해 이산화탄소 기체를 투입한 후 상기 반응기의 압력을 80∼300bar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기체를 초임계유체로 만드는 단계;
(c) 6∼9시간 동안 상기 반응기의 온도 및 압력을 유지시켜 지방을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반응기의 밸브를 개폐하여 초임계유체를 제거하고 지방이 제거된 콩을 회수하여 물을 첨가하고 가열하는 단계; 및
두유에 응고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유의 제조는
(a) 35∼80℃의 온도로 설정된 반응기에 분쇄된 건조 콩을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반응기를 밀폐시키고 상기 반응기에 연결되어 있는 도관을 통해 이산화탄소 기체를 투입한 후 상기 반응기의 압력을 80∼300bar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기체를 초임계유체로 만드는 단계;
(c) 6∼9시간 동안 상기 반응기의 온도 및 압력을 유지시켜 지방을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반응기의 밸브를 개폐하여 초임계유체를 제거하고 지방이 제거된 콩을 회수하여 물을 첨가하고 가열하는 단계; 및
(e) 상기 결과물을 압착하여 두유와 비지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저지방 두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산화탄소 기체를 투입하는 단계는 이산화탄소 기체를 액화시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두부 내의 지방의 함량은 두부 전체 질량의 2중량% 이하일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두부 내의 인지질 함량이 20㎍/g 이상이며, 이소플라본의 함량이 1.5㎍/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콩기름 추출방법은 (a) 35∼80℃의 온도로 설정된 반응기에 분쇄된 콩을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반응기를 밀폐시키고 상기 반응기에 연결되어 있는 도관을 통해 이산화탄소 기체를 투입한 후 상기 반응기의 압력을 80∼300bar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기체를 초임계유체로 만드는 단계; (c) 6∼9시간 동안 상기 반응기의 온도 및 압력을 유지시켜 지방을 제1차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반응기의 밸브를 개폐하여 초임계유체를 제거하고, 제2차 추출에 사용되는 초임계유체 대비 5∼15몰분율에 해당하는 에탄올을 투입하여 상기 지방이 추출된 콩을 침지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반응기를 밀폐시키고 상기 반응기에 연결되어 있는 도관을 통해 이산화탄소 기체를 투입한 후, 반응기의 온도를 35∼80℃로 조절하고 상기 반응기의 압력을 80∼300bar로 가압하여 형성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인지질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추출단계를 두 단계로 나누어 추출하고, 2차 추출에서는 조용매로서 에탄올을 사용함으로써 인지질 및 이소플라본 등의 유효활성 성분의 추출률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초기부터 에탄올을 조용매로 사용하게 되면 유지(콩기름)의 추출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1차 추출에서 유지의 추출률을 최대로 하고 2차 추출에서 유효활성 성분의 추출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초임계유체'란 일반적인 조건에서는 기체 상태이지만 임계 온도와 임계 압력 이상에서는 유체인 것을 말하는데, 상기 초임계유체는 의약품 공업, 식품공업, 화장품·향료 공업, 화학 공업, 에너지 공업 및 기타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초임계유체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질소, 아산화질소, 메탄, 에틸렌, 프로판 또는 프로필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산화탄소는 대량구입이 가능하고, 비교적 저렴하며, 비폭발성이고, 식품가공용으로 충분히 안전하다는 장점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탄소는 임계온도가 31.1℃이고 임계압력은 73.8기압이다.
(a)단계에서 반응기의 온도는 이산화탄소 기체의 임계온도 이상인 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35∼80℃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온도가 35℃ 미만인 때에는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잘 형성되지 않을 염려가 있고, 80℃를 초과하는 때에는 열에 민감한 유효활성물질이 파괴되거나 추출된 대두유가 추후 산폐될 우려가 있다.
또한, (b)단계의 반응기의 압력 역시 이산화탄소 기체의 임계압력 이상인 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80∼300bar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압력이 80bar 미만인 때에는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잘 형성되지 않을 염려가 있고, 300bar를 초과하는 때에는 추출수율의 증가와는 상관없이 불필요하게 압력을 높이는 결과가 되어 공정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a)단계에서 반응기의 온도는 이산화탄소 기체의 임계온도 이상인 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35∼80℃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온도가 35℃ 미만인 때에는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잘 형성되지 않을 염려가 있고, 80℃를 초과하는 때에는 열에 민감한 유효활성물질이 파괴되거나 추출된 대두유가 추후 산폐될 우려가 있다.
