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9521B1 -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과, 이 서비스 제공방법에적용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중계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과, 이 서비스 제공방법에적용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중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9521B1
KR100729521B1 KR1020060031227A KR20060031227A KR100729521B1 KR 100729521 B1 KR100729521 B1 KR 100729521B1 KR 1020060031227 A KR1020060031227 A KR 1020060031227A KR 20060031227 A KR20060031227 A KR 20060031227A KR 100729521 B1 KR100729521 B1 KR 100729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zone
dmb
mobile communication
se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율제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60031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9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52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가입자에게 DMB 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를 DMB 서비스 존으로 설정하고, 그 DMB 서비스 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DMB 방송시스템로부터 제공되는 DMB 방송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 서비스 제공방법에 적용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중계기를 제공한다.
서비스 존, 서비스 존 설정, 근거리 무선통신,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동통신단말기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과, 이 서비스 제공방법에 적용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중계기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ZONE-BASE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UNIT AND REPEATER APPLIABLE FOR THE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존(Zone)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존 설정기(Zone Setting Device)를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을 위한 존 서비스 등록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처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처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처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멀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멀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모듈 2 : 이동통신모듈
3 : 방송수신(DMB)모듈 4 : 코덱
5 : 영상처리부 6 : 표시부
7 : 오디오처리부 8 : 스피커
9 : 마이크 10 : 키입력부
11 : 메모리 12 :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19 : 존(Zone) 설정기 20 : 서비스 존
21 : 이동통신단말기 22 : 기지국
23 :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24 : 이동통신교환기 25 : 신호망(No.7 Network)
27 : 존 서비스 인증서버 28 : 메시지서비스센터
29 : 과금서버 30 : 방송 송신소
39 : 제어부 41 :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42 : 유선접속 인터페이스 43 : 이동감지센서
45 : 메모리 46 : 전원공급부
60,70,80,90,100,110 : 중계기 62,72,82 : DMB 중계기모듈
64,74,84,92,102,112 : 이동통신 중계기모듈
66,76,94,104 : 존 설정기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효율적으로 존(Zone)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시스템과, 이 서비스 제공방법에 적용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개발에 따라, 유선 및 무선을 이용한 많은 통신 서비스가 이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유선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은 광 섬유의 개발과 관련 시스템의 개발로 광통신망의 실현이 가능해 졌고, 음성과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양이 증가했다. 또한, 무선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은 단지 음성 서비스를 지 원하던 서비스에서 발전하여, 현재는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이동중에도 고속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무선 통신 서비스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이용하는 이동전화 서비스와, 무선랜, CDMA, 휴대인터넷(Wireless Broadband Internet) 기술을 이용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등에 의해 서비스 제공 영역 및 이용자가 급증하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약칭한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신단말기가 개발되고 있고, 다양한 형태의 DMB 컨텐츠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가입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DMB 서비스는 위성 DMB 서비스와 지상파 DMB 서비스로 구분된다. 위성 DMB 서비스의 경우에는 위성 DMB의 음영지역을 커버(Cover)하기 위하여 중계기인 갭 필러(Gap Filler)를 사용하며, 위성 DMB 서비스 사업자가 서비스 신청이 되어 있는 가입자에 한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위성 DMB 서비스의 경우에는 주로 이동중에 위성 DMB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나 고정 위치에서 DMB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가입자 모두에게 이용료가 동일한 요금 체계로 되어 있어서, 고정 위치에서 DMB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가입자 입장에서는 비합리적인 이용료를 내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상파 DMB서비스의 경우에도 음영지역을 커버하기 위하여 중계기를 필요로 하지만 무료로 서비스되는 관계로 전국망이 형성되고 있지 않으며, 또한 방 송 송신소에서 커버 되지 않는 음영지역의 경우 중계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지상파 DMB가 제대로 수신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위성 DMB 서비스를 특정 존(Zone) 내에서만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DMB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가입자에게 이용료를 할인해주는 등의 혜택을 주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지상파 DMB 서비스의 경우에도 중계기에 존 설정기를 내장하도록 하여 특정 존(Zone) 내에서만 가입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지상파 DMB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요망 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효율적으로 존 기반의 DMB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시스템과, 이 서비스 제공방법에 적용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중계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가입자에게 DMB 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를 DMB 서비스 존으로 설정하고, 그 DMB 서비스 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DMB 방송시스템로부터 제공 되는 DMB 방송을 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가입자에게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시스템과;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DMB 방송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시스템과는 이동통신수단에 의하여 통신접속하고 하기의 존 설정기와는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에 의하여 통신접속하며, 하기의 존 설정기에 의하여 규정된 영역 내에서 상기 DMB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DMB를 수신하도록 된 이동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에 의하여 이동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그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를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DMB 서비스 존으로 설정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DMB 방송시스템에서 송출된 DMB 방송이 수신 가능한 DMB 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DMB 서비스 존을 자신의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로 설정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과; 상기 이동통신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수단과; DMB 방송시스템에서 송출된 DMB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DMB 수신 모듈과; 가입자에 의한 DMB 존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 및 이동통신시스템과의 DMB 존 서비스 등록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 후에, 가입자에 의한 DMB 존 서비스 수신 시도가 감지되면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존 설정 상태 정보가 DMB 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상기 DMB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DMB를 수신하도록 상기 DMB 수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DMB 방송시스템에서 송출된 DMB 방송이 수신 가능한 DMB 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DMB 서비스 존을 자신의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로 설정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과; 상기 이동통신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수단과; DMB 방송시스템에서 송출된 DMB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DMB 수신 모듈과; 가입자에 의한 DMB 존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 및 이동통신시스템과의 DMB 존 서비스 등록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 후에,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존 설정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DMB 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가입자에 의한 DMB 존 서비스 수신 시도가 감지되면 상기 과정에 의하여 수신된 존 설정 상태 정보가 DMB 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상기 DMB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DMB를 수신하도록 상기 DMB 수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DMB 방송시스템에서 송출된 DMB 방송이 수신 가능한 DMB 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DMB 서비스 존을 자신의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로 설정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과; 상기 이동통신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수단과; DMB 방송시스템에서 송출된 DMB 방송을 수신하기 위 한 DMB 수신 모듈과; 가입자에 의한 DMB 존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 및 이동통신시스템과의 DMB 존 서비스 등록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 후에, 가입자에 의한 DMB 존 서비스 수신 시도의 기 설정된 예비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존 설정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DMB 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일정 시간동안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가입자에 의한 DMB 존 서비스 수신 시도가 감지된 때 상기 과정에서 DMB 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상태로 확인된 경우에만 상기 DMB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DMB를 수신하도록 상기 DMB 수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여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존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을 구비하고서 이동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그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를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상기 서비스 존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 서비스 존 설정기와; 기지국과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이동통신중계기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중계기는, DMB 방송시스템로부터 제공되는 DMB 방송을 이동통신단말기로 중계하는 DMB 중계기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한 목적들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과, 이 서비스 제공방법에 적용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중계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DMB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의 DMB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존 설정기(19), 이동통신단말기(21), 이동통신망 시스템, 존 서비스 인증서버(27), 존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6) 및 방송 송신소(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망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21)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22)과, No.7 망과 같은 신호망(25)에 상호 접속된 이동통신교환기(24)와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23) 및 메시지서비스센터(28)를 포함하는 통상의 구성이다.
