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845B1 -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845B1
KR100824845B1 KR1020010080224A KR20010080224A KR100824845B1 KR 100824845 B1 KR100824845 B1 KR 100824845B1 KR 1020010080224 A KR1020010080224 A KR 1020010080224A KR 20010080224 A KR20010080224 A KR 20010080224A KR 100824845 B1 KR100824845 B1 KR 100824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t
coupled
substrate
imaging uni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892A (ko
Inventor
유석범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0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845B1/ko
Publication of KR20030049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두께를 줄임으로써, 더욱 박형화된 TV, 모니터 등의 제작이 가능하고 또한 공정이 간단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브라운관의 후단에 결합되어 일정 길이로 스템핀이 돌출된 전자총과, 상기 전자총의 스템핀이 결합될 수 있도록 소켓이 구비된 영상부 기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자총의 스템핀이 상기 영상부 기판의 소켓에 결합된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템핀의 내측 영역에는 상기 전자총과 연결된 동시에 상기 스템핀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베이스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소켓 및 영상부 기판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가 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영상부 기판의 후면쪽으로 돌출된 영역에는 상기 브라운관이 영상부 기판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잠금키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함.

Description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coupling structure between Braun tube and display board}
도1은 종래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2a는 도1의 A부 확대도로서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b는 브라운관에 영상부 기판이 결합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 사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이용된 키(key)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 사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 사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2; 브라운관(Braun tube) 4; 전자총
6; 스템핀(stem pin) 8; 베이스(base)
9; 키홈(key recess) 10; 돌출턱
12; 소켓(socket) 14; 소켓의 통공
16; 소켓의 소통공 18; 영상부 기판
20; 영상부 기판의 통공 22; 잠금키(locking key)
24; 개구(開口) 26,28; 절개구(節槪口)
본 발명은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두께를 줄임으로써, 더욱 박형화된 TV, 모니터 등의 제작이 가능하고 또한 공정이 간단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2a는 도1의 A부 확대도로서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b는 브라운관에 영상부 기판이 결합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에 브라운관(2')과 영상부 기판(18')의 결합 구조는 브라운관(2')의 단부에 결합된 전자총(4')의 스템핀(6')과 영상부 기판(18')에 구비된 소켓(12')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구조이다. 상기 영상부 기판(18')에는 비교적 많은 부품이 부착되어 있어서 브라운관(2')의 스템핀(6')과 소켓(12')의 단순 결합만으로는 진동이나 충격 발생시 충분한 결합 강도를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부 기판(18')에 미리 다수의 소통공(16')이 형성된 소켓(12')을 구비하고, 상기 전자총(4')의 길게 늘려진 스템핀(6')과 상기 소켓(12')의 소통공(16')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소켓(12')의 소통공(16')에 상기 전자총(4')의 스템핀(6')이 삽입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자총(4')과 소켓(12')을 서로 결합시킨 후에는,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켓(12')과 전자총(4')의 결합 부위에 열가소성 수지인 접착제(20')를 도포하였다.
즉, 종래에는 브라운관(2')과 영상부 기판(18')의 결합시, 상기 영상부 기판(18')에 구비된 소켓(12')과 브라운관(2')의 전자총(4')을 상호 결합시킨 후, 상기 소켓(12')과 전자총(4')의 결합 부위에 이탈 방지용 접착제(20')를 도포함으로써, 접착제(20')에 기인한 접합력에 의해 상기 브라운관(2')과 영상부 기판(18')이 결합 신뢰성이 확보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결합 구조는 전자총의 스템핀이 길게 연장되어 있고, 또한 결합부 주위에 신뢰성 확보를 위해 이탈 방지용 접착제가 추가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먼저, 결합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전자총의 스템핀을 길게 늘린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결합후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 사이의 결합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 구조를 이용한 TV 또는 모니터 등의 두께가 더욱 두꺼워진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동절기에는 접착력이 저하되는 등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민감하므로, 결합 신뢰성이 계절마다 바뀌는 단점이 있고, 또한 인체에 해로운 접착제를 사용하므로 작업 환경도 나쁘다.
