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860B1 -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정기와,이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 및,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정기와,이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 및,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860B1
KR100852860B1 KR1020060026165A KR20060026165A KR100852860B1 KR 100852860 B1 KR100852860 B1 KR 100852860B1 KR 1020060026165 A KR1020060026165 A KR 1020060026165A KR 20060026165 A KR20060026165 A KR 20060026165A KR 100852860 B1 KR100852860 B1 KR 100852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service
mobile communication
setter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2527A (ko
Inventor
조율제
김종득
김형목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ublication of KR20060102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여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특정한 존(Zone)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을 구비하고서 이동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그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를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상기 서비스 존으로 설정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와, 이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60026165
서비스 존, 서비스 존 설정, 근거리 무선통신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정기와, 이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 및, 이동통신단말기 {DEVICE FOR SETTING OF A SERVICE Z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ZONE-BASED SERVICE USING THE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UNIT}
도 1은 종래의 휴대전화시스템의 셀 및 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휴대전화시스템에서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셀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반경이 축소되거나 일그러진 셀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듀폰 서비스의 시스템 구성도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존 서비스(Zone Service)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존 설정기(Zone Setting Device)를 나타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존 서비스 등록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존 서비스 등록 절차를 수행중에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면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신 호 시도시의 존 서비스 기반의 발신 호 처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신 호 시도시의 존 서비스 기반의 발신 호 처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신 호 시도시의 존 서비스 기반의 발신 호 처리 절차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면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신 호 시도시의 존 서비스 기반의 발신 호 처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셀(Cell) 4, 16, 20 : 존(Zone)
6, 22 : 기지국 8, 21 : 이동통신단말기
10 : 유선 전화망 12 : AP(Access Point)
14 : 유선전화기 19 : 존 설정기
23 :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24 : 이동통신교환기 25 : 신호망(No.7 Network)
27 : 존 서비스 인증서버 28 : 메시지서비스센터
29 : 과금서버 31 : 제어부
32 : 키입력부 33 : 무선 송수신부
35 : 이동통신 송수신부 37, 45 : 메모리
39 : 제어부 41 : 무선 송수신부
43 : 이동감지 센서 46 : 전원공급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효율적인 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정기와, 이 존 설정기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이 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개발에 따라, 유선 및 무선을 이용한 많은 통신 서비스가 이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유선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은 광 섬유의 개발과 관련 시스템의 개발로 광통신망의 실현이 가능해 졌고, 음성과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양이 증가했다. 또한, 무선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은 단지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던 서비스에서 발전하여, 현재는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이동중에도 고속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무선 통신 서비스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이용하는 이동전화 서비스와, 무선랜, CDMA, 휴대인터넷(Wireless Broadband Internet) 기술을 이용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등에 의해 서비스 제공 영역 및 이용자가 급증하는 추세이다.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과 이로 인한 해당 무선 통신 서비스의 이용자 증가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업체와 이용자 모두에게 요금의 부과방법과 서비스 제공에 대한 신뢰성 및 효율성의 문제를 고려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들은 자사의 고객을 유지하고, 신규 고객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할인 혜택과 그에 따른 서비스 요금 부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휴대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의 지역할인 서비스와 휴대 전화단말기와 유선 전화망을 연동시키는 듀폰(DU Phone) 서비스가 있다.
지역할인 서비스는 셀 기반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특정 기지국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내에서 통신요금에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여기서, 셀 기반 기술이라는 것은 휴대전화 시스템 및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이 기지국을 구비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전화시스템의 셀 및 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전화시스템은 가입자의 휴대폰과 직접적으로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6)을 구비한다. 기지국(6)은 수 백미터(m)에서 수 킬로미터(Km)에 이르는 서비스 제공영역인 셀(Cell)(2)을 형성한다. 또한, 가입자, 기지국 관리 등의 이유로 다수의 셀, 즉 다수의 기지국(6)을 하나의 동일 지역으로 고려하는 존(Zone)(4)이 형성된다.
도 2a 및 도 2b는 휴대전화시스템에서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반경이 축소되거나 일그러진 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셀이 형성하는 모양은 통신망 설계의 편의를 위해 육각형(2a), 팔각형(2b) 등의 다각형으로 고려되지만, 실제로 원형(2c)을 취하게 되고 이러한 까닭에 인접한 셀과의 중첩지역(2d)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중첩지역(2d)에 진입한 휴대전화는 보다 나은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기지국과 호를 설정하기 위해 핸드오프와 같은 기지국(혹은 셀) 변경 절차를 취하게 된다. 하지만 원의 형태를 띠는 셀의 반경은 지형, 셀 내의 가입자 수, 건물 등의 이유로 인해 원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6)이 설치된 지역이 주로 논이나 낮은 구릉이 존재하는 농촌지역이면, 이상적인 원형에 가까운 모양을 하게 된다. 이러한 농촌지역은 하나의 기지국(6)과 호를 유지하는 휴대전화 수의 평균이 도시와 같은 밀집지역보다 적기 때문에 셀의 반경이 커지게 된다. 반면에 기지국(6)이 설치된 지역이 높은 건물이 많은 도시지역이나 산악지역이면, 셀의 모양은 원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더욱이 도시지역은 하나의 셀 내에 존재하는 휴대전화 즉, 가입자가 많기 때문에 셀의 반경이 농촌에 비해 상당히 작게 설정된다. 도시지역의 경우, 기지국(6)이 송출한 전파가 건물 등에 의해 반사 및 흡수되어 셀의 영역 확보가 어려워지며, 한 건물 내에 다수의 휴대전화가 존재하기 때문에 기지국(6)이 수용할 수 있는 휴대전화의 수를 벗어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 실제로 셀의 반경이 1km로 설정되었다고 할지라도, 위와 같은 상황에 의해 수십 미터(m) 내외 혹은 수 미터(m) 내외까지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전화시스템에서 셀 기반의 지역할인 서비스를 제공하면, 특정 기 지국(6)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 가입자라도 지역과 시간 등의 요인에 의해 지역할인 서비스가 적용되는 가입자와 그렇지 않은 가입자가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지역할인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가 해당 지역에서 지역할인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서비스 제공 목적과는 달리, 지역할인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한 가입자에 의해 서비스 개선 요구 혹은 지역할인 서비스 가입자의 탈퇴 등과 같은 부정적인 효과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4는 종래의 듀폰 서비스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듀폰 서비스는 서비스 지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지역 내의 휴대전화를 기지국(6)이 아닌 서비스 지역 중계기에 의해 유선전화망(10)과 연동하는 서비스이다. 종래의 유선전화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설치된 유선전화망(10)에 전화기(14)가 접속되고 휴대전화(8)와 유선전화망(10)을 연동시키기 위한 중계기(Access Point ; 12)가 설치된다. 중계기(12)와 휴대전화(8)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며, 블루투스의 서비스 반경에 의해 수 내지 수십 미터(m) 서비스 제공 영역인 존(16)이 설정된다. 중계기(12)에 의해 설정된 영역에 휴대전화기(8)를 소지한 가입자가 들어오면, 중계기(12)와 휴대전화기(8)가 서로 통신을 시도하여, 휴대전화기(8)가 중계기(12)를 통한 통화가능영역에 위치해 있음을 인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가입자가 휴대전화기(8)를 통화모드로 설정하면 휴대전화기(8)는 휴대전화시스템을 통하여 통화를 시도하는 것이 아니라 중계기(12)를 통하여 통화를 시도한다. 이에 따라 중계기(12)는 휴대전화기기(8)와 유선전화망(10)의 연동을 시도한다. 유선전화망(10)과의 연동이 성립되면, 휴대전화기(8)는 가정용 유선전화기(14)의 휴대셋처럼 사용된다. 