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4587B1 - 패널 장착형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패널 장착형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4587B1
KR100334587B1 KR1020000019116A KR20000019116A KR100334587B1 KR 100334587 B1 KR100334587 B1 KR 100334587B1 KR 1020000019116 A KR1020000019116 A KR 1020000019116A KR 20000019116 A KR20000019116 A KR 20000019116A KR 100334587 B1 KR100334587 B1 KR 100334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orce
adapter
latch
complemen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7023A (ko
Inventor
쎄실폴디.쥬니어
콜러란스티븐에이.
윌슨빌비.
버그폴씨.
루터줄리베이어스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ublication of KR20000077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7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5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5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separate from the ho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패널 내의 구멍을 통해 장착하는 커넥터 조립체(10)가 기재되어 있다. 커넥터 조립체는 구멍에 장착 가능한 어댑터(14)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16)는 어댑터에 장착 가능하고 어댑터에 대한 제한된 축방향 부유 이동을 갖는다. 제2 커넥터(18)는 소정 결합력으로 제1 커넥터와 결합 가능하다. 래치-해제 기구(46)는 제1 커넥터를 축방향 부유 이동에 대항하여 래칭하고 제2 커넥터(18)가 상기 소정 결합력으로 제1 커넥터와 결합되게 하도록 제1 커넥터와 어댑터 사이에 제공된다. 래치-해제 기구(46)는 상기 소정 결합력보다 큰 힘에 응답하여 해제되어 제한된 축방향 부유 이동을 허용하고 결합 사이클을 많아지게 한다.

Description

패널 장착형 커넥터 조립체{PANEL MOUNTED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광섬유 커넥터 등의 커넥터 조립체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커넥터가 부유되거나, 패널, 프레임워크, 지지면 등의 장착 섀시에 대한 제한된 이동을 갖게 하는 래치-해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 및 기타 커넥터 조립체는 커넥터가 패널 등의 섀시 내의 구멍을 통해 장착되는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커넥터는 섀시 또는 패널에 대해 어느 정도 제한된 이동 또는 '부유(float)'를 갖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종종 있다. 예컨대, 자동차 분야에서, 섀시 또는 패널 및 장착형 커넥터는 또 다른 프레임 요소 또는 인쇄 회로 기판, 지지면 등에 대해 조립되어야 한다. 어느 정도의 부유 이동을 커넥터에 제공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이 조립될 때의 제조 공차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커넥터가 패널에 대해 부유 이동을 갖는 패널 내에 장착되면, 패널 장착형 커넥터는 자체의 부유 이동으로 인해 주위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상호 보완적인 커넥터를 패널 장착형 커넥터에 결합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도 종종 있다. 본 발명은, 패널 장착형 커넥터가 패널에 대한 부유 이동에 대항하여 래칭되어 제2 커넥터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패널 장착형 커넥터가 패널에 대한 커넥터의 제한된 부유 이동을 허용하도록 결합 후 해제되는, 독특한 래치-해제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 내에 형성되어 결합축 등의 축을 한정하는 구멍을 통해 장착하도록 전술한 특징을 갖는 신규하고 개선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패널 장착 어댑터의 리셉터클을 통해 삽입된 패널 장착형 커넥터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패널 장착형 커넥터 조립체의 후방측을 향해 본 사시도.
도3은 결합 커넥터가 패널 장착형 커넥터에 결합된, 도1과 유사한 사시도.
도4는 도3의 선 4-4를 따른 수평 단면도.
도5는 결합 커넥터의 2쌍의 결합 단자를 도시하는 부분 수직 단면도.