더불어, 상기 접착제를 사용한 후, 상기 접착제의 경화를 위해 상기 브라운관 및 영상부 기판을 일정시간 자연 경화하여야 함으로써,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 사이의 결합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두께를 줄임으로써, 더욱 박형화된 TV, 모니터 등의 제작이 가능하고 또한 공정이 간단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브라운관의 후단에 결합되어 일정 길이로 스템핀이 돌출된 전자총과, 상기 전자총의 스템핀이 결합될 수 있도록 소켓이 구비된 영상부 기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자총의 스템핀이 상기 영상부 기판의 소켓에 결합된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템핀의 내측 영역에는 상기 전자총과 연결된 동시에 상기 스템핀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베이스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소켓 및 영상부 기판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가 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영상부 기판의 후면쪽으로 돌출된 영역에는 상기 브라운관이 영상부 기판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잠금키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부 기판의 후면쪽으로 돌출된 베이스에는 상기 잠금키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키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부 기판의 후면쪽으로 돌출된 베이스에 결합되는 잠금키는 대략 판상으로서 중앙에 대략 원형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의 하측에는 상기 개구의 폭보다 작은 크기의 절개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키는 상기 개구의 상부에, 상기 개구와 연통된 또다른 절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에 의하면 스템핀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또한 베이스가 직접 소켓 및 영상부 기판의 통공에 결합됨으로써, 결합후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 사이의 결합 두께가 얇아지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결합 구조를 이용한 TV 또는 모니터 등의 두께가 더욱 얇아진다.
또한, 종래와 같이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 사이의 결합 부분에 접착제를 사용하는 대신, 잠금키를 사용함으로써, 결합 신뢰성이 계절에 관계없이 우수하고, 또한 결합 작업시 인체에 유해하지 않음으로써 작업 환경도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종래와 같이 접착제의 경화 시간을 대기할 필요가 없음으로써,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 사이의 결합 시간이 신속한 장점도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브라운관(2)과 영상부 기판(18) 사이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운관(2)의 후단에는 일정 길이로 다수의 스템핀(6)이 돌출 및 연장되어 있는 전자총(4)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자총(4)의 후단쪽으로는 상기 스템핀(6)의 길이보다 더 길게 후방으로 연장된 베이스(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총(4)의 후단인 베이스(8)의 상부에는 결합 기준 위치로 사용되는 돌출턱(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템핀(6)보다 더 길게 연장된 베이스(8)의 소정 영역에는 상,하 수직 방향인 동시에 대응되는 양측에 일정 깊이의 키홈(9)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총(4)의 스템핀(6)은 종래에 비하여 그 길이를 대폭 축소하여도 종래와 동일한 역할(전원 및 신호 전송 역할)을 하므로, 최대한 그 길이를 짧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자총(4)의 스템핀(6)과 대응되는 영상부 기판(18)에는 소켓(12)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소켓(12)에는 상기 스템핀(6)이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소통공(도시되지 않음)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8)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에 원형의 통공(14)이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소켓(12)의 통공(14)과 대응되는 영상부 기판(18)에도 통공(20)이 형성되어 상기 전자총(4)의 베이스(8)가 관통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켓(12) 및 영상부 기판(18)의 통공(14)(20)을 관통한 베이스(8)의 키홈(9)에는 상기 베이스(8) 즉, 브라운관(2)이 상기 영상부 기판(18)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키(22)가 구비되어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한 잠금키(22)의 정면도가 도시되어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키(22)는 대략 판상으로서 중앙에 대략 원형 또는 사각형의 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24)의 폭은 차후 상기 베이스(8)의 키홈(9)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며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8)의 키홈(9) 사이의 폭보다 약간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24)의 하측에는 상기 개구(24)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절개구(26)가 형성되어, 상기 잠금키(22)가 상기 베이스(8)의 외경 또는 키홈(9)을 따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개구(24)의 상부에는 상기 잠금키(22)가 베이스(8)의 외경 또는 키홈(9)을 따라서 결합될 때 상기 개구(24)의 양측편이 용이하게 멀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개구(24)와 연통된 또다른 절개구(28)가 형성되어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브라운관(2)과 영상부 기판(18) 사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6은 그 정면도이다. 도6에서 영상부 기판(18)은 설명의 편의상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총(4)의 스템핀(6) 내측 영역에 형성된 베이스(8)는 상기 소켓(12) 및 영상부 기판(18)에 형성된 각 통공(14)(20)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물론, 상기 스템핀(6)은 상기 소켓(12)에 구비된 소통공(16)에 각각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8)의 끝단은 상기 영상부 기판(18)의 후면 외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8)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턱(10)은 상기 각 스템핀(6)과 소켓(12)의 소통공(16)이 정확한 위치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위치로 이용된다.
