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151B1 - 마늘 세절 다지기 - Google Patents

마늘 세절 다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151B1
KR100828151B1 KR1020070107942A KR20070107942A KR100828151B1 KR 100828151 B1 KR100828151 B1 KR 100828151B1 KR 1020070107942 A KR1020070107942 A KR 1020070107942A KR 20070107942 A KR20070107942 A KR 20070107942A KR 100828151 B1 KR100828151 B1 KR 100828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absolute
chopped
compacto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금숙
Original Assignee
왕금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금숙 filed Critical 왕금숙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4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potatoes or other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 마늘 세절(細切) 다지기는,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의 세절용 칼날을 구비하고 다질 마늘의 이탈이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거치용 침을 형성시킴으로써, 내부로부터 다져지는 마늘에 의해 먼저 다져진 마늘이 외부로 밀려나오도록 구조화시킨, 마늘 다짐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이 회전축 고정되는 작용수단에 의해 중심으로 가압작동하며 서로 겹질러 지도록 작동하는 것에 의해 내부에 삽입된 마늘이 다져지고 세절됨과 동시에,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세절되고 다져지는 마늘에 의해 앞서 다져진 마늘이 외부로 밀려나오도록 일정 간격을 가지며 평행한 다수의 세절칼날이 회전축 부근의 작용수단 다짐용 평판상에 구비되는 마늘 세절 다지기에 있어서, 회전축 작동을 위해 그 끝단에 힌지 일축단을 구비하며, 일정한 간격이며 평행한 다수의 세절칼날을 구비하고 있는 다지기상절대(上切袋)와; 회전축 작동을 위해 그 끝단에 다지기상절대의 힌지 일축단에 대응되는 또 다른 힌지 일축단을 구비하며, 다지기상절대의 세절칼날과 겹질러 작동되기 위해 다지기상절대의 세절칼날과 사이사이 맞물리도록 평행한 일정한 간격의 다수 세절칼날을 구비하고 있는 다지기하절대(下切袋)를 포함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절다짐부 주위에 용기나 통체 등을 형성하기 위한 벽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구조를 취함으로써, 다진 마늘을 쉽게 토출해 낼 수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종래와 같은 세척의 어려움이나 비위생적인 문제가 없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마늘, 세절, 다지기, 칼날, 힌지

Description

마늘 세절 다지기{Garlic mince apparatus}
본 발명은 마늘을 다지기 위한 도구에 관한 것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의 세절용 칼날을 구비하고 다질 마늘의 이탈이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거치용 침을 형성시킴으로써, 내부로부터 다져지는 마늘에 의해 먼저 다져진 마늘이 외부로 밀려나오도록 구조화시킨, 마늘 세절 다지기를 제시한 것이다.
마늘은 단백질, 당질, 인, 나트륨, 비타민 B1등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맛은 맵지만 몸을 따뜻하게 하며,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신진대사를 좋게 하고, 살균 항암작용을 하고, 특히 마늘을 상식하면 몸 전체를 리드미컬하게 해서 건강체를 완성하고 난소나 정소의 기능을 향상시키며 적량을 상식하면 쇠약해진 위나 장의 소화 능력과 영양분의 흡수 능력을 높일 수 있으며, 위염, 고혈압, 암 치료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치를 포함한 각종 음식에는 마늘이 많이 쓰이며, 특히 양념재료로 쓰이는 경우에는 마늘을 분쇄하거나 세절하는 등 다진 상태로 첨가하게 된다.
마늘을 다지기 위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1997-0001166호(1997. 02. 19)를 살펴본다.
