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920B1 -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920B1
KR100841920B1 KR1020070009205A KR20070009205A KR100841920B1 KR 100841920 B1 KR100841920 B1 KR 100841920B1 KR 1020070009205 A KR1020070009205 A KR 1020070009205A KR 20070009205 A KR20070009205 A KR 20070009205A KR 100841920 B1 KR100841920 B1 KR 100841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growth
acid
extrac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경
강정일
김상철
현재희
엘비라 김
유은숙
현진원
조문제
박덕배
김기호
김영희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09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920B1/ko
Priority to PCT/KR2008/000577 priority patent/WO200809400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갖는 흑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모낭의 조직 배양, PCNA 발현, TGF-β2 발현 양상과 관련하여 배양된 성장기 래트 모낭의 머리카락 길이 성장과 세포 증식에 뛰어난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모낭의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가지므로 탈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흑오미자, 추출물, 탈모 방지, 발모,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baldness}
도 1은 흑오미자 추출물이 모낭의 PCNA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흑오미자 추출물이 모낭의 TGF-β2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흑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낭(Hair follicle)은 매우 복잡한 기관으로 내모근초(Inner root sheath, IRS), 외모근초(Outer root sheath, ORS), 모간(Hair shaft)과 모기질(Hair matrix) 세포 등으로 구성되는데(Paus et al., J. Invest. Dermatol ., 113, pp523-532, 1999), 모낭을 형성하는 다양한 종류의 세포들 중 진피유두(Dermal papilla) 세포는 모발 성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Oliver RF, J. Embryol . Exp . Morphol ., 15, pp331-347, 1966; Ferraris et al., Exp . cell Res., 10, pp37-46, 1997; Jahoda et al., Nat . prod . rep ., 311, pp560-562, 1984).
모낭은 배아가 형성(Embryogenesis)되는 동안에 간엽-상피성(Mesenchymal-Epithelial)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발달한다. 정상적인 모발의 성장은 일생 동안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그리고 휴지기(Telogen)의 주기에 따라서 이루어진다(Chase et al., Physiol . Rev ., 124(4), pp686-694, 1954; Kligman et al., J. Invest . Dermatol ., 33, pp307-316, 1959; Paus et al., N. Engl . J. Med ., 341, pp491-497, 1999). 동물의 털이나 인체의 다른 부위에 있는 모발에 비해 인간의 머리카락은 상대적으로 긴 성장주기를 가진다(성장기, 2-5년; 퇴행기, 수일-수주; 휴지기, 3달). 성장기에는 진피유두를 둘러싸고 있는 기질의 각질세포를 포함한 모낭을 구성하는 세포들이 증식하여 모발이 성장하고, 퇴행기의 모낭은 세포사멸(Apoptosis)(Soma et al., J. Invest . Dermatol ., 6, pp948-954, 1998), 진피유두의 응축(Condensation) 및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재구성이 일어나(Paus et al., J. Invest . Dermatol., 113, pp523-532, 1999) 세포분열이 정지하며 모발의 성장이 느려져 천천히 성장한다. 휴지기의 모낭은 새로운 성장기로 되돌아가기 위해 성장이 정지된 상태로 모낭의 융기 부위(Bulge region)를 포함하여 영구적으로 지속되는 부분만 남고 빠지게 된다(Hardy MH., Trends in Genet ., 8, pp55-61, 1992). 즉 휴지기를 지나는 성장기 초반에 모낭으로부터 새로운 모발이 성장되고 새 모발은 휴지기에 들어간 오래된 모발을 위로 밀어 올려서 자연 탈 모시키는 과정을 통해 머리가 빠지고 새 머리가 나게 된다.
