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072A - 빼고 꽂기형 문용 로크핸들장치 - Google Patents

빼고 꽂기형 문용 로크핸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072A
KR20010050072A KR1020000046866A KR20000046866A KR20010050072A KR 20010050072 A KR20010050072 A KR 20010050072A KR 1020000046866 A KR1020000046866 A KR 1020000046866A KR 20000046866 A KR20000046866 A KR 20000046866A KR 20010050072 A KR20010050072 A KR 20010050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handle
shaft
cover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7046B1 (ko
Inventor
세가와시로오
Original Assignee
다키모토 히데아키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7362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291282B2/ja
Application filed by 다키모토 히데아키,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모토 히데아키
Publication of KR20010050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0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소정의 조작핸들을 사용하지 않는 한, 극히 개방하기 어렵고, 견고한 빼고 꽂기형 문용 로크핸들장치를 제공한다.
고정본체(2)에 설치된 회전축(10)의 외단부분을 스플라인축부(12)로 하고, 이것과 맞물리는 셔터(40)가 설치되어 있다. 스플라인홈의 수량은 3 내지 5개로 하고 있다. 이 셔터(40)의 외주의 플랜지를 덮는 링형상의 커버(50)가 고정본체(2)에 정되어 있다. 셔터(40)는 내방으로부터 커버(50)에 탄발적으로 가압하고 있다. 스플라인 축부(12)와 셔터(40)에 끼워맞춤·이탈가능한 조작핸들(70)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빼고 꽂기형 문용 로크핸들장치{LOCK HANDLE DEVICE FOR RETRACTABLE DOOR}
본 발명은 폐쇄문에 폐쇄덮개 시정(施錠)상태에서는 조작핸들을 고정본체로부터 빼내어지는 빼고 꽂기형 문용 로크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장치로서는 본건 출원인이 먼저 개발한 일본 특허 제2820660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장치의 특징적 개요로 하는 바는, 조작핸들을 시정위치와 개정(開錠)위치의 쌍방에서 고정본체로부터 이반되고, 또한 시정위치에 있어서는 걸어맞춤판을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축이 외부로부터 회전되기 어렵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의 것도 시장에서 일단 평가는 얻고 있는데, 본 발명의 목적은 이것을 개량해서 회전축의 외체부를 더욱 견고히 함과 동시에, 조작핸들을 회전조작함에 있어 큰 구동력을 얻는 것이 가능하고, 또 조작핸들이 시정상태로 되었을 때, 클릭기구가 걸어맞춤하여 로킹되었는지 아닌지가 핸들에 감촉으로서 전하도록 한 빼고 꽂기형 문용 로크핸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빼고 꽂기형 문용 로크핸들장치의 외관 우측면도,
도 2는 이 문용 로크핸들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 선 단면도,
도 4는 이 문용 로크핸들장치의 클릭기구부의 종단 정면도,
도 5는 이 문용 로크핸들장치의 조작핸들의 우측면도,
도 6은 이 조작핸들의 선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에 관한 빼고 꽂기형 문용 로크핸들장치의 조작핸들의 우측면도, 그리고
도 8은 이 조작핸들의 선단면도.
