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129B1 - 자동차 외부백미러용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외부백미러용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129B1
KR100843129B1 KR1020010050542A KR20010050542A KR100843129B1 KR 100843129 B1 KR100843129 B1 KR 100843129B1 KR 1020010050542 A KR1020010050542 A KR 1020010050542A KR 20010050542 A KR20010050542 A KR 20010050542A KR 100843129 B1 KR100843129 B1 KR 100843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upling device
holder
cas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5668A (ko
Inventor
쇼인플루그토마스
제카누플로린
Original Assignee
라이터 운트 쉐페나커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터 운트 쉐페나커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filed Critical 라이터 운트 쉐페나커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ublication of KR20020025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자동차 외부백미러의 거울하우징(1) 속에 장착되어 있고, 하나의 플러그 홀더(2)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플러그 홀더(2)에 플러그 케이스(3)가 장착되어 소켓(4)과 결합되는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도 1에는 거울하우징(1)에서 단지 받침대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홀더(2)는 거울하우징(1) 내에서 화살표(5) 방향으로 장착되며, 한편 상기 소켓(4)은 화살표(6)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 홀더(2)에 삽입/결합된다. 양쪽 구성부분들이 서로 정확하게 정렬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플러그 홀더(2)와 소켓(4)이 확실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 홀더(2)는 장착상태에서 한정된 부분을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외부백미러용 전원플러그 결합장치{PLUG-AND-SOCKET CONNECTOR FOR EXTERIOR REAR VIEW MIRROR FOR MOTOR VEHICLES}
도 1은 거울 하우징 안에 장치된 전원플러그 결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 결합장치의 플러그 홀더와 플러그 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 결합장치의 소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 결합장치의 플러그 홀더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플러그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 결합장치에서 플러그 홀더 속에 장착된 플러그 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플러그 케이스가 장착된 플러그 홀더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플러그 홀더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플러그 홀더의 부분 단면도와 부분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플러그 홀더의 부분 단면도와 부분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서 화살표(X)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전원플러그 결합장치에서 플러그 홀더의 제3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플러그 홀더의 부분 단면도와 부분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플러그 홀더의 부분 단면도 및 부분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거울하우징(1) 플러그 홀더(2)
플러그 홀더(2a) 플러그 홀더(2b)
플러그 케이스(3) 소켓(4)
화살표(5) 화살표(6)
기초판(7) 모서리면(8)
스냅 잠금쇠(9) 모서리면(10)
스냅 잠금쇠(11) 만곡부(12)
스냅 걸쇠(13) 지주(14)
직각부분(연장부분)(15) 경사연부(16)
직립연부(17) 횡지주(18 및 19)
평탄연부(20) 횡판(21)
전면부(22) 다리(23, 24)
지지부(25) 개구부(26)
가장자리(27) 횡판(28)
구멍(29) 후연부(30)
안내부(잠금 요소)(31, 32) 후연부(30)
종벽(33) L자형 홈(요와부)(34)
모서리면(전단면)(35) 짧은 다리(36)
접점 부싱(37) 측벽(38, 39)
바닥(40) U자형 홈(삽입홈)(41)
절곡편(42) 구멍(43)
전면부(44) 구멍(45)
도선(46) 삽입안내구(47)
이중화살표(48) 이중화살표(49)
피봇 핀(50, 51) 연결 브리지(52b, 53b)
이중 화살표(회피운동)(54) 이중 화살표(회피운동)(55)
브리지(요굴성 요소)(56, 57) 외측 링(58)
내측 링(59)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상위개념에 따라, 특히 자동차의 외부백미러용 전기 전원플러그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외부백미러 내에 방향신호등을 장치하고 있으며, 그 방향신호등에는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플러그 케이스와 소켓으로 구성된 전원플러그 결합장치를 외부백미러 안에 장치한다. 상기 외부백미러를 조립할 때 방향신호등의 발광장치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양쪽의 구성부분을 서로 결합하여야 한다. 조립할 때 때때로 상기 구성부분들을 맹목적으로 결합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하자면, 결합 후에 조립공이 외부에서 완벽한 접촉상태를 점검할 수 없다. 따라서, 특히 상기 소켓과 플러그 케이스가 서로 정확하게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서로 완벽하게 결합하지 않는 경우가 자주 나타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부분들을 결합할 때 서로 정확히 정렬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도 완벽한 접촉을 이루도록 동종의 플러그-소켓 결합장치를 형성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동종의 전원플러그 결합장치에서 본 발명에 따라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 결합장치가 결합될 때 플러그 케이스 및/또는 소켓은 서로 향하여 정확하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상기 구성부분들이 설사 정확하게 정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서로 완벽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케이스 및/또는 소켓의 상호 가동성(可動性) 때문에 맹목조립(盲目組立)을 할 때 양쪽의 구성부분들이 확실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 결합장치는 자 동차의 외부백미러에 유리하게 사용될 뿐만 아니라, 또한 전원플러그 결합장치의 양쪽 구성부분의 결합에 의한 접촉을 필요로 하는 곳이면 어디든지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플러그 케이스를 지지하는 플러그 홀더가 소켓과 결합할 때 플러그 케이스 안에서 접촉부의 변위를 방지한다면, 매우 유리한 해결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할 때 소켓의 접촉방해로 인하여 접촉부가 플러그 케이스로부터 변위(變位)되지 않음으로써, 접촉불량이 전혀 일어나지 않도록 보장된다. 상기 변위 방지장치는 결합과정에서 접촉부가 플러그 케이스 안에서 변위하여 빠져나오지 않도록 보장한다.
