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7507A - 도어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7507A
KR20060077507A KR1020040116389A KR20040116389A KR20060077507A KR 20060077507 A KR20060077507 A KR 20060077507A KR 1020040116389 A KR1020040116389 A KR 1020040116389A KR 20040116389 A KR20040116389 A KR 20040116389A KR 20060077507 A KR20060077507 A KR 20060077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roove
push pin
lock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8246B1 (ko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문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택 filed Critical 문영택
Priority to KR1020040116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246B1/ko
Publication of KR20060077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7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2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locking the handl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에서는 열쇠나 비밀번호를 입력하더라도 잠금상태의 해제가 차단되어 도어를 개방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실내의 거주자는 핸들만 작동시키면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내측 핸들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결합부재에 날개가 형성되고, 회전노브의 일측에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는 회전방지플레이트가 고정되고, 내측 커버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부는 걸림돌기와 걸림홈이 형성되는 푸시핀이 구비되어, 상기 푸시핀을 누르면 상기 날개가 상기 걸림홈에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회전방지홈에 체결되고, 상기 핸들을 조작하면 상기 날개가 상기 걸림홈을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회전방지홈을 이탈하여 백세트의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후진하며 도어를 개방이 가능하여 신속한 외출 및 탈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어, 데드볼트, 레치볼트, 잠금

Description

도어의 잠금장치 { Door locking device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백세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실내측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핀이 눌려진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핀이 해제된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b는 도 7a의 스토퍼와 푸시핀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도어 3,4: 커버
5,6: 핸들 7: 회전노브
12: 백세트 16: 래치볼트
22: 데드볼트 50: 제2연결축
70: 스프링 74: 결합부재
80: 회전방지플레이트 86: 푸시핀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실외에서는 열쇠나 비밀번호를 입력하더라도 잠금상태의 해제가 차단되어 도어를 개방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실내의 거주자는 핸들만 작동시키면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도어의 잠금장치는 도어의 측면 중간부에 문틀에 형성된 잠김홈에 걸리되 도어가 닫힌 상태의 지지를 위하여 설치되는 래치볼트와, 도어의 잠김 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데드볼트를 구비하고 있는 백세트가 내장설치된다.
그런데, 상기 백세트가 구비된 일반적인 잠금장치는 보통 야간에는 데드볼트를 외부에서 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보통 잠금장치의 실내쪽에 구비되어 데드볼트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슬라이드방식 또는 푸시방식의 조작구를 작동시켜 데드볼트가 외부에서 열쇠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개방을 시도하더라도 잠금상태를 유지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의 거주자가 외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작구를 해제시키고 손잡이를 돌린 상태에서 도어를 밀어야 도어를 개방할 수 있어 여러번 조작을 해야 하 는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화재와 같은 긴급한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어린이나 노인과 같은 노약자들은 당황하여 상기 조작구를 해제시키지 못하여 탈출을 못함으로 인해 연기에 질식하는 등의 대형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한번의 버튼조작을 통해 외부의 침입자 등은 실내로 들어올 수 없는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외출 또는 비상시 탈출을 위해서는 손잡이만 돌리면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모두 해제되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도어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계식 