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198B1 -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콜 서버, 단말기 및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콜 서버, 단말기 및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198B1
KR100838198B1 KR20060134511A KR20060134511A KR100838198B1 KR 100838198 B1 KR100838198 B1 KR 100838198B1 KR 20060134511 A KR20060134511 A KR 20060134511A KR 20060134511 A KR20060134511 A KR 20060134511A KR 100838198 B1 KR100838198 B1 KR 100838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ll
customer
vehicle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134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희
이정훈
이현주
오원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60134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19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콜 서버, 단말기 및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으로부터 콜 요청신호가 접수된 경우, 고객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주변 차량을 선정하여 배차하고, 차량 단말기로부터 콜 승인 요청이 접수된 경우 차량의 단말기에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차량은 출발지 혹은 목적지까지 경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콜 서비스 제공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위치 정보를 기초로 고객 혹은 기사가 별도로 설명하지 않더라도 유기적으로 네비게이션 서비스와 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담원 대기가 필요없어 콜 서비스 시스템 운영의 효율성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고객은 편리하게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고, 고객이 미리 등록한 핸드폰과 같은 통신기기로 고객의 탑승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신뢰도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콜 서버, 단말기 및 저장매체{SYSTEM AND METHOD FOR CALL SERVICE, CALL SERVER, USER TERMINAL AND STORAGE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콜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싱예에 따른 콜 서버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 배차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 접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 접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콜 서비스 시스템, 콜 서버, 단말기,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콜 서비스는 고객 주변에서 손님이 없는 차량(이하 '공차'라고도 한다)과 고객을 연결하는 서비스로 주로 유인 콜로 운영된다. 유인 콜은 고객이 전화를 하면 상담원이 전화를 받아서 고객의 위치와 목적지를 확인하고, 상담원이 차량에 설치 된 단말기를 통해 택시와 고객을 연결시키는 서비스이다.
일반적으로, 유인 콜 시스템은 고객이 전화를 걸면 콜센터 상담원이 고객의 출발지/목적지를 확인하여, 단말기가 장착된 모든 차량에 대해 출발지와 목적지정보를 제공하고, 고객 탑승을 원하는 택시를 선정한다.
유인 콜 시스템의 경우, 유인 콜 센터에서 차량의 위치를 알지 못해 불필요하게 많은 차량에게 고객 콜 정보를 제공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고객의 증감에 따라 상담원 증감이 필요했다. 이 때, 고객 콜이 증가하여 상담원 수를 증가시키는 경우, 고객 수 감소에 따른 즉각적인 상담원 수 감소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센터 운영의 효율성이 떨어졌다. 또한 고객의 위치에 상관없이 차량이 선정됨에 따라 차량 선정에 있어서의 공정성 문제도 있었다.
한편, 고객들을 목적지 까지 안내하는 택시와 같은 차량들은 고객이 신뢰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을 위해 별도의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때, 콜처리용 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따로 설치됨에 따라 단말기 운용 및 고객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졌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 콜 서비스 제공시 효율성을 제고하고, 특히 차량 위치 혹은 고객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유기적으로 네비게이션 서비스와 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네비게이션을 이 용한 콜 서비스 시스템은 고객으로부터 콜 요청신호가 접수된 경우, 고객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주변 차량을 선정하여 배차하고, 차량 단말기로부터 콜 승인 요청이 접수된 경우 차량의 단말기에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차량이 출발지 혹은 목적지까지 경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콜 서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콜 서버는, 고객의 콜 요청에 대한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콜 서버로서, 고객의 콜 요청 정보(출발지 정보 혹은 목적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를 전달받는 콜 접수부; 출발지 정보를 기초로 주변 차량들을 선정하여 콜 요청 정보를 제공하고, 콜 승인 차량 중 출발지에 가까운 차량을 선정하며, 차량 단말기에 출발지 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차량이 출발지까지 경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콜 배차 선정부; 고객의 과거 콜 요청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고객의 콜 요청시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는 고객 정보 처리부; 및 차량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콜 배차 선정부에 제공하는 관제처리부를 포함한다.