도6a 내지 도6c는 결합 커넥터의 결합 및 패널 장착형 커넥터의 해제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기 커넥터 조립체
14 : 장착 브래킷 또는 어댑터
16 : 제1 커넥터 또는 패널 장착형 커넥터
18 : 제2 커넥터 또는 결합 커넥터
20 : 중심 본체
22 : 리셉터클
24 : 주변 플랜지
26 : 외팔보형 아암
26a : 맞닿음 플랜지
46 : 래치 수단
48 : 멈춤 돌기
50, 52, 60 : 멈춤면
54 : 아암
본 발명의 예시 실시예에서, 커넥터 조립체는 패널 내의 구멍에 장착 가능한 장착 브래킷 또는 어댑터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는 어댑터 내로 축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고 어댑터에 대한 제한된 축방향 부유 이동을 갖는다. 제2 커넥터는 소정 결합력으로 제1 커넥터와 축방향으로 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제1 커넥터를 축방향 부유 이동에 대항하여 래칭하고 제2 커넥터가 상기 소정 결합력으로 제1 커넥터와 결합되게 하도록 제1 커넥터와 어댑터 사이의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래치-해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래치-해제 수단은 상기 소정 결합력보다 큰 힘에 응답하여 해제되어 제1 커넥터와 어댑터 사이에서, 그에 따라 결합 커넥터와 패널 사이에서 제한된 축방향 부유 이동을 허용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커넥터들은 커넥터들 사이에서 소정 결합력을 실질적으로 형성하는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수단자 및 암단자를 갖는다.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래치-해제 수단은 제1 커넥터 및 어댑터 상의 상호 결합 멈춤면들을 포함한다. 멈춤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소정 결합력보다 큰 해제력을 형성하도록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래치-해제 수단은 제1 커넥터와 어댑터 중 하나 상에 있고 제1 커넥터와 어댑터 중 다른 하나 상의 한 쌍의 대향한 멈춤면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삼각형 멈춤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리셋 수단은 분리 방향으로 제2 커넥터에 인가되는 분리력보다 작은 리셋 힘에 대응하여 래치-해제 수단이 다시 래칭하게 하도록 제1 커넥터와 어댑터 사이에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리셋 수단은 제1 커넥터 및 어댑터 상의 상호 결합 멈춤면들을 포함한다. 멈춤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분리력보다 작은 리셋 힘을 형성하도록 경사져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래치-해제 수단의 일부를 형성하는 삼각형 멈춤 돌기는 리셋 수단의 경사형 멈춤면들 및 래치-해제 수단의 경사형 멈춤면들을 모두 제공하도록 다이아몬드 형태로 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연계하여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신규한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과 함께, 첨부 도면과 연계하여 취해진 다음의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을 상세하게 참조하기로 하고, 우선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패널 내의 구멍을 통해 장착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로 구체화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장착 브래킷 또는 어댑터(14) 및 제1 커넥터 또는 패널 장착형 커넥터(16)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 또는 결합 커넥터(18, 도3 참조)는 화살표 'A' 방향으로 제1 커넥터 또는 패널 장착형 커넥터(16)와 결합 가능하다.
어댑터(14)는 제1 커넥터(16)가 화살표 'B' 방향(도2 참조)으로 삽입되는 관통 리셉터클(22)을 한정하는 중심 본체(20)를 포함한다. 주변 플랜지(24)는 중심 본체(20) 주위에서 반경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된다. 가요성 외팔보형 아암(26)은 어댑터가 패널의 모서리에서 등의 패널의 절결형 구멍에 장착되게 하도록 중심 본체(20)의 3개의 측면에 각각 제공된다. 맞닿음 플랜지(26a)는 각각의 외팔보형 아암(26)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된다. 장착 브래킷이 패널 내의 절결부에 장착될 때 장착 브래킷의 중심 본체(20)는 절결부 또는 구멍에 배치되고, 패널은 맞닿음 플랜지(26a)와 장착 브래킷의 주변 플랜지(24) 사이에 개재된다. 가요성 외팔보형 아암(26)은 'X' 및 'Y' 방향(즉, 패널에 평행함)으로 장착 브래킷과 패널 사이의 상대적인 부유 작용을 제공한다. 로킹 구멍(28, 도2 참조)은 이후에서 상세하게 알게 되는 바와 같이 로킹 부재(30)를 제1 커넥터로부터 수용하도록 장착 브래킷의 중심 본체(20)의 각각의 측벽에 제공된다. 주변 플랜지(24) 및 가요성 외팔보형 아암(26)을 포함하는 전체 브래킷(14)은 플라스틱 등의 유전성 재료로 성형될 수 있는 일편 구조체이다.
도1 및 도2와 함께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결합 커넥터(18)는 조립을 목적으로 단자 장착 부분(32)과 결합 부분(34)을 포함한 2개 부분 구조체이다. 2개 부분은 결합 부분(34) 상의 견부(38) 뒤에서 결합되는 단자 결합 부분(32) 상의 한 쌍의 래치 아암(36)에 의해 서로 스냅 결합된다. 결합 부분은 커넥터(18)를 패널 장착형 커넥터(16)와 용이하게 결합시키도록 외향으로 확개된 입구(40)를 갖는다. 단자 장착 부분(32)은 (도시되지 않은) 회로 기판 상의 적절한 회로 트레이스(42a)와 접속되도록 교차부(42a)를 갖는 복수개의 대체로 U자형인 단자(42)를 장착한다. 결합 커넥터(18)의 각각의 2개 부분(32, 34)은 플라스틱 등의 유전성 재료로 성형된 일편 구조체이다.
