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066B1 -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066B1
KR100533066B1 KR10-2003-0101448A KR20030101448A KR100533066B1 KR 100533066 B1 KR100533066 B1 KR 100533066B1 KR 20030101448 A KR20030101448 A KR 20030101448A KR 100533066 B1 KR100533066 B1 KR 100533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lamping
cylinder
clamping member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1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9394A (ko
Inventor
김현홍
한종만
노흔식
송금현
위학량
최해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1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066B1/ko
Publication of KR20050069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9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5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6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inclinable relative to m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선소의 블록지지대, 러그, 대형샤클, T/B Box 등과 같은 대상 부재를 중량 및 타입에 관계없이 작업부재를 이동하며, 곡블록 근처의 취부 위치에서 그립의 이동 및 틸팅, 회전과 같은 다양한 취부동작으로 미세 취부위치로 조작 등이 차량 운전자 1인이 핸들링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재를 파지할 수 있도록 된 클램핑부재(10)와, 상기 클램핑부재(10)를 축방향으로 360°회전 운동시키는 축방향회전부재(20)와, 상기 축방향회전부재(20)를 길이방향(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180°만큼 회전 운동시키는 길이방향회전부재(30)로 구성되는 취부수단과;, 상기 취부수단이 장착되는 전동차량(40)과, 상기 클램핑부재(10)가 다양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50)을 이용하여 클램핑부재(10)의 상/하 이동, 기구부 전/후진, 좌/우 이동 및 앞/뒤 방향으로 틸팅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함.

Description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A vessel absence clamping uses the vehicle}
본 발명은 조선소의 블록지지대, 러그, 대형샤클, T/B Box 등과 같은 대상 부재를 중량 및 타입에 관계없이 작업부재를 이동하며, 곡블록 근처의 취부 위치에서 그립의 이동 및 틸팅, 회전과 같은 다양한 취부동작으로 미세 취부위치로 조작 등이 차량 운전자 1인이 핸들링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선소의 경우 선박 블록에 취부하는 부재는 인력으로 핸들링하기 어려운 중량물로 구성되고 있어 이동과정도 문제지만 이동 후 높은 부위에서 미세 취부동작이 이루어져야 하는 특성상 선박건조과정에 많은 인력이 투입되고 있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부재를 옮겨서 핸들링하여 취부하거나 핸들링이 곤란한 H-비임(Beam)의 경우는 비임에 브라켓트를 용접하여 지게차 포크에 매달아서 이동하고 취부시에는 인력으로 지레대 혹은 쇠망치를 사용하여 위치를 맞추고 용접한다.
또한 곡블록 지지대 및 러그, 샤클 등의 작업은 주로 2~5인의 인력으로 이동하고, 취부시에는 트레슬 위로 올려 고소작업을 하거나 고소부위까지 올려 위보기 자세로 들어 올려 취부한다. 그리고 인력으로 핸들링이 어려운 H-Beam의 경우는 지게차 포크에 매달아서 이동하고 취부할 경우에는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취부한다.
그리고 트레슬 위에 안치되어 있는 곡블록은 운반을 위하여 파이프 혹은 H-Beam으로 블록과 트레슬을 용접하여 고정하고, 블록 핸들링을 위하여 블록밑면 혹은 측면에 러그를 부착한다. 그리고 블록을 천장크레인으로 턴오버할 때는 샤클을 트레슬 위의 블록측면에 체결하는 등의 일련의 작업들이 작업자가 직접 운반하고 취부하므로 작업자의 추락,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다수의 작업자가 투입되므로 인력손실이 크다.