특허청구범위들과,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이 명백해진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도시된 몇 가지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원플러그 결합장치에 의하여, 내부에 플러그 케이스가 장착된 플러그 홀더와 소켓은 이들 구성부분들이 설사 서로 정확하게 정렬되어 있지 않더라도 서로 완벽하게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 홀더와 소켓은, 이들 구성부분이 보이지는 않지만, 확실하게 서로 맹목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원플러그 결합장치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차 외부백미러의 거울하우징(1) 속에 장착되어 있고, 하나의 플러그 홀더(2)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플 러그 홀더(2)에 플러그 케이스(3)가 장착되어 소켓(4)과 결합된다. 도 1에는 거울하우징(1)에서 단지 받침대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홀더(2)는 거울하우징(1) 내에서 화살표(5) 방향으로 장착되며, 한편 상기 소켓(4)은 화살표(6)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 홀더(2)에 삽입/결합된다. 양쪽 구성부분들이 서로 정확하게 정렬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플러그 홀더(2)와 소켓(4)이 확실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 홀더(2)는 장착상태에서 한정된 부분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홀더(2)는 구형(矩形) 단면을 갖는 기초판(基礎板)(7)을 가지고 있다. 상기 기초판(7)의 폭이 좁은 모서리면(8)으로부터 스냅 잠금쇠(snap hook)(9)가 아래쪽으로 뻗어 있으며, 이 스냅 잠금쇠(9)는 상기 기초판(7)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냅 잠금쇠(9)는 좁은 모서리면(8)의 중간에 위치하며, 거울하우징(1)의 조립구멍 속으로 결합되어 잠긴다.
상기 기초판(7)의 좁은 모서리면(8) 반대쪽에 기초판(7)의 좁은 모서리면(10)에는 또 하나의 스냅 잠금쇠(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냅 잠금쇠(11)는 마찬가지로 상기 좁은 모서리면(10)의 중간에 상기 기초판(7)과 일체로 유리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냅 잠금쇠(11)는 머리핀 모양으로 구부려진 만곡부(12)를 가지고 있으며, 이 만곡부(12)는 상기 좁은 모서리면(10)으로부터 기초판(7) 위로 뻗은 다음, 상기 기초판(7)의 맞은편까지 활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다. 상기 만곡부(12)의 자유단부에는 스냅 걸쇠(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냅 걸쇠(13)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냅 잠금쇠(9)의 스냅 걸쇠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상기 양쪽의 스냅 잠금쇠(9, 11)들은 또한 조립위치의 형상에 따라 상이한 높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플러그 홀더(2)를 조립할 때, 상기 만곡부(12)는 탄력적으로 압축되면서 상기 스냅 걸쇠(13)가 거울하우징(1)의 걸쇠 구멍 속으로 스냅 결합된다. 그 다음, 상기 만곡부(12)가 탄력 복원되어 상기 스냅 걸쇠(13)가 걸쇠구멍에 걸려 잠긴다. 이렇게 하여 상기 플러그 홀더(2)가 거울하우징(1)에 간단히 조립된다. 상기 플러그 홀더(2)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냅 잠금쇠(11)의 만곡부(12)를 간단히 눌러줌으로써, 상기 스냅 걸쇠(13)가 걸쇠구멍의 가장자리로부터 해체된다. 그러면, 상기 플러그 홀더(2)가 간단히 거울하우징(1)으로부터 해체된다.
