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858B1 - 전해콘덴서용 단자 - Google Patents

전해콘덴서용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858B1
KR100825858B1 KR1020060132319A KR20060132319A KR100825858B1 KR 100825858 B1 KR100825858 B1 KR 100825858B1 KR 1020060132319 A KR1020060132319 A KR 1020060132319A KR 20060132319 A KR20060132319 A KR 20060132319A KR 100825858 B1 KR100825858 B1 KR 100825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lastic
plate
electrolytic capacitor
elastic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멕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멕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멕트론
Priority to KR1020060132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08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02Mountings
    • H01G2/06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a printed-circuit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콘덴서의 단자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단자의 끝부분에 탄성 확장부를 형성하여 단자의 각도나 회로기판의 조립구멍 간격에 관계없이 지지력이 발휘되어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자동생산 공정을 통해 회로기판과 연결하는데 공정상의 장애나 불량 없이 생산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하는 바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외장 케이스(110)의 상부를 막는 절연판(120)에 구비되는 전해콘덴서(100)의 단자(200)에 있어서, 상기 단자(200)의 플레이트(210)는 상기 절연판(120)에 고정하고, 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부(220)는 탄성 확대부(230)를 마련하되, 이 탄성 확대부(230)는 하나 이상의 세로 절개선(231)으로써 그 폭을 둘 이상으로 절개한 후, 일부는 두께의 앞쪽으로 꺾어 전방 돌출편(232)으로하고, 일부는 두께의 뒤쪽으로 꺾어 후방 돌출편(233)으로 형성한 것이다.
전해콘덴서, 절연판, 단자, 탄성 확대부

