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357B1 - 주사기 - Google Patents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357B1
KR102181357B1 KR1020157007637A KR20157007637A KR102181357B1 KR 102181357 B1 KR102181357 B1 KR 102181357B1 KR 1020157007637 A KR1020157007637 A KR 1020157007637A KR 20157007637 A KR20157007637 A KR 20157007637A KR 102181357 B1 KR102181357 B1 KR 102181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cylinder
elastic
cylindrical body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9570A (ko
Inventor
다이지 호리타
잇페이 마쓰모토
겐스케 다니구치
Original Assignee
타이세이카코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세이카코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타이세이카코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9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13Caps placed axially onto the needle, e.g. equipped with finger protection gu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61M5/3204Needle cap remover, i.e. devices to dislodge protection cover from needle or needle hub, e.g. deshiel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03Leak prevention means for distal end of syringes,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 A61M2005/3107Leak prevention means for distal end of syringes,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for needles
    • A61M2005/3109Caps sealing the needle bore by use of, e.g. air-hardening adhesive, elastomer or epoxy res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13Caps placed axially onto the needle, e.g. equipped with finger protection guards
    • A61M2005/3215Tools enabling the cap plac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캡이 주사기 본체에 대하여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캡은, 주사침을 내부에 도입하고 또한 유지부를 밀봉하기 위한 탄성 통체와, 탄성 통체의 주위를 덮으면서 이러한 탄성 통체를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외통체를 구비한다. 외통체는, 주사기 본체의 유지부보다 크게 구성된 개구부와, 주사침이 탄성 통체의 내부에 도입될 때, 주사기 본체의 일부에 접촉하여, 주사침을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가진다.

Description

주사기{SYRINGE}
본 발명은, 주사침을 덮는 캡을 구비하는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일본 특허출원 제2012-235668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일본 특허출원 제2012-235668호는 본원 명세서 포함되어 원용된다.
소정의 주사액이 소정의 양만큼 미리 충전된 프리필드 주사기(pre-filled syringe)는, 소정의 주사액을 과오 없이 소정의 양만큼 정확하게 투여할 수 있어, 많은 의료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프리필드 주사기로서, 주사기 본체(배럴)의 선단부에 미리 주사침이 연결되어 고정된, 이른바 주사침 부착 프리필드 주사기도 많은 의료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주사침 부착 프리필드 주사기에는, 주사침을 보호하기 위해 캡(cap)이 사용된다. 이러한 캡(침 실드 조립체)은, 예를 들면,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외층부(실드, shield)와 탄성을 가지는 내층부(시스, sheath)의 2층 구조를 가진다(예로서 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캡은, 외층부의 내면 전체에 내층부가 형성되어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1: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05-032069호
종래의 캡은, 주사침을 캡에 삽입할 때, 캡의 축심(軸心) 방향에 대하여 주사침이 경사지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캡은, 주사기 본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로 장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캡이 주사기 본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장착되어 버리면, 예를 들어, 주사기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주사기를 수용·반송하기 위한 네스트(nest)에 수용되기 어려워진다. 더욱이, 주사기가 파손될 가능성도 생긴다. 또한, 약액을 일정 속도로 자동적으로 주사할 수 있는 오토 인젝터(auto injector, 자동 주사기)라 일컬어지는 장치에 주사기가 사용되는 경우, 캡이 오토 인젝터에 적절하게 장착되지 않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주사침이 경사짐으로써 내층부를 찌르거나, 내층부를 찢거나 하여, 밀봉성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캡이 주사기 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사침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가지는 주사기 본체와, 주사침을 덮는 캡을 구비하는 주사기에 있어서, 캡은, 주사침을 내부에 도입함과 동시에 유지부를 밀봉(seal)하기 위한 통형의 탄성 통체와, 탄성 통체의 주위를 덮는 동시에, 이러한 탄성 통체를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외통체를 구비하고, 외통체는, 주사기 본체의 유지부보다 크게 구성된 개구부와, 주사침이 탄성 통체의 내부에 도입될 때, 주사기 본체의 일부에 접촉하여, 주사침을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에 의하면, 안내부는 주사기 본체의 일부에 접촉하기 위한 돌기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에 의하면, 주사기 본체는 안내부에 접촉하기 위한 돌기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에 의하면, 안내부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주사기 본체의 일부의 외면은 안내부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에 의하면, 외통체는, 일단부에 상기 개구부를 가지고, 타단부에 폐색부를 가진다. 외통체는, 폐색부로부터 통심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이 돌출부로부터 이격된 외통체의 내면의 소정 위치에 탄성 통체를 계지하는 계지 돌기부를 가진다. 외통체는, 돌출부와 계지 돌기부에 의해 탄성 통체를 협지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와 계지 돌기부의 간격은, 통형의 탄성 통체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에 의하면, 주사기 본체는, 시클로올레핀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의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의 제7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위 실시 형태에서의 외통체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의 제8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의 제9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의 제10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는, 주사기 본체(1)와 주사기 본체(1)에 장착되는 캡(2)을 갖는다. 주사기 본체(1)는, 유리, 또는 투명한 합성 수지에 의해 통형으로 형성된다. 주사기 본체(1)는, 폴리올레핀(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COC) 및 시클로올레핀폴리머(COP) 등의 환형 폴리올레핀을 포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시클로올레핀폴리머에 의해 형성된다. 시클로올레핀폴리머가, 치수 안정성이 높고, 수축율이 작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형성되는 주사기 본체(1)는, 성형 정밀도가 양호하게 된다.