잠금장치 또는 전자식 점금장치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잠금장치에 적용하여 설치가능한 도어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2)의 측면에 삽입 장착되어 출몰되는 래치볼트(16)와 데드볼트(22)가 연동되어 구동되는 백세트(12)와, 상기 레치볼트(16)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제1연결축(50)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5,6)이 각각 구비되는 내외측 커버(3,4)와, 상기 데드볼트(22)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제2연결축(50)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내측 커버(3)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노브(7)로 이루어진 도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5)의 일단부는 내측 커버(3)를 관통하여 스프링(70)이 끼워져 결합부재(74)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재(74)에는 날개(78a)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노브(7)의 일측에는 회전방지홈(80a)이 형성되는 회전방지플레이트(80)가 고정되고, 상기 내측 커버(3)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스프링(88)에 의해 지지되도록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부는 걸림돌기(84a)와 걸림홈(86b)이 형성되는 푸시핀(86)이 구비되어, 상기 푸시핀(86)을 누르면 상기 날개(78a)가 상기 걸림홈(86b)에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돌기(84a)가 상기 회전방지홈(80a)에 체결되고, 상기 핸들(5)을 조작하면 상기 날개(78a)가 상기 걸림홈(86b)을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돌기(84a)가 상기 회전방지홈(80a)을 이탈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백세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실내측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핀이 눌려진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핀이 해제된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한 스토퍼와 푸시핀의 체 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b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는 도어(2)의 일측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한쌍의 내측 커버(3) 및 외측 커버(4)와, 그 커버(3,4)에 각각 구비되는 핸들(5,6) 및 회전노브(7,8)와, 상기 외측 커버(3)에 구비되는 키패드(10) 또는 키박스(미도시됨)와, 상기 커버(3,4)의 사이에 위치하며 데드볼트(22)와 래치볼트(18)가 연동되며 출몰되는 백세트(1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백세트(12)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의 측면에 삽입장착되는 하우징(14)의 내부에 래칫볼트(16)가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래칫볼트(16)는 슬로프(18)가 형성된 전단이 하우징(14)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스프링(20)에 의해 탄지된다. 그리고, 전단이 하우징(14)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데드볼트(22)가 하우징(14)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래칫볼트(16)와 데드볼트(22)는 상기 하우징(14)에 형성된 돌출공(24)을 통해 돌출되는 것으로, 이 돌출공(24)이 형성되는 하우징(14)의 측판(26)은 2중으로 구성되며, 그 사이에는 상기 래칫볼트(16)와 데드볼트(22)가 상기 돌출공(24)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윤활부재(28)가 개재된다. 이 윤활부재(28)는 윤활작용을 하는 경도가 높은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으로, 따라서, 래칫볼트(16)와 데드볼트(22)가 상기 돌출공(24)과 마찰되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4)의 내부에 제1회동암(34)이 회동가능하게 내장된다. 이 제1회동암(34)은 상기 래칫볼트(16)의 후단에 형성된 유도장공(32)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래칫볼트(16)와 데드볼트(22)에 형성된 걸림돌기(36,37)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이 제1회동암(34)을 회동시키면 상기 걸림돌기(36,37)를 밀어서, 상기 래칫볼트(16)와 데드볼트(22)를 동시에 하우징(14) 속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래칫볼트(16)는 그 후단에 형성된 유도장공(32)이 상기 제1회동암(34)에 의해 안내되어 전후 슬라이드된다. 그리고, 이 제1회동암(34)에 제1연결축(38)이 축결된다. 이 제1연결축(38)은 상기 커버(4)에 장착된 핸들(5,6)에 연결되어, 이 핸들(5,6)을 회전시켜서 상기 제1회동암(34)을 회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4)에 제2회동암(44)이 회동가능하게 내장된다. 이 제2회동암(44)은 상기 데드볼트(22)의 후단에 형성된 유도장공(42)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것으로, 일측에 장공(48)이 형성되고, 이 장공(48)에 상기 데드볼트(22)에 형성된 삽입돌기(46)가 삽입된다. 