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990B1 - 철도차량 연결통로의 연결 발판 구조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연결통로의 연결 발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990B1
KR100827990B1 KR1020070065016A KR20070065016A KR100827990B1 KR 100827990 B1 KR100827990 B1 KR 100827990B1 KR 1020070065016 A KR1020070065016 A KR 1020070065016A KR 20070065016 A KR20070065016 A KR 20070065016A KR 100827990 B1 KR100827990 B1 KR 100827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nonslip
slip
foot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의용
Original Assignee
권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의용 filed Critical 권의용
Priority to KR1020070065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5/00Gangways for coupled vehicles, e.g. of concertina type
    • B60D5/006Passages between articulated vehicles, e.g. bridges or rotating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20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을 연결하여 편성을 구성하는 철도차량의 연결부에 연결통로에 설치되는 통로 연결발판(gangway footplate)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이 연결되어 편성을 구성하는 각 철도차량의 차량 끝부분에는 승객이 용이하고 또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철도차량 연결통로의 연결발판(100) 구조에서, 양쪽 객차의 출입문 사이에 각각 연결된 철도차량 연결통로의 연결발판(100)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제1, 2돌출부(210, 220)가 형성된 타원형의 논슬립부(200)가 연결발판(100) 전면에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철도차량, 연결발판, 논슬립, 연결통로

Description

철도차량 연결통로의 연결 발판 구조{Foot plate structure of gangway connecting rail cars}
도 1은 종래 철도 차량의 연결 발판의 설치 구조가 도시된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철도 차량의 연결 발판의 설치 구조가 도시된 평면도(1)
도 3은 종래 철도 차량의 논슬립 연결 발판의 설치 구조가 도시된 평면도(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결 발판의 설치 구조가 도시된 평면도(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발판부의 확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발판부의 타원형 논슬립부 확대도
도 7은 도 6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연결통로의 타원형 논슬립부 A-A부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의 연결 발판의 설치 구조가 도시된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의 연결 발판의 설치 구조가 유동되는 것이 도시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연결 발판 100 타원형의 논슬립부 200 제1돌출부 210 제2돌출부 220 지지브래킷 300
본 발명은 철도차량을 연결하여 편성을 구성하는 철도차량의 연결부에 연결통로에 설치되는 통로 연결발판(gangway footplate)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이 연결되어 편성을 구성하는 각 철도차량의 차량 끝부분에는 승객이 용이하고 또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철도 차량의 연결 발판의 설치 구조가 도시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철도 차량의 연결 발판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차(1)의 앞쪽과 뒤쪽 통로 출입구에는 도어실(doorsill) 플레이트(3)가 각각 설치되고, 그 위에 출입문이 여닫힐 수 있도록 레일(5)이 장착된다.
특히, 상기 도어실 플레이트(3)에는 양쪽 객차 사이에 사람이 다닐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 발판(10)이 힌지(7)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 발판(10)은 도 1에서와 같이 상하로 일부가 겹친 모양으로 위치됨으로써 탑승자나 승무원 등이 객차와 객차 사이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발판(10)의 하측에는 상기 도어실 플레이트(3)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 발판(10)을 지지하는 지지브래킷(9)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발판(10)의 끝단에는 발판이 서로 부드럽게 접촉할 수 있도록 고무 등으로 형성된 완충접촉부 재(15)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발판(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엠보싱(embossing)이 연속된 구조로 형성된 논슬립부(12)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연결 발판(10)의 논슬립부(12)가 엠보싱 모양으로 압착 가공하여 형성될 경우에, 논슬립부(12)의 모양이 엠보싱 가공의 특성상 양각에 의한 둥근 라운드 모양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느 정도 미끄럼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보다 향상된 미끄럼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연결 발판(60)은 나사홀(61)이 형성된 테두리(63)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음각으로 가공된 격자 모양의 논슬립부(6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논슬립부(64)는 발판의 길이 방향으로 음각에 의해 형성되는 전후 걸림부(65)와, 상기 전후 걸림부(65)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전후 걸림부(65)의 음각이 끊어진 구조로 형성된 좌우 걸림부(69)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후 걸림부(65)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길게 형성되어 탑승자가 객차의 길이 방향인 전후 이동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상기 전후 걸림부(65)는 음각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홈부(67)가 형성됨에 따라 홈부(67) 사이에는 발판의 평면이나 상기 홈부(6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돌출된 돌기부(66) 가 위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도 3에 나타낸 종래의 연결 발판(60)의 구조는 발판의 길이 방향으로 음각에 의해 형성된 전후 걸림부(65)와, 상기 전후 걸림부의 음각이 끊어진 구조로 형성된 좌우 걸림부(69)로 이루어진 구조에 있어, 승객들이 상기 연결 발판(60)에 이동시 승객의 신발 등에 의해 이물질(흙 등)이 붙어 상기 연결 발판을 이동중 이물질이 상기 연결 발판(60)의 음각부를 이루는 전후 걸림부(65)의 홈부(67)에 채워지게 되며, 이로 인해 연결 발판(60)의 논슬립부(64)가 평면화되어 논슬립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며, 상기 홈부(67)에 채워진 이물질을 청소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는 논슬립부(64)의 음각으로 형성된 홈부(67)를 제외한 돌기부(66)의 높이는 테두리(63)의 높이와 일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홈부(67)에 삽입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홈부(67)에 삽입시킬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논슬립부(64)의 음각으로 형성된 홈부(67)를 제외한 돌기부(66)의 높이는 테두리(63)의 높이와 일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논슬립의 역할을 수행한다고는 하나, 이는 모순점이 있으며 돌기부(66)의 높이와 테두리(63)가 평면화로 인해 완벽한 논슬립에 문제가 있으며, 홈부(67)의 길이방향으로 승객이 미끄러질 수 있으며 이를 방어할 수 있는 좌우 걸림부(69)가 있어 문제를 해결한다고는 하나, 미끄러지는 과정이 먼저 선행되어 이미 논슬립의 역할을 한다는 것은 모순점이 있다.