주사기 본체(1)는, 통형의 보디부(3), 주사침(4), 주사침(4)을 유지하는 유지부(5) 및 유지부(5)의 주위에 형성되는 통부(6)를 갖는다.
보디부(3)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원통체로서 구성된다. 보디부(3)의 일단부는 폐색되고, 유지부(5)가 이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보디부(3)의 타단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로부터 플런저(plunger)(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될 수 있다.
유지부(5)는, 보디부(3)의 일단부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부이다. 유지부(5)는, 보디부(3)의 중심축을 따라 돌출되어 있다. 유지부(5)는,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유지부(5)의 내측에는, 주사침(4)이 삽입되어 있다.
통부(6)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부(6)의 내경(內徑)은, 유지부(5)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통부(6)는, 유지부(5)를 덮도록, 유지부(5)와 동심(同心)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통부(6)의 길이는, 유지부(5)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지부(5)는, 그 선단부가 통부(6)의 선단부보다 돌출해 있다.
캡(2)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침(4)을 내부에 도입하고 또한 유지부(5)를 밀봉하기 위한 탄성 통체(11)와, 탄성 통체(11)의 주위를 덮으면서 이러한 탄성 통체(11)를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외통체(12)를 구비한다.
탄성 통체(11)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 재료에 의해 통형으로 형성된다. 탄성 통체(11)는, 일단부에 개구부(13)를 가지고, 타단부에 폐색부(14)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탄성 통체(11)에는, 주사침(4)이 삽입되는 삽입 오목부(15)가 형성된다. 또한, 탄성 통체(11)는, 폐색부(14) 측 부분의 외경이 소경(小徑)으로 되고, 개구부(13) 측 부분의 그 외경이 대경(大徑)으로 되어 있다.
외통체(12)는, 탄성 통체(11)보다 경도가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외통체(12)는, 예를 들면 투명한 합성 수지에 의해 통형으로 형성된다. 외통체(12)는, 내주면이, 단면(斷面)으로 볼 때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사기 본체(1)의 외주면은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통체(12)의 전체 길이는, 탄성 통체(11)의 전체 길이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외통체(12)는, 일단부에 개구부(16)를 가지고, 타단부에 폐색부(17)를 가진다. 외통체(12)의 개구부(16)의 구경은, 주사기 본체(1)의 유지부(5)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외통체(12)의 개구부(16)의 구경(口徑)은, 주사기 본체(1)의 일부인 통부(6)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외통체(12)는, 폐색부(17) 측 부분이 소경으로 구성되며, 개구부(16) 측 부분이 대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통체(12)는, 탄성 통체(11)를 계지(係止)하는 계지 돌기부(18)와, 주사침(4)이 탄성 통체(11)의 내부에 도입될 때, 주사기 본체(1)의 일부에 접촉하여, 주사침(4)을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19)를 갖는다.
