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598B1 - 휴대용 전기톱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기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598B1
KR101953598B1 KR1020170067191A KR20170067191A KR101953598B1 KR 101953598 B1 KR101953598 B1 KR 101953598B1 KR 1020170067191 A KR1020170067191 A KR 1020170067191A KR 20170067191 A KR20170067191 A KR 20170067191A KR 101953598 B1 KR101953598 B1 KR 101953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side plate
pulley
cu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0936A (ko
Inventor
정병태
Original Assignee
유니월드오토테크 주식회사
정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월드오토테크 주식회사, 정병태 filed Critical 유니월드오토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7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598B1/ko
Priority to PCT/KR2018/006074 priority patent/WO2018221927A1/ko
Publication of KR20180130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17/00Chain saws; Equipment therefor
    • B27B17/0016Devices to adapt the chain saw for other purposes, e.g. dr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9/00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ight reciprocating saw blades, e.g. hacksaws
    • B23D49/10Hand-held or hand-operated sawing devices with straight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1/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 B23D51/16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drives or feed mechanisms for straight tools, e.g. saw blades, or b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19/00Other reciprocating saws with power drive; Fret-s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9/00Gripping, clamping, or holding devices for the trunk or log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Travelling trunk or log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7/00Wood-turning machines; Equipment therefor
    • B27C7/06Arrangements for guiding or supporting the tool, e.g. tool re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awing (AREA)

Abstract

절단 대상물의 전후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전기톱으로서, 전체적으로 하측 중앙부가 개방된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하측이 개방된 중앙 개방부를 포함하는, 골격부; 절단톱의 전단부 및 후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절단톱이 상기 골격부의 하측에서 전후로 왕복운동하도록 안내하는 절단톱 안내부; 상기 절단톱 안내부에 결합된 상기 절단톱에 소정의 인장력을 가하는 동시에 상기 절단톱을 전후로 왕복시키기 위한 힘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절단톱을 전후로 왕복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동력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절단톱 안내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로 전달하는 동력변환부; 상기 골격부의 상측 후방부에 설치되는 주 손잡이부; 상기 골격부의 상측 일측면에 상기 골격부와 수직하게 설치되는 보조 손잡이부; 상기 중앙 개방부 내에서 전후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절단대상물의 전면부를 지지하면서 절단 대상물의 절단 정도에 따라 함께 상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 및 상기 중앙 개방부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절단 대상물의 후면부를 지지하면서 절단 대상물의 절단 정도에 따라 함께 상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함으로써, 작업 전에 절단 대상물을 일일이 고정하지 않아도 충분한 정밀도가 확보될 수 있고 작업시간 및 작업공정이 줄어들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기톱{Portable Electric Saw}
본 발명은 휴대용 전기톱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유동방지 안내대를 구비하여 절단톱에 의해 절단 대상물이 절단되는 동안에 절단 대상물이 전후로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전기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단톱은 목재나 금속재 등과 같은 가공물을 절단하여 구멍을 뚫거나 곡선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이용하는 절단기구의 한 종류로서, 이 절단톱은 길이가 길고 가늘어 손으로 잡고 작업하기 어려워 자체만으로는 가공물을 자를 수가 없어 홀더를 이용하여 절단작업을 수행한다.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이, 절단톱홀더(100)는, 하우징의 양단에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그 사이에 일정간격을 공간부를 갖는 절곡부(110), 절곡부(11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대상물을 절단하는 절단톱(120), 및 절곡부(110)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절단작업의 과정에서 손으로 잡는 손잡이(13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절단톱홀더(100)에 의해 대상물을 절단하려는 경우, 절곡부(110)의 사이공간에 원하는 형태의 절단톱(120)을 결합한 상태에서, 손잡이(130)를 손으로 잡고 왕복이동시키면, 절단톱(120)이 전후진을 반복하므로 가공물이 절단되는 것이다.