승객의 신발 밑창의 구조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기 이전에는 상기 종래의 발명에 목적에 해당될 수 있으나, 신발의 밑창 구조는 평면구조에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상기 종래의 발명에는 기대효과를 누릴 수 없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연결 발판은, 길이방향으로 돌출부가 구비된 타원형의 논슬립부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어떠한 방향에서도 미끄러질 우려가 없으며, 장시간 사용에도 논슬립부의 마모가 최소화되어 장시간 동안 보다 안전하게 전후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철도차량 연결통로의 연결발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연결통로의 연결발판(100) 구조는, 양쪽 객차의 출입문 사이에 각각 연결된 철도차량 연결통로의 연결발판(100)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제1, 2돌출부(210, 220)가 형성된 타원형의 논슬립부(이하 "논슬립부"라 칭함)(200)가 연결발판(100) 전면에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상기 논슬립부(200)는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타원형의 길이 방향으로 제1, 2돌출부(210, 220)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2돌출부(210, 220)의 폭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있고, 타원형 구조의 논슬립부(200)로 인해 제1, 2돌출부(210, 220)의 길이는 타원형 구조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인 모양이 타원형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논슬립부(200)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하부에 위치한 제1돌출부(210)는 짧은 길이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중 앙부에 위치한 두 개의 제2돌출부(220)는 같은 길이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1, 2돌출부(210, 220) 양끝단 모양은 전체형상의 타원형 형상을 이루기 위해 도면에서 보여 지는 바와 같이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형상의 연결발판(100)은 어떠한 방향에서도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승객의 발이 상기 연결발판(200)에 면접하는 부위에 있어 상기 승객의 발이 즉, 발의 앞부분 또는 뒷부분이 닿는 면적에서 상기 타원형의 논슬립부(200)에 발의 어떤 부위에 면접하더라도 그 면접되는 부위에 논슬립부(200)가 위치하게 되어 승객이 힘을 주는 어떠한 방향에서도 절대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상기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면, 타원형의 논슬립부(200)에 형성된 제1, 2돌출부(210, 220)는 각각 그 길이의 배열이 다르며 양끝단의 제1돌출부(210)가 제2돌출부(220)의 전체 길이와는 다소 협소하게 이루어진 형상을 가지고 있어 승객의 발이 면접되는 순간 길이의 배열이 다른 제1돌출부(210)와 그 양끝단의 협소한 폭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타원형의 논슬립부(200)가 연결발판(100) 전면에 일정 배열로 다수개 형성되어 논슬립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연결통로의 연결발판(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객차의 도어실 플레이트에 각각 힌지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양쪽 객차가 서로 연결된 조건에서 일부가 서로 겹쳐진 구조로 배치된다.