도 1은 종래 마늘다지기(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마늘다지기(10)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마늘다지기(10)는 상측몸체(110)와 하측몸체(120)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끝은 힌지축(10h)에 의해 회전구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몸체(110)는 그 내부에 압압부재(111)를 내재하고 있으며, 상. 하측 몸체(110)(120)의 선단부 소정위치를 지지점 힌지축(10h)으로 힌지 설치하여 이들의 후방부에 일체로 구성된 대향 가압손잡이부(110a)(120a)를 상호 상승,하강 시킴에 따라 후술하는 마늘수용부(121)내의 마늘이 압압부재(111)에 의해 다져질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즉, 상기 하측몸체(120)의 전방부 소정위치에 마늘수용부(121)가 형성되고 이의 저부에는 마늘수용부(121) 내경보다 다소 작은 크기의 유출부(122)가 구성되며 이 유출부(122) 상부에 형성된 받침판 안치턱(123)에는 유출공(122h)이 다수개 천공된 받침판(124)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마늘수용부(121)의 후방으로는,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고 복수개씩의 수직커터(131) 및 수평커터(132)가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상. 하 높이차를 두고 설치된 파썰이부(130)를 추가 구성하고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마늘다지기(10)는 마늘수용부(121)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마늘수용부(121)는 다진 마늘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공간을 가진 용기나 통의 형상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마늘다지기(10)가 안치턱(123) 하부에 다수의 유출공(122h)을 구비하고 있지만, 그 내부에 있는 다져진 마늘을 빼내기가 힘들다. 즉 안치턱(123) 사이사이에 유출공(122h)을 구비하고 있지만, 유출공(122h) 사이사이의 둔턱과 마늘수용부(121)의 구석 모서리 부분에 다져진 마늘이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남겨진 마늘은 세척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완전히 세척되지 않고 남게되면 건조된 후 달라붙게 되어, 위생상으로도 좋지 않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마늘다지기(10) 이외에 지렛대나 가위와 같이 중간에 시소형태로 작동되는 다른 형태의 마늘다지기도 있지만, 이러한 시소형태의 마늘다지기는 가하는 힘이 마늘을 다지는데 다 이용되지 못하며, 마늘다지는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마늘을 다지기 위한 도구가 다수 있지만, 보다 효율적으로 마늘을 다질 수 있고 보다 위생적인 것에 대한 관심은 계속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다진 마늘을 쉽게 토출해 낼 수 있는 마늘 다짐 기구나 도구에 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사용 후 세척이 편리하며, 보관이 쉬운 마늘 다짐 기구나 도구에 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사용자의 힘을 마늘다지는 데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의 힘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마늘 다짐 기구나 도구에 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서로 겹질러 지도록 작동하는 것에 의해 내부에 삽입된 마늘이 다져지고 세절됨과 동시에,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세절되고 다져지는 마늘에 의해 앞서 다져진 마늘이 외부로 밀려나오도록 일정 간격을 가지며 평행한 다수의 세절칼날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절다짐부 주위에 용기나 통체 등을 형성하기 위한 벽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구조를 취함으로써, 다진 마늘을 쉽게 토출해 낼 수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어, 종래와 같은 세척의 어려움이나 비위생적인 문제가 없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분리결합 등이 용이하면서 사용이 편리한 힌지축 구조와 이격돌기, 그리고 반동하여 원리상태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체를 복합적으로 형성하고 있고 보다 편리한 다짐기구를 찾는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함으로써 많은 호응이 예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개방된 상태의 마늘 세절(細切) 다지기(3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 마늘 세절 다지기(30)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3 마늘 세절 다지기(30)의 회전연결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3 마늘 세절 다지기(30)의 접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실시 예에 따른 마늘 세절 다지기(30)는, 일측이 회전축 고정되는 작용수단에 의해 중심으로 가압작동하며 서로 겹질러 지도록 작동하는 것에 의해 내부에 삽입된 마늘이 다져지고 세절됨과 동시에,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세절되고 다져지는 마늘에 의해 앞서 다져진 마늘이 외부로 밀려나오도록 일정 간격을 가지며 평행한 다수의 세절칼날이 상기 회전축부근의 작용수단 다짐용 평판상에 구비되는 통상의 마늘 세절 다지기에 있어서,
회전축 작동을 위해 그 끝단에 힌지 일축단을 구비하며, 일정한 간격이며 평행한 다수의 세절칼날을 구비하고 있는 다지기상절대(上切袋)와; 회전축 작동을 위해 그 끝단에 상기 다지기상절대의 힌지 일축단에 대응되는 또 다른 힌지 일축단을 구비하며, 다지기상절대의 세절칼날과 겹질러 작동되기 위해 다지기상절대의 세절칼날과 사이사이 맞물리도록 평행한 일정한 간격의 다수 세절칼날을 구비하고 있는 다지기하절대(下切袋)를 포함하되; 다지기상절대 및 다지기하절대의 작동에 의해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세절되고 다져지는 마늘에 밀려 앞서 다져진 마늘이 외부로 밀려나오는 특징을 갖는다.