그런데, 절단톱홀더(100)는 절단톱(120)을 지지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뿐 절단톱홀더(100)에 의한 일련의 절단작업공정을 수작업으로만 수행하므로, 대상물의 절단에 따른 작업시간 및 작업공정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절단톱홀더(100)에 의한 작업과정이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절단톱(120)에 의한 절단작업의 정밀성이 저하되어 절단작업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절단 대상물이 지지대 등에 튼튼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절단톱(120)에 의한 절단 과정에서 절단톱(120)과 대상물 사이의 저항력에 의해 대상물이 전후로 움직이게 되어 작업의 정밀도가 더욱 저하되게 되는바 작업 전에 절단 대상물을 일일이 고정해야 하는데, 의료용으로 절단톱을 사용할 때와 같이 대상물의 강제 고정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종종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7603호(공개일자 2010년 03월 11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1182호(공개일자 2012년 01월 04일)
특허문헌 1은 무한궤도벨트를 이용한 간단한 방식에 의해 톱날이 왕복운동 되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절단 성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치에 설치하여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톱을 제안한 바 있으나, 절단 대상물이 지지대 등에 튼튼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절단 과정에서 대상물이 전후로 움직이게 되어 작업의 정밀도가 더욱 저하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2는 절단톱의 절단작업에 따른 각종 작업과정을 자동화하여 절단작업의 편리성을 향상함은 물론 절단작업의 공정을 줄이고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동톱을 제안한 바 있으나, 지지다이에 대하여 왕복이동되는 구동기구와, 물품고정수단이 구비된 보호기구 등을 포함하는바, 부피 및 중량이 커져서 작업자가 들고 작업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방지 안내대를 구비하여 절단톱에 의해 절단 대상물이 절단되는 동안에 절단 대상물이 전후로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전기톱을 제공하여, 작업 전에 절단 대상물을 일일이 고정하지 않아도 충분한 정밀도가 확보될 수 있게 하고 작업시간 및 작업공정이 줄어들 수 있게 하는데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들고 절단작업을 하면서도 충분한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어 신뢰성이 증대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단 대상물의 전후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전기톱으로서, 전체적으로 하측 중앙부가 개방된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하측이 개방된 중앙 개방부를 포함하는, 골격부; 절단톱의 전단부 및 후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절단톱이 상기 골격부의 하측에서 전후로 왕복운동하도록 안내하는 절단톱 안내부; 상기 절단톱 안내부에 결합된 상기 절단톱에 소정의 인장력을 가하는 동시에 상기 절단톱을 전후로 왕복시키기 위한 힘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절단톱을 전후로 왕복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동력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절단톱 안내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로 전달하는 동력변환부; 상기 골격부의 상측 후방부에 설치되는 주 손잡이부; 상기 골격부의 상측 일측면에 상기 골격부와 수직하게 설치되는 보조 손잡이부; 상기 중앙 개방부 내에서 전후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절단대상물의 전면부를 지지하면서 절단 대상물의 절단 정도에 따라 함께 상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 및 상기 중앙 개방부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절단 대상물의 후면부를 지지하면서 절단 대상물의 절단 정도에 따라 함께 상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골격부는, 상측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프레임; 전방 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프레임; 후방 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프레임; 상기 상측 프레임의 전방부 및 상기 전방 프레임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전방 측판; 및 상기 상측 프레임의 후방부 및 상기 후방 프레임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후방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측판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전방 하단 막음부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 측판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후방 하단 막음부가 구비되며, 상기 주 손잡이부는 상기 후방 프레임의 상측 후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 손잡이부는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측면에 상기 골격부와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 측판의 내측에 설치 고정되는 제 1 수직 가이드봉; 상기 후방 측판의 내측에 설치 고정되는 제 2 수직 가이드봉; 상기 제 1 수직 가이드봉의 상단부와 상기 제 2 수직 가이드봉의 상단부 사이에 설치 고정되는 제 1 수평 가이드봉;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단부는 상기 제 1 수평 가이드봉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전방 측판의 내측에 설치 고정된 지지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봉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후 위치 조절 수직부재; 상기 제 1 수직 가이드봉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이동부재와 상기 제 2 수직 가이드봉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이동부재 사이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전후 위치 조절 수직부재와는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 2 수평 가이드봉; 및 상기 제 2 수평 가이드봉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후 위치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제 3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의 상단부는 상기 제 3 이동부재에 결합 고정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는 상기 전후 위치 조절 수직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의 상단부는 상기 제 2 이동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 및 상기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 각각에는 상기 절단톱이 걸림없이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 슬릿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단톱 안내부는, 상기 절단톱의 전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절단톱 전단부 결합부재; 상기 전방 측판의 내측에 설치 고정된 전방 리니어 베어링;
