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087B1 -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및 그 방법과,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및 그 방법과,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087B1
KR100826087B1 KR1020060102664A KR20060102664A KR100826087B1 KR 100826087 B1 KR100826087 B1 KR 100826087B1 KR 1020060102664 A KR1020060102664 A KR 1020060102664A KR 20060102664 A KR20060102664 A KR 20060102664A KR 100826087 B1 KR100826087 B1 KR 100826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mobile communication
zone
communication terminal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6268A (ko
Inventor
김종득
오재덕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주)오픈브레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주)오픈브레인테크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60102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087B1/ko
Publication of KR20080036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소형 또는 댁내형 중계기에 서비스 존을 형성하는 존 설정기를 내장한 일체형 중계기를 제공하여 음영 지역의 해소 및 존 서비스의 제공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고, 중계기에 내장된 존 설정기에 의한 존 서비스를 통하여 중계기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이상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신호를 중계함과 더불어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 범위를 서비스 존으로 형성하는 존 설정기를 내장하고서, 서비스 존에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중계기의 상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와,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에 의해 셩성되는 서비스 존내에서 중계기의 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그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의 신호 중계를 통해 이동 통신망으로 전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중계기 상태 정보를 통해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의 중계기 상태를 감시 및 관리하는 중계기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60102664
이동통신, 중계기, 존 설정기, 서비스 존, 상태 정보, 감시

Description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peater Using Service Zon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Zone Setting Device Built-in Type Repe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중계기의 상태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SMS)의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존 설정기 기반으로 일정 주기마다 서비스 존내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중계기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존 설정기 기반으로 최초 통신 시점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중계기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기반으로 일정 주기마다 존 설정기 로부터 중계기 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단문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기반으로 존 설정기와의 최초 통신 시점에서 중계기 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단문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댁내, 12: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
14:이동통신 단말기, 16:이동통신 기지국,
18:존 설정기 등록 서버, 20:과금 서버,
22:중계기 관리 서버.
본 발명은 댁내에 설치되는 이동통신용 중계기에 서비스 존을 형성하는 존 설정기(Zone Setting Device)를 내장하고, 존 설정기에 의한 존 서비스를 통해 중계기의 상태 정보를 원격지에 제공하여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들간에는 자사의 고객을 유지하고, 신규 고객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할인 혜택과 그에 따른 서비스 요금 부 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바, 그 일환으로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에 의해 특정 지역을 설정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특정 지역에서 음성 통화나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게 되면 그 사용 요금을 할인해 주는 서비스가 개발되어 상용화 단계에 있다.
이러한 특정 지역 할인 서비스의 경우에는, 특정 지역을 설정하기 위해 존 설정기를 설치하고, 이 존 설정기로부터 일정거리의 반경을 특정 지역으로 설정함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일정 거리의 반경내에 위치하면 음성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시의 사용 요금을 할인해주거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이 특정 지역 할인 서비스에 적용되는 존 설정기는, 해당 존 설정기의 초기 설치시에 등록된 위치에서만 요금 할인이나 무료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존 설정기의 내부에 이동 감지 센서를 탑재하여 이동 감지 센서를 통해 존 설정기가 일정 거리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해당 존 설정기를 통한 서비스 존에서 가능한 서비스들을 무효화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통상적인 이동통신 서비스의 경우에는 이동통신에 의한 통화권 이탈 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직접 교신하는 기지국의 수를 대폭 증가시켜서 설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지국으로도 커버가 되지 않는 중/소형 건물이나 지하실 등과 같은 음영 지역에는 인근 기지국으로 이동통신 신호를 중계해주는 이동통신 중계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중계기는 신호 전파를 중계하는 면적이 넓고 가입자 및 통 화량이 많은 경우에는 출력이 큰 대형 중계기나 광중계기를 적용하고 있지만, 일반 가정이나 소규모 지하실 등과 같은 소규모 공간에는 초소형 중계기 또는 댁내형 중계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중에 초소형 중계기나 댁내형 중계기의 경우에는, 크기가 작고 가격이 저렴하며 설치가 간편한 대신에 이득이 작고 출력 전력이 낮아 주로 소규모 