또,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단말기는, 차량에 설치되어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로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고객의 콜 요청에 대해 배차 성공 메시지를 전송받은 경우 고객의 출발지까지 자동으로 경로를 안내하거나, 고객 탑승 후 미터기의 승차버튼 클릭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달받은 목적지까지 자동으로 경로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모듈; 및 콜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콜 요청 정보가 전송되면 콜 요청이 접수되었음을 표시 하고, 차량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콜 요청에 대한 승인 신호를 상기 콜 서비스 시스템에 전송하는 콜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콜 서비스 방법은, a) 고객으로부터 콜 요청 신호가 접수된 경우, 고객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출발지를 파악하여 주변 차량에 대해 콜 요청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b) 콜 승인 요청이 접수된 경우, 고객의 출발지로부터 가까운 차량을 최종 선정하고 출발지 및 목적지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차량이 출발지혹은 목적지까지 경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저장매체는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이다.
또는,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저장매체는,차량에 설치된 단말기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로서, a)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콜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콜 요청 정보가 전송되면, 콜 요청이 접수되었음을 표시하는 기능; b)차량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콜 요청에 대한 승인 신호를 상기 콜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기능; c)상기 콜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배차 성공 신호를 전송받은 경우 전달받은 출발지까지 자동으로 경로를 안내하거나, 고객 탑승 후 미터기의 승차버튼 클릭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달받은 목적지까지 자동으로 경로를 안내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 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 서비스 시스템(200)과 단말기(100) 전체 그림이다.
단말기(100)는 네비게이션 및 콜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네비게이션 진행 중 혹은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다른 기능 실행 중에 고객의 콜 요청 정보가 전송된 경우, 콜 요청 정보 관련 사항을 우선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콜 요청 정보 관련 사항을 우선 처리한 다음, 콜 관련 처리 완료 후에 종래 수행중이던 기능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고객의 콜 요청 정보 전송시 고객의 목적지 정보가 함께 전송된 경우, 고객 승차 후 접수된 목적지까지 네비게이션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음성 센터(400)는 고객의 콜 요청시, 고객이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출발지와 목적지를 지정할 경우, 음성 인식 절차에 따라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다.
중계 서버(300)는 고객 콜과 단말기, 그리고 콜 서비스 시스템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으며, 고객이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콜 요청을 할 경우 기지국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중계 서버(300)는 통신 기기를 이용한 고객의 요청과, 차량에 배치된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분리하여 음성 센터(400) 혹은 콜 서버(500)로 전달할 수 있다.
콜 서버(500)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의 콜 요청을 접수하고, 고객 주변의 차량을 선정하여 배차하며, 차량의 단말기(100)로부터 콜 승인 요청을 받은 경우 고객에게 배차된 차량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콜 서버(500)는, 고객이 해당 차량에 탑승한 경우, 고객의 탑승 정보를 미리 지정된 통신기기에 대해 전송할 수도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2는 차량에 설치되는 단말기(100)의 상세 구성도로서, 단말기(100)는 네비게이션 모듈(110) 및 콜 처리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콜 처리 모듈(120)은 미터기 연동부(121), 위치 전송부(123), 네비게이션 연동부(125) 및 콜 기능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모듈(110)은 GPS 모듈을 포함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콜 서비스 시스템(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모듈(110)은 차량에 대해 고객이 원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모듈(110)은 출발지 및 목적지 명칭 검색등을 통해 네비게이션 모듈(110) 자체에서 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무선망등을 통해 센터로부터 전송받은 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모듈(110)은 목적지 관련 정보를 콜 서비스 시스템(200)으로부터 제공받은 경우, 고객 탑승 후 미터기의 승차버튼 클릭 이벤트가 발생하면 경로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터기 연동부(121)는 차량에 설치된 미터기와 연동하여 미터기에 설치된 탑승 또는 하차 버튼 클릭 이벤트를 감지하여, 차량의 상태 정보가 변경되었을 경우(예를 들어 공차 상태에서 승차 상태로 변경되거나, 승차 상태에서 공차 상태로 변경된 경우) 콜 서비스 시스템(200)에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위치 전송부(123)는 GPS 모듈을 통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일정 주기로 콜 서비스 시스템(200)에 전송하며, 미터기 연동부(121)에서 감지한 차량 상태 정보 변경 이벤트를 콜 서비스 시스템(2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콜의 배차는 차량이 공차 상태일 때 이루어져야 하므로, 위치 전송부(123)는 미터기 연동부(121)에서 감지한 미터기의 버튼 클릭 이벤트를 통해, 고객의 탑승 상태가 변경된 경우 상태 정보를 콜 서비스 시스템(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GPS 모듈의 위치 정보에 오류가 포함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위치 전송부(123)는 GPS 위성 개수와 HDOT 값에 따라 불필요한 정보는 제외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연동부(125)는 콜 서비스 시스템(200)으로부터 고객의 목적지 정보 혹은 출발지 정보를 전달 받은 경우, 해당 정보를 네비게이션 모듈(110)에 전달 하여 네비게이션 모듈(110)이 고객의 위치까지 경로를 탐색하도록 하거나, 고객 승차시 고객의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경로를 탐색하도록 할 수 있다.