상기 절단톱의 후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절단톱 후단부 결합부재; 및 상기 후방 측판의 내측에 설치 고정된 후방 리니어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절단톱 전단부 결합부재는 상기 전방 리니어 베어링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절단톱 후단부 결합부재는 상기 후방 리니어 베어링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전방 측판의 상측 전방 코너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풀리; 상기 전방 측판의 하측 전방 코너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풀리; 상기 후방 측판의 상측 후방 코너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3 풀리; 상기 후방 측판의 하측 후방 코너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4 풀리; 상기 제 1 풀리, 상기 제 2 풀리, 상기 제 3 풀리 및 상기 제 4 풀리에 걸리도록 설치되고, 일단부는 상기 절단톱 전단부 결합부재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절단톱 후단부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일부분에 결합 설치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제 1 줄 고정 조인트를 매개로 하여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제 1 결합부재; 제 2 줄 고정 조인트를 매개로 하여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제 2 결합부재; 및 상기 제 1 결합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결합부재에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장력 조절용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공진 현상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일부분에 결합 설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 변환부는 상기 후방 측판의 하측 후방 코너부 내측에 설치 고정되며, 상기 동력 변환부의 일측에는 상기 모터부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후방 측판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왕복운동하는 상기 동력 연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동력 연결부재의 단부는 상기 절단톱 후단부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 손잡이부는, 상기 주 손잡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모터부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메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손잡이부는, 상기 골격부의 상측 일측면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기톱에 의하면, 작업 전에 절단 대상물을 일일이 고정하지 않아도 충분한 정밀도가 확보될 수 있고 작업시간 및 작업공정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작업자가 들고 절단작업을 하면서도 충분한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어 신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절단톱 홀더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기톱의 측면도,
도 3은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휴대용 전기톱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 및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를 하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휴대용 전기톱의 측면도,
도 5는 도3의 상태를 하측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휴대용 전기톱의 하측 사시도,
도 6은 장력조절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기톱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기톱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휴대용 전기톱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 및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를 하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휴대용 전기톱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3의 상태를 하측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휴대용 전기톱의 하측 사시도이며, 도 6은 장력조절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된 휴대용 전기톱(1)을 기준으로 보면, 도면의 좌측 방향은 전방이 되고, 도면의 우측 방향은 후방이 되며, 도면의 전면부로 나오는 방향은 좌측 방향이 되고, 도면의 하면부로 나가는 방향은 우측 방향이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휴대용 전기톱(1)을 기준으로 하는 방향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기톱(1)은 골격부(10), 절단톱 안내부, 동력전달부, 모터부(40), 동력변환부(50), 주 손잡이부(60), 보조 손잡이부(70),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 및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골격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기톱(1)의 전체적인 외관 및 골격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전체적으로 하측 중앙부가 개방된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중앙 개방부(11), 상측 프레임(12), 전방 프레임(13), 후방 프레임(14), 전방 측판(15), 전방 하단 막음부(16), 후방 측판(17) 및 후방 하단 막음부(18)를 포함한다.
상측 프레임(12)은 골격부(10)의 상측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부재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좌측판 부재와 우측판 부재가 다수의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구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구조적인 강도 향상을 위해서는 사각 파이프 형상의 부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 프레임(12)의 전방 단부 아래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방 프레임(13)이 구비되며, 전방 프레임(13)도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사각 파이프 형상의 부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측 프레임(12)의 전방부 및 전방 프레임(13)의 일측면에는 전방 측판(15)이 결합 고정되며, 전방 측판(15)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전방 하단 막음부(16)가 구비된다.
상측 프레임(12)의 후방 단부 아래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방 프레임(14)이 구비되며, 후방 프레임(14)도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사각 파이프 형상의 부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측 프레임(12)의 후방부 및 후방 프레임(14)의 일측면에는 후방 측판(17)이 결합 고정되며, 후방 측판(17)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후방 하단 막음부(18)가 구비된다.
이러한 전방 측판(15)과 후방 측판(17) 사이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중앙 개방부(11)가 형성되게 되고, 중앙 개방부(11)의 하측을 가로지르도록 절단톱(3)이 설치되어 왕복하게 되며, 절단 대상물은 절단톱(3) 하측의 절단치에 의해 절단되면서 중앙 개방부(11) 내로 이동되게 된다.
절단톱 안내부는 절단톱(3)의 전단부 및 후단부와 결합되어 절단톱(3)이 골격부(10)의 하측에서 전후로 왕복운동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서, 절단톱 전단부 결합부재(21), 전방 리니어 베어링(22), 절단톱 후단부 결합부재(23) 및 후방 리니어 베어링(24)을 포함한다.
절단톱 전단부 결합부재(21)는 절단톱(3) 전단부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전방 측판(15)의 내측에 설치 고정되는 전방 리니어 베어링(22)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절단톱 후단부 결합부재(23)는 절단톱(3)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후방 측판(17)의 내측에 설치 고정되는 후방 리니어 베어링(24)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동력전달부는 절단톱 안내부에 결합된 절단톱(3)에 소정의 인장력을 가하는 동시에 절단톱(3)을 전후로 왕복시키기 위한 힘을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서, 제 1 풀리(31), 제 2 풀리(32), 제 3 풀리(33), 제 4 풀리(34), 동력전달부재(35) 및 장력조절부(36)를 포함한다.