이에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 해소하고자 운전자 1인이 곡블록 외벽에 사용되는 다양한 부재 즉, 파이프, H-비임(Beam), 러그, 샤클을 블록근처로 집어서 이동하고, 블록근처에서 간섭을 피하면서 부재를 취부할 수 있게 하여 부재이동으로 인한 인력손실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고소부위의 취부 작업시의 능률을 향상시킬수 있는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작업 부재를 파지할 수 있도록 된 클램핑부재와, 상기 클램핑부재를 축방향으로 360°회전 운동시키는 축방향회전부재와, 상기 축방향회전부재를 길이방향(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180°만큼 회전 운동시키는 길이방향회전부재로 구성되는 취부수단과;, 상기 취부수단이 장착되는 전동차량 및 상기 클램핑부재가 다양한 동작을 이루도록 원격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상/하 이동, 기구부 전/후진, 좌/우 이동 및 앞/뒤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 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취부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의 평면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의 측면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재를 파지할 수 있도록 된 클램핑부재(10)와, 상기 클램핑부재(10)를 축방향으로 360°회전 운동시키는 축방향회전부재(20)와, 상기 축방향회전부재(20)를 길이방향(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180°)만큼 회전 운동시키는 길이방향회전부재(30)로 구성되는 취부수단과;, 상기 취부수단이 장착되는 전동차량(40)과, 상기 클램핑부재(10)가 다양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50)을 이용하여 클램핑부재(10)의 상/하 이동, 기구부 전/후진, 좌/우 이동 및 앞/뒤 방향으로 틸팅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 클램핑부재(10)는 외부의 매니폴더(Manifolder)로부터 유압원을 제공받는 유압실린더(11)와, 상기 유압실린더(11)에 의해 직선 운동하는 슬라이더(12)와, 상기 유압실린더(11)를 고정되게 지지하는 프레임(13)과, 상기 프레임(13)에 조립되는 한 쌍의 그립지지대(14)와, 부재(A)의 양쪽을 고정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그립지지대(14)에 조립되는 한 쌍의 그립(15)과, 상기 그립(15)과 그립지지대(14)를 고정되게 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가이드(16)와, 상기 링크가이드(16)와 인접되게 배치되어 그 중앙부와 한쪽 선단으로 그립(15)과 그립지지대(14)에 각각 조립되고 타측단은 슬라이더(12)에 고정되는 고정간(122)의 타측단에 연결되는 링크(17)로 구성된다.
또한, 축방향회전부재(20)는 상기 클램핑부재(10)와 서로 직교되게 배치되는 지지프레임(21)과, 상기 지지프레임(21)에 취부되는 웜베어링(22)과, 상기 웜베어링(22)에 축착되어 축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된 웜기어(23)와, 상기 웜기어(23)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유압모터(24)로 구성되고, 상기 웜기어(23)는 클램핑부재(10)의 프레임(13)의 외주면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웜기어(23)와 함께 클램핑부재(10)가 동일하게 축방향으로 360°회전 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웜기어(23)의 내측에는 클램핑부재(10)의 유압실린더(11)의 입,출구축포트에 유압원을 공급하도록 된 로터리형 매니폴더(25)가 내장되어 상기 매니폴더(25)를 통해 유압실린더(11)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유압원을 공급하도록 되고, 유압실린더(11)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유압원은 상기 제1유압모터(24) 또는 별도의 유압모터에서 제공받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길이방향회전부재(30)는 축방향회전부재(20)와 서로 직교되게 배치되어 상기 축방향회전부재(20)를 길이방향으로 180°회전 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있다.
길이방향회전부재(30)는 축방향회전부재(20)의 지지프레임(21)의 양측으로 각각 고정되는 회전축(31)에 축착되는 스퍼어기어(32)와, 상기 스퍼어기어(32)에 치합되는 웜기어(33)와, 상기 웜기어(33)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유압모터(34)로 구성되어 상기 제2유압모터(34)에 의해 스퍼어기어(32)와 함께 축방향회전부재(20)를 소정의 각도(180)만큼 회전 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취부수단이 장착되는 전동차량(40)에는 클램핑부재가 다양한 동작을 위해 원격제어하는 원격제어수단(50)이 구비된다.
상기 원격제어수단(50)은 차량 앞부분의 리프팅 실린더를 이용한 상/하 이동, 기구부 전/후진, 좌/우 이동 및 앞/뒤방향으로 틸팅시키도록 구성되고 있다.
상기 전동차량(40)에는 손수레 혹은 대차를 끌어당길 때 사용하는 견인고리(41)과, 차량의 진행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핸들(Steering Wheel:42)과 취부수단을 원격 제어하는 조이스틱(43)이 제공된다.
