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014B1 - 2단계 개방형 도어용 록 핸들 장치 - Google Patents

2단계 개방형 도어용 록 핸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014B1
KR100832014B1 KR20070042588A KR20070042588A KR100832014B1 KR 100832014 B1 KR100832014 B1 KR 100832014B1 KR 20070042588 A KR20070042588 A KR 20070042588A KR 20070042588 A KR20070042588 A KR 20070042588A KR 100832014 B1 KR100832014 B1 KR 100832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latch
unit
clas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42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야 우치다
Original Assignee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도어가 좁은 열림도로 반개된 단계를 거쳐 넓은 열림도에 종국 개방되는, 구조가 간이하고 소형인 2단계 개방형 도어용 록 핸들 장치를 제공한다.
하우징(11)에 고정되는 래치 유닛(1)과 도어(12)에 고정되는 핸들 유닛(2)으로 이루어진다. 래치 볼트(4)는 받침 시트(3)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며, 전진 위치로 가압된다. 핸들 유닛(2)은 핸들축(5)과 조작 핸들(6)을 구비하고, 일정 각도만큼 이격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회전한다. 핸들축(5)은 전후로 이격되면서 일정 각도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1, 제2 걸쇠체(7, 8)를 갖는다. 래치 볼트(4)의 맞물림면(10)은 폐쇄 동작 시에 걸쇠체(7)가 경사면(9)을 이탈한 후, 래치 볼트(4)를 해제하여 전진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걸쇠체(7)에 맞물려 도어(12)를 시정하고, 또한 개방 동작 시에 제2 위치에 있는 핸들축(5)의 걸쇠체(8)에 맞물려 도어(12)를 반개 위치에서 임시 고정한다.
도어, 반개, 완전 개방, 걸쇠체, 래치, 2단계, 핸들 장치, 래치

Description

2단계 개방형 도어용 록 핸들 장치{LOCK HANDLE DEVICE FOR TWO-STAGED OPENING TYPE DOOR}
도 1은 본 출원의 발명에 따른 2단계 개방형 도어용 록 핸들 장치의 시정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조작 핸들은 제1 위치에 있다.
도 2는 도 1의 록 핸들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상태에서 조작 핸들을 제2 위치로 회전시켜 도어를 반개 위치까지 이동시켰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조작 핸들을 제1 위치로 복귀 회전시켜 도어를 종국 개방시킬 때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종국 개방한 도어를 폐쇄시키는 도중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시정 상태의 핸들 유닛과 래치 유닛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핸들 유닛과 래치 유닛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에 따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 형태의 동작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래치 유닛 2 : 핸들 유닛
3 : 받침 시트 4 : 래치 볼트
5 : 핸들축 6 : 조작 핸들
7 : 제1 걸쇠체 8 : 제2 걸쇠체
9 : 래치 볼트의 경사면 10 : 래치 볼트의 맞물림면
11 : 하우징 12 : 도어
13 : 관통공 14 : 고정 받침 시트
15 : 베어링 통부 16 : 나사부
17 : 체결 너트 18 : 전단 턱부
19 : 디텐트 홈 20 : 핸들축의 중간부
21 : 핸들축의 코너축부 22 : 핸들축의 밑동(根本)부
23 : 밑동부의 내부 격벽 24 : 격벽의 코너공
25 : 나사부 26 : 체결 너트
27 : 단차부 28 : 핸들의 오목부
29 : 디텐트 핀 30 : 디텐트 케이스