최근 외모를 중시하는 현상이 늘어가면서, 외모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인 탈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몇 십년동안 탈모 치료를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아직도 탈모의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는 않다. 다만 급격한 사회변화와 스트레스(Paus et al., Allergo . J., 9, pp611-620, 2000; Botchkarev et al., Am J. Pathol ., 162, pp709-712, 2003; Aoki et al., Exp . Dermatol., 12, pp371-377, 2003) 등에 의한 환경 요인들에 의해서 탈모가 발생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현재 탈모 및 육모 기전에 관여하는 많은 조절 인자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모낭의 형태형성과 성장에는 많은 종류의 사이토카인(Cytokine) 및 성장인자들이 관여한다고 밝혀졌는데(Stenn et al., Physiol . Rev., 81, pp449-494, 2001), 예를 들어 종양괴사인자(Tumour Necrosis Factor-α, TNF-α), 인터류킨-1α(Interleukin-1α, IL-1α), 인터류킨-1β(Interleukin-1β, IL-1β), 인터페론-γ(Interferon-γ, IFN-γ),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5, FGF5), 간세포 성장인자(Hepatocyte Growth Factor, HGF), 혈관내피 성장인자(Vascular Epitherial Growth Factor, VEGF), 인슐린유사성장인자-I(Insulin like Growth Factor-I, IGF-I), 인슐린유사성장인자-II(Insulin-like Growth Factor-II, IGF-II) 및 표피성장인자 수용체(Epithelial Grwoth Factor Receptor, EGFR)가 이에 해당한다. TNF-α는 기질세포에서 세포의 죽음를 증가시키고 모간의 연장(Elongation)을 억제하며(Petho Schramm et al., Arch . Dermatol . Res ., 288 pp264-266, 1996; Soma et. al., J. Invest . Dermatol., 111, pp948-954, 1998), IL-1α 및 IL-1β 역시 모낭의 성장을 억제한다(Harmon et al., Lymphokine Cytokine Res., 12, pp197-203, 1993; Mahe et al., Skin Pharmacol ., 9(6), pp366-375, 1996; Philpott et al., Br . J. Dermatol ., 135, pp942-948, 1996; Xiong et al., J. Interferon Cytokine Res ., 17, pp151-157, 1997). IFN-γ의 과발현은 탈모를 유발시키고(Carroll et al ., J. Invest. Dermatol ., 708(4), pp412-422, 1997), FGF5는 래트(rat)의 모낭에서 퇴행기를 유도(Hebert et al., Cell , 78, pp1017-1025, 1994)하는 반면에 HGF(Jindo et al., J. Invest . Dermatol ., 103, pp306-309, 1994; Jindo et al., J. Invest . Dermatol ., 110, pp338-342, 1998) 및 VEGF(Yano et al., Cell Technol., 20, pp852-853, 2001; Yano et al., J. Clin . Invest ., 107, pp409-417, 2001)는 모낭 성장을 촉진한다. 또한 IGF-I 및 IGF-II는 인슐린 없이 모낭을 배양할 때 농도 의존적으로 모낭의 성장을 촉진하며(Pilpott et al., J. Invest . Dermatol ., 102, pp857-861, 1994), EGF-수용체(EGF-receptor)가 제거된 유전자이식(Transgenic) 마우스의 경우 세포 괴사(Necrosis)가 일어나 모낭이 사라진다고 보고된 바 있다(Murillas et al., EMBO J., 1;1(21), pp5216-5223, 1995).
이와 같이 여러 요인에 의해 조절되는 모발의 성장에 대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탈모 치료제로써 미국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의 승인을 받은 약물로 미녹시딜(Minoxidil)(Rumsfieled et al., Clin . Pharm ., 6(5), pp386-392, 1987; Buhl et al., J. Invest . Dermatol ., 92(3), pp315-320, 1989)과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Kaufman et al., J. Am Acad . Dermatol ., 39, pp578-589, 1998; Van Neste et al., Br . J. Dermatol ., 143(4), pp804-810, 2000)가 있다.
탈모의 가장 전형적인 형태인 남성형 탈모증(AGA, Androgenetic alopecia)는 유전적으로 안드로겐(Androgen) 호르몬에 의존적으로 발생하는데(Paus et al., J. Invest . Dermatol ., 113, pp523-532, 1999), 포유류에서 대표적인 안드로겐 호르몬으로는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하T)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이하DHT)가 있고, DHT는 T보다 안드로겐 수용체(AR, Androgen receptor)에 더 강하게 결합하며(Keith et al., Mol . Cell Endocrinol ., 198, pp89-95, 2002), 탈모가 일어나는 환자들에게서 DHT가 더 많이 나타남이 보고된 바 있다(Van Neste et al., Br . J. Dermatol ., 143(4), pp804-810, 2000). T는 5α-환원효소(5α-reductase)에 의해서 DHT로 전환되는데, 5α-환원효소는 두가지 형태(Wilson et al., Endocrin . Rev ., 14, pp577-593, 1993)로써 제 1형 5α-환원효소와 제 2형 5α-환원효소가 있다. 제 1형 5α-환원효소의 경우 피지선에서 현저하게 나타나지만 모낭에서는 보이지 않고(Bayne et al., Br . J. Dermatol ., 141, pp481-491, 1999), 제 2형 5α-환원효소의 경우 턱수염 및 이마의 머리카락과 모낭의 외모근초에서 나타나지만 피지선 및 진피유두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Sawaya et al., J. Invest. Dermatol ., 109, pp296-300, 1997; Bayne et al., Br . J. Dermatol ., 141, pp481-491, 1999). 두 형태 중 제 2형 5α-환원효소에 의해 T에서 전환되는 DHT는 진피유두 및 모낭에 점진적인 축소화(Miniaturization)를 가져온 다(Whiting D., J. Am Acad . Dermatol ., 28, pp755-763 1993; Singlair et al., Br . Med . J., 317, pp865-886, 1998). 또한 DHT를 처리하여 진피유두세포를 배양시 퇴행기를 유도하고 모낭성장은 억제하는 변형성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2; 이하TGF-β2)의 양이 증가한다고 보고되고 있다(Hibino et al., J. Dermatol . sci ., 35, pp9-18, 2004; Soma et al., J. Invest . Dermatol., 118, pp993-997, 2002). 제 2형 5α-환원효소 활성 억제제인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는 탈모환자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를 감소시켜 탈모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Kaufman et al., J. Am Acad. Dermatol ., 39, pp578-589, 1998; Trueb et al., Exp . Gerontol ., 37, pp981-990, 2002; Van Neste et al., Br . J. Dermatol ., 143(4), pp804-810, 2000).