공간의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동 통신사의 입장에서는 수많은 소규모 음영 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각각 수만∼수십만개의 초소형 또는 댁내형 중계기를 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중/대형의 중계기의 경우에는 전화선 모뎀이나 전용망을 이용하여 상태 감시 또는 원격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지만, 초소형 또는 댁내형 중계기의 경우에는 경제성이 없어서 감시나 제어를 위한 회선을 연결하기가 어렵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중계기를 부주의하게 취급하여 발진이 이루어지거나 고장이 발생되어도 이를 이동통신사에서 관리하는 것이 어려워서 고장 상태로 방치할 수 밖에 없고, 중계기가 설치된 장소의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장소를 옮기거나 철거하는 경우가 빈발하여 중계기의 전반적인 관리 상태가 불량해 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초소형 또는 댁내형 중계기가 설치된 장소에서 요금 할인 또는 무료 서비스를 위해 존 설정기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는, 중계기와는 별도로 존 설정기를 설치해야 함에 따라 가입자에게는 이중 부담을 안을 수 밖에 없고, 댁내 음영 지역의 해소 및 요금 할인 또는 무료 서비스를 동시에 해결해 주어야 하는 이동 통신사의 경우에도 중계기 및 존 설정기의 이중 설치 및 관리에 따른 인적, 경제적 손실이 커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초소형 또는 댁내형 중계기에 서비스 존을 형성하는 존 설정기를 내장한 일체형 중계기를 제공하여 음영 지역의 해소 및 존 서비스의 제공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는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계기에 내장된 존 설정기에 의한 존 서비스를 통하여 중계기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이상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르면,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신호를 중계함과 더불어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 범위를 서비스 존으로 형성하는 존 설정기를 내장하고서, 서비스 존에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중계기의 상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와,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에 의해 셩성되는 서비스 존내에서 중계기의 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그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의 신호 중계를 통해 이동 통신망으로 전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중계기 상태 정보를 통해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의 중계기 상태를 감시 및 관리하는 중계기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 존을 형성하는 존 설정기가 내장된 중계기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존 설정기가 내장된 중계기에서 해당 중계기의 각 회로부의 정상 동작 여부 및 이상 발생 유무를 감시하여 그 결과로 중계기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기 상태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 범위의 서비스 존 내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수신받은 중계기 상태 정보를 존 설정기가 내장된 중계기를 매개로 중계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중계기 상태 정보를 통해 상기 존 설정기가 내장된 중계기의 정상 동작 여부 및 이상 발생 유무를 감시하고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에 따르면, 음영 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 통신망 사이의 이동통신 신호의 교신을 중계하는 중계기 회로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특정 서비스의 진행을 위한 서비스 존을 설정하는 근거리 통신 회로부 및, 상기 중계기 회로부에 대한 이동통신 신호의 중계 처리와,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부의 서비스 존 설정을 위한 무선 근거리 통신을 각각 감시 및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은, 댁내(10)에 설치되는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와, 이동통신 단말기(14), 이동통신 기지국(16), 이동 통신망, 존 설정기 등록 서버(18), 과금 서버(20), 중계기 관리 서버(22)로 구성된다.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는 댁내(10)의 소정 위치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서, 이동 통신망 상의 이동통신 기지국(16)과 댁내(10)의 음영 지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14) 간의 무선 이동통신을 위한 신호 중계를 진행하고, 일체형으로 내장된 존 설정기에 의해 형성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 범위 내에서의 서비스 존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가 존 서비스에서 허용하는 요금 할인 또는 무료 서비스가 가능한 특정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는 해당 중계기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존 설정기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바, 상기 중계기의 상태 정보는 해당 중계기의 정상 동작 상태 및 다양한 이상 발생 상태를 코드화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코드화 정보는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22)와 미리 약정된 코드 형식을 갖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 구성 부분과, 존 설정기 구성 부분, 전원공급 구성 부분으로 구분되는 바, 상기 중계기 구성 부분은 안테나(30,38)와, 제 1 및 제 2대역통과 필터(Bamd Pass Filter; BPF)(32,36), 신호 증폭기(3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존 설정기 구성 부분은 마이크로 컨트롤러(40)와, 기저대역부(42), RF부(44), 안테나(4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원 공급 구성 부분은 AC/DC 변환부(48)와, DC/DC 변환부(50), 배터리 충전부(52), 충전 배터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40)는 해당 존 설정기 구성 부분의 존 서비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함과 더불어, 상기 중계기 구성 부분의 회로 각 부를 제어하고 중계기 상태를 감시하는 공용 제어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1대역통과 필터(32)는 이동 통신망 측의 이동통신 기지국(16)과 교신하는 안테나(3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제 2대역통과 필터(36)는 댁내(10)의 이동통신 단말기(14)와 교신하는 안테나(38)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 증폭기(34)는 각 대역통과 필터(32,36)로부터의 RF 신호를 신호 증폭한다.