(부호의 설명)
1 : 문 2 : 고체본체
3 : 스프링 4 : 클릭볼
5 : 코일스프링 10 : 회전축
11 : 홈 12 : 스플라인 축부
13 : 외단면 14 : 외주면
15, 20 : 클릭 오목부 16 : 각이진 축부
17 : 걸어맞춤판 18 : 고정볼트
19 : 스프링와셔 40 : 셔터
41 : 구멍 내지 오목부 42 : 플랜지
43 : 스프링 44 : 돌기
45 : 스플라인 구멍 50 : 커버
51 : 내주 가장자리 52 : 절결홈
53 : 제 2 볼트 54 : 스토퍼
70 : 조작핸들 71 : 조작핸들축
72 : 제 2 돌기 73 : 선단면
74 : 스플라인 오목부 75 : 걸어맞춤돌기
76 : 외주면 77 : 핸들플랜지
80 : 손잡이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빼고 꽂기형 문용 로크핸들장치는 문, 덮개등 1에 고착되는 고정본체(2)를 관통하는 회전축(10)의 회전가능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비되어 있고, 이 회전축(10)의 내단부에는 걸어맞춤판(17)이 고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본체(2)의 외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는 상기 회전축(10)의 외주면에는 단면 반원호로서, 축방향의 홈(11)이 3 내지 5개로 형성되어 있는 스플라인축부(12)로 되어 있고
이 스플라인 축부(12)에는 이것과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스플라인구멍을 갖는 링판형상의 셔터(40)가 스플라인축(1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셔터(40)의 원주부의 외면근처에는 180°위상을 달리하여 반경방향으로 팽팽하게 밖으로 내뻗는 한 쌍의 돌기(44)가, 또 배면 근처위치에는 플랜지(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본체(2)의 외측에는, 상기 셔터(40)의 상기 플랜지(42)를 덮어씌우는 링형상의 커버(50)가 고착되어 있고,
상기 셔터(40)는 항상 스프링(43)에 의해 커버(50)의 내면에 가압하여 셔터(40) 외면과 상기 회전축(10)의 외단면(13)과 대개 동일면으로 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10)과 고정본체(2)는 상기 회전축(10)이 시정위치와 완전개정의 회전스트로크의 종단에 있어서, 클릭기구의 클릭오목부(20)에 끼워맞춤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10)과 셔터(40)의 적어도 한쪽부재와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맞춤 이반가능한 끝면을 가지며, 또한 핸들축(71)을 갖는 조작핸들(70)은, 상기 셔터(40)와 함께 이들을 내방으로 가압했을 때, 상기 조작핸들(70)은 회전축(10)과 셔터(40)중의 하나와 끼워맞춤하고, 이들과 함께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조작핸들(70)은 회전축(10)이 시정위상에 있어서, 회전축(10) 및 셔터(40)와 이반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빼고 꽂기형 문용 로크핸들장치에서는, 상기 링형상의 커버(50)의 내주 가장자리(51)로부터 외방으로 직경방향의 절결홈(52)을 커버(50)의 표리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셔터(40)의 외면근처에는 상기 절결홈(52)과 끼워맞춤·이반가능한 돌기(4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빼고 꽂기형 문용 로크핸들장치에서는, 상기 조작핸들(70)에 핸들축(71)의 선단부분에는 상기 커버(50)의 절결홈(52)을 전후로 통과가능하며, 커버(50)의 내면을 회전미끄럼이동하는 제 2 돌기(7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빼고 꽂기형 문용 로크핸들장치에서는, 상기 조작핸들(70)에 T자형의 손잡이(8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작용)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회전축(10)의 후단에 부착되어 있는 걸어맞춤판(17)이 문, 덮개 등 1의 어느 고정개구부측에 걸어맞춤되어 있다고 하고, 조작핸들(70)은 상기 셔터(40)로부터 완전히 이반되어 있는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 셔터(40)의 외면과 회전축(10)의 외단면(13)이 대체로 동일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축(10)은 셔터(40)를 깊숙이 밀어 넣지 않은 한 잡을 수는 없으며, 만일 밀어 넣었다 하더라도, 상기 스플라인축부(12)의 홈(11)은 3 내지 5의 홀수이므로, 정확히 180°상이한 곳에는 홈(11)이 없고, 펜치나 플라이어로 끼워 지지하려고 해도, 이들이 스플라인축(12)으로부터 미끄러지고, 어긋나서 잡기 어렵고, 하물며 회전운동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 셔터(40)에 설치된 구멍 내지 오목부(41)는, 상기 펜치나 플라이어로 끼워 지지할 수는 없다.
먼저, 상기 시정을 열기 위해서는, 조작핸들(70)의 핸들축(71)의 끝부를 회전축(10)과 셔터(40)와의 적어도 한쪽과 끼워 맞추고, 셔터(40)를 그 탄발력에 저항하여 밀어 넣고, 개정방향으로 조작핸들(70)을 그 핸들축(71) 주위를 회전운동시키면, 회전축(10)도 함께 회전하고 걸어맞춤판(17)도 함께 회전운동을 개시한다.
그렇게 해서 클릭기구가 풀려서, 회전축(10)은 더 회전하고, 결국에는 걸음맞춤판(17)이 그 받이부로부터 풀려서 개정상태로 된다.
