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125B1 -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 Google Patents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4125B1 KR102664125B1 KR1020190135557A KR20190135557A KR102664125B1 KR 102664125 B1 KR102664125 B1 KR 102664125B1 KR 1020190135557 A KR1020190135557 A KR 1020190135557A KR 20190135557 A KR20190135557 A KR 20190135557A KR 102664125 B1 KR102664125 B1 KR 1026641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er
- sealing
- housing
- rod
- fuel doo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28 fuel ta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725 thermoplas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47—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improving the sea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61—Details of the tank inlet comprising a filler pipe shutter, e.g. trap, door or flap for fuel inl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과 소통하는 개구를 가진 오프너 하우징; 상기 오프너 하우징의 수용공간의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이동가능한 오프너 로드; 및 상기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에 장착되고, 상기 오프너 하우징 및 상기 개구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구조의 직경이 상기 오프너 로드의 이동 및 정지에 의해 상기 오프너 로드의 반경방향을 따라 가변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프너 로드 및 실링구조 사이에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오프너 로드의 신속한 이동을 통해 연료도어의 개방(팝업)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는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연료탱크에 연료를 주입하는 연료주입장치(fuel filler apparatus)가 설치되어 있다.
연료주입장치는 연료탱크로부터 차량의 패널까지 연장된 퓨얼 필러 튜브(fuel filler tube)과, 퓨얼 필러 튜브의 개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퓨얼 캡과, 퓨얼 필러 튜브를 지지하도록 차량의 패널에 설치된 연료도어 하우징과, 연료도어 하우징을 개폐하는 연료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도어는 연료도어 오프너에 의해 연료도어 하우징을 개방 내지 폐쇄할 수 있다. 평상시에는 연료도어가 연료도어 오프너에 결합(lock)됨에 따라 연료도어는 연료도어 하우징을 폐쇄하고, 연료도어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연료도어 오프너로부터 해제됨에 따라 연료도어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연료도어 하우징을 개방(팝업)하도록 구성된다.
연료도어 오프너는 오프너 하우징과, 오프너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오프너 로드와, 오프너 로드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오프너 하우징은 오프너 로드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진다. 또한, 오프너 로드의 이동을 허용하는 개구를 가지고,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에는 수분, 이물질 등이 유입됨을 차단하는 실링구조가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실링구조는 러버 재질의 실링부재를 가지며, 실링부재는 오프너 로드 및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 사이를 밀봉한다. 그리고, 오프너 로드 및 실링부재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하기 위하여 실링부재의 내면에 그리스가 도포된다.
오프너 로드는 연료도어의 후크에 대해 이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록돌기를 가지며, 오프너 로드가 구동기구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오프너 로드의 록돌기가 연료도어의 후크에 이탈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연료도어는 연료도어 하우징을 개방 내지 폐쇄한다.
종래의 연료도어 오프너는 구동기구에 의해 오프너 로드가 이동할 때 오프너 로드와 실링부재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함에 따라 오프너 로드의 이동이 지연될 수 있으므로 연료도어의 개방(팝업)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고, 실링부재는 마찰력에 의해 심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오프너 하우징의 밀봉성이 낮아질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실링부재의 내면에 그리스가 도포됨에 따라 그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연료도어의 개폐를 위하여 오프너 로드가 이동할 때 오프너 로드 및 실링구조 사이에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오프너 로드의 신속한 이동을 통해 연료도어의 개방(팝업) 내지 폐쇄를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는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과 소통하는 개구를 가진 오프너 하우징; 상기 오프너 하우징의 수용공간의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이동가능한 오프너 로드; 및 상기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에 장착되고, 상기 오프너 하우징 및 상기 개구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구조의 직경이 상기 오프너 로드의 이동 및 정지에 의해 상기 오프너 로드의 반경방향을 따라 가변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싱기 실링구조는 상기 오프너 로드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복수의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실링부재는 상기 오프너 로드의 이동 및 정지에 의해 상기 오프너 로드의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프너 로드는 복수의 외주홈을 가지고, 각 실링부재는 복수의 외주홈 중에서 어느 한 외주홈에 선택적으로 치합가능한 치형을 가지며, 상기 치형은 상기 각 실링부재의 내면으로부터 내경방향을 따라 돌출할 수 있다.
