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182B1 - 전자 장치 및 무선 통신 단말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무선 통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182B1
KR100834182B1 KR1020067014485A KR20067014485A KR100834182B1 KR 100834182 B1 KR100834182 B1 KR 100834182B1 KR 1020067014485 A KR1020067014485 A KR 1020067014485A KR 20067014485 A KR20067014485 A KR 20067014485A KR 100834182 B1 KR100834182 B1 KR 100834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lectromagnetic wave
casing
signal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4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4685A (ko
Inventor
마사유키 이케다
이즈미 이이다
노리오 이토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1052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20422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30278A external-priority patent/JP4466269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4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enclosures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or with ball-joint coupling, e.g. PDA with display enclosure orientation changeable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by rotation with respect to a coplanar body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동일 케이싱 내에 있어서, 송신 신호를 전자파 신호로 변환하는 수단과 상기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복원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고속 대용량의 전송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무선 통신 단말{ELECTRONIC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표시 소자나 촬상 소자 등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필요로 하는 소자를 내장하는 전자 장치 및 무선 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나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등의 기능 향상은 눈부시며, 내장되는 표시 소자나 촬상 소자의 고 분해능화 및 고 정세화(精細化)가 요구되어,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특히 휴대전화에 있어서는, 카메라 기능의 내장이나 표시 화면의 대형화 등의 고 기능화와 더불어 소형 경량화 및 저 소비전력화가 요구되어, 그 케이싱 구조도 클램쉘형 또는 플립형이라 불리는 폴더형이 주류가 되어 오고 있다.
도 15는, 표시 소자로서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체를 사용한 전자 장치의 전형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6은 그 타임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701)는, JPEG나 MPEG 등의 압축 화상이나 동화상 데이터로부터의 신장이나 연산에 의해, 액정 표시체(708)에 표시해야 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CPU(701)는, 표시해야 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면, 그 화상 데이터를 비디오 메모리(702)에 기록한다. 액정 컨트롤러(703)는, 액정 표시에 필요한 각종 타이밍, 즉 X 드라이버(713)의 X 클럭 신호(715) 및 수평 동기 신호(714), Y 드라이버(707)의 수직 동기 신호(718)를 생성하고, 또 비디오 메모리(702)로부터 표시해야 할 순서에 따라서 화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액정 표시체(708)의 드라이버(X 드라이버(713) 및 Y 드라이버(707))에 송출한다. 여기서, X 드라이버(713)는, 액정 표시체(708)의 화소가 n행 m열로 구성되는 경우, m단의 시프트 레지스터(704), m워드의 래치(705) 및 m개의 DA 변환기(706)로 구성된다.
액정 컨트롤러(703)는, 표시 프레임의 선두의 화소를 독출할 때, 수직 동기 신호(718)를 발생하여 Y 드라이버(707)에 송출한다. 이 때 동시에, 액정 컨트롤러(703)는, 액정 표시체(708)의 1행 1열째의 화소에 표시하는 데이터를 비디오 메모리(702)로부터 독출하여, 표시 데이터 신호(716)로서 래치(705)의 데이터 단자에 송출한다.
X 시프트 레지스터(704)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컨트롤러(703)가 발생하는 수평 동기 신호(714)를 X 클럭 신호(715)에 동기하여 읽어들여, 제1열째의 화상 데이터를 래치하기 위한 신호 X1 래치(도 16(c))를 발생한다. 이 신호에 의해 1행 1열째의 화소에 표시되는 데이터가 래치(705)의 1열째에 래치된다. 계속해서, 액정 컨트롤러(703)는, 비디오 메모리(702)로부터 다음 화소에 표시해야 할 데이터를 독출하여 래치(705)에 출력한다. X 드라이버(713)의 X 시프트 레지스터(704)는 수평 동기 신호(714)를 1개 시프트시키고, 제2열째 화상 데이터를 래치하기 위한 신호 X2 래치(도 16(d))를 발생시켜, 1행 2열째의 화상 데이터를 래치(705)에 래치시킨다.
이하, X 시프트 레지스터(704)는 수평 동기 신호(714)를 순차적으로 시프트시켜, 1행째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래치(705)에 래치시켜 간다. 1행분의 데이터를 래치(705)가 다 저장하면, 다음 수평 동기 신호(714)(도 16(a) 및 도 16(h), 또한 도 16에서는 (a)∼(f)와 동 도면 (g)∼(k)에서 가로축의 타임 스케일이 바뀌어 있는 것을 주의하기 바란다. 그 때문에 동일 신호인 수평 동기 신호는 (a)에 추가해 (h)가 재게되어 있다)가 출력되고, DA 변환기(706)는 래치(705)에 유지된 데이터를 DA 변환하여, 열 전극(710)의 i번째(1≤i≤m)로 출력한다. 동시에 Y 드라이버(707)는 1행째의 행 전극(709)에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동일하게, Y 드라이버(707)는, 행 전극(709)의 j번째(1≤j≤n)로 출력되는 선택 신호를 수평 동기 신호(714)가 나올 때마다 순차적으로 시프트해 간다.
도 15의 일점쇄선(718) 내는 액정 표시체(708)의 매트릭스 배치된 1화소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액티브 스위치 소자(711)는 행 전극(709)의 j번째가 선택되면, 열 전극(710)의 i번째로 출력된 DA 변환기(706)의 출력을 화소 전극(712)에 전달한다. 또한, DA 변환기(706)를 액정 컨트롤러(703)측에 1개 두고, 표시 데이터 신호(716)를 아날로그 신호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래치(705)는 아날로그의 샘플 앤 홀드 회로가 된다. 이 방법은 DA 변환기(706)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종래 많이 사용되었으나, DA 변환기(706)라 해도 최종적으로 화소 전극(712)에 인가되는 전압치가 소정치로 되어 있으면 되며, 펄스폭 변조 등의 디지털 회로를 사용할 수 있고, 아날로그의 샘플 앤 홀드 회로가 불필요해지므로, LSI의 고 밀도화에 따라, 여기서 설명한 방법이 주류가 되어 오고 있다.
단, 이 방법에서는 표시 데이터 신호(716)는 디지털 신호로 보내어지므로, 신호선의 수가 대단히 많아져, 예를 들면 8비트×3원색의 총 24개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행의 우단의 표시 데이터 신호(716)가 액정 컨트롤러(703)로부터 출력된 후, 다음 행의 좌단의 표시 데이터 신호(716)가 출력되기까지의 시간, 또 화면의 최하행의 표시 데이터 신호(716)의 출력이 끝나고 나서, 다음 프레임의 최초의 행의 표시 데이터 신호(716)가 출력되기까지의 시간은, (수평, 수직) 블랭킹 기간 또는 귀선(歸線) 기간이라 불리며, CRT에서는, 전자 빔을 왕복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0으로 할 수 없지만, 액정 표시체에서는, 액티브 스위치 소자(711)로 화소를 선택하기 때문에 0이어도 된다. 도 16에서는, 1화소분의 수평 귀선 기간, 1행분의 수직 귀선 기간을 취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소자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는, 마침 액정 표시체(708)를 사용하는 경우와 표시 데이터 신호(716)가 전송되는 방향이 반대가 되어, 동일한 회로 구성이 취해진다.
이러한 액정 표시체(708)나 촬상 소자를 내장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대형 표시화, 고 분해능화, 또한 기기의 소형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15의 전자 장치를 실장하는 실장 기판은 복수에 걸친 경우가 많고, 그 경우 도 15의 일점쇄선 717-717'로 실장 기판을 나누는 경우가 많다.
필연적으로, CPU(701)와 액정 표시체(708) 사이의 결선이 길어진다. 또, 도 15의 구성에 촬상 소자를 탑재한 경우에도, 액정 표시체(708)를 사용하는 경우와 표시 데이터 신호(716)가 전송되는 방향이 반대가 되어, 동일한 회로 구성이 취해지므로, CPU(701)와 촬상 소자 사이의 결선이 길어진다.