따라서, 이 제2회동암(44)을 회동시켜서 데드볼트(22)를 하우징(14)의 측면으로 출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데드볼트(22)는 그 후단에 형성된 유도장공(42)이 상기 제1회동암(44)에 의해 안내되어 전후 슬라이드된다. 그리고, 이 제2회동암(44)에는 제2연결축(50)이 축결된다. 이 제2연결축(50)은 상기 커버(3,4)에 장착된 회전노브(7,8)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 회전노브(7,8)를 회동시켜 상기 제2회동암(44)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제2회동암(44)에는 2단계의 위치설정부(52)가 형성된다. 이 위치설정부(52)는 제2회동암(44)의 회전축(53) 외주면 중에서 소정부위를 평면으로 절삭하여 구성된 것으로, 하우징(14)의 내부에 장착된 판스프링(54)의 상면이 이 위치설정부(52)에 접촉되어 위지설정부(52)를 압착한다. 따라서, 제2회동암(44)이 회동 됨에 따라, 상기 위치설정부(52)의 평면부가 상기 판스프링(54)에 걸려서, 제2회동암(44)이 위치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2회동암(44)를 상기 데드볼트(22)가 돌출된 위치나 데드볼트(22)가 삽입된 위치로 위치설정하여, 외부충격 등으로 데드볼트(22)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58)가 상기 데드볼트(2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14)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스토퍼(58)는 도 2c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단이 상기 데드볼트(22)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스프링(56)에 의해 탄지된 것으로, 데드볼트(22)가 하우징(14)의 측면으로 돌출되면 스토퍼(58)의 전단이 데드볼트(22)에 형성된 걸림턱(60)에 걸려, 데드볼트(22)가 하우징(14)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 스토퍼(58)는 그 측면에 돌출턱(62)이 형성된다. 이 돌출턱(62)은 상기 제1회동암(34)이 회동되기 시작하면, 제1회동암(34)에 밀려서 스토퍼(58)가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후퇴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 스토퍼(58)가 후퇴되면 스토퍼(58)의 선단과 데드볼트(22)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데드볼트(22)를 하우징(14)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백세트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2)의 잠금해제상태에서는, 상기 래칫볼트(16)가 스프링(20)에 의해 도어(2)의 측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데드볼트(22)는 백세트(12)의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도어프레임(64)에 형성된 삽입홈(66)에 삽입되는 상기 래칫볼트(16)를 핸들(6)로 출몰시켜 도어(2)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그리고, 도어(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회전노브(8)를 회전시켜 데드볼트(22)를 돌출시키면, 이 데드볼트(22)가 도어프레임(64)에 형성된 삽입홈(68)에 삽입되어 도어(2)를 잠글 수 있다. 이때, 상기 데드볼트(22)는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60)이 상기 스토퍼(58)에 걸려서 데드볼트(22)를 백세트(12)의 내부로 삽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4)에 장착된 키패드(10)를 조작하여 이 키패드(10)에 의해 작동되는 전자잠금장치로 래칫볼트(16)를 록킹하면, 도어(2)는 완전히 잠기게 된다.
이때, 상기 백세트(12)는 래치볼트(16)와 데드볼트(22)가 연동되어 전진 및 후진하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이하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도어(2)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커버(3)에는 핸들(5)이 10 내지 45°이내의 각도로 회동 및 복귀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핸들(5)의 일단부는 커버(3)에 형성된 관통공(3a)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고, 그 단부에는 양측단부가 절곡되어 감겨진 형태의 스프링(70)이 커버(3)의 내측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편(72)과 결합부재(74)가 끼워져 볼트(75)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커버(3)의 내측에는 상기 스프링(70)의 제1절곡부(70a)가 탄성력을 유지하며 지지될 수 있는 제1지지편(3b)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72)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70)의 제2절곡부(70b)가 지지되는 제2지지편(72a)이 형성되어 핸들(5)이 회동하면 탄성에 의해 회동 및 복귀가 가능하며, 상기 고정편(72)의 측면에는 지지돌기(72b)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커버(3)의 내측에 형성되는 걸림턱(3d)에 지지되어 일정범위이내의 각도에서 고정편(72) 및 결합부재(74)가 회동된다.
한편, 상기 고정편(72)과 결합부재(74)에는 상기 백세트(12)의 제1 회동암(34)의 측면에 단부가 접촉되어 제1회동암(34)을 회동시키도록 하는 회동축(76)이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회동축(76)이 회동하면 백세트(12)의 래치볼트(16)와 데드볼트(22)가 후진하여 도어(2)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74)의 상부에는 경사진 날개(78a)가 형성되는 윙플레이트(78)가 결합되어 핸들(5)의 조작시 결합부재(74)와 함께 회동된다.