상기 존 설정기(19)는 이동통신단말기(21)가 DMB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1)는 음성 통신(즉, 통화) 및 데이터통신(예를 들면 무선인터넷)이 가능함과 아울러 DMB를 수신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 존 설정기(19)와의 통신에 의하여 DMB 서비스 존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DMB 서비스 존 내에 있을 경우 DMB 수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DMB 서비스는 위성 DMB 서비스 또는/및 지상파 DMB 서비스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만을 위하여 지상파 DMB 서비스를 위주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지상파 DMB 서비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성 DMB 서비스의 경우에는 도면에서 방송 송신소(30)를 DMB 위성 및 갭필러로 대체하면 된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지상파 방송 송신소와 DMB 위성과 갭필러를 총칭하여 "DMB 방송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존 서비스"란 존 설정기(19)에 의하여 구획되는 존(Zone) 내에 이동통신단말기(21)가 있을 때 제공되는 DMB 서비스를 지칭한다.
상기 존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6)는 존 서비스 가입자 정보로서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 정보(예를 들면 단말기 번호), 존 설정기(Zone Setting Device)의 식별정보((Zone Setting Device IDentification; ZSDID)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서비스 등록 정보(서비스 등록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로서 예를 들면 "1"이면 등록, "0"이면 미등록)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가입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DMB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존 설정기를 구매할 때 이동통신망 서비스 제공업체에 의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및 존 설정기의 식별정보(ZSDID) 등의 존 서비스 가입자 정보가 등록되거나, 또는 가입자가 존 설정기를 구매한 후에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이동통신망 서비스 제공업체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및 존 설정기의 식별정보(ZSDID) 등의 존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직접 등록할 수도 있다. 이때, 등록된 정보는 기본적인 존 서비스 가입자 정보이며, 후술될 이동통신단말기의 서비스 등록 요청시에 상기 존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6)는 해당 이동통신단말에 대한 존 서비스 가입자 정보로서 서비스 등록정보를 추가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한다.
상기 존 서비스 인증서버(27)는 이동통신단말기(21)의 요청에 따라서 존 서비스 등록 절차 및 서비스 해지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존 서비스 인증서버(27)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의 존 서비스 등록 요청시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존 설정기의 식별정보(ZSDID)와 이동통신단말기 정보가 상기 존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6)에서 관리되고 있는 정보인지를 조회하여, 관리되고 있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 이동통신단말기로 존 서비스 등록이 성공했음을 통지한다. 상기 존 서비스 인증서버(27)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의 존 서비스 해제 요청시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존 설정기의 식별정보(ZSDID)와 이동통신단말기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도록 요청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9)는 제어모듈(1)과, 이동통신모듈(2), 방송수신모듈(3), 코덱(4), 영상처리부(5), 표시부(6), 오디오처리부(7), 스피커(8), 마이크(9), 키입력부(10), 메모리(11) 및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모듈(2)은 이동통신망 시스템과 음성 및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구성으로, 예를 들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휴대인터넷(Wireless Broadband Internet)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현재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는 통신 방식으로 CDMA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이러한 이동통신모듈(2)은 이동통신단말기(21)와 기지국(22) 간에 음성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트래픽 채널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채널 및, 이동통신단말기(21)를 체크하거나 SMS(Short Message Service) 및 MMS(Multi Message Service) 송수신 등을 위한 페이징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방송수신모듈(3)은 제어모듈(1)의 제어에 따라 선국된 DMB 방송채널을 수신하고 수신 방송데이터를 복조하고 복조된 방송데이터에서 오디오데이터와 비디오신호 및 데이터방송용 데이터를 분리하여 채널별로 디코딩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4)은 상기 제어모듈(1)의 제어하에 상기 방송수신모듈(3)에서 복조된 오디오데이터와 비디오데이터 및 데이터방송용 데이터를 각 데이터의 디코딩 규격에 맞춰서 디코딩하여 비디오데이터는 영상처리부(5)로 출력하고 오디오데이터는 오디오처리부(7)로 출력한다.
상기 영상처리부(5)는 비디오데이터를 처리하여 예를 들면 액정디스플레이로 된 표시부(6)로 출력하여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오디오처리부(7)는 오디오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8)로 통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7)는 가입자의 음성 등을 마이크(9)를 통하여 입력받아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 에 이동통신모듈(2)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로 하여 이동통신모듈(2)로 전달한다.
상기 키입력부(10)는 숫자와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키들과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을 위한 기능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2)은 존 설정기(19)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블루투스(Bluetooth), IR(InfraRed), 지그비(ZigBe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2)이 블루투스 통신모듈일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블루투스 통신모듈은 존 설정기(19)와 통신하기 위하여 블루투스 방식에 의하여 무선채널을 형성한다. 이러한 블루투스 통신모듈은 2.4GHz 대역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밴드를 사용하여 통신하며, ISM 밴드 아래로 2MHz 대역과, ISM 밴드 위로 3.5MHz 대역의 가드 밴드(Guard Band)를 두어 다른 장치와의 간섭을 방지한다. 또, 블루투스 통신모듈은 기본적으로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방식을 사용하여 초당 1600번 호핑하며, 출력은 100mW(20dBm)이며, 클래스 1로 명명된 블루투스 통신모듈은 최대 100m 범위까지 통신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21)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2)과 존 설정기(19)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1)은 모두 블루투스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모리(11)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 램들과, 방송수신모듈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존 설정을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1)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한다.