상기 스냅 걸쇠(13)로부터 반대편에 상기 기초판(7)으로부터 하나의 지주(支柱)(14)가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지주(14)는 상기 기초판(7)의 폭 중간에 위치하여 상기 기초판(7)의 종측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4)는 그 상단부에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 직각부분(15)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직각부분(15)과 지주(14) 및 상기 기초판(7)은 모두 일체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각부분(15)은 기초판(7)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상기 지주(14)는 기초판(7)으로부터 자유단부 쪽으로 점차로 가늘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주(14)의 스냅 잠금쇠(11) 쪽으로 향한 경사연부(16)는 상기 기초판(7)의 좁은 모서리면(10)의 상연부(上緣部)와 연접(連接)되어 있다. 상기 지주(14)의 경사연부(16) 반대편의 직립연부(17)는 상기 기초판(7)의 좁은 모서리면(8)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기초판(7)의 표면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지주(14)의 양쪽 연부(16 및 17)들 사이의 지주(14) 양쪽 측면에 횡지주(18 및 19)들이 형성되어, 상기 기초판(7)으로부터 지주(14)의 상부 평탄연부(20)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양쪽의 횡지주(18 및 19)들은 도 1 및 2에서 각각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기초판(7)으로부터 상기 지주(14)의 평탄연부(20) 방향으로 점점 가늘게 되어 있다. 상기 지주(14)의 평탄연부(20)에서 상기 횡지주(18 및 19)들의 폭의 크기가 영(zero)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직각 연장부분(15)의 전면(前面)에는 횡판(橫板)(21)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횡판(21)은 상기 직각 연장부분(15)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있으며, 도 5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판(7)의 양쪽 종측면을 초월하여 뻗어 있다. 상기 횡판(21)은 전체길이에 걸쳐 일정한 폭과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지지부(25)가 양쪽에 평행하게 형성된 다리(23, 24)를 통하여 상기 횡판(21)의 전면부(22)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5)는 다리(23, 24)들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며, 상기 다리(23, 24)들 자체는 상기 횡판(21)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다리(23, 24)들은 횡판(21)의 중간부분에 부착된다. 상기 다리(23, 24)들 사이에는 직각형 개구부(26)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개구부(26)는 상기 횡판(21)의 전면부(22)와, 상기 횡판(21)에 평행하게 대향(對向)한 상기 지지부(25)의 가장자리(27)에 의하여 경계를 이룬다. 상기 지지부(25)는 본질적으로 판형(板形)으로 형성되고, 그 자유단부에는 수직으로 하나의 횡판(28)이 부착되며, 그 횡판(28)은 상기 기초판(7) 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횡판(28)에는 구 멍(29)(도 2)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구멍(29)들을 통하여 상기 소켓(4)의 접촉부들(도시되지 않았음)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5)의 후연부(30)와 대략 중간부분에 두 개의 L자형 안내부(31, 32)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부(31, 32)들은 상기 지지부(25)의 전체 폭에 걸쳐 서로 평행을 이루고, 횡판(28) 쪽으로 향하고 있다. 상기 안내부(31, 32)들은 상기 횡판(28)과 같이 지지부(25)의 동일한 면으로부터 뻗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 (32)는 안내부 (31)보다 앞쪽으로 위치하고 있다. 상기 횡판(28) 자체는 안내부 (32)를 초월하여 뻗어 있다.
상기 다리(23, 24)들은, 평면도에서 보면, 상기 기초판(7)의 좁은 모서리면(8)을 초월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지지부(25)는, 평면도에서 보면, 상기 기초판(7)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상기 횡판(28)과 안내부(31, 32)들은 모두 한쪽 단부가 하나의 종벽(縱壁)(3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종벽(33)은 상기 플러그 케이스(3)를 플러그 홀더(2) 속으로 삽입할 때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한다.
상기 플러그 케이스(3)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 면에 L자형 홈(34)이 형성되어 있고 (도 2), 상기 지지부(25)의 안내부(32)가 상기 L자형 홈(34) 속으로 형상결합한다. 그밖에 상기 플러그 케이스(3)는 조립상태에서 그의 좁은 모서리면(35)이 상기 안내부(31)의 짧은 다리(36)의 자유단부와 접촉한다(도 6 및 7).