31 : 절삭면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조작과 하우징에 대한 시정 조작에 사용되는 도어용 록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팀 오븐 등의 조리 기기에 사용되는 도어용 록 핸들 장치에서는, 도 어를 단숨에 완전 개방한 경우, 하우징 내의 증기나 열기가 조작자 쪽으로 집중 분출되어 화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처음에는 도어를 소정의 좁은 열림도로 임시 개방하고, 이 임시 개방의 단계에서 증기나 열기를 개방부로부터 빠져나오게 하여, 조작자에게 직접 대량으로 내뿜지 않도록 배려한 설계가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요청을 따른 것으로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2단계 개방형의 도어용 록 핸들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록 핸들 장치는 도어에 고정되는 핸들 유닛 및 래치 유닛과, 하우징 측에 고정되는 것 받침쇠체 및 스트라이커로 구성되며, 핸들 유닛의 걸쇠체가 받침쇠체에 대하여 맞물림(係合) 이탈 가능하게, 또한 래치 유닛이 스트라이커에 대하여 맞물림 이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핸들 유닛의 조작 핸들은 핸들축을 축 둘레에서 일정 각도만큼 이격된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정역회전시킨다. 핸들축에 고착된 걸쇠체는 제1 위치에서 하우징 측의 받침쇠체에 맞물리고, 제2 위치에서 받침쇠체로부터 이탈한다. 래치 유닛에는 하우징 측의 스트라이커와 맞물림이탈하는 래치 볼트가 핸들축에 연계하여 진퇴 가능하게, 또한 스트라이커에 슬라이딩 접촉하거나, 또는 맞물림 가능하게 돌출 방향으로 가압되어 수용되어 있다. 핸들축이 제1 위치에 있어 도어가 록된 상태에서, 핸들축이 제2 위치에 있어 걸쇠체가 받침쇠체로부터 이탈하여 도어가 반개 위치에 올 때까지 래치 볼트는 스트라이커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개방 동작을 허용한다. 도어가 반개 위치에 오면 래치 볼트가 스트라이커에 맞물림하고, 거기서 개방 동작을 저지한다. 이때, 하우징 내부의 고온 고압의 증기가 안전하게 빠져나간다. 이 상태에서 핸들축을 제1 위치로 복귀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래치 볼트가 스트라이커로부터 이탈하 여 도어의 완전 개방이 가능해진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4-308175호 공보
상기 종래의 록 핸들 장치는 도어 측에 핸들 유닛과 래치 유닛을 설치하는 한편, 하우징 측에 받침쇠체와 스트라이커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기구가 복잡하고 부품 수가 많아 제작 비용의 저감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발명은, 도어가 좁은 열림도로 반개된 단계를 거쳐 넓은 열림도로 종국 개방되기 때문에, 조작자가 증기나 열기의 집중 분출로부터 확실하게 방호되는, 구조가 간이하고 소형인 2단계 개방형 도어용 록 핸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의 참조 부호를 붙여 설명하는데, 본 출원에 따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는, 개구를 갖는 하우징(11)에 고정되는 래치 유닛(1)과, 하우징(11)의 개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하우징(11)에 힌지장착된 도어(12)에 고정되는 핸들 유닛(2)의 2개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2단계 개방형 도어용 록 핸들 장치를 제공한다. 핸들 유닛(2)은 래치 유닛(1)에 대하여 도어(12)의 시정 및 반개의 2개의 위치에서 맞물림 이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래치 유닛(1)은 하우징(11)에 고착되는 받침 시트(3)와 래치 볼트(4)를 구비한다. 래치 볼트(4)는 받침 시트(3)에 지지되며, 시정 위치에 있는 도어(12)의 전면에 평행한 면을 따라 전진 위치와 후퇴 위치 와의 사이를 진퇴 가능하며, 전진 위치 측으로 가압된다. 핸들 유닛(2)은 핸들축(5)과 조작 핸들(6)을 구비한다. 핸들축(5)은 서로 소정의 회전 각도만큼 이격된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축 둘레에서 정역회전 가능하게 도어(12)의 전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지지된다. 조작 핸들(6)은 도어(12)의 전면 측으로부터 핸들축(5)을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핸들축(5)의 전방 단부에 고착된다. 핸들축(5)은 그것의 축선 직교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걸쇠체(7)와 제2 걸쇠체(8)를 구비한다. 제2 걸쇠체(8)는 제1 걸쇠체(7)에 대하여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며, 또한 축 둘레에서 소정 각도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축선 직교 방향으로 돌출한다. 