또, 액정 표시체(708)나 촬상 소자 등의 고 분해능화에 따라, 그들의 선로의 신호 주파수가 높아져, CPU(701)와의 접속이 곤란해지고 있다. 특히, 클램쉘형 구조에서는, 가는 힌지 부분을 통해 양자가 접속되는 구조가 된다. 이 때문에, 액정 표시체(708)나 촬상 소자의 고 분해능화에 따라, 도 15의 일점쇄선 717-717'으로 실장 기판을 나누었을 때의 양 기판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량도 많아져, 고속 전송 기술이 필요해지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속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서, 예를 들면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을 액정 표시체(708)나 촬상 소자의 접속에 사용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공보 3086456(단락 44) 및 일본 특허공보 3330359(단락 46)). 일본 특허공보 3349426 및 일본 특허공보 3349490 등에서는, 이 방식으로도 충분한 해결이 얻어지지 않는다고 해서, 새로운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의 액정 표시체(708)의 대형화의 진전은 눈부시며, 이들 기술에서도 충분한 성능을 얻을 수 없다. 충분한 대 노이즈 특성(내(耐)간섭성, 여(與)간섭성)을 얻기 위해서는, 세심한 설계와 조정이 요구된다. 또, LVDS에서는, 신호 레벨이 작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디지털 IC로 아날로그 신호를 취급하게 되어, 소비 전력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신호를 정밀도 높게 전송하기 위해서는, 정합이 취해진 임피던스 종단이 필요한데, 임피던스 종단이 필요한 선의 수가 많은 데다 전송 임피던스는 고작 100 옴 정도이기 때문에, 그들 종단 저항에 소비되는 전력을 용인할 수 없을 정도로 커져 버린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도 15의 일점쇄선 717-717'로 실장 기판을 나누면, 긴 배선에 의해 둘러쳐진 선로를 통해 고속이며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선로로부터의 방사 전자계가 증가하게 되어, 다른 전자 기기 또는 자기 기기로의 전자파 방해의 요인이 된다. 종래의 신호선에 의한 신호 전송에서는, 수전단에서의 진폭 레벨이 규정되어 있어, 수전단에서 충분한 품질을 확보하더라도, 신호의 진폭 레벨을 내릴 수 없다. 즉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대책이 곤란해져, 결과적으로 기기 디자인에 대한 제약이나 비용 상승을 야기하고 있다. 또, 송신측에서는, 수전단의 부하에 추가해 선로의 부유 용량도 동시에 구동하게 되므로, 신호 전달에 여분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있다. 즉, 소비 전력을 증대시키는 결과가 되어 있다.
또, 전송 데이터의 고속화에 따른 배선 수의 증대는 배선을 위한 물리적 공간을 요하여, 당연히 기기의 디자인에 대해 큰 제약을 가하게 된다.
특히, 클램쉘형 구조 등에 있어서 배선이 힌지부 등의 가동부를 통과하는 경우는, 가동부의 절곡 상태에 따라 특성 임피던스가 변화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임피던스 부정합이 발생해, 절곡부에서의 반사 등에 의해 신호 열화를 야기한다. 이 때문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속도가 제한되거나, 실장 방법이나 부품의 배치가 제약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액정 표시체(708)나 촬상 소자의 고 분해능화 및 고속화에 대응하기 위 해서는, 힌지부를 통해 교환되는 신호 수는 수십 개가 되는 데다, 힌지부에는 실장 기판 상의 배선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플렉시블 기판을 커넥터를 통해 접속하게 된다. 플렉시블 기판이나 커넥터에 의한 접속은, 비용이 비싼 데다 접속 신뢰성도 낮다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문제나 제약을 갖는 데이터의 고속도 전송 방법을 종래에 없는 완전히 새로운 방법으로 개선하여, 이들 종래의 결점이나 제약을 제거하여, 저 비용으로 신뢰성이 높은 전자 장치 및 무선 통신 단말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송신 신호를 전자파 신호로 변환하는 전자파 변환부와 상기 전자파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한 전자파 신호를 상기 송신 신호로 복원하는 전자파 복원부를 구비하는 제2 부분이, 동일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케이싱 내에 있어서의 신호의 송수신을 전자파에 의해 무선화할 수 있어, 신호는 공간을 전파하여 전달되므로, 케이싱 내에 가동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플렉시블 기판이나 커넥터 등을 사용한 배선의 필요가 없고, 이들에 기인하는 비용 상승이나 신뢰성의 문제가 없어진다. 또,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종단이나 데이터 전송 속도의 고속화에 따라 상승하는 소비 전력의 문제도 회피할 수 있다. 또, 배선의 둘러침이나 부품 배치의 제약이 없어져, 전자 장치의 디자인이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전자파는 동일 케이싱이라는 지근(至近) 거리에서 행해지므로, 이 거리 내에서의 통신을 확보할 수 있기만 하면 되며, 방사 전자파의 강도를 한계까지 내릴 수 있기 때문에, EMI 특성이 본질적으로 개선되어 대책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송신 신호를 전자파 신호로 변환하는 전자파 변환부와 상기 전자파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가 설치된 제1 부분이 수용된 제1 케이싱부와, 상기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한 전자파 신호를 상기 송신 신호로 복원하는 전자파 복원부가 설치된 제2 부분이 수용된 제2 케이싱부와, 상기 제1 케이싱부와 상기 제2 케이싱부 사이의 위치 관계를 바꿀 수 있도록 상기 제1 케이싱부와 상기 제2 케이싱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케이싱 내에 있어서의 신호의 송수신을 전자파에 의해 무선화할 수 있어, 신호는 공간을 전파하여 전달된다. 이 때문에, 제1 케이싱부와 제2 케이싱부의 사이에서 플렉시블 기판이나 커넥터 등을 사용한 배선을 행할 필요가 없어, 이들에 기인하는 비용 상승이나 신뢰성의 문제가 없어진다. 또,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종단이나 데이터 전송 속도의 고속화에 따라 상승하는 소비 전력의 문제도 회피할 수 있다. 또, 배선의 둘러침이나 부품 배치의 제약이 없어져, 전자 장치의 디자인이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전자파는 지근 거리에서 행해지므로, 이 거리 내에서의 통신을 확보할 수 있기만 하면 되며, 방사 전자파의 강도를 한계까지 내릴 수 있으므로, EMI 특성이 본질적으로 개선되어 대책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전자파 신호 변환부는, 적어도 반송파 펄스열을 발생하는 반송파 발생부와, 상기 송신 신호와 상기 반송파 펄스열을 승산하는 승산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배타적 논리합 회로를 사용함으로써 변조를 실현할 수 있어, 적은 하드웨어 비용으로 송신해야 할 신호를 전자파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전자파 복원부는, 적어도 수신 전자파 신호와 반송파 펄스열을 승산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복원하는 승산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배타적 논리합 회로를 사용함으로써 복조를 실현할 수 있어, 적은 하드웨어 비용으로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여 송신된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전자파 변환부는, 적어도 반송파 펄스열을 발생하는 반송파 발생부와, 상기 반송파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반송파를 상기 송신 신호에 의해 위상 변조하는 변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전자파 변환부는, 적어도 수신한 전자파 신호와 반송파 펄스열을 승산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복원하는 승산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적은 하드웨어 비용으로 송신해야 할 신호를 전자파로 변환할 수 있고, 통신에 필요한 점유 대역도 억제할 수 있어, 여간섭 성능(interference-giving performance)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전자파 신호 변환부는, 상기 송신 신호를 코드 다중화하여 확산 변조하는 확산 변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신호를 시리얼 전송에 의하지 않고 다중화하여 보낼 수 있고, 또 확산 이득을 벌 수도 있어, 실시간 특성이 좋은 로버스트(robust)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전자파 변환 수단은, 상기 송신 신호를 UWB 변조하는 UWB 변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파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휴대전화와 같은 전자파 발생이 기본적 기능인 전자 기기의 강전자계 환경화에 있어서도, 고속의 신뢰성이 높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 UWB 통신이면, 법률에 의해 허용되는 최대 방사 전자계의 규정이 완화되어, 보다 수신측의 설계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송신 신호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송신 신호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부분은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독출하여 출력된 상기 송신 신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표시체와 표시체의 제어부 사이에서의 신호의 교환이 무선화되기 때문에, 그 사이의 배선이 불필요해져, 표시체의 대형화에 따라 나타난 여러가지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즉, 클램쉘 구조의 케이싱에서도 용이하게 실장할 수 있고, 플렉시블 기판이나 커넥터와 같은 배선이 필요없어 이들에 기인하는 비용 상승이나 신뢰성의 문제가 없어지고, 높은 전송 속도에도 대응이 가능해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상기 제1 부분은 촬상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 신호에는 상기 촬상 소자에 의해 촬영된 화상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촬상 소자와 촬상 소자에서 얻은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는 호스트측 사이의 신호의 교환이 무선화되기 때문에, 그 사이의 배선이 불필요해져, 촬상 소자의 대형화에 따라 나타난 여러가지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즉, 클램쉘 구조의 케이싱에서도 용이하게 실장할 수 있고, 플렉시블 기판이나 커넥터와 같은 배선이 필요없어 이들에 기인하는 비용 상승이나 신뢰성의 문제가 없어지고, 높은 전송 속도에도 대응이 가능해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특히, 카메라에 있어서는, 광학계와 전자 부품을 동일 케이싱에 실장하지 않으면 안되어, 전자 부품 실장의 제약이 많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의해 이 제약을 완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단말에 의하면, 제1 케이싱부와, 제2 케이싱부와, 상기 제1 케이싱부와 상기 제2 케이싱부 사이의 위치 관계를 바꿀 수 있도록 상기 제1 케이싱부와 상기 제2 케이싱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제1 케이싱부 또는 상기 제2 케이싱부에 탑재된 외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와, 상기 제1 케이싱부에 탑재되어, 상기 외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를 통해 행해지는 외부 무선 통신의 제어를 주로 담당하는 외부 무선 통신 제어부와, 상기 제2 케이싱부에 탑재된 표시부와, 상기 제1 케이싱부에 탑재된 제1 내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와, 상기 제2 케이싱부에 탑재된 제2 내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와, 상기 제1 케이싱부에 탑재되어, 상기 제1 내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를 