원격제어수단(50)은 전동차량(40)에 장착되어 클램프부재(10)의 유압실린더(11)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실린더가 전,후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1실린더(51)와, 축방향회전부재(20)의 제1유압모터(24)와 연결되어 클램핑부재(10)를 축방향으로 360°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2실린더(52)와, 길이방향회전부재(30)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유압모터(34)와 연결되어 축방향회전부재(20)를 소정의 각도(180°)만큼 상,하로 회전 운동시키는 제3실린더(5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각의 실린더(51,52,53)는 전동차량(40)의 조이스틱(43)에 연결되어 상기 조이스틱(43)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 결합된 본 발명은 외부 유압호스에서 유압원이 공급되어 길이방향회전부재(30)의 제2유압모터(34)는 축방향회전부재(20)를 상,하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되고, 제2유압모터(34)와 별도로 움직이는 제1유압모터(24)를 구동하면 클램핑부재(10)를 360°연속 회전시켜 그립(Grip)부에 임의각을 유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클램핑부재(10) 제어를 위해 매니폴더(25)로부터 유압원을 제공받으면 유압실린더(11)에 의해 슬라이더(12)를 직선 왕복 운동시킴에 따라 그립지지대(14)에 결합되는 링크(16)와 링크가이드(16)로 연결된 그립(15)은 수평 이동하면서 좌,우로 벌어졌다 오무러들며 부재를 파지하고 해지하는 클램핑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각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운용 및 동작이 가능한 것이지만 원격제어수단과 연결되는 조이스틱을 통해서도 조작 제어도 가능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전동차량(40)에 장착되어 클램프부재(10)의 유압실린더(11)에 연결되는 제1실린더(51)를 제어하여 상기 유압실린더(11)가 전,후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시키고, 축방향회전부재(20)를 이용하여 360°회전 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축방향회전부재(20)의 제1유압모터(24)와 연결된 제2실린더(52)를 동작시키고, 상기 축방향회전부재(20)를 소정의 각도(180°)만큼 상,하로 회전 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3실린더(53)를 동작시킨다.제2실린더(52)를 동작시키며, 길이방향회전부재(30)를 이용하여 축방향회전부재(20)를 소정의 각도만큼 상,하로 회전 운동시키고자하는 경우에는 제3실린더(53)를 동작시킨다.
이처럼 작업 대상 부재를 중량에 관계없이 작업부재가 놓여 있는 근처로 차량을 운전하여 부재를 집고 블록근처로 이동한 다음, 취부 위치로 클램핑부재를 조작하여 부재 전/후, 좌/우 및 틸팅, 부재 상/하회전 기능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작업함으로 작업시간 단축, 인력손실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 부재를 중량 및 타입에 관계없이 작업부재를 집고 이동가능하며, 곡블록 근처의 취부 위치에서 다양한 취부동작을 통해 1mm이내의 미세 취부위치로 조작가능하여 부재이동으로 인한 인력손실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고소부위의 취부작업시에 작업능률 등도 향상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에 의하면, 대상 부재를 중량에 관계없이 작업부재가 놓여 있는 근처로 차량을 이용하여 부재를 집고 블록근처로 이동한 다음, 취부 위치로 조작하여 부재 전/후, 좌/우 및 틸팅, 부재 상/하회전 기능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작업함으로 작업시간 단축, 인력손실 및 안전사고 예방에 크게 기여하는 등의 작용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취부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의 평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의 측면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클램핑부재 11: 유압실린더
12: 슬라이더 13: 프레임
14: 그립지지대 15: 그립
16: 링크가이드 17: 링크
20: 축방향회전부재 21: 지지프레임
22: 웜베어링 23: 웜기어
24: 제1유압모터 25: 로터리형 매니폴더
30: 길이방향회전부재 31: 회전축
32: 스퍼어기어 33: 웜기어
34: 제2유압모터 40: 전동차량
43: 조이스틱 50: 원격제어수단
51: 제1실린더 52: 제2실린더
53: 제3실린더 122: 고정간

Claims (5)

  1. 부재를 파지할 수 있도록 된 클램핑부재(10)와, 상기 클램핑부재(10)를 축방향으로 360°회전 운동시키는 축방향회전부재(20)와, 상기 축방향회전부재(20)를 길이방향(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180°)만큼 회전 운동시키는 길이방향회전부재(30)로 구성되는 취부수단과;, 상기 취부수단이 장착되는 전동차량(40)과, 상기 클램핑부재(10)가 다양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50)을 이용하여 클램핑부재(10)의 상/하 이동, 기구부 전/후진, 좌/우 이동 및 앞/뒤 방향으로 틸팅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재(10)는 매니폴더로부터 유압원을 제공받는 유압실린더(11)와, 상기 유압실린더(11)에 의해 직선 운동하는 슬라이더(12)와, 상기 유압실린더(11)를 고정되게 지지하는 프레임(13)과, 상기 프레임(13)에 조립되는 한 쌍의 그립지지대(14)와, 부재(A)의 양쪽을 고정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그립지지대(14)에 조립되는 한 쌍의 그립(15)과, 상기 그립(15)과 그립지지대(14)를 고정되게 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가이드(16)와, 상기 링크가이드(16)와 인접되게 배치되어 