상기 존 설정기를 구성하는 기저대역부(42)와, RF부(44), 안테나(46)는, 블루투스(Bluetooth), IR(InfraRed), 지그비(ZigBe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 구성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일예로 적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RF부(44)는 상기 안테나(46)를 통해 수신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4)로부터의 블루투스 신호를 증폭하거나, 기저대역부(42)로부터의 신호를 예컨대 2.4GHz 대역의 블루투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46)를 통해 전송한다.
상기 기저대역부(42)는 상기 RF부(44)로부터의 블루투스 신호를 기저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40)에 제공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40)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RF부(44)에 제공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40)는 해당 존 설정기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존 설정기 식별정보와, 존 설정기의 고유이름 정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와의 사이에 존 설정기 식별정보 및 존 설정기 핀코드(Pincode)를 교환하여 짝을 맞춘후에 생성되는 링크키 정보, 존 설정기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코드를 갖는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갖추고서, RF부(44)와 기저대역부(42)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와 블루투스 통신을 진행하여 존 설정기 식별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에 전송함에 의해 서비스 존에서의 특정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서비스 등록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40)는 상기 중계기의 각 구성부에 대한 동작 상태를 감시하여 중계의 정상 동작 여부, 이상 발생 상태(예컨대 중계기의 발진 상태 등)에 대한 상태 정보를 특정화된 상태 코드 형태로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에 제공한다.
상기 AC/DC 변환부(48)는 외부 교류전원(AC)으로부터 공급받는 교류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DC/DC 변환부(50)는 상기 직류 전압을 해당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 내부의 각 회로부의 동작 전원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회로부에 제공한다.
상기 배터리 충전부(52)는 상기 AC/DC 변환부(48)로부터의 직류전압을 상기 충전 배터리(54)에 충전하게 된다.
도 1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는 댁내(10)의 상기 존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에 의해 형성된 서비스 존내에서 해당 존 설정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진행함에 의해, 존 서비스에서 허용하는 요금 할인 또는 무료 이용이 가능한 특정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로부터 중계기 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단문 메시지(SMS)에 포함시켜서 페이징 채널을 통해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를 매개로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60)와, 표시부(62), 근거리 통신부(64), 메모리(66), 마이크로 프로세서(68), 베이스밴드 처리부(72), RF 송수신 모듈(70), 마이크로폰(74), 스피커(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64)는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와 존 서비스를 위한 무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블루투스(Bluetooth), IR(InfraRed), 지그비(ZigBe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와 블루투스 통신을 진행하는 블루투스 모듈로서 적용하도록 한다.
상기 메모리(66)는 서비스 존 설정을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4)가 존 설정기 등록 서버(18)에 등록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서버 등록상태 정보와, 존 설정기에 서비스를 등록했는지를 나타내는 서비스 등록상태 정보, 존 설정기로부터 제공되는 존 설정기 식별정보, 존 설정기로부터 제공되는 존 설정기의 고유이름 정보, 상기 존 설정기와 식별정보 및 핀코드를 교환하여 짝을 맞춘 이후에 생성되는 링크키 정보, 존 설정기 상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66)는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로부터 전달받은 중계기 상태 정보를 임시 저장하게 되고, 그 중계기 상태 정보를 단문 메시지(SMS)에 포함하여 이동 통신망에 전송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중계기 상태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SMS)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 상태 정보가 해당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TID(Teleservice Identification)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전화번호,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22)에 대해 할당된 목적지 전화번호, 상기 존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에 대해 고유하게 부여된 중계기 식별번호, 상기 중계기 상태 정보에 대한 상태 코드값, 해당 날짜/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68)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존 설정기 등록 서버(18)와 통신을 수행하여 존 서비스의 등록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와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존 서비스의 등록 및 실행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68)는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로부터 중계기 상태 정보를 수신받으면, 상기 메모리(66)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상태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SMS)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하여 페이징 채널을 통해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22)에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RF 송수신 모듈(70)은 안테나를 통해서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와 교신을 진행하여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16)과 RF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IF; 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72)로 전송하고, 그 베이스밴드 처리부(72)로부터의 중간주파수(IF)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전송한다.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72)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68)로부터의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중간주파수(IF) 신호로 변환하여 RF 송수신 모듈(70)에 출력하고, 그 RF 송수신 모듈(70)로부터의 중간주파수(IF) 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68)에 출력한다.
