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661B1 -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661B1
KR100842661B1 KR1020060135766A KR20060135766A KR100842661B1 KR 100842661 B1 KR100842661 B1 KR 100842661B1 KR 1020060135766 A KR1020060135766 A KR 1020060135766A KR 20060135766 A KR20060135766 A KR 20060135766A KR 100842661 B1 KR100842661 B1 KR 100842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pacer
teos
semiconductor substrate
silicon nit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하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5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661B1/ko
Priority to US11/930,624 priority patent/US785129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026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 H01L21/28123Lithography-related aspects, e.g. sub-lithography lengths; Isolation-related aspects, e.g. to solve problems arising at the crossing with the side of the device isolation; Planarisation aspects
    • H01L21/28141Lithography-related aspects, e.g. sub-lithography lengths; Isolation-related aspects, e.g. to solve problems arising at the crossing with the side of the device isolation; Planarisation aspects insulating part of the electrode is defined by a sidewall spacer, e.g. dummy spacer, or a similar technique, e.g. oxidation under mask, p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158Making the insulator
    • H01L21/28167Making the insulator on single crystalline silicon, e.g. using a liquid, i.e. chemical oxidation
    • H01L21/28202Making the insulator on single crystalline silicon, e.g. using a liquid, i.e. chemical oxidation in a nitrogen-containing ambient, e.g. nitride deposition, growth, oxynitridation, NH3 nitridation, N2O oxidation, thermal nitridation, RTN, plasma nitridation, RP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4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conductor-insulator-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9/00Erasable-and-programmable ROM [EPROM]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10B41/00 - H10B63/00, e.g. ultraviolet erasable-and-programmable ROM [UVEPRO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브리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게이트 영역과, 상기 게이트 영역의 측면에 배치된 스페이서와,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스페이서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 보호막과, 상기 스페이서의 양측면의 상기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포함한다.
플래시 메모리 소자, 스페이서 보호막, TEOS막, 브리지 불량, 플래시 메모리

Description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셀 어레이의 레이아웃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셀 어레이에서 I-I'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반도체 기판 53: 소자분리막
55: 게이트산화막 56: 플로팅게이트
57: ONO막 58: 제어게이트
61: 스페이서 보호막 63a: 제1 TEOS막
63b: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 63c: 제2 TEOS막
63: 스페이서 65: 소오스/드레인 영역
67: 실리사이드막 69: 층간절연막
71: 콘택 플러그 73: 제1 셀 소자
75: 제2 셀 소자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리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정보를 쓰기, 소거 및 읽기를 할 수 있는 일종의 PROM(Programmable ROM)이다.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셀 어레이 체계에 따라, 비트 라인과 접지 사이에 셀이 병렬로 배치된 NOR형 구조와, 직렬로 배치된 NAND형 구조로 나눌 수 있다.
NOR형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읽기 동작을 수행할 때 고속 랜덤 액세스가 가능하므로 보통 휴대폰 부팅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NAND형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읽기 속도는 느리지만 쓰기 속도가 빨라 보통 데이터 저장용에 적합하고 또한 소형화에 유리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단위 셀의 구조에 따라, 스택 게이트형과 스플릿트 게이트형으로 나뉠 수 있으며, 전하 저장층의 형태에 따라 플로팅 게이트 소자 및 SONOS(Silicon-Oxide-Nitride-Oxide-Silicon) 소자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플로팅 게이트 소자는 통상 그 주위가 절연체로 둘러 싸여진 다결정 실리콘으 로 형성된 플로팅 게이트를 포함하고, 이 플로팅 게이트에 채널 핫 캐리어 주입(Channel Hot Carrier Injection) 또는 F-N 터널링(Fowler-Nordheim Tunneling)에 의해 전하가 주입 또는 방출됨으로써 데이터의 저장 및 소거가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셀 어레이의 레이아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워드 라인(word line, 1)이 배치되고, 워드 라인(1)과 교차하여 비트 라인(bit line, 3)이 배치된다. 워드 라인(1)과 비트 라인(3)이 교차하는 지점에 셀 소자가 배치된다. 인접하는 제1 및 제2 셀 소자 사이에 워드 라인(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택 플러그(5)가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셀 소자는 하나의 콘택 플러그(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워드 라인(1)에 의해 해당 셀 소자가 선택되고, 비트 라인(3)으로 공급된 데이터 신호가 콘택 플러그(5)를 통해 상기 선택된 셀 소자에 저장되거나 상기 선택된 셀 소자에 저장된 데이터 신호가 콘택 플러그(5)를 통해 비트 라인(3)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셀 소자에 의해 단위 셀이 정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셀 어레이에서 I-I'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셀 소자(26, 28)에 의해 단위 셀이 정의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1) 상에 셀 소자를 구획하기 위해 소자분리막(STI, 13)이 형성 되어 있다.