다양한 세포에서 칼륨채널(K+ channel) 차단제는 분열촉진인자(Mitogen)가 유도하는 세포 증식을 차단하고(Dubois et al., Prog . Biophys . Mol . Biol ., 59, pp1-21, 1993; Nilius et al., NIPS , 9, pp105-110, 1994),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항생물질(Aminoglycoside)의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없이 NIH3T3 섬유아세포를 배양할 경우 미녹시딜에 의해 섬유아세포의 성장이 증가됨이 보고된 바 있다. 더하여 칼륨 채널 차단제에 의해서 미녹시딜에 의한 NIH3T3 세포의 성장이 억제됨을 보이면서 현재까지 미녹시딜이 ATP-의존성 칼륨 채널 개방(ATP(adenosine triphosphate)-dependant K+ channel opener)을 한다고 알려져 왔다(Sanders et al., J. Invest . Dermatol ,. 109, pp296-300, 1996). ATP-의존성 칼륨 채널 개방과 관련하여 스트렙토마이신의 직접적인 효과는 증명된 바 없으나 스트렙토마이신이 칼륨채널과 칼슘채널(Ca2 + channel)의 작용을 억제하며(Takeuchi et al., Hear Res ., 67, pp13-19, 1993; Rouzaire-Dubois et al., J. Physiol ., 510, pp93-102, 1998),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Voltage-dependent K+ channel)에서 세포 성장을 억제한다고 보고된 바 있어 칼륨 채널 개방제에서 스트렙토마이신을 제거하는 연구는 주요 관심사로 여겨지고 있다(Rouzaire-Dubois et al., J. Physiol ., 510, pp93-102, 1998; Davies et al., J. Invest . Dermatol,. 124(4), pp686-694, 2005). 특히, 모낭의 진피유두 세포는 모낭의 형태형성 및 성장주기 조절에 중요한 세포로 작용하는데(Ferraris et al., Exp . Cell Res ., 10, pp37-46,1997), 여기서 미녹시딜이 이 진피유두 세포의 증식을 유도한다(Han et al., J. Dermatol . Sci ., 34, pp91-98, 2004). 또한 스트렙토마이신 없이 배양된 모낭에서 미녹시딜은 모낭의 성장을 증가시키며, 칼륨채널 차단제인 톨부타미드(Tolbutamide)는 모낭 성장을 억제시킴이 보고된 바 있다(Davies et al., J. Invest . Dermatol ,. 124(4), pp686-694, 2005).
TGF-β는 성장, 분화 및 형태형성과 같은 다양한 과정을 조절하는 사이토카인(Cytokines)으로 잘 알려져 있다(Massague et al., Cancer Surv ., 12, pp81-103, 1992). TGF-β는 포유류에서 TGF-β1, TGF-β2 및 TGF-β3의 3 가지 형태로 나뉘는데(Roberts et al., Heidelberg , Springer-Verlag., pp419-472, 1990), 최근에 성장기 및 퇴행기 모낭에서 세 가지 TGF-β의 발현 위치가 보고 된 바 있다. TGF-β1 은 사람의 성장기 모낭의 모소피(Hair cuticle)와 결합조직초(Connective tissue sheath)에서, TGF-β2는 성장기 후기에 외모근초의 가장 바깥쪽의 세포층에서, TGF-β3는 각화된 기질세포에서 발견되었다(Soma et al., J. Invest. Dermatol ., 118, pp993-997, 2002). 현재 위 아이소타이프(Isotype) 중 TGF-β2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며 모낭에 TGF-β2를 처리하여 배양할 경우, 외모근초 세포 및 발아의 기질(Germinative matrix) 세포 하단에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카스파아제-3(Caspase-3) 및 카스파아제-9(Caspase-9)가 활성화 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Kumar et al., Cell Death Differ., 6, pp1060-1066, 1999; Tsuji et al., JID Symposium. Proceedings ., 8, pp 65-68, 2003). 또한 위와 동일하게 TGF-β2를 처리하여 모낭을 배양하였을 때, 티미딘의 핵 내 유입(Thymidine incorporation)이 억제되었고 TGF-β2 농도에 의존적으로 모낭의 길이 증가가 억제되었다(Soma et al., J. Invest . Dermatol ., 111, pp948-954, 1998). 반면 TGF-β 길항제(TGF-β antagonist)인 페튜인(Fetuin)은 모낭의 길이를 증가시킴이 보고되어진다. 결국 TGF-β2는 모낭의 퇴행기를 유도하고 모낭 성장을 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여겨지고 있다(Soma et al., J. Invest Dermatol ., 118, pp993-997, 2002).
