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419B1 -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419B1
KR100828419B1 KR1020060115483A KR20060115483A KR100828419B1 KR 100828419 B1 KR100828419 B1 KR 100828419B1 KR 1020060115483 A KR1020060115483 A KR 1020060115483A KR 20060115483 A KR20060115483 A KR 20060115483A KR 100828419 B1 KR100828419 B1 KR 100828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ase
cover
motor
sli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Priority to KR1020060115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B60K2015/0576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with actuator fixed to th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록킹장치는 연료주유구를 가지는 캡부재에 대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연료주유구를 개폐시키는 주유구용 커버를 록킹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캡부재에 대해 고정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연료주유구를 폐쇄한 상태로 상기 주유구용 커버를 록킹시키는 록킹위치와, 상기 주유구용 커버가 상기 연료주유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그 주유구용 커버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부재와;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록킹부재를 상기 록킹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록킹부재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선을 회전중심축선으로 하여 회전은 가능하고 그 회전중심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은 방지되게 설치되며,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부재; 및 상기 케이스에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지며, 그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이동되며, 일단부에 상기 록킹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유구용 커버, 록킹부재, 회전부재, 슬라이딩부재

Description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Car oil-cover locking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측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록킹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의 도 3의 횡단면도.
도 5는 록킹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의 도 3의 종단면도.
도 6은 주유구용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주유구용 커버 111:결합리브
111a:관통공 120:캡부재
121:연료주유구 130:브라켓
132:제1프레임부 134:제2프레임부
136:실링부재 137:스토퍼
138:걸림후크 140:케이스
150:모터 151:구동기어
160:록킹부재 161:돌출부
170:동력전달수단 171:회전부재
171a:기어부 173:슬라이딩부재
173a:나사부 173b:결합홈부
180:완충부재 W:전선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주유구를 가지는 캡부재에 대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연료주유구를 개폐시키는 주유구용 커버를, 록킹시키기 위한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자동차(C)에는 연료의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만 동작되는 주유구용 커버(1)(이하 '커버'라 한다)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커버(1)는 연료주유구(21)를 가지는 캡부재(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1)에는 그 내면에서 상기 연료주유구(21)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리브(11)가 마련되며, 상기 결합리브(1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록킹부재(4)가 삽입 또는 삽입해제되는 관통공(11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탄성가압되는 커버(1)를 록킹시키는 록킹장치는 아래와 같다.
즉,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캡부재(2)에 고정된 케이스(5), 상기 케이스(5)에 설치되는 모터(6), 상기 커버(1)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는 록킹부재(4) 및 상기 록킹부재(4)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전달수단(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딩부재(73)의 이동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제1스토퍼(51)와 제2스토퍼(53)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6)의 출력축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기어부(71a)에 맞물리는 구동기어(61)가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5)는 브라켓(3)을 통해 상기 커버(1)에 대해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3)은 상기 케이스(5)를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스토퍼(31)와 걸림후크(33)를 구비한다.
상기 록킹부재(4)는 연료주유구(21)를 폐쇄한 상태로 상기 커버(1)를 록킹시키는 록킹위치와, 커버(1)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록킹부재(4)가 해제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커버(1)의 록킹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커버(1)를 상기 캡부재(2)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료주유구(21)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록킹부재(4)는 스틸(steel)소재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7)은 상기 모터(6)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록킹부재(4)를 상기 록킹위치와 헤제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이러한 동력전달수단(7)은 기어부(71a)와 나사부(71b)를 가지는 회전부재(71), 상기 회전부재(71)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딩부재(73) 및 상기 록킹부재(4)와 슬라이딩부재(73) 사이에 마련되는 결합부재(75)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부재(71)는 상기 록킹부재(4)의 연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터(6)에 의해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 부재(71)는 상기 구동기어(61)에 맞물리는 기어부(71a)와 상기 슬라이딩부재(73)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71b)를 가진다.