아울러 이러한 마늘 세절 다지기(3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세절칼날이 구비되는 부위의 중심부에, 다지기 위해 내재시키는 마늘을 거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치침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세절칼날은 다지기 위한 마늘을 거치시킨 상태로 세절되어 다져지도록 상기 다수의 세절형성되어 있는 중심부위로 상기 세절칼날을 통상적인 톱니형태로 형성시키고; 또한 상기 회전축은 통상적인 암수 삽입형태로 결합고정되는 것과 경첩 형태로 고정되는 것 중 어느 한 형태인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다지기상절대와 다지기하절대는 마늘을 다짐 작동시 맞물려 접힌 상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다지기상절대 및 다지기하절대가 접힌 상태에서 마주보는 중심으로, 상기 다지기상절대 및 다지기하절대의 어느 하나 이상에 이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다지기상절대 및 다지기하절대는 접힌 상태에서 접히기 전 상태로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다지기상절대 및 다지기하절대가 접힌 상태에서 마주보는 중심으로, 상기 다지기상절대 및 다지기하절대의 어느 하나 이상에 반동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세절칼날이 형성된 주위에는 상기 다져진 마늘을 밀리게 하여 외부로 추출되도록 용기형 외주연을 형성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상기 회전축을 외주연 둘레가 개방되어 있는 부위에서 암수형태로 삽입결합하여 체결하는 경우, 상기 다지기상절대와 다지기하절대중 어느 하나의 끝단에는 삽입 결합할 수 있는 일부 개방된 힌지홀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홀에 대응하도록 상기 힌지홀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다지기상절대와 다지기하절대중 어느 하나의 끝단에는 그 자루의 맞은 편으로, 체결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침이 형성되되; 상기 힌지홀의 개방부위와 상기 체결침은 상기 마늘세절다지기의 회동작동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반대정도의 각도상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각각의 사항들은 개별적 또는 복합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에 따른 마늘 세절 다지기(30)의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마늘 세절 다지기(30)는 다지기상절대(310)와 다지기하절대(320)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다지기상절대(310)와 다지기하절대(320) 각각은 세절다짐부(311, 321)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절다짐부(311, 321)가 라운드진 사각형태를 하고 있지만, 이러한 모양에 제한을 받는 것이 없이 전체적으로 원형이나 타원형, 정사각 형태, 기타 가능한 특수한 모양 등 다양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지기하절대(320)는 회전축(30a) 바로 옆에 세절다짐부(321)를 형성하고 있다. 본 설명에서는 다지기하절대(320)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실시 예는 다지기상절대(310)에도 다지기하절대(320)의 세절다짐 부(321)와 상호작동하는 세절다짐부(311)를 구비하고 있다.
본 세절다짐부(321)에는 다수의 세절칼날(30k)이 일정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다지기상절대(310)의 세절다짐부(311)도 동일하다. 아울러 세절칼날(30k)의 간격도 세절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로 필요한 폭으로 변화시켜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절다짐부(321)에는 다수의 세절칼날(30k)을 구비하고 있다. 다수의 세절칼날(30k)은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그 끝은 마늘을 가늘게 세절할 수 있도록 칼날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세절칼날(30k)은 필요에 따라 상부의 다지기상절대(310)에도 형성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다지기상절대(310)와 다지기하절대(320)의 세절칼날(30k)들은 맞물린 상태에서 서로 사이사이에 끼이는 형태로 작동됨으로써, 중앙에 위치한 마늘이 세절되며 후술하겠지만 다지기상절대(310)와 다지기하절대(320)의 겹질러지는 작동에 의해 세절된 마늘이 다져지게 된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지기하절대(320)의 세절다짐부(321)는 중앙에 마늘거치부위(3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마늘거치부위(322)는 다지고자 하는 마늘을 거치하기 위해 다수의 거치침(322a)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서는 다지기하절대(320)의 세절다짐부(321)에 마늘거치부위(322)를 형성시키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은 다지기상절대(310)에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사용상의 필요에 따라 다지기상절대(310)나 다지기하절대(320)의 어느 하나에만 형성시키거나 혹은 모두에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세절칼날(30k)의 모양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하여 본 마늘거치부위(322)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은 거치침(322a)들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마늘거치부위(322)가 형성되는 중앙정도 부위의 세절칼날(30k)은 그 칼날 끝에 톱과 비슷하게 톱니를 형성함으로써 다지고자 하는 마늘을 거치시킴과 동시에 세절하여 다질수 있도록 변화시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마늘 세절 다지기(30)는 다지기상절대(310)와 다지기하절대(320)가 맞닿도록 작동하였을 때 다지기상절대(310)와 다지기하절대(320)를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맞닿도록 하기 위해, 다지기하절대(320)의 중간 부분에 이격시키고자 하는 폭만큼 튀어나오도록 이격돌기(30t)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격돌기(30t)는 다지기상절대(310)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다지기상절대(310)나 다지기하절대(320) 모두에 형성시키는 것도 좋다.
