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489A -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489A
KR20180066489A KR1020160167359A KR20160167359A KR20180066489A KR 20180066489 A KR20180066489 A KR 20180066489A KR 1020160167359 A KR1020160167359 A KR 1020160167359A KR 20160167359 A KR20160167359 A KR 20160167359A KR 20180066489 A KR20180066489 A KR 20180066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ailway vehicle
plates
plate
cab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0998B1 (ko
Inventor
송한나
Original Assignee
송한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한나 filed Critical 송한나
Priority to KR1020160167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9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6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5/00Gangways for coupled vehicles, e.g. of concertina type
    • B60D5/006Passages between articulated vehicles, e.g. bridges or rotating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20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에서 인접한 객차를 연결하는 통로의 바닥부는 철도차량이 주행하는 구간에 따라 상하 높이 차가 발생하거나, 좌우로 휘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높이차에도 승객이 안정적으로 통로를 이동할 수 있게 하며, 곡선 및 구배 구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 하여 승차감을 높일 수 있는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접하는 철도차량의 객차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도어실(doorsill)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에서 마주보는 객차를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의 일부와 상부에서 겹쳐지도록 수평 설치된 주 발판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a connecting apparatus a cabin to a near cabin of a pass way for a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에서 인접한 객차를 연결하는 통로의 바닥부는 철도차량이 주행하는 구간에 따라 상하 높이 차가 발생하거나, 좌우로 휘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높이차에도 승객이 안정적으로 통로를 이동할 수 있게 하며, 곡선 및 구배 구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 하여 승차감을 높일 수 있는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은 객차와 객차 사이에 연결 통로가 구비되고, 이 연결 통로 상에는 탑승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브리지 플레이트(bridge plate)라고도 불리는 연결 발판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철도 차량의 연결 발판의 설치 구조가 도시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철도 차량의 연결 발판의 설치 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차(1)의 앞쪽과 뒤쪽 통로 출입구에는 도어실(doorsill) 플레이트(3)가 각각 설치되고, 그 위에 출입문이 여닫힐 수 있도록 레일(5)이 장착된다.
특히, 상기 도어실 플레이트(3)에는 양쪽 객차 사이에 사람이 다닐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 발판(10)이 힌지(7)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 발판(10)은 도 1에서와 같이 상하로 일부가 겹친 모양으로 위치됨으로써 탑승자나 승무원 등이 객차와 객차 사이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발판(10)의 하측에는 상기 도어실 플레이트(3)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 발판(10)을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9)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발판(10)의 끝단에는 발판이 서로 부드럽게 접촉할 수 있도록 고무 등으로 형성된 완충접촉부재(15)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발판(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엠보싱(embossing)이 연속된 구조로 형성된 논슬립부(12)가 형성된다.
종래 철도 차량의 연결 발판의 설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발판(10)이 2개로 구비되되, 상기 연결 발판(10) 2개의 선단부가 상하로 소정거리 만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이는, 상기 객차와 인접하는 객차가 상호 높이차가 발생한 경우, 상기 연결 발판(10)의 상호 오버랩 길이가 변경됨으로써 상기 객차간 높이차를 흡수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철도 차량의 연결 발판의 설치 구조에 따르면, 상기 연결 발판(10) 중 하나는 수평으로 구비되나, 나머지 하나는 수평으로 구비된 상기 연결 발판(10)의 하부로 비스듬하게 경사 배치되는 바, 보행자가 자칫 발을 헛디딜 수 있음은 물론 일체감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객차와 객차 사이의 통로가 객차의 폭에 근접되는 와이드 통로가 구축되고 있는 추세인데, 객차간 높이차가 발생한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르면 높이차에 따른 단차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793744 한국등록특허 10-082799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이 주행시에 직선구간이 아닌 곡선구간이나 상하 구배가 발생하는 구간을 주행할 때, 객차 간에 발생하는 상하 높이 차가 발생하거나 좌우 일정 각도로 회전하더라도 승객이 안전하게 이동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연결 구성의 마찰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승차감을 높여줄 수 있는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접하는 철도차량의 객차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도어실(doorsill)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에서 마주보는 객차를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의 일부와 상부에서 겹쳐지도록 수평 설치된 주 발판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주 발판 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바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외통체와, 상기 외통체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 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외통체의 측부에는 상하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도록 고정돌부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바의 양측 단부에는 볼조인트가 구비되어 