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397B1 - 차량의 카울 탑 커버 - Google Patents
차량의 카울 탑 커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8397B1 KR100828397B1 KR1020070059808A KR20070059808A KR100828397B1 KR 100828397 B1 KR100828397 B1 KR 100828397B1 KR 1020070059808 A KR1020070059808 A KR 1020070059808A KR 20070059808 A KR20070059808 A KR 20070059808A KR 100828397 B1 KR100828397 B1 KR 1008283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p cover
- cowl top
- vertical surface
- vehicle
- not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카울 탑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카울 탑 커버의 단면 구조를 개선하여 보행자 충돌 시 보행자의 두부 상해치를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면(110)과 그릴(121)이 형성된 수평면(120)을 포함하여 후드와 윈드실드글라스 사이에 위치하는 카울 탑 커버(100)에 있어서; 상기 수직면(110)에는 횡방향으로 노치(111)가 형성되며, 상기 노치(111)를 따라 상기 수직면(110)의 두께 보다 얇은 두께로 장방형의 박부(薄部)(112)가 다수 형성되어, 보행자 대응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카울, 커버, 보행자, 두부, 상해치, 노치, 박부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카울 탑 커버를 도시하는 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카울 탑 커버를 도시하는 도,
도 3의 (a) 및 (b)는 각각 도 2의 A-A선 및 B-B선에 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카울 탑 커버 110 : 수직면
111 : 노치 112 : 박부
120 : 수평면 121 : 그릴
본 발명은 차량의 카울 탑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카울 탑 커버의 단면 구조를 개선하여 보행자 충돌 시 보행자의 두부 상해치를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보행자 대응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카울은 차량의 후드 후방 하측에 위치하여 윈드실드 글라스와 연결되는 박스형태의 패널로써, 차체의 주요 횡부재 중 하나이며, 크게 개방형과 밀폐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카울에는 배수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퍼가 구비되어 있고, 고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체결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카울 탑 커버를 도시하는 도로서, 차량의 카울 최상측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카울 탑 커버가 마련되어 있다.
종래의 카울 탑 커버는 도 1과 같이, 수직면(11)과 그릴(12a)이 형성된 수평면(12)을 포함하여 후드와 윈드실드글라스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그릴(12a)을 통해 공조장치에 외기가 유입될 수도 있으며, 그 전방에 위치하는 후드를 지지하는 역할 또한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의 카울 탑 커버는 차량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고강성을 유지하도록 제작되어 차체에 조립되고 있기 때문에, 차량 주행 중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의 두부가 후드의 상측면에 충돌하게 되면, 보행자의 두부 상해치를 크게 가중시키고 있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카울 탑 커버의 단면 구조를 개선하여 보행자 충돌 시 카울 탑 커버의 파단을 유도하여 보행자의 두부 상해치를 저감시킬 수 있음으로써, 보행자 대응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카울 탑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직면과 그릴이 형성된 수평면을 포함하여 후드와 윈드실드글라스 사이에 위치하는 카울 탑 커버에 있어서; 상기 수직면에는 횡방향으로 노치가 형성되며, 상기 노치를 따라 상기 수직면의 두께 보다 얇은 두께로 장방형의 박부가 다수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카울 탑 커버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3의 (a) 및 (b)는 각각 도 2의 A-A선 및 B-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의 카울 탑 커버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와 윈드실드글라스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그 수직면(110) 상에 노치(111) 및 박부(112)가 형성되어, 보행자의 두부가 후드 상면에 충돌할 경우 파단을 유도하게 됨으로써 보행자의 두부 상해치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의 카울 탑 커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각 구성요소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있어서 카울 탑 커버(100)는 미도시한 후드와 윈드실드글라스 사이에 위치하여, 그 전방 측에 위치하는 후드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카울 탑 커버(1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다단으로 절곡되어 수직 면(110)과 수평면(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면(120)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관통되어 그릴(121)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카울 탑 커버(100)의 수직면(110)에는 전면 중앙에 횡방향으로 노치(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111)는 다른 부위에 비하여 국부적으로 그 두께가 얇아 상측으로부터 충격 하중이 가해질 경우 수평한 방향으로 파단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치(111)는 수직면(110)의 중앙에 V자형 단면으로 절입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파단의 발생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카울 탑 커버(100)의 수직면(110) 상에는 상기 노치(111)를 따라 상기 수직면(110)의 두께 보다 얇은 두께로 장방형의 