또한, (b)단계의 반응기의 압력 역시 이산화탄소 기체의 임계압력 이상인 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80∼300bar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압력이 80bar 미만인 때에는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잘 형성되지 않을 염려가 있고, 300bar를 초과하는 때에는 추출수율의 증가와는 상관없이 불필요하게 압력을 높이는 결과가 되어 공정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c)단계에서 반응기의 온도 및 압력을 35∼80℃의 온도 및 80∼300bar의 압력으로 6∼9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6시간 미만인 때에는 추출효과가 불충분할 염려가 있고, 9시간을 초과하는 때에는 추출효과가 그다지 증가하지 않음에도 공정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공정효율이 떨어질 염려가 있다.
한편, 상기 (d)단계에서 에탄올은 조용매로써 사용되는데, 본 발명에서 ‘조용매’란 초임계유체 추출시의 추출수율을 개선하기 위해 첨가되는 초임계유체 이외의 용매를 말한다. 상기 에탄올은 초임계유체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유효활성물질의 선택적 추출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초임계유체 추출 전에 상기 콩을 에탄올에 미리 침지시켜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탄올은 식용 주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차 추출에 사용되는 에탄올의 양은 초임계유체 대비 5∼15몰분율인 것이 바람직한데, 5몰분율 미만일 때에는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극성을 충분히 높이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15몰분율을 초과하는 때에는 에탄올이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용해되지 않고 과량이 잔존하게 될 염려가 있다.
상기 추출시의 반응기의 온도는 이산화탄소 기체의 임계온도 이상인 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35∼80℃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온도가 35℃ 미만인 때에는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잘 형성되지 않을 염려가 있고, 80℃를 초과하는 때에는 열에 민감한 유효활성물질이 파괴되거나 추출된 대두유가 추후 산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추출시의 반응기의 압력 역시 이산화탄소 기체의 임계압력 이상인 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80∼300bar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압력이 80bar 미만인 때에는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잘 형성되지 않을 염려가 있고, 300bar를 초과하는 때에는 추출수율의 증가와는 상관없이 불필요하게 압력을 높이는 결과가 되어 공정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반응기에 이산화탄소 기체를 투입하는 단계에서는 이산화탄소 기체를 액화시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기체상태로 바로 투입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초임계유체를 얻기 위하여 필요한 기체의 양이 너무 과도하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저지방 두부의 제조방법은 두유에 응고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유의 제조는 (a) 35∼80℃의 온도로 설정된 반응기에 분쇄된 건조 콩을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반응기를 밀폐시키고 상기 반응기에 연결되어 있는 도관을 통해 이산화탄소 기체를 투입한 후 상기 반응기의 압력을 80∼300bar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기체를 초임계유체로 만드는 단계; (c) 6∼9시간 동안 상기 반응기의 온도 및 압력을 유지시켜 지방을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반응기의 밸브를 개폐하여 초임계유체를 제거하고 지방이 제거된 콩을 회수하여 물을 첨가하고 가열하는 단계; 및 (e) 상기 결과물을 압착하여 두유와 비지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두부 내의 지방 함량이 2중량% 이하이기 때문에 저지방, 저칼로리의 두부를 제조할 수 있으며, 지방성분만을 추출할 뿐, 인지질 및 이소플라본 등의 유효활성물질을 두부에 그대로 잔존하도록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상기 (a)단계에서는 수분이 배제된 건조 분쇄 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레시틴, 이소플라본 등의 유효활성물질은 극성을 띠기 때문에, 수분이 함유된 콩을 사용하여 초임계 유체로 추출하게 되면, 상기 유효활성물질까지도 추출이 되어, 최종적으로 생산된 두부에는 유효활성물질의 잔존량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c)단계에서 반응기의 온도 및 압력을 35∼80℃ 및 80∼300bar으로 6∼9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6시간 미만인 때에는 추출효과가 불충분할 염려가 있고, 9시간을 초과하는 때에는 추출효과가 그다지 증가하지 않음에도 공정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공정효율이 떨어질 염려가 있다.
