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304B1 - 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 및 정신병 치료 활성을갖는 약제의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 및 정신병 치료 활성을갖는 약제의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304B1
KR100826304B1 KR1020037000934A KR20037000934A KR100826304B1 KR 100826304 B1 KR100826304 B1 KR 100826304B1 KR 1020037000934 A KR1020037000934 A KR 1020037000934A KR 20037000934 A KR20037000934 A KR 20037000934A KR 100826304 B1 KR100826304 B1 KR 100826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pyrrolo
alkyl
piperazinyl
benzothiaze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9598A (ko
Inventor
미네티파트리샤
디케사르아순타
마스트로이아니도미니코
캄피아니기우세페
나키비토
Original Assignee
시그마타우 인두스트리에 파르마슈티케 리우니테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그마타우 인두스트리에 파르마슈티케 리우니테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시그마타우 인두스트리에 파르마슈티케 리우니테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30019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3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sychia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cyclic Ring Compounds With Rings Of Six Or More Member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뿐만 아니라 그의 제조 방법,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및 정신병 치료 활성을 갖는 약제의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를 개시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03002137684-pct00008

정신병 치료 활성, 피롤로벤조티아제핀

Description

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 및 정신병 치료 활성을 갖는 약제의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PYRROLO[2,1-b][1,3]BENZOTHIAZEPINES AND THEIR USE FOR THE PREPARATION OF MEDICAMENTS WITH ANTIPSYCHOTIC ACTIVITY}
본 발명은 정신의학적 및 신경학적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화합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급성 및 만성 정신 이상 상태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는 전형적 및 비 전형적 정신병 치료 활성이 있는 피롤로벤조티아제핀 구조를 갖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정신 의학적 및 신경학적 질환에서 도파민 및 도파민 작용성 뉴런의 관련성은 현재 문헌에 광범위하게 입증되어 있다(E.R. Kandel, J.H. Schwartz, in "Principles of Neural Science" Neurology, Elsevier Science Publishing Co. New York, 1985).
관련된 다양한 병변들 중에서 정신분열증은 중추 신경계의 주요 도파민 작용성 경로의 비정상적인 신경전달에 의해 야기되는 복합적인 증후학적 증상을 특징으 로 한다. 양성 증후로서 기술되는 환각 및 일시적인 정신착란 상태는 대사성 도파민 작용성 경로의 증가된 활성에 기인하는 반면, 음성 징후로서 나타내는 인지 결함 및 사회적 고립 상태는 전전두엽 피질의 감소된 도파민 작용성 신경전달에 기인한다.
정신분열증의 급성 및 만성 정신 이상 상태, 병인을 알지 못하는 급성 정신병, 및 다른 질병의 증후학적 증상의 일부를 형성하는 정신 이상 및 흥분 형태에 근원적인 도파민 작용성 신경전달의 과 활성화 상태는 고전적인 정신병 치료제(달리 신경 이완제라 칭함), 가장 전형적으로는 클로르프로마진(페노티아진 부류) 및 할로페리돌(부티로페논 부류)의 사용으로 치료학적 관점에서 상반되게 작용한다.
클로르프로마진은 정신병의 치료에 분명히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된 첫 번째 산물이었다. 상기 화합물은 초기에 진정제로서 사용되었으며 정신병 환자의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는, 즉 상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환자의 각성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환경적 자극에 대해 특별한 무관심을 유발시킬 수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클로르프로마진의 막대한 상업적 성공 덕분에, '50 년대에 새로운 신경 이완제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고 이는 곧 다수의 화학적 부류들에 속하는 다른 정신병 치료 산물들에 대한 동정으로 이끌었다.
신경 이완제의 치료 효능은 도파민 수용체의 봉쇄를 통해 중추 신경계의 도파민 작용성 신경전달을 조절하는 그의 능력과 관련된다.
그의 정신병 치료 효능은 비정상적인 기능적 도파민 작용성 신경전달과 관련 된 대뇌 영역에서 서브유형 D2의 도파민 수용체와 결합하고 상기 수용체를 차단시키는 능력에 직접적으로 비례한다. 더욱이, 정신 약리학 연구는 중변연계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도파민 작용성 과활성이 또한 수용체 서브유형 D1과 D3를 수반함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신경 이완제의 정신병 치료 효능이 또한 상기 수용체들(상기 경로에서 뉴런 단부에 치밀하게 분포된다)과 상호작용하는 그의 능력에 따라 변할 수 있다(J. Schwartz, Giro B., M.P. Martres & P. Sokoloff "Neuroscience" 4, 99-108; 1992).
임상적 관점으로부터, 시중에 존재하는 다수의 신경 이완제들의 정신병 치료 효능은 모든 경우에 정성적으로 동등하다. 이들은 단지 이들 중 일부가 단지 수 ㎎의 용량에서 유효한 반면, 다른 것들은 훨씬 더 많은 용량으로 투여될 필요가 있다는 의미에서 그 효능이 상이하다.
다양한 신경 이완제들간의 실제적인 차이는 불필요한 부작용들, 예를 들어 동맥 저혈압, 진정 작용, 및 무엇보다도 심각한 운동 이상(이들 중 일부는 상기 치료의 임상적 효능과 관련하여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다)의 발생을 촉진시키는 능력에 따른다. 전자는 각각 알파-1 아드레날린 작용성 및 H1 히스타민 작용성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는 능력에 기인하는 반면, 후자는 모든 신경 이완제들에게 공통적으로 흑색선조체 도파민 작용성 시스템의 D2 수용체의 차단에 기인한다.
약리학적 및 임상적 연구는 신경 이완제 및 세로토닌 작용성 5-HT2a 수용체에 대해 선택적인 길항 활성을 갖는 제품을 동시에 투여하여 전자의 정신병 치료 효능을 증가시키고 신경 이완제 단독 처리에 비해 추체외로 증후군의 발생을 약화시킬 수 있음을 밝혔다(G.F. Busatto and R.W. Kerwi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11(1), 3-12; 1997).
이러한 의미에서 추가적인 개발은 혼합된 길항 성분, 즉 상이한 수용체들에 대해 활성인 약물의 생산을 도출시켰다.