상기 플러그 케이스(3) 안에는 다수의 접점 부싱(contact bushing)(37)들이 나란히 위치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접점 부싱(37)들은 각각의 위치에서 상기 안내부(32)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소켓(4)을 결합할 때 상기 접점 부싱(37)들이 소켓(4)의 접점에 의하여 플러그 케이스(3)로부터 빠지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접점 부싱(37)들은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위아래에 서로 겹쳐서 위치하는 두 개의 측벽(38, 39)이 있으며, 그 중 측벽 (38)은 직선형으로서 플러그 케이스(3)의 바닥(40)에 놓여 있다. 상기 측벽(38) 위에 간격을 두고 놓여 있는 다른 쪽의 측벽 (39)는 U자형으로 변형된 부분(41)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지지부(25)의 안내부(32)가 상기 U자형 홈(41) 속으로 삽입/결합된다. 상기 U자형으로 형성된 부분(41) 때문에 상기 접점 부싱(37)은 플러그 케이스(3) 안에서 길이방향 변위가 방지되도록 완벽하게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25)의 안내부(32)와 횡판(28) 사이 부분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상기 측벽(39)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위로 비스듬히 구부려 올려 절곡편(折曲片)(42)을 형성하고, 이 절곡편(42)은 상기 플러그 케이스(3)의 L자형 홈(34)을 형성한 측면에 형성된 구멍(43) 속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절곡편(42)들은 접점 부싱(37)의 삽입방향에 반대로 뒤쪽으로 비스듬히 경사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 절곡편(42)들은 접점 부싱(37)의 추가적인 잠금장치의 역할을 한다.
조립상태에서 상기 지지부(25)의 횡판(28)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전면부(44)에는 구멍(45)(도 2 및 7)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구멍(45)들은 상기 횡판(28)의 구멍(29)들과 일치하게 정렬되어 있다. 유리하게도, 상기 구멍(29)들은 상기 소켓(4)의 접점부들의 삽입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깔때기 모양으로 좁아짐으로써(도 7), 상기 플러그 홀더(2)와 소켓(4)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유리하게도, 상기 플러그 케이스(3)의 두께를 상기 횡판(28)의 높이와 일치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케이스(3)가 플러그 홀더(2) 안에 결합되어 완벽하게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접점 부싱(37)들에는 각각 도선(46)들이 연결되어, 상기 플러그 케이스(3)의 전단면(前端面)(35)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상기 소켓(4)은 조립상태에서 상기 거울하우징(1) 안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홀더(2) 쪽으로 향한 전단부에는 삽입안내구(lead-in hopper)(47)를 형성하여, 상기 플러그 홀더(2) 쪽으로 벌어져 있다. 상기 삽입안내구(47) 안에는 접점들(도시되지 않았음)이 착설되어 있으며, 조립할 때, 이 접점들은 상기 플러그 홀더(2)와 플러그 케이스(3)의 구멍(29, 45)들을 통하여 각각 삽입된다.
상기 지지부(25)는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지지부(25)가 상기 소켓(4)에 정확하게 정렬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스스로 조절하여 정렬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5)를 횡판(21)에 고정시키는 상기 다리(23, 24)들은 X-Z-평면에서 이중화살표(48)(도 4)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구부릴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횡판(21)은 X-Y-평면에서 이중화살표(49)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상기 횡판(21)이 상기 지주(14)의 좁은 연장부분(15)에 장치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직각연장 부분(15)은 요구되는 만큼 탄력적으로 구부려질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된다. 상기 직각 연장 부분(15)의 상상(想像) 중립축(中立軸)은 기초판(7) 위에 수직을 이루고 있으며, 한편 상기 다리(23, 24)들의 상상 중립축은 상기 기초판(7)의 상부면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고, 상기 직각 연장 부분(15)의 상상 중립축에 대하여 수직을 이룬다. 서로 수직을 이루는 양쪽의 굴곡성 때문에, 설사 상기 플러그 홀더(2)와 소켓(4)이 서로 정확하게 정렬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플러그 홀더(2)는 소켓(4)과 결합할 때 최적의 위치로 안내될 수 있다.
