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361B1 -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361B1
KR100842361B1 KR1020060042972A KR20060042972A KR100842361B1 KR 100842361 B1 KR100842361 B1 KR 100842361B1 KR 1020060042972 A KR1020060042972 A KR 1020060042972A KR 20060042972 A KR20060042972 A KR 20060042972A KR 100842361 B1 KR100842361 B1 KR 100842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gear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devic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9661A (ko
Inventor
백창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티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티엔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티엔비
Priority to KR1020060042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361B1/ko
Priority to PCT/KR2007/002254 priority patent/WO2007132999A1/en
Publication of KR20070109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0Constructively simple tooth shapes, e.g. shaped as pins, as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7/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rotary shaft, e.g. cardan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차축 기어를 구성하는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無)체인(chainless) 동력전달, 특히 자전거를 위한 동력전달을 구현함에 있어 치차, 특히 스프라켓(sprocket)과, 상기 스프라켓의 이홈과 맞물리고 회전축선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방사상으로 배열된 롤러타입의 회동치(回動齒)들을 갖는 중개부재로 교차축 기어를 구성하여 구름마찰이 가능하도록 하여 마찰계수를 줄임으로써 동력의 손실을 방지하면서도 동작 신뢰성이 보장되고 제조가 용이하며, 특히 정밀하게 치수를 고려하여 제조하지 않아도 크고 작은 편차를 보이는 다양한 생산회사의 자전거에 모두 적용할 수 있어 생산성과 상품성, 단가경쟁력이 매우 뛰어난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는 제1회동축, 상기 제1회동축상에 구비되어 있는 원반체, 상기 원반체의 둘레에 방사상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이빨, 그리고 상기 이빨과 이빨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이홈을 포함하는 제1치차; 및 회전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베이스, 회전축선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에 상호 이격된 형태로 돌설되어 동심원을 이루는 두 회전체, 그리고 상기 두 회전체 사이에 각각 축핀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치차의 이홈과 직교하는 형태로 맞물리며, 중공원통형상인 다수의 회동치(回動齒)를 포함하는 중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치차와 상기 중개부재가 교차축 기어를 형성한다.
동력전달, 자전거, 무체인, 치차, 중개부재, 이홈, 회동치(回動齒), 롤러기어뭉치, 직각

Description

동력전달장치{POWER TRANSMISSION APPARATUS}
도 1은 종래 특허등록 제0414889호 공보의 도 1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결합사시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에서 롤러기어뭉치를 확대한 부분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동력전달장치 B1,B2: 롤러기어뭉치
10,30: 치차 11,31: 회동축
13,33: 원반체 15.35: 이빨
17,37: 이홈 20: 중개부재
21: 외피 23: 회동봉
25A,25B,27A,27B: 회전체 29: 회동치
본 발명은 교차축 기어를 구성하는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無)체인(chainless) 동력전달, 특히 자전거를 위한 동력전달을 구현함에 있어
치차, 특히 스프라켓(sprocket)과, 상기 스프라켓의 이홈과 맞물리고 회전축선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방사상으로 배열된 롤러타입의 회동치(回動齒)들을 갖는 중개부재로 교차축 기어를 구성하여
구름마찰이 가능하도록 하여 마찰계수를 줄임으로써 동력의 손실을 방지하면서도 동작 신뢰성이 보장되고 제조가 용이하며,
특히 정밀하게 치수를 고려하여 제조하지 않아도 크고 작은 편차를 보이는 다양한 생산회사의 자전거에 모두 적용할 수 있어 생산성과 상품성, 단가경쟁력이 매우 뛰어난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체인 자전거를 구현하기 위한 노력은 특허공개 제1995-0029129호(1995.11.22) 『베벨기어 구동 샤푸드 동력 전달방식의 자전거』 이후로,
특허등록 제0217891호(1999.06.07) 『자동 변속장치의 무체인 자전거』를 거쳐,
특허등록 제0414889호(2003.12.29) 『무체인 동력전달용 기어부재』,
특허등록 제0491743호(2005.05.18) 『자전거의 동력 전달장치』,
특허등록 제0527093호(2005.11.01) 『무체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용 스프 라켓기어의 곡선치형 형성장치』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무체인 자전거를 위한 동력전달장치의 발전방향은 페달과 연결된 크랭크를 통하여 가해지는 힘을 후륜쪽으로 얼마나 신뢰성 있게 전달하느냐와
체인타입 동력전달장치에 상응하게 저렴한 제조단가를 어떻게 보장하느냐,
그리고 체인타입 동력전달장치에서 상용화된 변속기어를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에 있었다.