통해 행해지는 내부 무선 통신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1 내부 무선 통신 제어부와, 상기 제2 케이싱부에 탑재되어, 상기 제2 내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를 통해 행해지는 내부 무선 통신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2 내부 무선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무선 통신 단말에 클램쉘 구조가 채용된 경우에 있어서도, 무선 통신 단말의 케이싱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무선으로 안정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무선 통신 단말에 탑재되는 표시부의 고 해상도화에 대응하여, 케이싱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량이 증대한 경우에 있어서도, 연결부의 구조의 복잡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더불어, 실장 공정의 번잡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비용 상승을 억제하면서, 무선 통신 단말의 소형 박형화 및 고 신뢰성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더불어, 무선 통신 단말의 휴대성을 손상하지 않고, 무선 통신 단말의 대 화면화 및 다 기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클램쉘형 휴대전화를 열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클램쉘형 휴대전화를 닫았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회전식 휴대전화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의 액정 프로젝터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라이트 밸브를 상술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변복조 부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액정 표시체를 갖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액정 표시체를 갖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사용해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클램쉘형 휴대전화를 열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클램쉘형 휴대 전화를 닫았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제1 케이싱부(1)의 표면에는, 조작 버튼(4)이 배치됨과 더불어, 제1 케이싱부(1)의 하단에는 마이크(5)가 설치되고, 제1 케이싱부(1)의 상단에는 외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6)가 부착되어 있다. 또, 제2 케이싱부(2)의 표면에는 표시체(8)가 설치됨과 더불어, 제2 케이싱부(2)의 상단에는 스피커(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2 케이싱부(2)의 이면에는, 표시체(11) 및 촬상 소자(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표시체(8, 11)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 유기 EL 패널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촬상 소자(12)로서는, CCD 또는 CMOS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제1 케이싱부(1) 및 제2 케이싱부(2)에는, 제1 케이싱부(1)와 제2 케이싱부(2) 사이에서 내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내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7, 1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케이싱부(1) 및 제2 케이싱부(2)는 힌지(3)를 통해 연결되어, 제2 케이싱부(2)를 힌지(3)를 지점으로 해서 회전시킴으로써, 제2 케이싱부(2)를 제1 케이싱부(1) 상에 접어 포갤 수 있다. 그리고, 제2 케이싱부(2)를 제1 케이싱부(1) 상에 닫음으로써, 조작 버튼(4)을 제2 케이싱부(2)로 보호할 수 있어, 휴대전화를 갖고 다닐 때 조작 버튼(4)이 잘못해서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 케이싱부(2)를 제1 케이싱부(1)로부터 여는 것에 의해, 표시체(8)를 보면서 조작 버튼(4)을 조작하거나, 스피커(9) 및 마이크(5)를 사용하면서 통화하거나, 조작 버튼(4)을 조작하면서 촬상을 행하거나 할 수 있다.
여기서, 클램쉘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제2 케이싱부(2)의 거의 일면 전체에 표시체(8)를 배치할 수 있어, 휴대 전화의 휴대성을 손상하지 않고, 표시체(8)의 사이즈를 확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내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7, 10)를 제1 케이싱부(1) 및 제2 케이싱부(2)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내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7, 10)를 사용한 내부 무선 통신으로 제1 케이싱부(1)와 제2 케이싱부(2)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6)를 통해 제1 케이싱부(1)에 받아들인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내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7, 10)를 사용한 내부 무선 통신으로 제2 케이싱부(2)에 보내어, 표시체(8)에 화상을 표시시키거나, 스피커(9)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 촬상 소자(12)로 촬상된 촬상 데이터를, 내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7, 10)를 사용한 내부 무선 통신으로 제2 케이싱부(2)로부터 제1 케이싱부(1)에 보내어, 외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6)를 통해 외부로 송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케이싱부(1)와 제2 케이싱부(2)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유선으로 행할 필요가 없어져, 다핀화된 플렉시블 배선 기판을 힌지(3)에 통과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힌지(3) 구조의 복잡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더불어, 실장 공정의 번잡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비용 상승을 억제하면서, 휴대전화의 소형 박형화 및 고 신뢰성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더불어, 휴대전화의 휴대성을 손상하지 않고, 휴대전화의 대 화면화 및 다 기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6)는 제1 케이싱부(1)에 장착되어 있는데, 제2 케이싱부(2)에 장착해도 된다. 이 경우가 사용시에 있어서 제2 케이싱부(2)에 의해 외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6)가 가려지는 일이 없어, 능률적인 통신을 기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케이싱부(1)에 내장되는 휴대전화의 통신 제어부로부터 동축 케이블 등에 의해 외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6)에 급전된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회전식 휴대전화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제1 케이싱부(21)의 표면에는, 조작 버튼(24)이 배치됨과 더불어, 제1 케이싱부(21)의 하단에는 마이크(25)가 설치되고, 제1 케이싱부(21)의 상단에는 외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26)가 부착되어 있다. 또, 제2 케이싱부(22)의 표면에는 표시체(28)가 설치됨과 더불어, 제2 케이싱부(22)의 상단에는 스피커(2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1 케이싱부(21) 및 제2 케이싱부(22)에는, 제1 케이싱부(21)와 제2 케이싱부(22)의 사이에서 내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내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27, 3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케이싱부(21) 및 제2 케이싱부(22)는 힌지(23)를 통해 연결되어, 제2 케이싱부(22)를 힌지(23)를 지점으로 해서 수평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 케이싱부(22)를 제1 케이싱부(21) 상에 포개어 배치하거나, 제2 케이싱부(22)를 제1 케이싱부(21)로부터 어긋나게 하거나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케이싱부(22)를 제1 케이싱부(21) 상에 포개어 배치함으로써, 조작 버튼(24)을 제2 케이싱부(22)로 보호할 수 있어, 휴대전화를 갖고 다닐 때 조작 버튼(24)을 잘못하여 조작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 케이싱부(22)를 수평으로 회전시켜, 제2 케이싱부 22를 제1 케이싱부(21)로부터 어긋나게 함으로써, 표시체(28)를 보면서 조작 버튼(24)을 조작하거나, 스피커(29) 및 마이크(25)를 사용하면서 통화하거나 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27, 30)를 제1 케이싱부(21) 및 제2 케이싱부(22)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내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27, 30)를 사용한 내부 무선 통신으로 제1 케이싱부(21)와 제2 케이싱부(22)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26)를 통해 제1 케이싱부(21)에 받아들여진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내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27, 30)를 사용한 내부 무선 통신으로 제2 케이싱부(22)에 보내어, 표시체(28)에 화상을 표시시키거나, 스피커(29)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거나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핀화된 플렉시블 배선 기판을 힌지(23)에 통과시킬 필요가 없어져, 힌지(23) 구조의 복잡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더불어, 실장 공정의 번잡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비용 상승을 억제하면서, 휴대전화의 소형 박형화 및 고 신뢰성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더불어, 휴대전화의 휴대성을 손상하지 않고, 휴대전화의 대 화면화 및 다 기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휴대전화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비디오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노트북형 PC 등에 적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3]
도 4는 그 밖의 전자 장치의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전자 장치는 본체부(135)와 표시부(139)로 나누어지고, 힌 지(137)를 통해 일체화되어 있다. 본체부 기판(133)은 전자 장치 본체의 기능 제어를 담당한다. 전자 장치에는 다양한 입출력 디바이스, 예를 들면 키보드나 표시 장치가 접속된다. 134는 입력 장치로서의 키보드, 136은 표시 장치로서의 액정 표시체이다. 138은 본체 기판(133) 상의 전자 회로의 제어에 의해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액정 컨트롤러이다. 여기서, 전자 장치에는, 본체부(135)와 표시부(139) 사이에서 내부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송신 안테나(141) 및 수신 안테나(14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액정 컨트롤러(138)가 발생하는 표시 데이터는 변조기(130)에 보내어져 변조되어, 송신 안테나(141)로부터 전자파(전파)로 변환되어 공간을 전파한다. 송신 안테나(141)로부터 송신된 전자파 신호는 수신 안테나(140)에 의해 수신되어, 복조기(132)에 의해 표시 데이터로 복조되어, 액정 드라이버(131)에 보내어져 액정 표시체(136)에 표시된다.