아울러, 가입자는 휴대전화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휴대전화 요금보다 저렴한 유선전화 요금으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듀폰 서비스는 상기한 휴대전화시스템에서의 지역할인보다 서비스 제공 영역(16)의 설정이 정확하며, 변동이 적기 때문에 보다 나은 지역할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듀폰 서비스는 유선전화기(14)와 같이 가입자가 통화시에 유선전화 회선을 점유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휴대전화서비스는 셀(2)의 반경이 불규칙하게 변동하고 이에 따른 부정적인 효과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서비스 제공지역 내에 다수의 가입자가 존재하더라도 각각의 호를 개통하여 통화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듀폰 서비스는 1회선만 설치한 경우, 가입자 한 명이 회선을 점유하면, 다른 가입자는 할인지역 내에서도 휴대전화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중계기(12)의 회선을 늘리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막대한 회선 증설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에 의해 특정 지역을 설정하여, 해당 지역에서의 요금을 할인해 주는 것과 같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 경우, 특정 지역을 설정하기 위해 존 설정기를 설치하고, 이 존 설정기로부터 일정거리의 반경을 특정 지역으로 설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존 설정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위치정 보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 GPS)을 이용해야 하는데, 아직까지 이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하는 모듈이 고가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격상승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망에서 효율적인 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존 설정기와, 이 존 설정기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이 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존 설정기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여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특정한 존(Zone)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을 구비하고서 이동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그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를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상기 서비스 존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존 설정기는 존 서비스의 등록 후에 그 등록 설정된 서비스 존을 임의로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방지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 방지 수단은, 존 서비스 등록 시점에 설치된 위치를 초기 상태로 하여 이동 정도를 감지하고 그 이동 정도를 이동 거리로 환산하여 그 환산된 이동 거리를 누적하는 이동 감지 센서와, 상기 이동 감지 센서의 누적 이동 거리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면 존 서비스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여 이동통신시스템으로의 존 서비스 접속 시도시에 참조되어 존 서비스 접속 가능 여부가 결정되는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이동거리 초과에 의한 접속 불가 상태로 설정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가입자에게 특정 존 서비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시스템과는 이동통신수단에 의하여 통신접속하고 하기의 존 설정기와는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에 의하여 통신접속하며, 하기의 존 설정기에 의하여 규정된 영역 내에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특정 존 서비스에 대하여 접속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에 의하여 이동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그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를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상기 서비스 존으로 설정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가입자에게 특정 존 서비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를 서비스 존으로 설정하고, 그 서비스 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특정 존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통 신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특정한 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존을 자신의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로 설정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과; 가입자에 의한 키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키입력수단과; 표시부와; 상기 이동통신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수단과;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 및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존 서비스 등록을 위한 프로그램 및 존 서비스 접속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키입력수단을 통하여 가입자에 의한 존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 및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존 서비스 등록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 후에, 가입자에 의한 발신 호 시도의 기 설정된 예비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존 설정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일정 시간동안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가입자에 의한 발신 호 시도가 감지된 때 상기 과정에서 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상태로 확인된 경우 존 서비스 기반의 발신 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목적들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존 서비스(Zone Service)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존 설정기(19), 이동통신단말기(21), 이동통신망 시스템, 존 서비스 인증서버(27), 존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6) 및 과금서버(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21)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22)과, No.7 망과 같은 신호망(25)에 상호 접속된 이동통신교환기(24)와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23) 및 메시지서비스센터(28)를 포함하는 통상의 구성이다.
상기 존 설정기(19)는 특정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1)는 음성 통신(즉, 통화) 및 데이터통신(예를 들면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구성으로, 상기 존 설정기(19)와의 통신에 의하여 서비스 존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서비스 존 내에 있을 경우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존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6)는 존 서비스 가입자 정보로서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 정보(예를 들면 단말기 번호), 존 설정기(Zone Setting Device)의 식별정보(Zone Setting Device IDentification; ZSDID), 이동통신단말기의 서비스 등록 정보(서비스 등록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로서 예를 들면 "1"이면 등록, "0"이면 미등록) 및 서비스 존 설정 정보(예를 들면 "1"이면 이동통신단말기가 서비스 존 내부에 있으면서 존 설정기가 정상 동작 상태인 경우이고 "0"이면 이동통신단말기가 서비스 존 외부에 있거나 존 설정기가 정상 동작 상태가 아닌 경우임)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한다. 가입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존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존 설정기를 구매할 때 이동통신망 서비스 제공업체에 의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및 존 설정기의 식별정보(ZSDID) 등의 존 서비스 가입자 정보가 등록되거나, 또는 가입자가 존 설정기를 구매한 후에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이동통신망 서비스 제공업체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및 존 설정기의 식별정보(ZSDID) 등의 존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직접 등록할 수도 있다. 이때, 등록된 정보는 기본적인 존 서비스 가입자 정보이며, 후술될 이동통신단말기의 서비스 등록 요청시에 상기 존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6)는 해당 이동통신단말에 대한 존 서비스 가입자 정보로서 서비스 등록정보를 추가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한다. 또한, 서비스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신 호 시도시에 상기 존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6)는 존 서비스 가입자 정보로서 서비스 존 설정 정보(예를 들면 "1"이면 이동통신단말기가 서비스 존 내부에 있으면서 존 설정기가 정상 동작 상태인 경우이고 "0"이면 이동통신단말기가 서비스 존 외부에 있거나 존 설정기가 정상 동작 상태가 아닌 경우임)를 추가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한다.
상기 존 서비스 인증서버(27)는 이동통신단말기(21)의 요청에 따라서 존 서비스 등록 절차 및 서비스 해지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존 서비스 인증서버(27)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의 존 서비스 등록 요청시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존 설정기의 식별정보(ZSDID)와 이동통신단말기정보가 상기 존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6)에서 관리되고 있는 정보인지를 조회하여, 관리되고 있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 이동통신단말기로 존 서비스 등록이 성공했음을 통지한다. 상기 존 서비스 인증서버(27)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의 존 서비스 해지 요청시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존 설정기의 식별정보(ZSDID)와 이동통신단말기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도록 요청한다.
상기 과금서버(29)는 이동통신단말기(21)의 통신 서비스 이용 내역에 따라 과금을 수행한다. 상기 존 서비스가 요금 할인 서비스인 경우 상기 과금서버(29)는 이동통신단말기(21)로부터 매 통신(음성 통신 또는 데이터 통신) 접속시에 전송되어 오는 서비스 존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통신 요금의 할인 적용 여부를 판단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21)는 제어부(31), 키입력부(32), 무선송수신부(33), 표시부(34), 이동통신송수신부(35) 및 메모리(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입력부(32)는 가입자에 의하여 번호 및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들과 기능 선택을 위한 기능키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선송수신부(33)는 존 설정기(19)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블루투스(Bluetooth), IR(InfraRed), 지그비(ZigBe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송수신부(33)가 블루투스 통신모듈일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블루투스 통신모듈은 존 설정기(19)와 통신하기 위하여 블루투스 방식에 의하여 무선채널을 형성한다. 이러한 블루투스 통신모듈은 2.4GHz 대역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밴드를 사용하여 통신하며, ISM 밴드 아래로 2MHz 대역과, ISM 밴드 위로 3.5MHz 대역의 가드 밴드(Guard Band)를 두어 다른 장치와의 간섭을 방지한다. 또, 블루투스 통신모듈은 기본적으로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방식을 사용하여 초당 1600번 호핑하며, 출력은 100mW(20dBm)이며, 클래스 1로 명명된 블루투스 통신모듈은 최대 100m 범위까지 통신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21)의 무선송수신부(33)와 존 설정기(19)의 무선송수신부(41)는 모두 블루투스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표시부(34)는 예를 들면 액정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서 문자 및 수자를 표시하거나 기능 메뉴화면를 표시하며 또한 텍스트 및 이미지 등을 표시한다.