상기 소자분리막(13) 사이에 제1 및 제2 셀 소자(26, 28)가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 기판(11) 상에 게이트산화막(15), 플로팅게이트(16), ONO(oxide/nitride/oxide)막(17) 및 제어게이트(18)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영역을 분리 및 보호하기 위해 게이트산화막(15), 플로팅게이트(16), ONO막(17) 및 제어게이트(18)의 측면에 스페이서(21)가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21)는 제1 TEOS(tetraethyl orthosilicate)막(21a), 실리콘나이트라이드(SiN)막(21b) 및 제2 TEOS막(21c)을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21)의 양측의 반도체 기판(11) 상에 소오스/드레인 영역(2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게이트산화막(15), 플로팅게이트(16), ONO막(17), 제어게이트(18) 및 스페이서(21)를 포함하는 게이트 영역과 소오스/드레인 영역(23)에 의해 제1 및 제2 셀 소자(26, 28)가 형성된다.
외부의 배선과의 전기적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어게이트(18)와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23)에 실리사이드막(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어게이트(18)와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23)은 세정 공정에 의해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세정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스페이서(21)의 제1 및 제2 TEOS막(21a, 21c)이 세정 용액에 반응하게 되어 일부 제거되게 된다.
특히, 상기 스페이서(21)의 제1 TEOS막(21a)의 하부 끝단이 제거되는 언더 컷(undercut)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언더컷 현상이 깊게 발생되는 경우, 인접하는 셀 소자의 스페이서의 제1 TEOS막의 언더컷 부분과 연결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경우,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도전성 물질이 언더컷 부분을 통해 스며들게 된다. 결국 언더컷을 통해 스며든 도전성 물질을 통해 인접하는 콘택 플러그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되어, 셀 소자 간 브리지 불량에 의한 비트 페일(fail)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스페이서의 측면에 실리콘 산화막을 형성하여, 셀 소자 간 브리지 불량에 의한 비트 페일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게이트 영역; 상기 게이트 영역의 측면에 배치된 스페이서;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스페이서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 보호막; 및 상기 스페이서의 양측면의 상기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게이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 상의 상기 게이트 영역의 측면에 제1 TEOS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TEOS막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과 제2 TEOS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 제2 TEOS막 및 스페이서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기판에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51) 상에 단위 셀 소자를 구획하기 위해 소자분리막(53)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단위 셀 소자는 제1 및 제2 셀 소자(73, 7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셀 소자(73, 75) 사이에는 상기 소자분리막(53)이 형성되지 않는다. 인접하는 소자분리막(53)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셀 소자(73, 7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기판(51) 상의 제1 셀 영역과 제2 셀 영역에 각각 게이트산화막(55), 플로팅게이트(56), ONO막(57) 및 제어게이트(5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셀 영역은 상기 제1 셀 소자(73)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이고, 상기 제2 셀 영역은 상기 제2 셀 소자(75)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이다.
상기 게이트산화막(55), 플로팅게이트(56), ONO막(57) 및 제어게이트(58)의 측면의 상기 반도체 기판(51) 상에 스페이서 보호막(61)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산화막(55), 플로팅게이트(56), ONO막(57) 및 제어게이트(58)의 측면과 상기 스페이서(63) 보호막(61) 위에 제1 TEOS막(63a), 실리콘나이트라이드(SiN)막(63b) 및 제2 TEOS막(63c)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서(6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63)는 게이트 영역을 분리 및 보호하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게이트 영역은 게이트산화막(55), 플로팅게이트(56), ONO막(57) 및 제어게이트(58)가 형성된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 스페이서(63)는 제1 TEOS막(63a),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63b) 및 제2 TEOS막(63c)의 3층 구조로 이루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스페이서(63)는 TEOS막(63a)과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63b)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 TEOS막(63a)은 상기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63b)과 상기 스페이서 보호막(61)에 의해 둘러싸여지도록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이 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스페이서 보호막(61) 위에 상기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63b)이 직접 접촉 형성되게 되어, 상기 제1 TEOS막(63a)은 상기 스페이서 보호막(61)과 상기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63b)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스페이서 보호막(61)은 10Å 내지 20Å의 두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3)의 양측의 상기 반도체 기판(51) 상에 소오스/드레인 영역(6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65)은 도전성을 갖는 영역이다.
상기 제어게이트(58) 및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65)에 실리사이드막(67)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리사이드막(67)은 게이트 영역과 소오스/드레인 영역(65)과 이후에 형성될 배선과의 전기적 접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산화막(55), 플로팅게이트(56), ONO막(57), 제어게이트(58) 및 스페이서(63)를 포함하는 게이트 영역과 소오스/드레인 영역(65)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셀 소자(73, 75)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셀 소자(73, 75)를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51) 상에 BPSG(boron phosphor silicate glass)나 USG(undoped silicate glass)와 같은 절연 물질을 이용하여 층간절연막(69)이 형성된다.