송신 안테나(141)로부터 방사되는 전자계는 법률에 의해 정해지는 상한을 넘지 않도록 설정된다. 면허를 요하지 않는 무선국으로서 허용되는 방사 레벨은, EMI의 규정보다도 훨씬 낮은 레벨이지만, 통신 거리가 지근 거리이기 때문에, 링크 버짓(link budget)을 적당하게 설정함으로써 충분한 품질의 통신로를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표시 데이터와 같은 대량의 데이터가 무선으로 전송되어, 신호는 고속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신호선을 통해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공간을 전파하기 때문에, 이들 신호선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져, 본체부(135)와 표 시부(1391)가 힌지(137)를 통해 일체화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에 수반되는 커넥터나 힌지 구조의 종래의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즉, 본체부(135)와 표시부(139)가 힌지(137)를 통해 일체화된 경우에 있어서도, 힌지(137)의 절곡 상태에 따른 임피던스 부정합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어, 힌지(137)에서의 반사 등에 의한 신호 열화를 방지하여, 전송되는 데이터 속도의 제한을 철폐하거나, 실장 방법이나 부품 배치의 제약을 완화하거나 할 수 있다. 또, 플렉시블 기판이나 커넥터에 의한 접속을 채용할 필요가 없어져, 비용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더불어, 접속 신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종래의 신호선에 의한 전송에서는, 정확하게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신호의 논리 레벨이 규정된 신호 진폭을 확보하는 것이 요구되어, 고속화에 따라 부유 용량으로의 충방전이 많아져 소비 전력이 증가한다. 또한, 신호선로로부터 방사되는 불필요 방사 전력이 증가하여, 주위의 기기에 대한 간섭 대책이 곤란해진다. 신호선에 의한 전송에서는, 논리 레벨이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없다. 또, 불필요 방사를 줄이기 위해서는 실드 강화 등의 대처 요법 밖에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송신 안테나(141)로부터 송신되는 방사 전력을 동일 기기 내라는 지근 거리에 있어서 충분한 통신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면 되므로, 송신 안테나(141)로부터의 방사 전력을 이 값 정도까지 내릴 수 있어, 소비 전력이나 EMI 대책이 본질적으로 개선되기 용이해진다. 또, 통신 선로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종단에 수반하는 소비 전력의 증대나 부품 배치, 선로의 둘러치 기 등의 제약으로부터 해방된다. 무선 통신의 방법은 통신 거리가 동일 케이싱 또는 동일 기기 내로 한정되기 때문에, 종래의 무선 통신 기기에 사용되는 기술보다 간소한 방법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35)와 표시부(139)가 힌지(137)를 통해 일체화되고, 전자 장치는 동일 케이싱에 수용되어 있다.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고속화함에 따라, 전송 선로 내에 신호를 전송시키는 것은 곤란해지지만, 공간 내의 전자파에 의한 전송은 보다 용이해진다. 최근의 반도체 소자 제조 기술의 향상에 따라, 이러한 고주파의 무선 전송의 변복조기를 장착하는 것은 약간의 비용 상승으로 가능하여, 실용성이 높은 것이다.
또한, 신호의 전송 거리는 지근 거리이며, 모든 신호를 무선 전송할 필요는 없다. 고속 전송이 필요한 신호, 다중화, 병렬화가 필요한 신호를 전송하면 효율이 좋다. 이들 변복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나 타이밍 신호는 유선으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4]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장치의 실시예의 하나인 액정 프로젝터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프로젝터는 그 케이싱(1010)의 대부분을 광학계(1002, 1003, 1004)가 차지한다. 즉, 광원(1001)으로부터 발생된 빛(백색광)은 광학계(1002)(파선 내)에 의해 삼원색으로 분해된다. 여기서, 광학계(1002)는 주로 하프 미러(HM)나 광학 필터 및 렌즈(LZ)에 의해 구성된다. 각각의 빛은 액정에 의한 라이트 밸 브(1005), 라이트 밸브(1006) 및 라이트 밸브(1007)에 의해 광변조된 후, 프리즘으로 구성되는 광학계(1003)에 의해 합성되어, 광학계(1004)에 의해 확대 투영된다. 라이트 밸브(1005), 라이트 밸브(1006) 및 라이트 밸브(1007)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는 기판(1008, 1009)에 탑재된다. 여기서, 기판(1008)에는, 변조기(1012) 및 송신 안테나(1011)가 탑재되고, 변조기(1012)는 라이트 밸브 제어를 위한 표시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고, 이 변조된 표시 데이터 신호는 전자파로서 송신 안테나(1011)로부터 방사된다.
도 6은, 라이트 밸브(1005), 라이트 밸브(1006) 또는 라이트 밸브(1007)를 상술하는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라이트 밸브(1005), 라이트 밸브(1006) 및 라이트 밸브(1007)에는, 광 셔터(1101), 액정 드라이버(1102), 수신 안테나(1103) 및 커넥터(110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투과 액정에 의한 광 셔터(1101)를 구동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에 의한 액정 드라이버(1102)(통상 복수 개의 반도체 집적 회로로 구성된다)는, 도 5도의 송신 안테나(1011)로부터 송신된 표시 데이터 신호를 수신 안테나(1103)에 의해 수신하여 복조 후, 광 셔터(1011)를 구동한다. 또, 광 셔터(1101)나 액정 드라이버(1102)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은, 커넥터(1104)를 통해 수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된 전자파에 의한 표시 데이터 신호가 가는 곳은, 부호 확산에 의한 방법이나 다른 전자파의 변조 주파수를 사용하는 방법 또는 타임 슬롯을 정해 어드레싱하는 방법 등에 의해 지정된다. 이러한 어드레싱 방법을 취함으로써, 송 신 안테나(1011)로부터 송신된 전자파 신호는 3개의 라이트 밸브(1005, 1006, 1007) 중의 지정된 라이트 밸브에 정확하게 전달된다. 어드레스 지정은 라이트 밸브(1005, 1006, 1007)마다 해도 되고, 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라이트 밸브(1005, 1006, 1007)에 복수의 액정 드라이버(1103)가 탑재되고, 그 각각에 대해 어드레스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종래, 액정 프로젝터 내에서는 케이싱 체적의 대부분을 광학계(1002, 1003, 1004)가 차지하여, 광 경로를 피하여 배선하거나, 광 경로를 피하여 부품을 배치하거나 할 필요가 있었다. 게다가, 광원(1001)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케이싱(1010) 내에 가득 차기 때문에, 배선의 열 대책도 필요했다. 본 실시예에 의해, 신호가 전자파에 의해 공간 전송되기 때문에, 종래의 곤란은 현저하게 완화되기 용이해진다.
[실시예 5]
도 7은, 그 밖의 전자 장치의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에 있어서, CPU(101)는 연산 등에 의해 표시해야 할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비디오 메모리(102)에 기록한다. 액정 컨트롤러(103)는 표시체에 표시시키는 표시 데이터(119)를 소정 순서에 의해 비디오 메모리(102)로부터 독출하여, 수직 동기 신호(121) 및 수평 동기 신호(120)와 함께 출력한다. 표시 데이터(119)는 병직렬 변환 회로(104)에 의해 병직렬 변환되어 논리 회로(107)에 전송된다. 동기 회로(105)는 수평 동기 신호(120) 및 수직 동기 신호(121)를 받아, 동기 검파를 위한 타이밍 등의 통신에 필요한 동기를 취하기 위한 프리앰블을 생성한다. 논리 회 로(107)는 병직렬 변환 회로(104) 및 동기 회로(105)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무선 전송을 위한 패킷을 생성하고, 이 패킷은 반송파 발진기(109)에서 발생한 반송 주파수에 의해 변조기(108)에서 변조되어, 송신 안테나(110)로부터 송신된다.