특히, 상기 메모리(11)는 서비스 존 설정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비휘발성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들은 인증서버 등록상태 정보, 서비스 등록상태 정보,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 임시 등록상태 정보(TMP_FLAG), 존 설정기의 고유이름 정보, 링크 키(Link Key) 정보, 존 설정기 상태 정보, RF 데이터링크 식별정보(RF_DLC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서버 등록상태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존서비스 인증서버(27)에 존 설정기를 등록했는지의 여부를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면 등록한 경우 "0x01", 등록하지 않은 경우 "0x00", 초기값은 "0x0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등록상태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존서비스 인증서버(27)에 존 설정기를 등록한 후에 존 설정기에 서비스를 등록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면 등록한 경우 "0x01", 등록하지 않은 경우 "0x00", 초기값은 "0x0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는 존설정기에 부여되는 예를 들면 48비트의 고유한 식별정보로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존 설정기에 조회(Inquiry) 링크 설정을 통하여 존 설정기에서 제공된다. 이러한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는 서비스 존 정책에 가입한 이동통신 단말기(21)가 가입 당시에 가입자에 의하여 설치된 존 설 정기(19)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21)가 하나 이상의 존을 지정하고, 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를 가질 수 있으므로, 메모리(11)에는 하나 이상의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할당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시 등록상태 정보(TMP_FLAG)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존 서비스 등록 절차에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존서비스 인증서버(27)에 서비스를 등록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1비트 플래그 정보로서, 초기값은 "0"이고 등록완료한 경우에는 "1"이다. 여기서, 임시 등록상태 정보(TMP_FLAG)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이유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존 서비스 등록 절차 도중에 상대적으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존서비스 인증서버(27)에의 서비스 등록을 완료한 상태에서 예를 들면 배터리 전원이 오프(OFF) 되는 등의 원인에 의하여 존 서비스 등록 절차가 종료된 경우에 재차 존 서비스 등록 절차를 수행할 경우 중복되는 존서비스 인증서버(27)에의 서비스 등록 절차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존 설정기의 고유이름 정보는 존 설정기와 이동통신단말기가 블루투스 통신을 할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존 설정기에 대하여 제조시에 COD(Class of Device/Service)영역에 설정되는 고유한 이름값이며, 존 설정기로부터 취득된다. 이 존 설정기의 고유이름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조회(Inquiry) 링크 설정을 함에 따라 주변의 다른 블루투스 기기로부터의 신호메시지를 필터링 하는데 사용된다. 이동통신단말기(21)가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를 두 개까지 가질 수 있는 경우 메모리(11)에는 2개의 이름이 저장되는 공간이 할당된다. 메모리 초기값은 예 를 들면, "LGT_DMID1" 및 "LGT_DMID2"로 셋팅될 수 있다.
상기 링크 키(Link Key)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존 설정기로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와 존설정기 핀코드(PINCODE)를 교환하여 짝을 맞춘 후에 생성되어 저장되는 정보이다.
상기 존 설정기 상태 정보는 가장 최근에 존 설정기로부터 전달받은 "존 설정기 상태 응답 메시지"의 상태코드 정보이다. 존 설정기 상태 응답 메시지"의 상태코드 정보의 유형은 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상 상태"와, 존 설정기의 이동거리가 설정치를 초과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정치 초과 이동 상태", 존 설정기의 하드웨어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이상 상태", 전원공급이 중단된 적이 있음을 나타내는 "전원 불량 상태", 연속적인 리셋(Reset) 시도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연속 리셋 시도 상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정상상태는 예를 들면 "0x00000000"으로 설정되고. 그 이외에 존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한 상태들은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RF 데이터링크 식별정보(RF_DLCI)는 이동통신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2)을 통하여 존 설정기(19)와의 RF통신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링크 식별정보로서, RF통신을 연결할 때마다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사용한다면 이 RF 데이터링크 식별정보(RF_DLCI)는 불필요하다.
상기 제어모듈(1)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성 및 데이터 송수신 기능과 DMB 방송수신 기능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제어모듈(1)은 가입자가 키입력부(10)를 이용하여 존 서비스 등록을 선택함에 따라 존서 비스 인증서버(27)에의 서비스 등록을 위한 제어와, 존 설정기(19)에의 서비스 등록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또, 상기 제어모듈(1)은 가입자에 의한 DMB 방송 수신 시도가 감지되면 존 설정기(19)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그에 따른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받아, 존 설정 상태 정보가 존 서비스(즉, DMB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정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방송수신모듈(3) 및 코덱(4)을 제어하여 가입자에 의하여 선국된 DMB 방송채널을 수신하고 수신 방송데이터를 복조하고 복조된 방송데이터에서 오디오데이터와 비디오신호 및 데이터방송용 데이터를 분리하여 오디오데이터와 비디오데이터 및 데이터방송용 데이터를 각 데이터의 디코딩 규격에 맞춰서 디코딩하여 비디오데이터는 영상처리부(5)를 통해서 표시부(6)에 표시되도록 하며 오디오데이터는 오디오처리부(7)를 통해서 스피커(8)로 출력되도록 한다. 그 반면, 상기 제어모듈(1)은 존 설정기(19)로부터의 존 설정 상태 정보가 존 서비스(즉, DMB 서비스)의 이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되거나 존 설정기(19)로부터 존 설정 상태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DMB 수신이 불가능하다는 안내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DMB 방송 수신 시도는 키입력부(10)의 DMB 수신 키의 조작이나 그에 상응하는 키 조작에 의한 것 이외에도, 미리 정해진 것으로서 키입력부(1)의 소정 키(예를 들면 메뉴 키)의 입력과 표시부(6)의 백라이트-온(Back-Light On), 폴더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폴더-오픈(Folder-Open),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슬라이드-업(Slide-Up) 등과 같은 키 이벤트(Key Event)가 발생하는 경우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은 DMB 방송 수신 시도시에 존 설정기(19)와의 통신에 의하여 존 설정기(19)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DMB 수신 서비스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현재 DMB 수신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임을 화면표시와 소리출력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통지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화면 표시의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듈(1)은 코덱(4)을 제어하여 영상처리부(5)를 통하여 표시부(6)에 현재 DMB 수신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문자, 기호 및 아이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되도록 하며, 소리 출력의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듈(1)은 코덱(4)을 제어하여 오디오처리부(7)를 통하여 스피커(8)로 현재 DMB 수신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임을 의미하는 특정 음이나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존 설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존 설정기(19)는 제어부(39),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1), 유선접속인터페이스(42), 이동감지센서(43), 메모리(45), 전원공급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감지 센서(43)는 존 설정기(19)의 서비스 등록 후에 가입자가 등록 설정된 서비스 존을 임의로 변경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존 설정기(19)가 서비스 등록 시점에 설치된 위치에서 이동하게 되면 그 이동 정도를 감지하여 그 이동 정도를 이동 거리로 환산하여 그 환산된 이동 거리의 누계가 기 설정된 소정의 임계값을 넘어가면 제어부(39)에 이동 거리 초과를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동 감지 센서(43)는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1)은 이동통신단말기(21)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1)은 블루투스(Bluetooth),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방식으로 블루투스로서 파워 클래스 1(Power Class 1)을 사용할 경우, 파워 클래스 1을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과는 최대 100m까지 통신이 가능하므로 서비스 존의 반경은 100m 정도 이상이 될 수 있다. 블루투스를 이용할 경우 한 대의 존 설정기(19)에 최대 7대의 이동통신단말기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선접속인터페이스(42)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것으로, 가입자가 퍼스널 컴퓨터 등을 통하여 이동통신망 서비스 업체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다운로드받은 존 설정기(19)의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유선접속인터페이스(42)를 통하여 내장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선접속인터페이스(42)로서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46)는 충전배터리와,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충전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외부 교류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도 일정시간(예를 들면 48시간) 동안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전원공급장치(46)는 외부교류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면, 정전 또는 가입자에 의하여 존 설정기의 고의적인 이동으로 인한 외부교류전원의 차단)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를 제어부(39)에 전달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장치(46)는 외부교류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이동감지센서(43)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가입자가 고의로 존 설정기(19)의 전원을 차단하고 이동시킬 경우에도 그 이동거리를 정확하게 산출해내도록 하여도 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46)는 소형 건전지를 사용하여 구성해도 된다.