상기 RF 송수신 모듈(70) 및 베이스밴드 처리부(72)는 음성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트래픽 채널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채널을 형성하는 것은 물론, 중계기 상태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SMS)를 전송하기 위한 페이징 채널을 형성한다.
한편, 도 1에서, 상기 이동 통신망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기지국(16) 및 기지국 제어기와, No.7 망과 같은 신호망에 상호 접속된 이동통신교환기와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및 단문메시지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를 포함하는 통상의 구성이다.
상기 존 설정기 등록 서버(18)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존설정기에 대한 존 서비스 등록 절차 및 존 서비스 해지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과금 서버(20)는 존 서비스 하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가 요금 할인이 적용되는 특정 서비스를 실행할때, 할인된 요금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4)에 대해 과금을 진행한다.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22)는 댁내(10)의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에 대한 중계기 상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로부터 단문 메시지(SMS)를 통해 수신받게 되면, 상기 단문 메시지(SMS)의 수신에 의해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가 댁내(10)에 정상 설치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해당 단문 메시지(SMS)에 포함된 중계기 식별번호 및 중계기의 상태 코드를 통해서 중계기의 정상 동작 여부 및 이상 유무를 파악하게 된다.
한편,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22)는 미리 설정된 일정 기간이 경과되는 동안에 중계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SMS)를 수신받지 못하게 되면,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가 댁내(10)에서 부적절하게 위치가 이동되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못하거나, 임의로 철거 또는 분실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서 존 설정기 기반으로 일정 주기마다 서비스 존내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중계기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에 대해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가 댁내(10)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의 마이크로 컨트롤러(40)는 미리 설정된 중계기 상태 통보 주기(예컨대 하루에 한번으로 오후 9시)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 계 S10).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40)는 미리 설정된 중계기 상태 통보 주기가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존 설정기에 의한 서비스 존내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지를 검색하게 되는 바, 해당 존 설정기의 식별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댁내(10)에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4)로부터의 응답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11).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의 마이크로 컨트롤러(40)는 존 설정기에 의해 형성된 서비스 존 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4)가 일정 시간 이내에 검출되는지를 판단하게 되는 바(단계 S12), 일정 시간동안 이동통신 단말기(14)가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다음 통보 주기까지 대기하고 나서(단계 S13), 상기 단계 S10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가 검출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중계기의 각 동작 회로부를 감시한 결과에 따른 중계기 상태에 부합되는 상태 코드를 선택하여 중계기 상태 정보를 생성함에 의해(단계 S14), 상기 중계기 상태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에 전송한다(단계 S15).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는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로부터 중계기 상태 정보를 수신받게 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 상태 코드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SMS)를 생성하고(단계 S16), 상기 단문 메시지(SMS)를 페이징 채널을 통해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에 전송함에 따라(단계 S17), 상기 중계기를 매개로 상기 단문 메시지가 이동 통신망 을 통해서 중계기 관리 서버(22)에 전송된다(단계 S18).
그에 따라,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22)는 상기 중계기 상태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가 중계기 상태 통보 주기에 수신되는 것으로 상기 중계기가 댁내(10)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중계기 상태 코드를 통해서 해당 중계기의 정상 동작 여부 및 이상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19).