수신 안테나(111)는 송신 안테나(110)로부터 송신된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여, 프리앰프(112)에 의해서 증폭된 뒤, 밴드패스 필터(113)에 의해 불필요 대역의 방해파를 제거하고 동기 회로(114)에 입력된다. 동기 회로(114)에서는 수신 신호 패킷 내의 프리앰블을 검출하여, 복조에 필요한 동기 타이밍이나 클럭을 PLL(115)과 협조하여 생성한다. 복조기(116)는 수신 신호를 받아 상기 동기 회로(114)나 PLL(115)의 출력을 사용해, 패킷의 복조를 행한다. 논리 회로(118)는 복조된 패킷으로부터 패킷 내의 표시 데이터(122)에 타이밍을 맞춰 수평 동기 신호(123), 수직 동기 신호(124), X 드라이버의 전송 클럭(125)을 발생시켜, 각각 액정 표시체의 드라이버 즉 종래예의 도 15의 표시 데이터 신호(716), 수평 동기 신호(714), 수직 동기 신호(718), X 클럭 신호(715)에 상당하는 신호로서 액정 표시체(126)의 드라이버에 출력하여 표시를 행한다.
반송파 발진기(109)의 발진 주파수는 라디오 수신기나 휴대전화처럼 전파를 이용하는 전자 기기의 본래의 목적을 방해하지 않는, 또 방해를 받지 않는 주파수를 선택한다. 반송파 발진기(109)의 발진 주파수로서 2GHz 이상의 주파수를 선택하면, 100Mbps의 데이터를 전송해도 점유 대역은 200MHz 정도여서, 통상 대부분의 경우 문제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을 취함으로써, 액정 표시체(126)로의 표시 데이터(122)의 무선화 를 실현할 수 있어, 액정 표시체(126)의 대형화에 따라 보다 현재화(顯在化)해 온, 소비 전력의 증대, 배선 위치의 제약, EMI 대책, 신뢰성 확보 등 유선 전송에 의해 발생하는 여러가지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8은, 그 밖의 전자 장치의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촬상 소자(201)는 제어 회로(202)로부터 발생되는 수평 동기 신호(220) 및 수직 동기 신호(221)에 의해 기동되어, 촬상한 화상 데이터(219)를 출력한다. 논리 회로(203)는 이들 신호를 받아 무선 전송을 위한 패킷을 구축한다. 이 패킷은 반송파 발진기(206)에 의해 발생된 반송파를 변조기(205)에 의해 변조하여, 송신 안테나(207)로부터 전자파로서 방사된다.
송신 안테나(207)로부터 송신된 전자파 신호는 수신 안테나(208)에서 수신되어 프리앰프(209)로 증폭되어, 밴드패스 필터(210)에 의해 불필요한 대역외 신호가 제거되어 동기 회로(212)에 입력된다. 동기 회로(212)에서는, 수신 신호 패킷으로부터 복조에 필요한 동기 타이밍이나 클럭을 PLL(215)과 협조하여 생성한다. 복조기(213)는 수신 신호를 받아서 동기 회로(212)나 PLL(215)의 출력을 사용해, 수신 신호의 복조를 행한다. 직병렬 변환 회로(214)는 복조된 수신 패킷 중에서 화상 데이터 부분을 추출하여, 화소마다 직병렬 변환을 행하여, 화소 데이터를 생성한다. 논리 회로(216)는 복조된 화소 데이터에 맞춰 비디오 메모리(217)에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직접 또는 CPU(218)를 통해 화상 데이터를 비디오 메모리(217)의 그 어드레스에 기록한다. CPU(218)는 비디오 메모리(217)에 액 세스하여, 화상 데이터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사용한다. 통상 촬상 소자(201)의 기동 등의 컨트롤은 CPU(218)가 행하는데, 이 기동에 관한 정보를 촬상 소자(201)의 제어 회로(202)에 전송하는 방법은 비트 레이트가 낮기 때문에 유선이어도 된다. 무선에 의해 신호 전송하는 경우는, CPU(218)측 및 촬상 소자(201)측의 쌍방에서 송수신 수단을 갖고 쌍방향 통신을 행한다. 특히, 클램쉘 구조의 휴대 전화에서는, 촬상 소자(201)와 표시 소자는 접근하여 놓여지고, 이들 촬상 소자(201) 및 표시 소자는 CPU(218)측과는 반대측에 있는 경우가 많아, 촬상된 화상 데이터는 CPU(218)측에 보내어져 처리된 뒤, 표시 소자측으로 돌려보내어진다. 이러한 경우는, 도 7의 CPU(101)와 도 8의 CPU(218)를 공용하여, 실시예 5와 실시예 6의 구성을 표리 관계에 두었던 것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실현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 즉 촬상 소자(201)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을 무선화함으로써, 촬상 소자(201)의 대형화에 따라 보다 현재화해 온, 소비 전력의 증대, 배선 위치의 제약, EMI 대책, 신뢰성 확보 등 유선 전송에 의해 발생하는 여러가지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 7]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액정 표시체(126)의 가까이에 촬상 소자(201)도 갖는 경우이며, 실시예 5 및 실시예 6을 표리 관계(back-to-back)로 합성한 형태를 취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 설명에 사용된 번호와 같은 번호의 구성 요소는, 각각 실시예 5 및 실시예 6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있어서, 변조기(108)는 비디오 메모리(102)에 기억되어 있는 표시 데이터를 변조하여 전자파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 안테나(110)를 통해 송신시킨다. 그리고, 수신 안테나(111)가 송신 안테나(110)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받으면, 복조기(116)는 그 송신 신호를 복조하여, 액정 표시체(126)에 표시시킨다.
한편, 촬상 소자(201)는 액정 표시체(126) 가까이에 배치되어, 촬상 소자(201)에 의해 얻어진 촬상 데이터는, 변조기(205)에 의해 변조되어 전자파 신호로 변환되어 송신 안테나(207)로부터 송신된다. 그리고, 송신 안테나(207)로부터 송신된 전자파 신호는, 수신 안테나(208)에 의해 수신되어 복조기(213)에 의해 복조되어 비디오 메모리(102)에 축적된다. CPU(101)는, 당해 촬상 데이터를 액정 표시체(126)에 표시시키기 위해서, 비디오 메모리(102)의 소정의 어드레스에 촬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등의 제어를 행한다.
송신 안테나(111) 및 수신 안테나(207) 또는 송신 안테나(110) 및 수신 안테나(208)는 각각 공용이 가능하다. 그 경우, 안테나 전환기 또는 듀플렉서를 통해 송수신 회로에 접속한다.
도 9와 도 8의 구성을 비교하면, 도 9의 구성에서는, 변조기(205)는 반송파 클럭 신호를 PLL(115)로부터 얻고 있다. 한편, 도 8의 구성에서는, 반송파 클럭 신호를 반송파 발진기(206)로부터 얻고 있다. 반대로, 수신측에서는, 도 9의 구성에서는, 복조기(213)는 반송파 발진기(109)로부터 클럭 신호를 얻고 있고, PLL(115)과 반송파 발진기(109)의 위치가 송수신에서 서로 반대로 되어 있다.
표시용의 송수신계에 의해 PLL(115)가 이미 동기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이 가능해진다. 즉, 일방향의 통신에서는, 수신측에서 송신된 신호에 동기하는 것 밖에 방법이 없지만, 송수신 쌍방향이면 본 실시예처럼 수신측의 타이밍에 맞춰 송신측에서 동기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처럼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경우는, 도 8에 있어서의 동기 회로(212)를 수신측에서 생략할 수 있어, 회로가 간략화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 케이싱 내에서 쌍방향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액정 표시체(126)로 데이터를 보내고 또 액정 표시체(126)의 가까이에 배치된 촬상 소자(201)로부터 신호를 발신시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져, 회로도 공통 부분을 공용할 수 있어 간략화가 가능해진다.
[실시예 8]
도 10(a)는, 그 밖의 전자 장치의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실시예 5, 실시예 6 또는 실시예 7의 변조기(108, 205)를 보다 상술한 도면이다.