클로자핀(8-클로로-11-(4-메틸-1-피페라지닐)-5H-디벤조[b,e][1,4]디아제핀)은 D2 수용체 상에서 도파민을 길항하고 동시에 5-HT2 수용체 상에서 세로토닌을 길항할 수 있는 정신병 치료제이다. 이러한 새로운 작용 프로파일("비 전형적인"이라 칭함)은 정신분열증을 추체외로 증후군이 보다 적게 발생하도록 치료한다(J. Med. Chem., 39, 1996, pp. 1172-1188).
불행하게도, 과립세포 감소증 사례의 발생이 상기 약물의 치료학적 용도를 제한하였다(Lancet. 1975, 2, 657).
옥토클로테핀(8-클로로-10-(4-메틸피페라지노)-10,11-디하이드로디벤조[b,f]티에핀)은 "비 전형적인" 활성이 부분적으로 부여된 화합물이다. 그의 약리학적 활성은 상기 화합물의 광학 이성체들과 관련하여 연구되었다(J. Med. Chem., 1991, 34, 2023-2030), 즉 (S) 형태에 의한 정신분열증에 대한 약간 보다 큰 효과는 불행하게도 추체외로 효과의 보다 큰 발생과 관련되며, 따라서 그의 용도가 임상적인 시험들로부터 철회되었다. (R) 이성체는 보다 "비 전형적인" 프로파일을 제공하 는데, 부작용이 적을수록 일반적인 효능이 열등해진다. 더욱이, 상기 2 개의 이성체는 5-HT2 및 D1 길항물질로서 동일한 활성이 부여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상기 인용된 연구들에 비추어, 상당한 치료 활성을 갖고 부작용은 없는 정신병 치료제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만족되지 않은 채로 있다. 특히, 보다 큰 신경 이완 활성, 보다 낮은 추체외로 효과의 발생, 및 최소의 부작용들(과립세포 감소증; 호중구 감소증; 진정 작용; 체중 증가; 변비; 요폐; 건조증; 저혈압)을 제공하는 정신병 치료제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이르러 9-아미노-치환된 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 부류의 화합물, 특히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정신병 치료 활성을 가짐을 발견하였다:
Figure 112003002137684-pct00001
상기 식에서,
R은 H, Cl, Br, F, I, C1-C4 알콕시, C1-C4 알킬티오, C1 -C4 알킬, C5-C6 사이클로알킬이고;
R1은 C1-C4 디알킬아민(이때 알킬 그룹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4-알 킬-1-피페라지닐, 4-하이드록시알킬-1-피페라지닐, 1-이미다졸릴, 4-알킬-1-피페리디닐, 4-알킬-1-호모피페라지닐이고;
R2는 H, C1-C4 알콕시, C1-C4 알킬티오, C1 -C4 알킬, CHO, CH=NOH이고;
R3는 H, CHO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상기 나타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학식 I 화합물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정신 의학적 및 신경학적 질환, 특히 중변연계 도파민 작용성 경로의 증가된 활성 및/또는 중피질 도파민 작용성 기능저하와 관련된 질환, 예를 들어 양성 및 음성 증상의 정신분열증의 치료에 정신병 치료제로서 유용한 약제로서의 상기 화합물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더욱 또 다른 목적은 정신병, 예를 들어 정신분열증, 편집증 상태, 조울병 상태, 감정적 질환, 사회적 도피, 인격 퇴행, 환각 또는 인식 기능장애의 치료를 위한 약제로서, 특히 정신병 치료제로서의 상기 화합물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더욱 또 다른 목적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비히클 및/또는 부형제와의 혼합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용어 C1-C4가 의미하는 것은 메틸, 에틸, 프로필, 이 소프로필, 부틸, 2급-부틸 및 3급-부틸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 중에서, 첫 번째로 바람직한 그룹은 R1이 4-알킬-1-피페라지닐인 화합물을 포함한다. 두 번째 바람직한 그룹은 R이 H, Cl, Br, F, I인 화합물을 포함한다.
특히, R이 Cl이고, R1이 4-메틸-피페라진이고, R3가 H이고, R2가 H인 경우, 상기 화합물은 전형적인 정신병 치료제인 반면, R이 H, F이고, F2가 H, CHO, CH3이고, R3가 H이고, R1이 4-메틸-1-피페라지닐인 경우에는 비 전형적인 정신병 치료제이다.
전형적인 정신병 치료제들 중에서,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7-클로로-9-(4-메틸-1-피페라지닐)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이후부터 또한 ST1508로서 지칭함), 특히 말리에이트(이후부터 또한 ST1699로서 지칭함)이다.
본 발명에 따라 비 전형적인 정신병 치료 활성을 갖는 바람직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와 같다:
9-(4-메틸-1-피페라지닐)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ST1899);
7-플루오로-9-(4-메틸-1-피페라지닐)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ST1928);
1-메틸-9-(4-메틸피페라진-1-일)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ST2092).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이를 목 적하는 아민 R1H(상기 R1 그룹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다)와 반응시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함으로써 제조한다:
Figure 112003002137684-pct00002
상기 식에서,
R 및 R2는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Ia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본 출원인의 이름으로 출원된 특허 출원 WO 00/06579에 개시되어 있다.
화합물 Ia의 화합물 I로의 변환을 공지된 기법으로 수행하나, 상기 반응을 편의상 화합물 Ia를 루이스 산, 예를 들어 트리플레이트, 예를 들어 트리메틸실릴트리플루오로메탄 설포네이트, 또는 양성자성 산, 예를 들어 설폰산, 예를 들어 p-톨루엔 설폰산의 존재 하에서 아민 R1H로 처리함으로써 수행한다.