그밖에 또한 상기 플러그 홀더(2)는 소켓(4) 속으로 삽입할 때 상기 안내부(32)에 의하여 접점 부싱(37)들이 플러그 케이스(3) 안에 고정되어, 플러그 케이스(3)로부터 뜻하지 않게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 홀더(2)는 한편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회피 이동(evading movement)을 할 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접점 부싱(37)들을 위한 2차적인 잠금장치의 역할을 함으로써, 이중기능을 수행한다.
도 8 내지 11은 플러그 홀더가 환상(環狀)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케이스(3)의 단부를 둘러싸도록 되어 있는 플러그 홀더(2a)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홀더(2)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종측면(縱側面)에 각각 하나의 피봇 핀(50, 51)을 장치하여, 상기 플러그 홀더(2)가 그 피봇 핀(50, 51)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양쪽의 피봇 핀(50, 51)들은 서로 일직선상에 장치되어 상기 플러그 홀더(2a)의 선회축을 형성한다.
상기 플러그 케이스(3)는 직각 링으로써 형성된 플러그 홀더(2a)를 통과하여 약간 돌출되어 있다(도 9 내지 11). 상기 플러그 케이스(3)는 두 개의 연결 브리지(52, 53)를 통하여 플러그 홀더(2a)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양쪽의 연결 브리지(52, 53)들은 서로 일직선으로 정렬하여, 직사각형 플러그 홀더(2a)의 좁은 모서리면 중간에 형성되어, 환평면(環平面/ring plain)에 대하여 수직을 이룬다. 상기 연결 브리지(52, 53)들은 탄력적으로 구부릴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하여, 상기 플러그 케이스(3)로 하여금 도 10의 이중 화살표(54) 방향으로 선회운동을 가능케 하며, 이때, 상기 연결 브리지(52, 53)들은 탄력적으로 구부려진다. 또한, 상기 플러그 홀더(2a)는 플러그 케이스(3)와 함께 피봇 핀(50, 51)의 축을 중심으로(도 11의 이중화살표(55)) 회피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소켓(4)에 결합할 때 상기 플러그 홀더(2a) 및 플러그 케이스(3)의 최적한 정렬이 보장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플러그 홀더(2)의 양쪽 방향의 선회운동(48, 49)들은 플러그 홀더(2)의 구조부분의 탄력적 변형에 의하여 각각 이루어지는 한편, 도 8 내지 11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브리지(52, 53)들의 탄력적 변형에 의해서는 단지 회피운동(이중화살표 방향(54))만이 이루어진다. 다른 쪽의 회피운동(이중화살표 방향(55))은 상기 피봇 핀(50, 51)에 의하여 플러그 홀더(2a)의 선회운동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봇 핀(50, 51)들은 연결 브리지(52, 53)들에 대하여 직각을 이룸으로써,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서로 직각을 이루는 두 개 방향으로 회피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 밖에, 본 실시예는 도 1 내지 7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12 내지 14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플러그 홀더(2b)는 직사각형 링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플러그 케이스(3)를 근접하여 둘러싸고 있다. 상기 플러그 케 이스(3)는 플러그 홀더(2b) 위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도 13 및 14). 상기 플러그 홀더(2b)에는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두 개의 브리지(56, 57)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브리지(56, 57)들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 홀더(2b)의 외측 링(58)은 플러그 홀더(2b)의 내측 링(59)과 비틀려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두 링(58, 59)들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 링(59)은 외측 링(58)보다 단면이 작으며, 상기 외측 링(58)은 플러그 케이스(3)의 축선을 기준으로 내측 링(59) 쪽으로 근접되어 있다. 상기 브리지(56, 57)들은 상기 외측 링(58)의 양쪽 종측면의 중간에 형성되어, 각각 링 평면에 수직을 이룬다.
상기 내측 링(59)에는 브리지(52b, 53b)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브리지(52b, 53b)들에 의하여 내측 링(59)이 플러그 케이스(3)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 브리지(52b, 53b)들은 상기 브리지(56, 57)들과 서로 수직을 이루고,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상기 내측 링(59)은 플러그 케이스(3)를 둘러싸고, 플러그 케이스(3)의 외피면에 놓여있다. 상기 연결 브리지(52b, 53b)들은 상기 직사각형 내측 링(59)의 좁은 모서리면의 중간에 장치되어 있다(도 12).