또한, 상기 커버(3)의 상부에는 회전노브(7)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그 단부에는 상기 제2회동암(44)에 축설되는 제2연결축(50)의 단부가 결합되어 데드볼트(22)를 전진 및 후진시켜주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노브(7)는 그 일단부가 상기 커버(3)의 관통공(3c)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그 단부의 외주면에는 걸림홈(7a)이 형성되어, 그 단부에는 회전방지홈(80a)이 형성되는 회전방지플레이트(80)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80a)에 스냅링(82)으로 고정하여 회전노브(7)가 커버(3)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견고히 지지해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방지플레이트(80)와 커버(3)의 내측 사이에는 상기 회전방지플레이트(80)의 회전방지홈(80a)에 체결되도록 돌출되는 걸림돌기(84a)가 중앙부 관통공(84b)의 일측에 형성되고, 일측 선단부에는 지지턱(84c)이 형성되는 스토퍼(84)기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핸들(5)과 회전노브(7) 사이에는 푸시핀(86)이 커버(3)에 관통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푸시핀(86)의 일단부는 커버(3)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커버(3)의 내측면에 탄성력을 주는 코일형상의 스프링(88)이 끼워져 후진하려는 방 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88)은 상기 푸시핀(86)에 끼워지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푸시캡(87)의 단부에 일단부가 지지되고, 타단부는 커버(3)의 외측에 형성되는 관통공(3d)의 내부에 지지되어 푸시핀(86)이 커버(3)의 외측으로 가압되도록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푸시핀(86)의 타단부에는 상기 스토퍼(84)의 지지턱(84c)이 끼워지는 지지홈(86a)과 상기 윙플레이트(78)의 경사진 날개(78a)가 체결 및 분리되는 걸림홈(86b)이 차례로 형성되고, 그 단부에는 경사진 테이퍼면(86c)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84)는 상기 푸시핀(86)에 일체로 형성되어 푸시핀(86)의 측면에 축방향에 수직하게 걸림돌기(84a)가 형성되게 구성함도 동일한 원리를 이용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방지홈(80a)을 상기 회전노브(7)에 일체로 형성함도 동일한 기술적 원리를 사용하는 것으로 푸시핀(86)이 눌려지면 걸림돌기(84a)가 푸시핀(86)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걸림돌기(84a)가 돌출되어 회전방지홈(80a)에 끼워져 회전노브(7)의 회전을 방지하여 백세트(12)의 데드볼트(22)도 후진이 되지 않아 도어(2)의 잠금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해주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평상시에는 핸들(5)을 하부로 회동시키게 되면, 제1회동암(34)이 회전하면서 백세트(12)의 래치볼트(16) 및 그에 연동되는 데드볼트(22)가 회전하며 후진하여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도어(2)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실내에 거주자가 있는 경우에는 커버(3)의 푸시핀(86)을 손으로 누르 게 되면, 푸시핀(86)이 진행하며 그 단부의 경사진 테이퍼면(86c)에 의해 윙플레이트(78)의 경사진 날개(78a)가 미끄러지며 안내되어 걸림홈(86a)에 체결된다.
이때, 푸시핀(86)의 지지홈(86a)에 지지되는 스토퍼(84)가 함께 이동되어 스토퍼(84)에 형성되는 걸림돌기(84a)가 회전방지플레이트(80)의 회전방지홈(80a)에 체결되어 전자식 잠금장치의 경우에는 마이크로 스위치와 같은 일반적인 스위치(미도시됨)를 상기 스토퍼(84)의 진행방향에 구비하여 스토퍼(84)의 걸림돌기(84a)가 회전방지홈(80a)에 체결시에 오프(off)되어 밧데리(90)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도어(2)의 외측 커버(4)에 형성된 키패드(10)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기계식 잠금장치인 경우에는 키박스(미도시됨)에 키이(key)(미도시됨)를 삽입하여 돌리려고 해도 제2연결축(50)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데드볼트(22)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실내의 거주자가 외출 또는 화재발생으로 긴급한 탈출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조작없이 실내측 커버(3)의 핸들(5)을 하측으로 당기게 되면 윙플레이트(78)의 경사진 날개(78a)가 회전하며 푸시핀(86)의 걸림홈(86b)을 이탈하게 되고, 그로인해 푸시핀(86)은 스프링(88)의 복원력에 의해 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푸시핀(86)의 지지홈(86a)에 지지되는 스토퍼(84) 역시 함께 후진하게 되어 회전노브(7)에 일체로 결합된 회전방지플레이트(80)의 회전방지홈(80a)에서 걸림돌기(84a)가 이탈하게 되어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핸들(5)을 계속해서 하측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결합부재(74)에 지지되는 회동축(76)이 회전하며 백세트(12)의 래치볼트(16)와 데드볼트(22)가 후 진하여 도어(2)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진행과정은 그 동작과정을 하나하나 차례로 설명하였으나 실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핸들(5)을 단 1회만 작동시켜 데드볼트(22)의 잠금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데드볼트(22) 및 래치볼트(16)의 후진작동을 수행함을 알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스토퍼(84)는 푸시핀(86)의 진행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회전방지플레이트(80)의 회전방지홈(80a)에 체결되도록 걸림돌기(84)가 일측에 돌출되는 장공(84d)이 형성되어 회전노브(7)의 축상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에는 경사진 안내턱(84e)이 형성된다.