상기 오프너 로드가 상기 오프너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실링부재는 상기 오프너 로드의 외주홈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고, 상기 오프너 로드가 정지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실링부재는 상기 오프너 로드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각 실링부재의 치형이 상기 오프너 로드의 외주홈에 치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구조는 복수의 실링부재에 개별적으로 고정된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와, 상기 복수의 실링부재 및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를 지지하는 실링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슬라이드 캐리어는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각 실링부재에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상호 대응하는 슬라이드 캐리어 및 실링부재는 단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는 복수의 스프링에 의해 상기 실링하우징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각 스프링은 각 슬라이드 캐리어의 외면 및 상기 실링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실링하우징은 복수의 가이드돌기를 가지고, 각 가이드돌기는 상기 실링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슬라이드 캐리어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각 스프링이 상기 각 가이드돌기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슬라이드 캐리어는 상기 각 가이드돌기를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홀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도어의 개폐를 위하여 오프너 로드가 오프너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경우에는 실링구조의 실링부재들이 오프너 로드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함으로써 오프너 로드 및 실링부재들 사이의 마찰력을 대폭 저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연료도어의 개폐를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연료도어의 개방 내지 폐쇄상태를 유지하고자 오프너 로드가 구동기구에 의해 정지될 경우에는 실링구조의 실링부재들이 오프너 로드를 향해 이동하고, 이에 각 실링부재의 치형이 오프너 로드의 외주홈에 기밀하게 치합됨으로써 오프너 로드 및 실링부재들 사이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링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복수의 실링부재가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의 내경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실링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복수의 실링부재가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의 외경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의 실링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링구조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절개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의 실링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복수의 실링부재가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의 내경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실링구조에서 복수의 실링부재가 생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복수의 슬라이더 캐리어가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의 내경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의 실링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복수의 실링부재가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의 외경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실링구조에서 복수의 실링부재가 생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복수의 슬라이더 캐리어가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의 외경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실링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복수의 실링부재가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의 내경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실링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복수의 실링부재가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의 외경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의 실링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링구조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절개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의 실링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복수의 실링부재가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의 내경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실링구조에서 복수의 실링부재가 생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복수의 슬라이더 캐리어가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의 내경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의 실링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복수의 실링부재가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의 외경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실링구조에서 복수의 실링부재가 생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복수의 슬라이더 캐리어가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의 외경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10)는 오프너 하우징(11)과, 오프너 하우징(11)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오프너 로드(12)와, 오프너 로드(12)를 이동시키는 구동기구(13)를 포함한다.
오프너 하우징(11)은 연료도어 하우징(3)에 장착될 수 있고, 특히 오프너 하우징(11)의 상단이 연료도어 하우징(3)의 장착개구(4)에 결합될 수 있다. 연료도어(2)가 연료도어 하우징(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료도어(2)는 오프너 로드(12)가 이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5)를 가질 수 있고, 후크(5)는 오프너 하우징(11)와 인접한 위치의 연료도어(2)의 저면으로부터 오프너 하우징(11)을 향해 돌출할 수 있다.
오프너 하우징(11)은 이동가능한 오프너 로드(12)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4)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오프너 하우징(11)은 오프너 로드의 이동을 허용하는 개구(15)를 가지고, 개구(15)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오프너 하우징(11)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다. 오프너 하우징(11)은 그 상단에 형성된 넥(17, neck)을 가질 수 있고, 넥(17)은 개구(15)를 한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넥(17)이 개구(15)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오프너 로드(12)는 연료도어(2)의 후크(5)에 대해 이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록돌기(16)를 가질 수 있고, 록돌기(16)는 오프너 로드(12)의 상단으로부터 연료도어(2)의 후크(5)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오프너 로드(12)는 구동기구(13)에 의해 오프너 하우징(11)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프너 로드(12)는 구동기구(13)에 의해 오프너 하우징(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오프너 로드(12)는 오프너 하우징(11)의 하부방향(도 1의 화살표 D방향) 또는 상부방향(도 1의 화살표 U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오프너 로드(12)의 하부 방향 이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오프너 로드(12)가 구동기구(13)에 의해 오프너 하우징(11)의 수용공간(14)을 향해 이동함(도 1의 화살표 D 방향)으로써 오프너 로드(12)의 대부분은 오프너 하우징(11)의 수용공간(14)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오프너 로드(12)의 록돌기(16)가 연료도어(2)의 후크(5)와 결합되면 연료도어(2)는 연료도어 하우징(3)을 폐쇄할 수 있다.