하지만,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22)는 소정 횟수의 중계기 상태 통보 주기가 경과되어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로부터 단문 메시지가 수신되지 못하게 되면, 해당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가 임의로 철거되었거나, 부적절하게 위치 이동되어 정상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어, 중계기 관리자에 의해 그에 합당한 후속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존 설정기 기반으로 최초 통신 시점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중계기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의 마이크로 컨트롤러(4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댁내(1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검색하게 되고(단계 S20), 댁내(10)에 위치하여 서비스 존내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4)로부터 단말기 검색에 대한 응답 정보가 전송됨에 따라, 서비스 존 설정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단계 S21).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와의 서비스 존 설정을 위한 통신이 일정 기간 내의 최초 통신 시점(예컨대 해당 날짜에 최초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존 서비스를 위한 통신이 이루어지는 시점)에서의 통신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2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와의 서비스 존 설정을 위한 통신이 최초 통신 시점의 통신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에 대해 존 서비스가 수행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단계 S23).
하지만, 상기 단계 S22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와의 서비스 존 설정을 위한 통신이 최초 통신 시점의 통신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40)는 중계기의 각 동작 회로부를 감시한 결과에 따른 중계기 상태에 부합되는 상태 코드를 선택하여 중계기 상태 정보를 생성함에 의해(단계 S24), 상기 중계기 상태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에 전송한다(단계 S25).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는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로부터 중계기 상태 정보를 수신받게 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 상태 코드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SMS)를 생성하고(단계 S26), 상기 단문 메시지(SMS)를 페이징 채널을 통해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에 전송함에 따라(단계 S27), 상기 중계기를 매개로 상기 단문 메시지가 이동 통신망을 통해서 중계기 관리 서버(22)에 전송된다(단계 S28).
그에 따라,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22)는 상기 중계기 상태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가 중계기 상태 통보 주기에 수신되는 것으로 상기 중계기가 댁내(10)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중계기 상태 코드를 통해서 해당 중계기의 정상 동작 여부 및 이상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29).
다음에,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기반으로 일정 주기마다 존 설정기로부터 중계기 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단문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하는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의 마이크로 컨트롤러(40)에서는 중계기의 각 동작 회로부를 감시한 결과로 중계기 상태에 부합되는 상태 코드를 선택하여 중계기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있는 상태이다(단계 S30).
그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의 마이크로 프로세서(68)는 미리 설정된 중계기 상태 통보 주기(예컨대 하루에 한번으로 오후 9시)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되는 바(단계 S31), 중계기 상태 통보 주기가 경과되었다고 판단하게 되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서 댁내(10)의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와 통신 링크를 설정하게 된다(단계 S32).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의 마이크로 컨트롤러(4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와 블루투스 통신에 대한 통신 링크가 설정되면, 존 설정기 식별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에 전송하고(단계 S33),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는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에 중계기 상태 정보를 전송 요청하게 된다(단계 S34).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의 마이크로 컨트롤러(4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로부터의 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중계기 상태 정보를 전송하게 되고(단계 S35),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 상태 코드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SMS)를 생성한다(단계 S36).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는 상기 단문 메시지(SMS)를 페이징 채널을 통해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에 전송하게 되고(단계 S37),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서 중계기 관리 서버(22)에 전송하게 된다(단계 S38).
그에 따라,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22)는 상기 중계기 상태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가 중계기 상태 통보 주기에 수신되는 것으로 상기 중계기가 댁내(10)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중계기 상태 코드를 통해서 해당 중계기의 정상 동작 여부 및 이상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39).
다음에,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기반으로 존 설정기와의 최초 통신 시점에서 중계기 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단문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하는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의 마이크로 프로세서(68)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서 댁내(10)의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와 통신 링크를 설정하게 되고(단계 S40),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의 마이크로 컨트롤러(4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와 블루투스 통신에 대한 통신 링크가 설정되면, 존 설정기 식별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에 전송한다(단계 S4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의 마이크로 프로세서(68)는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와의 서비스 존 설정을 위한 통신이 일정 기간 내의 최초 통신 시점(예컨대 해당 날짜에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와 최초로 존 서비스를 위한 통신이 이루어지는 시점)에서의 통신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4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는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와의 서비스 존 설정을 위한 통신이 최초 통신 시점의 통신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를 통해서 존 서비스가 수행 가능한 상태를 갖게 된다(단계 S43).