상기 메모리(45)는 존 설정기(19)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과 그 동작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45)는 서비스 존 설정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비휘발성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들은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 존 설정기의 고유이름 정보, 링크 키(Link Key) 정보, 존 설정기 상태 정보, RF 데이터링크 식별정보(RF_DLC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는 예를 들면 48비트의 고유한 식별정보로서, 서비스 존 정책에 가입한 이동통신 단말기(21)가 가입 당시에 가입자에 의하여 설치된 존 설정기(19)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존 설정기의 고유이름 정보는 존 설정기와 이동통신단말기가 블루투스 통신을 할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제조시에 COD(Class of Device/Service)영역에 설정되는 고유한 이름값이다. 상기 링크 키(Link Key)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존 설정기로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와 존설정기 핀코드(PINCODE)를 교환하여 짝을 맞춘 후에 생성되어 저장되는 정보이다.
상기 존 설정기 상태 정보는 가장 최근의 상태코드 정보로서, 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상 상태"와, 존 설정기의 이동거리가 설정치를 초 과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정치 초과 이동 상태", 존 설정기의 하드웨어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이상 상태", 전원공급이 중단된 적이 있음을 나타내는 "전원 불량 상태", 연속적인 리셋(Reset) 시도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연속 리셋 시도 상태"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상기 정상상태는 예를 들면 "0x00000000"으로 설정되고. 그 이외에 존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한 상태들은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RF 데이터링크 식별정보(RF_DLCI)는 이동통신단말기와의 RF통신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링크 식별정보로서, RF통신을 연결할 때마다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사용한다면 이 RF 데이터링크 식별정보(RF_DLCI)는 불필요하다.
상기 제어부(39)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과 이동감지센서(43), 전원공급부(46), 유선접속인터페이스(42) 및 메모리(45)를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39)는 이동 통신단말기(21)의 서비스 등록 절차에 따라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를 이동통신단말기(21)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와, 이동통신단말기(21)의 서비스 등록요청에 따라 서비스 등록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또, 상기 제어부(39)는 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상태인지, 존 설정기의 이동거리가 설정치를 초과한 상태인지, 존 설정기의 하드웨어 이상 상태인지, 전원공급이 중단된 적이 있는지, 연속적인 리셋(Reset) 시도가 발생했는지 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그 감시결과를 존 설정기 상태 정보로서 메모리(45)에 저장 관리한다.
또, 상기 제어부(39)는 이동통신단말기(21)의 DMB 수신 시도시에 이동통신단말기(21)로부터의 존 설정기 상태 정보 요청의 응답으로서 상기 메모리(45)에 저장된 존설정기 상태 정보를 해당 이동통신단말기(21)에 전달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존 서비스 등록 절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입자가 이동통신단말기(21)의 키입력부(10)를 이용하여 DMB 존 서비스 등록 메뉴를 선택한다(단계 S1).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모듈(1)는 메모리(11)에 저장된 서비스 등록상태 정보를 검사하여 이동통신단말기(21)가 존 설정기(19)에 이미 서비스 등록이 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3).
상기 단계 S3에서 서비스 등록이 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모듈(1)은 코덱(4)을 제어하여 영상처리부(5)에 의하여 표시부(6)에 DMB 존 서비스에 이미 등록되어 있음을 안내하도록 하고, 서비스 등록 절차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 단계 S3에서 DMB 존 서비스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모듈(1)은 존 설정기(19)를 검색하기 위하여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2)을 제어하여 주변 블루투스 기기와 블루투스 조회(Inquiry) 링크 설정을 하도록 한다(단계 S5).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21)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2)이 존 설정기(19)와도 조회(Inquiry) 링크가 설정되어 존 설정기(19)로부터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1)은 코덱(4)을 제어하여 영상처리 부(5)에 의하여 표시부(6)에 존 설정기 식별정보 검색 화면과 함께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를 표시하도록 한다.
그후 가입자가 키입력부(10)를 이용하여 존 설정기 식별정보(ZSDID)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1)은 코덱(4)을 제어하여 영상처리부(5)에 의하여 표시부(6)에 존 설정기(19)의 핀 코드(PINCODE) 입력 화면을 표시하도록 한다. 이어, 가입자가 키입력부(10)를 이용하여 존 설정기(19)의 외관에 표기된 핀 코드를 입력한다(단계 S7~S9).
이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모듈(1)은 핀 코드 입력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2)을 제어하여 존 설정기(19)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1)과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을 설정하고(단계 S11),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3)을 통하여 존 설정기 식별코드(ZSDID)를 요청한다(단계 S13).
그후, 존 설정기 식별코드(ZSDID) 요청을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1)을 통하여 수신한 존 설정기(19)의 제어부(39)는 메모리(45)에 저장된 자신의 식별코드(ZSDID)를 읽어내어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1)을 제어하여 존 설정기 식별코드(ZSDID) 응답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21)로 송출하도록 한다(단계 S15).
이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2)을 통하여 존 설정기 식별코드(ZSDID) 응답을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모듈(1)은 메모리(1)에 저장된 인증서버 등록상태 정보와 임시 등록상태 정보(TMP_FLAG)를 검사하여 인증서버(27)에 서비스 등록이 이미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17). 여기서, 이미 인증서버(27)에의 서비스 등록이 완료된 상태이면 인증서버 등록상태 정보가 예를 들면 "0x01"로 설 정되어 있고 임시 등록상태 정보(TMP_FLAG)가 예를 들면 "1"로 설정되어 있게 된다.
상기 단계 S17에서 인증서버(27)에 서비스 등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모듈(1)은 이동통신모듈(2)을 제어하여 서비스 등록 요청 통보용 텔레서비스 식별자(Teleservice IDentifier; TID)를 가진 단문메시지를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존 서비스 인증서버(27)로 발송하도록 한다(단계 S19). 여기서, 서비스 등록 요청 단문 메시지에는 존 설정기(19)의 식별정보(ZSDID)와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정보가 포함된다.
