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042B1 - 개선된 트레드 마모한도표시 - Google Patents

개선된 트레드 마모한도표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042B1
KR100830042B1 KR1020070081508A KR20070081508A KR100830042B1 KR 100830042 B1 KR100830042 B1 KR 100830042B1 KR 1020070081508 A KR1020070081508 A KR 1020070081508A KR 20070081508 A KR20070081508 A KR 20070081508A KR 100830042 B1 KR100830042 B1 KR 100830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tread
wear indicator
groove
wear li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진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1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24Wear-indic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트레드의 그루브에 형성된 트레드 마모한도표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트레드 마모한도표시가 그루브의 배수성능을 저해하여 빗길 수막현상에서 비롯되는 하이드로플래닝 즉 빗길 미끄럼현상을 저감하기 위해, 그루브 상에서의 트레드 마모한도표시의 형성위치와 형상을 개선하여 빗길 주행중의 타이어의 배수성능을 향상하여 안전운전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트레드, 마모한도표시, 웨어인디케이터, 빗길 미끄럼, 배수성능, 하이드로플래닝

Description

개선된 트레드 마모한도표시{IMPROVED TREAD WEAR INDICATOR}
본 발명은 타이어 트레드의 그루브 상에 형성되어 트레드의 마모한도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트레드 마모한도표시를 개선한 것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추진력은 최종적으로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력으로부터 얻어지는데, 타이어의 접지면 즉, 트레드에는 일반적으로 노면과의 접지성능향상과 미끄럼 방지를 통한 조정력향상을 위해 그리고, 다양한 특수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해 홈 형태인 그루브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트레드에 형성되는 그루브는 형성각도에 따라 기능이 달라진다. 우선 타이어의 원주방향 즉, 회전방향에 따라 주로 트레드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복수열의 종그루브는 차량의 옆방향 슬립을 방지하고 진행방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수평그루브는 차량이 노면에 고인 물 위로 지날 때 수막현상으로인해 타이어가 미끄러지지 않게 물이 지체없이 그루브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배수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종그루브에는 타이어 트레드의 마모정도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마모한도표시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마모한도표시 는 그루브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둘출한 직입방체 형태로서 타이어 성형시 일체로 형성되며, 'TREADWEAR 240' 이나 'TREADWEAR 400'으로 사양의 형태로 표시되고 수치가 높을수록 타이어의 수명이 긴 것을 의미한다. 대체로 트레드의 마모면과 상기 마모한도표시의 면이 일치하면 타이어 교체시기임을 인지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마모한도표시(1')는 이웃하는 횡그루브(11) 사이의 중간지점의 종그루브(10)에 형성된다. 이러한 마모한도표시(1')는 트레드면보다 낮게 종그루브(10)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만, 수막이 형성된 노면을 통과할 때 수막물이 횡그루브(11)를 따라 타이어 측면으로 많이 배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종래에는 수막물이 종그루브(10)를 따라 유도되다가 마모한도표시(1')에 부딪혀서 일부는 트레드면으로 흘러가게 된다.
수막물이 트레드면 위로 빠져나가게 되면 타이어가 미끄러지는 소위 하이드로플래닝현상이 발생하여 차량은 일시적으로 조향력을 상실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기 마모한도표시의 위치와 형상을 바꿈으로써 수막물의 배수성능을 향상케 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마모한 도표시는 횡그루브와 교차하기 직전의 종그루브 상의 지점에 횡그루브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마모한도표시는 그 형태에 있어서도 수직벽과 수평면이 만나는 단부가 타원 곡면을 이루고 전체 단면이 유선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타이어는 수막이 형성된 노면을 지나갈 때 수막물이 종그루브를 지나 횡그루브로 부드럽게 선회하여 통과하도록 유도되므로, 수막물이 타이어의 트레드 상으로 흘러가는 것을 줄일 수 있어 하이드로플래닝 현상을 저감하여 차량의 조향성 확보와 주행안전성 재고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마모한도표시(1)는 횡그루브(11)와 교차하기 직전의 종그루브(10) 상의 지점에 횡그루브(11)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고, 또한 그 형태에 있어서도 수직벽(4)과 수평면(6)이 만나는 단부가 타원 곡면(5)을 이루고 전체 단 면이 유선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마모한도표시(1)의 형성위치를 나타낸 타이어의 평면도와 수막물의 흐름에 대한 마모한도표시(1)의 작용을 설명하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마모한도표시(1)는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 성형시 종그루브(10)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 2의 부분확대 사시도 상의 두 갈래의 화살표는 차량진행방향으로의 수막물의 흐름과 차량측방향으로의 수막물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차량진행방향 즉, 상기 수직벽(4)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수막물이 흘러가는 것은 종래와 유사하다. 그러나, 수직벽(4)과 수평면(6)이 직각단부에서 만나는 종래의 마모한도표시와 달리 수직벽(4)과 수평면(6)이 만나는 단부를 타원곡면(5)으로 함으로써 수막물이 수직벽(4)을 따라 상승하여 타원곡면(5)을 통해 바로 수평면(6)으로 따라 유도되어 트레드면으로 빠져나가기 전에 종그루브(10)를 따라 이어지는 다음 마모한도표시(1)의 수직벽(4)으로 유도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벽(4)과 평행한 방향으로 유입되는 수막물은 지체없이 횡그루브(11)로 유도되어 바로 배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마모한도표시는 수막물의 흐름을 타이어의 트레드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타이어가 수막 위를 미끄러지는 것을 줄인다.
도 1은 종래의 마모한도표시의 형성위치를 나타낸 타이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마모한도표시의 형성위치를 나타낸 타이어의 평면도와 수막물의 흐름에 대한 마모한도표시의 작용을 설명하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Claims (2)