상기 반응을 시약 및 반응 생성물에 대해 불활성인 용매 중에서 수행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아민 R1H를 화합물 Ia에 대해 과잉으로, 예를 들어 반응 매질을 구성하는데 과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반응 변수들은 중요하지 않으며 주제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을 근거로 당해 분야의 평균적인 숙련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 Ia 대 아민 R1H의 몰비는 1:1 내지 상기 언급한 의미에서 과잉 아민의 범위일 수 있다. 반응 온도도 또한 사용되는 시약의 유형, 이의 몰비 및 용매의 임의적인 존재와 관련하여 선택될 것이며, 상기 용매 존재의 경우에 시약 자체의 분해를 유발시키지 않는 한 심지어 상기 용매의 비점정도로 높은 온도가 선택될 수도 있다. 반응 시간은 상기 개략된 변수들을 기준으로 선택되며 반응을 완료하기 위한 시간이 될 것이다. 최적화를 위해서, 반응은 추가적인 실험적 부담을 구성하지 않으며 화학적 합성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기법의 일부이다.
화학식 I 화합물의 단리 및 정제를 통상의 공지된 과정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화학식 Ia의 화합물을, 생리화학적 특징이 허용되는 경우 아민 R1H를 반응 매질로서 사용하여 반응시킨다. 바람직한 설폰산은 p-톨루엔 설폰산이다. 반응 온도는 대략 180 ℃이고 반응 시간은 대략 1 내지 2 시간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화학식 Ia의 화합물을, 생리화학적 특징이 허용되는 경우 아민 R1H를 반응 매질로서 사용하여 반응시킨다. 바람직한 트리플레이트는 트리메틸실릴트리플루오로메탄 설포네이트이다. 반응 온도는 대략 120 ℃이고 반응 시간은 대략 3 시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 성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화학식 I 화합물과 함께, 또는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본 발명에서 지적한 질병들의 치료에 유용한 다른 유효 성분들, 예를 들어 세로토닌 작용성 5-HT2a 수용체에 대해 선택적인 길항 활성을 갖는 다른 제품들과 함께 함유하는, 또한 별도의 투여형 또는 복합 요법에 적합한 형태의 약학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 성분은 제약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합한 비히클 및/또는 부형제, 예를 들어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Handbook", 최신판]에 개시된 것들과 혼합될 것이다. 본 발명의 따른 조성물은 치료 유효량의 유효 성분을 함유할 것이다. 용량은 치료하려는 질병의 유형 및 환자의 상태에 따라 또는 다른 유효 성분들의 투여와 수반하여 당해 분야의 전문가들, 예를 들어 임상학자 또는 주치의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예로서, 0.1 내지 100 ㎎/㎏ 범위의 용량을 지시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의 예로는 경구, 비 경구, 정맥 내, 근육 내, 피하 또는 경피 투여를 허용하는 것들이 있다. 상기 목적에 적합한 약학 조성물은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캡슐, 분말, 용액, 현탁액, 시럽, 및 즉석 액체 제제용 고체 형태이다. 비 경구 투여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모든 근육 내, 정맥 내 및 피하 주입 가능한 형태, 및 용액, 현탁액 및 유화액의 형태이다. 또한 경구 투여 형태로서 적합한 층으로 코팅된 정제, 미세캡슐화된 분말, 사이클로덱스트린과의 착체, 데포 형태, 예를 들어 데포 주입으로서 피하 데포 또는 이식편 중 어느 것이든지 간에, 유효 성분의 조절된 방출을 제공하는 형태를 언급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추가로 예시한다.
실시예 1
a) 7-클로로-9-(4-메틸-1-피페라지닐)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10b)(ST1508)
Figure 112003002137684-pct00003
과정 A)
케톤[9b](4.5 g; 18 밀리몰) 및 N-메틸피페라진(15 ㎖)의 혼합물에 트리메틸실릴-트리플루오로메탄 설포네이트(5.7 ㎖; 31.5 밀리몰)를 5 분 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0 ℃로 만들었다. TLC에 의해 감시되는 반응을 3 시간 내에 완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로 냉각시키고 생성된 고체 덩어리를 염화 메틸렌(50 ㎖)에 용해시키고 물(2 x 30 ㎖)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황산 나트륨 상에서 무수화시키고 여과하였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발시켜 조 반응 생성물을 회수하고, 이를 최종적으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n-헥산/에틸 아세테이트 50:50)시켜 표제 생성물 4.7 g을 수득하였다.
수율: 78%
TLC(AcOEt) Rf=0.25; MP: 127÷128 ℃
1H-NMR(300 MHz, CDCl3) δ 7.6(d, 1H, J=2.1 Hz); 7.4(d, 1H, J=8.5 Hz); 7.2(dd, 1H, J1=8.4 Hz, J2=2.0 Hz); 6.7(m, 1H); 6.6(m, 1H); 6.2(m, 1H); 6.1(m, 1H); 2.9(m, 4H); 2.6(m, 4H); 2.3(s, 3H).
13C-NMR(300 MHz CDCl3) δ 143.8; 140.5; 137.9; 134.8; 133.2; 129.8; 129.6; 127.9; 123.2; 112.7; 111.6; 111.2; 55.2; 50.1; 46.2.
원소분석: (C17H18ClN3S): 순응적임
과정 B)
케톤[9b](0.15 g; 0.6 밀리몰), N-메틸피페라진(0.18 g; 1.8 밀리몰) 및 p-톨루엔설폰산(0.296 g; 1.56 밀리몰)의 혼합물을 180 ℃로 가열하였다.
반응은 빠르게 짙은색으로 착색되었으며, 1.5 시간 내에 완료되었다. 주변 온도에서 냉각시킨 후에 생성된 고체 덩어리를 염화 메틸렌(10 ㎖)에 용해시키고 물(2 x 10 ㎖)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황산 나트륨 상에서 무수화시키고 여과하였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발시켜 조 반응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n-헥산/에틸 아세테이트 50:50)시켜 표제 화합물 0.10 g을 수득하였다.
수율: 50%
실시예 2 내지 13
생성물 2 내지 13의 합성을 하기 반응식 1에 개시된 방식에 따라 수행하였다:
Figure 112003002137684-pct00004
Figure 112003002137684-pct00005
상기 표에서 R1은 피페라진 고리 상의 4-알킬 치환체를 나타낸다.