상기 이동통신송수신부(35)는 이동통신망 시스템과 음성 및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예를 들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휴대인터넷(Wireless Broadband Internet)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현재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는 통신 방식으로 CDMA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이러한 이동통신송수신부(35)는 이동통신단말기(21)와 기지국(22) 간에 음성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트래픽 채널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채널 및, 이동통신단말기(21)를 체크하거나 SMS(Short Message Service) 및 MMS(Multi Message Service) 송수신 등을 위한 페이징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메모리(37)는 이동통신단말기(21)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또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존 설정을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37)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한다.
특히, 상기 메모리(37)는 서비스 존 설정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비휘발성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들은 인증서버 등록상태 정보, 서비스 등록상태 정보,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 임시 등록상태 정보(TMP_FLAG), 존 설정기의 고유이름 정보, 링크 키(Link Key) 정보, 존 설정기 상태 정보, RF 데이터링크 식별정보(RF_DLC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서버 등록상태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존서비스 인증서버(27)에 존 설정기를 등록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면 등록한 경우 "0x01", 등록하지 않은 경우 "0x00", 초기값은 "0x0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등록상태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존서비스 인증서버(27)에 존 설정기를 등록한 후에 존 설정기에 서비스를 등록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면 등록한 경우 "0x01", 등록하지 않은 경우 "0x00", 초기값은 "0x0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는 존설정기에 부여되는 예를 들면 48비트의 고유한 식별정보로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존 설정기에 조회(Inquiry) 링크 설정을 통하여 존 설정기에서 제공된다. 이러한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는 서비스 존 정책에 가입한 이동통신 단말기(21)가 가입 당시에 가입자에 의하여 설치된 존 설정기(19)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21)가 하나 이상의 존을 지정하고, 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를 가질 수 있으므로, 메모리(37)에는 하나 이상의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할당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시 등록상태 정보(TMP_FLAG)는 존 서비스 등록 절차에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존서비스 인증서버(27)에 서비스를 등록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1비트 플래그 정보로서, 초기값은 "0"이고 등록완료한 경우에는 "1"이다. 여기서, 임시 등록상태 정보(TMP_FLAG)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이유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존 서비스 등록 절차 도중에 상대적으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존서비스 인증서버(27)에의 서비스 등록을 완료한 상태에서 예를 들면 배터리 전원이 오프(OFF) 되는 등의 원인에 의하여 존 서비스 등록 절차가 종료된 경우에 재차 존 서비스 등록 절차를 수행할 경우 중복되는 존서비스 인증서버(27)에의 서비스 등록 절차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존 설정기의 고유이름 정보는 존 설정기와 이동통신단말기가 블루투스 통신을 할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존 설정기에 대하여 제조시에 COD(Class of Device/Service)영역에 설정되는 고유한 이름값이며, 존 설정기로부터 취득된다. 이 존 설정기의 고유이름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조회(Inquiry) 링크 설정을 함에 따라 주변의 다른 블루투스 기기로부터의 신호메시지를 필터링 하는데 사용된다. 이동통신단말기(21)가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를 두 개까지 가질 수 있는 경우 메모리(37)에는 2개의 이름이 저장되는 공간이 할당된다. 메모리 초기값은 예를 들면, "LGT_DMID1" 및 "LGT_DMID2"로 셋팅될 수 있다.
상기 링크 키(Link Key)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존 설정기로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와 존설정기 핀코드(PINCODE)를 교환하여 짝을 맞춘 후에 생성되어 저장되는 정보이다.
상기 존 설정기 상태 정보는 가장 최근에 존 설정기로부터 전달받은 "존 설정기 상태 응답 메시지"의 상태코드 정보이다. 존 설정기 상태 응답 메시지"의 상태코드 정보의 유형은 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상 상태"와, 존 설정기의 이동거리가 설정치를 초과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정치 초과 이동 상태", 존 설정기의 하드웨어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이상 상태", 전원공급이 중단된 적이 있음을 나타내는 "전원 불량 상태", 연속적인 리셋(Reset) 시도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연속 리셋 시도 상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정상상태는 예를 들면 "0x00000000"으로 설정되고. 그 이외에 존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한 상태들은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RF 데이터링크 식별정보(RF_DLCI)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무선송수신부(33)를 통하여 존 설정기(19)와의 RF통신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링크 식별정보로서, RF통신을 연결할 때마다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사용한다면 이 RF 데이터링크 식별정보(RF_DLCI)는 불필요하다.
상기 제어부(31)는 이동통신단말기(21)를 구성하는 이동통신송수신부(35), 표시부(34), 키입력부(32), 무선통신송수신부(33), 메모리(37) 등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31)는 가입자가 키입력부(32)를 이용하여 존 서비스 등록을 선택함에 따라 존서비스 인증서버(27)에의 서비스 등록을 위한 제어와, 존 설정기(19)에의 서비스 등록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또, 상기 제어부(31)는 가입자에 의한 발신 호 시도가 감지되면 존 설정기(19)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그에 따른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받아, 존 설정 상태 정보가 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정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존 서비스(예를 들면 요금할인 서비스 및 무료 서비스) 기반의 발신 호 처리를 수행하며, 존 설정 상태 정보가 존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일반 호 처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발신 호 시도는 키입력부(32)의 통화키 및 전송키의 조작이나 그에 상응하는 키 조작에 의한 것 이외에도, 미리 정해진 것으로서 키입력부(32)의 소정 키(예를 들면 수자 키)의 입력과 표시부(34)의 백라이트-온(Back-Light On), 폴더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폴더-오픈(Folder-Open),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슬라이드-업(Slide-Up) 등과 같은 키 이벤트(Key Event)가 발생하는 경우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31)는 발신 호 시도시에 존 설정기(19)와의 통신에 의하여 존 설정기(19)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존 서비스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현재 존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내기 위한 예를 들면 아이콘 형태의 존 서비스 표시자가 표시부(34)의 표시화면의 소정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존 설정기를 나타 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존 설정기(19)는 제어부(39), 무선송수신부(41), 유선접속인터페이스(42), 이동감지센서(43), 메모리(45), 전원공급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감지 센서(43)는 존 설정기(19)의 서비스 등록 후에 가입자가 등록 설정된 서비스 존을 임의로 변경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존 설정기(19)가 서비스 등록 시점에 설치된 위치에서 이동하게 되면 그 이동 정도를 감지하여 그 이동 정도를 이동 거리로 환산하여 그 환산된 이동 거리의 누계가 기 설정된 소정의 임계값을 넘어가면 제어부(39)에 이동 거리 초과를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동 감지 센서(43)는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선송수신부(41)는 이동통신단말기(21)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이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41)는 블루투스(Bluetooth),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방식으로 블루투스로서 파워 클래스 1(Power Class 1)을 사용할 경우, 파워 클래스 1을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과는 최대 100m까지 통신이 가능하므로 서비스 존의 반경은 100m 정도 이상이 될 수 있다. 블루투스를 이용할 경우 한 대의 존 설정기(19)에 최대 7대의 이동통신단말기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선접속인터페이스(42)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것으로, 가입자가 퍼스널 컴퓨터 등을 통하여 이동통신망 서비 스 업체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다운로드받은 존 설정기(19)의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유선접속인터페이스(42)를 통하여 내장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선접속인터페이스(42)로서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46)는 충전배터리와,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충전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외부 교류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도 일정시간(예를 들면 48시간) 동안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전원공급장치(46)는 외부교류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면, 정전 또는 가입자에 의하여 존 설정기의 고의적인 이동으로 인한 외부교류전원의 차단)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를 제어부(39)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장치(46)는 외부교류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이동감지센서(43)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가입자가 고의로 존 설정기의 전원을 차단하고 이동시킬 경우에도 그 이동거리를 정확하게 산출해내도록 하여도 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46)는 소형 건전지를 사용하여 구성해도 된다.
