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868B1 -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868B1
KR101426868B1 KR1020120037319A KR20120037319A KR101426868B1 KR 101426868 B1 KR101426868 B1 KR 101426868B1 KR 1020120037319 A KR1020120037319 A KR 1020120037319A KR 20120037319 A KR20120037319 A KR 20120037319A KR 101426868 B1 KR101426868 B1 KR 101426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machine
rotary
rotating
detachable
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4903A (ko
Inventor
김문수
Original Assignee
김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수 filed Critical 김문수
Priority to KR1020120037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868B1/ko
Publication of KR20130114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01B59/06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for connection to the front of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 A01B63/108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on the front par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10)의 로더(20)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110)와; 상기 결합부재(1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의 전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회전몸체(140)와; 상기 회전몸체(1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30)와; 작업기(30)의 일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160)와; 상기 회전몸체(140)의 양측에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160)를 고정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탈착부재(150)가 포함되는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작업기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작업기를 원활하게 탈착하여 작업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공간 및 위치에 따라서 작업기를 회전시켜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Device coupling rotary for tractor instrument}
본 발명은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기능을 갖는 작업기를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작업기를 원활하게 탈착시켜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는 트랙터의 로더에 설치되어 베일집게, 버켓, 톤백걸이, 운반포크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갖는 작업기를 탈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1213호(2010.09.10),제10-1102517호(2012.01.05),제10-1102516호(2012.01.05),제10-1102515호(2012.01.03)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6471호(2006.05.15),제20-0413756호(2006.04.13),제20-0413755호(2006.04.13)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5670호(2010.03.10),제10-2011-0134344호(2011.12.14),제10-2011-0077401호(2011.07,07)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작업기를 탈착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작업기를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없으므로 작업성이 제한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베일집게와 같은 작업기의 경우에는 베일을 쌓는 과정에서 안정성을 위해서 베일의 단면이 수직방향으로 보이도록 쌓아야 하는데, 종래에는 베일을 집은 상태의 작업기가 회전할 수 없으므로 일일이 베일을 바닥에 놓아서 회전시킨 후 다시 집어서 쌓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한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버켓과 같은 작업기의 경우에는 내부에 퍼담은 운반물을 남김없이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버켓이 뒤집어져야 하는데, 종래에는 버켓이 전방으로 일정각도로만 기울어지므로 버켓의 내부에 운반물을 모두 배출할 수 없는 구조상의 한계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작업기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랙터의 로더에 다양한 기능을 갖는 작업기를 원활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는,
트랙터(10)의 로더(20)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110)와; 상기 결합부재(1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의 전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회전몸체(140)와; 상기 회전몸체(1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30)와; 작업기(30)의 일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160)와; 상기 회전몸체(140)의 양측에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160)를 고정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탈착부재(15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110)는 로더(20)에 결합하기 위해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의 통공(112)이 형성되는 몸체(111)와; 상기 몸체(111)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20)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121)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지지구(113,1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본체(120)의 전면에는 다수의 롤러(123)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몸체(140)의 후면에 맞닿아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130)는 상기 본체(120)의 상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31)와; 상기 유압실린더(13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구동기어(132)와; 상기 구동기어(132)와 맞물린 상태로 상기 본체(120)의 전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몸체(140)의 후면에 결합되는 회전기어(1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120)의 상부 일측에는 지지브라켓(17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171)의 상부에는 조절나사(172)가 나선결합되며, 상기 조절나사(172)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기어(132)의 상부면에 맞닿도록 지지구(17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탈착부재(150)는 상부에는 걸림구(15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결합공(153)이 구비되며 일측면에는 관통공(156)이 형성되는 탈착몸체(151)와; 상기 탈착몸체(151)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53)을 관통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정축(154)과; 상기 고정축(154)의 외측에 설치되는 손잡이(155)와; 상기 탈착몸체(151)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고정축(154)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보조몸체(157)와; 상기 고정축(154)의 중간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핀(159)과; 상기 고정축(154)의 외경에 삽입된 상태로 일측은 상기 보조몸체(157)의 일측면에 맞닿고 타측은 상기 고정핀(159)과 맞닿도록 스프링(15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연결부재(160)는 작업기(30)의 일측에 설치되며 후방 상부에는 걸림홈(16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고정공(163)이 구비되는 연결몸체(16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몸체(161)의 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의 결합공(164,16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작업기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작업기를 원활하게 탈착하여 작업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공간 및 위치에 따라서 작업기를 회전시켜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연결부재와 탈착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연결부재와 탈착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트랙터(10)의 로더(20)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110)와; 상기 결합부재(1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의 전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회전몸체(140)와; 상기 회전몸체(1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30)와; 작업기(30)의 일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160)와; 상기 회전몸체(140)의 양측에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160)를 고정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탈착부재(150)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결합부재(110)는 제조사별로 넓이가 상이한 로더(20)의 규격에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의 통공(112)이 형성되는 몸체(111)와; 상기 몸체(111)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20)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121)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지지구(113,114)로 구성된다.