Figure 112003002137684-pct00006
9-(4-메틸피페라진-1-일)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1)(ST1899)
9,10-디하이드로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9-온(0.24 g, 1.11 밀리몰), N-메틸피페라진(0.55 ㎖, 0.50 g, 4.99 밀리몰) 및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레이트(0.55 ㎖, 0.68 g, 3.05 밀리몰)의 용액을 교반 하에 120 ℃에서 가열하고, 수분 후에 추가로 N-메틸피페라진 0.55 ㎖을 가하고 반응을 120 ℃에서 3 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상기 시간 후에 물을 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20% 메탄올)에 의해 정제시켜 황색 고체로서 순수한 표제 화합물 0.114 g(수율 84%)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 δ 7.65(m, 1H), 7.50(m, 1H), 7.34-7.22(m, 2H), 6.75(m, 1H), 6.20(m, 1H), 6.12(m, 1H), 2.89(m, 4H), 2.53(m, 4H), 2.34(s, 3H).
원소 분석(C17H19N3S): 순응적임.
9-(4-메틸피페라진-1-일)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1-카브알데히드(2)(ST2091)
옥시염화 인(50.70 ㎕, 0.08 g, 0.54 밀리몰) 및 N-메틸포름아닐리드(67.15 ㎕, 0.07 g, 0.54 밀리몰)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고체(1)(0.12 g, 0.42 밀리몰)를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물을 가하고 수상을 디클로로메탄(3 x 2.5 ㎖)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들을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정제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 중의 5% 메탄올)에 의해 수행하고 황색을 띤 결정성 고체로서 목적하는 순수한 생성물 0.05 g(37% 수율)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 δ 9.45(s, 1H), 7.65(m, 1H), 7.46(m, 1H), 7.32(m, 2H), 7.04(s, 1H), 6.93(d, 1H, J=3.9 Hz), 6.24(d, 1H, J=4.3 Hz), 3.15-2.95(m, 4H), 2.57(m, 4H), 2.35(s, 3H).
MS m/z 325(M+), 256, 81, 69(100), 41.
원소 분석(C18H19N3OS): 순응적임.
9-(4-메틸피페라진-1-일)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1,10-디카브알데히드(3)(ST2147)
옥시염화 인(18 ㎕, 30 ㎎, 0.198 밀리몰) 및 N-메틸포름아닐리드(24 ㎕, 26 ㎎, 0.198 밀리몰)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고체(1)(30 ㎎, 0.100 밀리몰)를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물을 가하고 수상을 디클로로메탄(3 x 2.5 ㎖)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들을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정제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 중의 5% 메탄올)에 의해 수행하고 황색을 띤 결정성 고체로서 목적하는 순수한 생성물 11.3 ㎎(35% 수율)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 δ 9.68(s, 1H), 9.42(s, 1H), 7.59(m, 2H), 7.42(m, 2H), 6.87(m, 1H), 6.31(m, 1H), 3.70-3.62(m, 4H), 2.59(m, 4H), 2.38(s, 3H).
MS m/z 353(M+), 324, 295, 83, 70(100), 57, 43.
원소 분석(C19H19N3O2S): 순응적임.
1-메틸-9-(4-메틸피페라진-1-일)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4)(ST2092)
절대 에탄올(0.70 ㎖) 중의 (2)(0.035 g, 0.107 밀리몰)의 용액에 히드라진 일수화물(182 ㎕, 0.019 g, 3.74 밀리몰)을 가하였다. 생성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환류 하에 교반하였다. 상기 시간 후에 용매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수득된 황색 고체를 톨루엔(0.76 ㎖)에 용해시키고 칼륨 3급-부톡사이드(0.036 g, 0.321 밀리몰)를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추가로 8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이어서 물을 가하고 유기 상을 분리시키고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들을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수득된 조 생성물을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 중의 20% 메탄올)시켰다. 목적하는 순수한 생성물을 6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CDCl3) δ 7.62(m, 1H), 7.48(m, 1H), 7.26(m, 2H), 6.32(s, 1H), 6.03(m, 1H), 5.90(m, 1H), 2.89(m, 4H), 2.53(m, 4H), 2.34(s, 3H), 2.20(s, 3H).
MS m/z 311(M+), 256, 213, 98, 69, 55(100).
원소 분석(C18H21N3S): 순응적임.
1-메틸렌옥심-9-(4-메틸피페라진-1-일)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5)(ST2129)
디클로로메탄(1.00 ㎖) 중의 (2)(0.010 g, 0.031 밀리몰)의 용액에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0.043 g, 0.062 밀리몰) 및 피리딘(5 ㎕, 0.049 g, 0.062 밀리몰)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하고 이어서 무수 탄산 칼륨(0.008 g, 0.062 밀리몰)을 가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7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시간 후에,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0.043 g, 0.062 밀리몰) 및 무수 탄산 칼륨(0.017 g, 0.124 밀리몰)을 가하고 용액을 25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물을 가하고, 유기 상을 분리시키고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들을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수득된 조 생성물을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에테르 중의 10% 메탄올)시켜 목적하는 생성물 2.5 ㎎(17% 수율)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 δ 7.80(s, 1H); 7.68(m, 1H), 7.48(m, 1H), 7.30(m, 2H), 6.94(s, 1H), 6.38(d, 1H, J=3.9 Hz), 6.15(d, 1H, J=3.8 Hz), 3.02(m, 4H), 2.62(m, 4H), 2.40(s, 3H), 2.20(s, 3H).
MS m/z 340(M+), 323, 297, 225, 99, 70(100), 56, 43.
원소 분석(C18H21N4OS): 순응적임.
1-하이드록시메틸-9-(4-메틸피페라진-1-일)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6)(ST2096)
절대 에탄올(2.36 ㎖) 중의 (2)(17 ㎎, 0.052 밀리몰)의 용액에 붕수소화 나트륨(7.13 ㎎, 0.188 밀리몰)을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시간 후에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물로 처리하고 용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들을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수득된 조 생성물을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10% 메탄올 및 10% 트리에틸아민)시켜 목적하는 순수한 생성물 9.5 ㎎(58.8% 수율)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 δ 7.63(m, 1H), 7.49(m, 1H), 7.29(m, 2H), 6.76(s, 1H), 6.14(d, 1H, J=3.7 Hz), 6.05(d, 1H, J=3.8 Hz), 4.51(m, 1H); 3.05(m, 4H); 2.47(m, 4H), 2.32(s, 3H).