그리고 핸들축(71)을 더 회전 운동시키고, 그 회전운동 스트로크의 종단에 도달하면 회전축(10)의 반대측의 클릭홈 내지 오목부(15)에 클릭볼(4)이 끼워져서 그 감촉이 손에 전하게 된다.
다음에 이 문용 로크핸들장치를 폐쇄하는 데에는 문, 덮개 등 1을 닫고, 조작핸들(70)을 그 핸들축(71)주위에서, 앞과는 결국 회전 운동하면, 회전축(10)은 클릭기구로부터 일단 벗어나고, 회전축(10)과 함께 걸어맞춤판(17)은 시정방향으로 회전하고, 걸어맞춤판(17)은 결국 시정상태로 되고, 다시 회전운동하면, 클릭기구가 걸어맞춤하고, 시정상태로 된 것이 손에 감촉으로서 전해지고, 그 후 조작핸들(70)을 빼낸다. 그렇게 해서 시정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본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조작핸들(70)이 떼어져 있을 때, 즉 시정상태에 있어서는, 회전축(10)을 불법으로 펜치나 플라이어로 회전운동시키도록 해도, 회전운동은 대부분 불가능하게 되고, 또 조작핸들(70)을 셔터(40)에 걸어맞춤시켜서 걸어맞춤판(17)의 걸어맞춤 및 떼어냄, 회전운동 스트로크의 종단에 있어서 회전운동축(10)은 클릭기구에 끼워서, 안정되고, 걸어맞춤판 자체에 개방력이 작용했다 하더라도, 함부로 회전축(10)은 회전운동을 하지 않는 작용을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있으므로, 청구항 1의 작용외로, 조작핸들(70)을 커버(50)로부터 빼내면, 셔터(40)는 스프링 (43)의 반발력에 의해 외방으로 압출되고, 그 돌기(44)가 커버(50)의 절결홈(52)에 끼워지고, 일종의 클러치로 되며, 회전축(10)은 확실히 고정되고, 만일 걸어맞춤판(17)에 외력이 가해졌다 하더라도, 이것이 고정틀의 받이시트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고, 잘못해서 문이나 덮개(1)가 열리는 일은 없으며, 불법으로 걸어맞춤판(17)을 개방하려고 하는 외력이 가해졌다 하더라도, 회전축(10)은 회전운동 하지 않는 작용을 이룬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및 2에 기재된 작용외로, 조작핸들(70)에도 제 2 돌기(72)가 설치되고,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이 돌기(72)가 커버(50)의 절결홈(52)을 통과함으로써, 셔터(40)를 확실히 커버(50)내로 압입하고, 상기 제 2 돌기(72)가 커버(50)내면을 미끄럼이동하고, 조작핸들(70)과 함께 회전운동될 수 있는 작용이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1, 2 및 3에 기재된 작용외로, 조작핸들(70)의 외주면(76)에 T 자형의 손잡이를 형성함으로써 조작핸들(70)에 조작핸들축(71) 주위에 큰 구동력을 거는 것이 용이하게 행해지게 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실시의 형태 1]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것으로, 모든 청구항을 포함하는 실시형태이다. 도면에 있어서, 문·덮개 등 1에 고정하는 고정본체(2)의 중심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축(10)이 그 축선 주위를 회전가능하고, 축방향으로는 이동 불능하게 장비되어 있다. 이 회전축(10)의 내단부의 각이진 축(16)에는 걸어맞춤판(17)이 끼워맞춤되어서 고정볼트(18) 및 스프링와셔(19)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하였다.
이 고정본체(2)의 외면으로 돌출하는 상기 회전축(10)의 외주면은, 축방향으로 단면원호의 홈(11)이 3개 또는 5개의 홀수개 새겨 설치하여 단면 매화 내지 벗꽂 모양의 스플라인축부(12)로 하고 있다.
