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142B1 - 폐 자속 경로를 갖는 변압기 - Google Patents

폐 자속 경로를 갖는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142B1
KR100824142B1 KR1020060062295A KR20060062295A KR100824142B1 KR 100824142 B1 KR100824142 B1 KR 100824142B1 KR 1020060062295 A KR1020060062295 A KR 1020060062295A KR 20060062295 A KR20060062295 A KR 20060062295A KR 100824142 B1 KR100824142 B1 KR 100824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ore
magnetic flux
bobbin
flux path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965A (ko
Inventor
춘-콩 찬
치-밍 양
진-지운 지앙
야-춘 라이
Original Assignee
리엔 창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엔 창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엔 창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060062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142B1/ko
Publication of KR20080003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6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6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specifically adapted for discharge lamp ballasts

Abstract

폐 자속 경로를 갖는 변압기는 적어도 하나의 보빈, 적어도 하나의 제1 권선, 적어도 하나의 제2 권선 및 적어도 2개의 자기 코어를 구비한다. 제1 권선 및 제2 권선은 보빈 상에 개별적으로 감겨진다. 2개의 자기 코어는 변압기 내에 폐 자속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보빈의 내부를 관통하는 E형 자기 코어와 I형 자기 코어를 구비한다. 제1 권선 중 하나가 손상될 때, 다른 제1 권선은 여전히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영향을 받지 않는다.