제 1 풀리(31)는 전방 측판(15)의 상측 전방 코너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 풀리(32)는 전방 측판(15)의 하측 전방 코너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3 풀리(33)는 후방 측판(17)의 상측 후방 코너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4 풀리(34)는 후방 측판(17)의 하측 후방 코너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동력전달부재(35)는 제 1 풀리(31), 제 2 풀리(32), 제 3 풀리(33) 및 제 4 풀리(34)에 걸려 방향이 바뀌면서 이동되는 선형 부재로서 충분한 강도를 갖는 와이어 또는 체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동력전달부재(35)의 일단부는 절단톱 전단부 결합부재(21)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절단톱 후단부 결합부재(23)에 결합되며 그 사이의 부분은 제 1 풀리(31), 제 2 풀리(32), 제 3 풀리(33) 및 제 4 풀리(34)에 걸리도록 설치된다.
한편, 동력전달부재(35)로서 체인이 사용될 경우에는 제 1 풀리(31), 제 2 풀리(32), 제 3 풀리(33) 및 제 4 풀리(34) 각각의 대신에 적절한 스프로킷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장력조절부(36)는 동력전달부재(35)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동력전달부재(35)의 일부분에 결합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제 1 결합부재(37a), 제 2 결합부재(37b) 및 장력 조절용 볼트(38)를 포함한다.
제 1 결합부재(37a)는 제 1 줄 고정 조인트(361a)를 매개로 하여 동력전달부재(35)에 결합 고정되는 부재이고, 제 2 결합부재(37b)는 제 2 줄 고정 조인트(361b)를 매개로 하여 동력전달부재(35)에 결합 고정되는 부재이며, 한 쌍의 장력 조절용 볼트(38)는 제 1 결합부재(37a)를 관통하여 제 2 결합부재(37b)에 나사 결합되는 부재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결합부재(37a)의 중앙부에는 제 1 줄 고정 조인트(361a)가 삽입 설치되는 제 1 조인트 설치공(362a)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장력 조절용 볼트(38)가 관통 설치되는 한 쌍의 볼트 관통공(363a)이 형성되며, 상면 중앙부에는 제 1 나사 결합공(364a)이 형성된다.
따라서, 일단부에 동력전달부재(35)가 결합 고정되는 제 1 줄 고정 조인트(361a)를 제 1 조인트 설치공(362a)에 삽입 설치한 후, 제 1 조인트 고정 나사(365a)를 제 1 나사 결합공(364a)에 결합시켜 조임으로써 제 1 줄 고정 조인트(361a)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 2 결합부재(37b)의 중앙부에는 제 2 줄 고정 조인트(361b)가 삽입 설치되는 제 2 조인트 설치공(362b)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장력 조절용 볼트(38)가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볼트 결합공(363b)이 형성되며, 상면 중앙부에는 제 2 나사 결합공(364b)이 형성된다.
따라서, 일단부에 동력전달부재(35)가 결합 고정되는 제 2 줄 고정 조인트(361b)를 제 2 조인트 설치공(362b)에 삽입 설치한 후, 제 2 조인트 고정 나사(365b)를 제 2 나사 결합공(364b)에 결합시켜 조임으로써 제 2 줄 고정 조인트(361b)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에, 한 쌍의 장력 조절용 볼트(38)를 제 1 결합부재(37a)의 볼트 관통공(363a)으로 관통시켜 제 2 결합부재(37b)의 볼트 결합공(363b)에 나사결합시킨 후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써 동력전달부재(35)에 걸리는 초기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장력 조절용 볼트(38)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로크너트가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장력의 조절 후에 제 2 결합부재(37b) 방향으로 압착력이 가해지도록 로크너트를 회전시켜 고정하거나 로크너트가 서로 압착되도록 회전시켜 고정함으로써, 휴대용 전기톱(1) 작동시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장력 조절용 볼트(38)가 제 2 결합부재(37b)의 볼트 결합공(363b)으로부터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장력조절부(36)에는 공진 현상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동력전달부재(35)의 일부분에 결합 설치되는 스프링(39)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동력전달부재(35)로 와이어가 사용될 경우에는 스프링(39)이 사용되지 않아도 무방하나, 동력전달부재(35)로 체인이 사용될 경우에는 스프링(39)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39)이 사용될 경우, 동력전달부재(35)에 걸리는 장력의 변화를 빠르게 안정화 시킬 수 있는 탄성계수(k)를 갖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동력전달부재(35)가 설치된 상태에서 동력전달부재(35)의 이동속도에 대한 저항력의 비인 감쇠계수(c = fc/v)를 실험으로 측정한 후, 진동 없이 가장 빠르게 정지상태로 복귀하는 임계감쇠를 얻을 수 있는 탄성계수(k)를 계산하여, 계산된 탄성계수(k)를 갖는 스프링(39)을 사용하게 된다.