상기 추출시의 반응기의 온도는 초임계유체로 사용되는 기체의 임계온도 이상인 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35∼80℃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온도가 35℃ 미만인 때에는 초임계유체가 잘 형성되지 않을 염려가 있고, 80℃를 초과하는 때에는 열에 민감한 유효활성물질이 파괴되거나 추출된 대두유가 추후 산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추출시의 반응기의 압력 역시 초임계유체로 사용되는 기체의 임계압력 이상인 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80∼300bar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압력이 80bar 미만인 때에는 초임계유체가 잘 형성되지 않을 염려가 있고, 300bar를 초과하는 때에는 추출수율의 증가와는 상관없이 불필요하게 압력을 높여 공정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반응기에 이산화탄소 기체를 투입하는 단계에서는 기체를 액화시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기체상태로 바로 투입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얻기 위하여 필요한 기체의 양이 너무 과도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저지방 두부 내의 지방의 함량은 두부 전체 질량의 2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두부 내의 인지질 함량이 20㎍/g 이상이며, 이소플라본의 함량이 1.5㎍/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지방의 함량을 최소화하되 유효활성물질은 최대로 보유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대두유의
추출
분쇄된 건조 콩 600g을 반응기에 투입한 후, 반응기를 밀폐시키고 냉각기를 거친 액체 이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 유속 8.5g/min으로 도관을 통해 상기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다음으로 280bar의 압력을 가압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60℃로 유지시켜 상기 이산화탄소를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되도록 하여 상기 분쇄된 콩에서 지방 을 추출하였으며, 총 추출시간은 7시간이었다. 추출후 얻어진 지방은 감압 회수기로부터 얻을 수 있었으며, 추출된 지방의 양은 약 80g이었다. 그 다음, 상기 반응기에 남아있는 탈지된 콩에, 조용매로써 에탄올(식용 주정 95%, v/v)을 주용매인 이산화탄소에 대해 10몰분율에 해당하는 양 만큼 첨가하여 골고루 혼합하고 상기 콩이 침지되도록 한 다음, 냉각기를 거친 액체 이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 유속 8.5g/min으로 도관을 통해 상기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다음으로 280bar의 압력을 가압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60℃로 유지시켜 상기 이산화탄소를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되도록 하여 상기 분쇄된 콩에서 인지질 등의 유효활성물질을 추출하였으며, 총 추출시간은 7시간이었다. 추출후 얻어진 유효활성물질은 감압 회수기로부터 얻을 수 있었으며, 추출된 지질의 양은 약 10g이고, 인지질의 양은 5.2g이며, 이소플라본의 양은 7.6mg이었다.
실시예 2
건조 콩 대신에 수분이 70% 함유된 불린 콩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공정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3
두부의 제조
분쇄된 건조 콩 600g을 반응기에 투입한 후, 반응기를 밀폐시키고 냉각기를 거친 액체 이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 유속 8.5g/min으로 도관을 통해 상기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다음으로 280bar의 압력을 가압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60℃로 유지시켜 상기 이산화탄소를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되도록 하여 상기 분쇄된 콩에서 지방을 추출하였으며, 총 추출시간은 7시간이었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 공정 후 반응기에 남아 있는 콩을 회수하여, 상기 콩 250g에 물 2,400 mL를 첨가하여 100℃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결과물이 식기 전에 마대에 압착하여 두유와 비지를 분리하고, 상기 두유를 80℃로 유지하면서 원료콩 1.6%에 해당하는 CaCl2를 100 mL 물에 녹여 2∼3회 나누어 첨가하여 천천히 교반하였다. 마지막으로, 단백질이 응고된 용액을 보자기를 깐 두부상자에 넣고 물이 빠진 다음 보자기를 덮고 판에 누름돌을 올려 압착한 후, 굳힌 다음 일정한 크기로 잘라서 물 속에서 2∼3시간 담구어 간수를 빼어 최종 저지방 두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건조 콩 대신에 수분이 70% 함유된 불린 콩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부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수분 포함
대조구
및
초임계
처리구
콩에서 추출한 콩기름의 성분분석표(단위: %)
상기 실시예 2에 의해 얻어진 콩기름 및 초임계 처리하지 않고 통상적인 기 계적 압착방식에 의해 얻어진 콩기름에 대하여 성분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도시하였다.