하지만, 상기 단계 S42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와의 서비스 존 설정을 위한 통신이 최초 통신 시점의 통신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68)는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에 중계기 상태 정보를 전송 요청하게 되고(단계 S44),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의 마이크로 컨트롤러(40)는 해당 중계기의 각 동작 회로부를 감시한 결과에 따른 중계기 상태에 부합되는 상태 코드를 선택하여 중계기 상태 정보를 생성함에 의해, 상기 중계기 상태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에 전송한다(단계 S45).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는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로부터 중계기 상태 정보를 수신받게 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 상태 코드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SMS)를 생성하고(단계 S46), 상기 단문 메시지(SMS)를 페이징 채널을 통해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12)에 전송함에 따라(단계 S47), 상기 중계기를 매개로 상기 단문 메시지가 이동 통신망을 통해서 중계기 관리 서버(22)에 전송된다(단계 S48).
그에 따라,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22)는 상기 중계기 상태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가 중계기 상태 통보 주기에 수신되는 것으로 상기 중계기가 댁내(10)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중계기 상태 코드를 통해서 해당 중계기의 정상 동작 여부 및 이상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49).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음영지역에 설치되는 소형 중계기에 존 서비스를 위한 존 설정기를 내장하고, 음영 지역에서 서비스 존내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에 의해 중계기의 상태 정보를 제공함에 의해, 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중계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중계기 관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존 설정기가 내장된 중계기를 구비함에 의해 존 설정기 및 중계기를 각각 별도로 구입하여야 하는 종래에 비해서 비용 절감 및 기기 관 리가 보다 용이해지고, 다수의 음영 지역에 분포된 수많은 소형 중계기의 감시 및 관리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19)

  1. 음영지역에서 이동통신 신호를 중계함과 더불어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 범위를 서비스 존으로 형성하는 존 설정기를 내장하고서, 서비스 존에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중계기의 상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와;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에 의해 생성되는 서비스 존내에서 중계기의 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그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의 신호 중계를 통해 이동 통신망으로 전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중계기 상태 정보를 통해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의 중계기 상태를 감시 및 관리하는 중계기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는 음영 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 통신망 사이의 이동통신 신호의 교신을 중계하는 중계기 회로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중계기 상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 회로부 및,
    상기 중계기 회로부와 근거리 통신 회로부를 각각 감시 및 제어하고서, 상기 중계기 회로부의 상태 감시에 따른 중계기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계기 상태 정보를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와 미리 약정된 코드 형식에 따라 해당 중계기의 정상 동작 상태 및 다양한 이상 발생 상태를 코드화하여 중계기 상태 코드의 형태로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중계기 상태 정보를 단문 메시지(SMS)의 형태로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에는 중계기 상태 정보가 해당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TID(Teleservice Identification)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전화번호,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에 대해 할당된 목적지 전화번호, 상기 존설정기 내장형 중계기에 대해 고유하게 부여된 중계기 식별번호, 상기 중계기 상태 정보에 대한 상태 코드값, 해당 날짜/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는 미리 설정된 중계기 상태 통보 주기가 경과될때마다 중계기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서비스 존내에서 일정 기간별로 최초로 통신이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중계기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자체에서 계수되는 중계기 상태 통보 주기가 경과될때마다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에 중계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요청시마다 중계기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정 기간별로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와 서비스존 설정을 위해 최초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에 중계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요청시마다 중계기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
  10. 서비스 존을 형성하는 존 설정기가 내장된 중계기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존 설정기가 내장된 중계기에서 해당 중계기의 각 회로부의 정상 동작 여부 및 이상 발생 유무를 감시하여 그 결과로 중계기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중계기 상태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 범위의 서비스 존 내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2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받은 중계기 상태 정보를 존 설정기가 내장된 중계기를 매개로 중계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중계기 상태 정보를 통해 상기 존 설정기가 내장된 중계기의 정상 동작 여부 및 이상 발생 유무를 감시하고 관리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중계기 상태 정보는 상기 중계기 관리 서버와 미리 약정된 코드 형식에 따라 해당 중계기의 정상 동작 상태 및 다양한 이상 발생 상태를 코드화하여 생성되는 중계기 상태 코드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존 설정기가 내장된 중계기에서 미리 설정된 중계기 상태 통보 주기가 경과될때마다 상기 중계기 상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존 설정기가 내장된 중계기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서비스 존내에서 일정 기간별로 최초로 통신이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상기 중계기 상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자체적으로 계수되는 중계기 상태 통보 주기가 경과될때마다 상기 존 설정기가 내장된 중계기에 중계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존 설정기가 내장된 중계기에서 상기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중계기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정 기간별로 상기 존 설정기가 내장된 중계기와 서비스존 설정을 위해 최초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상기 존 설정기가 내장된 중계기에 중계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존 설정기가 내장된 중계기에서 상기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중계기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중계기 상태 정보를 단문 메시지(SMS)의 형태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방법.
