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632B1 - 다방향 스위치 - Google Patents

다방향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632B1
KR100830632B1 KR1020060113578A KR20060113578A KR100830632B1 KR 100830632 B1 KR100830632 B1 KR 100830632B1 KR 1020060113578 A KR1020060113578 A KR 1020060113578A KR 20060113578 A KR20060113578 A KR 20060113578A KR 100830632 B1 KR100830632 B1 KR 100830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rotrusion
holder
substrate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삼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to KR1020060113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8Tumb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5/00Switch site location
    • H01H2225/018Consecutive operations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기기에 사용되는 하부 하우징(2), 상기 하부 하우징(2) 상단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다수의 접점이 배설된 기판(4), 상기 하부 하우징(2) 및 기판(4)을 덮도록 연결설치되는 상부 하우징(8) 및 상기 상부 하우징(8) 상단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다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지지되는 작동노브(18)로 이루어진 다방향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8) 상부 일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된 제 1 돌출부(10); 상기 제 1 돌출부(10) 사이에 열결설치되는 홀더(14); 상기 작동노브(18) 하단 일측에 구비되어 홀더(14)와 연결설치되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 2 돌출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십자 형상으로 구비된 두 쌍의 힌지부를 이용해 작동노브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2개 이상의 접점부분이 동시에 작동되는 동시접점에 따른 품질문제를 해소하고,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방향 스위치, 힌지, 홀더,