따라서 로더(20)의 규격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21)을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결합부재(110)의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공(112)은 로더(20)의 규격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특히 상기 지지구(113,114)는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상기 가이드프레임(121)이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구(113)의 상부에는 고정볼트가 나선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121)의 표면을 압착시켜 상기 몸체(111)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20)의 양측에는 가이드프레임(12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1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중간 전면에는 회전축(122)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재(130)의 회전기어(133)가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122)의 선단에는 고정너트(123)가 나선결합되어 상기 회전기어(13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20)의 전면에는 판재형상의 상기 회전몸체(140)의 후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다수의 롤러(123)가 형성되어 구름운동을 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회전몸체(14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롤러(123)가 상기 회전몸체(140)의 후면에 맞닿아 지지하면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130)는 상기 본체(120)의 상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31)와; 상기 유압실린더(131)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구동기어(132)와; 상기 구동기어(132)와 맞물린 상태로 상기 본체(120)의 전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몸체(140)의 후면에 결합되는 회전기어(133)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압실린더(131)는 양측에 로드가 형성된 형태로 상기 로드는 상기 본체(120)의 상부 양측에 고정된 상태로 유압실린더(131)를 작동시킬 경우 유압실린더(131)의 튜브(몸체)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튜브는 상기 구동기어(132)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유압실린더(131)의 작동과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132)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131)의 작동과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132)가 이동할 경우 상기 구동기어(132)와 맞물린 상태인 회전기어(133)가 회전하면서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몸체(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12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구동기어(132)와 맞닿은 상태로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지지부재(170)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20)의 상부 일측에는 지지브라켓(17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171)의 상부에는 조절나사(172)가 나선결합되며, 상기 조절나사(172)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기어(132)의 상부면에 맞닿도록 지지구(17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구(173)는 상기 구동기어(132)와 맞닿은 상태에서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합성수지 또는 연질의 동합금으로 제작하였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조절나사(172)는 회전시켜 상기 지지구(173)가 구동기어(132)와 맞닿은 밀착력을 조절하여 상기 구동기어(132)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부방향으로 상승하지 않도록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회전몸체(140)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프레임(141)이 형성되어 상기 탈착부재(15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탈착부재(150)는 상기 연결부재(160)를 고정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손쉽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는 걸림구(15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결합공(153)이 구비되며 일측면에는 관통공(156)이 형성되는 탈착몸체(151)와; 상기 탈착몸체(151)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53)을 관통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정축(154)과; 상기 고정축(154)의 외측에 설치되는 손잡이(155)와; 상기 탈착몸체(151)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고정축(154)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보조몸체(157)와; 상기 고정축(154)의 중간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핀(159)과; 상기 고정축(154)의 외경에 삽입된 상태로 일측은 상기 보조몸체(157)의 일측면에 맞닿고 타측은 상기 고정핀(159)과 맞닿도록 스프링(158)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탈착몸체(151)의 