계지 돌기부(18)는, 외통체(12)의 중도부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계지 돌기부(18)는, 외통체(12)의 내면으로부터, 외통체(12)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계지 돌기부(18)는, 외통체(12)의 내주 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통체(12)는, 폐색부(17)의 내면과 계지 돌기부(18)에 의해 탄성 통체(11)를 협지하도록 구성된다.
탄성 통체(11)는, 외통체(12)의 폐색부(17)로 계지 돌기부(18)에 의해 뽑혀져 빠지지 않도록 유지된다. 이 유지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탄성 통체(11)가 60N의 힘으로 끌어 당겨지더라도, 탄성 통체(11)가 외통체(12)로부터 뽑혀져 빠지지 않도록 하는 강도(접속 강도)가 필요하다.
안내부(19)는, 외통체(12)의 개구부(16)로부터 계지 돌기부(18)까지의 사이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외통체(12)의 전체 길이가 탄성 통체(11)의 전체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통체(11)가 외통체(12)의 안쪽부에 삽입되면, 외통체(12)에는, 탄성 통체(11)와 중첩되지 않는 부분이 생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부분이 안내부(19)로서 기능한다.
안내부(19)는,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안내부(19)는, 외통체(12)와 동심형으로 구성되며, 또한 외통체(12)의 내부에 유지되는 탄성 통체(11)와 동심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내부(19)의 내면은, 주사기에 형성되는 통부(6)의 외면에 접촉한다. 안내부(19)의 통심 방향으로의 길이는, 주사기 본체(1)의 유지부(5)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안내부(19)의 내경은, 주사기 본체(1)의 통부(6)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하, 주사기 본체(1)로의 캡(2)의 장착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캡(2)이 주사기 본체(1)에 장착되는 경우, 최초에, 주사기 본체(1)의 주사침(4)이 외통체(11)의 개구부(16)로부터 삽입된다. 이후에, 주사침(4)은, 탄성 통체(11)의 개구부(13)로부터 탄성 통체(11)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후에, 주사기 본체(1)의 유지부(5)가 캡(2)의 외통체(12)의 개구부(16)에서 내부로 삽입된다. 그 직후, 주사기 본체(1)의 통부(6)가 캡(2)의 외통체(12)의 개구부(16)에서 내부로 삽입된다. 이 때, 주사기 본체(1)의 통부(6)의 외면은, 안내부(19)의 내면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캡(2)이 가압되면, 주사기 본체(1)의 통부(6)는, 안내부(19)에 안내되면서 직선적으로 캡(2)의 안쪽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안내부(19)와 접촉하는 주사기 본체(1)의 통부(6)의 접촉 면적이 증대된다. 그 후에, 주사침(4)은, 탄성 통체(11)의 삽입 오목부(15)의 바닥면에 꽂힌다. 이 때, 안내부(19)가 주사기 본체(1)를 안내하고 있으므로, 주사침(4)은, 캡(2)의 축심 방향을 따라, 경사지지 않게, 삽입 오목부(15)의 바닥면에 박힌다.
그 후, 유지부(5)의 선단부가 탄성 통체(11)의 개구부(13)에 삽입된다. 이 때, 유지부(5)의 선단부의 외주면은, 탄성 통체(11)의 내면에 접촉한다. 유지부(5)의 선단부는, 탄성 통체(11)에 의해 밀봉(seal)된다. 이에 따라, 주사침(4)은 캡(2)에 피복된다. 이상에 의하여, 캡(2)은 주사기 본체(1)에 경사지지 않게 장착된다.
이상 설명한 주사기에 의하면, 외통체(12)에 형성되는 안내부(19)가, 주사기 본체(1)의 일부에 접촉함으로써, 주사침(4)을 비스듬히 경사지지 않게 하여 탄성 통체(11)의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이로써, 주사기 본체(1)에 대하여 캡(2)이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안내부(19)의 내면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복수의 돌기부는, 안내부(19)의 내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돌기부는, 안내부(19)의 통심 방향을 따라 긴 리브(rib)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안내부(19)의 내면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안내부(19)의 내면과 주사기 본체(1)의 통부(6)의 외면이 면접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안내부(19)의 내면과 통부(6)의 외면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부(19)와 통부(6)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줄일 수 있고, 이로써, 캡(2)을 주사기 본체(1)에 장착하기가 쉬워진다.
