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856B1 - 산삼 배양 부정근과 동해 심층수를 함유하는 염지액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삼 배양 부정근과 동해 심층수를 함유하는 염지액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856B1
KR100839856B1 KR1020060109967A KR20060109967A KR100839856B1 KR 100839856 B1 KR100839856 B1 KR 100839856B1 KR 1020060109967 A KR1020060109967 A KR 1020060109967A KR 20060109967 A KR20060109967 A KR 20060109967A KR 100839856 B1 KR100839856 B1 KR 100839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ld ginseng
weight
ginseng cultured
root
de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1851A (ko
Inventor
기재순
Original Assignee
기재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재순 filed Critical 기재순
Priority to KR1020060109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856B1/ko
Publication of KR20080041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70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4Flavour masking or reduc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8Taste or flavour enhanc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Seasoning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삼 배양 부정근이 분쇄 중에 호화 되는 일이 없는 산삼 배양 부정근과 동해 심층수를 함유하는 염지액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산삼 배양 부정근을 -30℃로 냉동한 것을 4℃의 실내 분위기에서, 고정 설치된 상부맷돌에 대하여 30RPM의 저속으로 하부맷돌이 회전하도록 배치된 맷돌 수단을 통해 공급하여 분쇄하되 적당량의 동해 심층수로 적셔가면서 묽은 죽 상태로 되게 분쇄하여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을 얻는 제1 공정과; 동해 심층수에 자외선 램프를 10분간 조사하여 살균 처리하는 제2공정과; 양파, 마늘, 생강을 한데 넣어 1시간 끓이고 여과지에 걸러 통상의 액상 양념을 얻는 제3 공정과; 통상의 믹서에 상기 제1 공정의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 3 ~ 10중량%, 상기 제2 공정의 동해 심층수 80 ~ 87중량%을 각각 투입하고, 여기에 상기 제3 공정에서 얻어진 액상 양념을 총량 100중량%가 되는 분량으로 첨가하고 혼합하는 제4 공정 순으로 행해지는 산삼 배양 부정근과 동해 심층수를 함유하는 염지액의 제조 방법이다.
염지액, 계육 염지액, 산삼 배양 부정근, 해양 심층수,

Description

산삼 배양 부정근과 동해 심층수를 함유하는 염지액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brine water having both deep east seawater and incubated wild ginseng root}
도 1은 산삼 배양 부정근의 성상을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맷돌 수단의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상부맷돌 4: 하부맷돌
6: 축 8: 모터
10: 호퍼 12: 수거통
한국 등록특허 10-0349624호, 한국 등록특허 10-0318090호, 한국 등록특허 10-0353636호, 한국 등록특허 10-0392513호, 한국 등록특허 10-0506625호,
본 발명은 계육용 염지액(鹽漬液)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산삼 배양 부정근과 동해 심층수를 함유하는 염지액의 제조 방법 및 그 염지액에 관한 것이다.
염지 가공은 육류의 비린 맛을 줄이고 육질을 풍부하게 함과 동시에 미각을 향상시키려는 목적으로 종래부터 널리 실시되어 오고 있다.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염지 방법은 양념 성분을 함유한 염지액을 육류 표면에 발라 건조시켜 두는 건식법, 또는 염지액에 육류를 담가 놓고 일정 시간 방치하여 스며들게 하는 습식법, 또 중공바늘을 통해 육류 피하로 염지액을 소량 주사하는 주입법이 알려져 있고, 한국 공개특허 2002-0053903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진공압을 이용하여 염지액이 육류에 효과적으로 침투되게 하는 방법도 공지되어 있다.
한편, 계육에 사용되는 염지액으로는 한국 등록특허 10-0349624호와 같이 수용성 칼슘과 철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칼슘, 철 유화물을 얻고, 이것을 조미 향신료와 혼합시켜서 특정의 영양요소를 함유하는 염지액 성분을 얻는 방법과 같이 특정의 영양요소를 갖추도록 하는 방향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계육용 염지액으로서 산삼 배양 부정근과 동해 심층수를 함유하는 것이다.