생약성분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두피에 바르거나 복용함으로써 보다 부작용이 적게 발모를 촉진시키려는 시도 또한 많이 있었는데, 난초과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대한민국특허 제0157667호), 웅지와 만형자를 이용하는 경우(대한민국 특허 제0161338호), 만병초 엑기스를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경우(한국특허공개 제91-106호) 및 소나무잎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촉진제(한국특허공개 제96-40346호) 등이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그 효과가 일시적이거나 또는 단편적인 약리학적 기작만을 사용하는 등 그 작용 원리가 명확하지 않아, 효과가 뚜렷하고 비교적 부작용이 적은 탈모 방지제의 개발이 꾸준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효능 및 부작용 측면에서 볼 때, 고래로부터 임상적 경험이 풍부하고 안전성 측면에서 탁월한 평가를 받고 있는 한방제제와 천연물제제의 경우, 탈모 치료제로의 개발 가능성은 한층 더 풍부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흑오미자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능을 관찰하여 향후 탈모 치료제로의 개발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한편, 오미자과(Schisandraceae)는 세계적으로 2 속 22 종으로 구성되며 흑오미자(Schisandra nigra Max.),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남오미자(Kadsura japonica), 흰흑오미자(Schisandra nigra var.), 청오미자(Schisandra viridicarpa) 등이 있다.
흑오미자는 우리나라 한라산의 600~1,400m의 극히 제한된 국소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제주도 특산수종으로 낙엽활엽 덩굴성 식물이며, 꽃은 2 가화로써 5~6 월에 피고 열매는 주로 난형이며 9 월에 흑색으로 익는데 자생지역에서는 흑오미자를 전통적인 식· 약용으로 널리 이용한다(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p375-376, 1982).
흑오미자의 함유 성분으로는 스키잔드로닉산(schizandronic acid), 스키잔드롤릭산(schizandrolic acid), 스키잔드로놀(schizandronol), 오플로디올(oplodiol), (+)-카테친-7-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catechin-7-β-D- glucopyranoside),안드로신(androsin), β-시토스테릴 글루코사이드(β-sitosteryl glucoside) 및 스키잔드리사이드(schizandriside) 등이 알려져 있다(Takani et al., Chem . Pharm . Bull ., 27, pp1422-1425.1979). 그러나 상기 문헌 어디에도 흑오미자 추출물의 탈모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에 대한 교시 또는 언급된 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탈모 치료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피나스테라이드 및 미녹시딜 이외의 다른 효과적인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능 물질을 도출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여 흑오미자 추출물이 성장기의 모낭에 미치는 성장 효과를 확인하고 탈모 치료제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갖는 흑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흑오미자(Schisandra nigra Max.)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에서 정의되는 흑오미자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극성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의 혼합용 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 혼합비의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흑오미자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흑오미자 추출물은, 건조된 흑오미자를 세절하여 무게(㎏)의 약 1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3배의 물 및 메탄올, 에탄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 혼합비의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추출온도에서 약 1일 내지 5일, 바람직하게는 약 1일 내지 3일 동안 교반한 후, 그 상층액을 냉침,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얻고, 여과, 감압농축 또는 건조하여 본 발명의 분말 상태의 흑오미자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01 내지 10 % 중량 백분율,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 % 중량 백분율,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 중량 백분율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흑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위한 화장품 및 샴푸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 림, 에센스, 팩, 헤어토닉, 헤어로션, 샴푸, 린스 또는 비누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 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 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 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 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 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 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혼합추출물을 0.01 내지 10 % 중량 백분율,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 % 중량 백분율,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 중량 백분율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에센스, 헤어토너,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모이스처로션,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젤, 헤어왁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헤어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헤어샴푸, 헤어린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 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흑오미자 추출물의 제조
제주도에서 채취한 흑오미자(Schisandra nigra Max.) 1 Kg 을 수돗물로 잘 세척하여 하루 동안 건조시키고 세절한 다음 85%(v/v) 에탄올 수용액 3ℓ를 가하여 3 일 동안 교반,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증류기(Evaporator, JP/N-N, EYELA)를 이용하여 35℃에서 4시간 동안 농축시킨 후, 48시간 동안 건조하여 흑오미자 추출물 분말 67.65 g 을 얻었으며, 이를 DMSO(Dimethylsulfoxide, Sigma, MO, USA)에 녹여 시료로 조제하여 사용하였다(표 1 참조). 흑오미자 추출물을 DMSO에 용해시킨 후 -20℃에 보관하여 사용하였고, 모든 실험이 수행되기 전 샘플은 즉시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각 실험에서 DMSO의 최종농도는 0.1%를 초과하지 않았다.