아울러 본 마늘 세절 다지기(30)에는 다지기상절대(310)와 다지기하절대(320)가 서로 벌어지도록 다지기상절대(310)와 다지기하절대(320)의 안쪽방향으로 탄성체(30s)를 구비시키고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이격돌기(30t)를 내포하도록 이격돌기(30t)에 탄성체(30s)로서 스프링을 배치시키고 있다.
아울러 본 마늘 세절 다지기(30)와 같이 마늘 세절 다지기(30)의 보관이 좋도록 다지기상절대(310)와 다지기하절대(320)의 끝단 어느 한 부분에 다지기상절대(310)와 다지기하절대(320)를 서로 잡아 고정시킬 수 있는 걸고리(30r)를 구비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다지기상절대(310)와 다지기하절대(320)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결체부는 회전축(30a) 형태로 체결된다.
이러한 회전축(30a)을 위해 다지기하절대(320)에는 세절다짐부(321) 앞쪽으로 힌지홀(320a)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힌지홀(320a)에 대응하여 다지기상절대(310)에는 힌지돌기(310a)를 형성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홀(320a)은 고리처럼 완전히 원형의 링(ring)을 형성하는 것도 좋으며, 힌지돌기(310a)를 삽입하여 회전구동시킬 수만 있다면 일부가 개구된 상태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힌지홀(320a)이 일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힌지돌기(310a)에는 다지기상절대(310)의 자루 맞은편 방향으로 체결침(310ap)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침(310ap)은 힌지돌기(310a)가 개방된 힌지홀(320a) 부위로 삽입된 후 힌지홀(320a)에 걸리게 됨으로써, 본 마늘 세절 다지기(30)를 사용하는 도중 다지기상절대(310)가 다지기하절대(32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회동작동 상태를 고려하여 다지기상절대(310)와 다지기하절대(320)가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침(310ap)과 다지기하절대(320)의 개방부위 각도를 잘 고려해 주어야 한다.
아울러 결합모양은 이외에도 힌지돌기(310a)를 T자 모양으로 형성하고 이 경우 힌지홀(320a) 역시 중앙에 거치할 수 있는 개방부를 형성한 상태로 전체적으로 Y자 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외에 다지기상절대(310)와 다지기하절대(320)를 서로 체결하여 회동작동 시킬 수 있다면 보다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회전축(30a)은 필요한 수만큼 회전축방향을 일치하여 회전되도 록 하여 다수개로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힌지돌기(310a)가 힌지홀(320a)에 삽입됨으로써 다지기상절대(310)와 다지기하절대(320)는 결합되어 회전축(30a)을 형성하며, 회전 구동이 가능하여 다수 반복구동에 따라 마늘을 다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을 완료한 이후에는 분리시켜 다지기상절대(310)와 다지기하절대(320)를 각각 세척하거나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축(30a)은 본 실시 예에서의 힌지돌기(310a), 힌지홀(320a)에 의한 삽입 형태 이외에도, 경첩식으로 고정시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렇게 형성되는 본 실시 예의 마늘 세절 다지기(3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하여 접고, 다시 힘을 풀어 펼치는 동작을 반복실시함으로 마늘을 세절하여 다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마늘 세절 다지기(30)에는 세절다짐부(311, 321)의 중심 쪽에 거치침(322a)이 구비하고 있어 안쪽으로 계속 인입시킨 마늘을 계속 세절하면서 다지게 되며, 이렇게 다진 안쪽의 마늘에 밀려 먼저 다진 마늘이 밀려나오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세절다짐부(311, 321)의 둘레에는 용기나 통체 등을 형성하기 위한 벽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으며 또 형성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이러한 구조로 인해 본 실시 예의 마늘 세절 다지기(30)는 종래와 같은 다진 마늘의 토출문제나 세척의 어려움 또는 비위생적인 문제가 없으며, 다진 마늘을 토출시키기 위해 일부러 힘들게 긁어 낼 필요성이 없게 된다.