산삼 배양근에 관한 선행문헌으로는 한국 등록특허 10-0318090호를 필두로 하여 한국 등록특허 10-0353636호, 한국 등록특허 10-0392513호, 한국 등록특허 10-0506625호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선행문헌은 산삼의 대량 배양, 그리고 배양되는 산삼의 사포닌 함량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충북 오창 산업과학단지에 소재한 주식회사 CBN 바이오 텍은 100년근 오대산 자연 산삼에서 유도한 실뿌리를 45일 배양한 산삼 부정근(한국 등록특허 10-0353636호 관련)을 대량 증식하여 부정근, 분말, 농축액 등으로 상품화하여 놓고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의 산삼 부정근을 이용한다.
또, 심층수로는 지하 심층수와 해양 심층수가 알려져 있고, 지하 심층수의 경우에도 바닷가 인근 지역의 지하 심층수는 염분을 상당량 함유하지만 미네랄 함량이 낮아 본 발명에서는 채용하지 않는다.
해양 심층수는 대륙붕 바깥쪽 수심 200 내지 300m에 존재하는 해수 층으로, 태양 광선이 도달하지 못하는 심층에 위치한 관계로 광합성이 불가능하여 세균, 조류 등이 없고, 수온은 2∼10℃, 염분함량은 3.30∼3.50%로서 인체에 유익한 각종 미네랄 성분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해수의 표층수 또는 지하수나 지표수와는 달리 각종 환경 오염물질이나 세균 등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지극히 청정한 염수로서, 우리나라에서는 동해 심층수가 최근에 채취 보급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계육에 산삼의 효능을 부가하기 위하여 상기 (주) CBN 바이오 텍에서 제공하는 산삼 배양 부정근 분말(80~300 메시 범위의 것)과 식염수를 혼합한 염지액을 통상의 인젝션 법으로 계육에 주입하였으나, 이렇게 주입된 산삼 배양 부정근 분말은 주입된 계육주위에서 뭉친 상태로 남아, 염지액의 분산이 불량하게 되는 사례가 빈번하고, 게다가 상기 산삼 배양 부정근 분말이 주입된 계육 부위의 색상까지 변하여 마치 상한 계육으로 오해받게 되는 일도 있는 등 실용화에 어려움이 많아 실패한 경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산삼 배양 부정근 분말의 첨가량을 최소로 하면 어느 정도 해 결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주입된 산삼 배양 부정근으로 인한 산삼의 효능은 기대 이하로 되는 단점이 생긴다.
본 발명자는 상술한 산삼 배양 부정근 분말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본 결과, 분말은 인젝션 되면 서로 뭉친 형태로 계육에 남게 되지만 그루얼(gruel: 묽은 죽)로 가공하여 염지액에 첨가하면 전혀 문제가 없게 될 것이라는 점에 착상하여 산삼 배양 부정근을 통상의 파쇄기를 통해 그루얼로 분쇄하였으나, 일반 파쇄기에서는 산삼 배양 부정근이 가공 중에 발생하는 마찰열의 영향으로 호화(糊化) 되는 현상이 나타나 이 또한 실패한 바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지금까지와는 다르게 산삼 배양 부정근을 파쇄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고, 산삼 배양 부정근을 물성 변질 없이 그루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여러모로 시도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삼 배양 부정근을 물성 변질 없이 그루얼로 변환하되, 호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가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 배양 부정근과 동해 심층수를 함유하는 염지액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염지액 제조 방법은 산삼 배양 부정근을 -30℃로 냉동한 것을 4℃의 실내 분위기에서, 고정 설치된 상부맷돌에 대하여 30RPM의 저속으로 하부맷돌이 회전하도록 배치된 맷돌 수단을 통해 분쇄하되 동해 심층수로 적셔가면서 묽은 죽 상태로 되게 분쇄하여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을 얻는 제1 공정과; 동해 심층수에 자외선 램프를 10분간 조사하여 살균처리하는 제2 공정과; 양파, 마늘, 생강을 한데 넣어 1시간 끓이고 여과지에 걸러 통상의 액상 양념을 얻는 제3 공정과; 통상의 믹서에 상기 제1 공정의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 3 ~ 10중량%, 상기 제2 공정의 동해 심층수 80 ~ 87중량%을 각각 투입하고, 여기에 상기 제3 공정에서 얻어진 액상 양념을 총량 100중량%가 되는 분량으로 첨가하고 혼합하는 제4 공정 순으로 행해진다.