상기 브리지(52b, 53b 및 56, 57)들은 필름형 힌지(film type hinge) 모양으로 탄력/굴곡성 구성부분을 형성하여, 서로 직각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 케이스(3)로 하여금 보상운동(補償運動)을 가능케 하여 준다. 상기 브리지들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충분히 얇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 케이스(3)가 소켓(4)(도 1)에 정확히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는 플러그 케이스(3)가 필요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브리지(52b, 53b 및 56, 57)들은 단면이 각각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도 13 및 14), 각각 길이를 따라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브리지(52b, 53b 및 56, 57)들은 한편으로는 외측 링(58) 및 내측 링(59)과 확실하게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내측 링(59)이 상기 플러그 케이스(3)와의 연결을 보장한다. 한편, 상기 브리지(52b, 53b 및 56, 57)들은 이들의 요굴성(撓屈性) 때문에 상기 플러그 케이스(3)의 필요한 회피운동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플러그 연결장치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홀더(2, 2a, 2b)들은 플러그 케이스(3)와 소켓(4)이 정확하게 정렬되어 있지 않을지라도 적절하게 이동함으로써 소켓(4)과 완벽하게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소켓(4)과 플러그 케이스(3)는 맹목결합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플러그 결합장치가 결합될 때 플러그 케이스 및/또는 소켓은 서로 향하여 정확하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상기 구성부분들이 설사 정확하게 정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서로 완벽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케이스 및/또는 소켓의 상호 가동성 때문에 맹목조립을 할 때 양쪽의 구성부분들이 확실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 결합장치는 자동차의 외부백미러에 유리하게 사용될 뿐만 아니라, 또한 전원플러그 결합장치의 양쪽 구성부분의 결합에 의한 접촉을 필요로 하는 곳이면 어디든지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7)

  1. 플러그 홀더(2)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접점(37)을 가진 플러그 케이스(3)가 적어도 하나의 대응접점을 가진 소켓(4)과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 케이스(3) 및 상기 소켓(4)은 삽입 결합 과정에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전원플러그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홀더(2)는 상기 플러그 케이스(3)용 지지부(25)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25)는 적어도 하나의 탄력 요굴성 휨 요소(23, 24)를 통해 횡판(21)에 연결되며, 상기 횡판(21)은 지주(14)의 탄력 요굴성 직각부분(15)에 횡방향으로 제공되며, 상기 요굴성 휨 요소(23, 24)와 상기 지주(14)의 요굴성 직각부분(15)은 서로에 대해 소정 각도로 만나는 축선을 중심으로 휠 수 있으며, 상기 지주(14)는 상기 플러그 홀더(2)의 기초판(7)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홀더(2)는 해체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홀더(2)는 상기 플러그 홀더(2)의 기초판(7)에 형성된 2개의 스냅 잠금쇠(9, 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 요굴성 직각부분(15)은 상기 지주(14) 및 상기 지지부(25)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5)는 두 개의 휨 요소(23, 24)에 의해 횡판(21)에 연결되고, 상기 횡판(21)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홀더(2)는 상기 소켓(4)과 결합될 때 상기 플러그 케이스(3) 속에서 상기 접점(37)의 변위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홀더(2)는 상기 접점(37)의 변위를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요소(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케이스(3)는 상기 플러그 홀더(2)의 잠금 요소(32)가 결합될 적어도 하나의 요와부(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37)은 상기 잠금 요소(32)와 맞물림을 위해 대응하게 형성된 삽입홈(41)을 구비한 접점 부싱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32)는 상기 플러그 홀더(2)의 지지부(25)에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홀더(2) 속으로 삽입될 때 상기 플러그 케이스(3)를 위한 안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21. 삭제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32)는 단면으로 볼 때 L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홀더(2)의 기초판(7)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홀더(2)에는 상기 플러그 케이스(3)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안내부(31)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23. 삭제
  24. 삭제
  25. 플러그 홀더(2a)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접점(37)을 가진 플러그 케이스(3)가 적어도 하나의 대응접점을 가진 소켓(4)과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 케이스(3) 및 상기 소켓(4)은 삽입 결합 과정에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전원플러그 결합장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홀더(2a)는 상기 플러그 케이스(3)를 둘러싸고 서로 일직선 상에 위치한 2개의 피봇 핀(50, 5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환상(環狀)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피봇 핀(50, 51)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하고 서로에 대해 일직선 상에 위치하고 탄력적으로 휠 수 있고 상기 플러그 케이스(3)를 상기 플러그 홀더(2a)와 결합시키는 브리지(52, 53)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홀더(2a)는 직사각형 링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30. 