오프너 로드(12)의 상부 방향 이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오프너 로드(12)가 구동기구(13)에 의해 오프너 하우징(11)의 수용공간(14)의 외측을 향해 이동함(도 1의 화살표 U방향)으로써 오프너 로드(12)의 대부분은 오프너 하우징(11)의 수용공간(14)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고, 이에 오프너 로드(12)의 록돌기(16)가 연료도어(2)의 후크(5)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연료도어(2)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연료도어 하우징(3)을 개방(팝업)할 수 있다.
구동기구(13)는 기계식 작동구조 또는 전자식 작동구조 등을 통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계식 작동구조는 운전석에 마련된 작동버튼이 케이블 등을 통해 구동기구(13)에 연결됨으로써 케이블이 작동버튼의 조작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구동기구(13)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식 작동구조는 솔레노이드나 모터 등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기구(13)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기구(13)는 오프너 로드(12)를 이동시키거나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프너 하우징(11)의 개구(15)에는 수분, 이물질 등이 유입됨을 차단하는 실링구조(20)가 장착된다. 실링구조(20)는 오프너 로드(12) 및 오프너 하우징(11)의 개구(15) 사이를 밀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링구조(20)는 그 직경이 오프너 로드(12)의 이동 및 정지에 의해 오프너 로드(12)의 반경방향을 따라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오프너 로드(12)의 이동 시에 오프너 로드(12) 및 실링구조(20)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이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구조(20)는 오프너 로드(12)의 이동 및 정지에 의해 오프너 로드(1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복수의 실링부재(21)와, 복수의 실링부재(21)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22)와, 복수의 실링부재(21) 및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22)를 지지하는 실링하우징(2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실링부재(21)는 오프너 로드(12)를 환형으로 둘러싸도록 오프너 로드(12)의 둘레에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실링부재(21)는 오프너 로드(12)의 이동 및 정지에 의해 오프너 로드(12)의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실링부재(21)는 오프너 하우징(11)의 개구(15)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환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실링부재(21)는 동일한 반경을 가진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복수의 실링부재(21)가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될 경우에는 오프너 로드(12)의 둘레에서 동일한 반경을 가진 원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각 실링부재(21)는 도 5, 도 6, 도 7, 도 9와 같이 사분원 형상 등과 같은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실링부재(21)는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등과 같은 러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오프너 로드(12)는 적어도 일부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의 외주홈(31)을 가질 수 있고, 복수의 외주홈(31)은 오프너 로드(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각 실링부재(21)는 외주홈(31)들 중에서 어느 한 외주홈(31)에 선택적으로 치합가능한 치형(41)를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치형(41)은 각 실링부재(21)의 내면으로부터 내경방향을 따라 돌출할 수 있다. 특히, 치형(41)은 각 실링부재(21)의 원호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와 같이, 오프너 로드(12)가 정지함에 따라 복수의 실링부재(21)는 오프너 로드(12)의 외주홈(31)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각 실링부재(21)의 치형(41)이 오프너 로드(12)의 어느 한 외주홈(31)에 기밀하게 치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3과 같이 오프너 로드(12)가 오프너 하우징(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실링부재(21)는 오프너 로드(12)의 외주홈(31)으로부터 외경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오프너 로드(12)가 오프너 하우징(11)의 수용공간(14)의 내측을 향해 이동(화살표 D 방향)하거나 오프너 하우징(11)의 수용공간(14)의 외측을 향해 이동(화살표 U방향)할 때, 각 실링부재(21)의 치형(41)이 오프너 로드(12)의 외주홈(31)로부터 외경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각 실링부재(21)는 오프너 로드(12)의 이동에 의해 오프너 로드(12)의 반경방향(또는 오프너 하우징(11)의 개구(15)의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링구조(20)의 직경은 오프너 로드(12)의 이동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즉, 오프너 로드(12)가 오프너 하우징(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실링부재(21)는 오프너 로드(12)의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링구조(20)의 직경이 가변될 수 있다. 