그 중앙부와 한쪽 선단으로 그립(15)과 그립지지대(14)에 각각 조립되고 타측단은 슬라이더(12)에 고정되는 고정간(122)의 타측단에 연결되는 링크(1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회전부재(20)는 지지프레임(21)과, 상기 지지프레임(21)에 취부되는 웜베어링(22)과, 상기 웜베어링(22)에 축착되어 축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웜기어(23)와, 상기 웜기어(23)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유압모터(24)로 구성되고, 상기 웜기어(23)는 클램핑부재(10)의 프레임(13)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웜기어(23)와 함께 클램핑부재(10)가 동일하게 축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회전부재(30)는 축방향회전부재(20)의 지지프레임(21)의 양측으로 각각 고정되는 회전축(31)에 축착되는 스퍼어기어(32)와, 상기 스퍼어기어(32)에 치합되는 웜기어(33)와, 상기 웜기어(33)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유압모터(34)로 구성되어 상기 제2유압모터(34)에 의해 스퍼어기어(32)와 함께 축방향회전부재(2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수단(50)은 전동차량(40)에 장착되어 클램프부재(10)의 유압실린더(11)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실린더가 전,후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1실린더(51)와, 축방향회전부재(20)의 제1유압모터(24)와 연결되어 클램핑부재(10)를 축방향으로 360°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2실린더(52)와, 길이방향회전부재(30)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유압모터(34)와 연결되어 축방향회전부재(20)를 소정의 각도(180°)만큼 상,하로 회전 운동시키는 제3실린더(53)로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51,52,53)는 전동차량(40)의 조이스틱(43)에 연결되어 상기 조이스틱(43)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
KR10-2003-0101448A 2003-12-31 2003-12-31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 KR100533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448A KR100533066B1 (ko) 2003-12-31 2003-12-31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448A KR100533066B1 (ko) 2003-12-31 2003-12-31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9394A KR20050069394A (ko) 2005-07-05
KR100533066B1 true KR100533066B1 (ko) 2005-12-01

Family

ID=3725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448A KR100533066B1 (ko) 2003-12-31 2003-12-31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30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445B1 (ko) 2008-01-23 2008-04-16 이창복 트랙터용 집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788B1 (ko) * 2016-03-07 2020-09-03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유동암 리프팅 장치
KR102316943B1 (ko) * 2019-11-25 2021-10-25 세메스 주식회사 가스 실린더 이송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445B1 (ko) 2008-01-23 2008-04-16 이창복 트랙터용 집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9394A (ko)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4585B1 (en) Crc tool
CA2815052C (en) A device for traversing an object
JPH08504387A (ja) 車両および車両部品の輸送システム
JP2008279495A (ja) ロンジ突合継手自動溶接ロボット
EP3440389B1 (en) Universal gripper
KR100533066B1 (ko) 차량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
KR100561237B1 (ko) 회전제어수단이 구비된 선박용 부재 클램핑장치
US6516841B1 (en) Tree felling and shaping apparatus
KR100992574B1 (ko) 선박 외판의 러그 절단용 클램핑 장치
CN216265989U (zh) 一种可快速更换属具的拆除机器人
CN116175596A (zh) 用于船舶表面处理的移动式加工机器人装置
WO2003047958A1 (en) Arrangement at a travelling crane
KR100597861B1 (ko) 핸들링 로봇
RU2016756C1 (ru) Многоцелевой манипуляторный агрегат
RU2141446C1 (ru) Грузо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211421Y1 (ko) 높이 조절 및 이동용 유압 시스템이 장착된 포터블 밀링머신
CN113562607B (zh) 一种无人化重型龙门转运夹爪
SU981201A1 (ru)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JP3411727B2 (ja) 旋回移動式作業装置
CN220926121U (zh) 一种应用于铺管船舶的伸缩式起重机
US2753065A (en) Industrial truck rotary holder attachment
CN216546285U (zh) 具有抓取功能的搬运车
CN210970803U (zh) 一种混凝土布料管道拖移机械车
JP2001171971A (ja) 荷物運搬船における可撓ホースの姿勢制御機構
JPH04118388A (ja) 横走行可能な走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