Description

폐 자속 경로를 갖는 변압기{A TRANSFORMER HAVING A CLOSED MAGNETIC FLUX PATH}
도 1은 종래 기술의 변압기의 자속 경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폐 자속 경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병렬로 감겨진 2개의 코일과 폐 자속 경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복수의 구동부와 복수의 출력부를 갖는 변압기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폐 자속 경로를 갖는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의 CCFL을 구동하는 데 사용되는 폐 자속 경로를 갖는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LCD 장치(LCD 모니터나 LCD TV와 같은)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LCD 장치는 LCD 장치로부터의 발광이 더욱 밝고 더욱 균일하게 만들기 위해 더욱 많은 CCLF를 필요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변압기(1)가 복수의 출력된 구동 신호를 제공할 때, 2개의 제1 권선(11)과 2개의 제2 권선(12)이 단일 자속 경로(13)에 대칭적으로 위치된다. 각각의 제1 권선(11)은 한 세트의 핀(111)을 갖고, 각각의 제2 권선(12)은 다른 세트의 핀(121)을 갖는다. 2개의 제1 권선(11)의 각각은 핀들(111)을 통해 구동부(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와 접속된다. 유사하게, 2개의 제2 권선(12)의 각각은 핀들(121)을 통해 CCFL(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과 접속된다. 따라서, 변압기는 2개의 세트의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그러나, 제1 권선(11) 중 하나가 손상되거나 부식될 때, 자속 경로(13)에 의해 유도된 자속은 너무 작아져서 2개의 제2 권선(12)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CCFL에 공급되는 전력이 부적절하고, CCFL의 휘도가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양태는 폐 자속 경로를 갖는 변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변압기는 복수의 구동부와 접속되어, 복수의 출력된 신호를 제공한다. 그 자속 경로는 서로 독립적이다. 제1 권선 중 하나가 손상될 때, 출력된 신호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폐 자속 경로를 갖는 변압기는 적어도 하나의 보빈, 적어도 하나의 제1 권선, 적어도 하나의 제2 권선 및 적어도 2개의 자기 코어를 구비한다. 보빈은 적어 도 2개의 제1 코일 프레임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코일 프레임을 구비한다. 제1 권선은 보빈의 제1 코일 프레임 상에 감겨지는 적어도 2개의 제1 코일을 구비한다. 제2 권선은 보빈의 제2 코일 프레임 상에 감겨지는 복수의 제2 코일을 구비한다. 2개의 자기 코어는 적어도 2개의 독립된 폐 자속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보빈을 관통한다. 따라서, 폐 자속 경로 중 하나의 제1 코일이 손상되더라도, 다른 폐 자속 경로 상의 자속은 변화되지 않으므로, 제2 코일의 출력은 안정적으로 된다.
발명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예들을 설명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를 참조한다. 그러한 설명은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의 제한을 고려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도면은 발명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2를 참조한다. 폐 자속 경로를 갖는 변압기는 보빈(21), E형 자기 코어(22) 및 I형 자기 코어(23)를 구비한다. I형 자기 코어(23)는 보빈(21)의 내부를 관통한다. E형 자기 코어(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진 B형상을 갖는 자속 경로(24)를 형성하기 위해 I형 자기 코어(23)와 접합된다. 보빈(21)은 4개의 제1 코일 프레임(211) 및 2개의 제2 코일 프레임(212)을 구비한다. 제1 코일 프레임(211)을 제2 코일 프레임(212)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보빈(21)의 중앙에 분리판(separating-board)(213)이 위치된다. 제1 코일 프레임(211)은 제2 코일 프레임(212)와 대칭적으로 위치된다. 2개의 인접한 제1 코일 프레임(211)은 분리판(213) 근처에 위치된다. 제2 코일 프레임들은 보빈(21)의 2개의 측면에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제1 코일 프레임(211)에 인접한다. 보빈(21)에 복수의 제1 핀(214) 및 제2 핀(215)가 존재한다. 제1 핀(214)은 제1 코일 프레임(211)에 인접하고, 제2 핀(215)은 제2 코일 프레임(212)에 인접한다. 제1 코일 프레임(211)은 제1 권선(25)으로 감겨지고, 제2 코일 프레임(212)은 제2 권선(26)으로 감겨진다(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1 핀(214)은 구동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과 접속되고, 제2 핀(215)은 CCFL(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과 접속된다.
도 3을 참조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21)은, 자속 경로(24)의 2개의 측면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제1 권선(25)과 제2 권선(26)을 갖도록 2개의 제1 권선(25) 및 2개의 제2 권선(26)으로 감겨진다. 제1 권선(25)은 2개의 제1 코일(251) 및 보상(compensating) 코일(252)을 구비한다. 그에 따라, 2개의 권선(25)은 제1 핀(214)을 통해 로이어(royer) 구동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개별적으로 접속되고, 2개의 제2 권선(26)은 제2 핀(215)을 통해 CCFL과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로이어 구동부를 통해 제1 권선(25)으로 전력이 입력될 때, 자속 경로(24)는, 폐 자속 경로를 형성하여, 제1 권선(25)을 통한 전류 흐름에 기인하여 자기 흐름을 생성한다. 2개의 제2 권선(26)은 자기 흐름에 반응하여 CCFL을 구동하여 발광시키기 위한 전류를 생성한다. 보상 코일(252)은 제2 권선(26)에서 생성된 전류를 더욱 안정되게 만든다. 폐 자속 경로(241) 중 하나에서 하나의 제1 권선(25)과 접속되는 하나의 로이어 구동부가 손상될 때, 다른 폐 자속 경로(241)는 2개의 폐 자속 경로들(241)이 독립적이기 때문에, 손상되거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손상되지 않은 폐 자속 경로(241)는 CCFL이 안정적으로 발광할 수 있게 한다.