상기 슬라이딩부재(73)는 상기 회전부재(71)의 나사부(71b)에 나사결합되는 연동부(73a)와, 상기 케이스(5) 내부에서 상기 록킹부재(4)의 이동방향을 따라 안내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73b)를 가진다. 이러한 슬라이딩부재(73)의 일단부에는 결합부재(75)가 마련된다. 상기 결합부재(75)에는 상기 록킹부재(4)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록킹부재(4)를 상기 슬라이딩부재(73)와 함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8은 상기 케이스(5)와 상기 슬라이딩부재(73) 간의 실링을 위한 패킹부재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록킹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즉,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6)가 구동되면, 회전부재(71)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회전부재(71)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73)가 이동되어 상기 록킹부재(4)가 상기 커버(1)의 관통공(11a)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커버(1)가 록킹된다.
상기 모터(6)가 위에서 설명한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록킹부재(4)는 상기 커버(1)의 관통공(11a)으로부터 삽입해제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커버(1)의 록킹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커버(1)를 상기 캡부재(2)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모터(6)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은 회전부재(71)의 기어부(71a), 회전부재(71)의 나사부(71b), 슬라이딩부재(73)의 연동부(73a) 및 슬라이딩부재(73)의 가이드부(73b)를 포함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상기 케이스(5)에 설치되기 때문에, 케이스(5)는 상기 요소들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로 성형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요소들을 성형하여야 하고, 상기 케이스(5)의 작은 공간에 상기 복수의 요소들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를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해져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 모터(6)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설계시 고려되었던 소정각도만큼 회전한다. 상기 모터(6)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재(73)가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슬라이딩부재(73)는 상기 모터(6)의 회전관성에 의해 설계시 고려되었던 이동범위보다 더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부재(73)의 이동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제1스토퍼(51)와 제2스토퍼(53)가 상기 케이스(5)에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1,2스토퍼(31)를 상기 케이스(5)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인하여 구조가 복잡해지며, 상기 제1,2스토퍼(31)와 상기 슬라이딩부재(73)의 연동부(73a) 간의 마찰로 상기 슬라이딩부재(73)의 손상 및 모터(6)의 손상을 초래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상기 커버(1)와 브라켓(3) 간의 실링은 브라켓(3)을 커버(1)에 고정한 후, 상기 커버(1)와 브라켓(3) 사이에 실링재를 발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그 작업공정수의 증가로 인하여 제품의 조립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조립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주유구를 가지는 캡부재에 대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연료주유구를 개폐시키는 주유구용 커버를 록킹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캡부재에 대해 고정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연료주유구를 폐쇄한 상태로 상기 주유구용 커버를 록킹시키는 록킹위치와, 상기 주유구용 커버가 상기 연료주유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그 주유구용 커버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부재와;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록킹부재를 상기 록킹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는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록킹부재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선을 회전중심축선으로 하여 회전은 가능하고 그 회전중심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은 방지되게 설치되며,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부재; 및 상기 케이스에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지며, 그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이동 되며, 일단부에 상기 록킹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에는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기어부에 맞물리는 구동기어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외주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슬라이딩부재의 나사부가 상기 회전부재의 관통공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해제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타단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탄성변형 가능하며,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이 관통하는 완충부재가 더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는 브라켓을 통해 상기 캡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캡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록킹부재가 관통하는 제1프레임부와, 상기 캡부재를 관통하여 그 캡부재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가 설치되는 제2프레임부를 가지며, 상기 제1프레임부의 외면에는 이중사출방식에 의해 상기 상기 브라켓과 함께 성형되고 상기 캡부재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실링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단부의 외주에는 환형의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부재는 플라스틱소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록킹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결합홈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록킹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의 도 3의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록킹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의 도 3의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록킹장치는, 연료주유구(121)를 가지는 캡부재(120)에 대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연료주유구(121)를 개폐시키는 주유구용 커버(110)(이하 '커버'라 한다)를, 록킹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록킹장치는 상기 캡부재(120)에 대해 고정된 케이스(140), 상기 케이스(140)에 설치되는 모터(150), 상기 커버(110)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는 록킹부재(160) 및 상기 모터(1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록킹부재(160)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전달수단(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110)는 연료주유구(121)를 가지는 캡부재(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110)에는 그 내면에서 상기 연료주유구(121)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리브(111)가 마련되며, 상기 결합리브(111)에는 상기 록킹부재(160)가 삽입 또는 삽입해제되는 관통공(1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130)은 상기 캡부재(12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프레임부(132)와 상기 캡부재(120)를 관통하여 그 캡부재(12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부(134)를 구비한다. 상기 록킹부재(160)는 상기 제1프레임부(132)의 관통공(132a)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리브(111)의 관통공(111a)에 삽입 또는 삽입해제된다. 상기 제1프레임부(132)는 상기 캡부재(120)의 내면에 나사 등으로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140)는 상기 제2프레임부(134)의 내면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제 2프레임부(13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프레임부(134)에는 그 제2프레임부(134)에 결합된 케이스(140)의 임의탈거를 억제하도록, 스토퍼(137)와 걸림후크(138)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브라켓(130)을 통해 상기 케이스(140)가 상기 캡부재(120)에 지지된다.