상기 메모리(45)는 존 설정기(19)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과 그 동작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45)는 서비스 존 설정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비휘발성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들은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 존 설정기의 고유이름 정보, 링크 키(Link Key) 정보, 존 설정기 상태 정보, RF 데이터링크 식별정보(RF_DLC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는 예를 들면 48비트의 고유한 식별정보로서, 서비스 존 정책에 가입한 이동통신 단말기(21)가 가입 당시에 가입자에 의하여 설치된 존 설정기(19)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존 설정기의 고유이름 정보는 존 설정기와 이동통신단말기가 블루투스 통신을 할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제조시에 COD(Class of Device/Service)영역에 설정되는 고유한 이름값이다. 상기 링크 키(Link Key)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존 설정기로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와 존설정기 핀코드(PINCODE)를 교환하여 짝을 맞춘 후에 생성되어 저장되는 정보이다.
상기 존 설정기 상태 정보는 가장 최근의 상태코드 정보로서, 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상 상태"와, 존 설정기의 이동거리가 설정치를 초과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정치 초과 이동 상태", 존 설정기의 하드웨어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이상 상태", 전원공급이 중단된 적이 있음을 나타내는 "전원 불량 상태", 연속적인 리셋(Reset) 시도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연속 리셋 시도 상태"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상기 정상상태는 예를 들면 "0x00000000"으로 설정되고. 그 이외에 존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한 상태들은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RF 데이터링크 식별정보(RF_DLCI)는 이동통신단말기와의 RF통신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링크 식별정보로서, RF통신을 연결할 때마다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사용한다면 이 RF 데이터링크 식별정보(RF_DLCI)는 불필요하다.
상기 제어부(39)는 무선송수신부(41)와 이동감지센서(43), 전원공급부(46), 유선접속인터페이스(42) 및 메모리(45)를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39)는 이동 통신단말기(21)의 서비스 등록 절차에 따라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를 이동통신단말기(21)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와, 이동통신단말기(21)의 서비스 등록요청에 따라 서비스 등록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또, 상기 제어부(39)는 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상태인지, 존 설정기의 이동거리가 설정치를 초과한 상태인지, 존 설정기의 하드웨어 이상 상태인지, 전원공급이 중단된 적이 있는지, 연속적인 리셋(Reset) 시도가 발생했는지 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그 감시결과를 존 설정기 상태 정보로서 메모리(45)에 저장 관리한다.
또, 상기 제어부(39)는 이동통신단말기(21)의 발신 호 시도시에 이동통신단말기(21)로부터의 존 설정기 상태 정보 요청의 응답으로서 상기 메모리(45)에 저장된 존설정기 상태 정보를 해당 이동통신단말기(21)에 전달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8a, 도 8b,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존 서비스 등록 절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입자가 이동통신단말기(21)의 키입력부(32)를 이용하여 사용자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제어부(31)의 제어에 의하여 표시부(34)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도 9의 M1 및 도 10의 M11 참조)을 보고 키입력부(32)를 이용하여 존서비스를 선택하면, 제어부(31)의 제어에 의하여 표시부(34)에 표시 되는 존 서비스 메뉴 화면(도 9의 M2 및 도 10의 M12 참조)이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가 키입력부(32)를 이용하여 서비스 등록을 선택한다(단계 S1).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부(31)는 메모리(37)에 저장된 서비스 등록상태 정보를 검사하여 이동통신단말기(21)가 존 설정기(19)에 이미 서비스 등록이 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3).
상기 단계 S3에서 서비스 등록이 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1)는 도 9의 M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34)를 제어하여 존 서비스에 이미 등록되어 있음을 안내하도록 하고, 서비스 등록 절차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 단계 S3에서 서비스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1)는 존 설정기(19)를 검색하기 위하여 무선송수신부(33)를 제어하여 주변 블루투스 기기와 블루투스 조회(Inquiry) 링크 설정을 하도록 한다(단계 S5).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21)의 무선송수신부(33)가 존 설정기(19)와도 조회(Inquiry) 링크가 설정되어 존 설정기(19)로부터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31)는 표시부(34)를 제어하여 도 10의 M13과 같이 존 설정기 식별정보 검색 화면과 함께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후 가입자가 키입력부(32)를 이용하여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31)는 표시부(34)를 제어하여 도 10의 M14와 같이 존 설정기(19)의 핀 코드(PINCODE) 입력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어, 가입자가 키입력부(32)를 이용하여 존 설정기(19)의 외관에 표기된 핀 코드를 입력한다(단계 S7~S9).
이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부(31)는 핀 코드 입력에 따라 무선 송수신부(33)를 제어하여 존 설정기(19)의 무선 송수신부(41)와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을 설정하고(단계 S11), 상기 무선송수신부(33)를 통하여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를 요청한다(단계 S13). 이때, 제어부(31)는 표시부(34)를 제어하여 도 10의 M15와 같이 존 서비스 등록 과정이 진행 중에 있음을 표시하도록 한다.
그후,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 요청을 무선 송수신부(41)를 통하여 수신한 존 설정기(19)의 제어부(39)는 메모리(45)에 저장된 자신의 식별정보(ZSDID)를 읽어내어 무선 송수신부(41)를 제어하여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 응답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21)로 송출하도록 한다(단계 S15).
이어, 상기 무선송수신부(33)를 통하여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 응답을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부(31)는 메모리(37)에 저장된 인증서버 등록상태 정보와 임시 등록상태 정보(TMP_FLAG)를 검사하여 인증서버(27)에 서비스 등록이 이미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17). 여기서, 이미 인증서버(27)에의 서비스 등록이 완료된 상태이면 인증서버 등록상태 정보가 예를 들면 "0x01"로 설정되어 있고 임시 등록상태 정보(TMP_FLAG)가 예를 들면 "1"로 설정되어 있게 된다.
상기 단계 S17에서 인증서버(27)에 서비스 등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부(31)는 이동통신 송수신부(35)를 제어하여 서비스 등록 요청 통보용 텔레서비스 식별자(Teleservice IDentifier; TID)를 가진 단문메시지를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존 서비스 인증서버(27)로 발송하도록 한다(단계 S19). 여기서, 서비스 등록 요청 단문 메시지에는 존 설정기(19)의 식별정보(ZSDID)와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정보가 포함된다.