감쇠 시스템의 운동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7051789798-pat00001
임계감쇠를 얻기 위해서는
Figure 112017051789798-pat00002
를 만족하여야 하는바,
Figure 112017051789798-pat00003
인 탄성계수를 갖는 스프링(39)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여기서, m은 스프링(39)을 제외한 운동 부재들의 총 질량으로서, 절단톱(3), 절단톱 전단부 결합부재(21), 절단톱 후단부 결합부재(23), 동력전달부재(35), 제 1 결합부재(37a), 제 2 결합부재(37b) 및 한 쌍의 장력 조절용 볼트(38)의 질량이 포함된다.
모터부(40)는 절단톱(3)을 전후로 왕복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소음이 적고 효율이 높으며 수명이 긴 BLDC 모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력변환부(50)는 모터부(40)의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절단톱 안내부 또는 동력전달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공지된 구성이 채용될 수 있으며, 동력연결부재(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동력변환부(50)는 후방 측판(17)의 하측 후방 코너부 내측에 설치 고정되고, 동력변환부(50)의 일측에는 모터부(40)가 설치되며, 타측에는 동력연결부재(51)가 후방 측판(17)의 내측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동력연결부재(51)의 단부는 절단톱 후단부 결합부재(23)에 결합되어 전후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주 손잡이부(60)는 사용자가 한쪽 손으로 잡고 모터부(40)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배터리부(65) 및 메인 스위치(67)를 구비한다.
배터리부(65)는 주 손잡이부(60)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부(40)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리튬이온전지 또는 리튬폴리머전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주 손잡이부(60)는 골격부(10)의 상측 후방부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후방 프레임(14)의 상측 후면부에 설치되게 된다.
보조 손잡이부(70)는 사용자가 다른 손으로 잡고 휴대용 전기톱(1)을 지지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골격부(10)의 상측 일측면에 골격부(10)와 수직하게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측 프레임(12)의 일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골격부(10)의 상측 일측면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는 중앙 개방부(11) 내에서 전후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절단대상물의 전면부를 지지하면서 절단 대상물의 절단 정도에 따라 함께 상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부재이며,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90)는 중앙 개방부(11)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절단 대상물의 후면부를 지지하면서 절단 대상물의 절단 정도에 따라 함께 상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부재이다.
이하에서는,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의 전후 위치가 조절된 후 고정되어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90)와 함께 상하로 슬라이딩 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수직 가이드봉(81)과 제 2 수직 가이드봉(83)은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 및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9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 1 수직 가이드봉(81)은 전방 측판(15)의 내측에 수직으로 설치 고정되며, 제 2 수직 가이드봉(83)은 후방 측판(17)의 내측에 설치 고정된다.
그리고, 제 1 수직 가이드봉(81)에는 제 1 이동부재(82)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 수직 가이드봉(83)에는 제 2 이동부재(84)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 이동부재(84)에는 제 2 이동부재(84)를 제 2 수직 가이드봉(83)에 대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나비볼트 등의 상하 위치 고정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제 1 수직 가이드봉(81)의 상단부와 제 2 수직 가이드봉(83)의 상단부 사이에는 제 1 수평 가이드봉(85)이 설치된다. 즉, 제 1 수평 가이드봉(85)의 전방 단부는 전방 측판(15)의 내측에 설치 고정되고, 후방 단부는 후방 측판(17)의 내측에 설치 고정되게 된다.
전후 위치 조절 수직부재(86)는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의 전후 위치를 고정시키는 동시에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가 전후 위치 조절 수직부재(86)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 부재로서, 전체적으로 장방형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제 1 수평 가이드봉(8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며, 하단부에는 스크류봉(7)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스크류봉(7)은 전방 측판(15) 내측에 설치 고정된 지지부재(5)에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일측 단부는 전후 위치 조절 수직부재(86)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전방 프레임(13)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골격부(1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타측 단부에는 스크류봉(7)을 손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노브(200)가 구비된다.