주사기 본체(1)에 형성되는 통부(6)의 외면에 상기와 마찬가지의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돌기부는, 통부(6)의 외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돌기부는, 통부(6)의 통심 방향을 따라 긴 리브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통부(6)의 외면에 복수의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안내부(19)의 내면과 주사기 본체(1)의 통부(6)의 외면이 면접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안내부(19)의 내면과 통부(6)의 외면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부(19)와 통부(6)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이로써, 캡(2)을 주사기 본체(1)에 장착하기가 쉬워진다. 이와 같은 돌기부는, 안내부(19)로 통부(6)의 양쪽에 형성될 수도 있고, 안내부(19)와 통부(6)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캡(2)의 외통체(12)의 형상이 도 1의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통체(12)의 폐색부(17)에 돌출부(20)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0)는, 외통체(12)의 내면의 소정 위치, 즉, 외통체(12)의 통심(축심)에 일치하도록 외통체(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20)는, 외통체(12)의 통심 방향 내측, 즉, 외통체(12)의 폐색부(17)로부터 개구부(16)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외통체(12)는, 돌출부(20)와 계지 돌기부(18)에 의해 탄성 통체(11)를 협지하여 유지한다.
돌출부(20)와 계지 돌기부(18)의 간격은, 통형의 탄성 통체(11)의 길이(전체 길이)보다 짧게 설정된다. 따라서, 탄성 통체(11)는, 돌출부(20)와 계지 돌기부(18)에 의해 협지되었을 때, 그 축심 방향을 따라 압축된다. 이 때, 탄성 통체(11)는, 직경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탄성 변형된다. 이로써, 탄성 통체(11)는, 외통체(12)의 내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밀착에 의한 마찰력과 계지 돌기부(18)에 의하여, 탄성 통체(11)는, 외통체(12)로부터 뽑혀져 빠지지 않도록, 외통체(12)의 내부에서 유지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와 제1 실시 형태에 공통되는 요소에는, 공통의 부호가 붙여져 있다(이하의 실시 형태에서 동일함).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캡(2)의 외통체(12)의 형상이 제2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통체(12)가, 주사기 본체(1)에 형성되는 통부(6)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통체(12)의 안내부(19)의 외경은, 주사기 본체(1)의 통부(6)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안내부(19)의 외면(외주면)이 주사기 본체(1)에 형성되는 통부(6)의 내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캡(2)은, 주사침(4)을 탄성 통체(11) 안으로 경사지지 않게 안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사기 본체(1)의 형상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캡(2)의 안내부(19)에 접촉하는 통부(6)가 주사기 본체(1)에 형성된 예를 나타냈으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부(6)가 주사기 본체(1)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내부(19)의 내경은, 주사기 본체(1)의 보디부(3)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안내부(19)는, 주사기 본체(1)의 보디부(3)의 외면에 접촉함으로써, 주사침(4)을 경사지지 않게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2)은 경사지지 않게 주사기 본체(1)에 장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캡(2)의 외통체(12) 및 탄성 통체(11)의 형상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 통체(11)가, 선단부의 꼭대기면(頂面)에 오목부(21)를 가진다. 외통체(12)는, 이 오목부(21)의 에지부를 가압하기 위한 돌출부(20)를 가진다. 이 돌출부(20)와 외통체(12)의 내면에 형성되는 계지 돌기부(18)와의 간격은, 탄성 통체(11)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캡(2)은, 탄성 통체(11)가 외통체(12)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외통체(12)의 돌출부(20)가 탄성 통체(11)의 오목부(21)의 에지부를 압압(押壓)한다. 이로써,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는 탄성 통체(11)의 단부는, 그 직경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변형되고, 외통체(12)의 내면에 밀착된다. 이것에 의해 생기는 마찰력에 의하여, 탄성 통체(11)는 외통체(12) 내에 견고하게 유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의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 통체(11) 및 외통체(12)의 형상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탄성 통체(11)의 중도부 외면에 환형의 오목부(홈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외통체(12)에는, 이 오목부(23)에 감합(嵌合)하는 돌기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24)는, 외통체(12)의 내면의 주위 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통체(11)는, 오목부(23)에 외통체(12)의 돌기부(24)가 감합하는 것과 계지 돌기부(18)에 의하여, 외통체(12) 내에 유지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의 제7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캡(2)의 형상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 통체(11)는, 그 중도부의 외면에 오목부(25)를 갖는다. 