도4는 어댑터(14)의 중심 본체(20)의 측벽 내의 로킹 구멍(28) 중 하나와 커넥터(16) 상의 관련 로킹 부재(30)를 가장 잘 도시하고 있다. 로킹 부재는 커넥터가 화살표(B) 방향으로 브래킷 내에 삽입될 때 로킹 부재가 브래킷 내의 로킹 구멍(28) 내로 스냅 결합되도록 경사 외부면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로킹 구멍(28)은 로킹 부재(30)보다 크며, 이는 어댑터(14)에 대한 커넥터(16)의 제한된 부유 이동의 정도를 한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부유 이동은 도4에서 양방향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은 'Z' 방향이다. 즉, 가요성 외팔보형 아암(26)은 브래킷(14) 및 커넥터(16)가 'X' 및 'Y' 방향으로 패널에 대체로 평행하게 부유되게 하면서, 커넥터(16)는 패널에 대체로 수직인 'Z' 방향으로 브래킷(14)에 대해 부유될 수 있다.
도5는 커넥터의 한 쌍의 단자(44)와 결합된 결합 커넥터(18)의 한 쌍의 단자(42)를 도시한다. 각각의 U자형 단자(42)는 능동형 끼움 또는 억지 끼움에 의해 커넥터(16)의 각각의 암단자(44) 내로 삽입되는 단자 핀(42b)을 갖는다. 단자(44)는 전선(45)에 접속된다. 2개의 커넥터(16, 18)들 사이의 결합력은 2개의 커넥터의 모든 단자 핀(42b, 44)을 결합하는 데 요구되는 힘과 커넥터(18)와 약간 접촉하는 커넥터(16)에 의해 발생되는 힘과 동일한 합력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력은 용이하게 계산될 수 있으며 커넥터 조립체의 '소정의 결합력'을 제공한다. 실제로, 일부 단자 제조업자들은 특정 결합 단자에 요구되는 결합력에 대한 사양을 제공한다.
도1과 함께 도6a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커넥터 조립체(10)에는 제1 커넥터를 전술한 축방향 부유 이동에 대해 'Z' 방향으로 래칭하고 결합 커넥터(18)가 부유 작용 없이 소정의 결합력으로 제1 커넥터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상호 보완적으로 상호 결합되는 래치 수단(46)이 제1 커넥터 또는 패널 장착형 커넥터(16)와 어댑터(14) 사이에 제공된다. 2개의 커넥터가 결합되면, 래치-해제 수단(46)은 어댑터 및 패널에 대해 2개의 결합된 커넥터의 제한된 축방향 부유 이동을 위해 소정의 결합력보다 큰 힘에 따라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또한 커넥터(16)가 다양한 공차 범위를 갖는 결합 커넥터들과 많은 사이클로 결합되게 한다.
특히, 래치-해제 수단(46)은 한 쌍의 내향 경사 멈춤면(50)을 한정하는 삼각형 멈춤 돌기(48)를 포함한다. 돌기들 중 하나는 제1 커넥터(16)의 상부 및 하부와 일체로 성형되어 그로부터 돌출된다. 멈춤 돌기는 어댑터(14)와 일체로 성형된한 쌍의 래치-해제 아암(54)의 내부 말단부에서 한 쌍의 멈춤면(52)들 사이에서 이동된다. 아암(54) 내에 형성된 소정의 휘는 힘에 의해, 멈춤 돌기(48)를 멈춤면(52)을 지나서 가압하는 데 필요한 힘의 크기는 멈춤 돌기 상의 멈춤면(50)의 각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멈춤면(50)의 각도는 멈춤 돌기(48)를 아암(54) 멈춤면을 지나 이동시키는 데 2개의 커넥터의 소정의 결합력보다 큰 힘을 요구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커넥터는 패널 장착형 커넥터(16)가 어댑터(14) 및 패널에 대하여 부유될 수 있기 전에 결합된다.