물론, 상기 도어실 플레이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쪽 객차의 출입문의 하부를 구 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발판의 하부에는 발판을 지지하도록 지지브래킷(30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연결발판(100)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홀이 형성된 부분에서도 논슬립부(2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연결발판(100) 전면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타원형의 논슬립부(20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타원형의 길이방향으로 제1, 2돌출부(210, 220)가 다수개 형성된 타원형의 논슬립부(200)가 전면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연결발판(100)은, 철도 차량이 이동 중이거나 정차 또는 출발시에도 객차 사이의 연결 통로를 통과하는 사람이 전후 방향은 물론 좌우 방향으로도 미끄러지지 않고 보다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도 7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발판(100)에 사용되는 강판의 표면에 논슬립부(200)의 타원형 문양의 제1, 2돌출부(210, 220)를 양각시키는 부식방법은 공지된 부식방법중 금속판에 음각 또는 양각의 요철무늬를 형성할 시에는 그 무늬를 도안한 후 이를 부식방지 잉크에 의해 금속판의 표면에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인쇄한 후, 부식제에 의해 무늬가 인쇄되지 않은 여백부분에 염화 제2철 등의 부식제를 분사하여 부식시키는 방법으로 그 무늬를 각인 형성하는 공지의 부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다른 공지의 부식방법중 플라즈마 용융증착 등 양각의 문양 을 각인할 수 있는 다른 어떤 방법으로 연결발판(100)의 논슬립부(200) 타원형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연결통로의 연결 발판은, 타원형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부가 다수개 형성된 타원형의 논슬립부가 전면에 다수개 형성되어 어떠한 방향에서도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에도 논슬립부의 돌출부가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장시간 동안 보다 안전하게 전후/좌우 방향으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양쪽 객차의 출입문 사이에 각각 연결된 철도차량 연결통로의 연결 발판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발판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하측에 위치한 제1돌출부는 짧은 길이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중앙부에 위치한 두 개의 제2돌출부는 같은 길이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타원형의 논슬립부가 연결 발판 상면에 일정 배열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연결통로의 연결 발판 구조
KR1020070065016A 2007-06-29 2007-06-29 철도차량 연결통로의 연결 발판 구조 KR100827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016A KR100827990B1 (ko) 2007-06-29 2007-06-29 철도차량 연결통로의 연결 발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016A KR100827990B1 (ko) 2007-06-29 2007-06-29 철도차량 연결통로의 연결 발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7990B1 true KR100827990B1 (ko) 2008-05-08

Family

ID=3964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016A KR100827990B1 (ko) 2007-06-29 2007-06-29 철도차량 연결통로의 연결 발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9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362B1 (ko) 2008-08-20 2010-07-27 지엔씨중공업(주) 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구조
KR20160039580A (ko) * 2016-02-17 2016-04-11 송달영 철도 차량용 논슬립 매트의 제조 방법
KR101776092B1 (ko) * 2015-11-05 2017-09-07 송달영 철도 차량용 연결 발판
KR101829297B1 (ko) * 2016-02-11 2018-02-19 송달영 철도차량용 슬립 방지판의 제조방법
KR20180066489A (ko) 2016-12-09 2018-06-19 송한나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0607U (ko) 1975-07-31 1977-02-14
KR200370524Y1 (ko) 2004-09-14 2004-12-14 정연숙 철도 차량의 논슬립 연결 발판
KR20050048504A (ko) * 2003-11-18 2005-05-24 도큐 샤로우 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차량
KR20050120608A (ko) * 2005-12-06 2005-12-22 성원강업 주식회사 비계용 작업발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0607U (ko) 1975-07-31 1977-02-14
KR20050048504A (ko) * 2003-11-18 2005-05-24 도큐 샤로우 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차량
KR200370524Y1 (ko) 2004-09-14 2004-12-14 정연숙 철도 차량의 논슬립 연결 발판
KR20050120608A (ko) * 2005-12-06 2005-12-22 성원강업 주식회사 비계용 작업발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362B1 (ko) 2008-08-20 2010-07-27 지엔씨중공업(주) 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구조
KR101776092B1 (ko) * 2015-11-05 2017-09-07 송달영 철도 차량용 연결 발판
KR101829297B1 (ko) * 2016-02-11 2018-02-19 송달영 철도차량용 슬립 방지판의 제조방법
KR20160039580A (ko) * 2016-02-17 2016-04-11 송달영 철도 차량용 논슬립 매트의 제조 방법
KR101634996B1 (ko) 2016-02-17 2016-07-01 송달영 철도 차량용 논슬립 매트의 제조 방법
KR20180066489A (ko) 2016-12-09 2018-06-19 송한나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990B1 (ko) 철도차량 연결통로의 연결 발판 구조
US20170275886A1 (en) Portable slope
JP2007118758A (ja) 電車乗降用スロープ
MA29710B1 (fr) Procédé d&#39;enrobage d&#39;un rail pour véhicule ferroviaire
KR20130128223A (ko) 전동차 승강장의 발 빠짐 방지장치
CA2574019A1 (en) Climbing guard for railway vehicles
US20100224097A1 (en) Safety gap filler for railway platforms
CA3022814C (en) Device for setting up a level crossing
KR200370524Y1 (ko) 철도 차량의 논슬립 연결 발판
KR101807079B1 (ko) 고무보판 철도 건널목 장치
JP6619772B2 (ja) バス停留所用縁石ブロック
JP5097177B2 (ja) 鉄道踏切のゴム製舗装板およびそのゴムパッド
KR200364765Y1 (ko) 철도 차량용 논슬립 매트
KR960002065Y1 (ko) 철도차량용 출입구의 논슬립 매트
KR200454982Y1 (ko) 철도차량용 슬라이딩 발판 커버장치
KR200454487Y1 (ko) 철도차량의 출입문 발판부재
CN103015881A (zh) 工装梯
EP2930082A1 (en) Apparatus for filling a gap between the edge of a platform and a vehicle
JP5342542B2 (ja) 鉄道車両用手歯止め
CN207060015U (zh) 一种车辆防滑垫
CN205854164U (zh) 磨耗板及具有其的转向架
KR20050098693A (ko)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CN219134141U (zh) 一种用于铁路站台的临时安全踏板
JP2000118938A (ja) エスカレータ
CN219592098U (zh) 一种防止铁路电缆槽混凝土盖板脆断掉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