특히 상기 특허등록 제0414889호의 기술내용을 살펴보면,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중공관(8)을 형성한 원판부(10)의 가장자리 둘레상에 외측으로 일정 기울기를 갖게 다수 형성한 기어치(12)와 이 기어치(12) 사이를 일정 곡률로 하는 치홈(14)을 형성하여 구성된 크라운기어(4)와,
상기 크라운기어(4)의 기어치(12)와 수직으로 맞물리게 축선에 대해 일정 기울기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롤러치(16)와, 이 롤러치(16)의 축핀(18) 상,하단을 조립 고정하면서 중심의 축관(20)으로부터 일정 기울기인 상,하단 원판부(24)(28)로 형성되는 다단원판부(22)로 구성된 롤러기어(6)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용 기어부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크라운기어(4)의 치홈(14)과 상기 롤러기어(6)의 롤러치(16)는 접촉면적이 크므로 마찰계수로 인한 동력 소모가 여전하고 크고 날카로운 소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남아 있다.
특히 상기 크라운기어(4)의 기어치(12)가 상기 원판부(10)에서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가공하여야 하므로 기어의 강도와 내마모성을 보장하면서 절삭가공하는데 따른 비용부담이 크다는 문제점을 가지며,
또 상기 롤러치(16)가 절두(切頭)형 원통형상이므로 역시 원가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롤러기어의 다단원판부(22)를 제조함에 있어 단조가공을 하여야 필요한 강도와 내마모성을 얻을 수 있는데,
(상하 원판부(24)(26)를 따로 제조하여 결합할 경우에는 사용과정에서 충격과 부하가 가해짐에 따라 결합부위의 파손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단조가공 방식으로는 90% 이상 완벽하게 다단원판부의 모양을 가공할 수 없고, 이후 절삭가공을 통하여 제품을 완성하여야 하므로 생산성과 단가경쟁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이에 덧붙여 현재 생산되는 자전거에서 페달이 구비된 크랭크축에서 후륜 회동축과의 거리는 규격화 되어 있지만, 그럼에도 제조회사에 따라 작게는 수mm에서 크게는 수cm까지 편차를 보이므로,
무체인 자전거 구현을 위한 동력전달장치를 위하여 별도로 자전거 프레임을 생산하기 보다는
기존 체인 구동 자전거에 무체인 동력전달장치를 장착하도록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 판매하여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후발 무체인 동력전달장치 생산 판매 업체 입장에서는
기존 자전거 제조회사 마다의 프레임 치수 편차에 따라 각각 별개의 무체인 동력전달장치를 생산하는 것은 비용소요가 크므로 부적절하고
수mm ~ 수cm에 이르는 프레임 치수 편차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단일 무체인 동력전달장치를 개발하여야 한다는 것은 절체절명의 과제일 수밖에 없다.