또, 상술한 제조 방법을 통하여 얻어지는 염지액은 중공 바늘이 니들링 시에 일정횟수 회전되도록 배치된 인젝터에서 계육의 피하로 주사되고, 그 다음에 불규칙하게 정역 회전하는 텀블러에 투입되어서 상기 주입된 염지액이 계육의 내부로 산포되게 하는 과정을 통해 계육을 염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산삼 배양근 그루얼과 동해 심층수를 함유하는 염지액의 제조방법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통해 얻어지는 염지액은 산삼 배양 부정근을 동해 심층수로 적셔가면서 저속으로 파쇄하여 묽은 죽 상태로 변환시킨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을, 살균 처리된 동해 심층수에 액상 양념과 함께 투입하고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은 -30℃로 냉동 보관된 산삼 배양 부정근을 4℃의 실내 분위기에서 30RPM으로 저속 회전하는 맷돌 수단에 통과시켜 얻을 수 있고, 이와 같이 저온 분위기에서 냉동된 산삼 배양 부정근을 파쇄하면 마찰에 의한 열이 최소로 되어 산삼 배양 부정근의 호화가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물성 변질도 없는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의 함량은 3~10중량%이고, 동해 심층수의 함량은 80~87중량%이며, 액상 양념은 여기에 전체 100중량%가 되는 분량, 즉 3~17중량%가 첨가된다.
또, 액상 양념은 통상의 방법대로 적당량의 양파, 마늘, 생강을 한데 넣어 1시간 정도 끓이고 여과지로 걸러 얻는다.
[실시 예 1]
제1 공정;
(주) CBN 바이오 텍에서 도 1의 성상을 띄는 산삼 배양 부정근을 구입하여 -30℃로 냉동한 것을 4℃의 실내 분위기에서 맷돌 수단으로 분쇄한다.
맷돌 수단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쌍을 이루어 상하로 포개진 상부맷돌(2)과 하부맷돌(4)을 포함하고, 상부맷돌(2)은 고정 설치되어 있는 반면에 하부맷돌(4)은 그 밑면을 지지하는 축(6)과 함께 모터(8)의 동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으며, 또 상부맷돌(2)에는 상방으로 호퍼(10)가 비치되어서 산삼 배양 부정근을 양 맷돌(2)(4) 사이로 투입할 수 있게 되어 있고, 하부맷돌(4)의 하측에는 분쇄 배출되는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쪽으로 경사진 수거통(12)을 배치한 구조로 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호퍼(10)로 산삼 배양 부정근을 투입하면 양 맷돌(2)(4) 사이를 통과하면서 분쇄되고, 이때 적당량의 동해 심층수를 흘려서 상기 산삼 배양 부정근을 적셔 묽은 죽 상태가 되도록 분쇄하면 소망하는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모터(8)는 감속기 달린 모터가 적합하고 그 구동속도는 분쇄 시에 과도한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30RPM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당하다.
제2 공정;
동해 심층수에 자외선 램프를 10분간 조사하여 살균처리한다.
자외선 램프의 효율적 조사를 위하여 투명용기를 구비해야 할 수도 있다.
제3 공정;
껍질 벗긴 양파, 마늘, 생강을 깨끗하게 세척하고 각각 적당량을 한데 넣어 끓는 물에 1시간 삶아내고 여과지로 걸러 통상의 액상 양념을 얻는다.
제4 공정; 통상의 믹서에 상기 제1 공정의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 3중량%, 상기 제2 공정의 동해 심층수 80중량%, 및 상기 제3 공정의 액상 양념 17중량%의 비율로 첨가하고 혼합하여 소망의 염지액을 얻었다.
[실시 예 2]
상기 실시 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행하되, 제4 공정에서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 4중량%, 동해 심층수 81중량%, 액상 양념 15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소망의 염지액을 얻었다.
[실시 예 3]
상기 실시 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행하되, 제4 공정에서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 5중량%, 동해 심층수 82중량%, 액상 양념 13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소망의 염지액을 얻었다.