MS m/z 327(M+), 296, 225, 198, 87, 70(100), 58.
원소 분석(C18H21N3OS): 순응적임.
1-이소프로폭시메틸-9-(4-메틸피페라진-1-일)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7)(ST2095)
2-프로판올(4.0 ㎖) 중의 N-[9-(4-메틸피페라진-1-일)피롤로[2,1-b][1,3]벤 조티아제핀-1-일]-N-토실히드라진(37 ㎎, 0.075 밀리몰) 용액에 붕수소화 나트륨(13 ㎎, 0.449 밀리몰)을 0 ℃에서 교반하면서 나누어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환류 하에서 24 시간 동안, 이어서 실온에서 4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시간 후에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물로 처리하고 용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들을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0.8% 메탄올)시켜 황색을 띤 결정으로서 순수한 (7)(51.4% 수율)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 δ 7.63(m, 1H), 7.48(m, 1H), 7.27(m, 2H), 6.76(s, 1H), 6.14(m, 1H), 6.05(m, 1H), 4.37(s, 1H); 3.60(m, 1H), 2.52(m, 4H), 2.92(m, 4H), 2.34(s, 3H), 1.17(s, 3H), 1.14(s, 3H).
MS m/z 369(M+)(100), 326, 310, 296, 97, 70.
원소 분석(C21H27N3OS): 순응적임.
7-클로로-9-(4-에틸피페라진-1-일)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8)(ST2148)
7-클로로-9,10-디하이드로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9-온(0.19 g, 0.76 밀리몰) 및 N-에틸피페라진(0.70 ㎖, 6.13 밀리몰)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1)에 대해 개시한 과정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정제 후에, 목적하는 생성물 0.19 g을 백색 고체(수율 74%)로서 수득하였다.
1H-NMR(CDCl3) δ 7.62(d, 1H, J=1.9 Hz), 7.41(d, 1H, J=8.0 Hz), 7.22(d, 1H, J=8.0 Hz), 6.73(m, 1H), 6.57(s, 1H), 6.20(m, 1H), 6.10(m, 1H), 2.88(m, 4H), 2.50(m, 6H), 1.10(t, 3H, J=7.1 Hz).
원소 분석(C18H20ClN3S): 순응적임.
7-클로로-9-(4-메틸헥사하이드로-1H-1,4-디아제핀-1-일)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9)(ST2149)
7-클로로-9,10-디하이드로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9-온(0.03 g, 0.12 밀리몰) 및 1-메틸호모피페라진(0.06 ㎖, 5.41 밀리몰)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1)에 대해 개시한 과정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정제 후에, 목적하는 생성물을 4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CDCl3) δ 7.53(d, 1H, J=2.4 Hz), 7.43(d, 1H, J=8.8 Hz), 7.22(dd, 1H, J=8.4, 2.4 Hz), 6.75(m, 1H), 6.55(s, 1H), 6.19(m, 1H), 6.11(m, 1H), 3.20(m, 4H), 3.15-2.61(m, 4H), 2.40(s, 3H), 1.95(m, 2H).
MS m/z 345(M+)(100), 205, 140, 97.
원소 분석(C18H20ClN3S): 순응적임.
7-브로모-9-(4-메틸피페라진-1-일)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10)(ST2093)
7-브로모-9,10-디하이드로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9-온(0.10 g, 0.34 밀리몰), N-메틸피페라진(0.169 ㎖, 1.53 밀리몰) 및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레이트(0.169 ㎖, 0.935 밀리몰)의 용액을 120 ℃에서 교반 하에 가열하고, 수 분 후에 추가로 0.50 ㎖의 N-메틸피페라진을 가하고 반응을 120 ℃에서 3 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상기 시간 후에 물을 가하고 수 상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20% 메탄올)에 의해 정제시켜 황색을 띤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0.114 g(84% 수율)을 수득하였다.
1H-NMR(CDCl3) δ 7.76(s, 1H), 7.37(m, 2H), 6.73(m, 1H), 6.57(m, 1H), 6.20(m, 1H), 6.10(m, 1H), 2.87(m, 4H), 2.53(s, 4H), 2.35(s, 3H); 원소 분석(C17H18BrN3S) C,H,N.
7-브로모-9-(4-에틸피페라진-1-일)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11)(ST2150)
7-브로모-9,10-디하이드로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9-온(0.10 g, 0.34 밀리몰), N-에틸피페라진(0.169 ㎖, 1.53 밀리몰) 및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레이트(0.169 ㎖, 0.935 밀리몰)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1)에 대해 개시한 과정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어서 추가로 0.50 ㎖의 N-에틸피페라진을 가하였다. 정제 후에, 목적하는 순수한 생성물 0.125 g을 백색 고체(94%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1H-NMR(CDCl3) δ 7.76(s, 1H), 7.36(s, 1H), 7.26(s, 1H), 6.75(m, 1H), 6.47(s, 1H), 6.21(m, 1H), 6.10(m, 1H), 2.90(m, 4H), 2.60-2.46(m, 6H), 1.12(t, 3H, J=7.0 Hz); MS m/z 390(M++H), 356, 137, 111, 97, 84(100), 69, 57.
원소 분석(C18H20BrN3S): 순응적임.
7-플루오로-9-(4-메틸-1-피페라지닐)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ST1928)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과정 A에 따라 7-플루오로-9,10-디하이드로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9-온으로부터 출발하여 제조하였다.
분자 약학
a) D1, D2, D3 및 5HT2a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는 능력에 대한 평가
문헌[Campiani et al., J. Med. Chem. pp. 3763-3772, 1998]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각종 상이한 대뇌 영역들(선조체 D1 및 D2; 후관 D3; 전전두엽 피질 5HT2a)을 사용하여 D1, D2, D3 및 5HT2a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을 조사하였다.