결국 이러한 등록특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 제조에서 발생되는 비용상승 문제는 압도적으로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체인기어와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가능하다면 더 저렴한 공급가격을 보장하여야 하는 후발 무체인 자전거 제조업자의 상황을 고려하면 가장 심각하고 최우선적으로 해결하여야 할 문제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무체인 자전거를 위하여 제시된 동력전달장치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연속선상에서 제안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교차축 기어를 이루는 치차와 중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중개부재의 회동치(回動齒)가 고정되어 롤러기어뭉치(bundle)를 이루는, 회전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배열된 베이스에 동심원을 이루는 두 회전체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롤러기어뭉치를 단조가공에 의하여 95% 이상의 완성도로 생산할 수 있으며,
회전축선상에 직교하는 상기 롤러기어뭉치의 베이스에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열된 상기 회동치와 통상적으로 자전거의 크랭크축에 연결된 제1치차와 후륜축에 구비된 제2치차가 직교하는 형태로 맞물리면서도
상기 회동치와 상기 치차, 특히 제2치차의 맞물림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제조회사에 따라 수mm ~ 수cm에 이르는 기존 자전거 프레임 치수 편차, 특히 크랭크축에서 후륜축 사이의 거리 편차를 모두 커버할 수 있어
자전거 규격 기준별로 각각 단일한 무체인 동력전달장치를 생산하면 되므로 적용범위가 넓고 생산성과 단가경쟁력이 뛰어난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중개부재의 회동치를 원통형상으로 하여 제조비용 절감에 기여하도록 하고,
상기 치차의 이홈과 맞물리는 상기 회동치가 고정된 상기 롤러기어뭉치의 외곽 회전체에는 축핀과 축핀 사이에 형성된 간섭방지홈들을 형성하고, 상기 간섭방지홈 사이에 형성된 돌기에서 상기 회동치와 중첩되는 단면적은 상기 회동치의 단 면적 이하이고 상기 축핀의 단면적 보다 크게 하여
기존 자전거 프레임 치수 편차를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치와 상기 치차의 맞물림 위치를 조절할 때
상기 치차의 이빨이 상기 중개부재의 외곽 회전체에 근접하여도 접촉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중개부재의 회동치 양단이 중공을 향하여 차츰 단면적이 축소되는 형태로 경사부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외곽 및 내측 회전체와 상기 회동치 사이의 접촉면적을 가능한 줄여 마찰계수를 낮춤으로써 동력 손실을 없애고 소음 발생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치차를 공지의 스프라켓(sprocket) 형상으로 구성하되,
상기 중개부재 롤러기어뭉치의 베이스 상에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방사상 형태로 배열된 회동치와 상기 치차의 이홈이 맞물릴 경우
기존 자전거 프레임 치수 편차를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치와 상기 치차의 맞물림 위치를 조절하여도
상기 치차의 이빨 측면 전체와 상기 롤러기어뭉치의 회동치가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소음발생을 줄이고 동력전달의 원활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치차의 이홈의 형상이 상기 원반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형태로 경 사지게 가공한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는 제1회동축, 상기 제1회동축상에 구비되어 있는 원반체, 상기 원반체의 둘레에 방사상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이빨, 그리고 상기 이빨과 이빨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이홈을 포함하는 제1치차; 및 회전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베이스, 회전축선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에 상호 이격된 형태로 돌설되어 동심원을 이루는 두 회전체, 그리고 상기 두 회전체 사이에 각각 축핀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치차의 이홈과 직교하는 형태로 맞물리며, 중공원통형상인 다수의 회동치(回動齒)를 포함하는 중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치차와 상기 중개부재가 교차축 기어를 형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특허등록 제0414889호와 관련된 도 1과 본 발명과 관련된 도 2 내지 도 4에서 참조부호는 상호 무관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P)는 무(無)체인 자전거를 위한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겠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에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P)는 제1 및 제2 치차(10)(30)와 