참고예 1. 실험 준비
생후 3주령인 윈스타 래트(Wistar rat) 수컷(Japan SLC, Shizuoka, Japan)을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래트 모낭( Rat vibrissa follicles )의 분리 및 조직 배양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흑오미자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장기배양법(Organ culture method)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Jindo and Tsuboi, Jpn. J. Dermatol., 107, pp769-779, 1997; Imai et al., Arch. Dermatol. Res., 284, pp466-471, 1993; Jindo et al., J. Dermatol. 20, pp756-762, 1993; Philpott et al., J. Cell Sci ., 97, pp463-471, 1990).
상기 참고예 1-1의 생후 3주령 된 래트(Rat)를 에틸에테르(Ethyl ether)로 흡입· 마취 후 경추 도살하였다. 성장기 래트 모낭(Rat virissa follicles)은 래트의 왼쪽과 오른쪽 마이스테셜 패드(Mystacial pads)를 분리하여 100 units/㎖ 페니실린 - 100 ㎍/㎖ 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Gibco Inc, NY, USA)이 함유된 E/P 완충 용액(50% Earle's balanced salts solution; EBSS, Sigma MO, USA) + 50% PBS, Sigma MO, USA))에 넣고 해부 현미경으로 관찰하며 모낭(Vibrissa follcile)을 분리하였다. E/P 완충용액을 넣은 페트리디쉬에 분리한 모낭을 넣고 37°C, 5% CO2 항온기에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 웰 플레이트(Well plate)의 각 웰당 2 mM L-글루타민(L-glutamine, Gibco Inc, NY, USA), 10 ㎍/㎖ 인슐린(Insulin, Sigma MO, USA), 50 nM 히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 Sigma MO, USA) 및 100 units/㎖ 페니실린- 100 ㎍/㎖ 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을 포함하는 500 ㎕의 배지(William E medium, Gibco Inc, NY, USA)를 넣고 각 웰 당 한 개의 모낭을 넣어서 37°C,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중에 배지는 3 일마다 교환하고, 실시예 1의 흑오미자 추출물을 5, 10, 20 및 50 ㎍/㎖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인 미녹시딜 황산염(Minoxidil Sulfate, Sigma, USA)는 0.1, 1 및 10 μM의 농도로 처리하여 흑오미자 추출물이 모낭의 발모 개선(육모) 성장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시간에 따른 모낭의 육모 성장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0, 7, 14 및 21 일째에 이미지 분석기(Image analyzer, DP701 controller, Olympus)를 이용해 모낭 길이를 측정하여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구 분 처리 농도 모낭의 길이(%)
0 일 7 일 14 일 21 일
대조군 0 100± 4.29 105.13± 2.52 108.7± 3.16 110.84± 3.39
미녹시딜 황산염 (μM) 0.1 100± 4.39 102.28± 2.07 107.4± 2.04 111.28± 2.39
1 100± 4.21 106.49± 2.58 111.69± 2.64 113.9± 2.8
10 100± 4.15 108.2± 3.29 113.3± 3.3 115.42± 3.48
흑오미자 추출물 (μg/㎖) 5 100± 5.8 104.41± 5.46 111.91± 5.7 113.81± 5.79
10 100± 4.28 103.51± 2.12 107.44± 2.6 108.62± 2.78
20 100± 4.38 112.1± 3.41 120.43± 11.52 * 123.86± 3.55 *
50 100± 4.29 102.55± 2.07 108.7± 3.17 110.01± 3.11
* 대조군과의 유의성은 unpaired-t test를 사용하여 유의수준 P<0.05로 검정.