상부에는 고정볼트가 나선결합되어 상기 회전몸체(140)의 표면을 압착시켜 상기 탈착몸체(151)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구(152)는 상기 연결부재(160)의 걸림홈(162)에 끼워져 지지력을 확보하고, 상기 결합공(153)은 상기 고정축(154)이 관통되거나 또는 이탈되도록 유도하여 상기 탈착부재(150)와 연결부재(160)를 서로 탈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155)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고정축(154)이 상기 결합공(153)과 상기 연결부재(160)의 고정공(163)을 동시에 관통하거나 또는 이탈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56)은 상기 손잡이(155)가 내부에 관통되도록 유도하여 상기 고정축(154)이 상기 결합공(153)과 고정공(163)을 동시에 관통할 수 있도록 이동거리를 확보하고, 반대로 상기 손잡이(155)가 상기 관통공(156)을 이탈하여 상기 탈착몸체(151)의 일측면에 맞닿을 경우 더 이상 이동하지 않으므로 상기 고정축(154)이 상기 결합공(153)과 고정공(163)을 동시에 관통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탈착부재(150)와 연결부재(160)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프링(158)은 압축복원력을 발생시켜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155)를 잡고 내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고정축(154)이 쉽게 상기 결합공(153)과 고정공(163)을 관통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159)은 상기 손잡이(155)를 외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스프링(158)과 맞닿아 압축시키고, 반대로 상기 손잡이(155)가 내측으로 이동할 경우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도록 스톱퍼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160)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갖는 작업기(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탈착부재(150)의 작동으로 원활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는 작업기(30)의 일측에 설치되며 후방 상부에는 걸림홈(16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고정공(163)이 구비되는 연결몸체(161)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몸체(161)의 일측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일집게, 버켓, 톤백걸이, 운반포크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갖는 작업기(30)에 설치될 수 있도록 형태가 달라지는 것은 당연하다.
특히 상기 연결몸체(161)의 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의 결합공(164,165)이 형성되어 작업기(30)의 규격에 따라서 설치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162)은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고리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는 상기 걸림구(152)가 내부에 걸리도록 유도함으로써 작업기(3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재(130)의 작동으로 상기 회전몸체(140)와 연결부재(160) 및 탈착부재(150)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부재(160)에 설치되는 작업기(30)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트랙터 20: 로더
30: 작업기
100: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
110: 결합부재 111: 몸체
112: 통공 113,114: 지지구
120: 본체 121: 가이드프레임
123: 고정너트 122: 회전축
123: 롤러
130: 구동부재 131: 유압실린더
132: 구동기어 133: 회전기어
140: 회전몸체 141: 프레임
150: 탈착부재 151: 탈착몸체
152: 걸림구 153: 결합공
154: 고정축 155: 손잡이
156: 관통공 157: 보조몸체
158: 스프링 159: 고정핀
160: 연결부재 161: 연결몸체
162: 걸림홈 163: 고정공
164,165: 결합공
170: 지지부재 171: 지지브라켓
172: 조절나사 173: 지지구

Claims (8)

  1. 트랙터(10)의 로더(20)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110)와; 상기 결합부재(1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의 전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회전몸체(140)와; 상기 회전몸체(1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30)와; 작업기(30)의 일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160)와; 상기 회전몸체(140)의 양측에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160)를 고정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탈착부재(150)가 포함되되, 상기 탈착부재(150)는 상부에는 걸림구(15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결합공(153)이 구비되며 일측면에는 관통공(156)이 형성되는 탈착몸체(151)와; 상기 탈착몸체(151)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53)을 관통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정축(154)과; 상기 고정축(154)의 외측에 설치되는 손잡이(155)와; 상기 탈착몸체(151)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고정축(154)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보조몸체(157)와; 상기 고정축(154)의 중간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핀(159)과; 상기 고정축(154)의 외경에 삽입된 상태로 일측은 상기 