특히, 오프너 로드(12)가 이동할 때, 각 실링부재(21)의 치형(41)이 오프너 로드(12)의 외주홈(3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실링부재(21)들은 오프너 로드(12)의 반경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외주홈(31)은 하나 이상의 제1상측경사면(31a) 및 하나 이상의 제1하측경사면(31b)을 가질 수 있고, 치형(41)은 하나 이상의 제1상측경사면(31a)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2상측경사면(41a) 및 하나 이상의 제1하측경사면(31b)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2하측경사면(41b)을 가질 수 있다. 치형(41)의 제2상측경사면(41a)은 각 외주홈(31)의 제1상측경사면(31a)에 대해 슬라이드되거나 치형(41)의 제2하측경사면(41b)은 각 외주홈(31)의 제1하측경사면(31b)에 대해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오프너 로드(12)가 오프너 하우징(11)의 수용공간(14)의 내측을 향해 이동(도 3의 화살표 D 방향)하거나 오프너 하우징(11)의 수용공간(14)의 외측을 향해 이동(도 3의 화살표 U방향)할 때, 각 실링부재(21)의 치형(41)의 제2상측경사면(41a)이 오프너 로드(12)의 각 외주홈(31)의 제1상측경사면(31a)을 따라 이동하거나 각 실링부재(21)의 치형(41)의 제2하측경사면(41b)이 오프너 로드(12)의 각 외주홈(31)의 제1하측경사면(31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실링부재(21)가 오프너 로드(12)에 대해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오프너 로드(12) 및 실링부재(21)들 사이의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오프너 로드(12)의 저마찰 이동구조가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22)는 오프너 하우징(11)의 개구(15)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환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22)는 복수의 실링부재(21)에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각 슬라이드 캐리어(22)는 각 실링부재(21)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각 슬라이드 캐리어(22)는 도 5, 도 6, 도 8, 도 10와 같이 각 실링부재(21)에 부합하는 사분원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슬라이드 캐리어(22)는 폴리프로필렌(PP)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슬라이드 캐리어(22)는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각 실링부재(21)에 일체형으로 결합됨으로써 상호 대응하는 각 슬라이드 캐리어(22) 및 각 실링부재(21)는 단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실링부재(21) 및 이에 결합된 슬라이드 캐리어(22)는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각 실링부재(21)는 결합홈(25)을 가질 수 있고, 각 슬라이드 캐리어(22)는 각 실링부재(21)의 결합홈(2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6)를 가질 수 있다. 각 슬라이드 캐리어(22)의 결합돌기(26)가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각 실링부재(21)의 결합홈(25)에 박힘(embedded)으로써 각 슬라이드 캐리어(22) 및 각 실링부재(21)에 단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실링하우징(23)은 오프너 하우징(11)의 넥(17)에 장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오프너 하우징(11)의 넥(17)은 그 상단으로부터 외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51)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오프너 하우징(11)의 넥(17)은 플랜지(51)에 의해 한정된 끼움홈(53)을 가질 수 있다. 실링하우징(23)은 그 하단에 끼움돌기(52)를 가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하우징(23)의 끼움돌기(52)가 오프너 하우징(11)의 넥(17)의 끼움홈(53)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실링하우징(23)은 오프너 하우징(11)의 넥(17)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실링하우징(23)는 그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돌기(27)를 가질 수 있고, 각 가이드돌기(27)는 실링하우징(23)의 내면으로부터 슬라이드 캐리어(2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각 슬라이드 캐리어(22)는 수용홀(29)을 가질 수 있고, 수용홀(29)은 가이드돌기(27)를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슬라이드 캐리어(22)가 이동함에 따라 각 가이드돌기(27)는 수용홀(29)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복수의 스프링(28)이 각 가이드돌기(27)의 둘레에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각 스프링(28)은 각 가이드돌기(27)를 따라 연장된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각 스프링(28)이 실링하우징(23)의 내면 및 각 슬라이드 캐리어(22)의 외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22)는 복수의 스프링(28)을 통해 실링하우징(23)의 내면에 대해 개별적이고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오프너 로드(12)가 정지된 조건(외력이 각 슬라이드 캐리어(22)에 인가되지 않는 조건)에서, 도 2와 같이 각 스프링(28)이 신장됨으로써 각 슬라이드 캐리어(22)는 각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 실링하우징(23)의 중심을 항해 탄성적으로 편향(elastically biased)될 수 있다. 오프너 로드(12)가 이동하는 조건에서, 도 3과 같이 각 슬라이드 캐리어(22)가 오프너 하우징(11)의 개구(15)의 외경방향(OD)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스프링(28)이 압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연료도어(2)의 개폐를 위하여 오프너 로드(12)가 오프너 하우징(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오프너 로드(12)가 연료도어(2)를 폐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오프너 하우징(11)의 수용공간(14)의 내측을 향해(화살표 D방향) 할 수 있고, 오프너 로드(12)가 연료도어(2)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오프너 하우징(11)의 수용공간(14)의 외측을 향해 이동(화살표 U방향)할 수 있다. 