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445B1 - 트랙터용 집게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집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445B1
KR100822445B1 KR1020080006944A KR20080006944A KR100822445B1 KR 100822445 B1 KR100822445 B1 KR 100822445B1 KR 1020080006944 A KR1020080006944 A KR 1020080006944A KR 20080006944 A KR20080006944 A KR 20080006944A KR 100822445 B1 KR100822445 B1 KR 100822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or
base frame
frame
rack gear
gr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복
Original Assignee
이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복 filed Critical 이창복
Priority to KR1020080006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 A01B63/108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on the front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의 로드와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 상기 커플러의 전방에 설치하면서 그 중심에 회전축을 형성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한 프런트 프레임,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전면 양측에 상호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축 결합한 한 쌍의 그립 및 상기 트랙터로부터 전달되는 유압을 통해 상기 양측 그립을 동시에 작동시키도록 설치한 한 쌍의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트랙터용 집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프런트 프레임이 더욱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그립에 밀착된 물건이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트랙터용 집게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집게장치, 그립장치

Description

트랙터용 집게장치{The straw grasping device for a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에 설치하여 물건을 잡아 올린 상태에서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한 집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전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잡아 올린 물건이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트랙터용 집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용 집게장치는 트랙터에 연결 설치하여 무거운 물건을 잡아 올리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목장이나 농가에서 베일(bale)을 옮기거나 쌓아 올리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트랙터에 설치하여 물건을 잡아 올리기 위한 집게장치에 대해서 상기 잡아 올린 물건을 360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을 제공하고, 이를 더욱 보완하고 개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트랙터용 집게장치는 물건을 잡아 올린 상태에서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회전 수단을 더욱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트랙터용 집게장치는 물건을 잡아 올리거나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물건이 쉽게 미끄러져 빠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트랙터의 로드와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 상기 커플러의 전방에 설치하면서 그 중심에 회전축을 형성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한 프런트 프레임,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전면 양측에 상호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축 결합한 한 쌍의 그립 및 상기 트랙터로부터 전달되는 유압을 통해 상기 양측 그립을 동시에 작동시키도록 설치한 한 쌍의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트랙터용 집게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프런트 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된 가이드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좌우 왕복 운동하도록 설치한 랙 기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랙 기어를 왕복 운동시키도록 설치한 실린더; 및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후방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회전축 상에 축 결합하면서 상기 랙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설치한 피니언 기어;를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양측 그립에 각각 결합하여 잡아 올린 물건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재를 형성하되,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얇은 판재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돌출되도록 형성하거나, 얇은 판재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돌출된 고무판을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트랙터용 집게장치에 의하면 랙 피니언의 구성을 통해 더욱 안정적이고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트랙터용 집게장치에 의하면 미끄럼방지부재를 통해 물건을 잡아 올리거나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물건이 쉽게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의 안전성과 편리성이 크게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트랙터용 집게장치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트랙터용 집게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트랙터용 집게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트랙터용 집게장치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트랙터용 집게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트랙터용 집게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미끄럼방지편의 실시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트랙터용 집게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트 랙터에 연결 설치하기 위한 커플러(100), 상기 커플러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200),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는 랙 기어(300), 상기 랙 기어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400),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중심에 축 결합된 상태로 상기 랙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500), 상기 피니언 기어의 전방에 고정 설치된 프런트 프레임(600),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전면 양측에 축 결합된 한 쌍의 그립(700) 및 상기 양측 그립을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실린더(8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플러(100)는 트랙터(10)의 로드(12)와 연결하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커플러(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터(10)의 전방에서 상하 작동하는 로드(12)의 끝단에 집게장치 전체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은 커플러(100)는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양측에 각각 결합하여 좌우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한다. 