보조몸체(157)의 일측면에 맞닿고 타측은 상기 고정핀(159)과 맞닿도록 스프링(15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110)는 로더(20)에 결합하기 위해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의 통공(112)이 형성되는 몸체(111)와; 상기 몸체(111)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20)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121)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지지구(113,1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20)의 전면에는 다수의 롤러(123)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몸체(140)의 후면에 맞닿아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130)는 상기 본체(120)의 상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31)와; 상기 유압실린더(131)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구동기어(132)와; 상기 구동기어(132)와 맞물린 상태로 상기 본체(120)의 전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몸체(140)의 후면에 결합되는 회전기어(1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20)의 상부 일측에는 지지브라켓(17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171)의 상부에는 조절나사(172)가 나선결합되며, 상기 조절나사(172)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기어(132)의 상부면에 맞닿도록 지지구(17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60)는 작업기(30)의 일측에 설치되며 후방 상부에는 걸림홈(16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고정공(163)이 구비되는 연결몸체(16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몸체(161)의 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의 결합공(164,16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
KR1020120037319A 2012-04-10 2012-04-10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 KR101426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319A KR101426868B1 (ko) 2012-04-10 2012-04-10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319A KR101426868B1 (ko) 2012-04-10 2012-04-10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903A KR20130114903A (ko) 2013-10-21
KR101426868B1 true KR101426868B1 (ko) 2014-08-06

Family

ID=49634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319A KR101426868B1 (ko) 2012-04-10 2012-04-10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8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755Y1 (ko) 2006-01-10 2006-04-13 김문수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KR100822445B1 (ko) * 2008-01-23 2008-04-16 이창복 트랙터용 집게장치
KR100846564B1 (ko) 2008-01-23 2008-07-15 이창복 트랙터용 집게장치
KR100906036B1 (ko) * 2008-12-04 2009-07-02 이리중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755Y1 (ko) 2006-01-10 2006-04-13 김문수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KR100822445B1 (ko) * 2008-01-23 2008-04-16 이창복 트랙터용 집게장치
KR100846564B1 (ko) 2008-01-23 2008-07-15 이창복 트랙터용 집게장치
KR100906036B1 (ko) * 2008-12-04 2009-07-02 이리중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903A (ko) 2013-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4692B2 (ja) 播種機
DE102018008073A1 (de) Kettensäge
EP1825941A2 (en) Bar gripper for bar feeder
DE102004019776A1 (de) Handwerkzeugmaschine, insbesondere Bohr- und/oder Schlaghammer
DE102017126326A1 (de) Schneidvorrichtung
CN109027554B (zh) 一种农业机械设备的监控装置
DE112017005134T5 (de) Tischschneidvorrichtung
DE102017126324A1 (de) Schneidvorrichtung
CA2951807C (en) An improved wall or floor saw
KR101426868B1 (ko)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
KR101426865B1 (ko)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
KR101544205B1 (ko) 각도 조절식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JP5828148B2 (ja) 播種機
JP5938795B2 (ja) 播種機
CN105692316A (zh) 推平效果好的码布机
CN202799661U (zh) 一种联合收割机的遮阳棚
CN216327815U (zh) 一种试验装置夹持机构
KR200387860Y1 (ko) 판재재단기의 조기대장치
JP5609549B2 (ja) スクリーン装置
KR101745613B1 (ko) 로프 정리기
KR101953598B1 (ko) 휴대용 전기톱
JP5401914B2 (ja) プレス機械
CN108013886B (zh) 一种乳腺机及其滤线栅安装组件
CN211360317U (zh) 废料滑板组件及使用该废料滑板组件的冲压模具
CN216613021U (zh) 加工装置及应用其的加工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