Description

전해콘덴서용 단자{TERMINAL FOR ELECTROLYTIC CONDENSER}
도 1은 종래의 전해콘덴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절연판과 단자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조립 상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자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자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단자 구성도
도 8은 도 7의 사용상태도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단자 사시도
도 10는 도 9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도 9의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전해콘덴서 110: 외장 케이스
120: 절연판 200: 단자
210: 플레이트 220: 연결부
230: 탄성 확대부 231: 세로 절개선
232: 전방 돌출편 233: 후방 돌출편
234: 확장편 235: 통공
236: 세목부 300: 회로기판
310: 조립구멍
본 발명은 전해콘덴서의 단자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단자의 모양을 개선하여 회로기판의 조립구멍에 끼워지기 용이하면서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기에 유리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해콘덴서(1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장 케이스(110)의 외부로 내부의 액체 또는 기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한 쌍의 단자(20)를 연결하기 위해 컬링의 방법으로 절연판(120)이 고정된다.
종래의 단자(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연판(120)의 위에 얹힌 상태에서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플레이트(21)와, 이 플레이트에서 연장된 연결부(2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들 한 쌍의 단자(20)가 갖는 연결부(22)는 서로 반대방향을 유지하 도록 하여 회로기판(300)에 솔더링 공정을 위해 이동할 때, 회로기판과 같이 움직일 수 있는 약간의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배려되어 있다.
즉,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300)의 조립구멍(310)으로 끼워 올려진 연결부(22)가 서로 벌어진 모양을 유지함으로 써 버팀 지지력이 생기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단자(20)가 갖는 구조에서는 회로기판(300)의 조립구멍(310) 간 간격이 서로 멀다거나 너무 가까울 경우 그 버팀 지지력이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단자(20)의 간격이 일정하지 못하고 미세한 차이라도 있게 되면 동일한 호칭 치수의 콘덴서라 하더라도 이 콘덴서가 조립될 회로기판에 조립하기가 어려우며, 더 나가서 생산 및 보관에도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제안하는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단자의 끝부분에 탄성 확장부를 형성하여 단자의 각도나 회로기판의 조립구멍 간격에 관계없이 지지력이 발휘되어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자동생산 공정을 통해 회로기판과 연결하는데 공정상의 장애나 불량 없이 생산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하는 바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외장 케이스의 상부를 막는 절연판에 구비되는 전해콘덴서의 단자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플레이트는 상기 절연판에 고정하고, 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부는 탄성 확대부를 마련하되, 이 탄성 확대부는 하나 이상의 세로 절개선으로써 그 폭을 둘 이상으로 절개한 후, 일부는 두께의 앞쪽으로 꺾어 전방 돌출편으로하고, 일부는 두께의 뒤쪽으로 꺾어 후방 돌출편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때의 상기한 탄성 확대부는 2개의 세로 절개선으로 써 그 폭을 3개로 나눈 후, 중앙부분을 앞쪽으로 꺾어 전방 돌출편으로 하고, 그 양쪽을 모두 뒤쪽으로 꺾어 후방 돌출편이 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또, 상기한 탄성 확대부의 전방 돌출편과 후방 돌출편은 돌출된 측면 모양이 마름모꼴이 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또 한, 상기 탄성 확대부는 연결부의 폭보다 더 넓은 확장편을 형성한 후, 그 확장편의 안쪽에 통공을 형성하여 그 통공 양쪽의 세목부가 탄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차례로 설명한다.
도 4, 도 5, 도 6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구성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구성이며, 도 9, 도 10,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전해콘덴서(100)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외장 케이스(110)의 상부를 막는 절연판(120) 상면으로 구비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즉, 상기 단자(200)는 플레이트(210)와 연결부(220)로 구성하되, 상기 플레이트(210)는 상기 절연판(120)에 고정하고, 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부(220)는 탄성 확대부(230)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는 상기 탄성 확대부(230)를 도 4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세로 절개선(231)으로써 그 폭을 둘 이상으로 절개한 후, 일부는 두께의 앞쪽으로 꺾어 전방 돌출편(232)으로하고, 일부는 두께의 뒤쪽으로 꺾어 후방 돌출편(233)으로 형성한 것이다.
도 4의 경우는 상기 탄성 확대부(230)의 폭을 2개의 세로 절개선(231)으로 써 3개로 나눈 후, 중앙부분을 앞쪽으로 꺾어 전방 돌출편(232)이 되도록 하고, 그 양쪽을 모두 뒤쪽으로 꺾어 후방 돌출편(233)이 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또, 도 7의 경우는 상기 탄성 확대부(230)의 폭을 1개의 세로 절개선(231)으로 나눈 후, 한쪽을 전방으로 꺾어 전방 돌출편(232)이 되게 하고, 나머지 한쪽을 뒤로 꺾어 후방 돌출편(233)이 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 4의 경우나 도 7의 경우 모두 상기한 탄성 확대부(230)의 전방 돌출편(232)과 후방 돌출편(233)은 꺾음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측면 모양이 마름모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 예의 단자(20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 확대부(230)가 회로기판(300)의 조립구멍(310)으로 끼워질 때, 그 탄성 확대부(230)의 전방 돌출편(232)과 후방 돌출편(233)이 오므라졌다가 다시 벌어지게 되고, 또 벌어진 상태에서는 쉽게 빠지지 않기 때문에 전해콘덴서(100)와 함께 이동하는데 있어서 무리가 없다.
즉, 2개의 조립구멍(310) 속으로 끼워진 각각의 탄성 확대부(230)가 상기 조립구멍(310)의 윗쪽 테두리에 걸리므로 상기 조립구멍(310)의 간격이 넓거나 좁아도 걸린 상태를 유지하기에 무리가 없는 것이다.
이는 도 7 및 도 8과 같은 제2실시 예의 구성에서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서는 상기 탄성 확대부(230)를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부(220)의 폭보다 더 넓은 확장편(234)을 형성한 후, 그 확장편의 안쪽에 통공(235)을 형성하여 그 통공(235) 양쪽의 세목부(236)가 탄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한 탄성 확대부(230)도 회로기판(300)의 조립구멍(310)으로 끼울 때, 확장편(234)의 폭이 일시적으로 좁혀 졌다가 다시 펼쳐지면서 걸림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역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연판(120)과 함께 이동되는데 무리가 없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단자의 끝부분에 일시적으로 오므라졌다가 벌어지는 탄성 확장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이 단자를 회로기판의 조립구멍으로 끼울 때, 그 단자의 각도나 회로기판의 조립구멍 간격에 관계없이 지지력이 발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자동생산 공정을 통해 회로기판과 연결하는데 공정상의 장애나 불량 없이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외장 케이스(110)의 상부를 막는 절연판(120)에 구비되는 전해콘덴서(100)의 단자(200)에 있어서,
    상기 단자(200)의 플레이트(210)는 상기 절연판(120)에 고정하고, 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부(220)는 탄성 확대부(230)를 마련하되, 이 탄성 확대부(230)는 하나 이상의 세로 절개선(231)으로써 그 폭을 둘 이상으로 절개한 후, 일부는 두께의 앞쪽으로 꺾어 전방 돌출편(232)으로하고, 일부는 두께의 뒤쪽으로 꺾어 후방 돌출편(233)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콘덴서용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 확대부(230)는 2개의 세로 절개선(231)으로 써 그 폭을 3개로 나눈 후, 중앙부분을 앞쪽으로 꺾어 전방 돌출편(232)으로 하고, 그 양쪽을 모두 뒤쪽으로 꺾어 후방 돌출편(233)이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콘덴서용 단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 확대부(230)의 전방 돌출편(232)과 후방 돌출편(233)은 돌출된 측면 모양이 마름모꼴이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콘덴서용 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확대부(230)는 연결부(220)의 폭보다 더 넓은 확장편(234)을 형성한 후, 그 확장편의 안쪽에 통공(235)을 형성하여 그 통공(235) 양쪽의 세목부(236)가 탄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콘덴서용 단자.
KR1020060132319A 2006-12-22 2006-12-22 전해콘덴서용 단자 KR100825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319A KR100825858B1 (ko) 2006-12-22 2006-12-22 전해콘덴서용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319A KR100825858B1 (ko) 2006-12-22 2006-12-22 전해콘덴서용 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5858B1 true KR100825858B1 (ko) 2008-04-28