오프너 로드(12)가 오프너 하우징(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조건(외력이 각 슬라이드 캐리어(22)에 인가되는 조건)에서, 각 실링부재(21)의 치형(41)은 오프너 로드(12)의 외주홈(31)을 따라 오프너 로드(12)의 외경방향(OD)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각 실링부재(21)의 치형(41)이 오프너 로드(12)의 외주홈(3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함에 따라 상호 결합된 실링부재(21) 및 슬라이드 캐리어(22)는 오프너 로드(12)의 외경방향(OD)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인접한 슬라이드 캐리어(22)들의 측면들이 서로 간에 이격됨(도 10 참조)과 동시에 인접한 실링부재(21)들의 측면들이 서로 간에 이격(도 9 참조)됨으로써 복수의 실링부재(21) 및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22)가 개구(15)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프너 로드(12)가 오프너 하우징(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복수의 실링부재(21) 및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22)가 오프너 로드(12)의 외경방향(OD)으로 이동함으로써 오프너 로드(12) 및 실링구조(20) 사이의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저감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오프너 로드(12)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연료도어(2)의 개방(팝업)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오프너 로드(12)가 정지될 때 외력이 각 슬라이드 캐리어(22)에 인가되지 않으며, 이에 각 스프링(28)이 신장됨으로써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22)는 각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 개구(15)의 내경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호 결합된 슬라이드 캐리어(22) 및 실링부재(21)가 오프너 로드(12)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각 실링부재(21)의 치형(41)은 오프너 로드(12)의 외주홈(31)에 치합될 수 있으며, 인접한 슬라이드 캐리어(22)들의 측면들이 서로간에 밀착됨(도 8 참조)과 동시에 인접한 실링부재(21)들의 측면들이 서로 간에 밀착(도 7 참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프너 로드(12)의 정지 시에 복수의 실링부재(21)가 오프너 로드(12)의 외주홈(31)에 치합되고, 복수의 실링부재(21)가 오프너 로드(12)의 외주홈(31)의 둘레에 기밀하게 밀착됨으로써 오프너 로드(12) 및 실링부재(21)들 사이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연료도어(2)의 개폐를 위하여 오프너 로드(12)가 오프너 하우징(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경우에는 실링구조(20)의 실링부재(21)들이 오프너 로드(12)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함으로써 오프너 로드(12) 및 실링부재(21)들 사이의 마찰력을 대폭 저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연료도어(2)의 개폐를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연료도어(2)의 개방 내지 폐쇄상태를 유지하고자 오프너 로드(12)가 구동기구(13)에 의해 정지될 경우에는 실링구조(20)의 실링부재(21)들이 오프너 로드(12)를 향해 이동하고, 이에 각 실링부재(21)의 치형(41)이 오프너 로드(12)의 외주홈(31)에 기밀하게 치합됨으로써 오프너 로드(12) 및 실링부재(21)들 사이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연료도어 3: 연료도어 하우징
4: 장착개구 5: 후크
10: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11: 오프너 하우징
12: 오프너 로드 13: 구동기구
14: 수용공간 15: 개구
16: 록돌기 17: 넥
20: 실링구조 21: 실링부재
22: 슬라이드 캐리어 23: 실링하우징
25: 결합홈 26: 결합돌기
27: 가이드돌기 28: 스프링
31: 외주홈 41: 치형
4: 장착개구 5: 후크
10: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11: 오프너 하우징
12: 오프너 로드 13: 구동기구
14: 수용공간 15: 개구
16: 록돌기 17: 넥
20: 실링구조 21: 실링부재
22: 슬라이드 캐리어 23: 실링하우징
25: 결합홈 26: 결합돌기
27: 가이드돌기 28: 스프링
31: 외주홈 41: 치형
Claims (10)
-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과 소통하는 개구를 가진 오프너 하우징;
상기 오프너 하우징의 수용공간의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이동가능한 오프너 로드; 및
상기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에 장착되고, 상기 오프너 하우징 및 상기 개구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구조의 직경이 상기 오프너 로드의 이동 및 정지에 의해 상기 오프너 로드의 반경방향을 따라 가변가능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 청구항 1에 있어서,
싱기 실링구조는 상기 오프너 로드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복수의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실링부재는 상기 오프너 로드의 이동 및 정지에 의해 상기 오프너 로드의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프너 로드는 복수의 외주홈을 가지고,
각 실링부재는 복수의 외주홈 중에서 어느 한 외주홈에 선택적으로 치합가능한 치형을 가지며,
상기 치형은 상기 각 실링부재의 내면으로부터 내경방향을 따라 돌출한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프너 로드가 상기 오프너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실링부재는 상기 오프너 로드의 외주홈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고,