[실시 예 4]
상기 실시 예와 동일한 공정으로 행하되, 제4 공정에서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 6중량%, 동해 심층수 83중량%, 액상 양념 11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소망의 염지액을 얻었다.
[실시 예 5]
상기 실시 예와 동일한 공정으로 행하되, 제4 공정에서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 7중량%, 동해 심층수 84중량%, 액상 양념 9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소망의 염지액을 얻었다.
[실시 예 6]
상기 실시 예와 동일한 공정으로 행하되, 제4 공정에서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 8중량%, 동해 심층수 85중량%, 액상 양념 7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소망의 염지액을 얻었다.
[실시 예 7]
상기 실시 예와 동일한 공정으로 행하되, 제4 공정에서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 9중량%, 동해 심층수 86중량%, 액상 양념 5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소망의 염지액을 얻었다.
[실시 예 8]
상기 실시 예와 동일한 공정으로 행하되, 제4 공정에서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 10중량%, 동해 심층수 87중량%, 액상 양념 3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소망의 염지액을 얻었다.
[사용 예]
상기 실시 예 1 ~ 8을 통해 얻어진 염지액을 인젝터에서 계육으로 주사한 다음, 텀블러에 투입하고 불규칙하게 텀블링하여 받게 되는 마사지 효과로 주입된 염지액이 계육 내부로 고르게 퍼지도록 하였다.
상기 인젝터는 염지액을 주입하는 중공바늘이 니들링 될 때에 자체 회전하는 구조를 갖추게 하여, 계육의 피하로 삽입되는 염지액이 고르게 퍼질 수 있게 하는 것이 좋고, 계육을 텀블링 되게 하는 텀블러는 불규칙하게 정역 회전되는 구성으로 하면 상기 계육이 텀블러 내부에서 한쪽으로 몰리는 일이 없게 되어 균일하게 염지액이 퍼져나간 계육을 얻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 1~8에서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과, 동해 심층수, 그리고 액상 양념의 혼합비율을 한정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은 3중량% 미만이면 산삼의 효능이 미미하고 거의 사포닌 맛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또 10중량%를 초과하면 계육 속에서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이 뭉쳐진 형태로 남는 경우가 발생하여 육질을 저해하기 때문에 제한한다.
또, 동해 심층수는 80중량% 미만인 때는 짠맛이 약하여 미각이 저하되고, 반대로 87중량%를 초과하면 짠맛이 강하게 되어 이 또한 미각이 저하되기 때문에 제한한다.
액상 양념은 계육의 비린 맛을 억제하고 미각을 향상하는 실질적 기능을 가진 것이나, 그 혼합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 동해 심층수와 함께 총량 100중량%가 되는 분량으로 충분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염지액 제조 방법과 그 염지액은 산삼 배양 부정근을 동해 심층수와 함께 혼합하여 계육용 염지액을 제조하는 것으로, 종래에 상기 산삼 배양 부정근의 분쇄 시에 마찰 열로 인한 호화 현상 문제를, -30℃로 냉동된 산삼 배양 부정근을 4℃를 유지하는 실내 분위기에서 30RPM의 저속으로 회전하는 맷돌 수단을 통해 동해 심층수로 적시면서 분쇄하여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로 변환시키고 이것을 동해 심층수와 혼합하는 것으로 해결함에 따라, 계육에 산삼의 효능과 해양 심층수의 풍부한 미네랄, 무기질을 고루 함유케 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Claims (2)

  1. 산삼 배양 부정근을 -30℃로 냉동한 것을 4℃의 실내 분위기에서, 고정 설치된 상부맷돌에 대하여 30RPM의 저속으로 하부맷돌이 회전되도록 배치한 맷돌 수단을 통해 동해 심층수로 적셔가면서 묽은 죽 상태로 되게 분쇄하여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을 얻는 제1 공정과;
    동해 심층수에 자외선 램프를 10분간 조사하여 살균처리하는 제2 공정과;
    양파, 마늘, 생강을 한데 넣어 1시간 끓이고 여과지에 걸러 통상의 액상 양념을 얻는 제3 공정과;
    통상의 믹서에 상기 제1 공정의 산삼 배양 부정근 그루얼 3 ~ 10중량%, 상기 제2 공정의 동해 심층수 80 ~ 87중량%를 각각 투입하고, 여기에 상기 제3 공정에서 얻어진 통상의 액상 양념을 총량 100중량%가 되는 분량으로 첨가하고 혼합하는 제4 공정 순으로 행해지는 산삼 배양 부정근과 동해 심층수를 함유하는 염지액의 제조방법.