도 10(a)에 있어서, 반송파 발진기(402)는 실시예 5 또는 실시예 6의 반송파 발진기(109, 206)에 상당하는 직사각형 펄스 발진기이다. 승산 회로(401)는, 반송파 발진기(402)로부터 출력된 클럭 신호(431)와 입력 데이터(417)의 승산을 행하여, 송신 신호(418)로서 출력하여 송신 안테나로 보낸다. 여기서, 입력 데이터(417) 및 반송파 발진기(402)로부터의 클럭 신호(431) 모두 디지털 신호이기 때문에, 승산 회로(401)는 배타적 논리합 회로이면 된다. 논리 "0"일 때 값 "1"의 아날로그값, 논리 "1"일 때 값 "-1"의 아날로그값을 대응시키면, 배타적 논리합 회로의 입출력은 승산 회로(401)로서 작용한다. 또, 통신의 전달 거리가 대단히 가 까워, 다른 기기 등에 주는 고조파 방해 등은 원래 낮게 억제되므로, 안테나와 변조기 출력의 사이에 필터 등은 불필요하다.
도 12(a)∼(c)에 실시예 8에 의한 변조기의 타임도를 도시한다. 즉 동 도면 (a)는 반송파 발진기(402)에 의해 발생하는 클럭 신호(431), 동 도면 (b)는 승산 회로(401)에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417), 동 도면 (c)는 승산 회로(401)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418)이다. 동 도면의 타임도를 디지털 회로로 보면 변조기는 배타적 논리합이고, ±1의 값을 취하는 아날로그값으로 보면 변조기는 승산 회로(401)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변조는 배타적 논리합 회로를 1개만 설치함으로써 실현이 가능해져, 대단히 간단히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9]
도 10(b)는, 그 밖의 전자 장치의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실시예 5, 실시예 6 또는 실시예 7의 복조기(116, 213)를 보다 상술한 도면이다.
도 10(b)에 있어서, 발진기(404)는 실시예 5 또는 실시예 6의 PLL(115, 215)의 출력에 상당하는 직사각형 펄스 발진기이다. 승산 회로(403)는 발진기(404)로부터 출력된 펄스열(432)과 수신 신호(418')의 승산을 행하여, 로우패스 필터(405)에 보낸다. 로우패스 필터(405)는 승산 회로(403)로부터의 출력의 고역 주파수 성분(수신 신호(418')와 발진기(404)의 발진 파형의 약간의 위상차에 의해 발생하는 미세한 펄스 성분)을 제거하여, 복조 신호(419)로서 출력한다.
도 12(d)∼(f)에 실시예 9에 의한 복조 회로의 타임도를 도시한다. 즉, 동 도면 (d)는 승산 회로(403)에 입력되는 수신 신호(418'), 동 도면 (e)는 발진 기(404)로부터 발생되는 펄스열(432), 동 도면 (f)는 로우패스 필터(405)에 출력되는 복조 신호(419)를 나타낸다.
동 도면의 타임도를 디지털 회로로 보면 변조기는 배타적 논리합이고, ±1의 값을 취하는 아날로그값으로 보면 변조기는 승산 회로(403)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무선 신호 전송은 통달 거리가 지근 거리이고, 충분히 SN 비가 좋은 통신품질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호를 디지털값으로 간주할 수 있을 정도까지 증폭할 수 있다. 이 경우, 증폭된 신호 레벨은 논리값 레벨까지 커지는데, 이 논리값에 의해 구동되는 부하는, 도 9의 CPU(101)로부터 액정 표시체(126)까지와 같은 큰 부유 용량을 수반하는 긴 거리가 아니라, 동일 반도체 칩 내와 같은 대단히 짧고 저 부하이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증대되지는 않는다.
또, 수신 신호(418')가 논리값 레벨까지 증폭되지 않는 아날로그 레벨이라 해도, 발진기(404)로부터의 펄스열(432)은 (±1의 값을 취하는) 직사각형이기 때문에, 승산은 간단한 스위치 회로로 실현할 수 있다. 즉, 수신 신호(418')의 증폭도의 절대값이 같고 극성이 반대인 2개의 증폭기를 준비하고, 발진기(404)로부터의 펄스열(432)이 논리 레벨 "1"일 때 반전 증폭기 출력을 스위치에 의해 선택하고, 논리 레벨 "0"일 때 정전 증폭기 출력을 선택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승산기를 승산 회로(403)로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복조기도 배타적 논리합 회로 1개 또는 양음의 증폭도를 갖는 증폭기와 스위치 회로, 및 로우패스 필터에 의해 대단히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10]
도 10(c)는, 그 밖의 전자 장치의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실시예 5, 실시예 6 또는 실시예 7의 변조기(108, 205)의 다른 실시예를 보다 상술하는 도면이다. 또한, 실시예 8 및 실시예 9에서는, 간소화한 BPSK 변조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실시예 10은 보다 일반적인 위상 변조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내기 위해서, QPSK에 기초한 예를 든다.
도 10(c)에 있어서, 반송파 발진기(409)는 실시예 5 또는 실시예 6의 반송파 발진기(109, 206)에 상당하는 직사각형 펄스 발진기이다. QPSK에서는, 송신을 심벌마다 2비트씩(즉 데이터 비트 "1" 및 데이터 비트 "2"를) 할당하여 인코드하여 송신한다. 즉, 기준의 클럭에 대해, 위상 천이량을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코드하여 변조해서 송신한다. 인코더(406)는, 데이터 비트 "1" 및 데이터 비트“2"의 비트 패턴에 따라, 도 11에 도시한 것 같은 위상 천이가 되도록 이상기(408) 및 승산 회로(407)를 제어한다.
도 12(g)∼(j)는 도 10(c)에 도시한 변조기의 각 부의 동작을 도시한 타임도이다.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비트 "1" 및 데이터 비트 "2"는 인코더(406)에 의해 인코드되어, 반송파 발진기(409)에 의해 발진된 반송파(433)를 이상기(408)에 의해 90°의 위상 천이를 행할지 여부, 또한 승산 회로(407)에 의해 반송파(433)의 반전(180°의 위상 천이)을 행할지 여부를 제어하여, 최종적으로 QPSK 변조된 송신 신호(422)를 출력한다.
도 10은 QPSK 변조에 대응한 복조기의 예를 도시한다. 또, 도 12(k)∼(q)에 각 부의 타임도를 도시한다.
도 10에 있어서, 반송파 발진기(414)는 실시예 5 또는 실시예 6의 PLL(115, 215)의 출력에 상당하는 직사각형 펄스 발진기이다. 반송파 발진기(414)로부터의 출력 파형을 도 12(g)에 도시한다. 반송파 발진기(414)로부터의 클럭 펄스열(434)은 제1 승산 회로(410)에 의해 수신 신호(423)(도 12(k))와 승산되어, 제1 로우패스 필터(412)에 전송되어 고역 성분이 제거되어, 판별 회로(416)에 전달된다. 동시에 수신 신호(423)는 역시 반송파 발진기(414)가 발생하는 클럭 펄스열(434)을 90°이상기(415)에 의해 90°위상 천이한 펄스열(도 12(o))과 제2 승산 회로(411)에 의해 승산되어, 제2 로우패스 필터(413)에 의해 고역 성분이 제거되어, 판별 회로(416)에 전달된다. 판별 회로(416)는 제1 및 제2 로우패스 필터(412, 413)의 출력으로부터 송신 데이터를 산출하여, 수신 신호를 복조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송신 신호(422)의 점유 대역을 늘리지 않고, 데이터 전송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변복조기 모두 간단한 디지털 회로로 실현할 수 있으므로, 반도체 칩 내에 장착할 수 있어, 비용이나 소비 전력의 증가는 무시할 수 있다.
[실시예 11]
도 13은, 그 밖의 전자 장치의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에 있어서, CPU(501), 비디오 메모리(502), 액정 컨트롤러(503)의 기능은 상기 실시예 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며, 액정 컨트롤러(503)에 의해 발생되는 표시 데이터(525), 수평 동기 신호(523) 및 수직 동기 신호(524)는, 확산 코드 발생기(505)에 의해 발생되는 확산 코드와 부호 다중화 회로(504)에 의해 다중화된 다. 이 실시예 11에서는, 실시예 5의 병직렬 변환 회로(104)에 의한 병직렬 변환은 불필요하다. 확산 코드로서는, 서로 직교하고 있는 코드 세트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표시 데이터(525)는 비디오 메모리(502)로부터 픽셀별로 모아져 독출되므로, 병렬의 디지털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부호 다중화 회로(504)는, 이 데이터 신호의 각 비트와 확산 코드 발생기(505)에 의해 발생되는 각 코드를 승산하여(배타적 논리합을 취해), 아날로그 가산하여 부호 다중화를 행한다. 다중화된 신호는 변조기(507)에 의해 반송파 발신기(506)에서 발생되는 반송파로 변조되어, 송신 안테나(508)로부터 전자파 신호로서 송신된다.