두 치차가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 중개부재(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치차(10)는 제1회동축(11)과, 상기 제1회동축상에 구비된 원반체(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반체의 둘레에는 방사상 방향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이빨(15)이 이홈(17)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당업자에 의하여 치차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나 스프라켓(sprocket) 종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치차의 구성은 제2치차(3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여서 역시 제2회동축(31)상에 이빨(35)과 이홈(37)을 갖는 원반체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각 치차(10)(30)의 이홈(17)(37)과 맞물리는 롤러타입의 다수의 회동치(回動齒)(29)를 포함하는 상기 중개부재(20)는 외피(21)와 베어링(21a)을 사이에 두고 상기 외피 내부에 구비된 회동봉(23)을 가지며,
회전축선을 형성하는 상기 회동봉(23)의 양단에는 회전축선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형태로 연결된 베이스(25)(27)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 베이스(25)(27)에는 회전축선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형태로 돌설되어 동심원을 이루는 두 회전체 쌍(25A,25B)(27A,27B)이 상기 외피(21) 외부에 노출 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각 쌍의 두 회전체 사이에는 중공(29a)에 삽입된 축핀(29A)을 통하여 방사상 형태로 배열 고정된 원통형상의 회동치(29)가 배열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25)(27), 상기 두 회전체 쌍(25A,25B)(27A,27B), 그리고 상기 회동치(29)는 각각 두 롤러기어뭉치(B1)(B2)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핵심은 상기 치차(10)(30)와 상기 중개부재(20)가 각각 교차축 기어를 이루도록 함에 있어,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허등록 제0414889호의 동력전달장치와 달리 상기 롤러기어뭉치(B1)(B2)를 단조가공에 의하여 95% 이상의 완성도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롤러기어뭉치의 각 베이스(25)(27) 각각에 회전축선 방향으로 두 회전체 쌍(25A,25B)(27A,27B)을 형성(상기 회전체 쌍의 형성방향이 회전축선 방향과 일치하여 평행한 것이 필수적인 요소는 아님)하여,
단조를 위한 헤머의 진입이 가능하여 단조가공만으로도 완성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어 후가공(절삭)에 소요되는 노력,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제조회사에 따라 수mm ~ 수cm에 이르는 기존 자전거 프레임 치수 편차, 특히 크랭크축에서 후륜축 사이의 거리 편차를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축선에 대하여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열된 상기 회동치(29)와 통상적으로 자전거의 크랭크축에 연결된 제1치차(10)와 후륜축에 구비된 제2치차(30)가 직교하는 형태로 맞물리면서도
상기 회동치(29)와 상기 치차가 맞물리는 위치, 특히 제2치차(30)와의 맞물림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자전거 규격 기준별로 각각 단일한 무체인 동력전달장치를 생산하면 모든 제조회사의 자전거 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어 적용범위가 넓고 생산성과 단가경쟁력이 뛰어난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 중개부재(20)에서 롤러기어뭉치(B1)(B2)를 이루는 회동치(29)는 원통 형상이므로 도 1에 도시된 특허등록 제0414889호에서와 같이 롤러치(16)가 절두(切頭)형 원통형상인 경우에 비하여 회동치(29) 자체의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한데,
기존 자전거 프레임 치수 편차를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치와 상기 치차의 맞물림 위치를 조절할 때
상기 중개부재(20)의 회동치(29)들과 맞물리는 제1치차(10) 및 제2치차(20)의 이빨(15)(35) 사이의 이홈(17)(37)이 상기 중개부재(20)의 외곽 회전체(25A)(27A)에 근접하여도 접촉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4에서와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치차의 이홈(17)(37)과 맞물리는 상기 회동치(29)가 고정된 상기 롤러기어뭉치(B1)(B2)의 외곽 회전체(25A)(27A)에는 축핀(29A)과 축핀 사이에 형성된 간섭방지홈(27a)들을 형성하고,
상기 간섭방지홈 사이에 형성된 돌기(27b)에서 상기 회동치(29)와 중첩되는 단면적은 상기 회동치의 단면적 이하이고 상기 축핀의 단면적 보다 크게 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P)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개부재(20)의 회동치(29) 양단이 중공을 향하여 차츰 단면적이 축소되는 형태로 경사부(29b)를 이루도록 하여