상기 표 1의 결과 수치를 바탕으로 대조군과의 상대적인 모낭의 길이 차이(%)를 계산하기 위하여 21일 째 각 실험군별 모낭의 성장율를 비교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 분 처리농도 모낭의 성장(%)
대조군 0 100± 10.43
미녹시딜 황산염 (μM) 0.1 109.61± 7.57
1 130.15± 8.87
10 151.69± 11.25
흑오미자 추출물 (μg/㎖) 5 135.59± 10.9
10 111.83± 9.31
20 222.2± 11.18 *
50 79.63± 8.39
* 대조군과의 유의성은 unpaired-t test를 사용하여 유의수준 P<0.05로 검정.
실험 결과 상기 표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미녹시딜 황산염을 10 μM의 농도로 처리한 모낭의 성장은 대조군에 비하여 약 51% 정도의 성장 효과를 보였고, 흑오미자 추출물 20 ㎍/㎖의 농도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122%의 높은 성장 효과를 보였다. 또한, 5 ㎍/㎖의 농도에서도 대조군에 비하여 35%의 성장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흑오미자 추출물이 성장기 래트 모낭에 뛰어난 발모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래트 모낭에서의 PCNA (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 발현 실험
흑오미자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와 관련하여 모낭의 어느 세포가 증식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PCNA(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의 발현 양상을 하기와 같은 과정으로 실험하여 확인하였다. PCNA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은 편리하게 세포의 증식정도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Assy N. et al., J. Hepatol ., 26, pp945-952, 1997) 중 하나로 산타 크루즈 생명공학(Santa Cruz Biotechnology)에서 제공하는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법을 이용하여 세포의 증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24 웰 플레이트(Well plates)에서 2 mM L-글루타민, 10 ㎍/㎖ 인슐린, 50 nM 히드로코르티손 및 100 units/㎖ 페니실린-100 ㎍/㎖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배지(William E medium)에 넣고 상기 참고예 1의 래트(Rat)로부터 분리된 성장기 모낭을 각 웰 당 한 개씩 넣어서 37°C,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는 3 일마다 교환하고, 흑오미자 추출물은 20 ㎍/㎖의 농도로, 양성 대조군인 미녹시딜 황산염은 10 μ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모낭은 분리 후 0일과 7일에 4% 파라포말알데히드(Paraformaldehyde)를 사용하여 24 시간동안 고정하고 20% 수크로오즈로 2 회 세척하였다. 준비된 모낭은 자동 조직처리기(Leica, Germany)를 이용하여 탈수, 투명 또는 파라핀 침투 과정을 거쳐 고형화하여 파라핀 블록을 완성하였다. 파라핀 블록은 4 ㎛의 두께로 박절하고 규소 코팅(Silane coating) 슬라이드(Muto Chemicals, Japan)에 부착 후 건조하였다. 슬라이드는 크실렌(Xylene)을 3 회 처리하여 파라핀을 제거하고 함수 과정을 거치고, 면역조직화학적염색은 ABC 염색 키트(ABC Staining Kit;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USA)를 사용하였다. 내인성 효소의 억제를 위해 1% 히드로겐 퍼록시드(H2O2, Hydrogen peroxide)를 처리하였고, 일차항체와 비특이적 결합을 방지하기위해 1.5% 블로킹 세럼(Blocking serum)을 1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단백질 PCNA의 발현을 검출하기위한 1 차 항체로는 1 : 200으로 희석된 항 토끼-PCNA항체 (Anti rabbit-PCNA antibody;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USA)를 사용하였다. 일차항체를 처리하여 오버나이트(overnight) 후 PBS로 3 회 세척하였고 일차항체의 검출을 위한 2 차 항체로는 항 토끼 면역단백질(Anti-rabbit IgG)을 처리하여 30 분간 반응시켰다. 이것을 PBS로 3 회 세척 후에 아비딘-바이오티닐레이티드(Avidin-Biotinylated) 과산화효소시약(Horse Radish Peroxidase enzyme reagent;HRP)에서 다시 30 분간 반응시키고 양성반응의 관찰을 위하여 1 분 동안 디아미노벤지딘(Diaminobenzidine;DAB)으로 발색시켰다. 헤마톡실린 질의 포뮬레이션 #2(Hematoxylin Gill's Formulation #2;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USA)에 10 초 동안 처리하여 대조염색을 시행하고 비수용성봉입제인 퍼마운트(Fisherchemicals;Permount, USA)로 봉입하였다. PCNA의 발현 양상을 현미경으로 촬영하여 관찰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분리 후 0 일째 모낭에서 진피유두를 둘러싸고 있는 모구기질부위(Bulb matrix region)에서 PCNA 발현이 뚜렷히 관찰되었으나, 분리 후 7 일째 대조군 모낭에서는 PCNA 발현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하지만 흑오미자 추출물 20 ㎍/㎖의 농도로 7 일 동안 배양된 모낭의 모구기질부위에서 PCNA 발현이 뚜렷했으며, 미녹시딜 황산염 10 μM의 농도로 7 일 동안 배양된 모낭의 모구기질부위에서도 PCNA 발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흑오미자 추출물은 PCNA 발현을 증가시켜 래트 모낭의 모구기질부위에서 모발의 성장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도 1 참조).