그후, 존 서비스 인증서버(27)는 이동통신단말기(21)로부터 전송되어온 존 설정기의 식별정보(ZSDID)와 이동통신단말기정보가 상기 존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6)에서 관리되고 있는 정보인지를 조회하여, 관리되고 있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 이동통신단말기(21)로 존 서비스 등록이 성공했음을 나타내는 TID를 가진 단문메시지를 서비스 등록 요청 응답으로서 발송하고, 관리되고 있지 않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 이동통신단말기(21)로 존 서비스 등록이 실패했음을 나타내는 TID를 가진 단문메시지를 서비스 등록 요청 응답으로서 발송한다(단계 S21).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부(31)는 이동통신 송수신부(35)를 통하여 수신된 서비스 등록 요청 응답이 존 서비스 등록 실패인 것으로 확인되면, 표시부(34)를 제어하여 도 10의 M17과 같이 서비스 등록이 실패하였음을 표시하도록 한다. 그후,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부(31)는 서비스 등록 절차를 종료한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부(31)는 서비스 등록 요청 응답이 존 서비스 등록 성공인 것으로 확인되면, 메모리(37)에 저장된 인증서버 등록상태 정보를 예를 들면 "0x01"로 갱신 저장하도록 하고 임시 등록상태 정보(TMP_FLAG)를 예를 들면 "1"로 갱신 저장하도록 한다(단계 S23).
그후,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부(31)는 무선 송수신부(33)를 제어하여 존 설정기(19)의 무선 송수신부(41)와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을 설정하고( 단계 S25), 상기 무선송수신부(33)를 통하여 서비스 등록을 요청한다(단계 S27). 여기서, 상기한 단계 S25는 생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송수신부(41)를 통하여 서비스 등록 요청을 수신한 존 설정기(19)의 제어부(39)는 이동감지센서(43)를 초기화하도록 제어하고, 링크 키(Link Key)를 저장한다(단계 S29).
이어, 상기 존 설정기(19)의 제어부(39)는 무선 송수신부(41)를 통하여 서비스 등록 요청 응답을 이동통신단말기(21)로 송출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31).
이에 따라 무선 송수신부(33)를 통하여 서비스 등록 요청 응답을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부(31)는 존 설정기(19)의 식별정보(ZSDID)와 링크 키(Link Key)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서비스 등록상태 정보를 예를 들면 "0x01"로 갱신 저장하며, 존 설정기 상태 정보(ZSD_STATUS)를 초기화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33). 이와 동시에,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부(31)는 표시부(34)를 제어하여 도 10의 M16과 같이 서비스 등록이 성공하였음을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단계 S17에서 인증서버(27)에 서비스 등록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부(31)는 인증서버에의 서비스 등록이 완료된 상태에서 비정상적인 원인에 의하여 서비스 등록절차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19와 S21를 생략하고 단계 S23 이후의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신 호 시도시의 존 서비스 기반의 발신 호 처리 절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가입자가 이동통신단말기(21)의 키입력부(32)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통화 키"를 조작하는 등에 의하여 음성 호 및 데이터 호 등과 같은 호 접속을 선택한다(단계 S41). 여기서, 예를 들면 가입자가 키입력부(32)의 입력키 조작에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부(31)는 표시부(34)를 제어하여 예를 들면 도 13의 M12와 같은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부(31)는 무선 송수신부(33)를 제어하여 존 설정기(19)의 무선 송수신부(41)와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을 설정한다(단계 S43). 여기서 단계 S43은 생략할 수도 있다.
그후,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부(31)는 무선 송수신부(33)를 제어하여 존 설정기(19)에게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요청을 송출하도록 한다(단계 S45).
이에 따라, 무선 송수신부(41)를 통하여 존 설정기 상태 정보 요청을 수신한 존 설정기(19)의 제어부(39)는 메모리(45)에 저장된 상태정보를 읽어내어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응답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21)를 송출하도록 무선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단계 S47).
여기서, 상기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응답에는 존 설정기 상태정보가 포함되는데, 이 존 설정기 상태정보는 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상 상태"와, 존 설정기의 이동거리가 설정치를 초과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정치 초과 이동 상태", 존 설정기의 하드웨어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이상 상태", 전원공급이 중단된 적이 있음을 나타내는 "전원 불량 상태", 연속적인 리셋(Reset) 시도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연속 리셋 시도 상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만약, 존 설정기(19)가 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존 설정기 상태정보가 예를 들면 "0x00000000"로 되고, 존 설정기(19)가 설정치 초과 이동 상태인 경우에는 존 설정기 상태정보가 예를 들면 "0x00000001"로 되며, 존 설정기(19)가 하드웨어 이상 상태인 경우에는 존 설정기 상태정보가 예를 들면 "0x00000008"로 되고, 존 설정기(19)가 전원 불량 상태인 경우에는 존 설정기 상태정보가 예를 들면 "0x00000010"로 되며, 존 설정기(19)가 연속 리셋 시도 상태인 경우에는 존 설정기 상태정보가 예를 들면 "0x00000040"으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존 설정기 상태정보가 포함된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응답을 무선 송수신부(33)를 통하여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부(31)는 존 설정기 상태정보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존 설정기 상태정보를 메모리(37)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단계 S49), 표시부(34)를 제어하여 예를 들면 도 13의 M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존 서비스가 가능한 존 서비스 지역임을 문자 및/또는 존 서비스 식별자(ZSI)를 표시하도록 한다(단계 S51). 여기서, 상기 존 서비스 식별자(ZSI)는 문자, 도형 및 아이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부(31)는 이동통신 송수신부(35)를 제어하여 기지국(22)을 매개로 이동통신교환기(24)로의 호 접속 시도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또한 발신 호 메시지의 1비트를 사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21)가 서비스 존 내부에 있으면서 존 설정기(21)가 정상 동작 상태임을 나타내는 서비스 존 설정 정보로서 예를 들면 "1"을 설정하여 이동통신교환기(24) 측으로 전송한다(단계 S53). 즉, 존 서비스 기반의 호 접속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 존 설정 정보는 이동통신교환기(24)에 의하여 존서비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6)로 전달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다. 예를 들면 존 서비스가 요금할인 서비스 또는 무료 서비스 등과 같은 과금과 관련된 서비스이면 과금 서버(19)에 의하여 과금 처리시에 존서비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6)에 관리된 서비스 존 설정 정보를 참고하여 반영하게 된다.
한편, 단계 S47에서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응답을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부(31)는 존 설정기 상태정보가 정상 상태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존 설정기 상태정보를 메모리(37)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단계 S49), 표시부(34)를 제어하여 존 서비스가 가능하지 않음을 표시하도록 한다(단계 S51).
그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부(31)는 이동통신 송수신부(35)를 제어하여 기지국(22)을 매개로 이동통신교환기(24)로의 호 접속 시도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또한 발신 호 메시지의 1비트를 사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21)가 서비스 존 내부에 있으면서 존 설정기(21)가 정상 동작 상태가 아님을 나타내는 서비스 존 설정 정보로서 예를 들면 "0"을 설정하여 이동통신교환기(24) 측으로 전송한다(단계 S53). 즉, 일반적인 호 접속을 수행한다.
한편, 단계 S47의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부(31)는 상기한 단계 S45의 과정을 반복하고, 이때에도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부(31)는 존 서비스 지역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예를 들면 도 13의 M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존 서비스가 가능하지 않은 지역임을 표시하도록 한다.