플러그 홀더(2b)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접점(37)을 가진 플러그 케이스(3)가 적어도 하나의 대응접점을 가진 소켓(4)과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 케이스(3) 및 상기 소켓(4)은 삽입 결합 과정에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전원플러그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홀더(2b)는 2개의 링(58, 59)을 구비하며, 이들 링 중에서 외측 링(58)은 요굴성 요소(56, 57)를 통해 내측 링(59)과 관절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링(59) 자체는 다른 요굴성 요소(52b, 53b)을 통해 상기 플러그 케이스(3)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링(58)의 요굴성 요소(56, 57)는 서로에 대해 일직선 상에 위치하고, 내측 링(59)의 다른 요굴성 요소(52, 53)가 서로에 대해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32. 삭제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링(58, 59)의 요굴성 요소(56, 57; 52b, 53b)는 서로에 대해 소정 각도로, 직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요굴성 요소(52b, 53b; 56, 57)와, 상기 플러그 케이스(3)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된 상태로 배열된 링(58, 59)이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35. 삭제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링(58, 59)은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요굴성 요소(52, 53; 52b, 53b; 56, 57)는 해당 링(2a; 58, 59)의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하는 브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KR1020010050542A 2000-09-29 2001-08-22 자동차 외부백미러용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KR100843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48505A DE10048505A1 (de) 2000-09-29 2000-09-29 Steckverbindungseinrichtung, vorzugsweise für Außenstückblickspiegel von Kraftfahrzeugen
DE10048505.7 2000-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668A KR20020025668A (ko) 2002-04-04
KR100843129B1 true KR100843129B1 (ko) 2008-07-02

Family

ID=7658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542A KR100843129B1 (ko) 2000-09-29 2001-08-22 자동차 외부백미러용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99992B2 (ko)
EP (1) EP1193806B1 (ko)
KR (1) KR100843129B1 (ko)
AT (1) ATE447780T1 (ko)
DE (2) DE100485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11598B1 (en) * 2002-09-19 2013-03-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assembly, connector, connector assembling construction and method of assembling them
JP4791290B2 (ja) * 2006-08-23 2011-10-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構造
US7661961B2 (en) * 2007-04-23 2010-02-16 Ranger All Season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ion guide assembly for break-apart personal mobility vehicle
ATE539916T1 (de) * 2009-11-26 2012-01-15 Smr Patents Sarl Rückspiegeleinheit mit elektrischer teileinheit
DE102010015656A1 (de) * 2010-04-20 2011-10-20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Lenksäulenmodul für ein Kraftfahrzeug
EP2431201B1 (de) * 2010-09-20 2014-03-12 Voith Patent GmbH Kupplungskopf einer Kupplungsvorrichtung zum mechanischen Verbinden von zwei Einheiten, insbesondere Fahrzeugeinheit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6373U (ko) * 1988-10-19 1990-04-24
JPH07267020A (ja) * 1994-03-31 1995-10-17 Oi Seisakusho Co Ltd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JPH07282922A (ja) * 1994-04-08 1995-10-27 Hosiden Corp コネクタ
JPH09260004A (ja) * 1996-03-19 1997-10-03 Alps Electric Co Ltd 電気的接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609223A (fr) * 1925-12-08 1926-08-11 Baladeuse pour lampe électrique avec amortisseur de chocs
NL302451A (ko) * 1963-02-08
JPS59151362A (ja) * 1983-02-16 1984-08-29 Seiko Epson Corp 磁気ヘツド懸架装置
US4668040A (en) * 1985-02-25 1987-05-26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US5083926A (en) * 1985-10-11 1992-01-28 Amp Incorporated Means for retaining connector to printed circuit board
DE3624834A1 (de) * 1986-07-23 1988-01-28 Mafi Transport Systeme Gmbh Zentriervorrichtung mit selbsttaetiger fuegung einer steckverbindung
US4741703A (en) * 1986-08-12 1988-05-03 Amp Incorporated PCB mounted triaxial connector assembly
FR2639481B1 (fr) * 1988-11-21 1991-03-15 Peugeot Dispositif formant connecteur electrique
US4954094A (en) * 1989-09-15 1990-09-04 Gte Products Corporation Sliding gimbal connector
US5055055A (en) * 1990-10-12 1991-10-08 Elcon Products International Company Circuit board connector system
US5079671A (en) * 1991-03-04 1992-01-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header connector fastening bracket
US5199896A (en) * 1991-07-29 1993-04-06 Itt Corporation Latchable p.c. board connector
FR2690790B1 (fr) * 1992-04-29 1997-01-10 Souriau & Cie Connecteur embrochable sur une carte imprimee.