Description

다방향 스위치{Multi-Directional Switc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스위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하부하우징 4 : 기판
6 : 택트 스위치 8 : 상부하우징
10 : 제 1 돌출부 12 : 고정부재
14 : 홀더 16 : 연결부재
18 : 작동노브 20 : 제 2 돌출부
22 : 작동슬라이더
본 발명은 각종 기기에 사용되는 다방향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홀더 및 하우징에 구비된 연결수단 및 고정수단에 의해 조작되는 다방향 스 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다방향 스위치는 단일의 몸체에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복수 개, 예를 들면 네 개의 스위치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네 개의 스위치 중 특정 위치 및 방향의 스위치만을 선택적으로 동작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4방향 스위치는 4방향(전후좌우)에 배치된 4개의 스위치를 가지고 있고, 스위치 몸체의 전후좌우 중 일측을 눌러서 스위치 몸체를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눌러진 일측에 위치하고 있는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다방향 스위치는 차량, 오디오, 비디오 및 휴대폰 등과 같은 각종 기기에 다수 적용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특정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서 해당되는 버튼과 대응되는 기기의 동작을 유도하게 된다. 예를 들면, 좌우방향의 스위치에 의해서는 음향을 크게하거나 작게하는 기능이 수행되고, 상하방향의 스위치에 의해서는 음반트랙의 위치가 이동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다방향 스위치는 스위치 하단 중심부에 구형상 또는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체가 구비되어 회전체를 중심으로 일측에 압력이 가해지면 압력이 가해진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스위치의 일측을 누를 때 정확한 위치를 누르지 않으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타측 버튼이 동시에 눌러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오작동 및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에 있는 스위치의 정확한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고 다방향 스위치를 동작시켜야 되는 번거로움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일례로서, 대한민국특허등록 제 0147699호는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일부가 그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는 조작체, 기판, 클릭고무, 이들 중공볼록부의 선단내면에 설치된 복수의 가동접점을 구비하고, 조작체를 임의방향으로 경도함으로써 그 조작체의 경도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고정접점에 대하여 가동접점이 접촉하는 다방향 입력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와 상기 클릭고무와의 사이에 회전가능한 회동체를 각각 배치하고, 상기 조작체의 상기 회동체에 대한 구동부를 그 회동체의 회동지점과 상기 중공볼록부에 대한 압압부와의 사이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스위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발명은 조작체 하단에 연결설치되는 기부 중앙에 배치된 구체부 및 원환부에 구비되어 구체부를 받아 넣는 받이부에 의해서 조작체가 기울어지며 스위치가 조작되는 바, 이러한 구성은 밑면이 둥근 구체부에 의해 조작체가 회동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부분을 누르지 않으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측 원환부 및 회동체와 같은 부재를 더 구비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공개 제 2006-0065260호는 사용자가 누르는 놉, 복수개의 스위치 누름부, 기판 및 놉 지지구가 포함되는 다방향 버튼 스위치를 개시하고 있고, 상기 놉지지구의 하측에 제공되어 상기 기판과 맞닿는 가이드 돌기가 포함된다.
그러나 전술한 발명은 밑면이 둥근 가이드 돌기에 의해 놉이 기울어지며 스위치가 조작되는 바, 이러한 구성은 밑면이 둥근 가이드 돌기에 의해 조작체가 회 동하여서 사용자가 정확한 부분을 누르지 않으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동작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놉 지지구와 같은 부재를 더 구비하여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홀더를 이용하여 동시접점 및 미작동 구간을 해소한 다방향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에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 상단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다수의 고정접점이 배설된 기판, 상기 하부 하우징 및 기판을 덮도록 연결설치되는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 상단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다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지지되는 작동노브로 이루어진 다방향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 상부 일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된 제 1 돌출부; 상기 제 1 돌출부 사이에 열결설치되는 홀더; 상기 작동노브 하단 일측에 구비되어 홀더와 연결설치되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 하우징은 상기 기판이 안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적용되는 장치에 알맞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는 서로 대향되는 일측에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응되는 두 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홀더는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와 연결설치되어 작동노브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직육면체 또는 원형, 타원형 등의 단면을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벽면 외주면 일측에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에 구비된 고정부재와 대응되도록 연결부재가 다수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노브는 사용자가 다수의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평판 및 평판 외주면을 따라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된 벽이 형성된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스위치의 부분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스위치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하부 하우징(2), 기판(4), 상부하우징(8), 작동노브(18)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 하우징(2)은 상기 기판(4)이 안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판(4)이 안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적용되는 장치에 알맞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4)은 상기 하부 하우징(2) 상단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고정되고,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받아들여,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신호전달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일측에 십자 형상을 이루도록 위치한 다수의 접점이 구비되고, 상기 접점 상단에는 접점에 신호를 입력하고, 외부에서 가해진 압력을 제거하기 위한 탄성력을 갖는 택트 스위치(6)가 납땜에 의해 연결설치되고, 하부 일측에 접점 스위치를 통해 받아들인 신호를 장치로 전달하는 커넥터가 구비된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하우징(8)은 상기 기판(4)을 보호하고, 작동노브(18)가 안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인 형상은 상기 하부 하우징(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중공으로 이루어져 기판(4) 및 하부 하우징(2)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기판(4)의 다수의 접점 스위치와 대응되는 일측에 작동노브(18)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하우징(8) 상단 일측에 구비된 작동노브(18)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간 중심부 일측에는 기판에 십자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된 접점 중 대향되는 두개의 접점 스위치가 이루는 직선과 수평을 이루는 수평선 상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대응되도록 상부 하우징(8)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된 두개의 제 1 돌출부(10)가 구비되고, 상기 두개의 제 1 돌출부(10)는 서로 대향되는 벽면 일측에 각각 고정부재(12)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12)는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 힌지 또는 일정길이 홈이 형성되거나 관통된 힌지공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홀더(14)는 직육면체 단면을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벽면 외주면 일측에 서로 인접한 연결부재(16)가 90도 간격을 유지하여 십자 형상을 이루도록 4방향에 힌지 및/또는 힌지공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16)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돌출부(10)에 구비된 고정부재(12)와 연결설치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노브(18)는 사용자가 다수의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판(4)에 형성된 다수의 접점과 대응되는 크기의 외주면을 갖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평판 및 평판 외주면을 따라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된 벽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평판 하단 중심 일측에는 제 1 돌출부(10)와 연결설치되지 않은 홀더(14)의 연결부재(16)와 대응되도록 작동 노브(18) 하단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두개의 제 2 돌출부(20)가 형성되고, 상기 두개의 제 2 돌출부(20)는 서로 대향되는 벽면 일측에 각각 고정부재(12)가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부재(12)는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 힌지 또는 일정길이 홈이 형성되거나 관통된 힌지공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동노브(18)는 직접 택트 스위치(6)와 접촉되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작동노브(18)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작동슬라이더(22)를 기판에 구비된 접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더 구비하여 작동슬라이더(22)에 의해 택트 스위치(6)와 접촉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택트 스위치(6)와 대응되도록 상부 하우징(8) 일측에 작동슬라이더(22)가 유동할 수 있는 홈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슬라이더(22)의 형상은 원형으로 이루어진 평판과 평판 상단 중심부 일측에 일정길이를 갖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 레버의 사용양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해 작동노브(18)의 상하/좌우 중 한 방향의 버튼에 압력을 가해주게 되면, 작동노브(18)는 압력이 가해진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작동노브(18)에 가해진 압력이 상하 방향으로 가해지는 경우 작동노브(18) 하단에 구비된 제 2 돌출부(20)에 형성된 고정부재(12) 및 홀더(14)에 구비된 연결부재(16)로 연결설치되어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하고, 좌우 방향으로 가해지는 경우 상부 하우징(8) 상단에 구비된 제 1 돌출부(10)에 형성된 고정부재(12) 및 홀더(14)에 구비된 연결부재(16)로 연결설치되어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한다.
여기서, 고정부재(12) 및 연결부재(16)는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 힌지 또는 일정길이 홈이 형성되거나 관통된 힌지공으로 구성되고, 홀더(14)에 구비된 4개의 연결 부재(16)가 모두 힌지 또는 힌지공으로 구비되면 그에 대응되는 제 1 돌출부 (10) 및 제 2 돌출부(20)에 구비된 고정부재(12)는 힌지공 또는 힌지로 구비되고, 홀더(14)에 구비된 4개의 연결부재(16) 중 대향되는 곳에 위치한 2쌍의 연결부재(16)가 각각 힌지 및 힌지공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 1 돌출부(10) 및 제 2 돌출부(20)에 형성된 고정부재(12) 중 하나의 고정부재(12)는 힌지공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고정부재(12)는 힌지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하/좌우 방향 버튼을 정확히 누르지 않더라도, 힌지에 의해 작동노브(18)의 움직임이 규제되기 때문에, 2개 이상의 접점 부분이 동시에 동작되지 않는다.
압력이 가해진 방향으로 작동노브(18)가 기울어지면, 작동노브(18) 또는 택트 스위치(6)와 작동노브(18) 사이에 구비된 작동슬라이더(22)에 의해 작동노브(18)가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하는 택트 스위치(6)가 눌러지게 되고, 눌러진 택트 스위치(6)에 의해 기판(4) 상단에 구비된 접점에 신호를 전달한다.
기판(4)으로 입력된 신호는 커넥터를 통해 장치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조작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에 의해 가해졌던 압력이 사라지면, 택트 스위치(6)의 탄성력으로 인해 접점에 입력되던 신호가 해제되며, 작동노브(18)는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십자 형상으로 구비된 두 쌍의 힌지부를 이용해 작동노브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2개 이상의 접점부분이 동시에 작동되는 동시접점에 따른 품질문제를 해소하고,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 상단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다수의 접점이 배설된 기판, 상기 하부 하우징 및 기판을 덮도록 연결설치되는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 상단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다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지지되는 작동노브로 이루어진 다방향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 상단 일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된 제 1 돌출부; 상기 제 1 돌출부 사이에 열결설치되는 홀더; 상기 작동노브 하단 일측에 구비되어 홀더와 연결설치되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 2 돌출부; 및 상기 제 1 돌출부가 서로 대향되는 일측, 제 2 돌출부가 서로 대향되는 일측 또는 제 1 돌출부가 서로 대향되는 일측 및 제 2 돌출부가 서로 대향되는 일측에 구비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가 십자 형상으로 벽면 외주면 일측에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에 구비된 고정부재와 대응되도록 다수의 연결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노브와 기판 사이에 다수의 작동슬라이더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
KR1020060113578A 2006-11-17 2006-11-17 다방향 스위치 KR100830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578A KR100830632B1 (ko) 2006-11-17 2006-11-17 다방향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578A KR100830632B1 (ko) 2006-11-17 2006-11-17 다방향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0632B1 true KR100830632B1 (ko) 2008-05-20