D1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을 방사성리간드[3H]-SCH 23390(0.4 μM)을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비 특이적인 결합을 (-)-시스-플루펜틱솔(10 μM)의 존재 하에서 측 정하였다. D2 수용체에 대해서 3H-스피페론(0.2 nM)을 사용하였고 비 특이적인 결합을 100 μM의 (-) 설피라이드의 존재 하에서 측정하였다.
D3 수용체에 대해서 선택된 방사성 리간드는 3H-7-OH-DPAT였으며 이를 0.2 μM의 농도로 사용하였고 비 특이적인 결합을 도파민 1 μM의 존재 하에서 얻었다. 마지막으로, 5HT2a와의 상호작용을 3H-케탄세린(0.7 μM)을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비 특이적인 결합을 메틸세르자이드 1 μM의 존재 하에서 측정하였다.
b) H1 히스타민 및 α1-아드레날린 작용성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는 능력에 대한 평가.
H1 수용체와의 상호작용
H1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을 문헌[S.J. Hill, P.C. Emson, J.M. Young "J. Neurochemistry" 31, 997-1004; 1978]에 개시된 과정에 따라 30 ℃에서 60 분간 인산염 완충액(50 mM, pH 7.4) 중의 1 nM의 농도로 [3H]-피릴아민과 함께 배양시킨 래트 피질 막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비 특이적인 결합을 피릴아민 100 μM의 존재 하에서 측정하였다.
α1 수용체와의 상호작용
α1-아드레날린 작용성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을 문헌[P. Greenglass, R. Bremner "Eur. J. Pharmacol." 55, 323-326; 1979]에 개시된 과정에 따라 방사성리간드[3H]-프라조신(0.2 nM)을 사용하여 래트 피질 상에서 평가하였다.
세포막 단백질의 분액을 25 ℃에서 30 분간 상기 방사성리간드와 함께 배양하고 비 특이적인 결합을 프라조신 100 μM의 존재 하에서 측정하였다.
일반 약학
강직증에 대한 평가
시험을 위스타 수컷 래트(N=7 동물)에서 수행하였으며; 강직증을 실험 표면으로부터 10 ㎝의 거리에 놓인 직경 0.6 ㎝의 금속 봉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조사된 물질은 말레산 염(ST1699)의 형태로, 상기 평가 전 30 분 째에 피하 투여되었다. 연속적인 평가 시간은 투여 후 60, 90, 120, 180, 240 및 300 분이었다. 시험은 동물을 그의 앞발이 상기 봉 위에 놓이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동물이 상기 봉에 달린 채로 있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 상기 시간은 60 초의 종료점으로 간주된다(N.A. Moore et al.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Vol. 262 pp. 545-551(1992)).
결과 및 논의
표 1은 도파민 작용성 수용체 D1, D2 및 D3; 세로토닌 작용성 수용체 5-HT 2a, 알파1-아드레날린 작용성 수용체 및 H1 히스타민 작용성 수용체에 대해 연구 생성물 ST1508의 Ki(nM)로서 나타낸 친화성 값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를 제공한다.
또한, 이 표는 연구 생성물의 전형적인 정신병 치료 프로파일을 입증하기 위한, 신경 이완 약물 부류에 속하는 기준으로서 할로페리돌 화합물에 대한 상기 언급한 유형의 수용체들의 친화성 값을 나타낸다.
D1 D2 D3 5-HT2a α1 H1
Ki±ds Ki±ds Ki±ds Ki±ds Ki±ds Ki±ds
ST1508 1.9±0.1 0.43±0.04 2.0±0.1 0.34±0.05 4.3±0.1 2.7±0.02
할로페리돌 318±59 4.81±1.0 18.2±1.5 164±23.6 12±2.5 386±0.001
생성물 ST1508은 고려되는 수용체 유형들과 상호작용하는 상당한 능력을 보인다. 특히, D1, D2 및 D3 수용체에 대한 낮은 친화성 값은 상기 생성물과 도파민 작용성 시스템과의 강한 반응을 가리키며, 이는 할로페리돌 수용체 프로파일에 대해 발견된 것보다 훨씬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상기 특정의 수용체 프로파일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전형적인 정신병 치료제로서 정의할 수 있게 한다. 실제로, 상기 D1, D2 및 D3 수용체 친화성 값은 상기 화합물이 급성 및 만성 정신 이상 상태에 책임이 있는 중변연계 도파민 작용성 시스템의 과 활성 상태에 대해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표 2는 도파민 작용성 수용체 D1, D2, D3; 및 세로토닌 작용성 수용체 5-HT 2a에 대해 바람직한 화합물 ST1988, ST1928 및 ST2092의 Ki(nM)로서 나타낸 친화성 값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를 제공한다. 전형적인(할로페리돌) 및 비 전형적인(클로자핀, 올란자핀) 정신병 치료제 결합 친화성을 나타낸다.
화합물 5-HT2a D1 D2 D3
Ki(nM)±ds Ki(nM)±ds Ki(nM)±ds Ki(nM)±ds
클로자핀 10±1 353±35 250±57 319±65
올란자핀 4±1 85±3.5 69±17 26±7.75
할로페리돌 164±24 318±59 4.8±1 18±1.5
ST1508 0.34±0.05 1.9±0.1 0.43±0.04 2.0±0.1
ST1899 0.6±0.1 19±1.3 17±4.5 8±0.5
ST1928 0.35±0.04 7.7±0.58 8.5±5 2.70±0.10
ST2092 1.1±0.05 154±116 126±15 18±1
바람직한 화합물은 5-HT2 수용체에서 비 전형적인 표준 정신병 치료제로서 클로자핀 및 올란자핀, 및 할로페리돌과 다른 높은 친화성을 나타낸다.
더욱 또한, 5HT2 수용체에서 ST1899, ST1928 및 ST2092 결합 친화성은 D2 도파민 수용체보다 더 크며, 이는 비 전형적인 정신병 치료제의 결합 특징을 닮았다.