송신 안테나(508)로부터 송신된 전자파 신호는 수신 안테나(509)에서 수신되어, 프리앰프(510)로 증폭되고, 밴드패스 필터(511)에 의해 소정 대역 이외의 불필요 신호가 제거된 뒤, 복조기(512)에 의해 복조된다. PLL(515)은 복조기(512)와 협조하여, 동기 검파를 위한 타이밍 발생이나 역확산을 위한 타이밍을 검출한다. 복조기(512)에 의해 복조된 신호는, 확산 코드 발생기(516)에 의해 발생되는 다중화를 위한 확산 코드와 역확산 회로(514)에서 승산되어, 다중화된 데이터가 분리된다. 논리 회로(517)는 검출한 표시 데이터나 각종 타이밍으로부터 액정 드라이버를 구동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 신호(518), 수평 동기 신호(519), 수직 동기신호(520) 및 X 드라이버의 X 클럭 신호(521)를 발생하여, 액정 표시체에 보내어 표시를 행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데이터의 병직렬 변환을 행하지 않고, 신호를 다중화하 여 송수신할 수 있고, 이것은 몇 개의 버스 라인을 병렬로 둘러치는 것과 동등한 효과가 있다. 특히, 직교 코드에 의한 다중화는 다중도의 제한이 적어, 버스 라인처럼 물리적인 공간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송신부, 수신부 각각을 복수 개 배치하여, 신호의 송수신이 필요한 몇 개의 다른 장소에서 동시에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확산에 의해 확산 이득도 버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휴대전화 등의 전파를 발생하는 기기에 있어서, 본래의 목적으로 하는 전파와의 내간섭 및 여간섭 특성의 개선에도 효과가 있다.
[실시예 12]
도 14도는, 그 밖의 전자 장치의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에 있어서, CPU(601), 비디오 메모리(602) 및 액정 컨트롤러(603)의 기능은 상기 실시예 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액정 컨트롤러(603)에 의해 발생되는 표시 데이터(625), 수평 동기 신호(623) 및 수직 동기 신호(624)는, 논리 회로(604)에서 병직렬 변환 및 프리앰블 부여나 패킷 구축 등의 데이터의 재배열이 행해져, 시리얼 신호로 변환된다. 1차 변조기(605)는, 이 시리얼 신호에 펄스 발생기(606)에 의해 발생된 펄스열을 변조한다. 1차 변조에는, 펄스열에 대해 펄스 위치 변조나 바이페이즈 펄스 변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1차 변조를 받은 시리얼 신호는, 확산 코드 발생기(608)에 의해 발생된 확산 코드로 확산 변조기(607)에 의해 확산 변조된다. 확산 변조된 펄스열은, 펄스 정형 회로(609)에 의해 스펙트럼 밀도가 낮은 광대역 펄스가 되도록 대단히 단시간의 펄스로 파형 정형을 받은 뒤, 송신 안테나(610)에 의해 전자파로서 방사된다.
방사되는 전자계는 사인파에 변조를 가한 것은 아니며, 대단히 미세한 펄스열이다. 이렇게 짧은 펄스로 광대역의 펄스를 사용하는 통신은, 임펄스 라디오(Impulse Radio) 또는 UWB(Ultra Wide Band) 통신 방식이라 불리는 것이다. 방사된 전자파는, 수신 안테나(611)에서 수신되어 프리앰프(612)에 의해 증폭된 뒤, 펄스 발생기(613)가 발생하는 펄스 템플릿과의 상관이 상관기(614)에 의해 계산된다. 상관기(614)의 출력은, 확산 코드 발생기(616)가 발생하는 확산 코드에 의해 역확산 회로(615)에서 역확산된 뒤, 복조기(617)에서 복조되어, 1차 변조 전의 신호(1차 변조기(605)의 입력)로 변환된다. 논리 회로(622)는, 복조기(617)에 의해 검출된 표시 데이터나 각종 타이밍으로부터 액정 드라이버를 구동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 신호(619), 수평 동기 신호(620), 수직 동기 신호(621) 및 X 드라이버의 X 클럭 신호(622)를 발생하여, 액정 표시체에 보내어 표시를 행한다.
여기서, UWB 통신의 본질은 대단히 스펙트럼 밀도가 낮은 짧은 펄스를 사용하는 것에 있다. UWB를 사용하는 경우, 방사 에너지의 법적인 상한은 EMI에서 규제되는 불필요 방사 레벨 정도까지 허용되어 있고, 면허를 요하지 않는 무선국의 상한보다 훨씬(20dB 정도) 엄격하지 않다. 이 때문에, 휴대전화와 같은 본래의 목적인 강한 전파를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도, 충분한 통신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링크 버짓의 설정이 용이해진다. 사용하는 펄스는 펄스폭을 좁게 하고 파고치를 높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프리앰프(612)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변조 조작은 시간축 상에서만 행해져, 구성 요소의 대 부분이 펄스를 취급하는 디지털 회로만으로 실현할 수 있어, 회로 소자의 IC화가 용이하다. 짧은 펄스의 채용에 의해 시간 방향의 확산 이득을 벌어, 전자 장치 본래의 기능으로서 발사되는 전파와의 내간섭, 여간섭 특성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통신 전송로로서의 멀티 채널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동일 케이싱 내 또는 동일 기기 내에서 무선 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여기서 말하는 동일 케이싱 내에는, 개별의 케이싱이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 동일 케이싱 내 이외에도, 동일 패키지 내나 동일 실장 기판 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전자 기기에 내장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기억 장치와 CPU와의 접속 등, 폭넓은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전자 장치로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1 또는 복수의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1 또는 복수의 주변부와,
    송신 신호를 전자파 신호로 변환하는 전자파 변환부와,
    상기 전자파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전자파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전자파 신호를 상기 송신 신호로 복원하는 전자파 복원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주변부를 수납하는 일체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부터 사람이 상기 제어부 및/또는 상기 주변부로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출력하기 위한 맨 머신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어부 간의 통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주변부 간의 통신, 또는 상기 복수의 주변부 간의 통신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통신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전자파 변환부와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와 상기 전자파 복원부를 통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전자 장치로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주변부와,
    송신 신호를 전자파 신호로 변환하는 전자파 변환부와,
    상기 전자파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전자파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전자파 신호를 상기 송신 신호로 복원하는 전자파 복원부와,
    사람이 상기 제어부 및/또는 상기 주변부로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출력하기 위한 맨 머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전자파 변환부와 상기 송신부를 수납하는 제1 케이싱부와,
    상기 수신부와 상기 전자파 복원부를 수납하는 제2 케이싱부와,
    상기 제1 케이싱부와 상기 제2 케이싱부 사이의 위치 관계를 바꿀 수 있도록 상기 제1 케이싱부와 상기 제2 케이싱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주변부와 상기 맨 머신 인터페이스부는, 각각의 일부가 상기 제1 케이싱부에, 각각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2 케이싱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변환부는, 일정한 주기 및 진폭의 반송파 신호를 발생하는 반송파 발생부와, 상기 송신 신호와 상기 반송파 신호를 승산하는 승산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복원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전자파 신호와 상기 반송파 신호를 승산하여 상기 송신 신호로 복원하는 승산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변환부는, 반송파 펄스열을 발생하는 반송파 발생부와, 상기 반송파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반송파를 상기 송신 신호에 의해 위상 변조하는 변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복원부는, 수신한 전자파 신호와 반송파 펄스열을 승산하여 상기 송신 신호로 복원하는 승산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변환부는, 상기 송신 신호를 코드 다중화하여 확산 변조하는 확산 변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변환부는, 상기 송신 신호를 UWB 변조하는 UWB 변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싱부는, 상기 송신 신호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송신 신호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독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케이싱부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독출하여 출력된 상기 송신 신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싱부는 촬상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 신호에는 상기 촬상 소자에 의해 촬영된 화상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무선 통신 단말로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구성요소를 탑재하기 위한 제1 및 제2 케이싱부와,
    상기 제1 케이싱부와 상기 제2 케이싱부 사이의 위치 관계를 바꿀 수 있도록 상기 제1 케이싱부와 상기 제2 케이싱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제1 케이싱부 또는 상기 제2 케이싱부에 탑재된 외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와,
    상기 제1 케이싱부에 탑재되어, 상기 외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를 통해 행해지는 외부 무선 통신의 제어를 담당하는 외부 무선 통신 제어부와,
    상기 제2 케이싱부에 탑재된 표시부와,
    상기 제1 케이싱부에 탑재된 제1 내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와,
    상기 제2 케이싱부에 탑재되고 상기 제1 내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와 통신하기 위한 제2 내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와,
    상기 제1 케이싱부에 탑재되어, 상기 제1 내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를 통해 행해지는 내부 무선 통신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1 내부 무선 통신 제어부와,
    상기 제2 케이싱부에 탑재되어, 상기 제2 내부 무선 통신용 안테나를 통해 행해지는 내부 무선 통신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2 내부 무선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
  12. 전자 장치로서,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수행부와,
    송신 신호를 전자파 신호로 변환하는 전자파 변환부와,
    상기 전자파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전자파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전자파 신호를 상기 송신 신호로 복원하는 전자파 복원부와,