실험예 3. 래트 ( rat ) 모낭에서의 TGF -β2 발현 실험
흑오미자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개선 효과와 관련하여 모낭의 퇴행기를 유도하고 모낭 성장을 억제하는 TGF-β2의 발현 조절이 일어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산타 크루즈 생명공학(Santa Cruz Biotechnology)에서 제공하는 면역조직화학적염색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과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24 웰 플레이트(Well plates)에서 2 mM L-글루타민, 10 ㎍/㎖ 인슐린, 50 nM 히드로코르티손 및 100 units/㎖ 페니실린- 100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배지(William E medium)에 넣고 상기 참고예 1의 래트(Rat)로부터 분리된 성장기 모낭을 각 웰 당 한 개씩 넣어서 37°C,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는 3 일마다 교환하고, 흑오미자 추출물은 20 ㎍/㎖의 농도로, 양성 대조군인 미녹시딜 황산염은 10 μ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모낭은 분리 후 0일과 7일에 4% 파라포말알데히드(Paraformaldehyde)를 사용하여 24 시간동안 고정하고 20% 수크로오즈로 2 회 세척하였다. 준비된 모낭은 자동 조직처리기(Leica, Germany)를 이용하여 탈수, 투명 또는 파라핀 침투 과정을 거쳐 고형화하여 파라핀 블록을 완성하였다. 파라핀 블록은 4 ㎛의 두께로 박절하고 규소 코팅(Silane coating) 슬라이드(Muto Chemicals, Japan)에 부착 후 건조하였다. 슬라이드는 크실렌(Xylene)을 3 회 처리하여 파라핀을 제거하고 함수 과정을 거치고, 면역조직화학적염색은 ABC 염색 키트(ABC Staining Kit;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USA)를 사용하였다. 내인성 효소의 억제를 위해 1% 히드로겐 퍼록시드(H2O2, Hydrogen peroxide)를 처리하였고, 일차항체와 비특이적 결합을 방지하기위해 1.5% 블로킹 세럼(Blocking serum)을 1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TGF-β2의 발현을 검출하기위한 1 차 항체로는 1 : 200으로 희석된 항 토끼 - TGF-β2항체(Anti rabbit - TGF-β2 antibody;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USA)를 사용하였다. 일차항체를 처리하여 오버나이트(overnight) 후 PBS로 3 회 세척하였고, 일차항체의 검출을 위한 2 차 항체로는 항 토끼 면역단백질(Anti-rabbit IgG)을 처리하여 30 분간 반응시켰다. 이것을 PBS로 3 회 세척 후에 아비딘-바이오티닐레이티드(Avidin-Biotinylated) 과산화효소시약(Horse Radish Peroxidase enzyme reagent;HRP)에서 다시 30 분간 반응시키고 양성반응의 관찰을 위하여 1 분 동안 디아미노벤지딘(Diaminobenzidine;DAB)으로 발색시켰다. 헤마톡실린 질의 포뮬레이션 #2(Hematoxylin Gill's Formulation #2;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USA)에 10 초 동안 처리하여 대조염색을 시행하고 비수용성봉입제인 퍼마운트(Fisherchemicals;Permount, USA)로 봉입하였다. TGF-β2의 발현은 현미경으로 촬영하여 관찰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분리 후 0 일째 모낭에서 TGF-β2 발현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고, 흑오미자 추출물 20 ㎍/㎖의 농도로 7 일 동안 배양된 모낭의 진피유두를 둘러싸고 있는 모구기질부위에서도 TGF-β2 발현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양성대조군인 미녹시딜 황산염 10 μM의 농도로 7 일 동안 배양된 모낭에서도 TGF-β2 발현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흑오미자 추출물이 성장기에서 퇴행기로의 진행에 관여하는 TGF-β2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성장기 모낭에서의 발모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참조).