생체 외에서, 비 전형적인 및 전형적인 정신병 치료 약물의 분류를 5-HT2 대 D2 친화성(pKi 값)의 비 및 Log Y 점수를 고려하여 수행할 수 있다(Meltzer HY et al. "Classification of typical and atypical antipsychotics drugs on the basis of dopamine D1, D2 and serotonin2 pKi values" J. Pharm. Exp. Ther. 1989, 251, 238-246). 1.12 이상의 5-HT2 대 D2 친화성(pKi 값) 비 및 6.48 이하의 Log Y 점수를 갖는 정신병 치료제는 비 전형적인 프로파일을 갖는다. 표 3에서 전형적인(할로페리돌) 및 비 전형적인 정신병 치료제(클로자핀 및 올란자핀)의 친화성 비와 Log Y 점수를 바람직한 화합물에 대한 값들과 비교한다. ST1899, ST1928, ST2092는 클로자핀 및 올란자핀과 유사한 방식으로 비 전형적인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더욱 또한, ST2092는 기준 화합물보다 양호한 비 전형적인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ST1508에 대해서, 5-HT2 대 D2 친화성 비 및 Log Y 점수는 상기 화합물의 전형적인 프로파일을 확인시킨다. 5HT2 수용체에서 높은 상호작용 능력에도 불구하고(ST1928, ST1899 및 ST2092와 유사하게), ST1508은 상기와 직접적인 구조 동족체인 ST1899, ST1928 및 ST2092보다 훨씬 현저한 도파민 작용성 프로파일을 갖는다.
화합물 5-HT2a D1 D2 D3 5-HT2/D2 Log Y
pKi pKi pKi pKi pKi비 값
클로자핀 8.00 6.45 6.60 6.50 1.21 3.89
올란자핀 8.4 7.07 7.16 7.41 1.17 4.69
할로페리돌 6.78 318 8.32 7.74 0.82 9.14
ST1508 9.47 8.72 9.37 8.70 1.01 8.20
ST1899 9.19 7.71 7.76 8.08 1.18 4.98
ST1928 9.46 8.11 8.07 8.57 1.17 5.36
ST2092 8.95 6.81 6.9 7.74 1.30 3.19
이러한 결과는 화합물 ST1899, ST1928 및 ST1092를 정신분열증의 양성 및 음성 증상의 치료에 특히 유효하게 만든다.
강직증에 대한 평가
래트에서 강직증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시험을 사용하여, 흑색 선조체 도파민 작용성 시스템의 D2 수용체 서브유형에 대한 ST1699 친화성을 입증하였다.
표 4는 연구 화합물의 아급성 용량 투여 후에 다양하게 다른 시간들에서 강직증을 나타내는 동물의 퍼센트를 제공한다.
투여 후 강직증 평가 시간(분)
㎎/㎏ 30 분 60 분 90 분 120 분 180 분
ST1699 0.6 33 66 83 100 100
0.3 0 0 17 17 33
0.15 0 0 0 0 0
할로페리돌 0.2 0 70 100 100 100
생성물 ST1699는 사용되는 것들 중에서 최고 용량(0.6 ㎎/㎏)의 결과로서 강직증의 발생을 유도하였다. 그 효과는 할로페리돌 0.2 ㎎/㎏에 의해 유발된 효과에 필적하였다.
단지 최고 용량의 결과로서 강직증의 발생은 5-HT2a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는 ST1699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능력을 직접적으로 입증할 수 있다. 실제로, 상기 언급한 수용체에 대한 길항작용은 흑색 선조체 시스템의 도파민 작용성 활성을 조절하며, 따라서 강직증의 발생 가능성을 제한한다.
따라서, 상기 결과의 강도 및 그의 실질적인 수용체 친화성에 대해서 화합물 ST1508, 일명 ST1699는 유효 치료 반응을 얻는데 필요한 용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전형적인 정신병 치료제인 것으로 판명된다. 이러한 잠재성 덕분에, 정신 분열증과 같은 만성 질병에서 상기 생성물의 연장된 사용은 보다 양호한 허용성과 관련될 것이다.




Claims (19)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
    Figure 112003002137684-pct00007
    상기 식에서,
    R은 H, Cl, Br, F, I, C1-C4 알콕시, C1-C4 알킬티오, C1 -C4 알킬, C5-C6 사이클로알킬이고;
    R1은 C1-C4 디알킬아민(이때 알킬 그룹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4-알킬-1-피페라지닐, 4-하이드록시알킬-1-피페라지닐, 1-이미다졸릴, 4-알킬-1-피페리디닐, 4-알킬-1-호모피페라지닐이고;
    R2는 H, C1-C4 알콕시, C1-C4 알킬티오, C1 -C4 알킬, CHO, CH=NOH이고;
    R3는 H, CHO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4-알킬-1-피페라지닐인 화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R이 H, Cl, Br, F, I인 화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7-클로로-9-(4-메틸피페라진-1-일)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말리에이트인 화합물.
  6. 제 1 항에 있어서, R이 H, F이고; R2가 H, CHO, CH3이고; R3가 H이고; R 1이 4-메틸-1-피페라지닐인 화합물.
  7. 제 6 항에 있어서,
    9-(4-메틸-1-피페라지닐)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
    7-플루오로-9-(4-메틸-1-피페라지닐)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
    1-메틸-9-(4-메틸피페라진-1-일)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
  8. 삭제
  9. 상기 제1항 내지 제7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화합물이 유효성분으로 포함되어 있는 정신병(antipsychotic disease)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
  10. 상기 제1항 내지 제7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화합물이 유효성분으로 포함되어 있는 정신병(antipsychotic disease) 치료용 약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0항에 있어서, 정신분열증, 편집증, 조울병, 감정적 질환, 사회적 도피, 인격 퇴행, 환각 또는 인식 기능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약제.
KR1020037000934A 2000-08-01 2001-07-26 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 및 정신병 치료 활성을갖는 약제의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 KR1008263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RM2000A000432 2000-08-01
IT2000RM000432A IT1317884B1 (it) 2000-08-01 2000-08-01 Pirrolo (2,1-b)(1,3)benzotiazepine e loro uso per la preparazione dimedicamenti ad attivita' antipsicotica classica.