기타 유효활성물질 | 인지질 | 이소플라본 | |
대조구 | 0.20 | 0.30 | 0.002 |
실시예 2 | 0.10 | 0.20 | 0.0015 |
시험예 2
수분 불포함
대조구
및
초임계
처리구
콩에서 추출한 콩기름의 성분분석표(단위: %)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얻어진 콩기름 및 초임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서 얻어진 콩기름에 대하여 성분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도시하였다.
기타 유효활성물질 | 인지질 | 이소플라본 | |
대조구 | 0.20 | 0.30 | 0.002 |
실시예 1 | 0.10 | 0.15 | 0.0002 |
시험예 3
수분 포함
대조구
및
초임계
처리구
두부의 성분분석표(단위: %)
상기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두부 및 초임계 처리하지 않은 콩으로 제조된 대조구에 대하여 성분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도시하였다.
수분 | 조단백 | 조지방 | 조회분 | 인지질 | 이소플라본 | |
대조구 | 77.7±3.0 | 11.9±0.7 | 4.9±0.6 | 1.0±0.0 | 0.20±0.0 | 0.0020±0.0001 |
비교예 1 | 82.1±0.7 | 12.8±1.7 | 0.2±0.0 | 1.2±0.1 | 0.02±0.0 | 0.0005±0.0001 |
상기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두부의 경우 조지방의 함량이 0.2%로 매우 적지만, 대조구에 비하여 인지질 및 이소플라본의 함량도 대폭 감소하기 때문에 유효활성물질이 상당 부분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수분 불포함
대조구
및
초임계
처리구
두부의 성분분석표(단위: %)
상기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두부 및 초임계 처리하지 않은 콩으로 제조된 대조구에 대하여 성분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도시하였다.
조단백 | 조지방 | 조회분 | 인지질 | 이소플라본 | |
대조구 | 11.9±0.7 | 4.9±0.6 | 5.6±0.3 | 0.20±0.00 | 0.0020±0.0001 |
실시예 3 | 12.8±1.7 | 0.2±0.0 | 8.4±1.2 | 0.15±0.00 | 0.0014±0.0002 |
상기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저지방 두부의 경우 조지방의 함량이 0.2%로서 대조구의 4.9%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인지질과 이소플라본의 함량도 최대한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두부의 조직감 테스트
상기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두부 및 초임계 처리하지 않은 콩으로 제조된 대조구를 1.2 × 1.2 × 1.5 cm로 절단하여 조직감 테스트를 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도시하였으며, 두부에 대한 사진을 도 1에 도시하였다.
조직감 | ||||||
경도 (Hardness) | 부착성 (Adhesiveness) | 탄력성 (Springiness) | 저작성 (Chewiness) | 점착성 (Gumminess) | 응집성 (Cohesiveness) | |
대조구 | 482.15 ±68.87 | -11.92 ±9.28 | 1.18 ±0.28 | 286.29 ±67.41 | 232.15 ±30.35 | 0.51 ±0.03 |
실시예 3 | 580.05 ±131.86 | -19.69 ±15.67 | 1.06 ±0.23 | 312.90 ±67.66 | 302.81 ±70.76 | 0.52 ±0.03 |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두부 및 초임계 처리하지 않은 콩으로 제조된 두부에 대한 조직감 테스트 결과 유의적 차이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저지방 두부의 경우 전체적인 조직감은 종래의 두부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두부는 대조구와 비교할 때에 외견상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콩기름 추출방법에 의하면, 1차로 유지를 추출한 후 에탄올을 조용매로 사용하여 인지질 및 이소플라본의 추출률을 높여, 유효활성물질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저지방 두부의 제조방법은 두부 중량 대비 2중량% 이하의 지방을 함유하면서도 유효활성물질의 함량을 최대한 유지하고 있는 저지방 두부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근래의 웰빙 트랜드에 부합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 (a) 35∼80℃의 온도로 설정된 반응기에 분쇄된 콩을 투입하는 단계;(b) 상기 반응기를 밀폐시키고 상기 반응기에 연결되어 있는 도관을 통해 이산화탄소 기체를 투입한 후 상기 반응기의 압력을 80∼300bar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기체를 초임계유체로 만드는 단계;(c) 6∼9시간 동안 상기 반응기의 온도 및 압력을 유지시켜 지방을 제1차 추출하는 단계;(d) 상기 반응기의 밸브를 개폐하여 초임계유체를 제거하고, 제2차 추출에 사용되는 초임계유체 대비 5∼15몰분율에 해당하는 에탄올을 투입하여 상기 지방이 추출된 콩을 침지시키는 단계; 및(e) 상기 반응기를 밀폐시키고 상기 반응기에 연결되어 있는 도관을 통해 이산화탄소 기체를 투입한 후, 반응기의 온도를 35∼80℃로 조절하고 상기 반응기의 압력을 80∼300bar로 가압하여 형성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인지질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콩기름 추출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기체를 투입하는 단계는 이산화탄소 기체를 액화시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콩기름 추출방법.