즉, 상기 로드(12)의 전단은 크랙터(10)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다른 폭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커플러(100)를 좌우 한 쌍으로 구획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 상에서 좌우 간격의 조절을 통해 다른 크기의 로드(12)에 대하여 간편하고 안전한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양측으로 구획된 한 쌍의 커플러(100)는 간격이 조절된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200)에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데, 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후술하는 베이스 프레임(200)의 멈춤홈(240)과 대응하여 회전을 통해 출입하는 나사식 스토퍼(120)를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은 상기 커플러(100)의 전방에 설치하면서 그 중심에 회전축(220)을 형성한다. 즉,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은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러(100)에 설치하면서 전방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사각 틀 형태로 형성하면서 그 중심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피니언 기어(500)를 축 결합할 수 있도록 회전축(22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양측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좌우 양측 커플러(10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나사식 스토퍼(120)와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 좌우로 다수개의 멈춤홈(240)을 등 간격에 각각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커플러(100)의 스토퍼(120)를 조일 때 그 끝단이 멈춤홈(240) 내부로 끼워져 좌우 유동 없이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랙 기어(3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단에 고정된 가이드(32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좌우 왕복 운동하도록 설치한다. 즉, 상기 랙 기어(300)는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단에서 좌우로 왕복 운동하도록 설치하는데, 이때 상기 랙 기어(3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 상단에 고정된 가이드(320)를 따라 지지되는 상태로 안정적으로 왕복 운동한다.
이와 같이 랙 기어(300)를 지지하는 가이드(320)는 여러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데,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랙 기어(300)의 상단을 커버하는 형태로 지지하여 후술하는 피니언 기어(500)와의 결합력을 유지하는 한편, 상호 밀착되는 랙 기어(300)의 상단에는 이동홈을 형성하고 가이드(320)의 하단에는 레일을 형성하여 랙 기어(300)가 가이드(320)로부터 전후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4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로 전후 작동하면서 상기 랙 기어(300)를 왕복 운동시키도록 설치한다. 즉, 상기 실린더(400)는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랙 기어(300)의 후방 일측에 설치한 상태로 상기 랙 기어(300)와 연결함으로써, 상기 랙 기어(300)를 좌우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5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회전축(220) 상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랙 기어(300)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피니언 기어(500)는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20) 상에서 전후로 유동 없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프런트 프레임(600)은 상기 피니언 기어(500)의 전방에 고정 설치하여 상기 피니언 기어와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한다. 즉, 상기 프런트 프레임(600)은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틀 형태로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 기어(500)의 전방에 일체로 고정한다.
상기 한 쌍의 그립(700)은 프런트 프레임(600)의 전면 양측에 상호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축 결합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그립(700)을 축 결합하기 위하여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런트 프레임(600)의 양측에 각각 상하 한 쌍의 플랜지를 돌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양측 그립(700)에는 잡아 올린 물건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재(720)를 결합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끄럼방지부재(720)의 실시 예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판재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돌출 되도록 형성하거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판재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돌출된 고무판(740)을 부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미끄럼방지부재(720)는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판재로 형성된 상태에서 그 하단이나 상단을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실린더(800)는 상기 트랙터(10)로부터 전달되는 유압을 통해 상기 양측 그립(700)을 동시에 작동시키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각 실린더(800)는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단을 프런트 프레임(600)의 양측에 각각 축 결합하고 전단을 양측 그립(700)의 외측면에 각각 축 결합한다. 즉, 상기 실린더(800)를 그립(700)의 외측에 설치하여 그립(700)이 물건을 잡을 때 물건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회전축(220)을 관통한 상태로 트랙터(10)로부터 양측 실린더(800)로 유압을 전달하기 위한 슈벨(900)을 형성한다. 즉, 상기 슈벨(900)은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트랙터(10)로부터 연결된 제1 유압 파이프(920)와 상기 양측 실린더(800)로 연결된 제2 유압 파이프(940)를 각각 결합하여 유압을 전달하도록 하되, 제2 유압 파이프(940)와 연결된 전단이 제1 유압 파이프(920)와 연결된 후단으로부터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회전 작동시 연결된 제1,2 유압 파이프(920, 940)의 꼬임을 방지한다. 물론, 상기 슈벨(900)을 설치시 후단은 회전축(220)에 고정되고 전단은 프런트 프레임(60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양측 그립(700)을 축 결합하기 위한 상하 플랜지를 연결하여 상호 지지하면서 그립(700)을 통해 잡힌 물건이 상기 슈벨(900)에 밀착되는 것을 방 지하기 위한 가로대(620)를 구성한다. 즉, 상기 가로대(620)는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한 쌍의 바(bar)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물건이 슈벨(900)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의 트랙터용 집게장치에 의하면 랙 기어(300)와 피니언 기어(500)의 구성을 통해 더욱 안정적이고 원활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그립(700)에 결합된 미끄럼방지부재(720)를 통해 물건을 잡아 올리거나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물건이 쉽게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의 안전성과 편리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트랙터용 집게장치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트랙터용 집게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트랙터용 집게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트랙터용 집게장치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트랙터용 집게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트랙터용 집게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미끄럼방지편의 실시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트랙터 12: 로드
100: 커플러 120: 스토퍼
200: 베이스 프레임 220: 회전축
240: 멈춤홈 300: 랙 기어
320: 가이드 400: 실린더
500: 피니언 기어 600: 프런트 프레임
620: 가로대 700: 그립
720: 미끄럼방지부재 740: 고무판
800: 실린더 900: 슈벨
920: 제1 유압 파이프 940: 제2 유압 파이프

Claims (3)