따라서, 전후 위치 조절 수직부재(86) 상단부의 전후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스크류봉(7) 타측 단부의 노브(200)를 회전시킴으로써 전후 위치 조절 수직부재(86)의 하단부에 후방으로 미는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방 측판(15)의 내측에 구비된 스크류봉 고정부재(9)의 나비볼트 등을 조이거나 풀어서 스크류봉(7)과의 나사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스크류봉(7)의 회전이 어려워지도록 고정시킬 수도 있게 된다.
제 1 이동부재(82)와 제 2 이동부재(84) 사이에는 제 2 수평 가이드봉(87)이 제 1 수평 가이드봉(85)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제 2 수평 가이드봉(87)에는 제 3 이동부재(88)가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3 이동부재(88)에는 제 3 이동부재(88)를 제 2 수평 가이드봉(87)에 대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나비볼트 등의 전후 위치 고정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 3 이동부재(88)에는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의 상단부가 결합 고정되고,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는 전후 위치 조절 수직부재(86)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90)는 상단부가 제 2 이동부재(84)에 결합 고정되어 제 2 이동부재(84)와 함께 상하로 슬라이딩 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는 전후 위치 조절 수직부재(86)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의 상단부는 제 3 이동부재(88)에 결합 고정되어 있는바, 전후 위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제 3 이동부재(88)를 전후로 이동될 수 없게 고정시키고, 스크류봉 고정부재(9)의 나비볼트 등을 조인 후 노브(200)를 회전시켜 전후 위치 조절 수직부재(86)의 하단부에 후방으로 미는 힘이 가해지도록 하면,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와 전후 위치 조절 수직부재(86)도 전후로 이동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는 전후 위치 조절 수직부재(86)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바, 제 2 수평 가이드봉(87), 제 3 이동부재(88) 및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는 제 1 이동부재(82) 및 제 2 이동부재(84)와 함께 상하로 슬라이딩 될 수 있고,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90)는 제 2 이동부재(84)와 함께 상하로 슬라이딩 될 수 있으므로,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와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90)가 함께 상하로 슬라이딩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 및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90)의 상하 이동시에 절단톱(3)이 걸림 없이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 및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90) 각각에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 슬릿(89, 99)이 구비된다(도 5 참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기톱(1)을 이용하여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초기에 휴대용 전기톱(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준비되어 있게 된다.
먼저, 제 3 이동부재(88)의 전후 위치 고정부재를 풀고 스크류봉 고정부재(9)의 나비볼트 등을 푼 다음, 전후 위치 조절 수직부재(86), 제 3 이동부재(88) 및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를 함께 전방으로 이동시켜, 절단 대상물의 절단에 필요한 거리만큼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90)로부터 이격시킨다(도 3 참조).
그 후, 제 2 이동부재(84)의 상하 위치 고정부재를 푼 다음, 제 1 이동부재(82), 제 2 이동부재(84), 제 2 수평 가이드봉(87), 제 3 이동부재(88),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 및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90)를 함께 하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만든다(도 4 참조).
그 다음에,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와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90) 사이에 절단 대상물을 위치시킨 후, 전후 위치 조절 수직부재(86), 제 3 이동부재(88) 및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를 함께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가 절단 대상물의 전면부에 접하고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90)가 절단 대상물의 후면부에 접하게 한다.
이제, 그 상태로 제 3 이동부재(88)의 전후 위치 고정부재를 잠구어 전후 위치 조절 수직부재(86), 제 3 이동부재(88) 및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가 전후로 이동될 수 없게 고정시킨 다음, 스크류봉 고정부재(9)의 나비볼트 등을 조인 후 노브(200)를 회전시켜 전후 위치 조절 수직부재(86)의 하단부에 후방으로 미는 힘이 가해지도록 한다.