그후, 존 서비스 인증서버(27)는 이동통신단말기(21)로부터 전송되어온 존 설정기의 식별정보(ZSDID)와 이동통신단말기정보가 상기 존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6)에서 관리되고 있는 정보인지를 조회하여, 관리되고 있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 이동통신단말기(21)로 존 서비스 등록이 성공했음을 나타내는 TID를 가진 단문메시지를 서비스 등록 요청 응답으로서 발송하고, 관리되고 있지 않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 이동통신단말기(21)로 존 서비스 등록이 실패했음을 나타내는 TID를 가진 단문메시지를 서비스 등록 요청 응답으로서 발송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모듈(1)은 이동통신모듈(2)을 통하여 수신된 서비스 등록 요청 응답이 존 서비스 등록 실패인 것으로 확인되면, 코덱(4)을 제어하여 영상처리부(5)에 의하여 표시부(6)에 서비스 등록이 실패하였음을 표시하도록 한다. 그후,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모듈(1)은 서비스 등록 절차를 종료한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모듈(1)은 서비스 등록 요청 응답이 존 서비스 등록 성공인 것으로 확인되면, 메모리(11)에 저장된 인증서버 등록상태 정보를 예를 들면 "0x01"로 갱신 저장하도록 하고 임시 등록상태 정보(TMP_FLAG)를 예를 들면 "1"로 갱신 저장하도록 한다.
그후,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모듈(1)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2)을 제어하여 존 설정기(19)의 무근거리 무선통신모듈(41)과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을 설정하고(단계 S25),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2)을 통하여 서비스 등록을 요청한다(단계 S27). 여기서, 상기한 단계 S25는 생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1)을 통하여 서비스 등록 요청을 수신한 존 설정기(19)의 제어부(39)는 이동감지센서(43)를 초기화하도록 제어하고, 링크 키(Link Key)를 저장한다(단계 S29).
이어, 상기 존 설정기(19)의 제어부(39)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1)을 통하여 서비스 등록 요청 응답을 이동통신단말기(21)로 송출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31).
이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2)을 통하여 서비스 등록 요청 응답을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모듈(1)은 존 설정기(19)의 식별정보(ZSDID)와 링크 키(Link Key)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서비스 등록상태 정보를 예를 들면 "0x01"로 갱신 저장하며, 존 설정기 상태 정보(ZSD_STATUS)를 초기화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33). 이와 동시에,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모듈(1)은 코덱(4)을 제어하여 영상처리부(5)에 의하여 표시부(6)에 서비스 등록이 성공하였음을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단계 S17에서 인증서버(27)에 서비스 등록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모듈(1)은 인증서버에의 서비스 등록이 완료된 상태에서 비정상적인 원인에 의하여 서비스 등록절차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19와 S21를 생략하고 단계 S23 이후의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DMB 수신 시도시의 존 서비스 기반의 DMB 수신 처리 절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가입자가 이동통신단말기(21)의 키입력부(10)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DMB 수신 키"를 조작하는 등에 의하여 DMB 서비스를 선택한다(단계 S41).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모듈(1)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2)을 제어하여 존 설정기(19)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1)과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을 설정한다(단계 S43). 여기서 단계 S43은 생략할 수도 있다.
그후,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모듈(1)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2)을 제어하여 존 설정기(19)에게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요청을 송출하도록 한다(단계 S45).
이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1)을 통하여 존 설정기 상태 정보 요청을 수신한 존 설정기(19)의 제어부(39)는 메모리(45)에 저장된 상태정보를 읽어내어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응답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21)를 송출하도록 근거리 무선통신모듈(41)을 제어한다(단계 S47).
여기서, 상기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응답에는 존 설정기 상태정보가 포 함되는데, 이 존 설정기 상태정보는 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상 상태"와, 존 설정기의 이동거리가 설정치를 초과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정치 초과 이동 상태", 존 설정기의 하드웨어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이상 상태", 전원공급이 중단된 적이 있음을 나타내는 "전원 불량 상태", 연속적인 리셋(Reset) 시도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연속 리셋 시도 상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만약, 존 설정기(19)가 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존 설정기 상태정보가 예를 들면 "0x00000000"로 되고, 존 설정기(19)가 설정치 초과 이동 상태인 경우에는 존 설정기 상태정보가 예를 들면 "0x00000001"로 되며, 존 설정기(19)가 하드웨어 이상 상태인 경우에는 존 설정기 상태정보가 예를 들면 "0x00000008"로 되고, 존 설정기(19)가 전원 불량 상태인 경우에는 존 설정기 상태정보가 예를 들면 "0x00000010"로 되며, 존 설정기(19)가 연속 리셋 시도 상태인 경우에는 존 설정기 상태정보가 예를 들면 "0x00000040"으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존 설정기 상태정보가 포함된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응답을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2)을 통하여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모듈(1)은 존 설정기 상태정보를 메모리(11)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49).
그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모듈(1)은 DMB 수신 가능 상태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51). 여기서, DMB 수신 가능 상태는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응답이 수신되고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응답에 포함된 존 설정기 상태정보로부터 존 설정기(19)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해당한다.
상기 단계 S51에서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응답이 수신되지 않거나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응답이 수신되더라도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응답에 포함된 존 설정기 상태정보로부터 존 설정기(19)가 정상 상태이 아닌 것[즉, 존 설정기(19)의 이상 상태로서 "설정치 초과 이동 상태", "하드웨어 이상 상태", "전원 불량 상태", "연속 리셋 시도 상태" 등]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모듈(1)은 코덱(4)을 제어하여 영상처리부(5)에 의하여 표시부(6)에 DMB 존 서비스가 불가능한 상태임을 문자 및/또는 존 서비스 불가 식별자를 표시하도록 한다(단계 S55). 여기서, 상기 존 서비스 불가 식별자(ZSI)는 문자, 도형 및 아이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이 코덱(4)을 제어하여 오디오처리부(7)에 의하여 스피커(8)를 통하여 DMB 존 서비스가 불가능한 상태임을 통지하여도 된다.
한편, 상기 단계 S51에서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응답이 수신되고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응답에 포함된 존 설정기 상태정보로부터 존 설정기(19)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모듈(1)은 방송 수신모드로 설정하고 방송수신모듈(3) 및 코덱(4)을 제어하여 가입자에 의하여 선국된 DMB 방송이 수신가능하도록 한다(단계 S53).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DMB 수신 시도시의 존 서비스 기반의 DMB 수신 처리 절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입자에 의하여 이동통신단말기(21)의 DMB 수신 시도를 위 한 키입력부 조작이 이루어지기 전에 도 5에 도시한 단계 S43~단계 S49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계 S61~S67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수행하여 DMB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가입자에게 통지하도록 하고자 하는 구성이다.