래치 볼트(4)는 도어(12)의 폐쇄 동작 시에 핸들축(5)의 제1 걸쇠체(7)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그 진행을 허용하는 경사면(9)과 제1 걸쇠체(7) 또는 제2 걸쇠체(8)에 맞물려 도어(12)의 개방 동작을 저지하는 맞물림면(10)을 구비한다. 래치 볼트(4)의 경사면(9)은 도어(12)의 폐쇄 동작 시에 제1 위치에 있는 핸들축(5)의 제1 걸쇠체(7)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래치 볼트(4)를 후퇴시킴으로써 제1 걸쇠체(7)를 통과시킨다. 래치 볼트(4)의 맞물림면(10)은 도어(12)의 폐쇄 동작 시에 제1 걸쇠체(7)가 경사면(9)을 이탈한 후, 래치 볼트(4)를 해제(釋放)하여 전진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제1 걸쇠체(7)에 맞물려 도어(12)를 시정하고, 또한 도어(12)의 개방 동작 시에 제2 위치에 있는 핸들축(5)의 제2 걸쇠체(8)에 맞물려 도어(12)를 반개 위치에서 임시 고정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발명에 따른 2단계 개방형 도어용 록 핸들 장치의 시정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조 작 핸들은 제1 위치에 있다. 도 2는 도 1의 록 핸들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상태에서 조작 핸들을 제2 위치로 회전시켜 도어를 반개 위치까지 이동시켰을 때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조작 핸들을 제1 위치로 복귀 회전시켜 도어를 종국 개방시킬 때의 평면도, 도 5는 종국 개방한 도어를 폐쇄시키는 도중의 평면도, 도 6은 시정 상태의 핸들 유닛과 래치 유닛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핸들 유닛과 래치 유닛의 배면도이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2)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공(13)에 핸들 유닛(2)의 고정 받침 시트(14)의 베어링 통부(15)가 삽입 관통되고, 후단 나사부(16)에 나사 결합된 체결 너트(17)와 도어(12)의 전면에 맞닿는 전단 턱부(18)에 의해 도어(12)에 고착된다. 전단 턱부(18)의 전면에는 90도 간격으로 4개의 디텐트 홈(19)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축(5)의 중간부(20)는 베어링 통부(15)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핸들축(5)의 전단 측의 코너축부(21)는 조작 핸들(6)의 밑동부(22)의 내부 격벽(23)에 형성된 코너공(24)에 삽입 관통되어 조작 핸들(6)과 일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핸들축(5)은 전단 측의 나사부(25)에 나사 결합된 체결 너트(26)와 베어링 통부(15)의 후단면에 맞닿는 단차면(27)에 의해 조작 핸들(6)에 빠짐 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조작 핸들(6)의 후면 오목부(28)에는 디텐트 핀(29)을 내장하는 디텐트 케이스(30)가 끼워져 들어가, 코너축부(21)의 밑동 부분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디텐트 핀(29)은 스프링에 의해 돌출 방향으로 가압되어, 디텐트 홈(19) 에 탄성적으로 맞물린다. 이에 따라, 핸들축(5)은 90° 회전할 때마다 위치 결정 유지된다.
베어링 통부(15)로부터 돌출된 핸들축(5)의 후방 부분에는 롤러형의 제1 및 제2 걸쇠체(7, 8)가 축선 직교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제2 걸쇠체(8)는 제1 걸쇠체(7)의 후방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걸쇠체(7)의 돌출 방향에 대하여 핸들축(5)의 축 둘레에서 90°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래치 유닛(1)은 하우징(11)에 고착되는 받침 시트(3)와 래치 볼트(4)를 구비한다. 래치 볼트(4)는 받침 시트(3)에 지지되고, 시정 위치에 있는 도어(12)의 전면에 평행한 면을 따라 전진 위치와 후퇴 위치와의 사이를 진퇴 가능하며, 또한 전진 위치 측으로 가압된다. 래치 볼트(4)는, 선단부의 전면측에 핸들축(5)의 걸쇠체(7)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사면(9)과, 걸쇠체(7, 8)에 맞물리는 이면측의 맞물림면(10)을 갖는다. 래치 볼트(4)는 도어(12)의 폐쇄 동작 시(도 5)에 경사면(9)이 제1 걸쇠체(7)에 밀려 후퇴하여, 핸들축(5)의 진행을 허용하는 한편, 도어(12)의 시정 시(도 2, 6)에는 맞물림면(10)이 제1 걸쇠체(7)에 맞닿아 핸들축(5)을 구속하고, 또한 도어(12)의 반개방 시(도 3)에는 맞물림면(10)이 제2 걸쇠체(8)에 맞닿아 핸들축(5)을 구속한다.