  1.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 상의 그루브에 형성된 마모한도표시에 있어서, 상기 마모한도표시가 횡그루브와 교차하기 직전의 종그루브 상의 지점에 횡그루브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마모한도표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한도표시의 수직벽과 수평면이 만나는 단부가 타원 곡면을 이루고 전체 단면이 유선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마모한도표시.
KR1020070081508A 2007-08-14 2007-08-14 개선된 트레드 마모한도표시 KR100830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508A KR100830042B1 (ko) 2007-08-14 2007-08-14 개선된 트레드 마모한도표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508A KR100830042B1 (ko) 2007-08-14 2007-08-14 개선된 트레드 마모한도표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0042B1 true KR100830042B1 (ko) 2008-05-15

Family

ID=3965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508A KR100830042B1 (ko) 2007-08-14 2007-08-14 개선된 트레드 마모한도표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0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669B1 (ko) 2012-08-01 2013-12-1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타이어
KR101401314B1 (ko) 2012-08-01 2014-05-2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타이어
KR20220020089A (ko) 2020-08-11 2022-02-1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트레드 마모한도표시기가 형성된 공기입 타이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8021A (ja) * 1991-12-26 1993-07-20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H1044719A (ja) 1996-08-05 1998-02-17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スタッドレスタイヤ
JP2001219712A (ja) * 2000-02-09 2001-08-14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KR200375119Y1 (ko) 2004-11-17 2005-02-0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마모한계표시구를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8021A (ja) * 1991-12-26 1993-07-20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H1044719A (ja) 1996-08-05 1998-02-17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スタッドレスタイヤ
JP2001219712A (ja) * 2000-02-09 2001-08-14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KR200375119Y1 (ko) 2004-11-17 2005-02-0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마모한계표시구를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669B1 (ko) 2012-08-01 2013-12-1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타이어
KR101401314B1 (ko) 2012-08-01 2014-05-2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타이어
KR20220020089A (ko) 2020-08-11 2022-02-1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트레드 마모한도표시기가 형성된 공기입 타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3255B2 (ja) 二輪車用タイヤ
JP4280297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4329912B1 (ja) 空気入りタイヤ
JP4367965B1 (ja) 空気入りタイヤ
JP5993403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8155911A (ja) 空気入りタイヤ
JP5679105B2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加硫用金型
JP5346600B2 (ja) 二輪車用タイヤ
RU2607491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JP2013189128A (ja) 空気入りタイヤ
AU2011228471B2 (en) Pneumatic tire
US10189314B2 (en) Pneumatic tire
KR100830042B1 (ko) 개선된 트레드 마모한도표시
CN111806162A (zh) 可加强排水性能的轮胎
JP2004168142A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110101394A (ko)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WO2015029861A1 (ja) タイヤ
KR101001807B1 (ko) 수막현상방지 및 소음저감 특성이 향상된 타이어
JP4350204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426287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267970B1 (ko) 배수성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의 그루브
JP6712131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0990573B1 (ko) 미니 그루브를 갖는 공기입 타이어
CN108482019A (zh) 一种高排水性的花纹轮胎
KR100773127B1 (ko) 물튀김방지돌기가 구비된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