그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부(31)는 이동통신 송수신부(35)를 제어하여 기지국(22)을 매개로 이동통신교환기(24)로의 호 접속 시도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또한 발신 호 메시지의 1비트를 사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21)가 서비스 존 내부에 있으면서 존 설정기(21)가 정상 동작 상태가 아님을 나타내는 서비스 존 설정 정보로서 예를 들면 "0"을 설정하여 이동통신교환기(24) 측으로 전송한다(단계 S51). 즉, 일반적인 호 접속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신 호 시도시의 존 서비스 기반의 발신 호 처리 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입자에 의하여 이동통신단말기(21)의 키입력부의 조작에 의하여 호접속이 선택되기 전에 도 11에 도시한 단계 S43~단계 S49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계 S61~S67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하고자 한 구성이다. 그 이외에는 상기한 도 11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신 호 시도시의 존 서비스 기반의 발신 호 처리 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키입력부의 조작에 의하여 호접속이 선택되기 전에 가입자가 이동통신단말기(21)를 조작하여 호 접속 선택의 예비 단계일 가능성이 높은 키 이벤트(Key Event)가 발생하면(단계 S81), 도 11에 도시한 단계 S43~단계 S5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계 S83~S89를 일정 시간동안(예를 들면 1분 동안) 소정 시간 간 격으로 반복하여 수행하여 표시부(34)를 통하여 예를 들면 존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이면 도 13의 M14와 같은 화면을 표시해줌으로써 가입자가 존 서비스 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호 접속 선택 전에 알 수 있도록 하고자 한 구성이다. 그 이외에는 상기한 도 11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키 이벤트는 미리 정해진 것으로서 키입력부(32)의 소정 키(예를 들면 수자 키)의 입력과 표시부(34)의 백라이트-온(Back-Light On), 폴더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폴더-오픈(Folder-Open),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슬라이드-업(Slide-Up) 등이 발생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은 존 서비스로서 요금 할인 서비스나 무료 서비스 등과 같은 서비스에 적용할 경우에 효과가 좋겠지만, 본 발명은 그 이외의 서비스에 적용될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존 서비스 가능 상태를 표시부를 통하여 화면으로 가입자에게 통지하는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존 서비스 가능 상태를 음성으로 가입자에게 통지하여도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 정기를 채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새로운 방식의 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4)

  1. 삭제
  2.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여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특정한 존(Zone)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을 구비하고서 이동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그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를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상기 서비스 존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저장수단을 구비하고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존 서비스 가능 여부 결정시 참조되는 존 설정기 상태정보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 관리하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존 설정기 상태 정보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존 설정기 상태정보를 해당 이동통신단말기로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존 서비스의 등록 후에 그 등록 설정된 서비스 존을 임의로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방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지 수단은,
    존 서비스 등록 시점에 설치된 위치를 초기 상태로 하여 이동 정도를 감지하고 그 이동 정도를 누적하는 이동 감지 센서와;
    상기 이동 감지 센서의 누적 이동 정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이동 정도 초과에 의한 접속 불가 상태로 설정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충전배터리와,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충전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외부 교류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시에 상기 이동감지센서에만 충전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공급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
  6. 제3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유선접속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
  7. 제2항,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은 블루투스(Bluetooth),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감지 센서는 가속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
  9. 삭제
  10.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가입자에게 특정 존 서비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시스템과는 이동통신수단에 의하여 통신접속하고 하기의 존 설정기와는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에 의하여 통신접속하며, 하기의 존 설정기에 의하여 규정된 영역 내에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특정 존 서비스에 대하여 접속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에 의하여 이동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그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를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상기 서비스 존으로 설정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존 설정기의 가입자에 대한 존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한 인증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존 설정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하여 취득한 상기 존 설정기의 식별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존 서비스 인증서버에 서비스 등록 요청하고, 상기 존 서비스 인증서버의 서비스 등록 후에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서비스 등록 요청함으로써 존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는,
    존 서비스 등록 시점에 설치된 위치를 초기 상태로 하여 이동 정도를 감지하여 그 이동 정도를 누적하는 이동 감지 센서와;
    상기 이동 감지 센서의 누적 이동 정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면 이동통신시스템으로의 존 서비스 접속 시도시에 참조되어 존 서비스 접속 가능 여부가 결정되는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이동 정도 초과에 의한 접속 불가 상태로 설정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존 설정기 상태 정보는 존 서비스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여 참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의 하드웨어 이상 상태 여부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이상 상태 정보와, 전원공급이 중단된 적이 있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전원 불량 상태 정보, 연속적인 리셋(Reset) 시도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연속 리셋 시도 상태 정보를 추가적인 존 설정기 상태 정보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와의 서비스 등록을 완료한 후에, 가입자에 의한 발신 호 접속 시도의 발생시에,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로부터 수신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이동통신시스템 측으로의 발신 호 메시지에 해당 발신 호가 존 서비스 기반에 의한 발신 호임을 표시하는 정보를 삽입하여 발신 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존 서비스 가능 상태임을 가입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와의 서비스 등록을 완료한 후에,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로부터 수신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가입자에 의한 발신 호 접속 시도의 발생시에, 상기 과정에 의하여 상기 존 서비스 가능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이동통신시스템 측으로의 발신 호 메시지에 해당 발신 호가 존 서비스 기반에 의한 발신 호임을 표시하는 정보를 삽입하여 발신 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존 서비스 가능 상태임을 가입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와의 서비스 등록을 완료한 후에, 가입자에 의하여 발신 호 시도의 의도가 있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로부터 수신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일정 시간동안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가입자에 의한 발신 호 접속 시도의 발생시에, 상기 과정에 의하여 상기 존 서비스 가능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이동통신시스템 측으로의 발신 호 메시지에 해당 발신 호가 존 서비스 기반에 의한 발신 호임을 표시하는 정보를 삽입하여 발신 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존 서비스 가능 상태임을 가입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 설정된 키의 입력발생과, 표시부의 백라이트-턴온(Turn-on) 발생, 폴더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폴더-오픈(Folder- Open) 발생,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슬라이드-업(Slide-Up) 발생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2. 제16항, 제18항,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존 서비스 가능 상태임을 화면표시와 소리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표시는 문자, 기호 및 아이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로부터 존 설정기 상태 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 수신된 존 설정기 상태정보로부터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가 정상 상태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가입자에 의한 발신 호 접속 시도의 발생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측으로의 발신 호 메시지에 해당 발신 호가 일반적인 발신 호임을 표시하는 정보를 삽입하여 발신 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5. 제15항, 제17항,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존 서비스가 요금할인 서비스인 경우, 상기 발신 호 메시지에 포함된 존 서비스 기반에 의한 발신 호임을 표시하는 정보가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의 과금서버에 전달되며, 상기 과금서버에 의하여 해당 발신 호에 대한 요금 할인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6. 삭제
  27.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가입자에게 특정 존 서비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를 서비스 존으로 설정하고, 그 서비스 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특정 존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되며,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존 설정기의 가입자에 대한 존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한 인증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는 이동 정도를 감지하여 그 이동 정도를 누적하는 이동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 감지 센서의 누적 이동 정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면 이동통신시스템으로의 존 서비스 접속 시도시에 참조되어 존 서비스 접속 가능 여부가 결정되는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이동 정도 초과에 의한 접속 불가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존 설정기 상태 정보는 존 서비스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여 참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가입자의 존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서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의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취득한 서비스 존 설정기의 식별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존 서비스 인증서버에 서비스 등록 요청하여 상기 존 서비스 인증서버로부터 서비스 등록 응답을 수신하여 존 서비스 인증서버와의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서비스 등록 요청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로부터 서비스 등록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와의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는 서비스 등록 요청의 수신시에 상기 이동 감지 센서를 초기화시켜 존 서비스 등록 시점에 설치된 위치를 초기 상태로 만든 다음에 서비스 등록 응답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인증서버로의 서비스 등록 요청과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서비스 등록 응답은 텔레서비스 식별자(Teleservice IDentifier; TID)를 가진 단문메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와의 서비스 등록을 완료한 후에, 가입자에 의한 발신 호 접속 시도의 발생시에,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로부터 수신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이동통신시스템 측으로의 발신 호 메시지에 해당 발신 호가 존 서비스 기반에 의한 발신 호임을 표시하는 정보를 삽입하여 발신 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존 서비스 가능 상태임을 가입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방법.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와의 서비스 등록을 완료한 후에,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로부터 수신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가입자에 의한 발신 호 접속 시도의 발생시에, 상기 과정에 의하여 상기 존 서비스 가능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이동통신시스템 측으로의 발신 호 메시지에 해당 발신 호가 존 서비스 기반에 의한 발신 호임을 표시하는 정보를 삽입하여 발신 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존 서비스 가능 상태임을 가입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방법.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와의 서비스 등록을 완료한 후에, 가입자에 의하여 발신 호 시도의 의도가 있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로부터 수신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일정 시간동안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가입자에 의한 발신 호 접속 시도의 발생시에, 상기 과정에 의하여 상기 존 서비스 가능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이동통신시스템 측으로의 발신 호 메시지에 해당 발신 호가 존 서비스 기반에 의한 발신 호임을 표시하는 정보를 삽입하여 발신 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존 서비스 가능 상태임을 가입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방법.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 설정된 키의 입력발생과, 표시부의 백라이트-턴온(Turn-on) 발생, 폴더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폴더-오픈(Folder-Open) 발생,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슬라이드-업(Slide-Up) 발생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방법.