또한 본 마늘 세절 다지기(30)는 한쪽 끝에 회동구동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 고 있어 다지는 힘 또한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아울러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세절칼날(30k)의 폭을 필요한 상태로 조절하여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세절다짐부의 모양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다지기상절대(310)와 다지기하절대(320)에 이격돌기(30t)와 탄성체(30s)를 필요한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는 등, 본 발명의 개념을 바탕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원리에 의한 이러한 변화된 응용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그 외에 세절다짐부가 사각형태를 하고 있는 다른 실시예 마늘 세절 다지기를 도시한 도 7 및 8과 같이, 다수의 세절칼날이 형성된 부위의 중심부에 마늘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침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다지기상절대(310)와 다지기하절대(320)의 끝단에 원기둥형 힌지돌기(310a)와 힌지홀(320a)을 각각 형성시키고, 힌지돌기(310a)를 힌지홀(320a)에 분리 및 회전 가능토록 삽입 결합함으로써, 다지기상절대(310)와 다지기하절대(320)를, 필요에 따라, 결합한 상태 또는 분해한 상태로 보관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힌지돌기(310a)와 힌지홀(320a)은 결합 위치가 바뀌어 각각 다지기하절대(320)와 다지기상절대(3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원기둥형 힌지돌기(310a)의 끝단을 뾰족하게 만드는 동시에 힌지홀(320a)의 외면 일측에 뾰족한 마늘제거돌기(e)를 구비함으로써, 마늘 다지기가 끝난 후 힌지돌기(310a)의 끝단 및 마늘제거돌기(e)로서 상대측 세절칼날(30k) 사 이에 잔류하는 세절 마늘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 마늘다지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 마늘다지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개방된 상태의 마늘 세절 다지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 마늘 세절 다지기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 마늘 세절 다지기의 회전연결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3 마늘 세절 다지기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늘 세절 다지기를 보인 것으로,
(가)는 결합 사시도이고,
(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늘 세절 다지기의 분해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마늘세절다지기
30a ; 회전축 30k ; 세절칼날
30s ; 탄성체 30t ; 이격돌기
310 ; 다지기상절대
311 ; 세절다짐부
320 ; 다지기하절대 30r ; 걸고리
321 ; 세절다짐부
322 ; 마늘거치부위 322a ; 거치침

Claims (11)

  1. 일측이 회전축 고정되는 작용수단에 의해 중심으로 가압작동하며 서로 겹질러 지도록 작동하는 것에 의해 내부에 삽입된 마늘이 다져지고 세절(細切)됨과 동시에,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세절되고 다져지는 마늘에 의해 앞서 다져진 마늘이 외부로 밀려나오도록 일정 간격을 가지며 평행한 다수의 세절칼날이 상기 회전축 부근의 작용수단 다짐용 평판상에 구비되는 마늘 세절 다지기에 있어서,
    회전축 작동을 위해 그 끝단에 힌지 일축단을 구비하며, 일정한 간격이며 평행한 다수의 세절칼날을 구비하고 있는 다지기상절대(310)와;
    회전축 작동을 위해 그 끝단에 다지기상절대(上切袋)의 힌지 일축단에 대응되는 또 다른 힌지 일축단을 구비하며, 다지기상절대의 세절칼날과 겹질러 작동되기 위해 다지기상절대의 세절칼날과 사이사이 맞물리도록 평행한 일정한 간격의 다수 세절칼날을 구비하고 있는 다지기하절대(下切袋)(320)를 포함하되;
    상기 다지기상절대 및 상기 다지기하절대의 작동에 의해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세절되고 다져지는 마늘에 밀려 앞서 다져진 마늘이 외부로 밀려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세절 다지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세절칼날이 구비되는 부위의 중심부에, 다지기 위해 내재시키는 마늘을 거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치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세절 다지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외주연 둘레가 개방되어 있는 부위에서 암수형태로 삽입 결합하여 체결하는 경우,
    상기 다지기상절대와 다지기하절대중 어느 하나의 끝단에는 삽입 결합할 수 있는 일부 개방된 힌지홀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홀에 대응하도록 상기 힌지홀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다지기상절대와 다지기하절대중 어느 하나의 끝단에는 그 자루의 맞은 편으로, 체결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침이 형성되되;