콜 기능부(127)는, 콜 서비스 시스템(200)으로부터 고객이 콜 요청 정보가 전송되면, 콜 요청이 접수되었음을 단말기(100) 상에 표출할 수 있고, 차량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콜 요청에 대한 승인 의사를 콜 서비스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승인한 콜 요청에 대한 취소 의사 정보를 콜 서비스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콜 기능부(127)는 차량운전자의 콜 승인의사에 대응하여, 실제 고객이 선정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콜 서비스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받아 단말기 (100)상에 표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콜 기능부(127)는 콜 고객 선정 이후, 콜 고객의 탑승 성공 혹은 탑승 실패 정보를 콜 서비스 시스템(200)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 서버(500)의 상세 구성도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 서버(500)는 콜 접수부(510), 고객정보처리부(530), 콜 배차 선정부(520) 및 관제 처리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콜 접수부(510)는 이동통신기기 혹은 일반유선 전화기 등을 통한 콜 요청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이 때 고객은 미리 지정된 특수번호를 이용하여 콜 요청을 할 수 있고, 중계 서버(300)로부터 이동통신기기의 기지국 위치 정보를 전달받 은 때, 고객의 위치가 맞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의 위치가 잘못 지정된 경우, 음성센터(400)를 통해 음성으로 인식된 고객의 위치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콜 접수부(510)는 고객의 목적지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으며, 이 때, 고객이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목적지를 설정한 경우, 음성센터(400)를 통해 인식된 목적지 정보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콜 배차 선정부(520)는 고객으로부터 접수된 콜을 차량의 단말기(100)에 전송하여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콜 배차 선정부(520)는 고객 주변에 공차 상태인 차량들을 선정하여 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콜 배차 선정부(520)는, 차량에 배치된 단말기(100)로부터 콜 요청에 대한 승인 정보를 받은 경우, 승인 차량 중에서 고객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배치된 차량을 선정하여 선정된 차량에게는 선정되었음을 통보하고, 탈락한 차량에 대해서는 탈락되었음을 통보할 수 있다. 그리고, 콜 배차 선정부(520)는 고객에게도 선정된 차량 관련 배차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콜 배차 선정부(520)는 단말기(100)로부터 탑승 성공 메시지를 전송받은 경우, 미리 지정된 통신기기에 고객의 탑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탑승정보는 고객이 탑승한 차량정보, 고객의 탑승시간, 고객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콜 차량 탑승에 따른 고객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고객정보처리부(530)는 콜 접수부(510)와 연계되어, 고객이 이용한 출발지, 목적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동일한 출발지 혹은 목적지 설정에 따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객정보처리부(530)는 사용하지 않은 출발지 혹은 목적지에 대해서는 POI(Point of Interest)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음성인식 절차를 통해 출발지 혹은 목적지 설정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고객정보처리부(530)는 고객이 과거에 요청한 목적지와 현 위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여, 해당 고객이 다시 콜 요청을 한 경우 별도의 위치 선정 절차 없이 저장된 출발지 혹은 목적지로부터 선택하여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고객정보처리부(530)는 고객이 콜 요청시 출발지 혹은 목적지를 정확하게 입력하지 않은 경우, 단말기(100)로부터 고객의 탑승 성공 정보를 전송받은 때 해당 위치를 고객의 탑승 위치 혹은 출발지로 저장할 수 있고, 고객의 하차 위치를 목적지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정보처리부(530)는 고객의 출발지 혹은 목적지 정보 저장시, 해당 위치에서 공간 검색을 통해 POI 데이터베이스 중 가장 적합한 명칭을 저장하여, 이를 최근 사용한 출발지 혹은 목적지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관제처리부(540)는 차량에 배치된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 위치 정보를 기초로 차량 업체에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차량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콜 배차 선정부(520)에 차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 배차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고객으로부터 중계 센터(300)를 통해 콜 요청 정보가 전송되면, 콜 배차 선정부(520)는 고객의 위치 혹은 출발지 주변의 공차인 차량들을 선정하여 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00~S105).