US5468154A (en) * 1993-12-15 1995-11-21 Burndy Corporation Multi-piece housing card edge connector with mounting arms
JPH0992406A (ja) * 1995-09-28 1997-04-04 Yazaki Corp 可動コネクタ
US5609500A (en) * 1996-01-02 1997-03-11 Motorola, Inc. Accessory connector alignment and support plate
JP3189945B2 (ja) * 1996-09-30 2001-07-16 矢崎総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DE19707490C2 (de) * 1997-02-25 2000-05-11 Siemens Ag HF-Koaxial-Steckverbinder
US6159030A (en) * 1997-06-16 2000-12-12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Self-aligning connecting system
US6045401A (en) * 1997-09-26 2000-04-04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mounting member
JP3865273B2 (ja) * 1997-09-26 2007-01-10 矢崎総業株式会社 ルーフモジュール構造
DE19746637C1 (de) * 1997-10-22 1999-02-11 Siemens Ag HF-Koaxial-Winkelsteckverbinderteil sowie Verfahren zum automatischen Zusammenbau
US6164977A (en) * 1998-02-09 2000-12-2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Standoff board-mounted coaxial connector
DE29807349U1 (de) * 1998-04-24 1998-06-18 Harting Kgaa Steckverbinder
US6068509A (en) * 1999-01-26 2000-05-30 C.S. Conser Enterprise Co., Ltd. Stacking type connector
US6273732B1 (en) * 1999-06-18 2001-08-14 Berg Technology, Inc. Through mount connector with alignment device
US6319021B1 (en) * 2000-12-19 2001-11-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Power connector providing improved performa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6373U (ko) * 1988-10-19 1990-04-24
JPH07267020A (ja) * 1994-03-31 1995-10-17 Oi Seisakusho Co Ltd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JPH07282922A (ja) * 1994-04-08 1995-10-27 Hosiden Corp コネクタ
JPH09260004A (ja) * 1996-03-19 1997-10-03 Alps Electric Co Ltd 電気的接続装置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02056373호 U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9-260004호 A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267020호 A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282922호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115200D1 (de) 2009-12-17
US20020039852A1 (en) 2002-04-04
US6499992B2 (en) 2002-12-31
DE10048505A1 (de) 2002-04-11
EP1193806A3 (de) 2007-06-13
EP1193806B1 (de) 2009-11-04
EP1193806A2 (de) 2002-04-03
ATE447780T1 (de) 2009-11-15
KR20020025668A (ko) 200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2440B1 (ko) 하우징과 접촉부 사이에 과응력 방지 수단을 갖는 전기 커넥터
KR100191747B1 (ko) 낮은 형상의 표면 장착식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709051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ocking mechanism
EP0635909B1 (en)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mounting latch clip
JP2024056089A (ja)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KR20010074996A (ko) 전기 커넥터용 소켓 콘택트
EP1179745A3 (en) Optical connector adapter
JP3905518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H087982A (ja) ラッチ付き電気コネクタ
JPH04233173A (ja) 電気ターミナル
KR100843129B1 (ko) 자동차 외부백미러용 전원플러그 결합장치
JPH0850969A (ja) 保持装置
US5934913A (en) Board mounting-type connector
KR100334587B1 (ko) 패널 장착형 커넥터 조립체
JP3082072B2 (ja) ウェッジベース型ランプ用ソケット
JP2011076755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H10134900A (ja) コネクタ
KR100288724B1 (ko) 전기 커넥터용 자체 정렬식 커넥터 시스템
KR100396978B1 (ko) 래칭 포스트, 래칭 장치 및 전기 커넥터
JP4199547B2 (ja) プラグ差込み式コネクタ用の電気的な接点要素
US5788531A (en) Connector alignment guide
JP2019192511A (ja) コンタクト、コネクタ及び接続装置
EP1158615A2 (en)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KR100303412B1 (ko) 프린트기판용커넥터
JP7494438B2 (ja)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及び、コネクタ装置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