  1. 트랙터의 로드와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 상기 커플러의 전방에 설치하면서 그 중심에 회전축을 형성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한 프런트 프레임,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전면 양측에 상호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축 결합한 한 쌍의 그립 및 상기 트랙터로부터 전달되는 유압을 통해 상기 양측 그립을 동시에 작동시키도록 설치한 한 쌍의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트랙터용 집게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프런트 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된 가이드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좌우로 왕복 운동하도록 설치한 랙 기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랙 기어를 왕복 운동시키도록 설치한 실린더; 및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후방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회전축 상에 축 결합하면서 상기 랙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설치한 피니언 기어;를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집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그립에 각각 결합하여 잡아 올린 물건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재를 형성하되,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얇은 판재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집게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그립에 각각 결합하여 잡아 올린 물건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재를 형성하되,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얇은 판재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돌출된 고무판을 부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집게장치.
KR1020080006944A 2008-01-23 2008-01-23 트랙터용 집게장치 KR100822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944A KR100822445B1 (ko) 2008-01-23 2008-01-23 트랙터용 집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944A KR100822445B1 (ko) 2008-01-23 2008-01-23 트랙터용 집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445B1 true KR100822445B1 (ko) 2008-04-16

Family

ID=39571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944A KR100822445B1 (ko) 2008-01-23 2008-01-23 트랙터용 집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44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962B1 (ko) * 2009-11-19 2012-01-20 대한민국 유실수용 진동식 수확기
CN103043567A (zh) * 2012-12-26 2013-04-17 江南大学 一种液压式三向旋转工作门架
KR101426868B1 (ko) * 2012-04-10 2014-08-06 김문수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
KR101426865B1 (ko) * 2012-06-11 2014-08-06 김문수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
KR101575675B1 (ko) * 2014-03-06 2015-12-08 오거토탈 주식회사 신축로드 유압 클램프장치
KR101575672B1 (ko) * 2014-03-04 2015-12-08 오거토탈 주식회사 지반 굴착기용 반회전 유압 하부오거
CN109335999A (zh) * 2018-09-14 2019-02-15 同济大学 轻型搬运小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519Y1 (ko) * 1987-09-16 1990-04-28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포오크 리프트의 회전 포오크
KR19980071881A (ko) * 1998-04-04 1998-10-26 양대근 지게차용 포크장치
KR100533066B1 (ko) 2003-12-31 2005-12-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
KR100618757B1 (ko) 2005-11-18 2006-09-01 주식회사 명성금속 지게차에 설치되는 클램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519Y1 (ko) * 1987-09-16 1990-04-28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포오크 리프트의 회전 포오크
KR19980071881A (ko) * 1998-04-04 1998-10-26 양대근 지게차용 포크장치
KR100533066B1 (ko) 2003-12-31 2005-12-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
KR100618757B1 (ko) 2005-11-18 2006-09-01 주식회사 명성금속 지게차에 설치되는 클램핑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962B1 (ko) * 2009-11-19 2012-01-20 대한민국 유실수용 진동식 수확기
KR101426868B1 (ko) * 2012-04-10 2014-08-06 김문수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
KR101426865B1 (ko) * 2012-06-11 2014-08-06 김문수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
CN103043567A (zh) * 2012-12-26 2013-04-17 江南大学 一种液压式三向旋转工作门架
KR101575672B1 (ko) * 2014-03-04 2015-12-08 오거토탈 주식회사 지반 굴착기용 반회전 유압 하부오거
KR101575675B1 (ko) * 2014-03-06 2015-12-08 오거토탈 주식회사 신축로드 유압 클램프장치
CN109335999A (zh) * 2018-09-14 2019-02-15 同济大学 轻型搬运小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445B1 (ko) 트랙터용 집게장치
JP2008516697A5 (ko)
WO2009055590A3 (en) Pipe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0008151A3 (ko) 이동 작업차용 로더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및 그 장착장치가 설치된 로더
KR100846564B1 (ko) 트랙터용 집게장치
KR101582325B1 (ko) 비닐하우스 철거장치
US1151012A (en) Auxiliary lifting-handle for shovels.
CA2646702A1 (en) Sectional fence assembly
WO2005108221A3 (en) Gripping device for use on a paint receptacle, in particular a tin of paint
US3710427A (en) Collar puller for metal pipe
KR20120108846A (ko) 트랙터용 집게장치
KR20100116418A (ko) 트랙터용 써레
KR100906036B1 (ko)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US9097071B1 (en) Tong arm assembly with floating jaw
US20140147232A1 (en) Bale handling
US6939099B1 (en) Hook attachment device
KR101304519B1 (ko) 트랙터용 써레 장착대
KR101715918B1 (ko) 베일집게
CA2646997A1 (en) Force multiplying handle mechanism for a bar clamp
KR101524835B1 (ko) 베일집게
CN204250777U (zh) 一种筛板结构及输送板链及板链输送机
KR20100131316A (ko) 농기계용 그립장치
US20140291949A1 (en) Device and Method to Move a Bale of Agricultural Material
FR2621214A1 (fr) Pince de manutention rotative
KR200446713Y1 (ko) 트랙터용 집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