또한, 탄성 통체(11)는, 이 오목부(25)보다 선단측의 부분이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통체(12)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폐색부(17)를 갖지 않는다. 외통체(12)는, 탄성 통체(11)의 오목부(25)에 감합하여 탄성 통체(11)를 계지하기 위한 돌기부(26)를 갖는다. 돌기부(26)는, 탄성 통체(11)의 오목부(25)를 계지하기 위한 계지면(27)과, 이 계지면(27)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경사면(28)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캡(2)에서는, 탄성 통체(11)의 일부가 테이퍼형으로 구성되어, 외통체(12)의 돌기부(26)에 경사면(28)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통체(11)를 외통체(12)에 삽입할 때, 탄성 통체(11)와 외통체(12)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이로써, 탄성 통체(11)를 용이하게 외통체(12) 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도 8은, 제7 실시 형태에서의 외통체(12)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에서는, 외통체(12)의 선단 부분의 내면에 복수의 돌기부(29)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부(29)는, 외통체(12)의 통심 방향으로 긴 리브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29)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탄성 통체(11)와 외통체(12)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탄성 통체(11)는 외통체(12) 내에 견고하게 유지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의 제8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사기 본체(1)의 형상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사기 본체(1)가 캡(2)을 장착하기 위한 어댑터(31)를 갖는다. 어댑터(31)는, 주사기 본체(1)에 장착되는 장착부(32)와, 캡(2)의 유지부(5)에 접촉하는 통부(33)를 갖는다. 장착부(32)는, 주사기 본체(1)의 유지부(5)가 삽통(揷通)되는 삽통공(揷通孔)(34)을 갖는다. 어댑터(31)는, 장착부(32)의 삽통공(34)에 주사기 본체(1)의 유지부(5)가 삽통되는 것에 의해, 주사기 본체(1)에 장착된다.
통부(33)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부(33)의 외경은, 캡(2)의 외통체(12)에 형성되는 안내부(19)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어댑터(31)의 통부(33)의 외면이, 캡(2)의 외통체(12)에 형성되는 안내부(19)의 내면에 접촉하여 안내하는 것에 의하여, 캡(2)은 경사지지 않게 주사기 본체(1)에 적절히 장착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의 제9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사기 본체(1)의 형상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사기 본체(1)는, 그 일단부에 주사침(4)의 유지부(5)를 가지고, 그 타단부에 플랜지부(36) 및 개구부(37)를 갖는다. 주사기 본체(1)는, 이 주사기 본체(1)를 덮는 커버체(38)를 더 구비한다.
커버체(38)는, 투명한 합성 수지에 의해 통형으로 형성된다. 커버체(38)는, 제1 통부(39), 이 제1 통부(39)보다 큰 직경의 제2 통부(40) 및 커버체(38)를 주사기 본체(1)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41)를 가진다.
제1 통부(39)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통부(39)의 내경은, 주사기 본체(1)의 유지부(5)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커버체(38)가 주사기 본체(1)에 장착된 경우, 제1 통부(39)는 유지부(5)의 일부를 피복한다. 제1 통부(39)의 통심 방향으로의 길이는 유지부(5)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체(38)가 주사기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유지부(5)의 선단부가 제1 통부(39)의 선단부보다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제2 통부(40)는 주사기 본체(1)의 보디부(3)를 피복하기 위한 것이다. 제2 통부(4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41)는 제2 통부(4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장착부(41)는 주사기 본체(1)의 플랜지부(36)를 피복하도록 구성된다. 장착부(41)는 주사기 본체(1)의 플랜지부(36)를 계지하는 계지부(42)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체(38)에 형성되는 제1 통부(39)의 외면이 캡(2)의 외통체(12)에 형성되는 안내부(19)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주사침(4)을 경사지지 않게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로써, 캡(2)은, 경사지지 않게 주사기 본체(1)에 장착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의 제10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캡(2)의 형상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통체(12)의 중도부에, 안팎을 관통하는 관통공(44)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 