이 스플라인축부(12)에는 이것과 정확히 끼워맞춤되고,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한 스플라인구멍(45)을 갖는 셔터(40)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 이 외면에는 후술하는 조작핸들(70)의 핸들축(71)의 끝면에 설치된 수개의 제 2 돌기(72)가 걸어맞춤하는 구멍 내지 오목부(41)가 상기 스플라인구멍(45)의 주위에 등각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셔터(40)의 외주부의 배면근처위치에는, 플랜지(42)가 대략 전체 둘레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 셔터(40)의 외주부이고, 상기 플랜지(42)의 전체면에는 반경방향으로 180°위상을 달리하여 한 쌍의 클러치 사이의 돌기(44)가 한 쌍으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고정본체(2)의 외주부에는, 상기 셔터(40)의 플랜지(42)부분을 완전히 덮어씌우는 링형상의 커버(50)가, 상기 고정본체(2)의 뒤쪽으로부터 관통하는 수개의 제 2 볼트(53)에 의해 상기 고정체(2)에 고정되어 있다.
상술한 셔터(40)는 상기 고정본체(2)와의 사이에 회전축(10)의 외주를 감도록 설치된 스프링(43)에 의해, 항상 셔터(40)를 커버(50)의 내면을 가압하도록 탄발적으로 가압시키고 있다.
커버(50)의 내주 가장자리(51)는, 조작핸들축(71)의 선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며, 180°위상을 달리하여, 절결홈(52)이 반경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절결홈(52)의 내측의 한쪽 가장자리에는 내방으로 향해 축방향으로 돌출한 스토퍼 (5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0)의 외주면(14)의 일부에는 약 150°의 간격 각을 두고, 클릭오목부(20)가 2조 설치되어 있고,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2개씩, 약 30°연속된 둘레방향으로 긴 클릭오목부(20)로 하고 있다.
이 클릭오목부(20)에는 클릭볼(4)이 코일스프링(5)에 의해, 항상 클릭오목부 (20)에 클릭볼(4)이 밀어 넣어지도록 가압되고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5)은 고정본체(2) 중에 설치된 코일스프링(5)의 수납홈(6)으로 격납되고 수납홈(6)에는 스프링덮개(7)가 끼워 넣어져 있다.
그 밖에 도면중 8은 고정본체(2)의 배면에 설치된 위치결정 돌기이고, 문(1) 등에 본체 통과구멍 및 위치결정구멍을 설치하여, 고정본체(2)를 통과시키고, 도시하는 큰 너트(9)로 고정한다.
조작핸들(7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핸들축(71)의 선단면(73)의 단면형상은 상기 커버(50)의 내주 가장자리(51)에 끼워 맞춤 되고 빼내기 가능한 형상이고, 또한 선단면(73)에는 상기 회전축(10)의 스플라인축부(12)가 끼워맞춤되는 스플라인 오목부(74)와, 셔터(40)의 복수개의 구멍 내지 오목부(41)와 끼워 맞춤 빼내기 가능한 복수개의 걸어맞춤 돌기(7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선단면(73)이 상기 커버(50)의 내주 가장자리(51)와 끼워맞춤되는 외주면(76)에는, 절결홈(52)을 통과 가능한 제 2 돌기(72)가 반경방향으로 180°위상을 달리하여 한 쌍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 제 2 돌기(72)는 상기 커버(50)의 내면을 따라 미끄럼이동 가능한 핸들축(71)방향의 두께가 형성되어 있고, 또 핸들축(71)이 커버(50)내에서 그 축선 주위를 회전운동시킬 때, 조작핸들(70)이 보다 안정되도록 커버(50)의 외면과 미끄럼이동가능한 핸들 플랜지(77)가 설치되어 있다.
핸들축(71)의 후단 근처측의 외주면(76)에는 예를 들면 링형, 레버형의 핸들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도 있는데, 상기 핸들축(71)을 외주면(76)에 널링가공 등의 미끄럼방지면으로 해도 좋고, 각이진 축으로서 도시하지 않은 원형핸들 또는 레버형 핸들을 끼워맞춤하는 경우도 있어, 그 구조에 한정은 없다.