이 경우, 가입자는 이동통신단말기(21)의 표시부(6)에 표시되는 DMB 서비스 가능여부 통지표시를 보거나 스피커(8)로 출력되는 DMB 서비스 가능여부 통지음을 듣고서 DMB 존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그후, 가입자가 키입력부(10)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DMB 수신 키"를 조작하는 등에 의하여 DMB 서비스를 선택한다(단계 S69).
이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모듈(1)은 DMB 수신 가능 상태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71).
상기 단계 S71에서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응답이 수신되지 않거나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응답이 수신되더라도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응답에 포함된 존 설정기 상태정보로부터 존 설정기(19)가 정상 상태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모듈(1)은 코덱(4)을 제어하여 영상처리부(5)에 의하여 표시부(6)에 DMB 존 서비스가 불가능한 상태임을 문자 및/또는 존 서비스 불가 식별자를 표시하도록 한다(단계 S75).
한편, 상기 단계 S73에서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응답이 수신되고 존 설정기(ZSD) 상태 정보 응답에 포함된 존 설정기 상태정보로부터 존 설정기(19)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1)의 제어모듈(1)은 방송 수신모드로 설정하고 방송수신모듈(3) 및 코덱(4)을 제어하여 가입자에 의하여 선 국된 DMB 방송이 수신가능하도록 한다(단계 S73).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DMB 수신 시도시의 존 서비스 기반의 DMB 수신 처리 절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키입력부(10)의 조작에 의하여 DMB 수신이 선택되기 전에 가입자가 이동통신단말기(21)를 조작하여 DMB 수신 선택의 예비 단계일 가능성이 높은 키 이벤트(Key Event)가 발생하면(단계 S81), 도 6에 도시한 단계 S61~단계 S67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계 S83~S89를 일정 시간동안(예를 들면 1분 동안) 소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수행하여, DMB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가입자에게 통지하도록 하고자 하는 구성이다. 이 경우에도, 가입자는 이동통신단말기(21)의 표시부(6)에 표시되는 DMB 서비스 가능여부 통지표시를 보거나 스피커(8)로 출력되는 DMB 서비스 가능 여부 통지 음을 듣고서 DMB 존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그 이외에는 상기한 도 6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키 이벤트는 미리 정해진 것으로서 키입력부(10)의 소정 키의 입력과 표시부(34)의 백라이트-온(Back-Light On), 폴더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폴더-오픈(Folder-Open),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슬라이드-업(Slide-Up) 등이 발생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존 설정기(19)가 독립적인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는 도 1에 도시한 시스템과는 존 설정기(66)가 중계기(60)내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상이하다.
본 실시예의 중계기(60)는, 방송 송신소(30)에서 송출된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단말기(21) 측으로 중계하는 DMB 중계기 모듈(62)과; 기지국(22)과 이동통신단말기(21)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이동통신중계기 모듈(64)과; 이동통신단말기(21)가 DMB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정기(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중계기(60)는 옥외용 구성이다.
상기 존 설정기(6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이동감지센서(43)를 제거한 구성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감지센서(43)가 제거된 구성일 경우에는 상기 존 설정기(66)는 존 설정기 상태 정보에 존 설정기의 이동거리가 설정치를 초과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정치 초과 이동 상태"가 없어도 되며, 그 이외에는 상기한 존설정기(19)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존 설정기(66)를 가입자가 구매하는 것이 아니므로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설치되는 것이므로, 이동통신단말기(21)의 가입자가 DMB 존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서비스 사업자가 운영하는 센터에서 가입자가 DMB 존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존 설정기(66)의 식별코드(ZSID)와 핀 코드(PINCODE)를 제공받거나 또는 서비스 사업자가 운영하는 인터넷 웹사이트에서 가입자가 DMB 존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존 설정기(66)의 식별코드(ZSID)와 핀 코드(PINCODE)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받은 존 설정기(66)의 식별코드(ZSID)와 핀코드(PINCODE)를 이용하여 가입자에 의하여 DMB 존 서비스 등록을 요청함에 따라 기 설명한 도 4a 및 도 4b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을 위한 존 서비스 등록 절차가 이루어진다.
또한, 이와 같이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을 위한 존 서비스 등록 절차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해당 DMB 서비스 존 내에서 가입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DMB 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의 시스템에서는 지상파 DMB를 송출하는 방송 송신소(30)를 도시하였지만, 지상파 DMB 뿐만 아니라 위성 DMB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 경우에는 방송 송신소(30)를 DMB위성으로 대체하고 DMB 중계기 모듈(62)이 갭필러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멀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시스템은 존 설정기(66)가 옥외용 중계기(60) 내에 설치되는 구성되는 도 8에 도시한 시스템과는 존 설정기(76)가 옥내용 중계기(70)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상이하다.
본 실시예의 중계기(70)는, 방송 송신소(30)에서 송출된 지상파 DMB 신호를 옥외용 중계기(80)의 DMB 중계기 모듈(82)을 매개로 케이블을 통하여 수신하여 이동통신단말기(21)측으로 중계하는 DMB 중계기 모듈(72)과; 기지국(22)과는 옥외용 중계기(80)의 이동통신중계기 모듈(84)을 매개로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되어, 기지국(22)과 이동통신단말기(21)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이동통신중계기 모듈(74)과; 이동통신단말기(21)가 DMB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정기(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중계기(70)는 옥내용 구성이다.
상기 존 설정기(76)는 상기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존 설정기(66)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21)에 의하여 DMB 수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9에 도시한 변형예의 시스템에서는 지상파 DMB를 송출하는 방송 송신소(30)를 도시하였지만, 지상파 DMB 뿐만 아니라 위성 DMB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 경우에는 방송 송신소(30)를 DMB위성으로 대체하고 DMB 중계기 모듈(82)이 갭필러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존 설정기(19)가 독립적인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는 도 1에 도시한 시스템과는 존 설정기(104)가 중계기(100)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상이하며 또 도 8의 시스템과는 중계기(100)에 DMB 중계기 모듈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점이 상이하고 또한 이동통신단 말기(21)가 방송 송신소(30)로부터 DMB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점에 있어서 상이하다.
본 실시예의 중계기(90)는, 기지국(22)과 이동통신단말기(21)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이동통신중계기 모듈(92)과; 이동통신단말기(21)가 DMB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정기(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중계기(90)는 옥외용 구성이다.