도어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실 플레이트에는 고정브라켓이 구비되어 상기 볼조인트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차량이 주행시에 직선구간이 아닌 곡선구간이나 상하 구배가 발생하는 구간을 주행할 때, 객차 간에 발생하는 상하 높이 차가 발생하거나 좌우 일정 각도로 회전하더라도 승객이 안전하게 이동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연결 구성의 마찰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승차감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철도 차량의 연결 발판의 설치 구조가 도시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철도 차량의 연결 발판의 설치 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인접하는 철도차량의 객차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도어실(doorsill) 플레이트(400)와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400)에서 마주보는 객차를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200)와 상기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200)의 일부와 상부에서 겹쳐지도록 수평 설치된 주 발판 플레이트(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400)는 상기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200) 및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100)를 각각 객차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행자가 안전하게 인접한 객차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객차에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20)는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400)에서 각각 마주보는 객차를 향하여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되, 가능한 한 객차간 높이차가 없는 경우 수평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는 상기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200)의 하부에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400)를 각각 연결하게 되고,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100)의 하부에는 주 발판 플레이트(10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바(3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지바(300)는 철도차량이 주행중에 발생하는 인접한 객차간의 이격 거리의 변화 및 높이차의 변화를 보상하여 승객이 인접한 객차로 이동할 때, 위화감이 없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지지바(3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외통체(310)와 상기 외통체(31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 바(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통체(310)와 슬라이딩 바(320)의 마주보지 않는 단부는 도어실 플레이트(40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바(300)는 외통체(310)와 슬라이딩 바(320)에 의해 길이가가변되게 되므로, 철도차량이 곡선구간을 주행할 때, 인접한 객차가 서로 일정 각도로 절곡되더라도 상기 한 쌍의 지지바(300) 중에서 외측에 회전 방향의 외측에 위치한 지지바(300)의 길이는 길어지게 되고, 회전방향의 내측에 위치한 지지바(300)의 길이는 짧아지게 되어 인접한 객차의 절곡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외통체(310)의 내측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프링 등의 완충부재가 구비되어 슬라이딩 바(320)를 탄성지지하도록 하여, 철도차량이 곡선 구간을 주행할 때, 지지바(300)의 길이가 가변될 경우 갑작스러운 길이 변화를 방지하도록 하여 외통체(310)와 슬라이딩 바(32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며, 그에 따른 소음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통체(310)의 측부에는 연결부(330)가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부(330)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관통공(33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100)의 하면에는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고정돌부(110)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돌부(110)는 상기 관통공(332)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부(110)는 주 발판 플레이트(100)의 하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직접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를 사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그래서,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100)의 하면에 형성된 고정돌부(110)는 상기 연결부(330)에 형성된 관통공(332)에 삽입되고 너트(120) 등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바(300)의 상부에 주 발판 플레이트(100)가 상기 관통공(332)을 통하여 일정 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상기 지지바(300)의 길이가 가변되더라도 주 발판 플레이트(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부(110)는 상기 연결부(330)에 결합될 때, 용이하게 회전가능하면서도, 상황에 따라 상하 유동이 가능하게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바(300)의 양측 단부에는 볼조인트(420)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실 플레이트(400)에 고정되게 되는데, 상기 도어실 플레이트(400)에는 고정브라켓(410)이 구비되어 상기 볼조인트(420)의 단부가 결합 고정된다.
그래서, 상기 지지바(300)는 상기 볼조인트(420)에 의해 다양한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철도차량이 곡선 구간을 주행할 때, 볼조인트(420)를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할 수 있게 되며, 구배 구간을 주행할 경우에도 상기 볼조인트(420)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철도차량이 곡선 구간을 주행하거나 구배 구간을 주행할 때, 인접한 객차 사이의 각도가 비틀리거나, 높이 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볼조인트(420)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바(300)에 의해 각도와 높이차를 보정할 수 있어, 승객들이 인접한 객차로 이동할 때, 주 발판 플레이트(100)를 통하여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상기 볼조인트(4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브라켓(410)을 이용하여 도어실 플레이트(400)에 결합될 수도 있고, 추가적인 구성을 사용하지 않고 볼조인트(420)가 직접 도어실 플레이트(400)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승객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주 발판 플레이트(100)의 상면 일부의 표면 거칠기가 높아지도록 에칭 등의 방식으로 형성된다.