곡면을 이루는 상기 외곽 회전체(25A)(27A)의 내면과 및 내측 회전체(25B)(27B)의 내면과
평면을 이루는 상기 회동치(29)의 단부면 사이의 접촉면적을 가능한 줄여 마찰계수를 낮춤으로써 동력 손실을 없애고 소음 발생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P)가 갖는 제1특징은 동일규격(예: 후륜 반경이 16인치)에 속하지만 수mm ~ 수cm에 이르는 치수 편차를 갖는 기존 자전거 프레임에서,
16인치 후륜규격을 위한 단일 치수를 갖는 동력전달장치를 생산하여도 모든 16인치 후륜을 위한 기존 자전거 프레임에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를 범용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구조인데,
이때 상기 중개부재 롤러기어뭉치(B1)(B2)의 베이스(25)(27) 상에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방사상(放射狀) 형태로 배열된 회동치(29)와 상기 치차(10)(30)의 이홈(17)(37)이 맞물릴 경우 기존 자전거 프레임 치수 편차를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치와 상기 치차의 맞물림 위치를 조절할 경우를 위하여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치차(10)(30)는 공지의 스프라켓(sprocket)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상기 치차(10)(30)의 이홈(17)(37)에 상기 회동치(29)가 삽입되는 정도가 깊거나(내측 회전체(25B)(27B) 쪽으로 상기 치차가 근접할수록) 또는 얕게(외측 회전체(25A)(27A) 쪽으로 상기 치차가 근접할수록) 변동되는데
이때 상기 치차의 이빨(15)(35)이 가능한 측면 전체에 걸쳐 상기 롤러기어뭉치의 회동치(29)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소음발생과 동력절달의 원활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치차(10)(30)의 이홈의 형상이 상기 원반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형태로 경사지게,
즉 상기 중개부재(20)의 내측 회전체(25B)(27B)를 향한 이홈 부분쪽으로 갈수록 면적이 넓고 외측 회전체(25A)(27A)를 향한 이홈 부분쪽으로 갈수록 이홈 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무체인 자전거를 위한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인 경우를 고려하여 제1치차(10), 중개부재(20), 그리고 제2치차(30)의 상호 연결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P)는 다른 물품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 제1항의 기재와 같이 제1치 차(10)와 두 롤러기어뭉치(B1)(B2) 중 어느 하나만으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장치를 다양하게 응용하고 변형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중개부재(20)의 롤러기어뭉치(B1) 우측에 제1치차(10)의 원반체(13)를 배열하고, 상기 중개부재(20)의 롤러기어뭉치(B2)의 좌측에 제2치차(30)의 원반체(33)를 배열하며, 이에 맞게 이홈(17)(37)과 회동치(29)를 형성하는 것 외에도,
두 치차가 모두가 좌측 또는 우측에 배열되고 두 롤러기어뭉치가 우측 또는 좌측에 배열되도록 하거나,
도시된 바와는 반대로 두 롤러기어뭉치를 중심으로 제1치차가 좌측에, 제2치차는 우측에 배열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그러나 무체인 자전거를 구현할 경우에는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되는 것이 동력전달 효율성과 자전거의 허브 구조 구현에 있어 유리하여 바람직하다.
나아가 제1 및 제2 회전체의 이빨과 상기 중개부재의 회동치의 기어비율 역시 동력전달장치의 목적에 맞게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는 교차축 기어를 이루는 치차와 중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중개부재의 회동치(回動齒)가 고정되어 롤러기어뭉치(bundle)를 이루는, 회전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배열된 베이스에 동심원을 이루는 두 회전체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롤러기어뭉치를 단조가공에 의하여 95% 이상의 완성도로 생산할 수 있으며, 회전축선상에 직교하는 상기 롤러기어뭉치의 베이스에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열된 상기 회동치와 통상적으로 자전거의 크랭크축에 연결된 제1치차와 후륜축에 구비된 제2치차가 직교하는 형태로 맞물리면서도 상기 회동치와 상기 치차, 특히 제2치차의 맞물림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제조회사에 따라 수mm ~ 수cm에 이르는 기존 자전거 프레임 치수 편차, 특히 크랭크축에서 후륜축 사이의 거리 편차를 모두 커버할 수 있어 자전거 규격 기준별로 각각 단일한 무체인 동력전달장치를 생산하면 되므로 적용범위가 넓고 생산성과 단가경쟁력이 뛰어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중개부재의 회동치를 원통형상으로 하여 제조비용 절감에 기여하도록 하고, 상기 치차의 이홈과 맞물리는 상기 회동치가 고정된 상기 롤러기어뭉치의 외곽 회전체에는 축핀과 축핀 사이에 형성된 간섭방지홈들을 형성하고, 