다음, 차량의 단말기(100)로부터 콜 승인 메시지가 전달된 경우, 승인 차량 중에서 고객의 위치 혹은 출발지로부터 가장 가까운 차량을 선정하고, 선정된 차량에게는 배차 성공 정보를 제공하고, 탈락한 차량에 대해서는 배차 탈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107~S115).
그리고, 고객이 선정된 차량에 탑승하여 미터기의 승차버튼으로부터 클릭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콜 배차 선정부(520)는 고객의 탑승 성공을 인식하고 미리 지정된 통신기기로 고객의 탑승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15,S117,S121,S123)
다음, 고객이 목적지에 도착하고, 미터기의 공차버튼으로부터 클릭이벤트가 발생하면, 차량의 상태변경 정보가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고, 고객정보처리부(530)는 하차 위치를 고객의 목적지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S125).
이때, 선정된 차량으로부터 정해진 시간 이내에 미터기의 승차버튼 클릭 이벤트가 접수되지 않은 경우, 해당 차량의 단말기(100)에 대해 실패 정보를 전송하고 새로운 차량을 선정할 수 있고 고객의 통신기기에 대해서도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119).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객의 콜 요청이 접수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이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해서 별도로 지정된 번호로 콜 서비스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콜 요청을 하는 경우, 콜 서버(500)에서는 고객 정보를 조회하여 접속회수를 판별할 수 있다(S200, S201).
이 때, 접속 횟수가 예를 들어 2회 미만인 경우, 고객의 요청에 따라 도움말을 제공할 수도 있다(S205, S207)
다음 접속횟수가 예를 들어 2회 이상인 경우, 본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축적된 고객으로 판단하여 별도의 도움말을 제공하기 않고, 고객의 이동통신기기의 기지국 위치를 기초로 고객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S203, S209)
이 때, 기지국 위치를 통한 출발지 파악이 어려운 경우, 음성 인식 절차에 따라 고객이 음성으로 출발지를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S211).
다음, 출발지 설정 이후, 저장된 고객 정보에 등록된 목적지가 있는 경우, 고객에게 등록된 목적지를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이 원하는 목적지가 맞는 경우, 차량의 단말기(100)에 해당 목적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13,S215).
그리고, 고객에 대해 등록된 목적지가 없는 경우, 목적지 입력 여부를 문의하여 고객이 원하는 경우, 음성 인식 절차를 통해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다(S217).
이 때 고객 정보 조회 결과, 해당 고객이 탑승 정보 전송 서비스 신청자인 경우, 지정된 통신기기에 고객의 탑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21). 그리고 해당 고객이 탑승 정보 전송 서비스를 신청하지 않은 경우, 서비스 신청여부를 문의하여서비스 등록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S219).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객이 일반적인 유선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콜 요청을 할 경우 콜 접수 방법을 설명한 그림이다.
우선 고객이 통신기기를 이용해서 별도로 지정된 번호로 콜 서비스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콜 요청을 하는 경우, 콜 서버(500)에서는 고객 정보를 조회하 여 접속횟수를 판별할 수 있다(S300, S301).