하기에 본 발명의 흑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헤어 토닉의 제조
에탄올 55.0%
피마자유 5.0%
글리세린 3.0%
피록톤아민 0.1%
실시예 1의 흑오미자 추출물 1.0%
향료,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계 100.0%
제제예 2. 헤어 로션의 제조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염화스테아릴트리에틸암모늄 2.0%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5%
피록톤올아민 0.1%
흑오미자 추출물 1.0%
향료, 색소 0.5%
정제수 잔량
계 100.0%
제제예 3. 헤어 비누의 제조
흑오미자 추출물 0.1%
이산화티탄 0.2%
폴리에틸렌글리콜 0.8%
글리세린 0.5%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0.05%
나트륨 1.0%
색소 적량
비누향 적량
화장비누베이스 (수분 13%, 중량부) 잔량
계 100.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흑오미자 추출물은 모낭의 조직 배양, PCNA 발현, TGF-β2 발현 양상과 관련하여, 배양된 성장기 래트 모낭의 머리카락 길이 성장과 세포 증식에 뛰어난 활성을 가져 모낭의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탈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

  1. 흑오미자(Schisandra nigra Max.) 물 및 에탄올 혼합 가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70009205A 2007-01-30 2007-01-30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41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205A KR100841920B1 (ko) 2007-01-30 2007-01-30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PCT/KR2008/000577 WO2008094001A1 (en) 2007-01-30 2008-01-30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baldn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205A KR100841920B1 (ko) 2007-01-30 2007-01-30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1920B1 true KR100841920B1 (ko) 2008-06-27

Family

ID=3967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205A KR100841920B1 (ko) 2007-01-30 2007-01-30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41920B1 (ko)
WO (1) WO200809400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460B1 (ko) 2021-01-27 2021-09-08 주식회사 에피바이오텍 콜라겐 유전자 또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053819A (ko) * 2021-10-15 2023-04-24 주식회사 하람 흑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호르몬에 의해 손상된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30053818A (ko) * 2021-10-15 2023-04-24 주식회사 하람 흑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AN20130224A1 (it) * 2013-11-25 2015-05-26 Marisa Patriarca Rimedio per arrestare la caduta dei capelli.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0532A (ja) * 1997-05-09 1998-11-24 Dai Ichi Seiyaku Co Ltd テストステロン−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
JP2005119996A (ja) * 2003-10-15 2005-05-12 Sato Pharmaceutical Co Ltd 育毛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150A (ko) * 2001-08-20 2003-02-26 최기남 모발촉진제
KR100636846B1 (ko) * 2006-03-21 2006-10-19 최형근 천연한방 모발 생장촉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0532A (ja) * 1997-05-09 1998-11-24 Dai Ichi Seiyaku Co Ltd テストステロン−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
JP2005119996A (ja) * 2003-10-15 2005-05-12 Sato Pharmaceutical Co Ltd 育毛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460B1 (ko) 2021-01-27 2021-09-08 주식회사 에피바이오텍 콜라겐 유전자 또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053819A (ko) * 2021-10-15 2023-04-24 주식회사 하람 흑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호르몬에 의해 손상된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30053818A (ko) * 2021-10-15 2023-04-24 주식회사 하람 흑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576662B1 (ko) 2021-10-15 2023-09-08 주식회사 하람 흑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호르몬에 의해 손상된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576659B1 (ko) 2021-10-15 2023-09-08 주식회사 하람 흑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94001A1 (en) 200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7243C2 (ru) Пероральный препарат, препарат для инъекции, кожный препарат для наруж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и косметический способ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появления или разглаживания морщин
KR100755427B1 (ko)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녹차씨 오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017709B1 (ko) 인삼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비듬 생성 억제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EP1870094A1 (en) Antiwrinkle agent
KR20100094614A (ko)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41920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0956B1 (ko) 파이토스핑고신과 효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985356B1 (ko)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56884A (ko)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map) 및 메틸설포닐메탄(msm)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100979269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 효과를 갖는 피부외용조성물
KR20120117128A (ko) 반지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120085369A (ko) 대추 또는 포도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균 및 항염용 조성물
KR101243220B1 (ko) 삼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20099165A (ko) 대추 또는 포도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TW201521735A (zh) 含人參皂苷Rf的皮膚外用劑組合物
KR100975819B1 (ko)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0―메틸호노키올을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조성물
KR20120067804A (ko) 시호 함유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비듬억제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51555B1 (ko) 섬오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신규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101909533B1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28378B1 (ko) 노랑하늘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JP2002526395A (ja) 化粧品あるいは皮膚科製品におけるボルド抽出物の使用
KR100714172B1 (ko) 주름 생성 억제 및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0093A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20102186A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037235B1 (ko) 노르갈란타민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