T자형의 손잡이(80)는 조작핸들(70)의 핸들축부(71)와 동일축에 배치되는 다리부(83)와, 다리부(83)의 선단에 다리부(83)와 직각으로 연결되어서 한 쌍의 암부(81, 82)로 구성되어 있다.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다리부(83)의 기단부에는 핸들축부(71)가 끼워 넣어지고, 용접이나 로크핀, 로크스크루 등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조작핸들(70)과 손잡이(80)를 최초로부터 일체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1의 작용 및 효과)
먼저 회전축(10)에 고착되어 있는 걸어맞춤판(17)은 상대방의 고정틀(도시 생략)에 걸어맞춤하고, 문, 덮개등 1은 닫혀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 클릭기구의 클릭볼(4)은 클릭오목부(15)에 코일스프링(5)에 의해 가압되고, 끼워맞춤되며, 걸어맞춤판(17)은 로크상태로 안전 되어 있다. 또한 조작핸들(70)은 고정본체(2)와 일체로 되어 있는 커버(50)부로부터 완전히 빼내어지고, 셔터(40)는 스프링(43)에 의해 외방으로 압출되며, 그 원주부의 돌기(44)는 커버(50)의 절결홈(52)에 끼워 맞추고, 일종의 클러치상태로 되고, 셔터(40)의 내주면의 스플라인구멍(45)은, 회전축(10)의 스플라인축부(12)와 끼워맞춤되어 있으므로, 결국은 상기 걸어맞춤판(17)은 완벽할 때까지, 그 위치에 고정되고 걸어맞춤판(17)에서 로킹을 떼어내고자 하는 외력이 가해졌다고 하더라도, 이것은 회전 운동될 수 없다.
이 상태일 때에 상기 셔터(40)의 외면과, 회전축(10)의 외단면(13)은 대략 동일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스플라인축부(12)를 외부로부터 펜치나 플라이어로 끼워 지지할 수는 없고, 스플라인축부(12)의 홈(11)의 수량이 3 또는 5개의 홀수개이므로, 180°상이한 곳에 홈이 없고, 상기 펜치나 플라이어로 끼웠다하더라도 미끄러져서 이들과는 걸어맞춤되지 못하고, 회전축(10)을 불법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가능하지 않거나 극히 곤란하다.
다음에 걸어맞춤판(17)을 떼어내는데에는 조작핸들(70)을 사용하고, 이 선단면(73)을 커버의 내주 가장자리(510)에 맞추고, 핸들축(71)의 제 2 돌기(72)의 위상과 커버의 절결홈(52)의 위상을 맞추어서, 핸들축(71)을 셔터(40)와 함께 스프링(43)의 반발력에 저항하여 핸들플랜지(77)가 커버(50)의 외면에 맞닿을 때까지 밀어 넣는다.
이와 같이 하면, 핸들축(71)의 스플라인 오목부(74)는 완전히 스플라인축부 (12)에 끼워 맞춘다.
또 로크핸들축(71)의 선단면의 걸어맞춤돌기(75)도 셔터(40)의 구멍 내지 오목부(41)에 끼워맞춤된다.
그렇게 해서, 조작핸들축(71)을 커버(50)내면에 설치한 스토퍼(54)와는 반대방향으로 그 축선 주위를 회전시키면, 회전축(10) 및 걸어맞춤판(17)도 함께 회전운동을 개시한다.
먼저 클릭기구인 회전축(10)의 클릭오목부(15)로부터 클릭볼(4)이 벗어나고, 클릭볼(4)은 회전축(10)의 외주면을 전동(轉動)하고, 차차로 걸어맞춤판(17)은 개정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결국은 개정된다. 이것과 대략 동시 내지 1∼2° 회전축(10)이 회전한 후에, 해제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또 하나의 클릭기구의 클릭오목부(15)에 클릭볼(4)이 끼워진다.
이와 같이, 이 회전축(10)은 걸어맞춤판(17)의 걸어맞춤위치와 해제위치의 2개소, 즉 회전왕복운동 스트로크의 양쪽 종단위치에 있어서, 상기 클릭기구에 끼워넣는 작용을 하고 조작핸들(70)로의 감촉으로서 전해진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버(50)의 내면에 설치된 한 쌍의 스토퍼(54)에 의해 조직핸들(70)의 핸들축(71) 주위의 가동범위는 대략 150°이고, 걸어맞춤판(17)이 해정되어 있을 때에는, 조작핸들(70)의 제 2 돌기(72)는 커버(50)의 배면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고정본체(2) 및 커버(50)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조작핸들(70)이 이들에 붙어있을 때에는, 걸어맞춤판(17)이 걸어맞춤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작용 및 효과를 이룬다.