상기 모터(150)의 출력축에는 구동기어(151)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170)은 상기 구동기어(151)로부터 모터(15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록킹부재(160)를 이동시킨다. 상기 록킹부재(160)는 상기 연료주유구(121)를 폐쇄한 상태로 상기 커버(110)를 록킹시키는 록킹위치(도 5 참조)와 상기 커버(110)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위치(도6 참조)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록킹부재(160)가 상기 해제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커버(110)의 록킹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커버(110)를 상기 캡부재(120)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료주유구(121)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록킹부재(160)는 플라스틱 소재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부품의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상기 동력전달수단(170)은 상기 케이스(1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수평이동 방지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171)와, 상기 케이스(140)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방지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1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부재(171)의 외주에는 상기 구동기어(151)에 맞물리는 기어부(171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171)는 상기 모터(150)에 의해 상기 록킹부재(160)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선을 회전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부재(171)는 플라스틱 소재에 의해 사출성형된다.
상기 회전부재(171)의 중앙에는 관통공(1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171)의 관통공(111a)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73)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73)의 외주에는 상기 회전부재(171)의 관통공(111a)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173a)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부재(173)는 상기 회전부재(17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슬라이딩부재(173)는 플라스틱 소재에 의해 사출성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록킹부재(160)와 슬라이딩부재(173)는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사출형성됨으로써, 조립성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부재(173)의 일단부의 외주에는 환형의 결합홈부(17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부재(160)에는 상기 결합홈부(173b)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출부(16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록킹부재(160)와 슬라이딩부재(173)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해진다.
한편, 상기 모터(15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은 상기 회전부재(171)의 기어부(171a)와 상기 슬라이딩부재(173)의 나사부(173a)이다. 따라서, 구조가 간소해진 요소들의 성형 및 상기 요소들의 설치를 위한 케이스(140)의 성형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40)에는 완충부재(18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완충부재(180)는, 상기 록킹부재(160)가 상기 해제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173)의 타단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케이스(140)에 설치된다.