PCT/IT2001/000406 WO2002010175A1 (en) 2000-08-01 2001-07-26 PYRROLO[2,1-b][1,3]BENZOTHIAZEPINES AND THEIR USE FOR THE PREPARATION OF MEDICAMENTS WITH ANTIPSYCHOTIC ACTIV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598A KR20030019598A (ko) 2003-03-06
KR100826304B1 true KR100826304B1 (ko) 2008-04-29

Family

ID=1145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934A KR100826304B1 (ko) 2000-08-01 2001-07-26 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 및 정신병 치료 활성을갖는 약제의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6710041B2 (ko)
EP (1) EP1307463B1 (ko)
JP (1) JP2004505090A (ko)
KR (1) KR100826304B1 (ko)
CN (1) CN1264848C (ko)
AT (1) ATE287890T1 (ko)
AU (2) AU2001284391B2 (ko)
BR (1) BR0112843A (ko)
CA (1) CA2415475C (ko)
CZ (1) CZ299340B6 (ko)
DE (1) DE60108642T2 (ko)
DK (1) DK1307463T3 (ko)
ES (1) ES2236291T3 (ko)
HK (1) HK1059774A1 (ko)
IT (1) IT1317884B1 (ko)
MX (1) MXPA03000775A (ko)
PL (1) PL203096B1 (ko)
PT (1) PT1307463E (ko)
SK (1) SK287248B6 (ko)
WO (1) WO20020101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RM20040178A1 (it) * 2004-04-07 2004-07-07 Sigma Tau Ind Farmaceuti Composti ad attivita' antipsicotica atipica.
ITRM20040222A1 (it) * 2004-05-07 2004-08-07 Sigma Tau Ind Farmaceuti Derivati dealchilati di pirrolo[2,1-b]benzotiazepine ad attivita' antipsicotica atipica.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01965B1 (it) 1998-07-28 2000-07-20 Sigma Tau Ind Farmaceuti Pirrolo (2,1-b)(1,3) benzotiazepine con attivita' antipsicoticaatipica.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J. Med. Chem.(199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36291T3 (es) 2005-07-16
CZ200312A3 (cs) 2003-05-14
MXPA03000775A (es) 2003-10-15
JP2004505090A (ja) 2004-02-19
EP1307463B1 (en) 2005-01-26
PL203096B1 (pl) 2009-08-31
EP1307463A1 (en) 2003-05-07
US6710041B2 (en) 2004-03-23
DE60108642D1 (de) 2005-03-03
CA2415475C (en) 2010-09-28
US20030186959A1 (en) 2003-10-02
AU2001284391B2 (en) 2006-09-28
BR0112843A (pt) 2003-04-22
CZ299340B6 (cs) 2008-06-25
WO2002010175A1 (en) 2002-02-07
CN1264848C (zh) 2006-07-19
AU8439101A (en) 2002-02-13
CN1444588A (zh) 2003-09-24
ITRM20000432A0 (it) 2000-08-01
HK1059774A1 (en) 2004-07-16
DK1307463T3 (da) 2005-05-23
ITRM20000432A1 (it) 2002-02-01
CA2415475A1 (en) 2002-02-07
SK287248B6 (sk) 2010-04-07
DE60108642T2 (de) 2006-06-14
PT1307463E (pt) 2005-04-29
ATE287890T1 (de) 2005-02-15
SK1302003A3 (en) 2003-05-02
KR20030019598A (ko) 2003-03-06
IT1317884B1 (it) 2003-07-15
PL365008A1 (en) 2004-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15004C2 (ru) Конденсированное производное 1,2,4-тиадиазина,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препарата
US7384934B2 (en) Piperazine substituted aryl benzodiazepines
HUT70195A (en) Process for producing benzimidazolo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ntaining them
KR20110082189A (ko) 아밀로이드 베타의 조절제
CH639847A5 (it) Cicloalchiltriazoli.
HU211575A9 (en) 2-methyl-thieno-benzodiazepine
CZ223998A3 (cs) Derivát 5H-thiazolo/3,2-a/pyrimidinu, způsob jeho přípravy meziprodukt pro jeho přípravu a farmaceutický prostředek, který ho obsahuje
SK16852001A3 (sk) Tiazolové deriváty a farmaceutické kompozície ich obsahujúce
JP2002510695A (ja) 副腎皮質刺激ホルモン放出因子(CRF)拮抗剤としてのチアゾロ[4,5−d]ピリミジンおよびピリジン
KR100800250B1 (ko) 2-피리디닐-6,7,8,9-테트라히드로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및7-피리디닐-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유도체
CZ443199A3 (cs) 3-substituované 3,4-dihydrothieno[2,3-d] pyrimidinové deriváty, jejich příprava a použití
KR20010087361A (ko) [1,2,4]트리아졸로[1,5-c]피리미딘 유도체
DE19636769A1 (de) 3-Substituierte Pyrido [4',3':4,5]thieno[2,3-d]pyrimidin-Derivat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KR100826304B1 (ko) 피롤로[2,1-b][1,3]벤조티아제핀 및 정신병 치료 활성을갖는 약제의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
KR20010022658A (ko) 3-치환된 3,4,5,7-테트라히드로-피롤로[3'4':4,5]티에노[2,3-d]피리미딘 유도체, 그의 제법 및 5ht길항제로서의 용도
DE69731458T2 (de) Pyrido-1,2,4-thiadiazine und pyrido-1-4-thiazinderivate,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BG63206B1 (bg) Кондензирани тиазолови производни с афинитет към 5-нт рецептори
AU748697B2 (en) 3-substituted pyrido {3',4':4,5} thieno {2,3-D} pyrimidine derivatives, and production and use of the same
JP2004002318A (ja) 含窒素複素環化合物
AU2001284391A1 (en) Pyrrolo[2,1-b][1,3]benzothiazepines and their use for the preparation of medicaments with antipsychotic activity
HU225327B1 (en) Pyrrolo[2,1-b][1,3]benzothiazepines and their use for the preparation of medicaments with antipsychotic activity
JP2001512731A (ja) AMPA/Kainate受容体阻害剤としての1,3−ジオキソロ/4,5−H/2,3/ベンゾジアゼピン誘導体
KR940002830B1 (ko) 융합 티오펜 화합물과 그것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