박부(112)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박부(11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상기 노치(111)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직면(110) 상에 하나의 폭 넓은 박부(112)를 형성할 경우, 상기 카울 탑 커버(100)의 강성이 크게 저하되므로, 상기 카울 탑 커버(100)가 구조적으로 어느 정도의 강성을 보유할 수 있도록 상기 박부(112)를 다수 개 노치(111)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평상 시 상기 노치(111) 및 박부(112)가 형성된 카울 탑 커버(100)의 수직면(110)은 어느 정도의 강성을 보유할 수 있게 되며, 만약 보행자가 충돌하여 보행자의 두부가 후드 상면에 충돌할 경우에는 상기 수직면(110)에 형성된 노치(111) 및 박부(112)를 통해 파단이 이루어지게 되어 보행자의 두부 상해치를 저감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카울 탑 커버는 평상 시 수직면(110) 상에 노치(111) 및 박부(112)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어느 정도의 강성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만약 차량 주행 중 보행자와 충돌하여 보행자의 두부가 후드에 부딪힐 때에는, 상기 수직면(110)에 형성된 노치(111)와 박부(112)를 통하여 파단이 유도되면서 보행자의 두부 상해치를 저감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의 카울 탑 커버는 수직면(110) 상에 노치(111) 및 박부(112)를 형성하여 평상 시 어느 정도의 강성을 보유하도록 하는 동시에, 보행자 충돌 시에는 파단이 유도되어 보행자의 두부 상해치를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카울 탑 커버의 단면 구조를 개선하여 보행자 충돌 시 카울 탑 커버의 파단을 유도하여 보행자의 두부 상해치를 저감시킬 수 있 음으로써, 보행자 대응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 수직면과 그릴이 형성된 수평면을 포함하여 후드와 윈드실드글라스 사이에 위치하는 카울 탑 커버에 있어서;상기 수직면에는 횡방향으로 노치가 형성되며, 상기 노치를 따라 상기 수직면의 두께 보다 얇은 두께로 장방형의 박부가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 탑 커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수직면의 중앙에 V자형 단면으로 절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 탑 커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부는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상기 노치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 탑 커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9808A KR100828397B1 (ko) | 2007-06-19 | 2007-06-19 | 차량의 카울 탑 커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9808A KR100828397B1 (ko) | 2007-06-19 | 2007-06-19 | 차량의 카울 탑 커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28397B1 true KR100828397B1 (ko) | 2008-05-08 |
Family
ID=3965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59808A KR100828397B1 (ko) | 2007-06-19 | 2007-06-19 | 차량의 카울 탑 커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2839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122148A1 (fr) * | 2021-04-21 | 2022-10-28 | Psa Automobiles Sa | Grille d’auvent apte a se rompre en cas de choc piet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10085A (ja) | 2002-12-27 | 2004-07-29 | Nippon Plast Co Ltd | 自動車のカウルトップカバー |
JP2005225388A (ja) | 2004-02-13 | 2005-08-25 | Nissan Motor Co Ltd | 車両のカウル構造 |
-
2007
- 2007-06-19 KR KR1020070059808A patent/KR1008283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10085A (ja) | 2002-12-27 | 2004-07-29 | Nippon Plast Co Ltd | 自動車のカウルトップカバー |
JP2005225388A (ja) | 2004-02-13 | 2005-08-25 | Nissan Motor Co Ltd | 車両のカウル構造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122148A1 (fr) * | 2021-04-21 | 2022-10-28 | Psa Automobiles Sa | Grille d’auvent apte a se rompre en cas de choc piet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90289B2 (en) | Vehicle hood | |
JP6443469B2 (ja) | 車両の前部構造 | |
US20090152881A1 (en) | Bumper beam for vehicles | |
JP2008132954A (ja) | 自動車のフード | |
JP2020138565A (ja)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
JP2010083326A (ja) | 車両用ルーバ構造 | |
CN106184403A (zh) | 车辆前部构造 | |
JP2004217144A (ja) | 車両のカウル構造 | |
KR100828397B1 (ko) | 차량의 카울 탑 커버 | |
US20140204603A1 (en) | Headlight | |
JP4779385B2 (ja) | 車両のフロントウインドシールド支持構造 | |
JP2006264538A (ja) | 車両のカウル構造 | |
JP4449523B2 (ja) | 樹脂製車両用部材 | |
US20130341964A1 (en) | Motor vehicle body | |
KR100910991B1 (ko) | 쎌타입으로 분리가능한 차량용 도어가드 | |
US10926726B2 (en) | Grille peripheral structur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rille peripheral structure for vehicle | |
KR101629808B1 (ko) | 차량용 카울 구조 | |
JP6729178B2 (ja) | フードインナパネル | |
JP2010158940A (ja) | カウルトップガーニッシュ | |
JP2009045996A (ja) | 四輪車両のカウル構造 | |
KR101427923B1 (ko) | 차량용 카울 톱 아웃터패널 | |
JP2019137157A (ja) | 取付部材 | |
CN108466654A (zh) | 车辆用前发动机罩 | |
KR100622731B1 (ko) | 충격 완충용 와이퍼 피봇 구조 | |
KR20130006499A (ko) | 자동차의 모듈식 차체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