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280Y1 - 철도차량용 시트프레임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시트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280Y1
KR200165280Y1 KR2019970013201U KR19970013201U KR200165280Y1 KR 200165280 Y1 KR200165280 Y1 KR 200165280Y1 KR 2019970013201 U KR2019970013201 U KR 2019970013201U KR 19970013201 U KR19970013201 U KR 19970013201U KR 200165280 Y1 KR200165280 Y1 KR 2001652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rame
fixed
frame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0051U (ko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70013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280Y1/ko
Publication of KR199900000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0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2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2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3/00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공간의 활용도를 증가시키고 중량감소와 작업공수의 절감이 이루어지는 개선된 철도차량용 시트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체바닥부에 설치되어 승객이 착석할 수 있는 시트부를 갖춘 시트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트(1)를 보유지지하는 레그프레임(2)이 벽체(3)에 보울트(4)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부착되어, 이레그프레임(2)은 양측 선단프레임(5a, 5b)과 센터프레임(6)의 앞·뒷쪽 선단들을 전·후면프레임(7a, 7b)으로 연결 고정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시트프레임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시트를 지지하는 시트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재수가 절감되고, 공간활용이 증대되면서, 시트를 안정적으로 지지 할 수 있도록 된 철도차량용 시트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승객이 착석을 위한 시트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고정된 지지체(102)위에 얹혀져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바닥에 고정된 지지체(102) 위에 시트(101)가 얹혀져서 고정된 상태이므로, 시트(101)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지만, 지지체(102)를 구성하는 가로 및 세로 부재들의 구조가 복잡하고, 이들 부재들의 상호 체결작업이 난이하며, 자체 중량이 무거운 단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지지체(102)가 일부 바닥을 점유하면, 착석자 시트 밑쪽으로 다리를 접을 수 없는 불편이 유발되고, 바닥청소가 불리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부채수가 절감되고, 공간활용이 증대되면서, 시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철도차량용 시트프레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프레임에 의해 철도차량에 시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평면도.
제2도는 제1도는 Ⅰ-Ⅰ선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X방향으로 바라본 시트프레임의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평면도.
제5도는 종래 기술로서, 제2도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 2 : 시트프레임
3 : 벽체 4 : 보울트
5a,5b : 측면프레임 5a′,5b′ : 체결부
6 : 보강프레임 7a : 전면프레임
7a′: 체결부 7b : 후면프레임
7b′: 체결부 8 : 바닥
9a,9b,9c : 고정프레임 10 : 시트프로텍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의 고정프레임이 구비되어 보울트 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벽체에 고정되는 후면프레임과 ; 후면프레임과 90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후면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체결부가 구비되어 보울트나 나사 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시트프로텍터나 측벽에 고정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 ; 한 쌍의 측면프레밍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후면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면프레임 및 ; 양단이 각각 전·후면프레임에 고정되어 한 쌍의 측면프레임 사이에서 이들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프레임에 의해 철도차량에 시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평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Ⅰ-Ⅰ선 단면도인 바, 이에 따르면, 바닥(8)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들어올려진 위치에서, 보울트(4)나 나사 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시트프레임(2)이 벽체(3)와 시트프로텍터(10), 또는 측벽(3a)에 고정되고, 이 시트프레임(2)위에 시트(1)가 얹혀져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착석자가 시트(1) 밑의 이격 공간으로 다리를 접을 수 있게 되고, 개방된 시트(1)밑의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게 되어 객실을 보다 청결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3도는 제2도의 X방향에서 바라본 시트프레임의 정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평면도인 바, 이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시트프레임(2)은, 다수의 고정프레임(9a,9b,9c)이 구비되어 보울트(4)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벽체(3)에 고정되는 후면프레임(7b)과; 후면프레임(7b)과 90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후면프레임(7b)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체결부(5a′,5b′)가 구비되어 보울트나 나사 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시트프로텍터(10)나 측벽(3)에 고정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5a,5b) ; 한 쌍의 측면프레임(5a,5b)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후면프레임(7b)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면프레임(7a) 및 ; 양단이 각각 전·후면프레임(7a,7b)에 고정되어 한 쌍의 측면프레임(5a,5b) 사이에서 이들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보강프레임(6)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도에 따르면, 하나의 보강프레임(6)이 설치되어 있지만, 전·후면프레임(7a,7b)의 길이에 따라 다수개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미설명부호 7a′,7b′는 시트(1)가 고정되는 체결부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ㅁ”자 형태의 시트프레임(5a,5b)이 별도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벽체(3)에 체결되면서, 양쪽 측면프레임이 측벽(3a)이나 시트프로텍터(10)에 고정되므로, 시트프레임(5a,5b)의 고정성이 향상되고, 하중 지지력이 충분히 보장된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4각형의 시트프레임이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에서 벽체와 시트프로텍터, 또는 측벽에 고정되므로, 공간활용이 증대되면서, 시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시트프레임은, 전·후면프레임과, 한 쌍의 측면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보강프레임으로 구성되므로, 종래 기술에 비해 부재수가 절감되고, 자체 중량이 가벼워지는 잇점도 기대된다.

Claims (1)

  1. 다수의 고정프레임(9a,9b,9c)이 구비되어 보울트(4)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벽체(3)에 고정되는 후면프레임(7b)과; 후면프레임(7b)과 90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후면프레임(7b)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체결부(5a′,5b′)가 구비되어 보울트나 나사 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시트프로텍터(10)나 측벽(3)에 고정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5a,5b); 한 쌍의 측면프레임(5a,5b)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후면프레임(7a,7b)에 고정되어 한쌍의 측면프레임(5a,5b) 사이에서 이들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프레임(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시트프레임.
KR2019970013201U 1997-06-02 1997-06-02 철도차량용 시트프레임 KR2001652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201U KR200165280Y1 (ko) 1997-06-02 1997-06-02 철도차량용 시트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201U KR200165280Y1 (ko) 1997-06-02 1997-06-02 철도차량용 시트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051U KR19990000051U (ko) 1999-01-15
KR200165280Y1 true KR200165280Y1 (ko) 2000-03-02

Family

ID=19502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201U KR200165280Y1 (ko) 1997-06-02 1997-06-02 철도차량용 시트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2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051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9020B2 (ja) 自動車用の膝支持体
US4632452A (en) Two-abreast passenger seat
AU720282B2 (en) A method to safely restrain occupants in a crashing vehicle and a seat constructed to perform said method
JPS62502883A (ja) 自動車
US2450093A (en) Coach or bus seat
CZ20033169A3 (en) Height-adjustable cantilever seat fixing
KR200165280Y1 (ko) 철도차량용 시트프레임
US4060279A (en) Passenger seat structure for vehicles
JPH0710951Y2 (ja) 車両用シート
JP2010052511A (ja) 鉄道車両用車体
DE50004505D1 (de)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101351385B1 (ko) 철도차량용 경량 시트 어셈블리
CN110816554B (zh) 悬挂列车车端连接方法及系统
JP7497283B2 (ja) 軌条車両及びその製造方法
JP3094873B2 (ja) 車両用シート
KR200368729Y1 (ko) 철도차량용 시트
JPH0228055A (ja) 鉄道車両の構体構造
KR100204766B1 (ko) 캐빈 마운팅 브라켓
RU2182090C1 (ru) Пассажирский вагон купейного типа
JPH0525314Y2 (ko)
US734253A (en) Street-car.
KR101910998B1 (ko)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ES2211709T3 (es) Estructura de piso de una carroceria de vehiculo.
JP6629171B2 (ja) 移動体の床面構造
KR200151536Y1 (ko) 버스의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