이상과 같이 의도한 발명 내용은 도6a 내지 도6c를 비교함으로써 나타난다. 도6a는 화살표 'C' 방향으로 패널 장착형 커넥터(16)와 결합되는 순간의 결합 커넥터(18)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커넥터(16)는 'Z' 방향으로 부유하지 않는데(도4), 이는 로킹 부재(30)가 로킹 구멍(28)의 전방에서 결합되어 커넥터(16)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고, 또한 아암(54)의 멈춤면(52)과 돌기(49)(도6a 참조)의 결합 때문에 커넥터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6b는 패널 장착형 커넥터(16)와 완전히 결합된 결합 커넥터(18)를 도시하고 있다. 래치-해제 수단(46)의 삼각형 돌기(48)는 아직 아암(54)의 멈춤면(52)을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패널 장착형 커넥터는 여전히 부유될 수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요구되는 힘은 2개의 커넥터들 사이의 결합력보다 크다.
도6c는 화살표 'D' 방향으로 기판 장착형 커넥터(16)를 향해 추가로 이동된 결합 커넥터(18)를 도시하고 있다. 즉, 커넥터(16)의 삼각형 돌기(48)를 어댑터(14) 상의 아암(54)의 멈춤면(52)을 지나 이동시키기 위해 결합력보다 큰 힘이 결합 커넥터(18)에 인가되었다. 따라서, 2개의 결합 커넥터는 어댑터의 확대 로킹 구멍(28) 내의 기판 장착형 커넥터의 로킹 부재(30)(도4 참조)에 의해 한정되는 제한 내에서 어댑터 및 패널에 대해 'Z' 방향으로 부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래치-해제 수단(46)이 분리 방향[즉, 화살표 'C'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도6b 참조)]으로 결합 커넥터(18)에 인가되는 분리력보다 작은 리셋 힘에 반응하여 다시 래칭 또는 리셋되도록 하기 위해 리셋 수단이 패널 장착형 커넥터(16)와 어댑터(14)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리셋 수단은 분리 방향, 즉 멈춤면(50)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대면하는 한 쌍의 멈춤면(60)을 한정하도록 돌기(48)를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간단히 제공된다. 도1 및 도6a 내지 도6c에서 멈춤면(60)은 결합/분리 방향으로 멈춤면(50)보다 작은 각도로 되어 있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작은 각도의 멈춤면(60)에 의해, 돌기(48)는 분리(결합)력보다 작게 결정될 수 있는 작은 힘으로 아암(54)의 멈춤면들을 지나 외향으로 다시 당겨질 수 있다.
따라서, 분리력이 도6c의 화살표 'D'의 반대 방향으로 결합 커넥터(18)에 인가될 때, 돌기(48)는 커넥터(18)를 분리시키지 않고 아암(54) 상의 멈춤면(52)의 외향으로 후방으로 도6b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될 것이다. 다음에, 커넥터는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분리될 수 있고, 커넥터(16)는 더 이상 'Z' 방향으로 부유될 수 없어서, 조립체는 이제 다른 결합 사이클을 위한 준비 상태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또는 중심 특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설명을 위한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제한적으로 고려되지 말아야 하고, 본 명세서에 제공된 세부 사항들로 제한되지 말아야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에 제공된 래치-해제 시스템에 따르면, 패널 장착형 커넥터는 패널에 대한 부유 이동에 대항하여 래칭되어 제2 커넥터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패널 장착형 커넥터는 패널에 대한 커넥터의 제한된 부유 이동을 허용하도록 결합 후 해제된다.