  39. 제32항, 제34항,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존 서비스가 요금할인 서비스인 경우, 상기 발신 호 메시지에 포함된 존 서비스 기반에 의한 발신 호임을 표시하는 정보가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의 과금서버에 전달되며, 상기 과금서버에 의하여 해당 발신 호에 대한 요금 할인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방법.
  40.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특정한 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존을 자신의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로 설정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과;
    상기 이동통신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수단과;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 및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존 서비스 등록을 위한 프로그램 및 존 서비스 접속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가입자에 의한 존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 및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존 서비스 등록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 후에, 가입자에 의한 발신 호 시도가 감지되면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존 설정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존 서비스 기반의 발신 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1.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특정한 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존을 자신의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로 설정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과;
    상기 이동통신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수단과;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 및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존 서비스 등록을 위한 프로그램 및 존 서비스 접속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가입자에 의한 존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 및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존 서비스 등록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 후에,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존 설정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가입자에 의한 발신 호 시도가 감지된 때 상기 과정에서 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상태로 확인된 경우 존 서비스 기반의 발신 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2.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특정한 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존을 자신의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로 설정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과;
    상기 이동통신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수단과;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 및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존 서비스 등록을 위한 프로그램 및 존 서비스 접속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가입자에 의한 존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 및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존 서비스 등록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 후에, 가입자에 의한 발신 호 시도의 기 설정된 예비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존 설정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일정 시간동안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가입자에 의한 발신 호 시도가 감지된 때 상기 과정에서 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상태로 확인된 경우 존 서비스 기반의 발신 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호 시도의 기 설정된 예비 조작은, 상기 키입력부의 소정 키 입력과, 상기 표시부의 백라이트-턴온, 폴더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폴더-오픈(Folder-Open),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슬라이드-업(Slide-U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4. 제40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존 설정기로부터 수신한 존 설정기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현재 존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임을 가입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존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임을 가입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제어는 화면표시와 소리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통지하기 위한 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표시는 문자, 기호 및 아이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7. 삭제
  48.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여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특정한 존(Zone)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을 구비하고서 이동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그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를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상기 서비스 존으로 설정하고, 저장수단을 구비하고서 존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존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 관리하며,
    상기 존 서비스 정보는 존 서비스를 받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여 참조되고,
    상기 존 서비스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이동통신시스템으로의 존 서비스 설정 등록시에 참조하는 서비스 존 등록 설정 정보와, 이동통신단말기가 이동통신시스템으로의 서비스 접속시에 참조하는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
  49. 제48항에 있어서,
    존 서비스의 등록 후에 그 등록 설정된 서비스 존을 임의로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방지 수단을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지 수단은,
    존 서비스 등록 시점에 설치된 위치를 초기 상태로 하여 이동 정도를 감지하고 그 이동 정도를 누적하는 이동 감지 센서와;
    상기 이동 감지 센서의 누적 이동 정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이동 정도 초과에 의한 접속 불가 상태로 설정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감지 센서는 가속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
  52.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가입자에게 특정 존 서비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시스템과는 이동통신수단에 의하여 통신접속하고 하기의 존 설정기와는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에 의하여 통신접속하며, 하기의 존 설정기에 의하여 규정된 영역 내에서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특정 존 서비스에 대하여 접속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에 의하여 이동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그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를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상기 서비스 존으로 설정하고, 저장수단을 구비하고서 존 서비스를 받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여 참조되는 것으로 존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존 서비스 정보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 관리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존 설정기의 가입자에 대한 존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한 인증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존 서비스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이동통신시스템으로의 존 서비스 설정 등록시에 참조하는 서비스 존 등록 설정 정보와,
    이동통신단말기가 이동통신시스템으로의 서비스 접속시에 참조하는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54. 삭제
  55.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존 등록 설정 정보는 존 설정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존 설정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하여 취득한 상기 존 설정기의 식별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존 서비스 인증서버에 서비스 등록 요청하고, 상기 존 서비스 인증서버의 서비스 등록 후에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서비스 등록 요청함으로써 존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는,
    존 서비스 등록 시점에 설치된 위치를 초기 상태로 하여 이동 정도를 감지하여 그 이동 정도를 누적하는 이동 감지 센서와;
    상기 이동 감지 센서의 누적 이동 정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이동거리 초과에 의한 접속 불가 상태로 설정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와의 서비스 등록을 완료한 후에, 가입자에 의한 발신 호 접속 시도의 발생시에,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상기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로부터 수신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이동통신시스템 측으로의 발신 호 메시지에 해당 발신 호가 존 서비스 기반에 의한 발신 호임을 표시하는 정보를 삽입하여 발신 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58. 삭제
  59.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가입자에게 특정 존 서비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를 서비스 존으로 설정하고, 그 서비스 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의 저장수단에 저장 관리되는 존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존 서비스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존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존 서비스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이동통신시스템으로의 존 서비스 설정 등록시에 참조하는 서비스 존 등록 설정 정보와, 이동통신단말기가 이동통신시스템으로의 서비스 접속시에 참조하는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방법.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존 설정기의 가입자에 대한 존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한 인증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비스 존 등록 설정 정보는 존 설정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존 설정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하여 취득한 상기 존 설정기의 식별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존 서비스 인증서버에 서비스 등록 요청하고, 상기 존 서비스 인증서버의 서비스 등록 후에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서비스 등록 요청함으로써 존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는 이동 정도를 감지하여 그 이동 정도를 누적하는 이동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 감지 센서의 누적 이동 정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면 이동통신시스템으로의 존 서비스 접속 시도시에 참조되어 존 서비스 접속 가능 여부가 결정되는 상기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이동 정도 초과에 의한 접속 불가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방법.