상기 간섭방지홈 사이에 형성된 돌기에서 상기 회동치와 중첩되는 단면적은 상기 회동치의 단면적 이하이고 상기 축핀의 단면적 보다 크게 하여기존 자전거 프레임 치수 편차를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치와 상기 치차의 맞물림 위치를 조절할 때 상기 치차의 이빨이 상기 중개부재의 외곽 회전체에 근접하여도 접촉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중개부재의 회동치 양단이 중공을 향하여 차츰 단면적이 축소되는 형태로 경사부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외곽 및 내측 회전체와 상기 회동치 사이의 접촉면적을 가능한 줄여 마찰계수를 낮춤으로써 동력 손실을 없애고 소음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치차를 공지의 스프라켓(sprocket) 형상으로 구성하되, 상기 중개부재 롤러기어뭉치의 베이스 상에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방사상 형태로 배열된 회동치와 상기 치차의 이홈이 맞물릴 경우 기존 자전거 프레임 치수 편차를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치와 상기 치차의 맞물림 위치를 조절하여도 상기 치차의 이빨 측면 전체와 상기 롤러기어뭉치의 회동치가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소음발생과 동력절달의 원활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치차의 이홈의 형상이 상기 원반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형태로 하여 맞물림 위치 조절이 쉽도록 하고, 동력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소음발생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동력전달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제1회동축,
    상기 제1회동축상에 구비되어 있는 원반체,
    상기 원반체의 둘레에 방사상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이빨, 그리고
    상기 이빨과 이빨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이홈을 포함하는 제1치차; 및
    회전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베이스,
    회전축선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에 상호 이격된 형태로 돌설되어 동심원을 이루는 두 회전체, 그리고
    상기 두 회전체 사이에 각각 축핀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치차의 이홈과 직교하는 형태로 맞물리며, 중공원통형상인 다수의 회동치(回動齒)를 포함하는 중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개부재의 외곽 회전체에는 상기 회동치를 위한 축핀과 축핀 사이에 형성된 간섭방지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섭방지홈 사이에 형성된 돌기에서 상기 회동치와 중첩되는 단면적은 상기 회동치의 단면적 이하이고 상기 축핀의 단면적 보다는 크며,
    또 상기 중개부재는 외피, 및 상기 외피 내부에 베어링을 개재한 상태로 구비되어 있는 회동봉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회동봉의 일단부에 상기 외피 외부에 노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회동축은 크랭크 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부재의 회동치 양단은 중공을 향하여 차츰 단면적이 축소되는 형태로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제2회동축,
    상기 제2회동축상에 구비되어 있는 원반체,
    상기 원반체의 둘레에 방사상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이빨, 그리고
    상기 이빨과 이빨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이홈을 포함하는 제2치차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치차를 위하여 상기 중개부재는
    상기 제1치차를 위한 베이스의 대편에 상기 회동봉 타단부에 구비되고 회전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베이스,
    회전축선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에 상호 이격된 형태로 돌설되어 동심원을 이루는 두 회전체, 그리고
    상기 두 회전체 사이에 각각 축핀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치차의 이홈과 직교하는 형태로 맞물리며, 중공원통형상인 다수의 회동치(回動齒)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치차 및 상기 제2치차는 스프라켓(sprock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KR1020060042972A 2006-05-12 2006-05-12 동력전달장치 KR100842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972A KR100842361B1 (ko) 2006-05-12 2006-05-12 동력전달장치
PCT/KR2007/002254 WO2007132999A1 (en) 2006-05-12 2007-05-08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972A KR100842361B1 (ko) 2006-05-12 2006-05-12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661A KR20070109661A (ko) 2007-11-15
