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045B1 -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 - Google Patents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045B1
KR100832045B1 KR1020070078417A KR20070078417A KR100832045B1 KR 100832045 B1 KR100832045 B1 KR 100832045B1 KR 1020070078417 A KR1020070078417 A KR 1020070078417A KR 20070078417 A KR20070078417 A KR 20070078417A KR 100832045 B1 KR100832045 B1 KR 100832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ixing
box
fastening portio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8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5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separate from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75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 H01H2085/208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는: 외형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에 결합되며 커넥터가 연결되기 위한 장착홈이 구비된 블럭체결부 및 상기 블럭체결부를 상기 테두리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넥터, 멀티박스, 테두리부재, 블럭체결부, 탄성고정부재

Description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Multi box fo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사양변경에 따라 해당되는 블럭체결부만 교환하여 테두리부재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포함한 각종 기기에는 전기 배선인 와이어하네스를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와이어하네스의 일단에는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멀티박스에는 다수의 커넥터가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멀티박스의 몸체에는 커넥터 사양에 따른 장착홈이 구비된다.
상기 멀티박스 사용에 의하여 다수의 커넥터를 일측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되며,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멀티박스는 커넥터가 결합되는 몸체가 테두리부재 등과 일체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커넥터의 사양 일부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상기 멀티박스의 신규 개발이 요구된다.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멀티박스에 결합되는 커넥터 가운데 일부의 사양이 변경되는 경우, 멀티박스 전체를 재개발하는 것에 의하여 개발기간의 증가와 함께 생산비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는: 외형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에 결합되며 커넥터가 연결되기 위한 장착홈이 구비된 블럭체결부 및 상기 블럭체결부를 상기 테두리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블럭체결부 내측의 장착홈은 복수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블럭체결부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테두리부재 내측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블럭체결부의 상호간 접하는 면에는 내측돌기와 내측홈이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테두리부재와 상기 블럭체결부의 접하는 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고정돌기와 고정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블럭체결부의 전면에 걸리는 탄성고정부재와 상 기 블럭체결부의 후면에 걸리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고정부재는 상기 테두리부재에 고정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서 연장되어 절곡된 형상에 의하여 탄성을 갖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블럭체결부에 걸리는 걸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는 종래 발명과 달리 커넥터의 사양변경이 있을 경우, 해당되는 커넥터가 결합되는 블럭체결부만 재설계하여 기존의 테두리부재에 결합하면 되는 것에 의하여 제품의 개발기간 감소와 함께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의 결합된 상태를 도 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A-A"방향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테두리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테두리부재의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1)는 외형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부재(10)와, 상기 테두리부재(10)의 내측에 결합되며 커넥터(25)가 연결되기 위한 장착홈(22)이 구비된 블럭체결부(20) 및 상기 블럭체결부(20)를 상기 테두리부재(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테두리부재(10)는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1)의 외형 경계를 형성하는 부재로, 사각틀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의 틀 형상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테두리부재(10)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블럭체결부(20) 내측의 장착홈(22)은 복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25)가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장착홈(22)은 다양한 형상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25)가 상기 장착홈(22)에 결합됨은 체결볼트(27)의 체결에 의하여 결합이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탄성편(34)에 끼워져서 결합되는 등 다양한 결합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테두리부재(10) 내측에 결합되는 블럭체결부(20)는 단일개로 이루어지기도 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3개의 블럭체결부(20)가 테두리부재(10) 내측에 결합되기도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것일 뿐, 상기 블럭체결부(20)의 갯수는 증감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블럭체결부(20)의 상호간 접하는 면에는 내측돌기(42)와 내측홈(40)이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돌기(42)와 내측홈(40)은 사각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상호 맞물려서 고정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내측돌기(42)와 내측홈(4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고정돌기(52,54)와 고정홈(50)과 탄성고정부재(30)와 스토퍼(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외에도 상기 블럭체결부(20)를 상기 테두리부재(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부재가 본 발명에 의한 고정부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고정돌기와 고정홈(50)은 상기 테두리부재(10)와 상기 블럭체결부(20)의 접하는 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와 고정홈(50)은 사각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상호 맞물려서 고정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고정돌기와 고정홈(5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고정부재(30)는 상기 블럭체결부(20)의 전면(이하 도 1기준)에 탄성적으로 걸리게 되며, 이를 위한 상기 탄성고정부재(30)는 상기 테두리부재(10)에 고정된 고정편(32)과, 상기 고정편(32)에서 연장되어 절곡된 형상에 의하여 탄성을 갖는 탄성편(34)과, 상기 탄성편(34)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블럭체결부(20)에 걸리는 걸림편(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편(34)은 "V"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탄성을 갖는 성질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60)는 상기 블럭체결부(20)의 후면에 걸리도록 상기 테두리부재(10)의 내면에서 후측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부재(10)의 내측면에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이에 접하는 블럭체결부(20)에는 고정홈(50)이 형성되나, 이는 실시예에 의한 것일 뿐, 고정돌기와 고정홈(50)의 설치되는 위치와 갯수 등의 변경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부재(30)와 연이어 설치된 고정돌기(54)는 상기 탄성고정부재(30)의 설치에 의하여 다른 고정돌기(52)에 비하여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의 결합작업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테두리부재(10)의 내측에 블럭체결부(20)를 결합하게 되며, 상기 블럭체결부(20)가 복수로 구비된 경우, 먼저 한개의 블럭체결부(20)를 테두리부재(10) 내측에 결합한다.
상기 테두리부재(10)의 고정홈(50)으로 상기 테두리부재(10)의 고정돌기(52)가 삽입되어 결합이 안내되며, 상기 테두리부재(10) 내측의 스토퍼(60)에 의하여 상기 블럭체결부(20)가 후측(도 1 기준)으로 이동됨이 구속된다.
상기 블럭체결부(20)의 측면에도 장착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홈(22)을 따라 탄성고정부재(30)와 고정돌기(54)가 차례로 삽입된다.
상기 장착홈(22)으로 삽입된 상기 탄성고정부재(30)는 탄성편(34)이 접혀진 상태에 의하여 원상태로 회복되기 위한 복원력을 갖게 되며, 이러한 탄성편(34)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걸림편(36)은 상기 블럭체결부(20)의 전면(도 1기준)에 걸려 져서 상기 블럭체결부(20)의 전면방향 이동을 구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럭체결부(20) 사이에 형성된 내측홈(40)과 내측돌기(42)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블럭체결부(20)가 상기 테두리부재(10) 내측에 더욱 안정적으로 장착이 이루어진다.
한편, 신차 개발 및 개조차 개발 등으로 인하여 상기 커넥터(25)의 사양 변경이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되는 커넥터(25)가 결합되는 블럭체결부(20)만 재설계하여 기존의 테두리부재(10)에 결합하면 되는 것에 의하여 제품의 개발기간 감소와 함께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방향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테두리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테두리부재의 부분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
10 : 테두리부재 20 : 블럭체결부
22 : 장착홈 25 : 커넥터
27 : 체결볼트 30 : 탄성고정부재
32 : 고정편 34 : 탄성편
36 : 걸림편 40 : 내측홈
42 : 내측돌기 50 : 고정홈
52,54 : 고정돌기 60 : 스토퍼