    상기 힌지홀의 개방부위와 상기 체결침은 상기 마늘세절다지기의 회동작동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반대정도의 각도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세절 다지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지기상절대와 다지기하절대는 마늘을 다짐 작동시 맞물려 접힌 상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다지기상절대 및 다지기하절대가 접힌 상태에서 마주보는 중심으로, 상기 다지기상절대 및 다지기하절대의 어느 하나 이상에 이격돌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세절 다지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지기상절대 및 다지기하절대는 접힌 상태에서 접히기 전 상태로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다지기상절대 및 다지기하절대가 접힌 상태에서 마주보는 중심으로, 상기 다지기상절대 및 다지기하절대의 어느 하나 이상에 반동 탄성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세절 다지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절칼날이 형성된 주위에는 상기 다져진 마늘을 밀리게 하여 외부로 추출되도록 용기형 외주연을 형성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세절 다지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지기상절대와 다지기하절대의 끝단에 각각 구비된 힌지 일축단은, 서로 분리 및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원기둥형 힌지돌기(310a)와 힌지홀(32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세절 다지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돌기의 끝단은 뾰족하며, 힌지홀 외면 일측에는 끝단이 뾰족한 마늘제거돌기(e)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세절 다지기.
KR1020070107942A 2007-06-04 2007-10-25 마늘 세절 다지기 KR100828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152 2007-06-04
KR20070009152 2007-06-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151B1 true KR100828151B1 (ko) 2008-05-07

Family

ID=39649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942A KR100828151B1 (ko) 2007-06-04 2007-10-25 마늘 세절 다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1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323U (ko) * 2018-07-31 2020-02-10 조은호 고기 칼집 기구
KR102491535B1 (ko) * 2022-04-22 2023-01-20 이의진 마늘 다지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1237A (en) * 1997-11-03 1998-08-11 Faye Fong Chen Garlic pres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1237A (en) * 1997-11-03 1998-08-11 Faye Fong Chen Garlic pres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323U (ko) * 2018-07-31 2020-02-10 조은호 고기 칼집 기구
KR200492284Y1 (ko) * 2018-07-31 2020-09-10 조은호 고기 칼집 기구
KR102491535B1 (ko) * 2022-04-22 2023-01-20 이의진 마늘 다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47760C1 (en) Device for processing foodstuffs
RU2399361C1 (ru) Соковыжималка
KR100966607B1 (ko) 주서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 모듈
KR102221753B1 (ko) 재료의 전처리 커팅 시스템이 포함된 주서기 구조
KR101220996B1 (ko)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KR100828151B1 (ko) 마늘 세절 다지기
KR101480934B1 (ko) 전동식 푸드 그레이터
CN204520242U (zh) 食物制备装置和包括其的用于制备食物的家电设备
EP1610660B1 (en) Shredding appliance for shredding vegetables or other food articles
JP2000060745A (ja) 食材投入管
US5261613A (en) Stationary disc cutting assembly
US4828188A (en) Paper shredding device
CN214487200U (zh) 一种餐厨垃圾无害化处理装置
CN203424844U (zh) 食物研磨器
KR20120012038A (ko) 조립형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CN215740511U (zh) 一种用于中药饮片加工的滚筒式炒制装置
CN201076340Y (zh) 洋葱切碎机
GB2328145A (en) Multi-purpose mixer/grinder and blade therefor
KR20120012039A (ko) 편심형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70033141A (ko) 채소 분쇄장치
US7441720B2 (en) Ice-crusher
CN220898549U (zh) 食材直出式料理机
CN110721783A (zh) 一种带绞肉功能的菜馅机
KR20150102414A (ko) 직투입 구조를 가지는 넓은 투입구의 주서기
CN219723113U (zh) 一种大豆组织蛋白离心式粉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