이러한 완충부재(180)는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가진 소재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173)가 상기 모터(150)의 회전관성에 의해 설계시 고려되었던 이동범위를 벗어나 이동하려는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부재(173)로부터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180)는 상기 모터(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W)이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전선(W)을 케이스(140)에 지지시켜 주기 위한 구조의 성형이 필요하지 않으며, 상기 전선(W)이 케이스(140)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됨으로써 수행되어야 하는 상기 케이스(140)와 케이스커버(140') 간의 실링작업이 요구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프레임부(132)의 외면에는 이중사출방식에 의해 상기 브라켓(130)과 함께 성형되는 실링부재(13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실링부재(136)는 상기 캡부재(120)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캡부재(120)와 브라켓(130) 사이를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실링부재(136)는 예컨대 TPR(Thermo Plastic Rubber)재질이다. 이와 같이, 상기 브라켓(130)을 상기 캡부재(120)에 접촉시킨 후 나사 등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캡부재(120)와 브라켓(130) 간의 실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추가적인 실링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90은 상기 케이스(140)와 상기 슬라이딩부재(173) 간의 실링을 위위한 패킹부재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모터(150)가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구동기어(151)에 맞물려 있는 회전부재(171)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부재(171)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173)가 상기 회전부재(171)의 회전중심축선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재(173)에 결합되어 있는 록킹부재(16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리브(111)의 관통공(111a)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커버(110)가 록킹됨으로써, 캡부재(120)에 형성되어 있는 연료주유구(121)를 임의로 개방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모터(150)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록킹부재(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리브(111)의 관통공(111a)으로부터 삽입해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110)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커버(110)를 회전시켜 상기 연료주유구(121)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부재(160)의 이동은 간소해진 구성요소, 즉 상기 모터(150)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171)의 기어부(171a)와 상기 회전부재(171)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173)의 나사부(173a)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케이스(140)와 상기 케이스커버(140') 사이에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완충부재(180)가 배치된다. 상기 완충부재(180)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73)로부터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스(140)와 케이스커버(140') 사이의 실링을 한다. 따라서, 상기 충격력을 흡수하지 못해 발생하는 부품의 손상 또는 파손을 억제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40)와 케이스커버(140') 사이의 실링을 위한 추가적인 실링작업이 따로 요구되지 않아 제품의 조립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스(140)를 상기 캡부재(120)에 지지시켜 주는 브라켓(130)은, 그 제1프레임부(132)가 상기 캡부재(120)에 나사 등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브라켓(130)에 이중사출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실링부재(136)가 상기 캡부재(120)에 탄성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캡부재(120)와 브라켓(130) 사이의 실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캡부재(120)와 브라켓(130) 사이의 실링을 위한 작업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아 제품의 조립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록킹부재(160)와 슬라이딩부재(173)는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사출형성됨으로써, 부품이 경량화되고 양자간의 결합이 용이하여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양자를 결합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이 요구되지 않아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버튼(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거나 자동차의 도어(미도시)를 개폐하는 도어레버(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도어레버의 조작에 따라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경우에는, 도어레버의 조작으로 도어가 열린 때에 상기 커버(110)의 록킹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연료주유구(121)를 개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도어가 닫힌 때에 상기 커버(110)가 록킹됨으로써 상기 연료주유구(121)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은 상기 회전부재의 기어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나사부로 이루어짐으로써, 구조가 간소해진 요소들의 성형 및 상기 요소들의 설치를 위한 케이스의 성형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탄성변형 가능하고 전선이 관통하는 완충부재가 케이스에 설치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구조의 간소화로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제품의 조립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이중사출방식에 의해 브라켓과 함께 성형되는 실링부재가 마련됨으로써, 제품의 조립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한편, 슬라이딩부재와 록킹부재가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사출성형됨으로써, 부품이 경량화되고 부품수의 감소로 인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5)

  1. 연료주유구(121)를 가지는 캡부재(120)에 대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연료주유구(121)를 개폐시키는 주유구용 커버(110)를 록킹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캡부재(120)에 대해 고정된 케이스(140)와; 상기 케이스(140)에 설치되는 모터(150)와; 상기 연료주유구(121)를 폐쇄한 상태로 상기 주유구용 커버(110)를 록킹시키는 록킹위치와, 상기 주유구용 커버(110)가 상기 연료주유구(121)를 개방할 수 있도록 그 주유구용 커버(110)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부재(160)와; 상기 모터(1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록킹부재(160)를 상기 록킹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는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케이스(140)에, 상기 모터(150)에 의해 상기 록킹부재(160)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선을 회전중심축선으로 하여 회전은 가능하고 그 회전중심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은 방지되게 설치되며,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부재(171);