한편, 상기 영상부 기판(18)의 통공(20)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된 베이스(8)의 키홈(9)에는 상기한 구조의 잠금키(22)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8)의 키홈(9)은 상기 영상부 기판(18)의 후면과 매우 근접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잠금키(22)는 상기 영상부 기판(18)의 표면과 밀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키(22)는 상기 베이스(8) 즉, 브라운관(2)에서 상기 영상부 기판(18)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하는 본 발명에 의한 브라운관(2)과 영상부 기판(18)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브라운관(2)의 단부에 결합된 전자총(4)의 스템핀(6)을 영상부 기판(18)의 소켓(12)에 형성된 소통공(16)에 모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전자총(4)의 후단으로서 베이스(8)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턱(10)이 상부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각 스템핀(6)이 정확한 소통공(16)에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스템핀(6)의 길이보다 더 연장되어 형성된 베이스(8)는 상기 소켓(12) 및 영상부 기판(18)의 통공(14)(20)을 관통하게 되며, 상기 베이스(8)의 키홈(9)은 상기 영상부 기판(18)의 후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그러면, 잠금키(22)를 상기 베이스(8)의 키홈(9)에 삽입시킨다. 즉, 상기 잠금키(22)를 상비 베이스(8)의 키홈(9)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잠금키(22)가 상기 베이스(8)의 키홈(9)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잠금키(22)의 개구(24)가 상기 베이스(8)의 외경 및 키홈(9)에 밀착되면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잠금키(22)의 개구(24)는 상기 베이스(8)의 키홈(9)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잠금키(22)가 상기 베이스(8)의 키홈(9)에 결합된 후, 소정치의 탄성력이 발생되어 상기 잠금키(22)가 더욱 단단하게 상기 베이스(8)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잠금키(22)의 개구(24) 상부에는 또다른 절개구(28)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잠금키(22)가 상기 베이스(8)의 키홈(9)에 결합될 때 상기 잠금키(22)의 양측 즉, 개구(24)를 중심으로 그 양측의 거리가 약간씩 멀어짐으로써 상기 잠금키(22)가 베이스(8)의 외경 및 키홈(9)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베이스(8)의 키홈(9)은 영상부 기판(18)에 근접하여 위치됨으로써, 상기 잠금키(22)는 상기 영상부 기판(18)에 밀착되고, 따라서 결국 브라운관(2)에 상기 영상부 기판(18)이 강하게 고정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여기 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된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에 의하면 스템핀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또한 베이스가 직접 소켓 및 영상부 기판의 통공에 결합됨으로써, 결합후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 사이의 결합 두께가 얇아지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결합 구조를 이용한 TV 또는 모니터 등의 두께가 더욱 얇아진다.