그리고, 푸시핀(86)의 걸림홈(86b)에는 상기 안내턱(84e)이 안내될 수 있도록 경사진 가이드면(86d)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푸시핀(86)을 손으로 누르는 경우, 푸시핀(86)이 전진하며 가이드면(86d)에 의해 상기 스토퍼(84)의 안내턱(84e)이 푸시핀(86)의 진행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상기 스토퍼(84)의 걸림돌기(84a)가 상기 회전방지플레이트(80)의 회전방지홈(80a)에 체결되어 회전노브(7) 및 데드볼트(22)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실내측의 핸들(5)을 하측으로 당기게 되면 윙플레이트(78)의 경사진 날개(78a)가 회전하며 푸시핀(86)의 걸림홈(86b)을 이탈하게 되고, 그로인해 푸시 핀(86)은 스프링(88)의 복원력에 의해 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84)는 스프링(92)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커버(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면(86d)을 따라 안내되어 푸시핀(86)의 중심쪽으로 원위치되어 복귀되면서 회전방지플레이트(80)의 회전방지홈(80a)에 체결되어 있던 걸림돌기(84a)가 후진하며 이탈되어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측의 거주자가 푸시핀(86)을 누르게 되면, 데드볼트(22)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제2연결축(50)의 회전이 불가능해져 외측 커버(4)의 키패드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키이를 이용하여 열려고 해도 열리지 않아 견고히 고정이 가능하고, 실내의 거주자가 외출시 또는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실내측에 구비된 핸들(5)을 단 1회의 작동을 통해 회동시키면 그와 동시에 푸시핀(86)이 후진하며 회전노브(7)에 결합된 회전방지플레이트(80)의 회전방지홈(80a)에서 끼움돌기(84a)가 이탈되어 데드볼트(22)와 래치볼트(16)가 후진하며 도어(2)가 개방되어 신속한 외출 및 탈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와 같은 긴급한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어린이나 노인과 같은 노약자들의 경우에도 간단히 핸들조작만을 통해 빠져나올 수 있어 도어를 개방하지 못해서 발생되는 연기로 인한 질식사와 같은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푸시핀(86)의 작동구조가 간단하여 키박스(Key box)를 이용하는 기계식 잠금장치나 키패드(Keypad) 또는 지문인식센서를 이용하는 전자식 잠금장치에도 간단히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5)

  1. 도어(2)의 측면에 삽입 장착되어 출몰되는 래치볼트(16)와 데드볼트(22)가 연동되어 구동되는 백세트(12)와, 상기 레치볼트(16)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제1연결축(50)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5,6)이 각각 구비되는 내외측 커버(3,4)와, 상기 데드볼트(22)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제2연결축(50)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내측 커버(3)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노브(7)로 이루어진 도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5)의 일단부는 내측 커버(3)를 관통하여 스프링(70)이 끼워져 결합부재(74)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재(74)에는 날개(78a)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노브(7)의 일측에는 회전방지홈(80a)이 형성되는 회전방지플레이트(80)가 고정되고, 상기 내측 커버(3)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스프링(88)에 의해 지지되도록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부는 걸림돌기(84a)와 걸림홈(86b)이 형성되는 푸시핀(86)이 구비되어, 상기 푸시핀(86)을 누르면 상기 날개(78a)가 상기 걸림홈(86b)에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돌기(84a)가 상기 회전방지홈(80a)에 체결되고, 상기 핸들(5)을 조작하면 상기 날개(78a)가 상기 걸림홈(86b)을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돌기(84a)가 상기 회전방지홈(80a)을 이탈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핀(86)의 걸림홈(86b)의 단부에는 상기 날개(78a)를 안내하기 위한 경사진 테이퍼면(86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78a)는 상기 푸시핀(86)의 테이퍼면(86c)에 대응되도록 그 하부에 경사면(78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4. 도어(2)의 측면에 삽입 장착되어 출몰되는 래치볼트(16)와 데드볼트(22)가 연동되어 구동되는 백세트(12)와, 상기 레치볼트(16)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제1연결축(50)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5,6)이 각각 구비되는 내외측 커버(3,4)와, 상기 데드볼트(22)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제2연결축(50)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내측 커버(3)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노브(7)로 이루어진 도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5)의 일단부는 내측 커버(3)를 관통하여 스프링(70)이 끼워져 결합부재(74)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재(74)에는 날개(78a)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노브(7)의 일측에는 회전방지홈(80a)이 형성되는 회전방지플레이트(80)가 고정되고,