    상기 케이스(140)에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171)의 관통공에 끼워지며, 그 회전부재(17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71)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록킹부재(160)의 끝단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일단부가 상기 록킹부재(160)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173);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171)의 외주에는 기어부(17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150)의 출력축에는 상기 회전부재(171)의 기어부(171a)에 맞물리는 구동기어(151)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부재(173)의 외주에는 나사부(173a)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슬라이딩부재(173)의 나사부(173a)가 상기 회전부재(171)의 관통공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160)가 상기 해제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173)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그 슬라이딩부재(173)의 일단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그 슬라이딩부재(173)의 타단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케이스(140)에 설치되며, 탄성변형 가능하며, 상기 모터(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이 관통하는 완충부재(18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0)는 브라켓(130)을 통해 상기 캡부재(120)에 지지되며,
    상기 브라켓(130)은 상기 캡부재(12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록킹부재(160)가 관통하는 제1프레임부(132)와, 상기 캡부재(120)를 관통하여 그 캡부재(12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140)가 설치되는 제2프레임부(134)를 가지며,
    상기 제1프레임부(132)의 외면에는 이중사출방식에 의해 상기 상기 브라켓(130)과 함께 성형되고 상기 캡부재(120)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실링부재(136)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173)의 일단부의 외주에는 환형의 결합홈부(17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부재(160)는 플라스틱소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록킹부재(160)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73)의 결합홈부(173b)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출부(16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
KR1020060115483A 2006-11-21 2006-11-21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 KR100828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483A KR100828419B1 (ko) 2006-11-21 2006-11-21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483A KR100828419B1 (ko) 2006-11-21 2006-11-21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419B1 true KR100828419B1 (ko) 2008-05-08

Family

ID=39650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483A KR100828419B1 (ko) 2006-11-21 2006-11-21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4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974B1 (ko) 2008-02-25 2009-05-28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
US8677690B2 (en) 2010-08-31 2014-03-25 Hyundai Motor Company Fuel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170019230A (ko) 2015-08-11 2017-02-2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개폐장치
JP2019044519A (ja) * 2017-09-05 2019-03-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リッドロック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755A (ko) * 1997-07-25 1999-02-18 양재신 자동차 주유구 도어의 잠금장치
KR20040001153A (ko) * 2002-06-27 2004-01-07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차량용 연료주입구의 도어록킹장치
KR20040041890A (ko) * 2002-11-12 2004-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필라도어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755A (ko) * 1997-07-25 1999-02-18 양재신 자동차 주유구 도어의 잠금장치
KR20040001153A (ko) * 2002-06-27 2004-01-07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차량용 연료주입구의 도어록킹장치
KR20040041890A (ko) * 2002-11-12 2004-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필라도어 록킹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974B1 (ko) 2008-02-25 2009-05-28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
US8677690B2 (en) 2010-08-31 2014-03-25 Hyundai Motor Company Fuel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170019230A (ko) 2015-08-11 2017-02-2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개폐장치
DE112016003657T5 (de) 2015-08-11 2018-05-09 Nifco Korea Inc. Vor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ßen einer Abdeckung für einen Einlass eines Kraftstofftanks eines Fahrzeugs
JP2019044519A (ja) * 2017-09-05 2019-03-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リッドロッ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7598B2 (en) Power striker with manual override
US10822843B2 (en) Motor vehicle lock
KR100828419B1 (ko)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
US11643851B2 (en) Motor vehicle lock
US20060175846A1 (en) Power linear displacement striker
EP4174260A1 (en) Panel lock
KR20170031883A (ko) 비상 해제기능을 갖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용 액츄에이터 장치
WO2019016969A1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
CN112459633B (zh) 车辆用的盖体开闭装置
WO2011125535A1 (ja) 車両用ロック装置、車両用リッドロック装置および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00899974B1 (ko)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
US9718350B2 (en) Structure of fuel door
KR101549932B1 (ko) 연료 필러 도어 개폐용 액츄에이터 장치
EP2386709B1 (en) Window with damper
US9822575B2 (en) Movable body driving device
WO2021106973A1 (ja) 進退移動装置
JP2019019581A (ja) 車両サイドドア用ラッチ装置
CN111836940B (zh) 用于机动车技术方面的应用的关闭装置
KR100820443B1 (ko) 버스의 도어 씰링장치
KR101123789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KR100707462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2664125B1 (ko)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KR200443736Y1 (ko) 자동차의 연료커버 록킹 어셈블리
CN116084785B (zh) 一种车门限位器、车门及车辆
KR20180106000A (ko) 플로어 힌지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