Claims (7)

  1. 외형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부재;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에 결합되며 커넥터가 연결되기 위한 장착홈이 구비된 블럭체결부; 및
    상기 블럭체결부를 상기 테두리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체결부 내측의 장착홈은 복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체결부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테두리부재 내측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체결부의 상호간 접하는 면에는 내측돌기와 내측홈이 선택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테두리부재와 상기 블럭체결부의 접하는 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고정돌기와 고정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블럭체결부의 전면에 걸리는 탄성고정부재와 상기 블럭체결부의 후면에 걸리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부재는 상기 테두리부재에 고정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서 연장되어 절곡된 형상에 의하여 탄성을 갖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블럭체결부에 걸리는 걸림편을 포 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
KR1020070078417A 2007-08-06 2007-08-06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 KR100832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417A KR100832045B1 (ko) 2007-08-06 2007-08-06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417A KR100832045B1 (ko) 2007-08-06 2007-08-06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045B1 true KR100832045B1 (ko) 2008-05-27

Family

ID=39665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417A KR100832045B1 (ko) 2007-08-06 2007-08-06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04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380U (ko) 2014-12-30 2016-07-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KR101830429B1 (ko) * 2017-11-27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정션박스
KR101830431B1 (ko) 2017-11-27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정션박스
KR101830434B1 (ko) * 2017-11-27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정션박스
KR101830430B1 (ko) 2017-11-27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정션박스
KR101830432B1 (ko) 2017-11-27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정션박스
KR101830433B1 (ko) 2017-11-27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정션박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3468A (ja) * 2004-05-10 2005-11-1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KR20050110290A (ko) * 2004-05-18 2005-1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다 방향 고정성을 갖는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3468A (ja) * 2004-05-10 2005-11-1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KR20050110290A (ko) * 2004-05-18 2005-1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다 방향 고정성을 갖는 커넥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380U (ko) 2014-12-30 2016-07-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KR101830429B1 (ko) * 2017-11-27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정션박스
KR101830431B1 (ko) 2017-11-27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정션박스
KR101830434B1 (ko) * 2017-11-27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정션박스
KR101830430B1 (ko) 2017-11-27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정션박스
KR101830432B1 (ko) 2017-11-27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정션박스
KR101830433B1 (ko) 2017-11-27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정션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045B1 (ko) 커넥터 체결용 멀티박스
JP5336259B2 (ja) 電気接続箱のブラケット構造
JP6213837B2 (ja) 収容部、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2009101726A (ja) バンパ取付け用リテーナ及びバンパ取付け構造
JP4678326B2 (ja) ユニット接続装置
JP2014087221A (ja) バスバーおよび該バスバーを備えた電気接続箱
US10345872B1 (en) Computer case
JP5950712B2 (ja) 部品の結合構造
KR200448593Y1 (ko) 커넥터
KR20170002387U (ko) 조인트 블럭
CN215497254U (zh) 网络连接器及其连接器单元
CN209982878U (zh) 组装构造
KR20180013832A (ko) 차량용 정션박스
KR20180013828A (ko) 차량용 정션박스
KR101057932B1 (ko) 강도가 보강된 커넥터
KR20120073696A (ko) 커넥터
JP2004076859A (ja) クリップ及びクリップの固定構造
KR101830435B1 (ko) 배선장치
KR20240042930A (ko) 커넥터 고정클립
JP2010205694A (ja) スルークリップ
KR100676122B1 (ko) 유 후크형 와이퍼 암이 체결되는 기본 커넥터에 사용되는보조 커넥터
CN114746309A (zh) 连接器保持体及线束
KR200447847Y1 (ko)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된 커넥터어셈블리
KR200467489Y1 (ko) 커넥터하우징
JP2007155007A (ja) 部材固定用クリッ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