또한, 객차간 이격거리의 변화 및 높이차에 따라 움직이는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110)의 스트로크 거리만큼을 제외한 상기 보조 발판 플레이트(200)의 상면에는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100)의 미끄럼방지부와 동일한 형상의 미끄럼방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에서 인접한 객차를 연결하는 통로의 바닥부는 철도차량이 주행하는 구간에 따라 상하 높이 차가 발생하거나, 좌우로 휘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높이차에도 승객이 안정적으로 통로를 이동할 수 있게 하며, 곡선 및 구배 구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 하여 승차감을 높일 수 있는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100 : 주 발판 플레이트 110 : 고정돌부
120 : 너트 200 : 보조 발판 플레이트
300 : 지지바 310 : 외통체
320 : 슬라이딩 바 330 : 연결부
332 : 관통공 400 : 도어실 플레이트
410 : 고정브라켓 420 : 볼조인트

Claims (6)

  1. 인접하는 철도차량의 객차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도어실(doorsill)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에서 마주보는 객차를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의 일부와 상부에서 겹쳐지도록 수평 설치된 주 발판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주 발판 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외통체와,
    상기 외통체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 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의 측부에는 상하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도록 고정돌부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의 양측 단부에는 볼조인트가 구비되어 도어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실 플레이트에는 고정브라켓이 구비되어 상기 볼조인트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KR1020160167359A 2016-12-09 2016-12-09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KR101910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359A KR101910998B1 (ko) 2016-12-09 2016-12-09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359A KR101910998B1 (ko) 2016-12-09 2016-12-09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489A true KR20180066489A (ko) 2018-06-19
KR101910998B1 KR101910998B1 (ko) 2018-10-25

Family

ID=62790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359A KR101910998B1 (ko) 2016-12-09 2016-12-09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99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3331A (ja) * 1999-04-30 2000-11-14 Kawasaki Heavy Ind Ltd 車両用転落防止柵装置
JP2006240349A (ja) * 2005-03-01 2006-09-14 Kinki Sharyo Co Ltd 鉄道車両の渡り板装置
JP2007022213A (ja) * 2005-07-13 2007-02-01 Kinki Sharyo Co Ltd 鉄道車両の渡り板装置
KR100793744B1 (ko) 2006-08-30 2008-01-10 현대로템 주식회사 고속철도 차량의 객차간 연결통로
KR100827990B1 (ko) 2007-06-29 2008-05-08 권의용 철도차량 연결통로의 연결 발판 구조
CN103625488B (zh) * 2012-08-22 2017-02-22 虎伯拉铰接系统(上海)有限公司 过渡部的过桥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3331A (ja) * 1999-04-30 2000-11-14 Kawasaki Heavy Ind Ltd 車両用転落防止柵装置
JP2006240349A (ja) * 2005-03-01 2006-09-14 Kinki Sharyo Co Ltd 鉄道車両の渡り板装置
JP2007022213A (ja) * 2005-07-13 2007-02-01 Kinki Sharyo Co Ltd 鉄道車両の渡り板装置
KR100793744B1 (ko) 2006-08-30 2008-01-10 현대로템 주식회사 고속철도 차량의 객차간 연결통로
KR100827990B1 (ko) 2007-06-29 2008-05-08 권의용 철도차량 연결통로의 연결 발판 구조
CN103625488B (zh) * 2012-08-22 2017-02-22 虎伯拉铰接系统(上海)有限公司 过渡部的过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998B1 (ko) 201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7772B2 (en) Low-floor railway vehicle bogie and low-floor railway vehicle comprising the bogie
CN102438881A (zh) 用于侧部碰撞保护的可变形横向车梁
JP2005132127A (ja) 鉄道車両および鉄道車両用台車
KR101910998B1 (ko)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KR20160144705A (ko)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KR101776092B1 (ko) 철도 차량용 연결 발판
JP6932097B2 (ja) 軌条車両用台車
JP2010052511A (ja) 鉄道車両用車体
KR100604380B1 (ko) 3차 현수기능을 갖는 철도차량용 대차
JP6756830B2 (ja) 車両用シート
CN106494446A (zh) 轨道交通列车转向架
JP3119047U7 (ko)
JP2005081939A (ja) 鉄道車両及び鉄道車両用台車
KR102147992B1 (ko) 철도차량의 통로연결막 양내측에 설치된 가림판부재의 상,하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KR100604379B1 (ko) 3차 현수기능의 철도차량용 대차
WO2021169617A1 (zh) 用于轨道车辆的贯通道和具有其的轨道车辆
JP7497283B2 (ja) 軌条車両及びその製造方法
JP5868639B2 (ja) 鉄道車両用車体
JP7426308B2 (ja) レール接合体
KR101465011B1 (ko) 철도차량용 볼스터의 사이드 베어링 구조
JP2005081942A (ja) 鉄道車両及び鉄道車両用台車
KR100241927B1 (ko)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KR100638390B1 (ko) 철도차량 및 철도차량용 대차
KR20160039458A (ko) 철도 차량용 연결 발판
KR200165280Y1 (ko) 철도차량용 시트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