상기 오프너 로드가 정지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실링부재는 상기 오프너 로드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각 실링부재의 치형이 상기 오프너 로드의 외주홈에 치합되도록 구성된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링구조는 복수의 실링부재에 개별적으로 고정된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와, 상기 복수의 실링부재 및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를 지지하는 실링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 청구항 5에 있어서,
각 슬라이드 캐리어는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각 실링부재에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상호 대응하는 슬라이드 캐리어 및 실링부재는 단일체로 구성되는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는 복수의 스프링에 의해 상기 실링하우징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 청구항 7에 있어서,
각 스프링은 각 슬라이드 캐리어의 외면 및 상기 실링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개재되는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실링하우징은 복수의 가이드돌기를 가지고, 각 가이드돌기는 상기 실링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슬라이드 캐리어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각 스프링이 상기 각 가이드돌기의 둘레에 배치되는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각 슬라이드 캐리어는 상기 각 가이드돌기를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홀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5557A KR102664125B1 (ko) | 2019-10-29 | 2019-10-29 |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5557A KR102664125B1 (ko) | 2019-10-29 | 2019-10-29 |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0936A KR20210050936A (ko) | 2021-05-10 |
KR102664125B1 true KR102664125B1 (ko) | 2024-05-09 |
Family
ID=75917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5557A KR102664125B1 (ko) | 2019-10-29 | 2019-10-29 |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412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5503B1 (ko) * | 2022-09-13 | 2024-06-17 |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 연료도어 개폐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2040329U (zh) | 2011-05-18 | 2011-11-16 | 南京凯盛国际工程有限公司 | 一种滑动密封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96225B1 (ko) * | 2018-03-12 | 2023-11-0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연료도어 개폐장치 |
-
2019
- 2019-10-29 KR KR1020190135557A patent/KR10266412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2040329U (zh) | 2011-05-18 | 2011-11-16 | 南京凯盛国际工程有限公司 | 一种滑动密封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0936A (ko) | 2021-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72447B2 (en) | Oute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 |
US10919382B2 (en) | Rotary type extension/retraction device | |
KR102039079B1 (ko) | 작동 장치 | |
JP2695021B2 (ja) | 家具用蝶番 | |
US7420136B2 (en) | Compression ring button assembly | |
KR102664125B1 (ko) |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 |
US7159840B2 (en) | Solenoid having reduced operating noise | |
JP2009090975A (ja) | ルーフ開放構造 | |
KR102181357B1 (ko) | 주사기 | |
US10533352B2 (en) | Push to release fuel door operator assembly | |
US20060072965A1 (en) | Coupling device for a damper | |
US11162283B2 (en) | Vehicle lid lock device | |
US9592857B2 (en) | Closing plug for an opening in a body structure of an automobile | |
CN113853470B (zh) | 阻尼器装置 | |
CA2891658A1 (en) | Hinge device | |
KR20120049080A (ko) | 자동차의 연료 도어 개폐장치 | |
KR100899974B1 (ko) | 자동차의 주유구용 커버 록킹장치 | |
KR101232844B1 (ko) | 에어 댐퍼 | |
EP1717502A1 (fr) |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pièce de traversée d'un faisceau de cables électriques dans un tablier de véhicule automobile, et pièce de traversée ainsi fabriquée | |
JP2014105730A (ja) | クッションクリップ | |
US20070145653A1 (en) | Air damper | |
CN205371434U (zh) | 空气阻尼器 | |
CA2994843C (en) | Switch | |
KR101644134B1 (ko) | 주유구 개폐장치 | |
KR200476294Y1 (ko) | 차량용 암레스트 리드의 스토퍼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