KR100842361B1 true KR100842361B1 (ko) 2008-06-30

Family

ID=38694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972A KR100842361B1 (ko) 2006-05-12 2006-05-12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42361B1 (ko)
WO (1) WO200713299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102B1 (ko) 2011-01-24 2011-09-02 김영실 동력전달용 베어링기어 시스템
CN110304191A (zh) * 2018-03-27 2019-10-08 赛拉米克斯皮德运动股份有限公司 自行车驱动系统
KR20210041717A (ko) 2019-10-08 2021-04-16 (주)빅라인 자전거용 무체인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3034A (zh) * 2011-06-30 2013-01-02 刘运武 一种轴承式传动轮
CA2812588C (en) 2013-04-04 2018-07-17 Jeremy M. Garnet Universal low-friction bicycle hub transmission
KR101715164B1 (ko) * 2014-03-24 2017-03-1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체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용 샤프트와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체인 자전거
CN106090126B (zh) * 2016-08-16 2019-06-14 沈迪 旋转传动组件及其主动件和从动件
DK179953B1 (en) 2018-03-27 2019-10-25 Ceramicspeed Sport A/S Bicycle Drive System
EP3730395B1 (en) 2019-04-22 2022-12-28 Driven Technologies, Inc. A gear shifting system
DE102019205944B4 (de) * 2019-04-25 2022-03-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etriebeeinheit für eine Kraftfahrzeuglenkung
CN111853159A (zh) * 2020-07-25 2020-10-30 江西金虎保险设备集团有限公司 柔性啮合式传动齿轮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889B1 (ko) * 2002-07-06 2004-01-14 주식회사 바이크밸리 무체인 동력전달용 기어부재
KR100433827B1 (ko) * 2000-10-24 2004-05-31 김철수 평판기어를 이용한 변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7891B1 (ko) * 1996-05-28 1999-09-01 황칠성 자동 변속장치의 무체인 자전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827B1 (ko) * 2000-10-24 2004-05-31 김철수 평판기어를 이용한 변속장치
KR100414889B1 (ko) * 2002-07-06 2004-01-14 주식회사 바이크밸리 무체인 동력전달용 기어부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102B1 (ko) 2011-01-24 2011-09-02 김영실 동력전달용 베어링기어 시스템
WO2012102484A2 (ko) * 2011-01-24 2012-08-02 Kim Young Shil 동력전달용 베어링기어 시스템
WO2012102484A3 (ko) * 2011-01-24 2012-09-20 Kim Young Shil 동력전달용 베어링기어 시스템
CN110304191A (zh) * 2018-03-27 2019-10-08 赛拉米克斯皮德运动股份有限公司 自行车驱动系统
KR20210041717A (ko) 2019-10-08 2021-04-16 (주)빅라인 자전거용 무체인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32999A1 (en) 2007-11-22
KR20070109661A (ko)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361B1 (ko) 동력전달장치
KR100581839B1 (ko) 동력전달장치
TWI599734B (zh) 鏈環(五)
TWI421425B (zh) 皮帶驅動系統
TWI618873B (zh) 自行車鏈條
TWI697636B (zh) 自行車鏈輪及自行車鏈輪總成
TWI461329B (zh) 多速鏈輪總成
CN1254404C (zh) 自行车所用的后链轮组件的顶链轮
TWI447318B (zh) 鏈輪支撐結構
EP1359087A1 (en) Toothed wheel of a chain transmission for a bicycle
TWI717572B (zh) 自行車鏈輪
CN109955997B (zh) 单链轮
TWI730220B (zh) 自行車鏈條
TW201800304A (zh) 自行車鏈輪及自行車鏈輪總成
TWI453145B (zh) 用於腳踏車內輪轂傳動之行星齒輪機構
KR20090039329A (ko)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TW202208234A (zh) 自行車鏈輪總成及自行車鏈輪
TWI439393B (zh) 兩側具有動力傳輸輪轂之自行車
CN2818324Y (zh) 自行车齿轮组的飞轮
CN113998049B (zh) 一种轻型载荷链传动用变速链轮结构及其优化方法
IT202000025657A1 (it) Assieme di ruote dentate per un pacco pignoni
RU2006133133A (ru) Зубчатое колесо велосипедной трансмисс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