도 4를 참조한다. 제1 권선(25)은 2개의 제1 코일(251)을 구비하고, 투 와 운드 와이어법(two wound wires method)을 사용하여 제1 핀(214)을 통해 구동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접속된다. 구동부는 풀브릿지(full-bridge), 하프브릿지(half-bridge), 또는 푸시풀(push-pull)형이다. 제1 코일(251)의 4개의 제1 핀(214)은 구동부의 전류 출력 단자 MOSFET 및 다른 MOSFET와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제1 코일(251)의 2개의 입력 핀(214)은 푸시풀 구동부의 전류 입력 단자 MOSFET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코일(251)의 2개의 출력 핀(214)은 푸시풀 구동부의 다른 MOSFET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방법으로, 손상되지 않은 폐 자속 경로(241)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고, 투 와운드 와이어법은 제1 코일(251)의 컬렉션(collection) 효과와 제1 코일(251)의 온도를 저하시켜, 제1 권선(25)을 보호한다.
도 5를 참조한다. 이 실시예에서, 폐 자속 경로(2)를 갖는 변압기는 보빈(21), 유사 E형 자기 코어(22') 및 I형 자기 코어(23)를 구비한다. 유사 E형 자기 코어(22')는 U형 부분(221')을 구비한다. 2개의 병렬 l형 부분(222')은 U형 부분(221')의 하부의 중앙으로부터 윗쪽으로 연장한다. I형 자기 코어(23)는 보빈(21)의 내부를 관통한다. 유사 E형 자기 코어(22')는 격자 형상을 갖는 자속 경로(24)를 형성하기 위해 I형 자기 코어(23)와 접합된다. 그에 따라, 2개의 독립된 폐 자속 경로가 얻어진다.
도 6을 참조한다. 이 실시예에서, 폐 자속 경로(2)를 갖는 변압기는 보빈(21), 2개의 E형 자기 코어(22) 및 2개의 I형 자기 코어(23)를 구비한다. 2개의 I형 자기 코어(23)는 보빈(21)의 중앙에 병렬로 배열되며, 보빈(21)에 수직이고, 보 빈(21)을 걸치고 있다. 2개의 E형 자기 코어(22)의 중앙부는 보빈(21)의 2개의 단부로부터 보빈(21)에 플러그(plug)한다. E형 자기 코어(22)의 2개의 측면은 I형 자기 코어(23)와 개별적으로 접합된다. 그에 따라, 2개의 독립된 폐 자속 경로가 얻어진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한다. 폐 자속 경로(2)를 갖는 변압기는 복수의 출력을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 폐 자속 경로(2)를 갖는 변압기는 2개의 보빈(21), 4개의 F형 자기 코어(27) 및 2개의 I형 자기 코어(23)를 구비한다. 2개의 보빈(21)은 서로 동일하다. 2개의 I형 자기 코어(23)는 보빈(21)의 중앙에 병렬로 배열되며, 보빈(21)에 수직이고 보빈(21)을 걸치고 있다. F형 자기 코어(27)는 보빈(21)에 개별적으로 플러그되고, 서로 인접하고 있다. F형 자기 코어(27)는 2개의 I형 자기 코어(23)와 개별적으로 접합된다. 자속 경로(2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독립된 폐 자속 경로(241)를 형성한다. 폐 자속 경로(241)의 각각은 2개의 제1 권선(25) 및 2개의 제2 권선(26)을 구비하여, 다중 입력 및 다중 출력을 갖는다. 각각의 폐 자속 경로(241)는 서로 독립되어 있어, 단일의 폐 자속 경로(241)가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폐 자속 경로(2)를 갖는 변압기는 단일의 제1 권선이 손상될 때 모든 제2 권선의 출력이 영향을 받는 문제점을 방지한다. 투 와운드 와이어법은 컬렉션 효과와 온도를 저하시켜 제1 권선을 보호한다. 또한, 다양한 자기 코어를 공동 위치시키는 것은 다중 입력 및 다중 출력을 갖고 복수의 자속 경로를 형성하는 효과를 얻는다.
상기 설명은 발명의 특정 실시예 및 예들을 예시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첨부하는 청구항들에 정해진 바와 같은 발명의 범위 내에 있으면, 여기에 설명된 발명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행해진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커버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권선 중 하나가 손상될 때에도, 다른 제1 권선은 여전히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영향을 받지 않는 변압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폐 자속 경로를 갖는 변압기로서, 상기 변압기는:
    2개의 제1 코일 프레임과 하나의 제2 코일 프레임을 갖는 보빈;
    상기 2개의 제1 코일 프레임 상에 개별적으로 감겨지는 2개의 제1 코일을 갖는 제1 권선;
    상기 제2 코일 프레임 상에 감겨지는 복수의 제2 코일을 갖는 제2 권선; 및
    폐 자속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보빈의 내부를 관통하는 2개의 자기 코어를 포함하는, 변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복수의 제1 핀 및 제2 핀을 갖고, 상기 제1 권선은 상기 제1 핀을 통해 구동부와 접속하는, 변압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권선은 투 와운드 와이어법(two wound wires method)에 의해 상기 구동부와 접속하는, 변압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풀브릿지 구동부, 하프브릿지 구동부, 푸시풀 구동부, 또는 로이어 구동부인, 변압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기 코어는 I형 자기 코어 및 E형 자기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I형 자기 코어는 상기 E형 자기 코어와 접합하는, 변압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기 코어는 유사 E형 자기 코어 및 I형 자기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I형 자기 코어는 상기 E형 자기 코어와 접합하는, 변압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기 코어는 4개의 F형 자기 코어 및 2개의 I형 자기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I형 자기 코어는 상기 F형 자기 코어와 접합하는, 변압기.
KR1020060062295A 2006-07-04 2006-07-04 폐 자속 경로를 갖는 변압기 KR100824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295A KR100824142B1 (ko) 2006-07-04 2006-07-04 폐 자속 경로를 갖는 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295A KR100824142B1 (ko) 2006-07-04 2006-07-04 폐 자속 경로를 갖는 변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965A KR20080003965A (ko) 2008-01-09
KR100824142B1 true KR100824142B1 (ko) 2008-04-21