이 때, 접속 횟수가 예를 들어 2회 미만인 경우, 고객의 요청에 따라 도움말을 제공할 수도 있다(S305, S307)
다음 접속횟수가 예를 들어 2회 이상인 경우, 본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축적된 고객으로 판단하여 별도의 도움말을 제공하기 않고, 별도로 지정되거나 고객정보에 등록된 출발지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03).
그리고, 지정된 혹은 등록된 출발지 정보가 존재하고 실제 출발지로 확인된 경우, 지정되거나 고객 정보에 등록된 목적지 정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S309, S313). 이 때, 별도로 설정된 출발지가 없는 경우, 고객의 음성을 통해 출발지를 설정할 수도 있다(S311).
다음, 고객 정보에 등록된 목적지 정보가 있거나 새롭게 지정된 목적지가 있는 경우, 고객에게 등록된 목적지를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이 원하는 목적지가 맞는 경우, 차량의 단말기(100)에 해당 목적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315).
그리고, 고객에 대해 등록된 목적지가 없는 경우, 목적지 입력 여부를 문의하여 고객이 원하는 경우, 음성 인식 절차를 통해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다(S317).
이 때 고객 정보 조회 결과, 해당 고객이 탑승 정보 전송 서비스 신청자인 경우, 지정된 통신기기에 고객의 탑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21). 그리고 해당 고객이 탑승 정보 전송 서비스를 신청하지 않은 경우, 서비스 신청여부를 문의하여 서비스 등록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S319).
이상 설명한 바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있어 자명한 사항에 대하여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등록된 고객의 출발지 혹은 목적지 정보가 없는 경우, 음성 인식절차를 통해 출발지 혹은 목적지 정보를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신기기의 입력부를 통해 문자입력 혹은 키워드 입력을 통해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고객의 콜 요청시 사용되는 통신 기기는 이동통신기기, 유선전화기 뿐만 아니라 휴대용 혹은 데스크탑 컴퓨터를 포함한 다양한 통신기기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 구성은 각 기능에 따라 추가될 수도 있고, 통합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 차량이 고객 콜에 대한 승인 거부를 하거나, 사후에 고객의 불만이 접수되는 경우, 차량 서비스 평가를 통해 해당 차량에 페널티를 부과할 수 있고, 콜 배차 선정부는 해당 차량에 대해 콜 배차가 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 기재사항 및 이와 균등 사항으로 인정되는 모든 기술요소를 포함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르면, 차량 콜 서비스 제공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위치 정보를 기초로 고객 혹은 기사가 별도로 설명하지 않더라도 유기적으로 네비게이션 서비스와 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담원 대기가 필요없어 콜 서비스 시스템 운영의 효율성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고객은 편리하게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고, 고객이 미리 등 록한 핸드폰과 같은 통신기기로 고객의 탑승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신뢰도도 높일 수 있다.

Claims (25)

  1. 콜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고객으로부터 콜 요청신호가 접수된 경우, 고객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주변 차량을 선정하여 배차하고, 차량 단말기로부터 콜 승인 요청이 접수된 경우 차량의 단말기에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차량이 출발지 혹은 목적지까지 경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고객 탑승 성공 신호를 전송받은 경우, 고객이 미리 정한 통신기기로 탑승정보(차량정보, 탑승시간,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를 전송하는 콜 서버를 포함하는
    콜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고객으로부터의 요청 신호와 차량의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구분하여 상기 콜 서버에 전송하는 중계 서버를 더 포함하는
    콜 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고객이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콜 요청을 할 경우, 이동통신기기의 기지국 위치를 파악하여 출발지 정보로 획득하는
    콜 서비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고객의 음성을 인식하여 출발지 정보 혹은 목적지 정보를 획득하는 음성센터를 더 포함하는
    콜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콜 서버는,
    고객의 콜 요청 정보(출발지 정보 혹은 목적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를 전달받는 콜 접수부;
    출발지 정보를 기초로 주변 차량들을 선정하여 콜 요청 정보를 제공하고, 콜 승인 차량 중 출발지에 가까운 차량을 선정하는 콜 배차 선정부;
    고객의 과거 콜 요청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고객의 콜 요청시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는 고객 정보 처리부; 및
    차량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콜 배차 선정부에 제공하는 관제처리부를 포함하는
    콜 서비스 시스템.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처리부는,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콜 배차 선정부에 제공하여, 고객 콜 요청시 출발지 근처의 공차 상태인 차량이 선정되도록 하는
    콜 서비스 시스템.