Claims (17)

  1. 패널 내에 형성되어 축을 한정하는 구멍을 통해 장착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패널 내의 구멍에 장착 가능한 어댑터와,
    어댑터 내로 축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고 어댑터에 대한 제한된 축방향 부유 이동을 갖는 제1 커넥터와,
    소정 결합력으로 제1 커넥터와 축방향으로 결합 가능한 제2 커넥터와,
    제1 커넥터를 축방향 부유 이동에 대항하여 래칭하고 제2 커넥터가 상기 소정 결합력으로 제1 커넥터와 결합되게 하며, 상기 소정 결합력보다 큰 힘에 응답하여 해제되어 제한된 축방향 부유 이동을 허용하는, 제1 커넥터와 어댑터 사이의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래치-해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커넥터들은 커넥터들 사이에서 상기 소정 결합력을 형성하는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수단자 및 암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래치-해제 수단은 제1 커넥터 및 어댑터 상의 상호 결합 멈춤면들을 포함하며, 멈춤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소정 결합력보다 큰 해제력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래치-해제 수단은 제1 커넥터와 어댑터 중 하나 상에 있고 제1 커넥터와 어댑터 중 다른 하나 상의 한 쌍의 대향한 멈춤면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삼각형 멈춤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분리 방향으로 제2 커넥터에 인가되는 분리력보다 작은 리셋 힘에 대응하여 래치-해제 수단이 다시 래칭하게 하는, 제1 커넥터와 어댑터 사이의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리셋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리셋 수단은 제1 커넥터 및 어댑터 상의 상호 결합 멈춤면들을 포함하며, 멈춤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분리력보다 작은 리셋 힘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리셋 수단은 제1 커넥터와 어댑터 중 하나 상에 있고 제1 커넥터와 어댑터 중 다른 하나 상의 한 쌍의 대향한 멈춤면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삼각형 멈춤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8. 패널 내에 형성되어 축을 한정하는 구멍을 통해 장착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패널 내의 구멍에 장착 가능한 어댑터와,
    어댑터 내로 축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고 어댑터에 대한 제한된 축방향 부유 이동을 갖는 제1 커넥터와,
    소정 결합력 및 분리력으로 제1 커넥터와 축방향으로 결합 가능한 제2 커넥터와,
    제1 커넥터를 축방향 부유 이동에 대항하여 래칭하고 제2 커넥터가 상기 소정 결합력으로 제1 커넥터와 결합되게 하며, 상기 소정 결합력보다 큰 힘에 응답하여 해제되어 제한된 축방향 부유 이동을 허용하는, 제1 커넥터와 어댑터 사이의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래치-해제 수단과,
    분리 방향으로 제2 커넥터에 인가되는 분리력보다 작은 리셋 힘에 대응하여 래치-해제 수단이 다시 래칭하게 하는, 제1 커넥터와 어댑터 사이의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리셋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래치-해제 수단은 제1 커넥터와 어댑터 상의 제1 상호 결합 경사 멈춤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리셋 수단은 제1 커넥터와 어댑터 상의 제2 경사 멈춤면들을 포함하며,
    제1 상호 결합 경사 멈춤면들은 상기 소정 결합력보다 큰 해제력을 형성하도록 경사져 있고, 제2 경사 멈춤면들은 상기 소정 분리력보다 작은 리셋 힘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커넥터들은 커넥터들 사이에서 상기 소정 결합력 및 분리력을 형성하는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수단자 및 암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경사 멈춤면들은 제1 커넥터와 어댑터 중 하나 상의 다이아몬드형 멈춤 돌기의 양측에서 대향한 멈춤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1. 섀시 내의 구멍을 통해 장착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섀시 내의 구멍에 장착 가능한 브래킷과,
    브래킷에 장착 가능하고 브래킷에 대한 제한된 부유 이동을 갖는 제1 커넥터와,
    소정 결합력으로 제1 커넥터와 결합 가능한 제2 커넥터와,
    제1 커넥터를 축방향 부유 이동에 대항하여 래칭하고 제2 커넥터가 상기 소정 결합력으로 제1 커넥터와 결합되게 하며, 상기 소정 결합력보다 큰 힘에 응답하여 해제되어 제한된 축방향 부유 이동을 허용하는, 제1 커넥터와 브래킷 사이의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래치-해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커넥터들은 커넥터들 사이에서 상기 소정 결합력을 형성하는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수단자 및 암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래치-해제 수단은 제1 커넥터 및 브래킷 상의 상호 결합 멈춤면들을 포함하며, 멈춤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소정 결합력보다 큰 해제력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래치-해제 수단은 제1 커넥터와 브래킷 중 하나 상에 있고 제1 커넥터와 브래킷 중 다른 하나 상의 한 쌍의 대향한 멈춤면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삼각형 멈춤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5. 제11항에 있어서, 분리 방향으로 제2 커넥터에 인가되는 분리력보다 작은 리셋 힘에 대응하여 래치-해제 수단이 다시 래칭하게 하는, 제1 커넥터와 브래킷 사이의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리셋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리셋 수단은 제1 커넥터 및 브래킷 상의 상호 결합 멈춤면들을 포함하며, 멈춤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분리력보다 작은 리셋 힘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호 보완적인 상호 결합 리셋 수단은 제1 커넥터와 브래킷 중 하나 상에 있고 제1 커넥터와 브래킷 중 다른 하나 상의 한 쌍의 대향한 멈춤면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삼각형 멈춤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000019116A 1999-04-14 2000-04-12 패널 장착형 커넥터 조립체 KR100334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91,341 1999-04-14
US9/291,341 1999-04-14
US09/291,341 US6139346A (en) 1999-04-14 1999-04-14 Panel mounted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7023A KR20000077023A (ko) 2000-12-26
KR100334587B1 true KR100334587B1 (ko) 2002-05-03