이후에, 휴대용 전기톱(1)을 작동시켜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면 되며, 절단 대상물의 절단 정도에 따라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80) 및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90)가 함께 상측으로 슬라이딩 되게 되므로, 절단 대상물이 절단되는 동안에 절단 대상물이 전후로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기톱은, 작업 전에 절단 대상물을 일일이 고정하지 않아도 충분한 정밀도가 확보될 수 있고 작업시간 및 작업공정이 줄어들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들고 절단작업을 하면서도 충분한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어 신뢰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휴대용 전기톱
3: 절단톱 5: 지지부재
7: 스크류봉 9: 스크류봉 고정부재
10: 골격부
11: 중앙 개방부 12: 상측 프레임
13: 전방 프레임 14: 후방 프레임
15: 전방 측판 16: 전방 하단 막음부
17: 후방 측판 18: 후방 하단 막음부
21: 절단톱 전단부 결합부재 22: 전방 리니어 베어링
23: 절단톱 후단부 결합부재 24: 후방 리니어 베어링
31: 제 1 풀리 32: 제 2 풀리
33: 제 3 풀리 34: 제 4 풀리
35: 동력전달부재
36: 장력조절부
361a: 제 1 줄 고정 조인트 361b: 제 2 줄 고정 조인트
362a: 제 1 조인트 설치공 362b: 제 2 조인트 설치공
363a: 볼트 관통공 363b: 볼트 결합공
364a: 제 1 나사 결합공 364b: 제 2 나사 결합공
365a: 제 1 조인트 고정 나사 365b: 제 2 조인트 고정 나사
37a: 제 1 결합부재 37b: 제 2 결합부재
38: 장력 조절용 볼트 39: 스프링
40: 모터부
50: 동력변환부 51: 동력연결부재
60: 주 손잡이부
65: 배터리부 67: 메인 스위치
70: 보조 손잡이부
80: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 81: 제 1 수직 가이드봉
82: 제 1 이동부재 83: 제 2 수직 가이드봉
84: 제 2 이동부재 85: 제 1 수평 가이드봉
86: 전후 위치 조절 수직부재 87: 제 2 수평 가이드봉
88: 제 3 이동부재 89: 관통 슬릿
90: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 99: 관통 슬릿
200: 노브

Claims (11)

  1. 절단 대상물의 전후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전기톱으로서,
    전체적으로 하측 중앙부가 개방된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하측이 개방된 중앙 개방부를 포함하는, 골격부;
    절단톱의 전단부 및 후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절단톱이 상기 골격부의 하측에서 전후로 왕복운동하도록 안내하는 절단톱 안내부;
    상기 절단톱 안내부에 결합된 상기 절단톱에 소정의 인장력을 가하는 동시에 상기 절단톱을 전후로 왕복시키기 위한 힘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절단톱을 전후로 왕복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동력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절단톱 안내부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로 전달하는 동력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골격부의 중앙 개방부 내에서 전후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절단대상물의 전면부를 지지하면서 절단 대상물의 절단 정도에 따라 함께 상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 및
    상기 골격부의 중앙 개방부의 후방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절단 대상물의 후면부를 지지하면서 절단 대상물의 절단 정도에 따라 함께 상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부는,
    상측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프레임;
    전방 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프레임;
    후방 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프레임;
    상기 상측 프레임의 전방부 및 상기 전방 프레임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전방 측판; 및
    상기 상측 프레임의 후방부 및 상기 후방 프레임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후방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측판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전방 하단 막음부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 측판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후방 하단 막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측판의 내측에 설치 고정되는 제 1 수직 가이드봉;
    상기 후방 측판의 내측에 설치 고정되는 제 2 수직 가이드봉;
    상기 제 1 수직 가이드봉의 상단부와 상기 제 2 수직 가이드봉의 상단부 사이에 설치 고정되는 제 1 수평 가이드봉;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단부는 상기 제 1 수평 가이드봉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전방 측판의 내측에 설치 고정된 지지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봉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후 위치 조절 수직부재;
    상기 제 1 수직 가이드봉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이동부재와 상기 제 2 수직 가이드봉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이동부재 사이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전후 위치 조절 수직부재와는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 2 수평 가이드봉; 및
    상기 제 2 수평 가이드봉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후 위치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제 3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의 상단부는 상기 제 3 이동부재에 결합 고정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는 상기 전후 위치 조절 수직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의 상단부는 상기 제 2 이동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유동방지 안내대 및 상기 후방 유동방지 안내대 각각에는 상기 절단톱이 걸림없이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 슬릿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톱 안내부는,
    상기 절단톱의 전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절단톱 전단부 결합부재;
    상기 전방 측판의 내측에 설치 고정된 전방 리니어 베어링;
    상기 절단톱의 후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절단톱 후단부 결합부재; 및
    상기 후방 측판의 내측에 설치 고정된 후방 리니어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절단톱 전단부 결합부재는 상기 전방 리니어 베어링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절단톱 후단부 결합부재는 상기 후방 리니어 베어링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톱.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전방 측판의 상측 전방 코너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풀리;
    상기 전방 측판의 하측 전방 코너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풀리;
    상기 후방 측판의 상측 후방 코너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3 풀리;
    상기 후방 측판의 하측 후방 코너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4 풀리;
    상기 제 1 풀리, 상기 제 2 풀리, 상기 제 3 풀리 및 상기 제 4 풀리에 걸리도록 설치되고, 일단부는 상기 절단톱 전단부 결합부재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절단톱 후단부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일부분에 결합 설치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제 1 줄 고정 조인트를 매개로 하여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제 1 결합부재;
    제 2 줄 고정 조인트를 매개로 하여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제 2 결합부재; 및
    상기 제 1 결합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결합부재에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장력 조절용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톱.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공진 현상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일부분에 결합 설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톱.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변환부는 상기 후방 측판의 하측 후방 코너부 내측에 설치 고정되며,
    상기 동력 변환부의 일측에는 상기 모터부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후방 측판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왕복운동하는 상기 동력 연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동력 연결부재의 단부는 상기 절단톱 후단부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톱.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부의 상측 후방부에 설치되는 주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 손잡이부는,
    상기 주 손잡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모터부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메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톱.