- 두유에 응고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두유의 제조는(a) 35∼80℃의 온도로 설정된 반응기에 분쇄된 건조 콩을 투입하는 단계;(b) 상기 반응기를 밀폐시키고 상기 반응기에 연결되어 있는 도관을 통해 이산화탄소 기체를 투입한 후 상기 반응기의 압력을 80∼300bar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기체를 초임계유체로 만드는 단계;(c) 6∼9시간 동안 상기 반응기의 온도 및 압력을 유지시켜 지방을 추출하는 단계;(d) 상기 반응기의 밸브를 개폐하여 초임계유체를 제거하고 지방이 제거된 콩을 회수하여 물을 첨가하고 가열하는 단계; 및(e) 상기 결과물을 압착하여 두유와 비지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저지방 두부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기체를 투입하는 단계는 이산화탄소 기체를 액화시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저지방 두부의 제조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 내의 지방의 함량은 두부 전체 질량의 2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저지방 두부의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 내의 인지질 함량이 20㎍/g 이상이며, 이소플라본의 함량이 1.5㎍/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저지방 두부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2108A KR100843743B1 (ko) | 2007-03-31 | 2007-03-31 |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콩기름 추출방법 및 그 부산물을이용한 저지방 두부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2108A KR100843743B1 (ko) | 2007-03-31 | 2007-03-31 |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콩기름 추출방법 및 그 부산물을이용한 저지방 두부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43743B1 true KR100843743B1 (ko) | 2008-07-04 |
Family
ID=3982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2108A KR100843743B1 (ko) | 2007-03-31 | 2007-03-31 |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콩기름 추출방법 및 그 부산물을이용한 저지방 두부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4374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1140B1 (ko) | 2008-07-28 | 2011-09-01 | 주식회사 리제론 |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인지질의 제조방법 |
WO2013094981A1 (ko) * | 2011-12-19 | 2013-06-27 | 씨제이제일제당(주) | 배전 초임계 추출 콩기름의 제조 방법, 그에 의해 제조된 배전 초임계 추출 콩기름, 이를 이용한 고소한 풍미가 높은 콩기름 및 그의 제조 방법 |
CN104593439A (zh) * | 2015-02-13 | 2015-05-06 | 山东省农业科学院农产品研究所 | 一种高纯度花生卵磷脂的提取方法 |
KR101589971B1 (ko) * | 2015-04-01 | 2016-02-01 | 서호석 | 천연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발효 소취제 조성물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8307B1 (ko) | 1997-07-22 | 2006-01-27 |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 유아용유동식을위한지질조성물및그것의제조방법 |
KR20060118220A (ko) * | 2005-05-16 | 2006-11-23 | 주식회사 유맥스 | 식용유지로부터 지질 제거된 탈지가루의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탈지가루 |
KR20070002914A (ko) * | 2005-06-30 | 2007-01-05 | 주식회사 유맥스 | 토코페롤 고함유 식용유지 및 그 생산 방법 |
KR20070002909A (ko) * | 2005-06-30 | 2007-01-05 | 주식회사 유맥스 | 토코페롤 고함유 식용유지 및 그 생산 방법 |
-
2007
- 2007-03-31 KR KR1020070032108A patent/KR1008437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8307B1 (ko) | 1997-07-22 | 2006-01-27 |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 유아용유동식을위한지질조성물및그것의제조방법 |
KR20060118220A (ko) * | 2005-05-16 | 2006-11-23 | 주식회사 유맥스 | 식용유지로부터 지질 제거된 탈지가루의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탈지가루 |