Family

ID=2311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116A KR100334587B1 (ko) 1999-04-14 2000-04-12 패널 장착형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39346A (ko)
EP (1) EP1045486B1 (ko)
JP (1) JP3355407B2 (ko)
KR (1) KR100334587B1 (ko)
DE (1) DE6001649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53140A1 (en) * 2000-08-10 2002-02-1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Optical connector adapter
US6358086B1 (en) * 2000-12-22 2002-03-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DE10140243C1 (de) * 2001-08-22 2003-01-30 Yazaki Europe Ltd Kuppelvorrichtung zum Verbinden zweier Steckelemente
KR100408601B1 (ko) * 2001-12-28 2003-12-06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용 3중 보호구조의 커넥터 조립체
KR100408602B1 (ko) * 2001-12-28 2003-12-06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US6793400B2 (en) 2002-01-11 2004-09-21 Fci Americas Technology, Inc. Floating connector clip
US6752632B1 (en) * 2003-03-21 2004-06-22 The Boeing Company Connector interface pad for structurally integrated wiring
JP4236272B2 (ja) * 2006-02-01 2009-03-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651355B2 (en) * 2006-06-30 2010-01-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oating panel mount connection system
JP2008034250A (ja) * 2006-07-28 2008-02-14 Omron Corp コネクタ装置
GB2449905B (en) * 2007-06-07 2012-01-11 Deutsch Uk Connector
US9130298B1 (en) * 2014-02-19 2015-09-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rommet assembly for vehicle body panel
JP6190348B2 (ja) * 2014-11-21 2017-08-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支持構造及びアダプタ
US11552488B2 (en) * 2019-06-07 2023-01-10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Charging system for a mobile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9900A (en) * 1992-02-21 1993-04-06 Amp Incorporated Panel mount electrical connector
US5391086A (en) * 1992-09-11 1995-02-21 The Whitaker Corporation Automotive door-to-body electrical connector
JPH09147982A (ja) * 1995-11-17 1997-06-06 Sumitomo Wiring Syst Ltd ロック構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1446A (en) * 1969-11-12 1972-03-21 Guardian Electric Mfg Co Panel mounting apparatus
JPH0527814Y2 (ko) * 1988-02-09 1993-07-15
US4812133A (en) * 1988-06-30 1989-03-14 Amp Incorporated Floating mounting means for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002497A (en) * 1990-01-26 1991-03-26 Molex Incorporated Floatable panel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514000A (en) * 1994-07-22 1996-05-07 Molex Incorporated Polarizing and/or floating panel mount for electrical connectors
US5575673A (en) * 1994-07-22 1996-11-19 Molex Incorporated Polarizing and/or floating panel mount for electrical connectors
US5931688A (en) * 1996-09-16 1999-08-03 The Whitaker Company Self docketing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9900A (en) * 1992-02-21 1993-04-06 Amp Incorporated Panel mount electrical connector
US5391086A (en) * 1992-09-11 1995-02-21 The Whitaker Corporation Automotive door-to-body electrical connector
JPH09147982A (ja) * 1995-11-17 1997-06-06 Sumitomo Wiring Syst Ltd ロック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16496T2 (de) 2005-11-03
JP2000348829A (ja) 2000-12-15
DE60016496D1 (de) 2005-01-13
EP1045486A3 (en) 2003-03-26
EP1045486B1 (en) 2004-12-08
US6139346A (en) 2000-10-31
KR20000077023A (ko) 2000-12-26
JP3355407B2 (ja) 2002-12-09
EP1045486A2 (en) 2000-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43570B1 (en) Floating panel mounted connector assembly
JP3364838B2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装置
CA1216450A (en) Connector with mechanism for coupling and uncoupling plurality of blocks
KR100334587B1 (ko) 패널 장착형 커넥터 조립체
US5902155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0191747B1 (ko) 낮은 형상의 표면 장착식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846975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horting bar operation device
US5829910A (en) Movable connecting construction
EP0977322B1 (en) Connector module
EP1049216B1 (en) Panel mounted connector
EP0797274B1 (en) Connector connecting structure
EP0901197B1 (en) Self-aligning connector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s
EP0901189B1 (en) Mounting system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212033278U (zh) 连接器
EP0901199B1 (en) Holding assembly for mounting electrical connectors
JPH1083860A (ja) コネクタ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