통체(11)에는, 이 관통공(44)에 삽통되는 돌기부(45)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통체(12)의 내면에 제1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계지 돌기부(18)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 통체(11)의 돌기부(45)가 외통체(12)의 관통공(44)에 삽통되는 것에 의하여, 탄성 통체(11)는, 외통체(12)로부터 뽑혀져 빠지지 않도록, 이러한 외통체(12)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는,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는, 상술한 작용·효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에 관한 주사기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1: 주사기 본체, 2: 캡, 3: 보디부, 4: 주사침, 5: 유지부, 6: 통부, 11: 탄성 통체, 12: 외통체, 13: 개구부, 14: 폐색부, 15: 삽입 오목부, 16: 개구부, 17: 폐색부, 18: 계지 돌기부, 19: 안내부, 20: 돌출부, 21: 오목부, 223: 오목부, 25: 오목부, 26: 돌기부, 27: 계지면, 28: 경사면, 29: 돌기부, 31: 어댑터, 32: 장착부, 33: 통부, 34: 삽통공, 36: 플랜지부, 37: 개구부, 38: 커버체, 39: 제1 통부, 40: 제2 통부, 41: 장착부, 42: 계지부, 44: 관통공, 45: 돌기부

Claims (6)

  1. 주사침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가지는 주사기 본체와, 상기 주사침을 덮는 캡을 구비하는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주사침이 찌르는 탄성 통체로서 또한 찌른 상기 주사침을 내부에 도입하고, 또한, 상기 유지부를 밀봉(seal)하기 위한 탄성 통체와,
    상기 탄성 통체의 주위를 덮으면서, 상기 탄성 통체를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외통체
    를 구비하고,
    상기 외통체는,
    상기 주사기 본체의 상기 유지부보다 크게 구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주사침이 상기 탄성 통체에 찌르기보다도 전에 상기 주사기 본체의 일부에 접촉하는 안내부로서, 상기 안내부와 상기 주사기 본체의 일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주사침을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하면서 상기 주사침이 상기 탄성 통체의 내부에 도입되도록 하는 안내부를 가지는,
    주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주사기 본체의 일부에 접촉하기 위한 돌기부를 가지는, 주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본체는 상기 안내부에 접촉하기 위한 돌기부를 가지는, 주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사기 본체의 일부의 외면은 상기 안내부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원형으로 구성되는, 주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는, 일단부에 상기 개구부를 가지고, 타단부에 폐색부를 가지며,
    상기 외통체는, 상기 폐색부로부터 통심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격된 상기 외통체의 내면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탄성 통체를 계지(係止)하는 계지 돌기부를 가지고,
    상기 외통체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계지 돌기부에 의해 상기 탄성 통체를 협지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계지 돌기부의 간격은, 통형의 상기 탄성 통체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주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본체는, 시클로올레핀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는, 주사기.
KR1020157007637A 2012-10-25 2013-10-24 주사기 KR102181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35668A JP6273087B2 (ja) 2012-10-25 2012-10-25 シリンジ
JPJP-P-2012-235668 2012-10-25
PCT/JP2013/078755 WO2014065345A1 (ja) 2012-10-25 2013-10-24 シリン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570A KR20150079570A (ko) 2015-07-08
KR102181357B1 true KR102181357B1 (ko) 2020-11-20

Family

ID=5054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637A KR102181357B1 (ko) 2012-10-25 2013-10-24 주사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62498B2 (ko)
EP (1) EP2913076B1 (ko)
JP (1) JP6273087B2 (ko)
KR (1) KR102181357B1 (ko)
IN (1) IN2015DN03138A (ko)
WO (1) WO20140653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3038678T3 (pl) * 2013-08-29 2020-06-29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Nasadka na urządzenie do podawania leku
US20180133375A1 (en) * 2014-10-30 2018-05-17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Pre-Filled Syringe Formulation With Needle, Which Is Equipped With Syringe Cap
DE102016108870A1 (de) * 2016-05-13 2017-11-16 Gerresheimer Regensburg Gmbh Stechmittelschutzvorrichtung für eine Spritze
CN111278492B (zh) * 2017-10-31 2022-06-24 泰尔茂株式会社 注射器及预灌装注射器