이상 설명한 2단계 개방형 도어용 록 핸들 장치에서는, 도 1, 2, 6,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2)가 폐쇄되어 하우징(11)에 대하여 시정되어 있을 때에는, 조작 핸들(6)은 손잡이부가 수평으로 배치된 제1 위치에 있고, 제1 걸쇠체(7)는 래치 볼트(4)의 뒤쪽의 맞물림면(10)에 맞물려 도어(12)는 시정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2)의 시정을 해제하여 도어(12)를 개방 회전시키기 위하여, 조작 핸들(6)을 제1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예를 들어 90도 회전시키면, 조작 핸들(6)은 손잡이부가 수직으로 배치된 제2 위치에 온다. 이 제2 위치에서는 제1 걸쇠체(7)가 상방을 향하여, 래치 볼트(4)의 맞물림면(10)으로부터 벗어나므로, 조작 핸들(6)을 앞쪽으로 당겨 도어(12)를 개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좁은 열림도의 초기 개방의 위치까지 도어(12)가 도달하면, 수평 방향으로 돌출한 제2 걸쇠체(8)가 래치 볼트(4)의 맞물림면(10)에 맞닿고, 도어(12)의 개방 동작은 여기서 저지된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11) 내의 고온, 고압의 증기가 도어(12)의 주변으로부터 안전하게 외기로 방출된다. 도어(12)를 완전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핸들(6)을 손잡이부가 수평으로 배치되는 제1 위치로 일단 복귀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제2 걸쇠체(8)가 하방을 향하여 래치 볼트(4)의 맞물림면(10)으로부터 벗어나므로, 조작 핸들(6)을 앞쪽으로 당겨 도어(12)를 완전 개방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는, 하우징 내부의 고온, 고압 증기는 빠져나갔으므로 안전하게 도어(12)의 개방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식품의 반출 등의 소정 작업이 종료된 후, 도어(12)를 폐쇄하여 시정하는 경우에는, 제1 위치에 있는 조작 핸들(6)을 잡고 그대로 도어(12)를 후방으로 밀어넣으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걸쇠체(7)가 래치 볼트(4)의 경사면(9)에 맞닿아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래치 볼트(4)를 후퇴시키고, 경사면(9)으로부터 벗어나면 래치 볼트(4)가 가압력으로 전진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걸쇠체(7)가 래치 볼트(4)의 맞물림면(10)에 맞닿아, 도어(12)가 하우징(7)에 대하여 시정되게 된다.
본 출원에 따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 8, 9에 도시하였다. 동 도면에서, 앞의 실시 형태와 동등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걸쇠체(8)는 롤러형인 것 대신, 핸들축(5) 상에 형성된 돌기부로 이루어진다.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걸쇠체(8)는, 예를 들어 핸들축(5)의 일부를 절삭하여 형성된다. 도면에서, 제1 걸쇠체(7)와 직교 방향의 둘레면이 선단부를 남기고 절삭되어, 제1 걸쇠체(7)와 직교하는 절삭면(31)과 돌기부(걸쇠체(8))가 형성된다. 도 8에서, 핸들(6)은 제1 위치에 있고, 도시하지 않은 도어는 개방되어 있다. 도 9(a)는 도어의 시정 상태를 나타내며, 도시하지 않은 핸들(6)은 제1 위치에 있고, 제1 걸쇠체(7)가 래치 볼트(4)의 맞물림면(10)에 맞물려 있다. 이 상태에서 핸들(6)을 화살표 방향으로 90° 회전시켜, 제2 위치로 가지고 와서 전방으로 당기면, 래치 볼트(4)가 제1 걸쇠체(7)로부터 벗어나 절삭면(31) 상을 상대 슬라이딩 이동하고,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인 제2 걸쇠체(8)가 래치 볼트(4)의 맞물림면(10)에 맞물려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도어는 반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이 상태에서 핸들(6)을 화살표 방향으로 90° 복귀시켜 제1 위치에 배치하면,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 볼트(4)가 걸쇠체(8)로부터 벗어나고, 핸들축(5)의 원주면으로 밀려 후퇴한다. 이 상태에서 핸들(6)을 전방으로 당기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를 완전 개방시킬 수 있다. 도어를 닫으려면 도 8에 도시한 상태에서 그대로 핸들(6)을 밀어넣으면, 래치 볼트(4)가 핸들 축(5)의 선단면에 밀려 후퇴하고, 그 상태에서 핸들축(5) 상을 상대 슬라이딩 이동하고(도 9(c)의 상태), 제1 걸쇠체(7)가 래치 볼트(4)의 경사면(9)에 맞닿으면, 래치 볼트(4)가 더 깊이 밀려들어가고, 제1 걸쇠체(7)가 래치 볼트(4)를 통과하면 다시 래치 볼트(4)가 돌출하여 제1 걸쇠체(7)에 맞물려, 도 9(a)에 도시한 시정 상태가 된다.