  11. 제2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부의 상측 일측면에 상기 골격부와 수직하게 설치되는 보조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손잡이부는,
    상기 골격부의 상측 일측면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톱.
KR1020170067191A 2017-05-30 2017-05-30 휴대용 전기톱 KR101953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191A KR101953598B1 (ko) 2017-05-30 2017-05-30 휴대용 전기톱
PCT/KR2018/006074 WO2018221927A1 (ko) 2017-05-30 2018-05-29 의료용 전기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191A KR101953598B1 (ko) 2017-05-30 2017-05-30 휴대용 전기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936A KR20180130936A (ko) 2018-12-10
KR101953598B1 true KR101953598B1 (ko) 2019-03-05

Family

ID=6467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191A KR101953598B1 (ko) 2017-05-30 2017-05-30 휴대용 전기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429A (ko) * 2021-04-13 2022-10-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과 진동운동의 조합을 이용하여 왕복 직선운동하는 결정 절단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47224A1 (en) 2010-04-09 2011-10-13 Alltrade Tools Llc Cable saw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3365A (en) * 1979-08-06 1981-03-03 Mario Ragazzini Hack sawing machine
US5018420A (en) * 1987-05-22 1991-05-28 Mefina S.A. Machine tool
KR20100027603A (ko) 2008-09-03 2010-03-11 (주) 제이이티앤드케이 휴대용 톱
KR20120001182A (ko) 2010-06-29 2012-01-04 송영은 전동톱
KR20150008602A (ko) * 2013-07-15 2015-01-23 심윤국 휴대용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47224A1 (en) 2010-04-09 2011-10-13 Alltrade Tools Llc Cable saw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429A (ko) * 2021-04-13 2022-10-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과 진동운동의 조합을 이용하여 왕복 직선운동하는 결정 절단기
KR102482041B1 (ko) * 2021-04-13 2022-12-2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과 진동운동의 조합을 이용하여 왕복 직선운동하는 결정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936A (ko)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0456B2 (en) Modular guard system for a power saw
EP2156930B1 (en) Mitre saw comprising a fence which is automatically adjusted
US8245614B2 (en) Guard assembly for table saw
US20150360304A1 (en) Masonry circular saw stabilizing and supporting shoe
US20050183559A1 (en) Reciprocating table saw
US10207348B2 (en) Dual position blade guide for vertical or horizontal position of band saw
US6357123B1 (en) Jigsaw apparatus
CN111511506A (zh) 用于工件支托机构的支撑附加机构
CA2917903C (en) Multifunction cutting tool guide
KR101953598B1 (ko) 휴대용 전기톱
CN107398592B (zh) 具有支撑部件的工具机
US3006388A (en) Adjustable balance for chain saw handle
EP3246121B1 (de) Werkzeugmaschine mit einem anlagekörper
US10173277B2 (en) Work table for band saw for use in vertical or horizontal saw position and method
DE102012005173A1 (de) Hand-Trennmaschine
EP2017025A1 (en) Riving knife for table Saw
EP1102664B1 (de) Handgeführte laubsägemaschine
US6467176B1 (en) Hand-operated scroll sawing machine with a support surface that can be detachably clipped to a sawing table
US6868612B2 (en) Cutting guide device for circular saws
US20120324742A1 (en) Power Tool Unit with Adjustable Working Element
US729915A (en) Meat-slicer.
CN219665279U (zh) 导正附件
KR102126078B1 (ko) 크기가 다른 피가공물의 파지가 용이한 피가공물 절단장치
US507914A (en) Anderson lee
CN215660732U (zh) 子母锯的子锯装置及子母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