또한, 종래와 같이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 사이의 결합 부분에 접착제를 사용하는 대신, 잠금키를 사용함으로써, 결합 신뢰성이 계절에 관계없이 우수하고, 또한 결합 작업시 인체에 유해하지 않음으로써 작업 환경도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종래와 같이 접착제의 경화 시간을 대기할 필요가 없음으로써,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 사이의 결합 작업이 신속해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브라운관의 후단에 결합되어 일정 길이로 스템핀이 돌출된 전자총과, 상기 전자총의 스템핀이 결합될 수 있도록 소켓이 구비된 영상부 기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자총의 스템핀이 상기 영상부 기판의 소켓에 결합된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템핀의 내측 영역에는 상기 전자총과 연결된 동시에 상기 스템핀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베이스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소켓 및 영상부 기판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가 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영상부 기판의 후면쪽으로 돌출된 영역에는 상기 브라운관이 영상부 기판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잠금키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 기판의 후면쪽으로 돌출된 베이스에는 상기 잠금키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키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 기판의 후면쪽으로 돌출된 베이스에 결합되는 잠금키는 판상으로서 중앙에 원형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의 하측에는 상기 개구의 폭보다 작은 크기의 절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키는 상기 개구의 상부에, 상기 개구와 연통된 또다른 절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
KR1020010080224A 2001-12-17 2001-12-17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 KR100824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224A KR100824845B1 (ko) 2001-12-17 2001-12-17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224A KR100824845B1 (ko) 2001-12-17 2001-12-17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892A KR20030049892A (ko) 2003-06-25
KR100824845B1 true KR100824845B1 (ko) 2008-04-23

Family

ID=2957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224A KR100824845B1 (ko) 2001-12-17 2001-12-17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84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0041A (en) * 1976-04-01 1977-09-20 Zenith Radio Corporation Static/purity device for in-line gun
KR960028741A (ko) * 1994-12-02 1996-07-22 김광호 전자제품의 음극선관용 pcb 결합장치
KR19990013899U (ko) * 1997-09-30 1999-04-26 전주범 모니터의 차폐케이스
KR20010001933A (ko) * 1999-06-09 2001-01-05 구자홍 영상표시기기의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과의 연결을 위한 소켓의 잠금장치
KR20010106824A (ko) * 2000-05-23 2001-12-07 윤종용 절연용 리브가 구비된 음극선관 수용 소켓 및 이를 구비한모니터
KR20020060300A (ko) * 2001-01-10 2002-07-18 구자홍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결합장치
US6670746B2 (en) * 2001-12-12 2003-12-30 Thomson Licensing S.A. Cathode ray tube electrical connector with through passage and leaf spring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0041A (en) * 1976-04-01 1977-09-20 Zenith Radio Corporation Static/purity device for in-line gun
KR960028741A (ko) * 1994-12-02 1996-07-22 김광호 전자제품의 음극선관용 pcb 결합장치
KR19990013899U (ko) * 1997-09-30 1999-04-26 전주범 모니터의 차폐케이스
KR20010001933A (ko) * 1999-06-09 2001-01-05 구자홍 영상표시기기의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과의 연결을 위한 소켓의 잠금장치
KR20010106824A (ko) * 2000-05-23 2001-12-07 윤종용 절연용 리브가 구비된 음극선관 수용 소켓 및 이를 구비한모니터
KR20020060300A (ko) * 2001-01-10 2002-07-18 구자홍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결합장치
US6670746B2 (en) * 2001-12-12 2003-12-30 Thomson Licensing S.A. Cathode ray tube electrical connector with through passage and leaf spr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892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0336B2 (ja) 可動コネクタ取付け構造
EP1505695A1 (en) Electrical connector improving both functions of magnetic shielding and ground connection
US6619859B1 (en) Receptacle module
KR200497323Y1 (ko)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JP4236017B2 (ja) ノイズ防止装置
US6383010B1 (en) Latching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s
TWM587383U (zh) 連接器
KR100824845B1 (ko)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
KR102031835B1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JP2009512990A (ja) 保護キャップおよびコネクタと保護キャップとの結合体
JPH10172665A (ja) 可動コネクタ
JP3225444U (ja) ワンタッチ式プレスアセンブリ及びコネクタ
JPH05267485A (ja) 半導体装置の防塵用ハウジング
KR100294679B1 (ko) 영상표시기기의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과의 연결을 위한 소켓의 잠금장치
JP2000223856A (ja) 制御機器のコネクタ装置
JP2005189257A (ja) 光路変換光導波路コネクタ
KR102092012B1 (ko) 포크인 커넥터
JP3278398B2 (ja) コネクタ
JP3717005B2 (ja) リード線固定構造
JPH10172676A (ja) 電子機器のジャック取付構造
US6712633B2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lateral fasteners arranged along and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axis
KR20240030477A (ko) 클립 타입의 커넥터 어셈블리
KR200172388Y1 (ko) 씨알티 소켓
JP2604369Y2 (ja) 陰極線管用ベース及び陰極線管用ソケット
JP2003065315A (ja) フ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