Family

ID=39572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319A KR100825858B1 (ko) 2006-12-22 2006-12-22 전해콘덴서용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8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1750U (ko) 1975-01-20 1976-07-22
JPH1098247A (ja) 1997-07-04 1998-04-14 Pioneer Electron Corp 電気部品の基板固定方法
JPH11121272A (ja) 1997-10-08 1999-04-30 Kenwood Corp コンデンサの端子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1750U (ko) 1975-01-20 1976-07-22
JPH1098247A (ja) 1997-07-04 1998-04-14 Pioneer Electron Corp 電気部品の基板固定方法
JPH11121272A (ja) 1997-10-08 1999-04-30 Kenwood Corp コンデンサの端子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6338B2 (en) Mounting bracket for slide assembly
JP2003217785A (ja) 接続端子の製造方法
JP5571099B2 (ja) 小型電気コネクタ
JP2000315537A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07250320A (ja) コンタクト部材
JP2012150938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6185951A (ja) 回路基板への基板用端子の取付構造
JP2016081561A (ja) 雌端子
KR100825858B1 (ko) 전해콘덴서용 단자
JP2006216320A (ja) 端子金具
US7503814B1 (en) Terminal structure of female connector
JP6869491B2 (ja) 雌型端子
JP3080057U (ja) 多極式の電気的な差込みコネクタ
US8118623B2 (en) Electrical contact having folded contacting portion
JP5168129B2 (ja) 端子金具
RU2586372C2 (ru) Плита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зажимного патрона
JP3158458U (ja) 電気コネクタ
JP5169372B2 (ja) メッシュ状体の製造装置
CN205863571U (zh) Pcb板间对接连接器
CN219959477U (zh) 多合一导电五金端子
JP2005166364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端子
JP6530110B2 (ja) コネクタ
KR200309132Y1 (ko) 천정판 지지부재
JP2008244541A (ja) コネクタ基板及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の入力端子の接続構造
JP3070499U (ja) リモコン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