Family

ID=39664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578A KR100830632B1 (ko) 2006-11-17 2006-11-17 다방향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6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7237U (ko) 1985-03-23 1986-09-29
JPH0428404U (ko) * 1990-06-29 1992-03-06
JPH07146728A (ja) 1993-11-19 1995-06-06 Sony Corp 4方向操作装置
JPH1050178A (ja) * 1996-07-30 1998-02-20 Niles Parts Co Ltd 多方向作動スイッチ
US5753874A (en) 1996-01-10 1998-05-19 Leopold Kostal Gmbh & Co. Kg Rocker member actuated switch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7237U (ko) 1985-03-23 1986-09-29
JPH0428404U (ko) * 1990-06-29 1992-03-06
JPH07146728A (ja) 1993-11-19 1995-06-06 Sony Corp 4方向操作装置
US5753874A (en) 1996-01-10 1998-05-19 Leopold Kostal Gmbh & Co. Kg Rocker member actuated switch assembly
JPH1050178A (ja) * 1996-07-30 1998-02-20 Niles Parts Co Ltd 多方向作動スイッ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7821B2 (ja) 複合操作型電子部品
JP2002063830A (ja) 押釦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複合スイッチ
JP2001185004A (ja) 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
KR20040061120A (ko) 스위치장치
KR100830632B1 (ko) 다방향 스위치
JP2002075129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1345031A (ja) 複合操作型電子部品
JP3710668B2 (ja) 多接点入力装置
JP3991491B2 (ja) 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3937670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2003346608A (ja) 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
JP4913673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H06331873A (ja) 入力装置
JP2008305687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4937994B2 (ja) 多方向スライド式スイッチ
JP4364037B2 (ja) 電子部品用操作板
KR10059512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구조
JP4846662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H11111120A (ja) 小型携帯電子機器のキー構造
JP2001351479A (ja) 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
JP2001118469A (ja) 操作装置
JP2000082365A (ja) 電子機器の押釦取付構造
KR200259990Y1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JPH10261349A (ja) 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
JP2001143567A (ja) 押し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