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580B1 -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580B1
KR100831580B1 KR1020060133248A KR20060133248A KR100831580B1 KR 100831580 B1 KR100831580 B1 KR 100831580B1 KR 1020060133248 A KR1020060133248 A KR 1020060133248A KR 20060133248 A KR20060133248 A KR 20060133248A KR 100831580 B1 KR100831580 B1 KR 100831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region
gate pattern
interface
isolation layer
device iso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근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3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7Formation of self-aligned vias or contact plugs, i.e. involving a lithographically uncritical ste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4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using a dummy, i.e. replacement gate in a process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final gate is self aligned to the dummy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기판상에 소자분리막에 의해 정의된 액티브 영역; 상기 액티브 영역에 형성된 게이트 패턴; 상기 액티브 영역과 소자분리막의 계면을 덥도록 형성된 더미 패턴; 상기 게이트 패턴의 양측의 액티브 영역에 형성된 소스/드레인; 상기 게이트 패턴과 상기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상에 형성된 층간절연층; 및 상기 층간절연층에 형성된 콘택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택, 졍션(junction), 리키지 패스(leakage path)

Description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반도체소자의 단면도.
도 2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30: 게이트 230: 더미 패턴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단면도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반도체소자는 기판(10)에 소자분리막(20)을 형성하여 액티브 영역을 정의한다. 그리고, 액티브 영역에 게이트(30)와 소스/드레인(4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게이트(30)를 포함하는 기판(10) 상에 층간절연층(50)을 형성하고, 층간절연층(50)에 콘택플러그(60) 및 금속배선(70)을 형성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의하면 도 1과 같이 액티브영역에 콘택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콘택이 액티브 영역에 미스 얼라인 될 때 콘택을 형성하기 위한 층간절연층의 에칭시 소자분리막(20)도 에칭된다.
이때, 소자분리막(20)과 액티브영역 사이의 계면을 따라 홀이 형성되고, 이 홀에 콘택플러그 금속이 증착되어 소자분리막(20)과 졍션(junction)을 이루어 과도한 리키지 패스(leakage path)가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소자분리막과 액티브영역의 리키지 패스(leakage path)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기판상에 소자분리막에 의해 정의된 액티브 영역; 상기 액티브 영역에 형성된 게이트 패턴; 상기 액티브 영역과 소자분리막의 계면을 덥도록 형성된 더미 패턴; 상기 게이트 패턴의 양측의 액티브 영역에 형성된 소스/드레인; 상기 게이트 패턴과 상기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상에 형성된 층간절연층; 및 상기 층간절연층에 형성된 콘택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기판상에 소자분리막에 의해 액티브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 영역에 게이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 영역과 소자분리막의 계면을 덥도록 더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패턴의 양측의 액티브 영역에 소스/드레인 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패턴과 상기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상에 층간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층간절연층에 콘택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소자분리막과 액티브 영역의 계면을 따라 임의의 더미 패턴을 형성시켜 미스 얼라인 발생했을 시 셀프 얼라인 콘택(Self aligned contact)이 되게 함으로써 소자분리막 계면을 따라 콘택이 과도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의 "상/위(on/ov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On/Over)는 직접(directly)와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도 2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단면도이다.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는 기판(110)상에 소자분리막(120)에 의해 액티브 영역이 정의된다. 그리고, 상기 액티브 영역에 게이트 패턴(130)이 형성되고, 상기 액티브 영역과 소자분리막의 계면을 덥도록 더미 패턴(2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패턴(130)의 양측의 액티브 영역에 소스/드레인(140)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패턴(130)과 상기 더미 패턴(230)을 포함하는 기판(110)상 에 층간절연층(150)이 형성되며, 상기 층간절연층(150)에 콘택플러그(16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더미 패턴(230)은 상기 게이트 패턴(130)과 동일한 패턴을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더미 패턴(230)은 상기 게이트 패턴(130)과 동일하게 게인트절연막,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더미 패턴(230)은 상기 소자분리막(12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액티브 영역과 소자분리막(120)의 계면을 덥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더미 패턴(230)은 상기 소자분리막(120) 상에 형성되면서 상기 소자분리막(120)과 액티브 영역의 계면을 커버하도록 하여 콘택플러그(160)가 소자분리막(120)과 직접 접촉하지 못하도록 한다.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에 의하면 모바일(Mobile)등 저전력 소모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서 소자분리막과 액티브 영역의 계면을 따라 임의의 더미 패턴을 형성시켜 미스 얼라인 발생했을 시 셀프 얼라인 콘택(Self aligned contact)이 되게 함으로써 소자분리막 계면을 따라 콘택이 과도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자분리막과 액티브 영역의 계면을 따라 임의의 더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졍션(junction)의 과도한 리키지(leakage)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기판(110)상에 소자분리막(120)에 의해 액티브 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소자분리막(120)은 STI 또는 LOCOS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액티브 영역에 게이트 패턴(13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액티브 영역과 소자분리막의 계면을 덥도록 더미 패턴(230)을 상기 게이트 패턴(130)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더미 패턴(230)은 상기 게이트 패턴(130)과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더미 패턴(230)과 상기 게이트 패턴(130)은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양측에는 스페이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추가되는 포토공정이나 식각공정 없이 기존의 공정을 이용하여 소자분리막과 액티브 영역의 계면을 따라 임의의 더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소자분리막 계면의 과도한 리키지(leakage)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발명에 의하면 소자분리막과 액티브 영역의 계면을 따라 임의의 더미 패턴을 형성시켜 미스 얼라인 발생했을 시 셀프 얼라인 콘택(Self aligned contact)이 되게 함으로써 소자분리막 계면을 따라 콘택이 과도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게이트 패턴(130)의 양측의 액티브 영역에 소스/드레인(140)을 형성한다. 이때, 소스/드레인(140) 일측에는 저농도 도핑영역(LDD)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게이트 패턴(130)과 상기 더미 패턴(230)을 포함하는 기판(110)상에 층간절연층(15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층간절연층(150)은 TEOS-CVD,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SiO2, PECVD-SiON, TEOS를 이용한 BPSG, 실렌가스(silane gas, SiH4)를 이용하여 도핑 된 CVD- SiO2 막, 인(P)으로 도핑 된 CVD-PSG(phospho silicate glass)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유전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층간절연층(150)에 콘택플러그(160) 및 금속배선(170)을 형성한다.
상기 콘택플러그(160)를 형성하기 위해서 콘택영역의 상기 층간절연층(150)을 식각한다. 이때, 상기 콘택영역의 식각을 위한 마스크의 미스 얼라인이 발생하더라도 소자분리막(120)과 액티브 영역의 계면을 따라 임의의 더미 패턴이 형성됨으로써 미스 얼라인 발생했을 시 셀프 얼라인 콘택(Self aligned contact)이 되게 함으로써 소자분리막 계면을 따라 콘택이 과도하게 형성되어 리키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콘택플러그(160)로는 알루미늄(Al), 텅스텐(W), 타이타늄(Ti)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배선(170)으로는 알루미늄(Al) 또는 구리(Cu)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금속도 사용이 가능하다. Al은 낮은 저항률, SiO2 및 실리콘에 대한 좋은 접착력의 장점이 있다. Al에 Cu, Ti, Si 등을 소량 섞어서 금속배선(170)으로 사용하면 Al의 전자이탈현상을 제거하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Cu는 Al 보다 낮은 저항률과 전자이탈 방지능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모바일(Mobile)등 저전력 소모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서 소자분리막과 액티브 영역의 계면을 따라 임의의 더미 패턴을 형성시켜 미스 얼라인 발생했을 시 셀프 얼라인 콘택(Self aligned contact)이 되게 함으로써 소자분리막 계면을 따라 콘택이 과도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자분리막과 액티브 영역의 계면을 따라 임의의 더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졍션(junction)의 과도한 리키지(leakage)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추가되는 포토공정이나 식각공정 없이 기존의 공정을 이용하여 소자분리막과 액티브 영역의 계면을 따라 임의의 더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소자분리막 계면의 과도한 리키지(leakage)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기판상에 소자분리막에 의해 정의된 액티브 영역;
    상기 액티브 영역에 형성된 게이트 패턴;
    상기 액티브 영역과 소자분리막 사이의 계면을 덥도록 형성된 더미 게이트 패턴;
    상기 게이트 패턴의 양측의 액티브 영역에 형성된 소스/드레인;
    상기 게이트 패턴과 상기 더미 게이트패턴을 포함하는 기판상에 형성된 층간절연층; 및
    상기 층간절연층에 형성된 콘택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더미 게이트패턴은
    상기 소자분리막 상에 형성되어 상기 액티브 영역과 소자분리막 사이의 계면을 덥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2. 삭제
  3. 삭제
  4. 기판상에 소자분리막에 의해 액티브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 영역에 게이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 영역과 소자분리막의 계면을 덥도록 더미 게이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패턴의 양측의 액티브 영역에 소스/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패턴과 상기 더미 게이트패턴을 포함하는 기판상에 층간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층간절연층에 콘택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더미 게이트패턴은
    상기 소자분리막 상에 형성되어 상기 액티브 영역과 소자분리막 사이의 계면을 덥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게이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 패턴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60133248A 2006-12-23 2006-12-23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31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248A KR100831580B1 (ko) 2006-12-23 2006-12-23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248A KR100831580B1 (ko) 2006-12-23 2006-12-23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1580B1 true KR100831580B1 (ko) 2008-05-21