Family

ID=3921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295A KR100824142B1 (ko) 2006-07-04 2006-07-04 폐 자속 경로를 갖는 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533B1 (ko) 2009-05-29 2011-09-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형 코어 및 이를 갖는 트랜스포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7263A2 (en) 2011-01-14 2012-07-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container
EP2663507A1 (en) 2011-01-14 2013-11-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 closure for a container
WO2014070879A1 (en) 2012-10-30 2014-05-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closure for a container
US11335495B1 (en) * 2021-02-03 2022-05-17 Applied Materials, Inc. System to optimize voltage distribution along high voltage resistor string in ICT high voltage power supp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1566A (ja) * 1995-03-29 1996-10-18 Sanyo Electric Works Ltd 漏洩変圧器の地絡検出器
KR20060000365A (ko) * 2004-06-28 2006-0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버터용 트랜스포머
JP2006049460A (ja) 2004-08-03 2006-02-16 Toko Inc 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2006147978A (ja) 2004-11-24 2006-06-08 Kijima:Kk 小形トラン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1566A (ja) * 1995-03-29 1996-10-18 Sanyo Electric Works Ltd 漏洩変圧器の地絡検出器
KR20060000365A (ko) * 2004-06-28 2006-0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버터용 트랜스포머
JP2006049460A (ja) 2004-08-03 2006-02-16 Toko Inc 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2006147978A (ja) 2004-11-24 2006-06-08 Kijima:Kk 小形トラン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533B1 (ko) 2009-05-29 2011-09-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형 코어 및 이를 갖는 트랜스포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965A (ko) 200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1368B2 (ja) リーケージトランス
US20080024261A1 (en) High Voltage Transformer
US7456719B2 (en) Inverter transformer
JP3906413B2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KR100824142B1 (ko) 폐 자속 경로를 갖는 변압기
JP4980196B2 (ja) 電源用トランス
JP2006108667A (ja) インバータ変圧器
JP2003068540A (ja) インバータ回路の変圧器
US20090167473A1 (en) Transformer structure
US7459863B2 (en) Transformer and multi-lamp driving circuit using the same
JP2008060441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2007335453A (ja) 高圧トランス
JP2006303304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2012084776A (ja) 表面実装型閉磁コイル
US20080211615A1 (en) Inverter transformer
US20070262842A1 (en) Transformer having a closed magnetic flux path
JP4348263B2 (ja) リーケージトランス
KR20070050138A (ko) 가변형 누설 자속 트랜스포머
JP2009170489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2008153384A (ja) トランスおよびバックライト装置並びに表示装置
JP4800431B2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KR200375009Y1 (ko) 트랜스포머 모듈
KR101030578B1 (ko) 2인1 트랜스포머 및 이를 이용한 인버터
JP4895712B2 (ja) 多出力トランス
JP4744190B2 (ja) 多出力高圧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