T자형의 손잡이(80)를 사용할 때에는, 한 쌍의 암(81,82)을 잡고 조작핸들(7)을 회전시키므로써, 큰 회전토크를 간단히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여 작용을 이루므로, 걸어맞춤판(17)이 걸어맞춤하고, 조작핸들축(70)이 고정본체(2) 및 커버(50)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는, 또 로크핸들(70)이 벗어나 있을 때에는, 스플라인축부(12)의 외단면과 셔터(40)의 외면과는 대략 동일면이므로, 외부로부터 스플라인축(12)의 펜치플라이어로 끼우는 것은 극히 곤란하고, 스플라인축부(12)의 홈의 수량은 3 내지 5의 홀수개이므로 180°위상의 상이한 위치에 홈(11)이 없고, 상기 펜치플라이어로 끼워 지지하려 해도 걸어맞춤하는 것이 없어 불법개정은 대부분 할 수 없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효과 외에 셔터(40)가 스프링(43)에 의해 커버(50) 측으로 가압되고, 셔터(40) 돌기(44)는 셔터(50)의 절결홈(52)에 걸어맞춤한 일종의 클러치상태로 되고, 걸어맞춤판(17)에 외력이 가해졌다 하더라도, 회전축(10)은 전혀 회전운동하지 않고, 걸어맞춤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이룬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효과 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작용을 이루므로, 또 조작핸들(70)의 구조도 단순하며, 일단 커버(50)부분에 위치를 맞추어서 밀어 넣으면, 셔터(40)의 돌기(44)는 커버(50)의 절결홈(52)으로부터 간단히 벗어나고, 또한 조작핸들(70)과 회전축(10)과는 직접 내지 간접으로 결합하고, 조작핸들(70)을 밀어 넣은 상태로 조작핸들(70)을 회전운동시키면, 회전축(10) 및 걸어맞춤판(17)도 확실하게 회전운동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의 각각의 효과 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작용을 이루므로, 조작핸들(70)에 의해 조작핸들축(71) 주위에 큰 구동력을 걸수가 있고, 해정이나 시정조작이 경쾌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한 조작핸들(70)의 회전운동 스트로크의 종단에 있어서 클릭기구가 작용하고, 손에 감촉이 전해지며, 결어맞춤판(17)의 걸어맞춤, 이반이 확인되고, 걸어맞춤판(17)이 작동도중에 조작을 종료하는 일은 없어지고, 이것을 파손할 염려는 극히 적게 된다.

Claims (4)

  1. 문(1)에 고착되는 고정본체(2)를 관통하는 회전축(10)을 회전 가능한 것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비하고 있으며, 이 회전축(10)의 내단부에는 걸어맞춤판(17)이 고착 가능하게 한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본체(2)의 외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는 상기 회전축(10)의 외주면에는 단면이 반원호로서, 축방향의 홈(11)이 3 내지 5개 형성되어 있는 스플라인축부(12)로 하고 있고,
    이 스플라인축부(12)에는 이것과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끼워맞춤하는 스플라인구멍을 갖는 링판상의 셔터(40)가 스플라인축(1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셔터(40)의 원주부의 외면근처에는 180°위상을 달리하는 반경방향으로 팽팽하게 돌출한 한 쌍의 돌기(44)가, 또 배면근처 위치에는 플랜지(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본체(2)의 외측에는, 상기 셔터(40)의 상기 플랜지(42)를 덮어씌운 링형상의 커버(50)가 고착되어 있고,
    상기 셔터(40)는 항상 스프링(43)에 의해, 커버(50)의 내면에 가압하여 셔터(40)외면과 상기 회전축(10)의 외단면(13)과 대개 동일면으로 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10)과 고정본체(2)는 상기 회전축(10)이 시정위치와 완전개정의 회전스트로크의 종단에 있어서, 클릭기구의 클릭오목부(20)에 끼워맞춤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10)과 셔터(40)의 적어도 한쪽 부재와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 맞춤 이반가능한 끝면을 가지며, 또한 핸들축(71)을 갖는 조작핸들(70)은, 상기 셔터(40)와 함께 이들을 내방으로 밀어넣었을때, 상기 조작핸들(70)은 회전축(10)과 셔터(40)중의 하나와 끼워 맞춤하고, 이들과 함께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조작핸들(70)은 회전축(10)이 시정위상에 있어서, 회전축(10) 및 셔터(40)와 이반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빼고 꽂기형 문용 로크핸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의 커버(50)의 내주 가장자리(51)로부터 외방으로 직경방향의 절결홈(52)을 커버(50)의 표리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셔터(40)의 외면근처에는 상기 절결홈(52)과 끼워맞춤·이반가능한 돌기(4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빼고 꽂기형 문용 로크핸들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70)의 핸들축(71)의 선단부분에는, 상기 커버(50)의 절결홈(52)을 전후로 통과가능하며, 커버(50)의 내면을 회전 미끄럼 이동하는 제 2 돌기(7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빼고 꽂기형 문용 로크핸들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70)에 T 자형의 손잡이(8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빼고 꽂기형 문용 로크핸들장치.