Family

ID=39664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248A KR100831580B1 (ko) 2006-12-23 2006-12-23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5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759B1 (ko) * 1994-12-19 1999-08-16 모리시타 요이치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09207A (ko) * 2001-07-19 2003-01-2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759B1 (ko) * 1994-12-19 1999-08-16 모리시타 요이치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09207A (ko) * 2001-07-19 2003-01-2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0787C (zh)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US5518962A (en) Planarized interlayer insulating film formed of stacked BPSG film and ozone-teos NSG film i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20080179638A1 (en) Gap fill for underlapped dual stress liners
KR100539265B1 (ko) 리세스 채널 mosfet 제조방법
US20100270623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on method
US7524751B2 (en) Method for forming contact hole in semiconductor device
US6235606B1 (en) Method of fabricating shallow trench isolation
CN101197369B (zh) 横向mos晶体管及其制造方法
KR20080019922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31580B1 (ko)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090140352A1 (en) Method of forming interlayer dielectric for semiconductor device
KR100607798B1 (ko) 반도체 소자의 실리사이드 형성방법
KR20020067990A (ko) 질화물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집합 유전체층
US6255229B1 (en) Method for forming semiconductor dielectric layer
KR20090035145A (ko)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90032900A1 (en) Method of protecting shallow trench isolation structure and composite structure resulting from the same
KR100477827B1 (ko) 게이트와 플러그간의 축전용량을 감소시킨 반도체 소자의제조방법
KR10085528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20240047350A1 (en) Metal structure having funnel-shaped interconne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14257B1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0353827B1 (ko) 반도체소자의 층간절연막 형성 방법
KR100672672B1 (ko)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KR100341588B1 (ko) 실리사이드층의 저항 및 누설전류 감소를 위한 반도체소자 제조 방법
KR100546804B1 (ko) 반도체 소자의 층간 절연막 제조방법
KR10127130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