  2. -30℃로 냉동된 산삼 배양 부정근을 4℃의 실내 분위기에서 30RPM의 저속으로 회전하는 맷돌 수단을 통해 동해 심층수로 적셔가면서 묽은 죽 상태로 되게 분쇄하여 얻어지는 산삼 배양 부정근 3~10중량%, 자외선 램프로 살균처리된 동해 심층수 80~87중량%, 양파, 마늘, 생강을 1시간 끓이고 여과지에 걸러 얻어진 통상의 액상 양념 3~17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 배양 부정근과 동해 심층수를 함유하는 염지액.
KR1020060109967A 2006-11-08 2006-11-08 산삼 배양 부정근과 동해 심층수를 함유하는 염지액의제조방법 KR100839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967A KR100839856B1 (ko) 2006-11-08 2006-11-08 산삼 배양 부정근과 동해 심층수를 함유하는 염지액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967A KR100839856B1 (ko) 2006-11-08 2006-11-08 산삼 배양 부정근과 동해 심층수를 함유하는 염지액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851A KR20080041851A (ko) 2008-05-14
KR100839856B1 true KR100839856B1 (ko) 2008-06-19

Family

ID=39648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967A KR100839856B1 (ko) 2006-11-08 2006-11-08 산삼 배양 부정근과 동해 심층수를 함유하는 염지액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8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615B1 (ko) * 2015-04-30 2017-01-11 황인숙 생강차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172A (ko) * 2003-08-11 2005-02-22 김관호 한방 김치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한방김치
KR20060063219A (ko) * 2004-12-07 2006-06-12 안경모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만두제조방법 및 그 만두제조용반죽소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172A (ko) * 2003-08-11 2005-02-22 김관호 한방 김치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한방김치
KR20060063219A (ko) * 2004-12-07 2006-06-12 안경모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만두제조방법 및 그 만두제조용반죽소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851A (ko) 200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04812B (zh) 麻辣味竹笋及其制备方法
KR101294654B1 (ko) 삼채를 포함하는 김치제조용 양념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
KR101930772B1 (ko) 동결건조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동결건조김치
KR20170092365A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기능성 건조 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99205B1 (ko) 천일염의 간수 제거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능성 칼라 소금의 제조방법 및 기능성 칼라 함수의 제조방법
KR100839856B1 (ko) 산삼 배양 부정근과 동해 심층수를 함유하는 염지액의제조방법
CN102630900A (zh) 紫薯粉及其制备方法
KR101578885B1 (ko) 전복게우를 포함하는 미역국의 제조방법.
CN102823845A (zh) 一种特殊辣椒酱的制作方法
KR101761551B1 (ko) 함초추출물이 코팅된 볶은 함초소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볶은 함초소금
KR101887860B1 (ko) 내염성 미생물로 발효한 함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함초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89380A (ko) 약초 굴비 제조방법
CN104543932A (zh) 一种保健盐的生产方法
KR20150060239A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가금육의 가공방법
CN103704687B (zh) 一种具有降血压功能的调味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30069230A (ko) 한방 저염 김치의 제조방법
KR101195322B1 (ko) 마늘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95387A (ko) 함초를 이용한 가금류 염지제의 제조방법
KR102062632B1 (ko) 다슬기국 제조방법
KR101608233B1 (ko) 맥반석 액상 추출액과 그의 제조방법
KR101687242B1 (ko) 초피나무 성분을 이용한 소스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56523B1 (ko) 기능성 천일염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기능성 천일염
KR20040102587A (ko) 새우액젓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284547B1 (ko) 칼슘 죽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31580B1 (ko) 액젓 분말 조미료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