  17. 음영 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 통신망 사이의 이동통신 신호의 교신을 중계하는 중계기 회로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특정 서비스의 진행을 위한 서비스 존을 설정하는 근거리 통신 회로부; 및
    상기 중계기 회로부에 대한 이동통신 신호의 중계 처리와,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부의 서비스 존 설정을 위한 무선 근거리 통신을 각각 감시 및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계기 회로부의 상태 감시에 따른 중계기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회로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상태 정보는 해당 중계기의 정상 동작 상태 및 다양한 이상 발생 상태를 미리 약정된 코드 형식에 따라 코드화하여 생성되는 중계기 상태 코드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
KR1020060102664A 2006-10-23 2006-10-23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및 그 방법과,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 KR100826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664A KR100826087B1 (ko) 2006-10-23 2006-10-23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및 그 방법과,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664A KR100826087B1 (ko) 2006-10-23 2006-10-23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및 그 방법과,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268A KR20080036268A (ko) 2008-04-28
KR100826087B1 true KR100826087B1 (ko) 2008-04-29

Family

ID=3957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664A KR100826087B1 (ko) 2006-10-23 2006-10-23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및 그 방법과,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60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308B1 (ko) * 2014-04-10 2015-11-09 주식회사 쏠리드 소출력 rf 중계기의 상태 감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70494B1 (ko) * 2021-09-01 2022-11-28 주식회사 제이티 건설현장용 사물인터넷(IoT) 관리 허브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362A (ko) 2005-03-22 2006-09-27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존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과 서비스 제공방법
KR20060102527A (ko) 2005-03-22 2006-09-27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정기와,이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 및,이동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362A (ko) 2005-03-22 2006-09-27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존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과 서비스 제공방법
KR20060102527A (ko) 2005-03-22 2006-09-27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정기와,이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 및,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268A (ko) 2008-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44830B2 (ja) ホームゾーンサービスを可能とした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ホームゾーンサービス方法
JP4589995B2 (ja) 多モード無線通信システム
JP4328868B2 (ja) 多モード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852860B1 (ko)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정기와,이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 및,이동통신단말기
US201200839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sioning energy profile in home area network
JP2003023655A (ja) 位置登録システム、位置登録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通信端末、制御装置、位置登録方法
CN101043698B (zh) 一种寻呼空闲模式下终端的方法
JP5907960B2 (ja) 検出器
US20130208712A1 (en) Disaster prevention system based o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method for the same
US6078821A (en) Cordless radiotelephone system having an extendable geographic coverage area and method therefor
JP200116901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826087B1 (ko)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및 그 방법과,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
JP541778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無線基地局
JP2006279782A (ja) 移動端末呼び出し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呼び出し方法
JP2004357041A (ja) 移動通信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KR100729521B1 (ko)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과, 이 서비스 제공방법에적용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중계기
JPH11164359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100942895B1 (ko) Pan 기반 홈 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15474B1 (ko) 홈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166280A (ja) 無線基地局
KR20070025997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존 서비스 해지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706969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20130134872A (ko) 지능형 무선인터넷 접속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지능형 무선인터넷 접속방법
KR19980078014A (ko) 무선호출망 및 무선호출기 내장형 ct2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단말기의 무선제어장치
KR19980078015A (ko) 무선호출망 및 무선호출기 내장형 ct2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단말기의 무선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