    상기 복수의 기능 수행부를 수납하는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기능 수행부 사이의 통신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전자파 변환부와,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와, 상기 전자파 복원부를 통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067014485A 2004-01-19 2005-01-17 전자 장치 및 무선 통신 단말 KR1008341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10522 2004-01-19
JP2004010522A JP2005204221A (ja) 2004-01-19 2004-01-19 電子装置
JP2004230278A JP4466269B2 (ja) 2004-08-06 2004-08-06 電子装置および携帯型電子装置
JPJP-P-2004-00230278 2004-08-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626A Division KR20070120616A (ko) 2004-01-19 2005-01-17 전자 장치 및 무선 통신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685A KR20060124685A (ko) 2006-12-05
KR100834182B1 true KR100834182B1 (ko) 2008-05-30

Family

ID=3475211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4485A KR100834182B1 (ko) 2004-01-19 2005-01-17 전자 장치 및 무선 통신 단말
KR1020077027626A KR20070120616A (ko) 2004-01-19 2005-01-17 전자 장치 및 무선 통신 단말
KR1020087020471A KR20080088649A (ko) 2004-01-19 2005-01-17 전자 장치 및 무선 통신 단말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626A KR20070120616A (ko) 2004-01-19 2005-01-17 전자 장치 및 무선 통신 단말
KR1020087020471A KR20080088649A (ko) 2004-01-19 2005-01-17 전자 장치 및 무선 통신 단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158010A1 (ko)
EP (1) EP1713183A1 (ko)
KR (3) KR100834182B1 (ko)
TW (1) TW200537824A (ko)
WO (1) WO20050694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9094B2 (en) * 2005-08-05 2010-02-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and wireless chip
JP2008083679A (ja) * 2006-08-31 2008-04-10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0067225A (ja) * 2008-09-12 2010-03-25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TWI387153B (zh) * 2008-12-10 2013-02-21 Giga Byte Comm Inc 天線及電子裝置
WO2011019017A1 (ja) 2009-08-13 2011-02-1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信号伝送装置、及び、信号伝送方法
US9942367B2 (en) 2015-10-13 2018-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931A (ko) * 2001-09-10 2003-03-15 원주희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및 다이얼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9147A (en) * 1969-02-26 1991-07-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coustic, underwater, telemetry system
US5199045A (en) * 1987-06-09 1993-03-30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US5070500A (en) * 1988-08-30 1991-12-03 Tokyo Keiki Company Ltd. Memory package system utilizing inductive coupling between memory module and read/write unit
US5357541A (en) * 1989-03-23 1994-10-18 Echelon Corporation Transceiver providing selectable frequencies and spreading sequences
JP2796768B2 (ja) * 1992-11-20 1998-09-10 株式会社ピーエフユー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US6472975B1 (en) * 1994-06-20 2002-10-29 Avid Marketing, Inc.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with improved sensitivity
JPH08138018A (ja) * 1994-11-10 1996-05-31 Rikagaku Kenkyusho データ・キャリア・システム
US5682139A (en) * 1995-06-07 1997-10-28 General Electric Company Railcar location using mutter networks and locomotive transmitter during transit
JPH0926834A (ja) * 1995-07-12 1997-01-28 Hitachi Maxell Ltd 電子機器
US6009336A (en) * 1996-07-10 1999-12-28 Motorola, Inc. Hand-held radiotelephone having a detachable display
US5889602A (en) * 1996-12-10 1999-03-30 Motorola, Inc. Optical hinge
FI111892B (fi) * 1997-04-22 2003-09-30 Nokia Oy Ab Monitoiminen viestinlaite
US6393045B1 (en) * 1997-09-26 2002-05-21 Wherenet Corp. Spread spectrum baseband modulation of magnetic fields for communications and proximity sensing
CN1160888C (zh) * 1997-11-19 2004-08-04 Ntt移动通信网株式会社 同时多代码序列产生器和采用其的码分多址无线接收机
US6982702B1 (en) * 1998-06-12 2006-01-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computer system
US6091940A (en) * 1998-10-21 2000-07-18 Parkervis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frequency up-conversion
US6028764A (en) * 1998-09-28 2000-02-22 Intel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with separable screen
JP2000224146A (ja) * 1999-02-03 2000-08-11 Oki Electric Ind Co Ltd 多重装置、多重分離装置及び多重通信システム
US6492904B2 (en) * 1999-09-27 2002-12-10 Time Domai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timing among ultrawideband transmissions
US7406261B2 (en) * 1999-11-02 2008-07-29 Lot 41 Acquisition Foundation, Llc Unified multi-carrier framework for multiple-access technologies
JP2001292085A (ja) * 2000-04-10 2001-10-19 Mitsubishi Electric Corp 非接触伝送装置
JP2001309013A (ja) * 2000-04-27 2001-11-02 Mitsubishi Electric Corp 非接触信号伝送装置
US6470132B1 (en) * 2000-09-05 2002-10-22 Nokia Mobile Phones Ltd. Optical hinge apparatus
FR2815490B1 (fr) * 2000-10-16 2006-07-07 Inside Technologies Lecteur de circuit integre sans contact
JP2002152696A (ja) * 2000-11-10 2002-05-24 Hitachi Ltd 携帯端末
JP4648551B2 (ja) * 2001-02-15 2011-03-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3666018B2 (ja) * 2001-05-08 2005-06-29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方法、並びに受信方法
EP1306922A3 (en) * 2001-10-24 2006-08-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ntenna structure, methof of using antenna structure and communication device
JP3487508B2 (ja) * 2001-11-01 2004-01-19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通信制御プログラム、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受信制御プログラム
JP2003152840A (ja) * 2001-11-13 2003-05-23 Nec Corp 携帯電話機
JP3744883B2 (ja) * 2002-06-05 2006-02-15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これに内蔵された解析装置、及びその解析方法
JP2004220258A (ja) * 2003-01-14 2004-08-05 Its Sogo Kenkyusho:Kk 電子ナンバープレートと車両搭載機器とからなる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
US7260358B2 (en) * 2003-06-11 2007-08-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ata-storage system having a wireless connection architecture for wireless data exchange between modules
US7089033B2 (en) * 2004-05-17 2006-08-08 Noki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having UWB and cellular capability
JP3941800B2 (ja) * 2004-06-25 2007-07-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携帯型無線通信端末および内部無線通信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931A (ko) * 2001-09-10 2003-03-15 원주희 회수호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및 다이얼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37824A (en) 2005-11-16
WO2005069497A1 (ja) 2005-07-28
US20050158010A1 (en) 2005-07-21
KR20060124685A (ko) 2006-12-05
KR20080088649A (ko) 2008-10-02
KR20070120616A (ko) 2007-12-24
EP1713183A1 (en)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216B1 (ko) 정보 전송 방법, 전자 장치 및 무선 통신 단말
US20060121933A1 (en) Electronic device, signal transmiss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34182B1 (ko) 전자 장치 및 무선 통신 단말
CN1910825A (zh) 电子装置和无线通信终端
CN100553165C (zh) 信息传输方式、电子装置
JP3755530B2 (ja) 電子装置
JP4265619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4466269B2 (ja) 電子装置および携帯型電子装置
JP2010283813A (ja) 電子装置
JP4433081B2 (ja) 情報伝送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JP3841100B2 (ja) 電子装置および無線通信端末
JP4552762B2 (ja) 電子装置
JP4687082B2 (ja) 電子装置および無線通信端末
JP3832497B2 (ja) 情報伝送方式、電子装置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
JP2008092590A (ja) 電子装置及び通信方法
JP3711458B1 (ja) 無線通信端末
JP4265617B2 (ja) 情報伝送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JP4293071B2 (ja) 無線通信端末
JP2007028590A (ja) 情報伝送方式、電子装置および無線通信端末
JP3843993B2 (ja) 表示装置
JP4424251B2 (ja) 無線通信端末
KR20040039957A (ko)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부 신호전송 장치
JP2008310355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08054079A (ja) パルス発生回路およびこの回路を用いた電子装置ならびにこの回路を用いる情報伝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