상기 층간절연막(69)은 상기 제1 및 제 셀 소자(73, 75) 사이의 반도체 기판(51) 상에 형성된 드레인 영역 상의 상기 실리사이드막(67)이 노출되도록 비아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비아홀 내에 상기 드레인 영역 상의 상기 실리사이드막(67)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택 플러그(71)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스페이서(63)의 제1 TEOS막(63a)이 상기 스페이서 보호막(61)과 상기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63b)에 의해 둘러싸여져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실리사이드막(67)을 형성할 때 수반되는 세정 공정시 세정 용액에 상기 스페이서(63)의 제1 TEOS막(63a)이 접촉되지 않게 되어 상기 제1 TEOS막(63a)이 제거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TEOS막(63a)에 언더컷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셀 소자 간 브리지 불량에 의한 비트 페일(fail)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 조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51) 상에 실리콘산화막이나 BPSG막을 이용하여 소자분리막(53)을 형성한다. 상기 소자분리막(53)은 단위 셀 소자를 구획하기 위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단위 셀 소자는 제1 및 제2 셀 소자(73, 7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셀 소자(73, 75) 사이에는 상기 소자분리막(53)이 형성되지 않는다. 인접하는 소자분리막(53)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셀 소자(73, 7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기판(51) 상에 게이트산화막(55), 제1 폴리실리콘막, ONO(oxide/nitride/oxide)막 및 제2 폴리실리콘막과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산화막(55), 제1 폴리실리콘막, ONO막(57) 및 제2 폴리실리콘막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제1 셀 영역과 제2 셀 영역에 각각 상기 게이트산화막(55), 플로팅게이트(56), ONO막(57) 및 제어게이트(58)를 형성한다. 상기 제1 셀 영역은 상기 제1 셀 소자(73)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이고, 상기 제2 셀 영역은 상기 제2 셀 소자(75)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이다.
이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51) 상에 제1 TEOS막(63a)을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상기 게이트산화막(55), 제1 폴리실리콘막, ONO막(57) 및 제2 폴리실리콘막의 측면에 제1 TEOS막(63a)을 형성한다.
상기 제1 TEOS막(63a)은 반응성 이온 식각(RIE: reactive ion etching)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도체 기판(51)을 열산화시켜 상기 반도체 기판(51)의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한다. 상기 열산화 공정은 급속 열처리(RTP: rapid thermal processing) 공정으로서, 800℃ 내지 900℃의 온도 범위로 10Å 내지 20Å의 두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도체 기판(51) 상에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63b) 및 제2 TEOS막(63c)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이어서,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63b), 상기 제2 TEOS막(63c) 및 상기 산화막을 패터닝하여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63b), 제2 TEOS막(63c) 및 스페이서 보호막(61)을 형성한다. 상기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63b)과 상기 제2 TEOS막(63c)은 상기 제1 TEOS막(63a)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 보호막(61)은 상기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63b)과 상기 반도체 기판(5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 보호막(61)은 상기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63b)과 동일 사이즈로 동시에 패터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TEOS막(63a)은 상기 스페이서 보호막(61)과 상기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63b)에 의해 둘러싸여지게 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제1 TEOS막(63a),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63b) 및 제2 TEOS막(63c)에 의해 스페이서(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3)는 게이트 영역을 분리 및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게이트산화막(55), 플로팅게이트(56), ONO막(57) 및 제어게이트(58)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63) 및 상기 제어게이트(58)를 마스크로 하여 이온 주입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스페이서(63)의 양측의 상기 반도체 기판(51) 상에 소오스/드레인 영역(65)을 형성한다.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65)은 이온 주입 공정에 의해 이온이 주입되어 도전성을 갖는 영역이다.
상기 반도체 기판(51)을 세정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게이트(58) 및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65)을 세정한다.
이때, 상기 세정 공정에 사용된 세정 용액이 상기 스페이서(63)의 제1 TEOS막(63a)과 접촉되지 않게 됨에 따라 상기 제1 TEOS막(63a)에 언더컷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세정 공정을 완료한 후 상기 반도체 기판(51)의 전 영역에 코발트와 같은 도전성 물질을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상기 제어게이트(58) 및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65)에 실리사이드막(67)을 형성한다. 상기 실리사이드막(67)은 게이트 영역과 소오스/드레인 영역(65)과 이후에 형성될 배선과의 전기적 접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산화막(55), 플로팅게이트(56), ONO막(57), 제어게이트(58) 및 스페이서(63)를 포함하는 게이트 영역과 소오스/드레인 영역(65)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셀 소자(73, 75)가 형성된다.