상기 존 설정기(94)는 상기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존 설정기(66)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도 8의 실시예에서 이동통신단말기(21)가 방송 송신소(30)로부터 직접 DMB 방송을 수신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21)에 의하여 DMB 수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실시예의 시스템에서는 지상파 DMB를 송출하는 방송 송신소(30)를 도시하였지만, 지상파 DMB 뿐만 아니라 위성 DMB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 경우에는 방송 송신소(30)를 DMB위성 및 갭필러로 대체하면 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멀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시스템은 존 설정기(94)가 옥외용 중계기(90) 내에 설치되는 구성되는 도 10에 도시한 시스템과는 존 설정기(104)가 옥내용 중계기(100)내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상이하다.
본 변형예의 중계기(100)는, 기지국(22)과는 옥외용 중계기(110)의 이동통신중계기 모듈(112)을 매개로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되어, 기지국(22)과 이동통신단말 기(21)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이동통신중계기 모듈(102)과; 이동통신단말기(21)가 DMB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정기(1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중계기(100)는 옥내용 구성이다.
상기 존 설정기(76)는 상기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존 설정기(66)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도 9의 변형예에서 이동통신단말기(21)가 방송 송신소(30)로부터 직접 DMB 방송을 수신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본 변형예의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21)에 의하여 DMB 수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1에 도시한 변형예의 시스템에서는 지상파 DMB를 송출하는 방송 송신소(30)를 도시하였지만, 지상파 DMB 뿐만 아니라 위성 DMB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 경우에는 방송 송신소(30)를 DMB위성 및 갭필러로 대체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상파 DMB서비스의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지상파 DMB의 전국망으로의 발전이 촉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상파 및 위성 DMB 서비스에서 고정 지역에서만 위성 DMB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가입자의 경우에 DMB 서비스 이용료를 할인해주는 등의 혜택을 줄 수 있게 된다.

Claims (45)

  1.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가입자에게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시스템과;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DMB 방송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시스템과는 이동통신수단에 의하여 통신접속하고 하기의 존 설정기와는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에 의하여 통신접속하며, 하기의 존 설정기에 의하여 규정된 영역 내에서 상기 DMB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DMB를 수신하도록 된 이동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에 의하여 이동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그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를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DMB 서비스 존으로 설정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존 설정기의 가입자에 대한 존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한 존 서비스 인증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존 설정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하여 취득한 상기 존 설정기의 식별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존 서비스 인증서버에 서비스 등록 요청하고, 상기 존 서비스 인증서버의 서비스 등록 후에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서비스 등록 요청함으로써 존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는,
    존 서비스 등록 시점에 설치된 위치를 초기 상태로 하여 이동 정도를 감지하여 그 이동 정도를 이동 거리로 환산하고 그 환산된 이동 거리를 누적하는 이동 감지 센서와;
    상기 이동 감지 센서의 누적 이동 거리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면 이동통신시스템으로의 DMB 존 서비스 수신 시도시에 참조되어 DMB 존 서비스 수신 가능 여부가 결정되는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이동거리 초과에 의한 접속 불가 상태로 설정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존 설정기 상태 정보는 DMB 존 서비스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여 참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의 제어수단은,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의 하드웨어 이상 상태 여부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이상 상태 정보와, 전원공급이 중단된 적이 있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전원 불량 상태 정보, 연속적인 리셋(Reset) 시도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연속 리셋 시도 상태 정보를 추가적인 존 설정기 상태 정보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와의 서비스 등록을 완료한 후에, 가입자에 의한 DMB 존 서비스 수신 시도의 발생시에,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로부터 수신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DMB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DMB를 수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DMB 존 서비스 가능 상태임을 가입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와의 서비스 등록을 완료한 후에,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로부터 수신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가입자에 의한 DMB 존 서비스 수신 시도의 발생시에, 상기 과정에 의하여 상기 존 서비스 가능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DMB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DMB를 수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DMB 존 서비스 가능 상태임을 가입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와의 서비스 등록을 완료한 후에, 가입자에 의한 DMB 존 서비스 수신 의도가 있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로부터 수신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일정 시간동안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가입자에 의한 DMB 존 서비스 수신 시도의 발생시에, 상기 과정에 의하여 상기 존 서비스 가능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DMB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DMB를 수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DMB 존 서비스 가능 상태임을 가입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 설정된 키의 입력발생과, 표시부의 백라이트-턴온(Turn-on) 발생, 폴더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폴더-오픈(Folder-Open) 발생,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슬라이드-업(Slide-Up) 발생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은 블루투스(Bluetooth),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통신 방식을 채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가 중계기 내에 설치되며,
    상기 중계기에는 기지국과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이동통신중계기 모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가 중계기 내에 설치되며,
    상기 중계기는, 기지국과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이동통신중계기 모듈과; DMB 방송시스템로부터 제공되는 DMB 방송을 이동통신단말기로 중계하는 DMB 중계기 모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가 중계기 내에 설치되며,
    상기 중계기는,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된 옥외용 이동통신 중계기를 매개로 기지국과는 통신하여, 기지국과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이동통신중계기 모듈이 포함되어 있는 옥내용 중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18. 제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가 중계기 내에 설치되며,
    상기 중계기는,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된 옥외용 중계기를 매개로 기지국과는 통신하여, 기지국과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이동통신중계기 모듈과;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된 옥외용 중계기를 매개로 DMB 방송시스템로부터 제공되는 DMB 방송을 수신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중계하는 DMB 중계기 모듈이 포함되어 있는 옥내용 중계기인 것을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19.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가입자에게 DMB 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를 DMB 서비스 존으로 설정하고, 그 DMB 서비스 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DMB 방송시스템로부터 제공되는 DMB 방송을 수신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의 가입자에 대한 존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한 존 서비스 인증 서버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는 자신의 상태를 체크하여 DMB 존 서비스 수신 시도시에 DMB 존 서비스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여 참조되어 DMB 존 서비스 수신 가능 여부가 결정되는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는 이동 정도를 감지하여 그 이동 정도를 이동 거리로 환산하고 그 환산된 이동 거리를 누적하는 이동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 감지 센서의 누적 이동 거리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면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이동거리 초과에 의한 접속 불가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가입자의 DMB 존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서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의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취득한 서비스 존 설정기의 식별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존 서비스 인증서버에 서비스 등록 요청하고 상기 존 서비스 인증서버로부터 서비스 등록 응답을 수신하여 존 서비스 인증서버와의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서비스 등록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로부터 서비스 등록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와의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는 서비스 등록 요청의 수신시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초기화시킨 다음에 서비스 등록 응답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존 서비스 인증서버로의 서비스 등록 요청과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서비스 등록 응답은 텔레서비스 식별자(Teleservice IDentifier; TID)를 가진 단문메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와의 서비스 등록을 완료한 후에, 가입자에 의한 DMB 존 서비스 수신 시도의 발생시에,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로부터 수신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DMB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DMB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와의 서비스 등록을 완료한 후에,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로부터 수신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DMB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가입자에 의한 DMB 존 서비스 수신 시도의 발생시에, 상기 과정에 의하여 상기 DMB 존 서비스 가능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DMB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DMB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와의 서비스 등록을 완료한 후에, 가입자에 의한 DMB 존 서비스 수신 시도의 의도가 있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로부터 수신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DMB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일정 시간동안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가입자에 의한 DMB 존 서비스 수신 시도의 발생시에, 상기 과정에 의하여 상기 DMB 존 서비스 가능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DMB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DMB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방법.