    상기 회전노브(7)의 축상에는 상기 회전방지홈(80a)에 체결 및 분리되는 걸림돌기(84a)가 돌출되고 상기 회전노브(7)의 축상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장공(84d)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경사진 안내턱(84e)이 형성되는 스토퍼(84)가 구비되고, 상기 내측 커버(3)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스프링(88)에 의해 지지되도록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부는 가이드면(86d)과 걸림홈(86b)이 형성되는 푸시핀(86)이 구비되어; 상기 푸시핀(86)을 누르면 상기 날개(78a)가 상기 걸림홈(86b)에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면(86d)에 의해 상기 안내턱(84e)을 푸시핀(86)의 진행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진행시켜 상기 걸림돌기(84a)가 상기 회전방지홈(80a)에 체결되고, 상기 핸들(5)을 조작하면 상기 날개(78a)가 상기 걸림홈(80a)을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돌기(84a)가 상기 회전방지홈(80a)을 이탈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84)의 일측에는 복귀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스프링(92)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92)의 타단부는 상기 내측 커버(3)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KR1020040116389A 2004-12-30 2004-12-30 도어의 잠금장치 KR100638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389A KR100638246B1 (ko) 2004-12-30 2004-12-30 도어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389A KR100638246B1 (ko) 2004-12-30 2004-12-30 도어의 잠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402U Division KR200380743Y1 (ko) 2004-12-30 2004-12-30 도어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507A true KR20060077507A (ko) 2006-07-05
KR100638246B1 KR100638246B1 (ko) 2006-10-24

Family

ID=37169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389A KR100638246B1 (ko) 2004-12-30 2004-12-30 도어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24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658B1 (ko) * 2006-07-21 2007-06-14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이중 풀림 기능을 갖는 모티스 락
KR100763885B1 (ko) * 2006-09-14 2007-10-05 주식회사 바이오엔터 도어록 장치
KR100764647B1 (ko) * 2006-11-14 2007-10-08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이중 풀림기능을 갖는 도어 락
KR100811244B1 (ko) * 2006-09-20 2008-03-07 주식회사 아이리스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
KR100832014B1 (ko) * 2007-02-14 2008-05-23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2단계 개방형 도어용 록 핸들 장치
KR100887994B1 (ko) * 2007-06-25 2009-03-10 우창정기 주식회사 전자식 도어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743B1 (ko) 2007-03-07 2008-09-09 (주)엔담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100855307B1 (ko) 2007-09-20 2008-08-29 (주)나이락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
KR200474508Y1 (ko) 2013-03-15 2014-09-26 오충곤 도어록의 잠금봉 밀림 방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658B1 (ko) * 2006-07-21 2007-06-14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이중 풀림 기능을 갖는 모티스 락
KR100763885B1 (ko) * 2006-09-14 2007-10-05 주식회사 바이오엔터 도어록 장치
KR100811244B1 (ko) * 2006-09-20 2008-03-07 주식회사 아이리스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
KR100764647B1 (ko) * 2006-11-14 2007-10-08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이중 풀림기능을 갖는 도어 락
KR100832014B1 (ko) * 2007-02-14 2008-05-23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2단계 개방형 도어용 록 핸들 장치
KR100887994B1 (ko) * 2007-06-25 2009-03-10 우창정기 주식회사 전자식 도어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8246B1 (ko) 200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514B1 (ko) 푸쉬풀식 디지털 도어록 장치
US8833120B2 (en) Locking mechanism with integral egress release
US20100032966A1 (en) Gate latch device
KR100638246B1 (ko) 도어의 잠금장치
KR101142425B1 (ko) 도어록 해정장치
KR200312859Y1 (ko) 도어 록 장치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KR200380743Y1 (ko) 도어의 잠금장치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KR101370517B1 (ko)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JP4823874B2 (ja) 電気錠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KR101887640B1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101674167B1 (ko) 무전원 방식 양방향 구동 모티스
KR200457119Y1 (ko)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20020023614A (ko) 도어 잠금장치
KR200378846Y1 (ko) 도어록의 모티스
KR20070107293A (ko)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
KR200202460Y1 (ko) 도어록의 백세트
US11781346B2 (en) Latch structure
JP2508319Y2 (ja) 引戸用電気錠
KR101481324B1 (ko) 데드볼트를 구비한 문잠금장치
JPH0671811U (ja) 錠装置
EP1978191B1 (en) Locking device for a coldroom sliding door
KR102125251B1 (ko) 매립형 도어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