도 4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셀 소자(73, 75)를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51) 상에 BPSG(boron phosphor silicate glass)나 USG(undoped silicate glass)와 같은 절연 물질을 이용하여 층간절연막(69)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1 및 제 셀 소자(73, 75) 사이의 반도체 기판(51) 상에 형성된 드레인 영역 상에 실리사이드막(67)이 노출되도록 상기 층간절연막(69)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비아홀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비아홀 내에 텅스텐과 같은 도전성 물질을 형성하여 콘택 플러그(71)를 형성한다.
후 공정에 의해 상기 콘택 플러그(71) 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스페이서(63)는 제1 TOES막(63a),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63b) 및 제2 TEOS막(63c)의 3층 구조로 이루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스페이서(63)는 TEOS막과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세정 용액에 반응하지 않도록 TEOS막을 스페이서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TEOS막의 언더컷 생성을 차단하여 셀 소자 간 브리지 불량에 의한 비트 페일(fail)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2)

  1.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게이트 영역;
    상기 게이트 영역의 측면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TEOS막,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 및 제2 TEOS막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스페이서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 보호막; 및
    상기 스페이서의 양측면의 상기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TEOS막은 상기 게이트 영역, 상기 스페이서 보호막 및 상기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에 의해 둘러싸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보호막 위에 상기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이 직접 접촉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영역과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에 형성된 실리사이드막;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층간절연막; 및
    상기 층간절연막을 통해 상기 드레인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택 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영역은 게이트산화막, 플로팅게이트, ONO막 및 제어게이트가 적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6. 반도체 기판 상에 게이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 상의 상기 게이트 영역의 측면에 제1 TEOS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TEOS막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과 제2 TEOS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 제2 TEOS막 및 스페이서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기판에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TEOS막, 상기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 및 상기 제2 TEOS막에 의해 스페이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과 상기 제2 TEOS막은 상기 제1 TEOS막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보호막은 상기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과 상기 반도체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은 급속 열처리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TEOS막은 반응성 이온 식각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TEOS막은 상기 실리콘나이트라이드막과 상기 스페이서 보호막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60135766A 2006-12-27 2006-12-27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42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766A KR100842661B1 (ko) 2006-12-27 2006-12-27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930,624 US7851295B2 (en) 2006-12-27 2007-10-31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766A KR100842661B1 (ko) 2006-12-27 2006-12-27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2661B1 true KR100842661B1 (ko) 2008-06-30

Family

ID=3958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766A KR100842661B1 (ko) 2006-12-27 2006-12-27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51295B2 (ko)
KR (1) KR1008426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518B1 (ko) * 2008-07-15 2011-02-24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US9349785B2 (en) 2013-11-27 2016-05-2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Formation of semiconductor device with resistors
US9691883B2 (en) * 2014-06-19 2017-06-2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Asymmetric formation approach for a floating gate of a split gate flash memory structure
GB2591472B (en) 2020-01-28 2022-02-09 X Fab France Sas Method of forming asymmetric differential spacers for optimized MOSFET performance and optimized mosfet and SONOS co-integr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5214B1 (ko) * 1996-05-22 1999-06-15 윤종용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55548A (ko) * 2006-03-23 2006-05-2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반도체 장치와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747B1 (en) 1992-06-17 1996-02-05 Korea Advanced Inst Sci & Tech Lipid hydrolysis in organic-aqueous two-phase system by whole
CN100461449C (zh) * 2003-10-23 2009-02-11 富士通微电子株式会社 半导体装置和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5214B1 (ko) * 1996-05-22 1999-06-15 윤종용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55548A (ko) * 2006-03-23 2006-05-2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반도체 장치와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51295B2 (en) 2010-12-14
US20080157165A1 (en)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720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00187593A1 (en) Nand flash memo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50287793A1 (en) Diffusion barrier process for routing polysilicon contacts to a metallization layer
US20070034929A1 (en)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90046155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CN100499081C (zh) Nor型闪存单元阵列的制造方法
JP4405489B2 (ja)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
KR100842661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788395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KR100806787B1 (ko) 플래쉬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20060192241A1 (en) Non-volatile memo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0021496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04689B1 (ko) 낸드형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7157333B1 (en) Non-volatile memor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20140086640A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89610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649308B1 (ko) 자기 정렬 플로팅 게이트 어레이 형성 방법 및 자기 정렬플로팅 게이트 어레이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KR101099958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JP2006332098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196502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71553B1 (ko) 전하트랩층을 갖는 매몰형 불휘발성 메모리소자 및 그제조방법
KR101093147B1 (ko)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패턴 및 그 형성방법
KR100884979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US20140070297A1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2022128592A (ja) 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