  8. 고객의 콜 요청에 대한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콜 서버에 있어서,
    고객의 콜 요청 정보(출발지 정보 혹은 목적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를 전달받는 콜 접수부;
    출발지 정보를 기초로 주변 차량들을 선정하여 콜 요청 정보를 제공하고, 콜 승인 차량 중 출발지에 가까운 차량을 선정하며, 차량 단말기에 출발지 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차량이 출발지까지 경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차량 단말기로부터 공차 상태에서 탑승 상태로 변경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미리 지정된 통신기기로 고객의 탑승 정보를 전송하는 콜 배차 선정부;
    고객의 과거 콜 요청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고객의 콜 요청시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는 고객 정보 처리부; 및
    차량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콜 배차 선정부에 제공하는 관제처리부를 포함하는
    콜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콜 배차 선정부는,
    출발지 주변의 공차 상태인 차량들에게 콜 요청 정보를 제공한 후, 콜 승인 차량 중 출발지로부터 가장 가까운 차량을 선정하여, 선정된 차량 및 탈락된 차량 각각에게 선정 혹은 탈락 정보를 제공하는
    콜 서버.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정보는,
    고객이 탑승한 차량 정보, 고객의 탑승 시간, 고객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콜 서버.
  12. 제8항 내지 제9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정보 처리부는, 고객의 출발지 정보 혹은 목적지 정보가 전송되지 않은 경우, 고객의 탑승 위치를 해당 고객의 출발지 정보로 저장하거나 고객의 하차 위치를 고객의 목적지 정보로 저장하는
    콜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정보 처리부는, POI(Point of Interest) 데이타베이스를 포함하여, 고객의 출발지 정보 혹은 목적지 정보가 전송되지 않은 경우, 고객의 탑승 위치 혹은 하차 위치에서 공간검색을 수행하고, 상기 POI(Point of Interest) 데이타베이스 중 해당 명칭을 최근 사용한 출발지 혹은 목적지로 저장하는
    콜 서버.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처리부는,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콜 배차 선정부에 제공하여, 고객 콜 요청시 출발지 근처의 공차 상태인 차량이 선정되도록 하는
    콜 서버.
  15. 차량에 설치되어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고객의 콜 요청에 대해 배차 성공 메시지를 전송받은 경우 고객의 출발지까지 자동으로 경로를 안내하거나, 고객 탑승 후 미터기의 승차버튼 클릭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달받은 목적지까지 자동으로 경로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모듈; 및
    콜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콜 요청 정보가 전송되면 콜 요청이 접수되었음을 표시하고, 차량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콜 요청에 대한 승인 신호를 상기 콜 서비스 시스템에 전송하는 콜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콜 처리 모듈은,
    차량에 설치된 미터기와 연동하여, 미터기에 설치된 탑승 또는 하차 버튼 클릭 이벤트를 감지하여, 차량의 상태 정보가 변경된 경우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미터기 연동부;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차량 상태 변경 정보를 상기 콜 서비스 시스템에 전송하는 위치 전송부;
    상기 콜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목적지 정보 혹은 출발지 정보를 전달받은 경우, 해당 정보를 상기 네비게이션 모듈에 전달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모듈이 해당 경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네비게이션 연동부; 및
    콜 요청 정보가 전송되면 콜 요청이 접수되었음을 표시하고, 차량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콜 요청에 대한 승인 신호를 전송하는 콜 기능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콜 기능부는,
    콜 고객의 탑승 성공 혹은 탑승 실패 정보를 상기 콜 서비스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말기.