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가입자의 존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서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를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의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취득한 서비스 존 설정기의 식별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존 서비스 인증서버에 서비스 등록 요청하여 상기 존 서비스 인증서버로부터 서비스 등록 응답을 수신하여 존 서비스 인증서버와의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서비스 등록 요청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로부터 서비스 등록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와의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방법.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는 서비스 등록 요청의 수신시에 상기 이동 감지 센서를 초기화시켜 존 서비스 등록 시점에 설치된 위치를 초기 상태로 만든 다음에 서비스 등록 응답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방법.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와의 서비스 등록을 완료한 후에, 가입자에 의한 발신 호 접속 시도의 발생시에,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로부터 수신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이동통신시스템 측으로의 발신 호 메시지에 해당 발신 호가 존 서비스 기반에 의한 발신 호임을 표시하는 정보를 삽입하여 발신 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60026165A 2005-03-22 2006-03-22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정기와,이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 및,이동통신단말기 KR100852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3862 2005-03-22
KR1020050023862 2005-03-22
KR20050081514 2005-09-02
KR20050081512 2005-09-02
KR1020050081514 2005-09-02
KR1020050081516 2005-09-02
KR20050081513 2005-09-02
KR20050081516 2005-09-02
KR1020050081513 2005-09-02
KR1020050081512 2005-09-0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415A Division KR100843461B1 (ko) 2005-03-22 2008-03-21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정기와,이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527A KR20060102527A (ko) 2006-09-27
KR100852860B1 true KR100852860B1 (ko) 2008-08-18

Family

ID=370239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165A KR100852860B1 (ko) 2005-03-22 2006-03-22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정기와,이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 및,이동통신단말기
KR1020080026415A KR100843461B1 (ko) 2005-03-22 2008-03-21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정기와,이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415A KR100843461B1 (ko) 2005-03-22 2008-03-21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정기와,이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940733B2 (ko)
KR (2) KR100852860B1 (ko)
CN (1) CN101069370B (ko)
CA (2) CA2585718C (ko)
WO (1) WO20061013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207B1 (ko) * 2006-05-15 2007-11-16 (주) 엘지텔레콤 양방향 할인 요금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KR100826087B1 (ko) 2006-10-23 2008-04-29 (주) 엘지텔레콤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및 그 방법과,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
KR100833512B1 (ko) * 2006-12-08 2008-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태그의 센싱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 방법
KR101398908B1 (ko) * 2007-05-22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아이피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이동성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8331249B2 (en) * 2007-07-10 2012-12-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 peer to peer system where device communications may partially interfere with one another
GB2452251B (en) * 2007-08-21 2010-03-2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a network device
US8842525B2 (en) * 2009-10-08 2014-09-23 Clearwire Ip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verage area of a cellular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US8762232B2 (en) * 2010-01-20 2014-06-24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for accounting information handling in an interworking
KR101843084B1 (ko) * 2011-03-22 201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와 센서 데이터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1422253B1 (ko) * 2011-07-25 2014-07-29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 기반 지능망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
US9569327B2 (en) * 2012-10-03 2017-02-14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abeling alert messages from devices for automated management
US20150201025A1 (en) * 2014-01-10 2015-07-16 Brentwood Equities Ltd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127A (ko) * 2005-02-03 2006-08-08 햄펙스 주식회사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생장치 및 위치확인정보생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7051B1 (en) * 2000-09-28 2006-09-12 Intel Corporation Technique to establish wireless session keys suitable for roaming
GB0121506D0 (en) * 2001-09-06 2001-10-2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nsensual service registration and delivery
US6888811B2 (en) * 2001-09-24 2005-05-03 Motorola, Inc. Communication system for location sensitive information and method therefor
KR20030082023A (ko) * 2002-04-15 2003-10-22 (주)텔쿼스 이동형 객체 관리서비스 방법
JP3796200B2 (ja) * 2002-06-20 2006-07-1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切替方法
US20040014422A1 (en) * 2002-07-19 2004-01-2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handovers using service description data
JP2004054137A (ja) * 2002-07-23 2004-02-1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石英系シングルモード光ファイバ
JP4124710B2 (ja) * 2002-10-17 2008-07-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JP3919654B2 (ja) * 2002-11-29 2007-05-30 株式会社東芝 携帯端末
KR100542119B1 (ko) 2002-12-12 2006-0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랜 에이피 자동 탐색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단말기
JP2004221757A (ja) * 2003-01-10 2004-08-05 Renesas Technology Corp 動き検出装置及び探索領域形状可変動き検出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127A (ko) * 2005-02-03 2006-08-08 햄펙스 주식회사 위치확인기능을 구비한 전파발생장치 및 위치확인정보생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40733B2 (en) 2011-05-10
CA2807832A1 (en) 2006-09-28
US8107454B2 (en) 2012-01-31
CN101069370B (zh) 2014-11-19
KR20080028855A (ko) 2008-04-01
CN101069370A (zh) 2007-11-07
US20080123605A1 (en) 2008-05-29
CA2807832C (en) 2014-07-29
CA2585718C (en) 2014-01-28
US20110274095A1 (en) 2011-11-10
KR100843461B1 (ko) 2008-07-04
CA2585718A1 (en) 2006-09-28
WO2006101351A1 (en) 2006-09-28
KR20060102527A (ko)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860B1 (ko)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정기와,이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 및,이동통신단말기
CN100358369C (zh) 归属区业务的移动通信系统及其方法
CN103812723A (zh) 为网络存取计量的系统、服务器与方法
CN105637937A (zh) 控制设备、基站和通信终端
US20160066171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Gathering Data from a Communication Network
JP2003531535A (ja) セルラーネットワーク制御チャネルを経由して搬送するデータメッセージのデータペイロードを拡大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70121455A (ko)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정기와,이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 그리고 이시스템에 사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장치
JP2005086451A (ja) 無線移動端末、無線lanエリア通知サーバ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GB2408427A (en) Communication accounting system with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WI384857B (zh) 行動通訊網路的服務區域設定裝置,及使用此裝置提供區域服務的方法與系統及可使用於系統的行動通訊單元
CN101754208A (zh) 用于无线通信系统的散列密钥产生装置和方法
KR100716920B1 (ko) 할인 요금 서비스존 설정 시스템 등록 및 탈퇴 방법
CN106211054A (zh) 查找联系人的方法、系统、服务器及用户终端
KR100729521B1 (ko)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과, 이 서비스 제공방법에적용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중계기
KR100687258B1 (ko) 센서네트워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68760B1 (ko) 억세스 포인트 인접 지역에서 발신하는 경우 할인 과금방법 및 시스템
KR100510191B1 (ko) 휴대 이동 단말기와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서비스 제공방법
KR20070025997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존 서비스 해지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01869B1 (ko) 무선 근거리 ap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관리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
KR2007002934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페이징 시스템 및 방법
KR100804395B1 (ko) 부정 이용 방지 기능을 가진 존 설정기와, 이를 이용한 존서비스 부정 이용 방지 방법
JP2024053026A (ja) 電子情報記憶媒体、切替制御方法、及び切替制御プログラム
KR101537931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요금 최적화를 위한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통화 연결 방법
EP1727389B1 (en) System and method of locating and identifying a subscriber of mobile equipment within a predetermined area
KR20000074971A (ko) 휴대전화의 과금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