본 출원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2단계 개방형 도어용 록 핸들 장치가 래치 유닛(1)과 핸들 유닛(2)의 2개의 유닛으로만 구성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수가 적으며 설치 스페이스도 작아도 되어 제작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개구를 갖는 하우징에 고정되는 래치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당해 하우징에 힌지장착된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래치 유닛에 대하여 맞물림, 이탈 가능한 핸들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래치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고착되는 받침 시트와; 시정 위치에 있는 상기 도어의 전면에 평행한 면을 따라 전진 위치와 후퇴 위치와의 사이를 진퇴 가능하고, 또한 전진 위치 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받침 시트에 지지되는 래치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 유닛은, 서로 소정 회전 각도만큼 이격된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축 둘레에서 정역회전 가능하게 상기 도어의 전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지지되는 핸들축과; 이 핸들축의 전방 단부에 고착되어, 도어의 전면 측으로부터 당해 핸들축을 회전 조작하기 위한 조작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축은, 그것의 축선 직교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걸쇠체와; 이 제1 걸쇠체에 대하여 후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또한 축 둘레에서 소정 각도만큼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축선 직교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걸쇠체를 구비하고; 상기 래치 볼트는, 상기 도어의 폐쇄 동작 시에 상기 핸들축의 제1 걸쇠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사면과 제1 또는 제2 걸쇠체에 맞물려서 상기 도어의 개방 동작을 저지하는 맞물림면을 구비하고; 상기 래치 볼트의 경사면은, 상기 도어의 폐쇄 동작 시에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핸들축의 제1 걸쇠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당해 래치 볼트를 후퇴시킴으로써 제1 걸쇠체를 통과시키도록 설정되고; 상기 래치 볼트의 맞물림면은, 상기 도어의 폐쇄 동작 시에 상기 제1 걸쇠체가 상기 경사면을 이탈한 후, 당해 래치 볼트를 해제하여 전진 위치로 복귀시켜, 제1 걸쇠체에 맞물려 도어를 시정함과 아울러, 상기 도어의 개방 동작 시에 제2 위치에 있는 상기 핸들축의 제2 걸쇠체에 맞물려서 도어를 반개 위치에서 임시 고정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계 개방형 도어용 록 핸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쇠체가 상기 핸들축에 부착된 롤러형의 걸쇠체이고; 상기 제2 걸쇠체가 상기 핸들축 상에 형성된 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계 개방형 도어용 록 핸들 장치.
KR20070042588A 2007-02-14 2007-05-02 2단계 개방형 도어용 록 핸들 장치 KR100832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33801A JP2008196237A (ja) 2007-02-14 2007-02-14 二段階開放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JP-P-2007-00033801 2007-0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014B1 true KR100832014B1 (ko) 2008-05-23

Family

ID=39665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42588A KR100832014B1 (ko) 2007-02-14 2007-05-02 2단계 개방형 도어용 록 핸들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8196237A (ko)
KR (1) KR100832014B1 (ko)
CN (1) CN101243941A (ko)
TW (1) TW20083393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0183A (zh) * 2014-06-26 2014-10-22 合肥百年五星饮食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蒸饭柜安全门锁
JP6696891B2 (ja) * 2016-12-13 2020-05-20 Ykk Ap株式会社 建具
JP7215916B2 (ja) * 2019-01-31 2023-01-31 株式会社Lixil ハンドル装置
CN110761617A (zh) * 2019-11-15 2020-02-07 程倩雁 把手锁定型机械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8175A (ja) * 2003-04-03 2004-11-04 Takigen Mfg Co Ltd 二段階開放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20060077507A (ko) * 2004-12-30 2006-07-05 문영택 도어의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8175A (ja) * 2003-04-03 2004-11-04 Takigen Mfg Co Ltd 二段階開放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20060077507A (ko) * 2004-12-30 2006-07-05 문영택 도어의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33930A (en) 2008-08-16
CN101243941A (zh) 2008-08-20
JP2008196237A (ja) 200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340B1 (ko) 인출회전형 문용 록핸들장치
JPH0662150U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6511165B2 (ja) ハンドル機構
JPH06294244A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0832014B1 (ko) 2단계 개방형 도어용 록 핸들 장치
JP2524952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WO2014108680A1 (en) Cable restrictor with a lockable body for a door or a window
CA2677974A1 (en) Locker lock
US11920389B2 (en) Reversible latchbolt
JP2009180028A (ja) 開閉ロック装置
US11639618B2 (en) Reversible latchbolt
KR200160156Y1 (ko) 빼고꽂음형 문용 록핸들장치
JP2004308929A (ja) ボルトアクション銃の安全装置
JP5921455B2 (ja) ラッチ装置
JP4043036B2 (ja) 二段階開放型密閉リフトハンドル装置
JP4063820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2016056535A (ja) 扉のポップアウト型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4218970B2 (ja) 二段階開放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0395360B1 (ko) 단일조작 로크장치
JP5992714B2 (ja) 不正操作防止カム装置
KR20010050072A (ko) 빼고 꽂기형 문용 로크핸들장치
JP4801747B2 (ja) 摘み回転式錠装置
JP4104159B2 (ja) キーハンドル抜き差し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5372982B2 (ja) ヒンジ装置
JPH0524837U (ja) 三方施錠型ロツ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