  18.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고객으로부터 콜 요청 신호가 접수된 경우, 고객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출발지를 파악하여 주변 차량에 대해 콜 요청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b) 콜 승인 요청이 접수된 경우, 고객의 출발지로부터 가까운 차량을 최종 선정하고 출발지 및 목적지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차량이 출발지혹은 목적지까지 경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단계는,
    고객의 과거 콜 요청 정보를 조회하여 등록된 출발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등록된 출발지 정보를 이용하거나 고객음성을 인식하여 출발지를 파악하는 단계인
    콜 서비스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고객이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콜 요청을 한 경우, 이동통신기기의 기지국 위치를 기초로 고객의 출발지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콜 서비스 방법.
  20. 삭제
  21. 제18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발지 파악 이후 고객의 목적지 정보가 없는 경우, 목적지 입력 여부를 문의하여 고객이 원하는 경우 고객 음성을 인식하여 목적지를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콜 서비스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이후,
    미리 지정된 통신기기로 고객의 탑승 정보(고객이 탑승한 차량 정보, 고객의 탑승 시간, 고객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콜 서비스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고객의 과거 콜 요청 정보를 조회하여 등록된 출발지 혹은 목적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등록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고객 음성을 통해 인식된 출발지 혹은 목적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인
    콜 서비스 방법.
  24. 제18항, 제19항,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25. 삭제
KR20060134511A 2006-12-27 2006-12-27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콜 서버, 단말기 및 저장매체 KR100838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34511A KR100838198B1 (ko) 2006-12-27 2006-12-27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콜 서버, 단말기 및 저장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34511A KR100838198B1 (ko) 2006-12-27 2006-12-27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콜 서버, 단말기 및 저장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198B1 true KR100838198B1 (ko) 2008-06-13

Family

ID=3977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134511A KR100838198B1 (ko) 2006-12-27 2006-12-27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콜 서버, 단말기 및 저장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1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8004A (ko) * 2012-12-13 2014-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목적지 기반 택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55835B1 (ko) * 2017-03-07 2018-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477A (ko) * 2001-06-18 2001-08-30 이재욱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자동연결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477A (ko) * 2001-06-18 2001-08-30 이재욱 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자동연결 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8004A (ko) * 2012-12-13 2014-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목적지 기반 택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55835B1 (ko) * 2017-03-07 2018-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4879B2 (ja) 同一の移動パスに沿って移動する装置を関連付け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3198883B2 (ja) 移動スケジュール処理装置
US8311560B2 (en) Method of calling a vehicle and mobile terminal for the same
JP2003317191A (ja) タクシー配車受付方法
JP2004192366A (ja) 配車システム
JP2006234813A (ja) 大衆交通情報案内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3331394A (ja) 配車管理方法、配車管理システム、サーバ、顧客端末および営業車端末
CN101321321B (zh) 服务于远程可访问页面的系统及请求导航相关信息的方法
JP2014029580A (ja) タクシー配車アプリケ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配車プログラム
JP2008269347A (ja) タクシー配車装置、タクシー端末装置、タクシー配車システム、タクシー配車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346634A (ja) タクシー配車システム及びタクシー配車プログラム
JP2006284246A (ja) タクシー経路検索システム
CN102016902B (zh) 呼叫服务的系统和方法、呼叫服务器和用户终端
JP2006338465A (ja) 迎車予約システム、タクシーの迎車予約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838198B1 (ko)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콜 서버, 단말기 및 저장매체
KR100507232B1 (ko) 택시의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291193A (ja) 配車要求応答情報通信システム並びに配車要求装置及び車載移動局
JP2002310718A (ja) 乗降案内方法およびシステムと乗降案内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298288A (ja) 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KR20140100006A (ko) 다국어 콜택시 정보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074119A (ja) 配車予約システム
CN110941253B (zh) 驾驶评价装置、驾驶评价系统、驾驶评价方法及存储介质
JP3529357B2 (ja) 最適車両配車方法および最適車両配車システム
KR20010097444A (ko) 이동전화, 유선전화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 근접 차량 호출방법
KR20160041204A (ko) 버스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