KR20070002914A (ko) * | 2005-06-30 | 2007-01-05 | 주식회사 유맥스 | 토코페롤 고함유 식용유지 및 그 생산 방법 |
KR20070002909A (ko) * | 2005-06-30 | 2007-01-05 | 주식회사 유맥스 | 토코페롤 고함유 식용유지 및 그 생산 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1140B1 (ko) | 2008-07-28 | 2011-09-01 | 주식회사 리제론 |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인지질의 제조방법 |
WO2013094981A1 (ko) * | 2011-12-19 | 2013-06-27 | 씨제이제일제당(주) | 배전 초임계 추출 콩기름의 제조 방법, 그에 의해 제조된 배전 초임계 추출 콩기름, 이를 이용한 고소한 풍미가 높은 콩기름 및 그의 제조 방법 |
CN104593439A (zh) * | 2015-02-13 | 2015-05-06 | 山东省农业科学院农产品研究所 | 一种高纯度花生卵磷脂的提取方法 |
CN104593439B (zh) * | 2015-02-13 | 2017-12-01 | 山东省农业科学院农产品研究所 | 一种高纯度花生卵磷脂的提取方法 |
KR101589971B1 (ko) * | 2015-04-01 | 2016-02-01 | 서호석 | 천연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발효 소취제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Penha et al. | Plant-based beverages: Ecofriendly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 |
EP3391753B1 (en) | Soybean emulsion composition, and processes for production thereof | |
Bou et al. | Application of emerging technologies to obtain legume protein isolates with improved techno‐functional properties and health effects | |
Sá et al. | Cold-pressed sesame seed meal as a protein source: Effect of processing on the protein digestibility, amino acid profile, and functional properties | |
KR100843743B1 (ko) |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콩기름 추출방법 및 그 부산물을이용한 저지방 두부의 제조방법 | |
KR100798522B1 (ko) | 손바닥 선인장 함유 천연 두부 응고제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995913B1 (ko) | 페이스트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페이스트리 | |
CN102669293A (zh) | 一种速溶无腥味冷饮大豆粉的制造方法 | |
KR102511180B1 (ko) | 생이용성이 증진된 인삼을 포함하는 콩단백 가공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Farinon et al. | Biotechnological transformation of hempseed in the food industry | |
CN108641807A (zh) | 一种浓香芝麻油的制备方法 | |
KR102432923B1 (ko) |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 |
CN115644405A (zh) | 一种坚果辣椒油及其制备方法 | |
KR20220064000A (ko) | 파인애플을 이용한 콩발효물 제조법 | |
KR101902765B1 (ko) | 밀싹 두부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밀싹 두부 | |
EP1917860B1 (en) | Complete whole soya natural drink, for human consumption,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 |
KR102497176B1 (ko) | 쌀눈 추출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하여 제조된 쌀눈 추출물 | |
ZHANG | Advances in critical fluid processing | |
KR101753085B1 (ko) | 간기능 개선용 한방발효제품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80812B1 (ko) | 생체이용성이 개선된 눈개승마 가공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552207B1 (ko) | 지용성 성분이 증가된 양파 껍질 추출물 제조방법 | |
KR20200099326A (ko) | 콩 함유 이소플라본 추출방법 | |
KR102603890B1 (ko) | 화학적 응고제를 사용하지 않은 모두부의 제조방법 | |
KR102511182B1 (ko) | 생이용성이 증진된 폴리페놀을 갖는 눈개승마를 포함하는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252582B1 (ko) | 탈지 잣 박을 이용한 잣 스프레드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