  28. 제19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방법.
  29.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DMB 존 서비스 가능 상태임을 가입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DMB 존 서비스 가능 상태임의 통지는 화면표시와 소리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표시는 문자, 기호 및 아이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 캐스팅 서비스 제공 방법.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 설정된 키의 입력발생과, 표시부의 백라이트-턴온(Turn-on) 발생, 폴더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폴더-오픈(Folder-Open) 발생,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슬라이드-업(Slide-Up) 발생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제공 방법
  33. DMB 방송시스템에서 송출된 DMB 방송이 수신 가능한 DMB 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DMB 서비스 존을 자신의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로 설정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과;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수단과;
    DMB 방송시스템에서 송출된 DMB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DMB 수신 모듈과;
    가입자에 의한 DMB 존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 및 이동통신시스템과의 DMB 존 서비스 등록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 후에, 가입자에 의한 DMB 존 서비스 수신 시도가 감지되면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존 설정기 상태 정보가 DMB 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상기 DMB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DMB를 수신하도록 상기 DMB 수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4. DMB 방송시스템에서 송출된 DMB 방송이 수신 가능한 DMB 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DMB 서비스 존을 자신의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로 설정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과;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수단과;
    DMB 방송시스템에서 송출된 DMB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DMB 수신 모듈과;
    가입자에 의한 DMB 존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 및 이동통신시스템과의 DMB 존 서비스 등록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 후에,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존 설정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DMB 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가입자에 의한 DMB 존 서비스 수신 시도가 감지되면 상기 과정에 의하여 수신된 존 설정기 상태 정보가 DMB 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상기 DMB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DMB를 수신하도록 상기 DMB 수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5. DMB 방송시스템에서 송출된 DMB 방송이 수신 가능한 DMB 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DMB 서비스 존을 자신의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로 설정하는 서비스 존 설정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과;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수단과;
    DMB 방송시스템에서 송출된 DMB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DMB 수신 모듈과;
    가입자에 의한 DMB 존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 및 이동통신시스템과의 DMB 존 서비스 등록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 후에, 가입자에 의한 DMB 존 서비스 수신 시도의 기 설정된 예비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존 설정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DMB 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일정 시간동안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가입자에 의한 DMB 존 서비스 수신 시도가 감지된 때 상기 과정에서 DMB 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상태로 확인된 경우에만 상기 DMB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DMB를 수신하도록 상기 DMB 수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DMB 존 서비스 수신 시도의 기 설정된 예비 조작은, 상기 키입력부의 소정 키 입력과, 표시부의 백라이트-턴온, 폴더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폴더-오픈(Folder-Open),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슬라이드-업(Slide-U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7. 제33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 중 에서 선택된 어느 한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8. 제33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존 설정기로부터 수신한 존 설정기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DMB 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현재 DMB 존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임을 가입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DMB 존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임을 가입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제어는 화면표시와 소리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통지하는 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표시는 문자, 기호 및 아이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1.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여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존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을 구비하고서 이동통신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그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 범위를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상기 서비스 존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 서비스 존 설정기와;
    기지국과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이동통신중계기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42. 제41항에 있어서,
    DMB 방송시스템로부터 제공되는 DMB 방송을 이동통신단말기로 중계하는 DMB 중계기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중계기 모듈은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된 옥외용 이동통신 중계기를 매개로 기지국과는 통신하여, 기지국과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고,
    상기 DMB 중계기 모듈은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된 옥외용 중계기를 매개로 DMB 방송시스템로부터 제공되는 DMB 방송을 수신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44. 제4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존 서비스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존 설정기에 의하여 설정된 서비스 존 내에서 DMB 방송시스템에서 송출된 DMB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KR1020060031227A 2006-04-06 2006-04-06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과, 이 서비스 제공방법에적용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중계기 KR100729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227A KR100729521B1 (ko) 2006-04-06 2006-04-06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과, 이 서비스 제공방법에적용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중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227A KR100729521B1 (ko) 2006-04-06 2006-04-06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과, 이 서비스 제공방법에적용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중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9521B1 true KR100729521B1 (ko) 2007-06-15

Family

ID=3835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227A KR100729521B1 (ko) 2006-04-06 2006-04-06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과, 이 서비스 제공방법에적용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중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95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903B1 (ko) 2008-02-28 2011-12-22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단말 장치 및 통신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6722A (ko) * 2005-01-06 2005-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제한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6722A (ko) * 2005-01-06 2005-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제한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903B1 (ko) 2008-02-28 2011-12-22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단말 장치 및 통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461B1 (ko)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정기와,이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US66150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reating and updating a mobile station configuration database in a wireless network
CN101521875B (zh) 终端功能管理服务器、通信系统以及通信方法
US9042910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mobile station presence in a special area
JP2013009404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クセスクラス制限リストを用いるサービス状態提供装置及び方法
CN114554470A (zh) 一种基于蓝牙设备的交互方法及相关设备
KR100729521B1 (ko) 이동통신망에서 존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과, 이 서비스 제공방법에적용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중계기
KR20070121455A (ko)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설정하기 위한 존 설정기와,이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 그리고 이시스템에 사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장치
JP2009194586A (ja) 通信システム
KR100716920B1 (ko) 할인 요금 서비스존 설정 시스템 등록 및 탈퇴 방법
JP2018174404A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384857B (zh) 行動通訊網路的服務區域設定裝置,及使用此裝置提供區域服務的方法與系統及可使用於系統的行動通訊單元
KR100826087B1 (ko) 이동 통신망에서 서비스 존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및 그 방법과, 존 설정기 내장형 중계기
KR100773506B1 (ko)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이를 이용한 만남 정보 서비스 방법
KR1003877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상대단말 상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0687258B1 (ko) 센서네트워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7200878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監視情報の通報方法
US909488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off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in portable terminal
JP2010068184A (ja) 小型基地局
CN108924841B (zh) 安全保护方法、装置、移动终端、基站和mme设备
KR20070025997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존 서비스 해지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24053026A (ja) 電子情報記憶媒体、切替制御方法、及び切替制御プログラム
KR100804395B1 (ko) 부정 이용 방지 기능을 가진 존 설정기와, 이를 이용한 존서비스 부정 이용 방지 방법
JP2010177924A (ja) 基地局
JP2011091629A (ja) 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管理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