EP3574945A1 (en) * 2018-05-31 2019-12-04 Aspen Global Incorporated Protective device comprising a protective cover with fixed claws
JPWO2022172708A1 (ko) * 2021-02-12 2022-08-18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494Y1 (ko) 2001-11-16 2002-02-04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주사기
US20020062108A1 (en) * 2000-11-17 2002-05-23 Serge Courteix Protection device for syringe needle
JP2003024439A (ja) * 2001-07-18 2003-01-28 Dai Ichi Seiyaku Co Ltd シリンジ外筒体及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並びに薬液投与キット
JP2004305720A (ja) 2003-04-09 2004-11-04 Arzneimittel Gmbh Apotheker Vetter & Co Ravensburg 医療用の充填済み注射器または予備充填注射器筒
US20070156100A1 (en) * 2005-11-30 2007-07-05 Thomas Moesli Syringe with a closure
US20120330243A1 (en) 2010-02-11 2012-12-27 Barry Peter Liversidge Medical Needle Cover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4866A (en) * 1989-11-22 1990-10-2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Needle sheath assembly
JPH0532069A (ja) 1991-03-08 1993-02-09 Ricoh Co Ltd 昇華型熱転写用受像媒体
DE19705892C1 (de) * 1997-02-15 1998-11-12 Siekmann Gmbh Universalsicherheitsspritze
DE19717033A1 (de) * 1997-04-23 1998-11-12 Schott Glas Nadelkappe für eine vorfüllbare Einmalspritze
DE19955652A1 (de) * 1999-11-19 2001-06-13 Schott Glas Verschluß für eine vorfüllbare Einmalspritze
JP2003024415A (ja) * 2001-05-10 2003-01-28 Eisai Co Ltd 注射剤容器
JP2008259704A (ja) * 2007-04-12 2008-10-30 Hisamitsu Pharmaceut Co Inc プレフィルド型シリンジ
ES2593230T3 (es) * 2010-03-18 2016-12-07 Daikyo Seiko, Ltd. Capuchón para aguja de jeringuilla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2108A1 (en) * 2000-11-17 2002-05-23 Serge Courteix Protection device for syringe needle
JP2003024439A (ja) * 2001-07-18 2003-01-28 Dai Ichi Seiyaku Co Ltd シリンジ外筒体及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並びに薬液投与キット
KR200263494Y1 (ko) 2001-11-16 2002-02-04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주사기
JP2004305720A (ja) 2003-04-09 2004-11-04 Arzneimittel Gmbh Apotheker Vetter & Co Ravensburg 医療用の充填済み注射器または予備充填注射器筒
US20070156100A1 (en) * 2005-11-30 2007-07-05 Thomas Moesli Syringe with a closure
US20120330243A1 (en) 2010-02-11 2012-12-27 Barry Peter Liversidge Medical Needle Cover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13076A4 (en) 2016-08-17
JP2014083292A (ja) 2014-05-12
US9962498B2 (en) 2018-05-08
KR20150079570A (ko) 2015-07-08
US20150335830A1 (en) 2015-11-26
JP6273087B2 (ja) 2018-01-31
IN2015DN03138A (ko) 2015-10-02
WO2014065345A1 (ja) 2014-05-01
EP2913076A1 (en) 2015-09-02
EP2913076B1 (en) 201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1357B1 (ko) 주사기
US8900212B2 (en) Connection device
CN104602741B (zh) 弹性帽以及具备所述弹性帽的注射器用组装体
US9744102B2 (en) Connection device
CN110237361B (zh) 载药注射器
JP2014508602A (ja) クロージャ及びクロージャの製造方法
WO2018164250A1 (ja) シリンジ組立体及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RU2661024C2 (ru) Колпачок для шприца
US10493214B2 (en) Medical injection device
EP2266646B1 (en) Tight-sealing cap for liquid drug-expelling part
WO2014136759A1 (ja) 注射器および注射器用ガスケット
JP2014233479A (ja) 医療用キャップ
CN110121374B (zh) 医疗器械
JP5864871B2 (ja) シリンジ
EP2191860A1 (en) Combined container-syringe
US20240017050A1 (en) Medical connector
CN110831645B (zh) 注射器用垫圈
JP4361959B2 (ja) 容器兼用注射器
JP5802034B2 (ja) シリンジ
KR20140030829A (ko) 세포배양용 용기
JP2022122917A (ja) 医療用キャ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5371530A (zh) 磁体单元及其制造方法
JP2018015039A (ja) 医療用キャ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057706A (ja) 薬液容器用キャップ及び同キャップを有する薬液容器
JP2012179239A (ja) シリ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