KR10-2000-0046866A 1999-11-17 2000-08-14 빼고 꽂기형 문용 로크핸들장치 KR1004170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27362 1999-11-17
JP32736299A JP3291282B2 (ja) 1999-08-12 1999-11-17 抜差し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072A true KR20010050072A (ko) 2001-06-15
KR100417046B1 KR100417046B1 (ko) 2004-02-05

Family

ID=18198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866A KR100417046B1 (ko) 1999-11-17 2000-08-14 빼고 꽂기형 문용 로크핸들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417046B1 (ko)
CN (1) CN1182316C (ko)
HK (1) HK1036089A1 (ko)
TW (1) TW42355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1223A (zh) * 2018-12-29 2019-03-08 南京东屋电气有限公司 一种离合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7665B (zh) * 2013-05-17 2016-06-22 昆山振宏电子机械有限公司 Zh-md190柜用便捷门锁
CN111155839B (zh) * 2018-11-08 2021-06-04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保险旋钮机构
CN111305647B (zh) 2018-12-12 2021-07-27 台湾福兴工业股份有限公司 锁具、锁具之拆卸方法及锁具之安装方法
TWM583879U (zh) 2018-12-12 2019-09-21 台灣福興工業股份有限公司 鎖具固定結構及鎖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1223A (zh) * 2018-12-29 2019-03-08 南京东屋电气有限公司 一种离合装置
CN109441223B (zh) * 2018-12-29 2024-03-29 东屋世安物联科技(江苏)股份有限公司 一种离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7046B1 (ko) 2004-02-05
CN1297097A (zh) 2001-05-30
TW423558U (en) 2001-02-21
HK1036089A1 (en) 2001-12-21
CN1182316C (zh) 2004-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340B1 (ko) 인출회전형 문용 록핸들장치
KR960005341B1 (ko) 인출회전형 문용 록핸들장치
JPH0730843Y2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EP0659962B1 (en) Cylinder lock resistible against breaking
US20240175456A1 (en) Clamping device
EP1531484B1 (en) Fuse block with integral door sensing rotary disconnect
CN107104011B (zh) 用于设备的旋转控制系统
EP2345508A1 (en) Variable gear ratio ratchet
JP2000108046A (ja) 取外し可能なデプスストッパを備えた動力駆動ドライバ
WO2014108680A1 (en) Cable restrictor with a lockable body for a door or a window
JP6749950B2 (ja) 内部においてばねで付勢される回転固定ユニットを備えた外科用グリップ
KR100417046B1 (ko) 빼고 꽂기형 문용 로크핸들장치
EP1925764A2 (en) Handle for vehicle doors, as well as tool and proce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this handle
JP2001115691A (ja) 抜差し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0832014B1 (ko) 2단계 개방형 도어용 록 핸들 장치
KR200160156Y1 (ko) 빼고꽂음형 문용 록핸들장치
GB1582667A (en) Selflocking door handle assembly
US7287560B2 (en) Door device comprising a double bayonet socket for an insulator
US11591824B2 (en) Door lock
JP2015227584A (ja) シリンダ錠装置
EP3443252B1 (en) Camlock
KR200179412Y1 (ko) 해체형 로크핸들장치
KR960001132B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루우프용 로타리 드라이브 축의 회전수 제한 기구
US11795728B2 (en) Cylinder lock
JPH0996133A (ja) 取外し型ロック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